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719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719A
KR20120069719A KR1020127009495A KR20127009495A KR20120069719A KR 20120069719 A KR20120069719 A KR 20120069719A KR 1020127009495 A KR1020127009495 A KR 1020127009495A KR 20127009495 A KR20127009495 A KR 20127009495A KR 20120069719 A KR20120069719 A KR 2012006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bsorbent article
compression
high pressure
pressur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560B1 (ko
Inventor
히로유키 하라다
다카시 마루야마
쥰이치 노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22Dens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 A61F2013/53092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longitudinal barriers
    • A61F2013/5309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longitudinal barriers having a density gradient

Abstract

압착 영역(50)은,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봤을 때, 저압착 영역(53)을 갖는다. 저압착 영역(53)에서의 흡수체(30)의 밀도는, 흡수성 물품(1)의 미압착 영역(30a)보다 높다. 저압착 영역(53)에는, 고압착 영역(54)이 형성된다. 고압착 영역(54)은, 압착 가공에 의해 흡수체(30)의 밀도가 높아져 있다. 고압착 영역(54)의 접촉부(54a)는, 저압착 영역(53)의 측 가장자리부(53a)와 접촉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압착 가공에 의해 흡수체의 밀도가 높여진 압착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액체의 샘 방지, 또는 장착감의 향상을 위해, 흡수성 물품의 흡수면에 압착 가공에 의해 홈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볼록부를 갖는 가압롤에 의해 압착되는 것에 의해, 흡수체의 밀도가 높여진 고압착 영역과, 고압착 영역보다 밀도가 낮은 저압착 영역을 갖는 홈이 형성된다. 고압착 영역은, 저압착 영역내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흡수체의 밀도가 높은 부분은, 흡수체의 밀도가 낮은 부분보다 흡수성이 높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액체는 압착이 없는 부분으로부터 저압착 영역으로, 저압착 영역으로부터 고압착 영역으로 흡수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고압착 영역이 저압착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저압착 영역에서 흡수 가능한 양을 상회하는 액체가 접촉되었을 때, 저압착 영역으로부터 고압착 영역으로 액체가 이동하고, 저압착 영역에서 다시 흡수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사이에, 액체가 홈을 넘어 흡수면에 퍼지는 경우가 있다. 이 흡수의 지연이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밖으로 액체가 누출되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고압착 영역의 면적을 늘리면, 액체의 흡수가 빨라지는 것으로 상정된다. 그러나, 저압착 영역을 통하지 않고, 흡수면에 고압착 영역을 직접 형성하면, 고압착 영역 주위의 표면 시트에 걸리는 응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압착이 없는 영역과 고압착 영역과의 경계를 따라 흡수면이 찢어지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4701호 공보(도 5 등)
제1 특징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피부 접촉면을 갖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표면 시트(10)]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이면 시트(20)]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체[흡수체(30)]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흡수성 물품(1)]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에는, 압착 가공에 의해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 및 흡수체의 밀도가 높여진 압착 영역[저압착 영역(53)]이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 영역에는, 상기 밀도가 더 높여진 고압착 영역[고압착 영역(54A, 5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고압착 영역은, 압착되어 있지 않은 미압착 영역[영역(30a)]과 점으로 접촉하는 접촉부[접촉부(54a, 54b)]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X-X선에서의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에서의 압착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b)는 압착 영역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에서의 압착 영역의 별도의 패턴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며, (b)는, 압착 영역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5의 (a), (b)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에서의 압착 영역의 별도의 패턴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6은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에서의 압착 영역의 별도의 패턴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은 압착 영역을 형성하는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상기 장치의 압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롤러의 F7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을 표면 시트측(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1)의 X-X선에서의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0)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30)와,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흡수성 물품(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윙부(40)를 구비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중앙 영역(A)과, 중앙 영역(A)에 대하여 길이 방향(L)의 외측에, 전방 영역(B)과 후방 영역(C)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표면 시트(10)는 부직포이다. 표면 시트(10)의 소재는, 직포,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상의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0)의 피부 접촉면측에는, 표면 시트(10)만이 배치된다.
천연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코어시스 구조 등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웨브 포밍 방법으로서는, 건식(카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에어레이드법 등) 및 습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건식법과 습식법 중, 복수의 방법을 조합시켜도 좋다. 또한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부직포를 작성하는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수류교락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형성한 스펀레이스를 표면 시트(10)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상층측에 요철을 붙인 부직포, 또는 웨브 형성시에 에어를 대는 것에 의해 부직포에 불균일부를 형성한 요철 부직포를 표면 시트(10)에 이용할 수도 있다.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체액이 표면 시트(10)를 투과하기 전에 표면 시트(10)의 표면을 흘러 확산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체(30)보다 의류측에는, 코어랩(21)이 배치된다. 코어랩(21)은,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을 갖는 시트이며, 예컨대 티슈이다. 이면 시트(20)는, 코어랩(21)보다 의류측에 배치된다. 이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필름,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착용시의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는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고, 단위 중량[단위 면적당의 무게(g): 평량이고 함]이 15 g/㎡?30 g/㎡의 범위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체(30)는, 펄프나 화학 펄프나 레이온이나 아세테이트나 천연 코튼이나 고분자 흡수체나 섬유상 고분자 흡수체나 합성 섬유나 발포체 등을 단독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변형되기 어렵게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상 폴리머, 섬유상 폴리머,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저비용과 흡수체의 성형 용이성을 고려하면, 분쇄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에 고분자 흡수체를 혼합한 것을 흡수체(30)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분자 흡수체는, 흡수성, 흡습성이 있는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의 입상 폴리머이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성형한 에어레이드 시트여도 좋다. 흡수체(30)로서, 에어레이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에어레이드 시트의 두께는 0.3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레이드 시트의 예로서는, 섬유와 입자상 폴리머를 바인더 등으로 시트물로 성형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자상 폴리머는, 에어레이드 시트에서, 층상으로 분산되어 있어도 좋고, 두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흡수체(30)는, 1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고, 복수층의 흡수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 사이에는, 티슈, 쿠션 시트, 확산 시트 등의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윙부(40)는, 흡수성 물품(1)의 중앙 영역(A)에 한 쌍 형성된다. 윙부(40)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은, 한 쌍의 윙부(40)의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의 표면에는, 착용자의 속옷에 고정되는 고정 영역(60)을 갖는다. 고정 영역(60)은, 도 1에서 파선으로 도시된다. 고정 영역(60)에는, 접착재, 접착테이프, 면패스너(패스너) 등이 배치된다. 또한, 착용자의 속옷과 접촉하는 이면 시트(20)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접착재(70)가 복수의 라인상으로 도포된다(도 1에는 도시 생략, 도 2 참조). 한 쌍의 윙부(40)는, 속옷의 크로치부로 되접혀, 고정 영역(60)에 배치된 접착재에 의해, 속옷에 접착된다.
접착재로서는, 임의의 패턴으로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는 핫멜트 점착재를 사용한다. 핫멜트 점착재는, 스티렌계 폴리머, 점착 부여제, 가소제로 구성된다. 스티렌계 폴리머로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점착재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부드럽고, 상온에서 피착체의 섬유와 섬유 사이에 넣어 부착할 수 있는 상온 감압성 핫멜트 접착재(Hot Melt Adhesive)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에는, 압착 가공에 의해 흡수체(30)가 압착된 압착 영역(50)이 형성된다. 압착 영역(50)은, 흡수체(30)의 압착 영역(50)을 제외하는 영역의 두께보다 얇다. 여기서, 압착 영역(50)을 제외하는 영역을 미압착 영역(30a)이라고 한다.
다음에, 압착 영역(50)을 설명한다. 도 3의 (a)는, 압착 영역(50)을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F3-F3선에서의 압착 영역(50)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압착 영역(50)은,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봤을 때, 압착 가공에 의해 적어도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와의 밀도가 높여진 영역이며,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착 영역(50)에는, 밀도가 더 높여진 고압착 영역(54A, 54B)이 형성되어 있다. 압착 영역(50)은, 미압착 영역(30a)에 비하면 압착에 의해 밀도가 높여져 있지만, 고압착 영역(54A, 54)보다는 밀도가 낮기 때문에, 저압착 영역(53)으로 나타낸다.
흡수성 물품(1)을 평면에서 봤을 때, 저압착 영역(53)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L)을 따라 형성된다. 고압착 영역(54A, 54B)은, 흡수성 물품(1)의 홈[저압착 영역(53)]을 따라, 홈의 내측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을 평면에서 봤을 때, 고압착 영역(54A)은, 미압착 영역(30a)과 접촉하는 접촉부(54a)를 갖는다. 홈[저압착 영역(53)]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접촉부(54a)의 길이 L2는, 홈[저압착 영역(53)]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고압착 영역(54)의 길이 L1보다 짧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압착 영역(54)의 접촉부(54a)는, 미압착 영역(30a)과 점으로 접촉한다.
압착 영역(50)은, 복수의 고압착 영역(54A)을 포함하는 제1 그룹(G1)과, 복수의 고압착 영역(54B)을 포함하는 제2 그룹(G2)을 갖는다. 제1 그룹(G1)을 구성하는 고압착 영역(54A)의 접촉부(54a)는, 저압착 영역(53)의 한쪽 측 가장자리부(53a)에 접촉한다. 즉, 제1 그룹(G1)은, 제1 고압착 영역군을 구성한다. 제2 그룹(G2)을 구성하는 고압착 영역(54B)의 접촉부(54b)는, 저압착 영역(53)의 다른쪽 측 가장자리부(53b)에 접촉한다. 즉, 제2 그룹(G2)은, 제2 고압착 영역군을 구성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그룹의 고압착 영역(54A)과 제2 그룹의 고압착 영역(54B)은, 홈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된다. 고압착 영역(54A)은, 흡수성 물품(1)을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이다. 접촉부(54a)는, 사각형 중 하나의 정점이다. 또한, 고압착 영역(54B)에서도 마찬가지로, 사각형이며, 접촉부(54b)는, 사각형 중 하나의 정점이다.
도 4의 (a)는, 저압착 영역(53)에 형성되는 고압착 영역의 별도의 패턴을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 F4-F4선에서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저압착 영역(53)에 고압착 영역(55A, 55B, 55C)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압착 영역(53)은, 복수의 고압착 영역(55A)을 포함하는 제1 그룹(G1)과, 복수의 고압착 영역(54B)을 포함하는 제2 그룹(G2)과, 복수의 고압착 영역(55C)을 포함하는 제3 그룹(G3)을 갖는다. 제1 그룹(G1)을 구성하는 고압착 영역(55A)의 접촉부(55a)는, 저압착 영역(53)의 한쪽 측 가장자리부(53a)에 접촉한다. 제2 그룹(G2)을 구성하는 고압착 영역(55B)의 접촉부(55b)는, 저압착 영역(53)의 다른쪽 측 가장자리부(53b)에 접촉한다. 제3 그룹(G3)을 구성하는 고압착 영역(55C)은, 홈[저압착 영역(53)]의 폭방향에서의 제1 그룹과 제2 그룹 사이에, 홈[저압착 영역(53)]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그룹의 고압착 영역(55A)과 제3 그룹의 고압착 영역(55C)은 번갈아 형성된다. 또한 제2 그룹의 고압착 영역(55B)과 제3 그룹의 고압착 영역(55C)은 번갈아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흡수체는, 밀도가 높여진 영역일 수록, 액체를 인입하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에는, 미압착 영역보다 밀도가 높여진 저압착 영역(53)과, 저압착 영역(53)보다 밀도가 더 높여진 고압착 영역(54A, 5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압착 영역(53)으로부터 고압착 영역(54A, 54B)으로, 체액 등의 액체를 인입하기 쉽고, 흡수체(30)의 내부에 인입하기 쉽다. 따라서, 액체의 흡수 속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 밖으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에서는, 고압착 영역(54A, 54B)의 접촉부(54a, 54b)는, 압착되어 있지 않은 미압착 영역(30a), 즉 저압착 영역(53)의 측 가장자리부(53a, 53b)와 점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부(54a, 54b)에서, 표면 시트(10)에 걸리는 응력이 작다. 따라서, 제조공정에서, 표면 시트의 찢어짐 등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압착 영역(50)에 형성되는 저압착 영역과 고압착 영역의 패턴을 도 3과 같이, 번갈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액체를 인입하기 쉬운 고압착 영역을 한정된 면적[저압착 영역(53)]내에 많이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번에 흡수 가능한 액체의 양이 증가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흡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0)보다 피부측에는, 표면 시트(10)만이 배치된다. 표면 시트(10)를 투과한 액체는, 흡수체(30)를 구성하는 펄프, 친수성 섬유, 고분자 흡수체 등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액체의 흡수 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에 고압착 영역(54A, 54B) 및 저압착 영역(53)을 형성하는 것과, 피부 접촉면측에 코어랩(21)을 구비하지 않는 것을 병용하는 것에 의해, 액체의 흡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가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 3에 도시한 고압착 영역(54A, 54B)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효과를 설명했지만, 도 4에 도시하는 고압착 영역(55A, 55B, 55C)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피부 접촉면측에 도 4에 도시하는 압착 영역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3 그룹(G3)을 갖기 때문에, 고압착 영역의 면적이 넓고, 흡수 속도가 한층 더 빨라진다.
다음에, 압착 영역(50)에 형성되는 고압착 영역의 별도의 패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의 (a), (b)는, 압착 영역(50)에 형성되는 고압착 영역의 별도의 패턴을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저압착 영역(53)에, 대략 원형상의 고압착 영역(56A, 56B)이 형성된다. 도 5의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저압착 영역(53)에, 대략 원형상의 고압착 영역(57A, 57B, 57C)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저압착 영역(53)에, 하트형의 고압착 영역(58A, 58B)이 형성된다.
예컨대 하트형의 고압착 영역(58A, 58B)으로 한 경우에는, 압착되어 있지 않은 미압착 영역(30a)과의 측 가장자리부(53a, 53b)와, 하트의 정상부(58a, 58b)가 점으로 접촉하도록 고압착 영역(58A, 58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표면 시트(10)에 걸리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면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5,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을 평면에서 봤을 때, 고압착 영역과 미압착 영역과의 접촉 부분인 접촉부의 홈[저압착 영역(53)]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길이 L2가, 홈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고압착 영역의 길이 L1보다 짧으면 좋고, 고압착 영역의 형상은, 사각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상, 화형(花形) 등의 모양, 기호 등이어도 좋다.
다음에, 흡수성 물품(1)의 피부 접촉면측에, 저압착 영역과 고압착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도 3에 도시한 고압착 영역(54A, 54B)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압착 영역(50)을 형성하는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100)는 제1 롤(110)과, 제2 롤(120)을 갖는다.
제1 롤(110)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30)를 포함한 연속체(200)와 접하면서 흡수성 물품(1)의 제조공정의 흐름 방향을 따른 기계 방향(MD)으로 회전한다. 제1 롤(110)의 표면에는, 연속체(200)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111)는, 제1 롤(110)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연속체(200)와 접촉하는 표면에는, 고압착 영역(54A, 54B)을 형성하기 위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롤(120)의 표면은 평활하게 처리되어 있다.
도 8은, 압착부(111)의 확대도이다. 압착부(111)의 연속체(200)와 접촉하는 표면에는, 볼록부(112, 11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12)는, 고압착 영역(54A)을 형성한다. 볼록부(113)는, 고압착 영역(54B)을 형성한다. 볼록부(112)는, 코너부(112a)를 갖는다. 코너부(112a)는, 측면(111a)에서의, 제1 롤(110)의 법선 방향의 연장상으로 연속되어 있다. 즉, 코너부(112a)는 압착부(111)의 측면(111a)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속체(200)는, 제1 롤(110)과 제2 롤(120)에 끼워지고, 압박되면서, 기계 방향(MD)으로 보내진다. 이 때, 연속체(200)는, 한쪽 표면측으로부터 제1 롤(110)의 압착부(111)에 의해 제2 롤(120)의 표면을 향해 압박된다. 이것에 의해, 연속체(200)에는, 압착부(111)의 형상에 대응하는 압착 영역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롤(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압착부(111)의 측면(111a)과 볼록부(112)의 코너부(112a)가 일치하고 있고, 볼록부(112) 전체가 압착부(111)의 폭에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너부(112a)의 이지러짐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롤의 수명을 연장시킨다고 하는 효과도 나타낸다.
(그 외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이 생리대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뿐이 아니다. 예컨대 기저귀, 이너라이너, 소변 흡수 패드 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측방으로 윙부(40)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윙부(40)는 없어도 좋다.
압착 영역(50)에 형성되는 고압착 영역의 형상은, 도 3?도 6에 도시하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압착 영역의 측 가장자리부(53a, 53b)는, 직선이 아니어도 좋다. 예컨대 파형 등이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압착 영역(50)에서, 착용자의 피부측에는, 표면 시트(10)만이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 사이에 코어랩(21)을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면 시트(20)의 의복 접촉면측으로부터 요철부[고압착 영역(54A, 54B) 및 저압착 영역(53A, 53B, 53C)]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는 여러 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 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18184호(2009년 9월 18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착 영역과 저압착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서, 제조공정에서 흡수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액체의 흡수성이 높여진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피부 접촉면을 갖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에는, 압착 가공에 의해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흡수체의 밀도가 높여진 압착 영역이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 영역에는 상기 밀도가 더 높여진 고압착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고압착 영역은, 압착되어 있지 않은 미압착 영역과 점으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착 영역은,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이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사각형의 하나의 정점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압착 영역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압착 영역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며,
    상기 고압착 영역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홈형상의 압착 영역의 한쪽 측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는 제1 고압착 영역군과,
    상기 고압착 영역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홈형상의 압착 영역의 다른쪽 측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는 제2 고압착 영역군을 가지며,
    상기 제1 고압착 영역군과 상기 제2 고압착 영역군은 번갈아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압착 영역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압착 영역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며,
    상기 고압착 영역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홈형상의 압착 영역의 한쪽 측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는 제1 고압착 영역군과,
    상기 고압착 영역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홈형상의 압착 영역의 다른쪽 측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는 제2 고압착 영역군과,
    상기 제1 고압착 영역군과 상기 제2 고압착 영역군 사이에 형성되는 제3 고압착 영역군을 가지며,
    상기 제1 고압착 영역군과 상기 제3 고압착 영역군은 번갈아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압착 영역군과 상기 제3 고압착 영역군은 번갈아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시트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시트는 상기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측에는 상기 표면 시트만이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KR1020127009495A 2009-09-18 2010-09-17 흡수성 물품 KR101608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8184 2009-09-18
JP2009218184A JP5443106B2 (ja) 2009-09-18 2009-09-18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719A true KR20120069719A (ko) 2012-06-28
KR101608560B1 KR101608560B1 (ko) 2016-04-01

Family

ID=4375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495A KR101608560B1 (ko) 2009-09-18 2010-09-1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20220971A1 (ko)
EP (1) EP2478881B1 (ko)
JP (1) JP5443106B2 (ko)
KR (1) KR101608560B1 (ko)
CN (1) CN102481215B (ko)
AU (1) AU2010296346B2 (ko)
BR (1) BR112012005016A2 (ko)
EA (1) EA201200436A1 (ko)
MY (1) MY159769A (ko)
WO (1) WO2011034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2969B2 (ja) * 2012-03-30 2016-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713951B2 (ja) * 2012-04-02 2015-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57329B2 (ja) * 2012-07-31 2016-07-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JP6080264B2 (ja) * 2013-11-20 2017-0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5127289A1 (en) 2014-02-21 2015-08-27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uid control features
JP5938440B2 (ja) *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59393B2 (ja) * 2014-09-17 2018-07-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6198076B2 (ja) 2015-09-25 2017-09-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8348360B (zh) * 2015-11-04 2019-11-19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和吸收性物品的制造装置
JP6234492B2 (ja) 2016-02-10 2017-11-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ッド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607070B2 (ja) * 2016-02-12 2019-11-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8236544A (zh) * 2016-12-26 2018-07-03 山东太阳生活用纸有限公司 纸尿裤
NL2020902B1 (en) * 2017-05-15 2019-07-12 Drylock Tech Nv Absorbent article with four channels
EP3403626A1 (en) * 2017-05-15 2018-11-21 Drylock Technologies NV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13905698A (zh) * 2019-05-15 2022-01-07 宝洁公司 一次性吸收制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710A (en) * 1987-05-15 1988-1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ad having improved liquid distribution
US5454800A (en) * 1993-05-12 1995-10-03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3568146B2 (ja) 1998-07-03 2004-09-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DE69910248T2 (de) * 1998-11-30 2004-06-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Absorbierender artikel mit kanal
US6563013B1 (en) * 1998-11-30 2003-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nnel
JP4148620B2 (ja) * 1999-12-27 2008-09-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1065085B (zh) * 2004-11-30 2011-03-16 宝洁公司 具有一对后侧翼的吸收制品
JP4738049B2 (ja) * 2005-05-02 2011-08-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1198546B1 (ko) * 2005-05-20 2012-11-06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다수의 마이크로 엠보싱으로 구성된 매크로 엠보싱을구비한 뭉침 및 샘방지기능과 심미적 효과가 증대된 흡수제품
US8481806B2 (en) * 2005-06-02 2013-07-0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traverse reinforcing element
US8998871B2 (en) * 2006-11-22 2015-04-07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compressed channel portions
JP2009218184A (ja) 2008-03-13 2009-09-24 Toppan Printing Co Ltd 燃料電池用触媒電極、その製造方法、膜電極接合体およ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5033833B2 (ja) * 2009-04-28 2012-09-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1126143A1 (en) * 2010-04-06 2011-10-1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1215B (zh) 2014-06-04
EP2478881A4 (en) 2013-11-06
MY159769A (en) 2017-01-31
AU2010296346A1 (en) 2012-05-03
AU2010296346B2 (en) 2015-07-02
EP2478881B1 (en) 2016-10-26
WO2011034180A1 (ja) 2011-03-24
US20120220971A1 (en) 2012-08-30
CN102481215A (zh) 2012-05-30
EA201200436A1 (ru) 2012-08-30
EP2478881A1 (en) 2012-07-25
KR101608560B1 (ko) 2016-04-01
BR112012005016A2 (pt) 2017-07-04
JP2011062475A (ja) 2011-03-31
JP5443106B2 (ja)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560B1 (ko) 흡수성 물품
CN102355878B (zh) 吸收性物品
JP5294837B2 (ja) 吸収性物品
JP5328591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KR101498333B1 (ko) 흡수성 물품
CN102026603B (zh) 吸收性物品
JP3748763B2 (ja) 吸収性物品
JP4173844B2 (ja) 吸収性物品
WO2013108864A1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WO2017030136A1 (ja) 吸収性物品
JP2010022539A (ja) 吸収性物品
KR101164703B1 (ko) 음순간 패드
JP5766253B2 (ja) 吸収性物品
JP2006239256A (ja) 陰唇間パッド
WO2016136943A1 (ja) 吸収性物品
JP2017099563A (ja) 吸収性物品
WO2015072502A1 (ja) 吸収性物品
WO2014196666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