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220A -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220A
KR20120068220A KR1020100129749A KR20100129749A KR20120068220A KR 20120068220 A KR20120068220 A KR 20120068220A KR 1020100129749 A KR1020100129749 A KR 1020100129749A KR 20100129749 A KR20100129749 A KR 20100129749A KR 20120068220 A KR20120068220 A KR 20120068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weight
radish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395B1 (ko
Inventor
이기훈
Original Assignee
이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훈 filed Critical 이기훈
Priority to KR102010012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3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석잠(草石蠶)을 포함하는 한방재료로부터 열수추출물을 추출하여 화장료에 적용함으로써, 인공화합물에 의한 피부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를 발휘하는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방지 및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오염된 토양에 존재하는 중금속이 초석잠을 통하여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인체에 피부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하여 초석잠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manufacturing anti-wrinkle orient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tachys sieboldii extract, and oriental cosmetic composition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초석잠(草石蠶)을 포함하는 한방재료로부터 열수추출물을 추출하여 화장료에 적용함으로써, 인공화합물에 의한 피부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를 발휘하는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초석잠(Stachys sieboldii Miq.)은 꿀풀과 석잠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석잠풀, 개소, 향소, 야지잠이라고도 하는데,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흰색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60㎝이며, 전초(全草)를 이용하거나 땅속 덩이줄기를 이용한다.
초석잠의 주성분은 올리고당이며, 스타키오스(stachyose), 스타키드린(stachydrine), 페닐에타노이드 배당체(phenylethanoid glycoside), 알긴산(alginic acid), 콜린(choline), 비타민 B4 등이 함유되어 있다.
스타키오스를 포함하는 올리고당은 장에 유익한 세균을 길러 장의 기능을 정상화하는 작용을 하고, 스타키드린은 시력과 간기능을 개선하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페닐에타노이드 배당체는 뇌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뇌 세포를 활성화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알긴산은 유해중금속의 체외배출과 혈중 콜레스테롤를 낮추어 주며, 콜린은 세포막의 구조유지, 체내지질의 운반과 대사 및 혈액응고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비타민 B4는 지방산 대사에 필수적인 비타민으로서 근육의 정상적인 유지와 발달에 효과가 있다.
특히, 초석잠에는 항산화, 항노화, 항암성분이 풍부하고, 한방에서도 뇌력증진, 노인성 치매 방지, 뇌경색 예방, 장수채(長壽菜)로서의 효능이 인정되어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초석잠의 덩이줄기(괴경)는 생체로 식용할 수는 있으나 특유의 이미와 이취로 인하여 기호도가 떨어져 이용률이 낮으며 장기간 보관시 색의 갈변으로 인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현재 한방에서 약재로 일부 이용될 뿐 그 이용범위가 좁다.
또한, 식품이나 약재로 가공하는 방법이 시도되고는 있으나 가공기술 수준 및 가공기술 개발이 미흡하여 유용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설정이다.
따라서 유용자원인 초석잠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분야로의 적용이 요청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야 중에는 초석잠을 가공하여 화장료에 첨가함으로써 피부를 통하여 초석잠의 유용성분을 인체에 흡수하는 방안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피부는 인체기관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고 인체 내부의 수분 및 유용성분이 피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기능과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기능 등 다양한 생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피부는 신체를 완벽하게 감싸고 있으며 생체의 생명력을 보호하는 보호막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연륜에 따른 노화와 오염된 대기환경과 강렬한 자외선에의 노출 및 영양부족 등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손상되고 있다.
종래 피부미용에 사용되는 화장품의 기능은 그 용도와 성분에 따라 다양하나, 일반적인 기능은 피부표면의 수분증발을 억제하며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며 피부를 안정시키고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가 촉촉하고 탄력 있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은 인공화합물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어 저마다 다른 특성을 갖는 피부에서 각종 질환을 유발하므로 예민한 피부를 갖는 사용자에게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인공화합물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천연재료를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천연재료 중에 상기에서 상술한 인체유용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초석잠을 이용하는 방안이 있는데, 초석잠을 화장료에 첨가하기 위해서는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 뛰어나야 하고 침전이나 이취, 변색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피부 적용시 안전성과 도착성(途着性)이 좋아야 하고 백탁현상이 없어야 한다.
또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토양에 중금속이 축적되고 이러한 중금속이 초석잠에 흡수 축적될 가능성이 다분하여, 토양의 중금속이 초석잠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를 통하여 인체에 축적되어 건강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화장료에 사용되는 정제수 대신에 항산화 및 항노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초석잠 열수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주름개선효과를 얻는 동시에 인공합성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장료의 장기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토양에 존재하는 중금속이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석잠 100중량부에 과루근 250~350중량부, 인삼 250~350중량부 및 녹용 250~35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350~450중량부를 첨가하고 2~3시간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추출물을 정제수로서 전체 화장료의 50~7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에 오미자, 산수유, 천문동, 목단피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고형물이 제거된 추출물 100중량부에 무의 뿌리를 압착하여 추출한 무즙 30~50중량부를 첨가하고 30~40℃에서 10~15시간 숙성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의 뿌리에서 무즙을 추출하고 남은 잔유물인 무박을 45~55℃에서 건조한 후 미세하게 분쇄한 무박가루를 상기 무즙에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방지 및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오염된 토양에 존재하는 중금속이 초석잠을 통하여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인체에 피부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하여 초석잠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초석잠은 초석잠의 땅속줄기인 괴경을 이용하게 되며, 초석잠의 괴경은 형태와 약효가 동충하초와 비슷하여 식물의 동충하초라고도 불린다.
한방에서는 뇌경색, 기억력 증진, 노인성 치매, 장을 강화하는 장수채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의학에서는 항 산소결핍 활성, 히아르로니다제(hyarulonidase) 억제 활성 및 면역거부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석잠의 괴경에 과루근(瓜樓根), 인삼, 녹용을 혼합한 다음 열수추출하여 이를 화장료 조성물의 정제수로서 사용하게 된다.
과루근은 하눌타리의 뿌리로서 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원주형이며, 바깥 면은 엷은 황백색이고 황갈색을 띤 불규칙한 유관속(維管束)이 뻗쳐 있다.
과루근의 약리작용으로는 악성포도태와 상피세포암종 억제, 자궁평활근 흥분, 간암 억제 효과, 혈당강하,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열로 인해 진액이 손상되었을 때 주로 폐와 위의 열을 내리고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며 소갈증, 종기, 농을 치료하고 신체를 윤택하게 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피부세포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세포액이 줄게 되어 피부가 건조해지고 주름이 생기게 되는데, 과루근은 피부에 윤제(潤劑)로서 작용하여 건조해진 피부를 촉촉하게 함으로써 피부주름을 억제하는 효능을 제공한다.
인삼은 원기를 보(補)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돕고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安神作用) 및 신장기능을 높여 준다.
인삼의 약리작용은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녹용은 만성피부궤양에 배농(排膿), 살균 작용이 있어서 치유력이 높고, 기력을 증강시키면서 피부의 재생력을 높인다.
또한, 유정(遺精), 유뇨(遺尿), 이명(耳鳴), 사지 냉증(四肢 冷症)에 효과가 있으며, 신장기능 보완, 보혈 작용, 소아의 성장, 발육 촉진과 여러 질환에 대한 항병력을 증대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인삼과 녹용에는 항산화 작용과 기(氣)를 보하는 효능이 있어서 나이가 들수록 진액이 빠져나가 건조해지는 피부세포에 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초석잠, 과루근, 인삼, 녹용을 선별하여 깨끗이 세척한 다음 초석잠 100중량부에 과루근 250~350중량부, 인삼 250~350중량부, 녹용 250~350중량부를 혼합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에 오미자 또는 산수유를 추가로 혼합할 수도 있으며, 오미자와 산수유는 삽미(澁味)가 있어서 피부를 수축시키는 작용을 하여 피부를 탱탱하게 당겨주는 효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천문동을 추가할 수도 있으며, 천문동은 과루근의 피부윤기 제공효과를 배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목단피(牧丹皮) 또는 황금(黃芩)을 추가로 혼합할 수도 있으며, 목단피와 황금은 방부효능이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에 화학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장료의 장기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은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350~450중량부를 첨가하고 2~3시간 열수추출한다.
상기 열수추출 온도는 80~90℃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온도범위에서 추출 수율이 높으면서 유용성분의 파괴가 최소화된다.
상기 열수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혼합재료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거나 파쇄 또는 분쇄한 후 열수추출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열수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면 초석잠 성분이 함유된 추출물이 얻어진다.
그런데 상기 추출물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토양에 존재하는 구리, 납, 니켈, 카드늄, 크롬 등의 중금속과 합성비료에 의해 토양에 축적된 화학물질이 상기 혼합물을 통해 피부에 흡수되어 독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에 잔존할 수 있는 중금속과 화학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제거하는 과정에서 추출물의 유용성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인 법제방법으로는 가열하여 독성을 순화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나 열을 가하면 추출물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파괴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물을 무즙에 침지한 후 숙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중금속과 화학물질의 독성을 순화시킨다.
무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서, 뿌리에는 포도당, 자당, 과당의 당분 및 각종의 유기산과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고, 녹말을 분해하여 소화흡수를 촉진하는 디아스타아제, 발암물질을 분해ㆍ해독하고 위벽을 보호하는 오게시타제, 전분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 및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 무 생즙은 소화를 촉진시키고 독을 해독하는 효과가 있으며 오장을 이롭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면서 살결이 고와진다고 기록되어 있고, 또한 무즙은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며 각혈을 다스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빈혈을 보하고 생즙을 마시면 설사를 다스린다는 기록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진 무의 뿌리를 이용하여 추출물에 잔존하는 중금속과 화학물질의 독성을 순화시키는데, 먼저 잎을 제거한 무의 뿌리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한다.
상기 물기가 제거된 무의 뿌리를 압착하여 무즙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 100중량부에 상기 무즙 30~50중량부를 첨가한다.
다음은 상기 무즙이 첨가된 추출물을 30~40℃에서 10~15시간 동안 정치(定置)하여 숙성시키는데, 숙성되는 동안 추출물과 무즙의 효소들이 활발히 반응하는 동시에 무즙의 휘발성분들이 휘발하면서 추출물에 잔존하는 화학물질을 제거하고 중금속의 독성을 순화시키게 된다.
상기 숙성온도가 30℃ 미만이면 숙성 효율이 저하되고 무즙의 기화되어 증발되는 양이 많지 않으므로 화학물질의 제거효율이 낮아지며 추출물에 잔류하는 무즙의 양이 많아지는 만큼 유용성분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40℃를 초과하면 여러 효소들의 반응활동이 저해되어 추출물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메커니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무의 뿌리에서 즙을 추출하고 남은 잔류물, 즉 무박을 상기 무즙에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무박의 첨가는 무박을 45~55℃에서 저온 건조한 후 미세하게 분쇄한 무박가루의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박을 45℃ 미만에서 건조하면 보관 중에 곰팡이가 생기고 물러지며, 55℃를 초과하여 건조하면 건조시 검게 되는 부분이 생겨 효능을 발휘하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온도 범위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박가루는 무즙과 혼합되면 약 25배 정도 부피가 팽창되어, 무즙에 존재하는 여러 효소들의 활동성이 극대화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무즙에는 당도가 낮은 다당류와 여러 효소들이 존재하는데, 상기 무즙을 추출하고 난 잔여물인 무박은 최초 중량의 약 35%로서, 이를 저온건조하면 수분은 증발되고 섬유소와 유효성분만을 간직한 고당도의 효소 덩어리가 된다.
상기와 같이 무박을 건조한 후 무즙과 혼합하면 당도가 높아진 무박의 효소덩어리들이 팽창하면서 무즙의 낮은 당도 환경에 있던 여러 효소들의 활동성이 극대화되도록 유도하는 촉매역할을 한다.
이는 동질의 성분 및 효능을 갖고 있는 촉매제라 할 수 있으며, 인위적이고 화학적 반응에 의한 반응 유도제가 아닌 동질성을 이용한 천연 촉매제로서 상온에서 자연스럽게 반응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무로부터 무즙을 추출하고 남은 무박을 건조ㆍ분쇄하여 여러 효소의 활성제로 재사용함으로써 비용과 생산성 면에서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소활성 증가 등의 기술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무즙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C 성분은 피부 단백질인 콜라겐의 합성을 돕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보호해 잔주름을 예방하며, 항산화 작용으로 멜라닌 색소생성이 과도해지는 것을 막고,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어 미백효과와 기미ㆍ주근깨가 생기는 것을 막아주고, 피부저항력을 강화시켜 알레르기성 피부와 쉽게 붉어지는 피부에 효과를 나타내어, 더욱 고품질의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효ㆍ숙성된 무즙 첨가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한 후 화장료 조성물의 정제수로서 사용하며, 상기 추출물이 전체 화장료의 50~70중량%가 되도록 하는데, 제형에 따라 추출물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화장료는 용액형, 유화형, 점성형 등 그 제형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눈가 주름제거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형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초석잠의 괴경, 과루근, 인삼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시중에서 구입한 녹용과 함께 모두 5㎝의 두께로 절단하였다.
상기에서 준비된 초석잠의 괴경 100g, 과루근 300g, 인삼 300g 및 녹용 300g의 혼합물에 정제수 4ℓ를 혼합하고 88℃의 온도로 2.5시간 열수추출을 행하였다.
상기 열수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이 제거된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혼합물에 오미자 100g, 산수유 100g, 천문동 100g, 목단피 100g 및 황금 100g을 더 첨가하여 열수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잎을 제거한 무의 뿌리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하고 압착하여 무즙을 추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 1㎏에 상기 무즙 0.4㎏을 혼합하고 35℃에서 12시간 동안 숙성시켜 무즙이 첨가된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무즙을 추출하고 남은 잔류물인 무박을 50℃에서 건조한 다음 미세하게 분쇄하여 무박가루를 제조하고, 상기 무박가루를 상기 무즙에 첨가하여 추출물을 숙성하고 숙성이 완료되면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즙이 첨가된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혼합물이 초석잠이 혼합되지 않고 과루근, 인삼 및 녹용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혼합물이 과루근, 인삼 및 녹용이 혼합되지 않고 초석잠 1㎏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중금속 함유량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 각각을 50torr, 40℃에서 건조하여 분말을 얻은 다음, 상기 분말 0.5g을 반응용기에 넣고 질산 10㎖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반응하도록 하고, 충분히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반응용기의 뚜껑을 덮고 100℃로 가열하여 추출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반응을 지속시켰다.
다음은 상기 반응용기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60% 과염소산용액 2㎖를 넣고 150℃로 가열하여 반응용기 내 용액이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면 방냉한 후 질산 1㎖를 첨가하였다.
반응용기 내 용액이 담황색으로 변하면 농축시켜 1% 염산액으로 용해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100㎖ 메스플라스크를 이용하여 추출된 시료를 정량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함유량 측정은 철, 구리, 카드늄, 납의 중금속과 아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도결합플라즈마 원자방출분광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CP-AES)(Spectroflame EOP, Spectro Analysis Instruments사 제조, 미국)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중금속 함량 측정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Fe 123 152 95 56 104 112
Zn 18 21 14 11 17 19
Cu 3 4 2 2 3 3
Cd N.D.주) N.D. N.D. N.D. N.D. N.D.
Pb N.D. N.D. N.D. N.D. N.D. N.D.
(단위 : ㎍/g, 건조중량 기준)
주) N.D. = 검출안됨(Not Detected)
상기 분석결과, 무즙이 첨가된 실시예 3, 4에서 중금속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으며 무박이 첨가된 실시예 4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어, 무즙이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무박이 무즙의 효과를 배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폴리페놀 함량 측정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은 페놀성 물질이 몰리브덴산나트륨(sodium molybdate)과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이용한 Folin-Denis법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Folin-Ciocalteu's reagent(FCR)는 Fluka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사용하였다.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측정을 위해 증류수 1.5㎖에 FCR 0.1㎖와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포화용액 0.2㎖을 가하고 여기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군별 시료 0.2㎖를 첨가하여 총 부피를 2㎖로 한 다음 실온에서 20분간 정치한 후 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취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72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갈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얻은 표준곡선으로부터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을 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radical) 소거능의 측정은 Blois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 각각을 50torr, 40℃에서 건조하여 분말을 얻은 다음, 상기 분말 1㎖에 0.2mM DPPH 0.5㎖을 가하여 혼합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거 환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DPPH 라디칼 소거능(%)=(1-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100
성분분석 결과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폴리페놀화합물 함량 mg/g 435 451 417 397 275 473
DPPH 라디칼 소거능 % 93 91 85 83 71 95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페놀화합물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비교예 2에서 가장 높고, 비교예 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초석잠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세포증식효과
초석잠 추출물의 피부 세포(skin cell) 증식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 :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최종 농도 50~500㎍/㎖ 되도록 조정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5㎎/㎖의 3-(4,5-디메틸씨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MTT〕용액 10㎕을 첨가하여 4시간 정치 후 반응액을 제거하였다.
각 웰당 100㎕의 디메틸 설폭사이드 용액을 가하여 염색된 세포를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57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실시하고 하기식으로부터 세포증식효과를 구해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세포증식효과(%)=(추출물 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세포증식효과 측정 결과
시료(㎍/㎖) 세포증식효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50 30.5 36.7 39.4 41.1 22.7 25.9
100 38.4 44.3 48.0 50.9 34.2 35.4
200 47.2 57.9 60.2 63.9 44.1 46.1
300 55.8 64.8 67.3 69.8 49.6 50.4
500 61.4 72.3 76.7 78.6 54.1 57.7
상기 표 3에 의하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세포증식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저해 효과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타제가 활성을 나타내는 경우, 탄성섬유인 엘라스틴이 분해되어 피부주름 형성이 가속화되므로 엘라스타제 억제율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엘라스타제의 기질인 N-석시닐-(알라닌)-3-p-니트로아닐라이드가 분해되면 노란색을 띠는 p-니트로아닐린이 되는데, 이 발색정도를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흡광도로 측정하여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을 평가하였다.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율의 계산방법은 하기의 식과 같으며, 세부적인 측정방법은 The synthesis and analytical use of a high sensitive and convenient substrate of elastase(Biochemical Medicine 11, 350-357, 1974)에 의거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엘라스타제 활성저해율(%)=(1-B/A)×100
A: 억제제 부재하의 OD 400
B: 억제제 존재하의 OD 400
엘라스타제 활성저해율 측정결과 (단위:%)
시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50 15.4 16.7 14.8 14.2 9.2 12.7
100 14.7 15.1 13.4 13.3 7.5 9.4
200 20.4 21.7 19.0 17.4 15.1 18.3
300 31.4 35.6 28.1 26.4 22.2 24.9
500 39.4 42.7 35.5 33.2 26.5 29.4
상기 표 4에 의하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엘라스타제 활성저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오미자, 산수유, 천문동, 목단피 및 황금이 추가된 실시예 2가 가장 높은 활성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홍반 억제효과
20~30대의 남녀 각각 10명씩을 대상으로 깨끗한 물로 세척한 피부를 대조군으로 하여, 실시예 1의 추출물 및 강력한 항염증 효능이 있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연고를 피부에 도포한 후 자외선(100mJ/㎠)을 조사(照射)하였다.
조사 후에도 하루에 한번 씩 상기 물질들을 피부에 도포하였으며, 조사 전과 조사 후 2일, 4일, 6일에 멕사미터(Mexameter)로 홍반지수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홍반 억제효과 측정결과
실시예 1 덱사메타존 처리군 대조군
조사 전 558.5 547.6 562.0
조사 후 2일 659.4 642.3 673.8
조사 후 4일 615.6 591.5 638.1
조사 후 6일 594.1 587.3 631.1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이 강한 스테로이드제인 덱사메타손과 비견될 만한 효과를 나타내어 홍반발생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6> 로션 베이스 제조
화장료에 사용하는 정제수 대신에 상기 실시예의 초석잠 추출물을 이용하여 로션 베이스를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은 하기 표 6과 같다.
로션 베이스 조성
구 분 성 분 함량(중량%)
유분 세틸알코올 1.0
말납 0.5
와세린 2.0
스쿠알렌 6.0
디메틸폴리실록산 2.0
알코올 에틸알코올 5.0
보습제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4.0
계면활성제 POE(10)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2.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 2.0
점액질 퀸스시드 추출액(5% 수용액) 3.0
색제 염료(1% 수용액) 0.001~0.003
0.001~0.003
추출물 to 100
먼저 수상파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추출물에 보습제, 색제를 가하고 70℃로 가열한 후, 유상파트로서 유분에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70℃로 가열하여 상기 수상파트에 혼합하여 예비 유화를 하였다.
여기에 퀸스시드 추출액,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교반하고 호모믹서에서 유화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 기포, 여과, 냉각하여 로션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표 6의 추출물 조성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의 초석잠 추출물을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첨가하여 제형예 1~4의 로션 베이스를 제조하였으며, 또한 화학방부제로 널리 사용되는 메틸파라벤을 함유한 제형예 5와,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은 제형예 6을 제조하였다.
추출물 조성 (단위:중량%)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제형예 6
추출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 -
메틸 파라벤 - - - - 0.4 중량% -
프로필 파라벤 - - - - 0.2 중량% -
페녹시 에탄올 - - - - 0.4 중량% -
증류수 - - - - to 100 중량% to 100 중량%
<시험예 7> 제형예의 방부력 시험
방부제 유효성 시험은 사용자에게 피부자극을 일으키지 않고 제품을 안전하게 보존하는데 필요로 하는 방부제의 최소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방부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미국화장품공업협회(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의 미생물 가이드라인의 시험법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 및 9에 나타내었다.
시험 균주로는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10536), 캔디다 효모(Candida albicans, ATCC 10231), 검은곰팡이(Aspergillus niger, ATCC 16404)를 사용하였다.
균주 배양은, 카제인대두소화배지(Tryptic Soy Agar, TSA)에 세균 3종을 접종하고, 감자덱스트로오즈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에 효모 및 곰팡이를 접종하였다.
세균은 37℃, 효모 및 곰팡이는 25℃의 배양조에서 각각 24시간 내지 72시간 배양한 후 0.8% 생리 식염수로 현탁하여 세균은 약 1×108CFU/㎖, 효모 및 곰팡이는 1×107CFU/㎖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형예의 로션 베이스 시료 각각 20g에 세균 3종 혼합 현탁액과 효모 및 곰팡이를 각각 200㎕ 씩 접종하여 최종 농도가 세균의 경우 1×106CFU/g, 효모 및 곰팡이는 1×105CFU/g이 되도록 하였다.
이후 접종된 각각의 시료는 25℃에서 보관하며 3, 7, 14, 21, 28일 경과시마다 무균 조작하에서 시료 1g씩 취하여 희석액으로 적절히 희석하여 세균은 TSA, 진균은 PDA에 접종하여 각각 37℃, 25℃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 후 계수하였다.
방부력의 유효성으로 세균은 접종 7일 후 균수가 Log 3 이상 감소해야 하고 진균은 접종 7일 후 균수가 Log 1 이상 감소해야하며, 시험기간 동안 증식하지 않아야 한다.
세균에 대한 방부력 측정결과
생균수(CFU/g)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제형예 6
3일 3.50 3.30 4.00 4.00 3.50 -0.00
1주 4.00 3.50 4.50 4.50 4.00 -1.50
2주 4.50 4.50 5.00 5.00 4.50 -
3주 5.00 4.50 5.00 5.00 4.50 -
4주 5.00 5.00 5.00 5.00 5.00 -
진균에 대한 방부력 측정결과
생균수(CFU/g)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제형예 6
3일 3.00 3.00 2.50 2.50 3.00 -1.40
1주 3.00 3.50 3.00 3.00 3.50 -1.50
2주 3.50 3.50 3.00 3.50 3.50 -
3주 3.50 4.00 3.50 4.00 4.00 -
4주 4.00 4.00 4.00 4.00 4.00 -
상기 표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로션 베이스 제형으로 제조한 제형예 1~4가 세균의 사멸에 있어서 기존 화학방부제 처방을 한 제형예 5와 유사한 방부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균에서도 세균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초석잠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하면, 인체에 피부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방부제를 배제하고도 다양한 피부 외용제의 장기보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방지 및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오염된 토양에 존재하는 중금속이 초석잠을 통하여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인체에 피부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하여 초석잠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초석잠 100중량부에 과루근 250~350중량부, 인삼 250~350중량부 및 녹용 250~35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350~450중량부를 첨가하고 2~3시간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추출물을 정제수로서 전체 화장료의 50~7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오미자, 산수유, 천문동, 목단피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고형물이 제거된 추출물 100중량부에 무의 뿌리를 압착하여 추출한 무즙 30~50중량부를 첨가하고 30~40℃에서 10~15시간 숙성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의 뿌리에서 무즙을 추출하고 남은 잔유물인 무박을 45~55℃에서 건조한 후 미세하게 분쇄한 무박가루를 상기 무즙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29749A 2010-12-17 2010-12-17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19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749A KR101195395B1 (ko) 2010-12-17 2010-12-17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749A KR101195395B1 (ko) 2010-12-17 2010-12-17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220A true KR20120068220A (ko) 2012-06-27
KR101195395B1 KR101195395B1 (ko) 2012-10-29

Family

ID=4668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749A KR101195395B1 (ko) 2010-12-17 2010-12-17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3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681A (ko) * 2014-12-15 2016-06-23 김남석 초석잠을 이용한 탈모 방지 에센스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모 방지 에센스
KR101687293B1 (ko) * 2015-11-13 2016-12-16 (주)리치케미칼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품
KR20210066137A (ko) * 2019-11-28 2021-06-07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0363B1 (ko) * 2023-11-20 2024-01-30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820B1 (ko) 2013-04-24 2014-12-16 배기호 초석잠을 포함하는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63053B1 (ko) 2017-04-13 2018-06-0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스팅된 오미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945A (ja) 1999-07-02 2001-01-16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681A (ko) * 2014-12-15 2016-06-23 김남석 초석잠을 이용한 탈모 방지 에센스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모 방지 에센스
KR101687293B1 (ko) * 2015-11-13 2016-12-16 (주)리치케미칼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품
KR20210066137A (ko) * 2019-11-28 2021-06-07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0363B1 (ko) * 2023-11-20 2024-01-30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395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16B1 (ko)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195395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6725B1 (ko)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0758708B1 (ko) 스킨로션 및 그 제조방법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191095B1 (ko)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534074B1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0657380B1 (ko)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을 위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