KR20120070778A - 볶음 겸용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볶음 겸용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778A
KR20120070778A KR1020100132226A KR20100132226A KR20120070778A KR 20120070778 A KR20120070778 A KR 20120070778A KR 1020100132226 A KR1020100132226 A KR 1020100132226A KR 20100132226 A KR20100132226 A KR 20100132226A KR 20120070778 A KR20120070778 A KR 20120070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oasting
deodorization
duct
genera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식
Original Assignee
정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식 filed Critical 정봉식
Priority to KR102010013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778A/ko
Publication of KR20120070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볶음 겸용 구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볶음 겸용 구이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캐비닛; 장치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볶음 또는 구이 대상의 식재료를 볶거나 굽는 구이판; 탈취용 액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통 형상을 가지고 구이판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탈취용 액체의 증발 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식재료의 구이 시 발생되는 냄새가 혼합되어 탈취될 수 있도록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에 이웃되게 배치되며, 냄새가 혼합된 탈취수증기를 흡입하는 탈취수증기 흡입유닛; 및 탈취수증기 흡입유닛과 연결되어 탈취수증기를 장치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취수증기 배출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재료를 볶거나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 또는 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한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볶음 겸용 구이장치{Device for roasted or fried food}
본 발명은, 볶음 겸용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재료를 볶거나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 또는 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한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볶음 또는 구이 대상의 식재료는 다양할 수 있는데 이하 김 등의 건어물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건어물은 생선, 조개류, 해조류 등을 말린 식재료이다. 생선이나 조개류를 건조하여 수분 함량을 일정 비율 이하로 낮추면 미생물이 생기는 것을 막아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다.
특히 건어는 생선을 원형대로 말려서 반찬용으로 사용하는 것과 또는 대구포와 쥐치포 그리고 건오징어 등과 같이 간식 및 안주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대별된다.
한편 구운 김이나 쥐치포와 건오징어는 가장 널리 대중화되고 또 식용되는 건어물로서 여행할 때와 영화를 감상할 때 그리고 독서할 때와 공부할 때 등 주변상황에 크게 구애받지 않은 상태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기호식품이다.
이러한 김이나 쥐치포 등과 같은 건어물은 구이판이나 가스렌지 불에 구워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백화점을 비롯하여 대형 매장의 경우에는 대량 생산을 위해 볶음 또는 구이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백화점이나 대형 매장 등의 공용 공간에서 볶음 또는 구이장치를 이용하여 건어물 등의 식재료를 볶거나 구워 판매할 때는 건어물을 굽는 과정 중에 냄새, 연기 또는 특유의 비린 냄새가 풍기에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냄새, 연기 또는 특유의 비린 냄새 등은 주변 매장에 피해를 주거나 소비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된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식재료를 볶거나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 또는 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한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캐비닛; 상기 장치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볶음 또는 구이 대상의 식재료를 볶거나 굽는 구이판; 탈취용 액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구이판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탈취용 액체의 증발 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식재료의 구이 시 발생되는 냄새가 혼합되어 탈취될 수 있도록 상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에 이웃되게 배치되며, 상기 냄새가 혼합된 탈취수증기를 흡입하는 탈취수증기 흡입유닛; 및 상기 탈취수증기 흡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탈취수증기를 상기 장치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취수증기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는 상기 구이판의 상면 일측에 안착 지지되는 상부 개방형 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구이판의 상면에는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의 하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취수증기 흡입유닛은,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 쪽을 향한 전면부가 개방된 덕트 형상의 유닛 헤드; 및 상기 유닛 헤드의 후방에서 상기 유닛 헤드를 상기 장치 캐비닛에 고정시키되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탈취수증기를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 쪽으로 안내하는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는, 상기 유닛 헤드의 후방에서 상호 이격되게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덕트부; 및 상기 수직 덕트부와 상기 유닛 헤드를 연결하는 수평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는, 상기 다수의 수직 덕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수직 덕트부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지지부재; 및 상기 수직 덕트부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탈취수증기를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 쪽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을 따라 배출되는 상기 탈취수증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정화용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이판은 원반형 수정 돌판일 수 있으며,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는 금속재질의 아크(arc)형 덕트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캐비닛은, 상기 구이판이 올려져 가열되는 전기코일; 상기 전기코일을 냉각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식재료를 포함하여 조리도구 및 선반 등의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는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는 상기 구이판과 상기 탈취수증기 흡입유닛 사이의 상기 장치 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에는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를 가열하는 가열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재료를 볶거나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 또는 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한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볶음 겸용 구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구이판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탈취수증기 배출라인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볶음 겸용 구이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볶음 또는 구이 대상의 식재료는 쥐포, 오징어, 김 등의 건어물을 비롯하여 다양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볶음 겸용 구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구이판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탈취수증기 배출라인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볶음 겸용 구이장치는, 장치 캐비닛(100)과, 장치 캐비닛(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김을 굽는 구이판(200)과, 탈취용 액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통 형상을 가지고 구이판(2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탈취용 액체의 증발 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김을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가 혼합되어 탈취될 수 있도록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와,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에 이웃되게 배치되며 냄새가 혼합된 탈취수증기를 흡입하는 탈취수증기 흡입유닛(400)과, 탈취수증기 흡입유닛(400)과 연결되어 탈취수증기를 장치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 도 5 참조)을 포함한다.
장치 캐비닛(100)은 본 실시예의 볶음 겸용 구이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장치 캐비닛(100)은 강성이 있는 금속 재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캐비닛(100)에는 구이판(200)이 올려져 가열되는 전기코일(140, 도 3 참조)과, 전기코일(140)을 냉각시키는 냉각팬(110)과, 식재료를 포함하여 조리도구 및 선반 등의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장(120)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기코일(140)은 장치 캐비닛(100)의 상면에 마련되고 있지만 전기코일(140)은 분리형 제품일 수 있으며, 전기에 의하지 않은 다른 방식으로 구이판(200)을 가열할 수도 있다. 전기코일(140)에는 나이테 형상의 발열코일이 마련될 수 있는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장치 캐비닛(100)의 일측에는 전기코일(140)을 비롯하여 냉각팬(110) 및 송풍기(520) 등을 온/오프(on/off)시키거나 이들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130)가 마련된다.
그리고 장치 캐비닛(100)의 하부에는 본 실시예의 볶음 겸용 구이장치를 구름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의 바퀴(16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다수의 바퀴(160)가 마련되는 경우, 본 실시예의 볶음 겸용 구이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할 수 있다.
구이판(200)은 김을 굽기 위해 마련된다. 구이판(200)은 별도로 제작되어 전기코일(140)에 올려진 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구이판(200)은 전기코일(140)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이판(200)으로는 원반형 수정 돌판이 사용된다. 수정 돌판은 강력한 화력에도 깨어지지 않고 식재료인 김 등이 달라붙지 않아 구이판(200)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 김을 비롯한 건어물을 굽거나 볶는데 적합하다. 또한 일반 가스렌지 불에 김을 구울 때에 비해 수정 돌판 위에서는 김을 태우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루 구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구이판(200)이 반드시 수정 돌판일 필요는 없다.
한편, 구이판(200)이 위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구이판(200) 위에서 김을 굽더라도 냄새와 더불어 연기, 혹은 김 특유의 비린내가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냄새는 공기 중으로 확산되면서 주변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와, 탈취수증기 흡입유닛(400)과,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 도 5 참조)이 마련된다.
우선,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는 탈취용 액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통 형상을 가지고 구이판(2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탈취용 액체의 증발 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김을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가 혼합되어 탈취될 수 있도록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에 수용되는 탈취용 액체는 통상적인 물(water)일 수 있지만, 별도의 탈취용 화학재, 예컨대 섬유탈취액 등이 가미된 액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탈취용 액체는 증발 시 수증기로 상변화되는데, 김을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 입자는 탈취용 액체로부터의 수증기에 흡수됨으로써 탈취 효과, 즉 냄새 제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전도성이 있는 금속재질의 아크(arc)형 덕트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구이판(200)의 일측 곡면에 맞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구이판(200)이 원반 형상이 아니라면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 역시 아크 형상일 필요는 없다.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그 내부로 탈취용 액체를 수시로 담을 수 있어 편리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의 상부 개구에는 별도의 커버(미도시)가 더 마련되어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닫아 둘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볶음 겸용 구이장치(100)는 냄새를 흡수하기 위해 수증기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증기를 생성시키기 위해서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의 물을 증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를 구이판(200) 위에 직접 올려두어 구이판(200)으로부터의 열을 이용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에 수용되는 물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구이판(200)의 상면 일측에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가 안착되어 전기코일(140)로 가열된 구이판(200)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아야 한다.
이때,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가 구이판(200)의 상면을 많이 가리게 되면 구이 면적이 좁아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를 아크 형상으로 만들어 구이판(200)의 상면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김을 구울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의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구이판(200)의 상면 둘레 영역에는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의 하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턱(210)이 마련된다. 자리턱(210)은 홈의 형태이거나 돌기의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탈취수증기 흡입유닛(400)은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에 이웃되게 배치되며 냄새가 혼합된 탈취수증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탈취수증기 흡입유닛(40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 쪽을 향한 전면부가 개방된 덕트 형상의 유닛 헤드(410)와, 유닛 헤드(410)의 후방에서 유닛 헤드(410)를 장치 캐비닛(100)에 고정시키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과 연통되어 탈취수증기를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 쪽으로 안내하는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420)를 포함한다.
유닛 헤드(410)는 수증기와 냄새가 혼합된 탈취수증기가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막아주어 유닛 헤드(410) 후방에서 연결되는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420)로 탈취수증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닛 헤드(410)는 구이판(200)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김 구이 시 소금이나 기름 등이 구이판(200) 밖으로 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리막 역할을 겸한다.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420)는 유닛 헤드(410)의 후방에서 상호 이격되게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덕트부(421)와, 양단부가 수직 덕트부(421)와 유닛 헤드(410)를 연결하는 수평 덕트부(422)와, 다수의 수직 덕트부(421)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지지부재(423)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덕트(duct) 또는 후드는 가스렌지의 상부에 배치되어 냄새를 흡입하는데, 이러한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게 되면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이 천정을 경유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유닛 헤드(410)의 후방에서 유닛 헤드(410) 쪽으로 경유되는 냄새를 수평방향에서 흡입하도록 하는 수평 덕트부(422)와, 일단부는 수평 덕트부(422)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장치 캐비닛(100) 내측에 마련된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과 연결되어 흡입된 수증기와 냄새가 장치 캐비닛(100)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수직 덕트부(421)를 구비하는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420)를 마련함으로써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이 천정을 경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탈취수증기 안내덕트(420)가 구이판(200)에 대해 수평 방향에서 탈취수증기를 흡입한 후, 장치 캐비닛(100)의 내측에 마련된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 도 4 참조)으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의 미가 향상될 수 있다.
수평 덕트부(422)와 수직 덕트부(421)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평 덕트부(422)와 수직 덕트부(421)가 마련되면 복수의 방향에서 탈취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어 유리하다. 수직 덕트부(421)의 단부에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마감캡(424)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강지지부재(424)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수직 덕트부(421)를 연결함으로써 수직 덕트부(421)들에 대한 강도를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입 호스(510)와 배출 호스(530)로 구성될 수 있는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과 송풍기(520)는 장치 캐비닛(100) 내의 일 영역에 마련된다.
흡입 호스(510)와 배출 호스(53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호스를 사용할 경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을 유연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장치 캐비닛(100) 내측 일영역의 좁은 공간에서도 금속 재질의 수직 덕트부(421)와 송풍기(520)를 연결하기에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수직 덕트부(421)가 마련되므로 2개의 흡입 호스(510)가 각각 송풍기(520)에 연결된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탈취수증기의 흡입과 배출 구조에 대해 다시 살펴보면, 흡입 호스(510)의 일단부는 수직 덕트부(421)에 연결되고 흡입 호스(510)의 타단부는 송풍기(520)에 연결되며 송풍기(520)는 다시 공기 정화용 필터(미도시)가 결합된 배출 호스(530)와 연결된다.
따라서 탈취수증기는 헤드 고정용 안내덕트(420)로 흡입되어 장치 캐비닛(100) 내측으로 들어가 흡입 호스(510)를 경유하여 배출 호스(530)의 공기 정화용 필터(미도시)에서 냄새가 다시 제거된 후 장치 캐비닛(100) 측면에 마련된 배출구(5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정화용 필터로는 숯이나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zeolite)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공기 중의 냄새를 흡착하여 정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이판(200)의 상면에서 김을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는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로부터의 수증기와 혼합되어 탈취될 수 있으며, 냄새가 탈취된 탈취수증기는 구이판(200)의 후방에 배치된 탈취수증기 흡입유닛(400)을 경유하여 탈취수증기 배출라인(5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김을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또는 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한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볶음 겸용 구이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a)는 구이판(200)의 상면에 올려지지 않고, 구이판(200)과 탈취수증기 흡입유닛(400) 사이의 장치 캐비닛(1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a)의 내부에 충전되는 탈취용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는데, 이는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a)의 내부에 별도의 가열부재(미도시)를 마련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때의 가열부재는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300a) 내의 바닥 영역에 결합되는 히터 또는 초음파 진동자일 수 있다.
도 5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김을 구울 때 발생되는 냄새(또는 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한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장치 캐비닛 : 100 구이판 : 200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 : 300 탈취수증기 흡입유닛 : 400
탈취수증기 배출라인 : 500 자리턱 : 210
유닛 헤드 : 410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 : 420
수직 덕트부 : 421 수평 덕트부 :422
보강지지부재 : 423 마감캡 : 424
냉각팬 : 110 수납장 : 120
흡입 호스 : 510 송풍기 : 520
배출 호스 : 530 히터 : 310

Claims (8)

  1.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캐비닛;
    상기 장치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볶음 또는 구이 대상의 식재료를 볶거나 굽는 구이판;
    탈취용 액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구이판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탈취용 액체의 증발 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식재료의 구이 시 발생되는 냄새가 혼합되어 탈취될 수 있도록 상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에 이웃되게 배치되며, 상기 냄새가 혼합된 탈취수증기를 흡입하는 탈취수증기 흡입유닛; 및
    상기 탈취수증기 흡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탈취수증기를 상기 장치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취수증기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는 상기 구이판의 상면 일측에 안착 지지되는 상부 개방형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이판의 상면에는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의 하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증기 흡입유닛은,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 쪽을 향한 전면부가 개방된 덕트 형상의 유닛 헤드; 및
    상기 유닛 헤드의 후방에서 상기 유닛 헤드를 상기 장치 캐비닛에 고정시키되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탈취수증기를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 쪽으로 안내하는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는,
    상기 유닛 헤드의 후방에서 상호 이격되게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덕트부; 및
    상기 수직 덕트부와 상기 유닛 헤드를 연결하는 수평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고정용 탈취수증기 안내덕트는,
    상기 다수의 수직 덕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수직 덕트부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지지부재; 및
    상기 수직 덕트부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탈취수증기를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 쪽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탈취수증기 배출라인을 따라 배출되는 상기 탈취수증기를 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정화용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볶음 겸용 구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원반형 수정 돌판이며,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는 금속재질의 아크(arc)형 덕트 구조물로 제작되며,
    상기 장치 캐비닛은,
    상기 구이판이 올려져 가열되는 전기코일;
    상기 전기코일을 냉각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식재료를 포함하여 조리도구 및 선반 등의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는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는 상기 구이판과 상기 탈취수증기 흡입유닛 사이의 상기 장치 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에는 상기 수증기 발생용 컨테이너를 가열하는 가열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겸용 구이장치.
KR1020100132226A 2010-12-22 2010-12-22 볶음 겸용 구이장치 KR20120070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226A KR20120070778A (ko) 2010-12-22 2010-12-22 볶음 겸용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226A KR20120070778A (ko) 2010-12-22 2010-12-22 볶음 겸용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778A true KR20120070778A (ko) 2012-07-02

Family

ID=4670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226A KR20120070778A (ko) 2010-12-22 2010-12-22 볶음 겸용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07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22B1 (ko) * 2014-07-16 2015-06-29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냄새 및 연기제거장치가 설치된 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22B1 (ko) * 2014-07-16 2015-06-29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냄새 및 연기제거장치가 설치된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863B2 (en) Food cooking apparatus and heat storage member
US7451691B2 (en)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KR101191873B1 (ko) 가정용 조리기구 커버 및 조리방법
JP2007061515A (ja) 加熱調理器
US20040187702A1 (en) Forced Venting Fry Utensil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120070778A (ko) 볶음 겸용 구이장치
KR102046256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US10820752B2 (en) Multi-leveled cooking apparatus
KR200196698Y1 (ko) 숯불구이용 로스터
JP2012021693A (ja) 加熱調理器
JPH05285018A (ja) システム家具
JP412782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70137614A (ko) 조리후 세척이 간편한 전기오븐
KR102489504B1 (ko)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JP2010046285A (ja) 対面調理販売装置
KR20100022909A (ko) 냄새 확산 방지가 가능한 조리 용기
JP411010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376385Y1 (ko) 찜기
JP2006029596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396175Y1 (ko) 전기 오븐
US9609998B1 (en) Glassware and silverware steamer
US20040154607A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H059087B2 (ko)
KR200357065Y1 (ko) 두개의 조리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