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013A - 기판실장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실장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013A
KR20120069013A KR1020100112462A KR20100112462A KR20120069013A KR 20120069013 A KR20120069013 A KR 20120069013A KR 1020100112462 A KR1020100112462 A KR 1020100112462A KR 20100112462 A KR20100112462 A KR 20100112462A KR 20120069013 A KR20120069013 A KR 2012006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ok
housing
connecto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무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013A/ko
Publication of KR2012006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실장형 커넥터이다. 본 발명 커넥터의 외관을 하우징(30)이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선단으로 개방되게 결합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32)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이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30)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결합후크(4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40)의 선단에는 걸이턱(42)이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40)와 인접하고 상기 하우징(30)의 양단부쪽에는 변형공간(48)을 사이에 두고 보강리브(5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50)는 상기 결합후크(40)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보강리브(50)의 횡단면적은 상기 결합후크(40)보다 크게 되어 탄성변형이 거의 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리브(50)에 의해 결합후크(40)의 파손이 방지되고, 보강리브(50)와 결합후크(40)에 의해 하우징(30)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판실장형 커넥터{Connector for PCB}
본 발명은 기판실장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의 결합을 위한 결합후크를 보호하는 보호리브를 두어 결합후크의 내구성을 높여준 기판실장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을 통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주로 와이어의 선단에 설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도 있다.
도 1에는 기판실실장형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기판(10)은 절연층의 표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외면에 솔더레지스트가 도포되어 구성된다. 상기 기판(10)에는 커넥터(16)의 실장을 위해 통홀(12)과 결합공(14)이 형성된다. 상기 통홀(12)은 커넥터(16)의 터미널(22)이 삽입되어 솔더링되고 상기 결합공(14)에는 커넥터(16)의 결합후크(24)가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기판(10)에 실장되는 커넥터(16)는 외관을 하우징(18)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8)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면으로 결합공간(20)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20)에는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8)에는 터미널(22)이 구비되는데, 상기 터미널(22)의 일단은 상기 결합공간(20)의 내부에 있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8)을 관통해서 상기 기판(10)의 통홀(12)에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8)의 하부 양단에는 결합후크(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24)는 상기 기판(10)의 결합공(14)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한쌍이 서로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결합후크(2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선단에 걸이턱(2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6)은 한쌍의 결합후크(24)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10)의 결합공(14)의 출구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결합후크(24)는 커넥터(16)에서 외부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이어서 외력이 잘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후크(24)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결합공(14)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쉽게 하기 위해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없어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후크(24)는 상기 하우징(18)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데, 이들이 각각 상기 결합공(14)에 삽입됨에 의해 커넥터(16)의 위치를 잡아주는데, 상기 결합후크(24)가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결합공(14)에 결합후크(24)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후크(24)가 탄성변형된 상태가 되면 상기 터미널(22)이 상기 통홀(12))과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아 터미널(22)이 기판(10)에 간섭되어 소성변형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후크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에 커넥터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커넥터가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단으로 개방되게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에 터미널의 선단이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의 후단이 후방으로 관통하여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도록 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 양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각각 형성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와 변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접하게 나란히 돌출되고 상기 결합후크보다 더 길게 연장되며 상기 결합후크보다 횡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후크의 걸이턱은 양측의 것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이턱의 선단에는 후크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의 선단에는 리브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에의 삽입을 안내한다.
상기 보강리브와 결합후크의 변형공간을 향하는 면은 적어도 일측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와 결합후크의 서로 반대쪽을 향하는 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의 반경과 같은 반경을 가지는 곡면인 리브곡면부와 후크곡면부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대의 기판안착면 상에서 돌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결합후크와 인접하여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해당되는 쪽에 상기 결합후크보다 길게 돌출된 보호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후크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후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보호리브는 탄성변형이 되지 않도록 치수가 설계되고 상기 양측의 결합후크 각각보다 하우징의 양단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커넥터를 기판에 삽입할 때, 보호리브는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커넥터를 기판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게 하므로 기판의 통홀에 터미널이 보다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커넥터의 설치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기판실장형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결합후크와 보호리브의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3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30)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결합공간(32)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공간(32)에는 상대 커넥터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결합공간(32)에는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10)에 솔더링되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일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해서 하우징(30)의 후단으로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10)의 통홀에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30)의 후단에는 안착대(3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대(34)는 상기 하우징(30)의 후단 양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3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0)의 후방에서 볼 때, 각각 양단의 것이 'ㄷ'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안착대(34)의 선단면은 인쇄회로기판(1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면(36)이 된다.
상기 하우징(30)의 후단에서 상기 안착대(34)에 인접하게 결합후크(4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40)는 상기 안착대(34)의 기판안착면(36)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결합후크(40)는 상기 하우징(30)의 후단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40)의 선단에는 걸이턱(42)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양단의 결합후크(40)의 걸이턱(42)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42)에는 각각 상기 결합후크(40)의 선단으로 갈수록 결합후크(40)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후크안내경사면(44)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안내경사면(44)은 인쇄회로기판(10)의 결합공(14)(종래 기술인 도 1 참고)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결합후크(40)가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양단의 결합후크(40)가 서로 마주보는 면은 곡면인 후크곡면부(46)인데, 결합후크(40)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원주로 되는 상기 후크곡면부(46) 부분의 반지름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결합공(14)의 반지름과 같거나 작은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로 되어 곡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결합후크(40)가 결합공(14)의 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후크(40)에서 상기 후크곡면부(46)의 반대쪽 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보호리브(50)와 마주보는 부분으로 평면인 후크평면부(47)가 된다. 상기 후크평면부(47)는 아래에서 설명될 보호리브(50)와의 사이에서 변형공간(48)을 형성한다. 상기 변형공간(48)은 상기 결합후크(40)가 탄성변형가능하게 하는 공간이다.
상기 각각의 결합후크(40)와 인접하여서는 보호리브(50)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리브(50)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결합후크(40)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50)의 선단에는 보호리브(50)의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되도록 리브안내경사면(52)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안내경사면(52)은 상기 보호리브(5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결합공(14)에 삽입되는 것이 쉽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리브(50)에서 상기 결합후크(40)의 반대쪽 면은 리브곡면부(54)이다. 이는 상기 보호리브(50)가 원기둥형상이므로 당연하나,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결합공(14)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보호리브(50)에서 상기 결합후크(40)의 후크평면부(47)와 마주보는 부분은 리브평면부(56)로 된다. 상기 리브평면부(56)는 평평한 평면으로 되어 상기 결합후크(40)와의 사이에서 변형공간(48)이 형성되게 한다. 물론, 상기 후크평면부(47)와 리브평면부(56)는 반드시 동시에 존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둘 중에 하나가 있으면 된다.
상기 보호리브(50)는 도 4를 참고하면 대략 점선으로 표시된 원의 절반정도를 채우도록 횡단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원이 인쇄회로기판(10)의 결합공(14)과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결합후크(40)는 상기 걸이턱(42)이 위치되는 않는 부분이 상기 점선으로 표시된 원의 1/3 이하를 차지하도록 치수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결합후크(40)는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하고 상기 보호리브(50)는 탄성변형이 거의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리브(5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대(3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보호리브(50)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호리브(50)가 반드시 상기 안착대(34)에서 돌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결합후크(40)와 같이 하우징(30)의 후단에서 돌출되도록 하면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판실장형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10) 등의 체결공(14)에 상기 결합후크(40)와 보호리브(50)가 동시에 삽입되고, 상기 양측의 결합후크(40)의 걸이턱(42)이 동시에 체결공(14)의 가장자리에 걸어짐에 의해 가고정된다. 그리고, 커넥터의 터미널이 인쇄회로기판(10)의 통홀(12)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에의 실장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기에 앞서 다수개가 용기에 담겨져 조립라인으로 보내진다. 이때, 각각의 커넥터의 결합후크(40)는 하우징(30)의 후단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상기 보호리브(50)가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강도도 상대적으로 결합후크(40)보다 더 크므로 외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양단의 결합후크(40) 사이의 위치에 있던 물체로부터 외력이 작용할 수는 있으나, 이 외력이 결합후크(40)를 탄성변형시키더라도 상기 보호리브(50)에 지지되어 일정 이상 변형되지 않으므로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10)의 결합공(14)에 상기 결합후크(40)와 보호리브(50)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30)의 보호리브(50)가 인쇄회로기판(10)의 결합공(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30)을 인쇄회로기판(10) 상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호리브(50)가 상기 결합공(14)에 삽입되도록 하우징(30)을 인쇄회로기판(10)상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보호리브(50)의 리브안내경사면(52)이 결합공(14)에 먼저 안내되기 시작하면서 하우징(30)이 인쇄회로기판(10) 상의 정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후크(40)의 걸이턱(40)이 결합공(14)의 가장자리에 안착되기 시작할 때, 인쇄회로기판(10)의 통홀(12)에 터미널이 삽입되기 시작한다. 상기 터미널이 통홀(12)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보호리브(50)와 결합후크(40)가 하우징(30)이 인쇄회로기판(10)에서 정위치에 있도록 하므로, 상기 터미널은 통홀(12)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호리브(50)는 상기 결합공(14)의 면적의 대략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횡단면적을 가지므로 상기 보호리브(50)가 결합공(14)에 삽입되면서 거의 탄성변형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터미널이 통홀(12)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호리브(50)와 결합후크(40)가 상기 결합공(14)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공(14)의 내면 일측에 상기 보호리브(50)의 리브곡면부(54)가 밀착되고, 반대측에 상기 결합후크(40)의 후크곡면부(46)가 밀착되므로 상기 보호리브(50)와 결합후크(40)가 유동없이 결합공(1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리브(50)는 반드시 그 형상이 원기둥형태일 필요는 없고, 결합공(14)의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만이 곡면으로 되면 된다.
10: 인쇄회로기판 12: 통홀
14: 결합공 30: 하우징
32: 결합공간 34: 안착대
36: 안착면 40: 결합후크
42: 걸이턱 44: 후크안내경사면
46: 후크곡면부 47: 후크평면부
48: 변형공간 50: 보호리브
52: 리브안내경사면 54: 리브곡면부
56: 리브평면부

Claims (5)

  1. 선단으로 개방되게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에 터미널의 선단이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의 후단이 후방으로 관통하여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도록 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 양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각각 형성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와 변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접하게 나란히 돌출되고 상기 결합후크보다 더 길게 연장되며 상기 결합후크보다 횡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후크의 걸이턱은 양측의 것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의 선단에는 후크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의 선단에는 리브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에의 삽입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와 결합후크의 변형공간을 향하는 면은 적어도 일측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와 결합후크의 서로 반대쪽을 향하는 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의 반경과 같은 반경을 가지는 곡면인 리브곡면부와 후크곡면부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대의 기판안착면 상에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KR1020100112462A 2010-11-12 2010-11-12 기판실장형 커넥터 KR20120069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462A KR20120069013A (ko) 2010-11-12 2010-11-12 기판실장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462A KR20120069013A (ko) 2010-11-12 2010-11-12 기판실장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13A true KR20120069013A (ko) 2012-06-28

Family

ID=4668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462A KR20120069013A (ko) 2010-11-12 2010-11-12 기판실장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0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597A (ko) * 2016-07-25 2018-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포름알데히드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처리장치
KR20190121589A (ko) * 2018-04-18 2019-10-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컨버터
KR20200025217A (ko) * 2018-08-29 2020-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컨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597A (ko) * 2016-07-25 2018-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포름알데히드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처리장치
KR20190121589A (ko) * 2018-04-18 2019-10-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컨버터
KR20200025217A (ko) * 2018-08-29 2020-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컨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se
US20190006778A1 (en) Miniaturized High-Speed Plug-In Card Type Connector
KR10113395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20050221656A1 (en) Connector which can easily be mounted to an object and provided with EMI protection
JP2005294035A (ja) コネクタ
JP2005056780A (ja) コネクタ
JP2008166198A (ja) コネクタ
JP423165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5294034A (ja) コネクタ
WO2020233365A1 (zh) 接线装置及空调器
JPH1126097A (ja) パネル取り付け用ソケット
KR20120069013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US11437752B2 (en) Connector
JP2011076755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4007975B2 (ja) コネクタ
US20210096301A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9088080B2 (en) Frame ground connection
KR20090006806U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37689Y1 (ko) 커넥터
US8325493B2 (en) Alignment pin for retaining a module on a circuit board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JP2008300146A (ja) ランプ用コネクタ
JP2007234533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KR20120051169A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JP2010257677A (ja) 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