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330A -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330A
KR20120070330A KR1020100131846A KR20100131846A KR20120070330A KR 20120070330 A KR20120070330 A KR 20120070330A KR 1020100131846 A KR1020100131846 A KR 1020100131846A KR 20100131846 A KR20100131846 A KR 20100131846A KR 20120070330 A KR20120070330 A KR 2012007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opping
store
custom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회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1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330A/ko
Publication of KR2012007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5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the management of goods or merchand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쇼핑 시스템이 개시된다. 매장 관리 장치는 휴대 단말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매장 입장 및 퇴장을 관리한다. 휴대 단말은 쇼핑 물품 리스트, 위치 정보, 매장 정보 요청, 물품 정보 요청을 매장 관리 장치에 전송한다. 매장 관리 장치는 쇼핑 정보, 매장 정보, 이벤트 정보, 물품 정보를 휴대 단말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SHOPPING MALL MANAGEMENT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매장 관리 장치 및 쇼핑 정보를 요구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RFID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와 같은 쇼핑 카트에 RFID 단말 장치를 설치하여 소비자는 쇼핑시 물품의 가격 및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RFID를 이용한 스마트 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마트 가트는 RFID 리더, RFID 안테나, 표시부,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에 따르면, RFID 단말 장치가 쇼핑 카트에 탑재되어 개별 관리가 어렵고, 쇼핑 카트의 제작 및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RFID 단말 장치는 근거리 통신으로 이루어져 위치 추적이 불가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면서 소비자의 성향 및 위치에 따른 쇼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쇼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휴대 단말과 통신하여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매장 입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매장 입장이 확인되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쇼핑 물품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쇼핑 물품 리스트를 위한 쇼핑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의 매장 퇴장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쇼핑 정보는 상기 쇼핑 물품 리스트를 위한 추천 쇼핑 동선에 대한 정보 및 매장 지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소비자는 매장 이용시 매장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별로 성능과 가격을 비교할 수 있어 알뜰한 쇼핑을 할 수 있고, 쇼핑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매장은 소비자의 상품 구입 성향 및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좀 더 효율적인 매장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카트에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지 않고 소비자는 기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므로, 매장 운영에 있어 카트에 장치된 별도의 단말에 대한 관리가 불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RFID를 이용한 스마트 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의 휴대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쇼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 고객 관리 방법 및 쇼핑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은 소비자의 휴대 단말(100)과 매장 관리 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의 휴대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RFID 태그(110), 제1 통신 장치(120), 제2 통신 장치(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 장치(150), 쇼핑 물품 리스트 저장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RFID 태그(110)는 근거리 통신용으로 소비자가 해당 매장의 회원으로 가입시 부여받은 ID 정보를 포함한다.
제1 통신 장치(120)는 매장 관리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무선랜 장치 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130)는 매장 관리 장치(200)가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매장 관리 장치(200)에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120)와 제2 통신 장치(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장치(120)와 제2 통신 장치(130)는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소비자에게 휴대 단말(100)로의 정보 입력 수단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상품 정보, 매장 정보 등을 표시한다.
쇼핑 물품 리스트 저장부(160)는 사전에 입력된 쇼핑 물품 리스트를 저장한다.
제어부(170)는 개별 ID 인식용 RFID 태그(110), 제1 통신 장치(120), 제2 통신 장치(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 장치(150), 쇼핑 물품 리스트 저장부(160)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관리 장치(200)는 RFID 리더기(210), 소비자의 단말과 통신을 하기 위한 제1 통신 장치(220), 제2 통신 장치(230) 및 고객 관리 장치(240)를 포함한다.
RFID 리더기(210)는 RFID 태그(110)로부터 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제1 통신 장치(220)는 휴대 단말(100)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무선랜 장치 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230)는 휴대 단말(100)의 제2 통신 장치(130)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추적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쇼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휴대 단말(100)이 매장 안으로 진입하면, RFID 리더기(210)는 휴대 단말(100)의 RFID 태그(110)에 태그 정보를 요청한다(S101).
이후 RFID 리더기(210)는 회원 가입시 부여된 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RFID 태그(110)로부터 수신하고 고객 관리 장치(240)에 전달한다(S103). 이로써 고객 관리 장치(240)는 소비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소비자가 매장 안으로 진입한 것을 확인하면, 고객 관리 장치(240)는 제1 통신 장치(220)를 통해 휴대 단말(100)에 쇼핑 물품 리스트를 요청한다(S105).
제1 통신 장치(120)를 통해 쇼핑 물품 리스트 요청을 수신한 제어부(170)는 제1 통신 장치(120) 및 제1 통신 장치(220)를 통해 미리 입력된 쇼핑 물품 리스트를 고객 관리 장치(240)에 전달한다(S107). 제어부(170)는 쇼핑 물품 리스트 요청 없이 자발적으로 구매 물품 리스트를 고객 관리 장치(240)에 제공할 수 있다.
고객 관리 장치(240)는 수신한 쇼핑 물품 리스트를 통해 소비 패턴을 포함하는 고객 성향을 파악한다(S109).
그후, 고객 관리 장치(240)는 쇼핑 물품 리스트를 위한 최적의 추천 쇼핑 동선에 대한 정보, 매장 지도, 매장에 구비되지 않은 물품에 대한 정보, 매장에 구비되지 않은 물품을 대신하는 추천 물품에 대한 정보, 가격 정보, 품질 정보,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쇼핑 정보를 제1 통신 장치(220)를 통해 휴대 단말(100)에 제공한다(S111). 고객 관리 장치(240)는 고객 성향에 따라 매장에 구비되지 않은 물품을 대신하는 추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120)를 통해 쇼핑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50)에 쇼핑 정보를 표시한다(S113).
고객 관리 장치(240)가 제2 통신 장치(230)를 통해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S115), 제2 통신 장치(130)는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S117). 제2 통신 장치(130)는 제2 통신 장치(230)의 요청 없이 자발적으로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 관리 장치(240)는 고객의 실제 구매 동선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고객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S119). 고객 관리 장치(240)가 추천 쇼핑 동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경우, 고객 관리 장치(240)는 추천 쇼핑 동선과 실제 구매 동선의 차이를 통해 고객 성향을 파악할 수도 있다.
고객 관리 장치(240)는 휴대 단말(100)의 위치 및 고객 성향에 기초하여 진행중인 이벤트 정보를 제2 통신 장치(230)를 통해 휴대 단말(100)에 제공한다(S121). 고객 관리 장치(240)는 휴대 단말(100)의 위치에 근접한 물품의 정보, 세일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고객 관리 장치(240)는 고객의 실제 구매 물품 리스트를 매장 내 계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S123), 이를 통해 고객 성향을 파악한다. 고객 관리 장치(240)는 쇼핑 물품 리스트와 실제 구매 물품 리스트의 차이를 통해 고객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고객 관리 장치(240)는 고객이 추천 물품을 구입했는지 또는 고객이 이벤트에 반응했는지에 대한 정보에 따라 고객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매장을 빠져 나갈 때, 고객 관리 장치(240)는 RFID 리더기(210)를 통해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S125), 고객의 출입을 관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휴대 단말(100)이 매장 안으로 진입하면, RFID 리더기(210)는 휴대 단말(100)의 RFID 태그(110)에 태그 정보를 요청한다(S201).
이후 RFID 리더기(210)는 회원 가입시 부여된 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RFID 태그(110)로부터 수신하고 고객 관리 장치(240)에 전달한다(S203). 이로써 고객 관리 장치(240)는 소비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제어부(170)가 매장 정보 요청 지시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1 통신 장치(120)를 통해 매장 관리 장치(200)에 매장 정보를 요청한다(S205). 매장 정보는 매장 지도, 및 진열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진열 상품 정보는 진열 상품 가격, 진열 상품 품질, 진열 상품 성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220)를 통해 매장 정보 요청을 수신한 고객 관리 장치(240)는 제1 통신 장치(220)를 통해 매장 정보를 휴대 단말(100)에 제공한다(S207). 고객 관리 장치(240)는 매장 정보 요청 없이 자발적으로 매장 정보를 휴대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제어부(170)가 물품 정보 요청 지시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1 통신 장치(120)를 통해 매장 관리 장치(200)에 물품 정보를 요청한다(S209). 물품 정보는 물품 가격 정보, 물품 성능 정보, 물품 위치 정보, 물품 가격 비교 정보, 물품 성능 비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관리 장치(240)는 휴대 단말(100)이 정보를 요청한 물품을 통해 고객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220)를 통해 물품 정보 요청을 수신한 고객 관리 장치(240)는 제1 통신 장치(220)를 통해 물품 정보를 휴대 단말(100)에 제공한다(S211).
소비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휴대 단말(100)이 정보를 요청한 물품 또는 진열 상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선택된 물품의 식별자를 고객 관리 장치(240)에 제공하여 쇼핑 물품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S213). 쇼핑 물품 리스트가 갱신되는 경우 고객 관리 장치(240)는 갱신된 쇼핑 물품 리스트를 통해 고객 성향을 파악하고, 추천 쇼핑 동선에 대한 정보를 휴대 단말(100)에 다시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매장을 빠져 나갈 때, 고객 관리 장치(240)는 RFID 리더기(210)를 통해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S215), 고객의 출입을 관리한다.
이상에서 도 5의 실시예와 도 6의 실시예가 별개로 설명되었지만, 도 5으 ㅣ실시예와 도 6의 실시예는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휴대 단말(100), RFID 태그(110), 제1 통신 장치(120), 제2 통신 장치(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 장치(150),
구매 물품 리스트 저장부(160), 제어부(170)
매장 관리 장치(200), RFID 리더기(210), 제1 통신 장치(220),
제2 통신 장치(230), 고객 관리 장치(240)

Claims (1)

  1. 휴대 단말과 통신하여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매장 입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매장 입장이 확인되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쇼핑 물품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쇼핑 물품 리스트를 위한 쇼핑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의 매장 퇴장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쇼핑 정보는 상기 쇼핑 물품 리스트를 위한 추천 쇼핑 동선에 대한 정보 및 매장 지도를 포함하는 쇼핑 정보 제공 방법.
KR1020100131846A 2010-12-21 2010-12-21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 KR20120070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46A KR20120070330A (ko) 2010-12-21 2010-12-21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46A KR20120070330A (ko) 2010-12-21 2010-12-21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330A true KR20120070330A (ko) 2012-06-29

Family

ID=4668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846A KR20120070330A (ko) 2010-12-21 2010-12-21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03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651A (ko) * 2013-11-13 2015-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매장 출입 정보 기반의 쿠폰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50135632A (ko) 2014-05-22 2015-12-03 팁스밸리(주) 비엘이 비콘 기반의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CN111133464A (zh) * 2017-09-27 2020-05-08 乐天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程序以及存储介质
KR102478236B1 (ko) * 2022-04-07 2022-12-19 허소선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결제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651A (ko) * 2013-11-13 2015-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매장 출입 정보 기반의 쿠폰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50135632A (ko) 2014-05-22 2015-12-03 팁스밸리(주) 비엘이 비콘 기반의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CN111133464A (zh) * 2017-09-27 2020-05-08 乐天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程序以及存储介质
KR102478236B1 (ko) * 2022-04-07 2022-12-19 허소선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결제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9063B2 (en) Techniques for imaging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and tracking objects therein
US20210049975A1 (en) Wirelessly Powered Electronic Display Apparatuses
KR101606491B1 (ko) 비엘이 비콘 기반의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US8228196B1 (en) Displaying advertisements based on electronic tags
JP2020518936A (ja) ユーザ相互作用を検出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TWI496096B (zh) 在一物品區域中管理複數物品的系統、方法、與儲放單元
US20120055985A1 (en) Electronic labeling system
JP2004258928A (ja) 商品情報提供装置、ショッピングカート、サーバ、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商品情報提供方法および商品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090080773A (ko) 지능형 쇼핑 카트,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매장 관리 방법
JP2010049494A (ja) 接客支援システム
CN202662020U (zh) 信息提示系统
US20070235529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a product selected by a consumer
WO20191436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checkout using rfid motion triggered tags
CN115699060A (zh) 具有基于传感器的自动结帐系统的建筑物系统
JP2015197689A (ja) 販売支援システム
KR20120070330A (ko)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매장 관리 장치, 및 휴대 단말
CN108463829B (zh) 用于显示价格和/或产品信息的显示设备
KR20190009518A (ko)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719128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50055651A (ko) 매장 출입 정보 기반의 쿠폰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60078140A (ko) 카트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armar Smart Retailing: A Novel Approach for Retailing Business
Mary et al. Social Distance Shopping Using Embedded Based Auto Cart and Android App
Parekh et al. Smart store-shopping using ble technology
Goyal 5 Intelligent shopping m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