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095B1 -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095B1
KR101191095B1 KR1020100128048A KR20100128048A KR101191095B1 KR 101191095 B1 KR101191095 B1 KR 101191095B1 KR 1020100128048 A KR1020100128048 A KR 1020100128048A KR 20100128048 A KR20100128048 A KR 20100128048A KR 101191095 B1 KR101191095 B1 KR 10119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radish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780A (ko
Inventor
김두상
최종아
이현숙
박병출
Original Assignee
경포대영어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포대영어조합법인 filed Critical 경포대영어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0012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0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구멍쇠미역으로부터 추출물을 얻은 다음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방지 및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피부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오염된 해수에 존재하는 중금속이 구멍쇠미역을 통하여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조류의 비린 향이 순화되어 구멍쇠미역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garum cribrosum extract, and cosmetic composition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구멍쇠미역으로부터 추출물을 얻은 다음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는 전체 수산물 생산량 중 약 25%를 차지하는 대규모 수산자원으로서 식용, 약용, 사료 및 식품산업의 원료로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건강 기능성 효과가 밝혀지면서 본격적인 식량자원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해조류의 주요 특징은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풍부하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비타민은 B1, B2, C 및 나이아신(niacin)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무기질은 갈조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미역, 다시마, 톳 등은 무기질의 좋은 공급원이 된다.
또한, 해조류에는 비타민이나 무기질 외에 생리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타우린(taurine), n-3 지방산, 알긴산(alginic acid), 후코이단(fucoidan), 라미나린 (laminarin), 펙틴(pectin) 및 식이섬유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인체유용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해조류의 소비형태는 매우 단순하여 채취한 생물 상태로 유통되거나 소건품, 자건품, 염장품, 조미구이 제품 등 단순가공만 이루어진 채 유통되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해조류는 생물 상태로는 저장에 매우 취약하여 장기보관 또는 원거리 유통을 위해서는 가공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수적이나 현재의 가공기술 수준 및 가공기술 개발이 미흡하여 유용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설정이다.
따라서 유용자원인 해조류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분야로의 적용이 요청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야 중에는 해조류를 가공하여 화장료에 첨가함으로써 피부를 통하여 해조류의 유용성분을 인체에 흡수하는 방안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피부는 인체기관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고 인체 내부의 수분 및 유용성분이 피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기능과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기능 등 다양한 생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피부는 신체를 완벽하게 감싸고 있으며 생체의 생명력을 보호하는 보호막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연륜에 따른 노화와 오염된 대기환경과 강렬한 자외선에의 노출 및 영양부족 등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손상되고 있다.
종래 피부미용에 사용되는 화장품은 그 용도와 성분에 따라 다양하나, 일반적인 기능은 피부표면의 수분증발을 억제하며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며 피부를 안정시키고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가 촉촉하고 탄력 있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은 인공화합물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어 저마다 다른 특성을 갖는 피부에서 각종 질환을 유발하므로 예민한 피부를 갖는 소비자에게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인공화합물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천연재료를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천연재료 중에 상기에서 상술한 인체유용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해조류를 이용하는 방안이 있는데, 해조류를 화장료에 첨가하기 위해서는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 뛰어나야 하고 침전이나 이취, 변색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피부 적용시 안전성과 도착성(途着性)이 좋아야 하고 백탁현상이 없어야 한다.
또한, 해조류가 서식하는 연안해역은 중금속의 오염이 일어나기 쉬운 곳으로서, 오염물의 대부분은 강 또는 육상으로부터의 유입과 쓰레기의 해양투기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최근에는 대도시의 생활하수와 연안 산업단지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유입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유입된 중금속 성분들은 해조류에 함유된 알긴산 등의 복합 다당류에 의한 흡착 및 이온교환 기작, 에너지 관련 대사 기작 등의 다양한 기작에 의해 해조류에 흡수 축적될 가능성이 다분하여, 해수의 중금속이 해조류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를 통하여 인체에 축적되어 건강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해조류 중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화장료에 첨가하여, 인공화합물에 의한 피부 부작용을 억제하고 인공합성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장료의 장기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해조류의 비린 향을 억제하며,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해수에 존재하는 중금속이 구멍쇠미역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을 채취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구멍쇠미역을 에탄올에 침지하고 60~70℃에서 1~3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액을 여과하여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고형분을 에탄올에 침지하고 60~70℃에서 1~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액을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무의 뿌리를 압착하여 추출한 무즙에 침지하고 25~35℃에서 10~15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35~45℃에서 10~15시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건조는 25~30℃에서 20~30시간 냉풍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농축은 감압상태에서 40~50℃의 온도로 3~5시간 에탄올을 증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의 뿌리에서 무즙을 추출하고 남은 잔유물인 무박을 45~55℃에서 저온 건조한 후 미세하게 분쇄한 무박가루를 상기 무즙에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방지 및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피부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오염된 해수에 존재하는 중금속이 구멍쇠미역을 통하여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조류의 비린 향이 순화되어 구멍쇠미역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해조류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다시마를 들 수 있으며, 다시마는 카로틴류ㆍ크산토필류ㆍ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ㆍ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 및 요오드ㆍ칼륨ㆍ칼슘 등의 무기염류가 많이 들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은 다시마목 다시마과에 속하는 해조류로서, 야기시리구멍쇠미역이라고도 하며 잎 한가운데에 있는 굵은 잎맥을 제외하고 모든 잎에 구멍이 다수 뚫려 있다.
구멍쇠미역은 탄수화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식이섬유, 무기질, 비타민과 알긴산 등의 인체유용성분이 풍부하고, 특히 항산화 성분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다량 함유되어 있다.
먼저 채취한 구멍쇠미역을 깨끗이 세척하여 염분을 제거한 다음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는 25~30℃에서 20~30시간 냉풍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와 시간은 구멍쇠미역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파괴되지 않으면서 충분히 건조되도록 하는 범위로서, 상기 온도가 25℃ 미만이면 건조시간이 길어지고 30℃를 초과하면 열에 의해 유용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다음은 상기 건조된 구멍쇠미역을 에탄올에 침지하고 60~7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상기 가열온도 및 시간 또한 구멍쇠미역에 함유된 유용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구멍쇠미역의 유용성분이 에탄올에 용출되도록 하는 범위이다.
다음은 상기 가열된 혼합액을 여과하여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하게 되는데,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다음은 상기 분리된 고형분을 에탄올에 침지하고 60~7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다음,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하여 액을 수득하는 과정을 3회 반복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멍쇠미역을 모두 4회에 걸쳐서 에탄올로 반복추출하는 것은 장기간의 고온가열에 따른 유용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은 상기 에탄올 추출로 수득한 액을 모은 다음 농축하여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농축은 감압농축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압농축은 감압상태에서 40~50℃의 온도로 3~5시간 에탄올을 증발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멍쇠미역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는데 열수로 추출하지 않고 에탄올로 추출하는 이유는 에탄올이 물보다 증발잠열이 작으므로 침지액을 보다 빨리 증발시키기 위해서이며, 상기 농축온도가 40℃ 미만이면 건조시간이 길어지고, 50℃를 초과하면 추출물의 유용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상기 추출물에는 해조류 본래의 비린 향이 잔존하고 있어서 이를 화장료에 첨가할 경우 화장료에서 비린 불쾌취가 나게 되고, 또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해안가의 바닷물에 존재하는 구리, 납, 니켈, 카드늄, 크롬 등의 중금속이 구멍쇠미역을 통해 인체에 흡수되어 독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구멍쇠미역 추출물에 잔존하는 비린 향과 중금속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제거하는 과정에서 구멍쇠미역의 유용성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인 법제방법으로는 가열하여 독성을 순화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나, 열을 가하면 구멍쇠미역 추출물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파괴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물을 무즙에 침지한 후 숙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비린 향을 제거하고 중금속의 독성을 순화시킨다.
무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서, 뿌리에는 포도당, 자당, 과당의 당분 및 각종의 유기산과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고, 녹말을 분해하여 소화흡수를 촉진하는 디아스타아제, 발암물질을 분해ㆍ해독하고 위벽을 보호하는 오게시타제, 전분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 및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무 생즙은 소화를 촉진시키고 독을 해독하는 효과가 있으며 오장을 이롭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면서 살결이 고와진다고 기록되어 있고, 또한 무즙은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며 각혈을 다스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빈혈을 보하고 생즙을 마시면 설사를 다스린다는 기록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진 무의 뿌리를 이용하여 구멍쇠미역에 잔존하는 비린 향을 제거하고 중금속의 독성을 순화시키는데, 먼저 잎을 제거한 무의 뿌리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한다.
상기 물기가 제거된 무의 뿌리를 압착하여 무즙을 추출하고, 상기 무즙에 상기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침지시킨다.
다음은 상기 추출물이 침지된 무즙을 25~35℃에서 10~15시간 동안 정치(定置)하여 숙성시키는데, 숙성되는 동안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무즙의 효소들이 활발히 반응하는 동시에 무즙의 휘발성분들이 휘발하면서 추출물에 잔존하는 비린 향을 제거하고 중금속의 독성을 순화시키게 된다.
상기 숙성온도가 25℃ 미만이면 숙성 효율이 저하되며, 35℃를 초과하면 여러 효소들의 반응활동이 저해되어 추출물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메커니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무즙은 휘발성이 강한 물질이어서 온도가 올라가면 기화되어 증발되는 양이 많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무의 뿌리에서 즙을 추출하고 남은 잔류물, 즉 무박을 무즙에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무박의 첨가는 무박을 45~55℃에서 저온 건조한 후 미세하게 분쇄한 무박가루의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박을 45℃ 미만에서 건조하면 보관 중에 곰팡이가 생기고 물러지며, 55℃를 초과하여 건조하면 건조시 검게 되는 부분이 생겨 효능을 발휘하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온도 범위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박가루는 무즙과 혼합되면 약 25배 정도 부피가 팽창되어, 무즙에 존재하는 여러 효소들의 활동성이 극대화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무즙에는 당도가 낮은 다당류와 여러 효소들이 존재하는데, 상기 무즙을 추출하고 난 잔여물인 무박은 최초 중량의 약 35%로서, 이를 저온건조하면 수분은 증발되고 섬유소와 유효성분만을 간직한 고당도의 효소 덩어리가 된다.
상기와 같이 무박을 건조한 후 무즙과 혼합하면 당도가 높아진 무박의 효소덩어리들이 팽창하면서 무즙의 낮은 당도 환경에 있던 여러 효소들의 활동성이 극대화되도록 유도하는 촉매역할을 한다.
이는 동질의 성분 및 효능을 갖고 있는 촉매제라 할 수 있으며, 인위적이고 화학적 반응에 의한 반응 유도제가 아닌 동질성을 이용한 천연 촉매제로서 상온에서 자연스럽게 반응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무로부터 무즙을 추출하고 남은 무박을 건조ㆍ분쇄하여 여러 효소의 활성제로 재사용함으로써 비용과 생산성 면에서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소활성 증가 등의 기술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무즙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C 성분은 피부 단백질인 콜라겐의 합성을 돕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보호해 잔주름을 예방하며, 항산화 작용으로 멜라닌 색소생성이 과도해지는 것을 막고,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어 미백효과와 기미ㆍ주근깨가 생기는 것을 막아주고, 피부저항력을 강화시켜 알레르기성 피부와 쉽게 붉어지는 피부에 효과를 나타내어, 더욱 고품질의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효ㆍ숙성된 무즙 첨가 구멍쇠미역을 35~45℃의 저온에서 10~15시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건조온도가 35℃ 미만이면 건조시간이 길어지고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45℃를 초과하면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유용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며, 상기 화장료는 용액형, 유화형, 점성형 등 그 형태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제형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구멍쇠미역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한 다음 27℃의 공기로 1일간 냉풍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구멍쇠미역 50g을 에탄올 500㎖에 침지하고 6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수득하고 남은 구멍쇠미역에 에탄올 500㎖을 첨가하고 6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상기 과정에서 수득한 상등액을 모두 모은 다음, 진공상태에서 45℃의 온도로 4시간 동안 에탄올을 증발시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잎을 제거한 무의 뿌리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하고 압착하여 무즙을 추출하였다.
상기 무즙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침지하고 30℃에서 12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4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무즙이 첨가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무즙을 추출하고 남은 잔류물인 무박을 50℃에서 건조한 다음 미세하게 분쇄하여 무박가루를 제조하고, 상기 무박가루를 상기 무즙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즙과 무박이 첨가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탄올 대신에 물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구멍쇠미역 대신에 다시마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중금속 함유량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추출물 0.5g을 반응용기에 넣고 질산 10㎖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반응하도록 하고, 충분히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반응용기의 뚜껑을 덮고 100℃로 가열하여 추출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반응을 지속시켰다.
다음은 상기 반응용기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60% 과염소산용액 2㎖를 넣고 150℃로 가열하여 반응용기 내 용액이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면 방냉시킨 후 질산 1㎖를 첨가하였다.
반응용기 내 용액이 담황색으로 변하면 농축시킨 후 1% 염산액으로 용해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100㎖ 메스플라스크를 이용하여 추출된 시료를 정량화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함유량 측정은 철, 구리, 카드늄, 납의 중금속과 아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도결합플라즈마 원자방출분광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CP-AES)(Spectroflame EOP, Spectro Analysis Instruments사 제조, 미국)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중금속 함량 측정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Fe 227 158 131 195 243
Zn 39 24 20 35 44
Cu 6 4 4 6 7
Cd N.D.주) N.D. N.D. N.D. 0.4
Pb N.D. N.D. N.D. N.D. 1
(단위 : ㎍/g, 건조중량 기준)
주) N.D. = 검출안됨(Not Detected)
상기 분석결과, 무즙이 첨가된 실시예 2, 3에서 중금속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으며 무박이 첨가된 실시예 3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어, 무즙이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무박이 무즙의 효과를 배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폴리페놀 함량 측정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은 페놀성 물질이 몰리브덴산나트륨(sodium molybdate)과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이용한 Folin-Denis법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Folin-Ciocalteu's reagent(FCR)는 Fluka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사용하였다.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측정을 위해 증류수 1.5㎖에 FCR 0.1㎖와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포화용액 0.2㎖을 가하고 여기에 10배 희석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군별 시료 0.2㎖를 첨가하여 총 부피를 2㎖로 한 다음 실온에서 20분간 정치한 후 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취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72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갈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얻은 표준곡선으로부터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을 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radical) 소거능의 측정은 Blois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군별 시료 1㎖에 0.2mM DPPH 0.5㎖을 가하여 혼합한 후 37℃ 항온 수조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거 환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DPPH 라디칼 소거능(%)=(1-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100
성분분석 결과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폴리페놀화합물 함량 mg/g 374 346 337 286 153
DPPH 라디칼 소거능 % 91 88 86 76 6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페놀화합물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실시예 1에서 가장 높고, 비교예 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멍쇠미역 추출물이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에 효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예 4>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저해 효과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타제가 활성을 나타내는 경우, 탄성섬유인 엘라스틴이 분해되어 피부 주름 형성이 가속화되므로 엘라스타제 억제율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엘라스타제의 기질인 N-석시닐-(알라닌)-3-p-니트로아닐라이드가 분해되면 노란색을 띠는 p-니트로아닐린이 되는데, 이 발색정도를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흡광도로 측정하여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을 평가하였다.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율의 계산방법은 하기의 식과 같으며, 세부적인 측정방법은 The synthesis and analytical use of a high sensitive and convenient substrate of elastase(Biochemical Medicine 11, 350-357, 1974)에 의거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엘라스타제 활성저해율(%)=(1-B/A)×100
A: 억제제 부재하의 OD 400
B: 억제제 존재하의 OD 400
엘라스타제 활성저해율 측정결과
시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50 14.6 15.9 17.6 13.2 8.7
100 13.6 15.6 17.3 12.3 6.9
200 19.5 20.6 21.3 16.7 10.3
300 30.4 33.0 35.6 26.5 21.6
500 38.2 40.6 44.3 35.9 25.4
(단위:%)
상기 표 3에 의하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엘라스타제 활성저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구멍쇠미역 추출물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의 비린 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0대에서 70대까지의 남녀 각각 5명씩 모두 7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된 추출물의 비린 향을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측정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린 향 3.4 4.4 4.6 3.1 3.3
(5:매우 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매우 나쁨)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린 향은 무즙이 첨가된 실시예 2, 3에서 높게 평가되어 무즙이 해조류의 비린 향을 순화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비교예 1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아 비린 향의 제거에는 물보다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더 나은 것으로 판단된다.
<제형예 1~6> 로션 베이스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분산용매인 글리세린에 1000ppm으로 분산하여 제조된 분산액 및 기존의 화학방부제를 이용하여 로션 베이스를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은 하기 표 5과 같다.
로션 베이스 조성
구 분 성 분 함량(중량%)
유분 세틸알코올 1.0
말납 0.5
와세린 2.0
스쿠알렌 6.0
디메틸폴리실록산 2.0
알코올 에탄올 5.0
보습제 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4.0
계면활성제 POE(10)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1.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 1.0
점액질 퀸스시드 추출액(5% 수용액) 2.0
방부제 실시예 1의 구멍쇠미역 추출물 분산액
또는 화학방부제
0.1~1.0
색제 염료(1% 수용액) 0.001~0.003
0.001~0.003
증류수 to 100
먼저 수상파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증류수에 보습제, 색제를 가하고 70℃로 가열 조정한 후, 유상파트로서 유분에 계면활성제, 방부제를 가하여 70℃로 가열 조정하여 상기 수상파트에 혼합하여 예비 유화를 하였다.
여기에 퀸스시드 추출액, 에탄올을 가하여 교반하고 호모믹서에서 유화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 기포, 여과, 냉각하여 로션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표 5의 방부제 함유량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첨가하여 제형예 1~4의 로션 베이스를 제조하였으며, 또한 화학방부제로 널리 사용되는 메틸파라벤과 에틸파라벤을 함유한 제형예 5와,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은 제형예 6을 제조하였다.
방부제 함유량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제형예 6
분산액 0.1중량% - - - - -
- 0.3 중량% - - - -
- - 0.5 중량% - - -
- - - 1.0 중량% - -
메틸 파라벤 - - - - 0.4 중량% -
프로필 파라벤 - - - - 0.2 중량% -
페녹시 에탄올 - - - - 0.4 중량% -
증류수 - - - - - 1.0 중량%
<시험예 6> 제형 내 방부력 시험
방부제 유효성 시험은 소비자에게 피부자극을 일으키지 않고 제품을 안전하게 보존하는데 필요로 하는 방부제의 최소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제형 내 방부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미국화장품공업협회(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의 미생물 가이드라인의 시험법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 및 8에 나타내었다.
시험 균주로는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10536), 캔디다 효모(Candida albicans, ATCC 10231), 검은곰팡이(Aspergillus niger, ATCC 16404)를 사용하였다.
균주 배양은, 카제인대두소화배지(Tryptic Soy Agar, TSA)에 세균 3종을 접종하고, 감자덱스트로오즈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에 효모 및 곰팡이를 접종하였다.
세균은 37℃, 효모 및 곰팡이는 25℃의 배양조에서 각각 24시간 내지 72시간 배양한 후 0.8% 생리 식염수로 현탁하여 세균은 약 1×108CFU/㎖, 효모 및 곰팡이는 1×107CFU/㎖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형예의 로션 베이스 시료 각각 20g에 세균 3종 혼합 현탁액과 효모 및 곰팡이를 각각 200㎕ 씩 접종하여 최종 농도가 세균의 경우 1×106CFU/g, 효모 및 곰팡이는 1×105CFU/g이 되도록 하였다.
이후 접종된 각각의 시료는 25℃에서 보관하며 3, 7, 14, 21, 28일 경과시마다 무균 조작하에서 시료 1g을 취하여 희석액으로 적절히 희석하여 세균은 TSA, 진균은 PDA에 접종하여 각각 37℃, 25℃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 후 계수하였다.
방부력의 유효성으로 세균은 접종 7일 후 균수가 Log 3 이상 감소해야 하고 진균은 접종 7일 후 균수가 Log 1 이상 감소해야하며, 시험기간 동안 증식하지 않아야 한다.
세균에 대한 방부력 측정결과
생균수(CFU/g)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제형예 6
3일 3.52 3.30 3.00 3.00 3.50 -0.40
1주 4.00 3.50 3.50 3.00 4.00 -1.50
2주 - 4.50 4.00 4.00 5.00 -
3주 - 5.00 5.00 5.00 5.00 -
4주 - 5.00 5.00 5.00 5.00 -
진균에 대한 방부력 측정결과
생균수(CFU/g)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제형예 6
3일 0.95 2.30 2.50 3.00 2.80 -1.00
1주 1.25 3.50 3.00 3.50 3.00 -1.50
2주 - 3.00 3.50 4.00 3.50 -
3주 - 4.00 4.00 4.00 4.00 -
4주 - 4.00 4.00 4.00 4.00 -
상기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로션 베이스 제형으로 제조한 제형예 1~4가 세균의 사멸에 있어서 기존 화학방부제 처방을 한 제형예 5와 동등한 방부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균에서도 세균에서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하면, 인체에 피부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방부제를 배제하고도 다양한 피부 외용제의 장기보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방지 및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피부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오염된 해수에 존재하는 중금속이 구멍쇠미역을 통하여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조류의 비린 향이 순화되어 구멍쇠미역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구멍쇠미역을 채취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구멍쇠미역을 에탄올에 침지하고 60~70℃에서 1~3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액을 여과하여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고형분을 에탄올에 침지하고 60~70℃에서 1~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액을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무의 뿌리를 압착하여 추출한 무즙에 침지하고 25~35℃에서 10~15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35~45℃에서 10~15시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25~30℃에서 20~30시간 냉풍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은 감압상태에서 40~50℃의 온도로 3~5시간 에탄올을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의 뿌리에서 무즙을 추출하고 남은 잔유물인 무박을 45~55℃에서 저온 건조한 후 미세하게 분쇄한 무박가루를 상기 무즙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28048A 2010-12-15 2010-12-15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19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48A KR101191095B1 (ko) 2010-12-15 2010-12-15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48A KR101191095B1 (ko) 2010-12-15 2010-12-15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780A KR20120066780A (ko) 2012-06-25
KR101191095B1 true KR101191095B1 (ko) 2012-10-15

Family

ID=4668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048A KR101191095B1 (ko) 2010-12-15 2010-12-15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780B1 (ko) 2016-02-22 2017-11-21 김동섭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영양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44B1 (ko) * 2012-08-27 2014-11-12 유희선 백합구근의 유기성분 추출방법
KR102099573B1 (ko) * 2019-06-28 2020-04-14 (주)마린바이오 미백 기능 및 항주름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화장품용 후코이단 발효산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419A (ja) 1999-11-12 2001-05-22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1233755A (ja) 2000-02-25 2001-08-28 Yakult Honsha Co Ltd 皮膚外用剤組成物
KR100996882B1 (ko) 2009-11-19 2010-11-26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 상기 갈조류분말함유 비누조성물 및 상기 비누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비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419A (ja) 1999-11-12 2001-05-22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1233755A (ja) 2000-02-25 2001-08-28 Yakult Honsha Co Ltd 皮膚外用剤組成物
KR100996882B1 (ko) 2009-11-19 2010-11-26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 상기 갈조류분말함유 비누조성물 및 상기 비누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비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780B1 (ko) 2016-02-22 2017-11-21 김동섭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영양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780A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ktay et al. Determination of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fennel (Foeniculum vulgare) seed extracts
Nabavi et al.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phenol and flavonoids content of Parrotia persica Mey
Ebrahimzadeh et al.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terocarya fraxinifolia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1682394B1 (ko) 컬러푸드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60206A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101195395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CN107375080A (zh) 一种白茶补水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CN107440963A (zh) 一种具有美白抗衰老活性的柿叶黄酮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pahutar et al. Seaweed extract (Sargassum polycystum) as a preservative on sunscreen cream with the addition of seaweed porridge
KR101191095B1 (ko)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N111494258A (zh) 天然提取物和维生素c混合制成的抗菌抑菌抗口臭牙膏及制造方法
KR101641498B1 (ko) 천연 항균 물질 복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2229482B1 (ko) 피부 보호효과를 갖는 비파나무 잎 미네랄당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
Wegiera et al. Antiradical properties of extracts from roots, leaves and fruits of six Rumex L. species
CN108186494A (zh) 一种天然植物爽肤水
Oboh et al. Inhibitory effect of phenolic extract from leaf and fruit of avocado pear (Persea americana) on Fe2+ 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rats' pancreas in vitro
Ebrahimzadeh et al.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potentials of Physospermum cornobiense (L.) DC
JP2005281205A (ja) マクロファージ活性化剤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3012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한방발효비누의 제조방법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SUPARDYA et a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 and toxicity level of Halimeda discoidea (decaisne) extracts (Malaysia’s green macroalgae)
KR100895969B1 (ko) 항산화 및 항콜레스테롤 활성을 갖는 양파추출농축액 및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