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940A -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940A
KR20120067940A KR1020110132900A KR20110132900A KR20120067940A KR 20120067940 A KR20120067940 A KR 20120067940A KR 1020110132900 A KR1020110132900 A KR 1020110132900A KR 20110132900 A KR20110132900 A KR 20110132900A KR 20120067940 A KR20120067940 A KR 2012006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gion
component
film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9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0176B1 (en
Inventor
도모오 오루이
겐타로 구사마
사토루 쇼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PURPOSE: A light diffusion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teadily reflect incident light by stably obtaining the length of a lou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a film thickness. CONSTITUTION: A first structure domain(10) anisotropically diffuses incident light. A second structure domain isotropically diffuses the incident light. The first structure domain is a louver structure domain. The louver structure domain parallelly arranges plate shape domains in which a refractive index is different according to a film plane direction. The second fabric domain is a columnar structure domain.

Description

광확산 필름 및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diffusing film and light diffusing film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광확산 필름 및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루버(louver)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컬럼 구조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광확산 필름 및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light-diffusion film and a light-diffusion film. In particular, by including a louver structure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the incident light and a column structure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the incident light,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has a good incidence angle dependence in the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light. A method for producing a wide light diffusing film and a light diffusing film.

종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내부에 마련된 광원(내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이용하여, 소정 화상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Conventionally,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predetermined image by using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nternal light source) provided inside the device.

그러나, 근래, 휴대 전화나 차재용(車載用) 텔레비전 등의 보급에 따라, 액정표시화면을 실외에서 볼 기회가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내부 광원으로부터의 광 강도가 외광에 뒤처져버려, 소정 화면을 시인(視認)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with the spread of mobile phones, in-vehicle televisions, and the like, opportunities for viewing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s are increasing outdoors. As a result, the light intensity from the internal light source lags behind the external light, and the predetermined screens are removed. The problem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recognize has arisen.

또한,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용도에 있어서는, 액정표시장치의 내부 광원에 의한 소비 전력이, 전(全) 소비 전력에 대해 큰 비율을 점하기 때문에, 내부 광원을 다용(多用)한 경우, 배터리의 지속 시간이 짧아져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있다.In addition, in mobile applications such as cellular phones, since the power consumption by the internal light sour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large ratio with respect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when the internal light source is extensively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tion becomes short.

그래서,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원의 일부로서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어 있다.Thu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external light as part of a light source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라면, 광원의 일부로서 외광을 이용하므로, 외광이 강할수록, 선명한 화상을 인식할 수 있음과 함께, 내부 광원의 전력 소비에 관해서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such a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ince external light is used as a part of the light source, the stronger the external light, the clearer the image can be recognized,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nternal light sourc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또한, 이와 같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외광을 효율적으로 투과시켜 액정표시장치의 내부에 취입(取入)하고, 또, 그 외광을 광원의 일부로서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광확산하기 위한 광확산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Further, in such a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external light and absorb the light into the in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o effectively use the external light as a part of the light source, the light is diffused efficiently. It is proposed to have a light diffusing film for the following (for example, refer to Patent Document 1).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허문헌1에는, 도 23(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기판(1103)과 하 기판(1107)과의 사이에 액정층(1105)을 끼워 이루어지는 액정셀과, 하 기판(1107)의 측에 마련된 광반사판(1110)과, 액정층(1105)과 광반사판(1110)과의 사이에 마련된 광제어판(광확산 필름)(1108)을 가진 액정 장치(1112)가 개시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in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S. 23A to 23B, a liquid crystal cell in which a liquid crystal layer 1105 is sandwiched between an upper substrate 1103 and a lower substrate 1107. And a light reflection plate 1110 provided on the lower substrate 1107 side, and a light control plate (light diffusion film) 1108 provid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layer 1105 and the light reflection plate 1110. ) Is disclosed.

그리고, 소정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산란시킴과 함께 소정 각도 이외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광제어판(1108)이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광제어판(1108)은, 소정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산란하는 방향을 광제어판(1108)의 표면에 투영한 산란축 방향(1121)이, 액정셀 내면에서 거의 6시 방향의 방향이 되도록 액정셀에 배치되어 있다.A light control plate 1108 is provided for selectively scattering light incid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ransmitting light incident at an angle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The light control plate 1108 is incid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cattering axis direction 1121, which projects the direction of selectively scattering light onto the surface of the light control panel 1108, is disposed in the liquid crystal cell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scattering axis direction 1121 is almost 6 o'clock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여기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으로서는, 특정의 광경화성 조성물에 대해, 선상(線狀) 광원을 사용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필름면 방향으로 고 굴절률의 판상(板狀) 영역과, 저굴절률의 판상 영역을 서로 평행 배치시켜, 필름 내에 루버 구조 영역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3 참조).Here, as a light-diffusion film used for a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specific photocurable composition is irradiated with an active energy ray using a linear light source, and has a high refractive index plate shape in the film plane direction. ) And a light-diffusion film in which a louver structure region is formed in a film by arranging a region and a low refractive index plate-shaped region in parallel with each other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s 2 to 3).

즉, 특허문헌2에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복수종 함유하는 막상 조성물에 특정 방향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그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고, 특정 각도 범위의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하는 광제어막(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그 조성물에 함유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 복수의 방향환과 1개의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분자 내에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막이 개시되어 있다.That is, Patent Document 2 obtains a film-like composition containing a plurality of compounds having a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a specific direction, curing the composition, and selectively scattering only incident light in a specific angle range. In the light control film (light diffusing film), at least one compou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is a compound hav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and on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n a molecule. Is disclosed.

또한, 특허문헌3에는, 분자 내에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플루오렌계 화합물(A), 그 플루오렌계 화합물(A)과 굴절률이 다른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B), 및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및 그것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광제어막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Literature 3 also discloses a fluorene-based compound (A) having a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n a molecule,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B)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from the fluorene-based compound (A), and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Disclosed are a photo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an initiator (C) and a light control film formed by curing the same.

한편, 반사형 액정 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타입의 광확산 필름으로서는, 특정의 광경화성 조성물에 대해, 전면적으로 평행광으로서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필름의 막두께 방향을 따라, 매체물 중에 당해 매체물과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물(柱狀物)을 임립(林立)시킨 컬럼 구조 영역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4?6 참조).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type of light-diffusion film used for the reflective liquid crystal device, a specific photocurable composition is irradiated with active energy rays as parallel light on the entire surface, and thus the media and the media in the medium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The light-diffusion film which forms the column structure area | region which formed the several columnar object in which refractive index differs is discl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s 4-6).

즉, 특허문헌4에는, 광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시트 상에 마련하고, 그 시트에 소정의 방향 P로부터 평행광선을 조사하여 조성물을 경화시켜, 시트 내부에 방향 P에 평행으로 연재(延在)하여 있는 복수의 봉상 경화 영역의 집합체를 형성하게 하는 확산 매체(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선상 광원과 시트와의 사이에, 방향 P에 평행으로 배치한 통상물(筒狀物)의 집합을 개재(介在)시키고, 그 통상물을 통해 광조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매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That is, Patent Document 4 provides a composition containing a photocurable compound on a sheet, irradiates parallel light to the sheet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P to cure the composition, and extends the sheet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P inside the sheet.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diffusion medium (light-diffusion film) which forms the aggregate of several rod-shaped hardened regions which exist, the normal thing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P between a linear light source and a sheet | seat Disclosed is a method for producing a diffusion medium, which comprises intersecting a set of light and irradiating light through the ordinary material.

또한, 인용문헌5에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과 이격 대향하도록 선상 광원을 배치하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 및 선상 광원 중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면서, 선상 광원으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을 경화시켜 광제어막(광확산 필름)을 형성하는 제조 장치로서, 선상 광원의 축 방향과 이동 방향이 교차하여, 서로에 대향하는 복수매의 박판상(薄板狀)의 차광 부재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과 선상 광원과의 사이에, 이동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또한 차광 부재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과 대향하는 1변이, 각각 이동 방향과 동(同) 방향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막의 제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Citation 5, the linear light source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ilm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ilm and the linear light source is irradiated to irradiate light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to cure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ilm. As a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forms a light control film (light-diffusion film), the axial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a linear light source cross | intersect, and the several sheet-like light-shielding member which opposes each other is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ilm | membrane.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linear light sour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and on one side of the light-shielding member that faces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ilm so as to b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respectively.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light control film is disclosed.

나아가, 특허문헌6에는, 상방으로 향한 붕면(棚面)이 흡광면이 되고, 하방으로 향한 경사면이 반사면이 된 리니어 프레넬(Fresnel) 부재의 프레넬면을 덮어 배치되어, 소정 각보다 큰 입사광은 확산되지 않는 확산 특성을 갖는 확산층(확산 필름)을 구비하고 있고, 확산층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소정 방향으로부터 광 통과역과 광 불통과역을 갖는 포토 마스크를 통해 평행광을 조사하여, 조사된 부위를, 미완전의 경화 상태로 경화시키는 제1의 광조사 공정과, 포토 마스크를 꺼내고, 광 강도 분포가 대략 일정한 평행광을 광경화성 조성물에 향해 더 조사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를 완료시키는 제2의 광조사 공정에 의해 생성되며, 그 필름 내에 광경화성 조성물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와, 그 매트릭스 중에서 평행광의 조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 그 매트릭스와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柱狀) 구조체를 구비한 상 분리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션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Further, Patent Document 6 discloses that a curved surface facing upwards becomes a light absorbing surface, and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covers a Fresnel surface of a linear Fresnel member whose reflection surface is a reflection surface, and the incident light lar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is disposed. Silver is provided with the diffusion layer (diffusion film) which has the diffusion property which is not diffused, The diffusion layer irradiated parallel light through the photomask which has a light passing band and a light nonpassing band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was irradiated The 1st light irradiation process which hardens a site | part in an incomplete hardened state, a photo mask is taken out, and parallel light with a substantially constant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is further irradiated to a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the hardening of a photocurable composition is completed. It is produced by the second light irradiation step, and extends in the film in the direction of irradiation of parallel light in the matrix composed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the matrix. Disclosed is a reflective projection screen comprising a phase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columnar structure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rom the oriented matrix.

일본 특허3480260호공보(특허청구범위, 도면 등)Japanese Patent No. 3480260 (claims, drawings, etc.) 일본 특개2006-350290호공보(특허청구범위, 도면 등)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350290 (claims, drawings, etc.) 일본 특개2008-239757호공보(특허청구범위, 도면 등)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239757 (claims, drawings, etc.) 일본 특허4095573호공보(특허청구범위, 도면 등)Japanese Patent No. 4095573 (claims, drawings, etc.) 일본 특개2009-173018호공보(특허청구범위, 도면 등)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173018 (claims, drawings, etc.) 일본 특개2008-256930호공보(특허청구범위, 도면 등)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256930 (claims, drawings, etc.)

그러나, 특허문헌1?3에 개시된 루버 구조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 가능한 입사광의 입사 각도 영역(이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좁아지거나, 나아가서는,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도 좁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However, in the light-diffusion film having the louver structure region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s 1 to 3, the incident angle region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of the light-diffusing incident light becomes narrow or further diffus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spread angle of the light also narrows.

또한, 특허문헌4?5에 개시된 컬럼 구조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은, 루버 구조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과 비교하여, 필름 내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에 고르지 못함이 생기기 쉬운 점에서, 입사광의 입사각에 의한 확산 특성의 고르지 못함이 커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발휘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In addition, the light diffusing film having the columnar structure regio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4 to 5 has a tendency to be uneven in reflection of light in the film, as compared to the light diffusing film having the louver structure region. The unevenness of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caused by this is so large that it is difficult to exhibit a good incidence angle dependency.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예의 노력한 바, 필름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루버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컬럼 구조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diligent efforts to provide a good incidence angle dependency by providing a louver structure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a column structure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in the fil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light-diffusion film having a wide light-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can be obtained,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광확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wide light diffusing incident angle reg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le having good incidence angle dependence in light transmission and diffusion.

본 발명에 따르면,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1의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2의 구조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제1의 구조 영역이,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을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 영역이며, 제2의 구조 영역이, 매체물 중에 당해 매체물과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물을 임립시켜 이루어지는 컬럼 구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이 제공되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first structural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a second structural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the first structural region has a plurality of plate shape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e louver structure region formed by arranging regions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film plane direction, and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is a column structure region formed by standing up a plurality of columnar objects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at of the media in the media. A diffusion film is provided, which can solve the above problem.

즉,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이라면, 필름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을 마련하여 있다.That is, in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uver structure region as a first structural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a column structure region as a second structural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re provided in the film. .

따라서, 각각의 구조 영역이 갖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중복시킴으로써, 확산 특성의 고르지 못함을 억제하여,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Therefore, by overlapping the incident angle dependence of each structural region, the unevenness of the diffusion characteristic can be suppressed, and the favorable incident angle dependency can be obtained,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can be effectively widened.

또한, 각각의 구조 영역이 갖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달리 함으로써,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효과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넓힐 수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of each structural regio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can be effectively and easily widen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면 방향」이란, 막두께 방향을 z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x-y 평면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a "film surface direction" shall mean the x-y planar direction in the case where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s made into the y-axi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란,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대해, 점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의 각도를 변화시킨 경우에, 확산광을 출광하는 것에 대응하는 입사광의 각도 범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a "light-diffusion incident angle area | region" means the angle range of incident light corresponding to outgoing diffused light, when the angle of incident light from a point light source is changed with respect to an anisotropic light-diffusion film. do. The detail of this light-diffusion incident angle area | region is mentioned later.

또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이란, 입사광의 광확산이 일어나는 필름에 대한 입사 각도 영역(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과, 광확산이 일어나지 않는 그 밖의 입사 각도 영역과의 사이의 구별이, 명확하게 제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good incidence angle dependence" mean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cident angle region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with respect to the film where light diffusion of incident light occurs and the other incident angle region where light diffusion does not occur clearly It means to be controlled.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방성」이란, 확산광의 퍼짐의 형상이 이방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고, 「등방성」이란, 확산광의 퍼짐의 형상이 등방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들에 관해서도, 상세는 후술한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nisotropy" means that the shape of spreading of the diffused light has anisotropy, and "isotropic" means that the shape of spreading of the diffused light has isotropy. do.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의 폭을, 각각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과 함께, 당해 판상 영역을 막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으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construct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n the 1st structural region, while setting the width | variety of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with which refractive index differs, it is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1-15 micrometers, respectively, and the said plate-shaped area | region is film thickness.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in parallel with a fix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1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incident light can be reflected more stably in the louver structure area | region as a 1st structure area | region, and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derived from a 1st structure area | region, and the spreading angle of diffused light can be improved further.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 중,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의 주성분이,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이며,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의 주성분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construct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n the 1st structural area | region,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in which the main component of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with a high refractive index contains a some aromatic ring in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which differs in refractive index, It is a polym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component of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with low refractive index is a polymer of urethane (meth) acrylat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not only the louver structure as the first structural region can be formed efficiently, but also the incident angle dependence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derived from the first structural region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제1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5?49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form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make thickness of a 1st structural area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495 micrometers.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막두께 방향을 따른 루버 구조의 길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1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length of the louver structur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s ensured stably, the incident light is reflected more stably in the louver structure region as the first structure region, and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derived from the first structure region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을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과 함께, 주상물 간의 거리를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복수의 주상물을 막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으로 임립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construct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n the 2nd structural area, while making the maximum diameter in the cross section of a columnar thing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1-15 micrometers, the distance between columnar objects is 0.1?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in the range of 15 micrometers, and to make a plurality of columnar objects stan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incident light can be reflected more stably in the column structure area | region as a 2nd structure area | region, and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derived from a 2nd structure area | region, and the spreading angle of diffused light can further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의 주성분이,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이며, 매체물의 주성분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form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n a 2nd structural area | region, the main component of a columnar product is a polymer of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some aromatic ring, and the main component of a medium is urethane (meth)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olymer of) acrylat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not only the column structure as a 2nd structural area can be formed efficiently, but also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and spreading angle of diffused light which originate in a 2nd structural area can be improved further.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제2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5?49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form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make thickness of a 2nd structural area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495 micrometers.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막두께 방향에 따른 주상물의 길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columnar articl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s stably secured, the incident light is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 structure region as the second structure region, and the incident angle dependence derived from the second structure region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1의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2의 구조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 (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Moreover, another aspect of this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film which has a 1st structural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a 2nd structural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Comprising: The following process (a)? (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film characterized by including d).

(a)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a) process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b)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에 대해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공정(b) Process of apply | coating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 with respect to a process sheet, and forming an application layer

(c) 도포층에 대해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하고, 도포층의 하방 부분에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을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 영역을 형성함과 함께, 도포층의 상방 부분에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을 남기는 공정(c) Louver structure region formed by irradiating 1st active energy ray with respect to a coating layer, and arrange | positioning several plate-shaped area | regions which differ in refractive index as a 1st structural region in the lower part of an application layer along the film surface direction. And forming a louver structure unformed reg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ating layer

(d) 도포층에 대해,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더 행하고,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에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매체물 중에 당해 매체물과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물을 임립시켜 이루어지는 컬럼상 구조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d) The application layer is further irradiated with a second active energy ray, and a columnar image is formed in the louver structure unformed region with a plurality of columnar bodie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rom the media in the media as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Process of forming structural regions

즉,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이라면,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따라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을 형성한 후,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함으로써, 제1의 구조 영역의 상방에 존재하는 미형성 영역에 있어서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after forming the louver structure area | region as a 1st structural area | region by 1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nd irradiating 2nd active energy ray, 1st structure In the unformed region existing above the region, a column structure region as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can be formed.

따라서,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과,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을 단일의 필름 내에 있어서, 막두께 방향을 따라 순차로 상하에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 필름을, 효율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the light-diffusion film which comprises the louver structure area | region as a 1st structural area | region and the column structure area | region as a 2nd structural area | region in the single film in the up-and-down order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efficiently and also It can be manufactured stably.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로서, 평행도가 10° 이하의 값인 평행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implement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the parallel light whose parallelism is a value of 10 degrees or less as 2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이와 같이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주상물이 막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으로 형성된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을, 효율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By implementing in this way, the column structure area | region as a 2nd structure area | region formed with the some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can be manufactured efficiently and stably.

[도 1]도 1(a)?(b)는,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루버(louver) 구조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2]도 2(a)?(b)는,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입사광 각도 의존성 및 이방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3]도 3(a)?(b)는,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의존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4]도 4(a)?(c)는, 입사각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5]도 5(a)?(b)는,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컬럼 구조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6]도 6(a)?(b)는, 컬럼 구조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의존성 및 등방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7]도 7(a)?(b)는,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8]도 8(a)?(c)는,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루버 구조의 태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9]도 9(a)?(d)는,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컬럼 구조의 태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0]도 10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1]도 11(a)?(b)는,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2]도 12(a)?(b)는,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3]도 13(a)?(c)는,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4]도 14(a)?(k)는, 실시예1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5]도 15(a)?(b)는, 실시예1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단면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사진이다.
[도 16]도 16는,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7]도 17(a)?(h)는, 실시예3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8]도 18(a)?(g)는, 실시예4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9]도 19(a)?(j)는, 비교예1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20]도 20(a)?(k)는, 비교예2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21]도 21(a)?(h)는, 비교예3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22]도 22(a)?(i)는, 비교예4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23]도 23(a)?(b)는, 종래의 광확산 필름을 사용한 반사형 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FIG. 1: (a)-(b)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outline of the louver structure in a 1st structural area.
FIG. 2: (a)-(b)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incident light angle dependency and anisotropy in a louver structure.
FIG. 3: (a)-(b) is another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incidence angle dependency in a louver structure.
4A and 4C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the angle of incidence and the spreading angle of diffused light.
FIG. 5: (a)-(b)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outline of the column structure in a 2nd structure area | region.
FIG. 6: (a)-(b)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incidence angle dependence and isotropy in a columnar structure.
FIG. 7: (a)-(b)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outline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FIG. 8: (a)-(c)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spect of the louver structure in a 1st structural area. FIG.
FIG. 9: (a)-(d)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spect of the columnar structure in a 2nd structural area. FIG.
FIG. 10: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pplication example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n a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IG. 11: (a)-(b)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a 1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rocess. FIG.
12 (a) to 12 (b) are other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step.
FIG. 13: (a)-(c)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a 2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rocess.
FIG. 14 (a)-(k) are figures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pread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light-diffusion film of Example 1,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FIG. 15 (a)-(b) are photographs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tate of the cross section in the light-diffusion film of Example 1. FIG.
FIG. 16 is a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Example 2. FIG.
17A and 17H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the spread of diffused light and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in the light diffusing film of Example 3. FIG.
FIG. 18: (a)-(g)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pread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light-diffusion film of Example 4,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FIG. 19 (a)-(j)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pread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20A to 20K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the spread of diffused light and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in the light diffus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FIG.
Fig. 21 (a)-(h) is a figure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pread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e comparative example 3,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22 (a) to 22 (i)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the spread of diffused light in the light diffus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4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23 (a) to 23 (b)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a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evice using a conventional light diffusing film.

[제1의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는,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1의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2의 구조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제1의 구조 영역이,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을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 영역이며, 제2의 구조 영역이, 매체물 중에 당해 매체물과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물을 임립시켜 이루어지는 컬럼 구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이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first structural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a second structural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the first structural region has a refractive index. The plurality of other plate-shaped region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long the film plane direction, and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is a column structure region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columnar bodie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rom the media in the media. It is a light-diffusion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인 광확산 필름을,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ight-diffusion film which is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drawings.

1. 기본 원리1. Basic Principle

이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루버 구조에 의한 광확산 및 컬럼 구조에 의한 광확산에 관한 기본 원리를 각각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asic principle regarding the light diffusion by the louver structure and the light diffusion by the column structure in a light-diffusion film is demonstrated, respectively.

(1) 루버 구조에 의한 광확산(1) Light Diffusion by Louver Structure

도 1(a)에는, 루버 구조 영역만을 갖고,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1의 구조 영역(10)의 상면도(평면도)가 나타나 있고, 도 1(b)에는, 도 1(a)에 나타내는 제1의 구조 영역(10)을, 점선 A-A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제1의 구조 영역(10)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In FIG. 1 (a), only a louver structure region is shown, and a top view (top view) of the first structural region 10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is shown. In FIG. 1 (b), FIG. The cross section of the 1st structural region 10 at the time of cut | disconnecting the 1st structural region 10 sh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dotted line AA, and looking at the cut surface from the arrow direction is shown.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이방성이란, 도 2(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이 필름에 의해 확산된 경우에, 확산된 출사광에 있어서의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서의, 그 광의 확산 상태(확산광의 퍼짐의 형상)가, 동면(同面) 내에서의 방향에 따라 다른 성질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2 (a)-(b), when anisotropy diffuses with a film, in the surface parallel to the film in the diffused output light, It means that the light diffusion state (shape of spreading of the diffused light) has different propert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the same plane.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구조 영역(10)의 경우, 주로, 확산된 출사광은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필름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루버 구조의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광이 확산되기 때문에, 확산광의 퍼짐의 형상은 대략 타원상이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first structural region 10, mainly the diffused outgoing light is in a plane parallel to the film, and the light is di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ouver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film plane direction. Since it is diffused, the shape of spreading of the diffused light becomes substantially elliptical.

또한, 도 1(a)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10)는, 굴절률이 비교적 높은 판상 영역(12)과, 굴절률이 비교적 낮은 판상 영역(14)이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 배치되면서 연재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13)를 갖고 있다.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1A, the first structural region 10 includes a plate region 1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a plate region 1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along the film plane direction. It has the louver structure 13 which extends and arranges in parallel.

또한, 도 1(b)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절률이 비교적 높은 판상 영역(12)과, 굴절률이 비교적 낮은 판상 영역(14)은, 각각 소정 두께를 유지하고 있고, 제1의 구조 영역(10)의 수직 방향에 있어서도, 서로 평행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B, the plate-shaped region 1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plate-shaped region 1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are each maintain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irst structural region (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10), the state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s maintained.

이에 따라, 도 2(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제1의 구조 영역(10)에 따라 확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2 (a) to 2 (b),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it is estimated that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along the first structural region 10.

즉,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10)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루버 구조(13)의 경계면(13')에 대해, 평행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의 값, 즉,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의 값인 경우에는, 입사광(52, 54)은, 루버 구조 내의 고 굴절률의 판상 영역(12) 내를,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막두께 방향을 따라 통과함으로써, 출광면 측에서의 광의 진행 방향이 같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b),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to the first structural region 10 is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parallel to the boundary surface 13 'of the louver structure 13, That is, in the case of the value withi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52, 54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late region 12 in the louver structur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on the light exit surface side. It is assumed that the traveling directions are the same.

그 결과,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제1의 구조 영역(10)에 따라 확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52', 54').As a result,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it is estimated that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along the first structural region 10 (52 ', 54').

또,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은, 도 2(a)?(b), 도 6(a)?(b) 및 도 7(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루버 구조나 컬럼 구조의 굴절률 차나 경사각 등에 의해, 그 광확산 필름마다 결정되는 각도 영역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A to 6B, 6A to 6B, and 7A to 7B,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is a louver in the light diffusion film. It is an angular region determined for every light-diffusion film by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nclination angle, etc. of a structure and a columnar structure.

또한, 루버 구조 내의 고 굴절률의 판상 영역(12) 내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방향 변화는, 도 1(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전반사에 의해 직선상으로 지그재그로 방향 변화하는 스텝 인덱스형이 되는 경우 외, 곡선상으로 방향 변화하는 그래디언트(gradient) 인덱스형이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change of the incident light in the high refractive index plate-shaped area 12 in a louver structure becomes a step index type which changes in a zigzag direction linearly by total reflection as shown to FIG. 1 (b), It is also conceivable to have a gradient index type that changes direction in a curve.

한편, 제1의 구조 영역(10)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입사광(56)은, 제1의 구조 영역(10)에 따라 확산되지 않고, 그대로 제1의 구조 영역(10)을 투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6').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structural region 10 deviates from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56 does not diffuse along the first structural region 10 and is as it is. It is estimated to penetrate the structural region 10 of 56 '.

이상의 기구에 따라, 루버 구조(13)를 구비한 제1의 구조 영역(10)는, 예를 들면, 도 2(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mechanism, the 1st structural region 10 provided with the louver structure 13 is incident angle dependence in the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light, for example, as shown to FIG.2 (a) (b). It becomes possible to exert.

또한, 도 2(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은,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입사각이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출광면 측에 있어서 거의 마찬가지로 광확산을 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 to 2 (b), the first structural region has a light exit surface side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is included i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is different. As a result, light diffusion can be almost performed.

따라서, 제1의 구조 영역은, 광을 소정 개소(個所)에 집중시키는 집광 작용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집광 작용은, 후술하는 제2의 구조 영역, 및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갖는 작용이다.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lso has a light condensing effect of concentrating light at a predetermined location. This light condensing action is an action similarly to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described later and 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3(a)를 사용하여, 제1의 구조 영역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과, 제1의 구조 영역에 의해 확산된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와의 관계를 설명한다.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to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diffused by the first structural reg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즉, 도 3(a)에는, 횡축에 제1의 구조 영역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을 취하고, 종축에 제1의 구조 영역에 의해 확산된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취하여 이루어지는 특성 곡선이 나타나 있다.That is, in Fig. 3A, the characteristic curve is obtained by taking the incident angle (°) of the incident l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structural region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spreading angle (°) of the diffused light diffused by the first structural region on the vertical axis. Is shown.

또한,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θ1이란, 제1의 구조 영역(10)에 대해 수직으로 입사하는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각도(°)를 의미한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4 (a)-(c), the incidence angle (theta) 1 means the angle (degree) in the case where the angle which injects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1st structural area | region 10 is made 0 degree.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방성 광확산에 기여하는 입사광의 성분은, 주로 필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루버 구조의 방향에 수직인 성분이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입사광의 「입사각 θ1」이라 한 경우, 필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루버 구조의 방향에 수직인 성분의 입사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입사각 θ1은, 광확산 필름의 입사측 표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component of incident light which contributes to anisotropic light diffusion is a component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direction of the louver structure extended mainly to a film surface direction, it is called "incidence angle (theta) 1" of incident light in this invention. In this case, the incident angle of the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ouver structure extending in the film plane direction shall be taken.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incident angle θ1 shall mean an angle (°) when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normal to the surface of the incident sid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0 °.

또한,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 θ2란, 문자 그대로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preading angle θ2 of the diffused light literally means the spreading angle (°) of the diffused light.

그리고,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가 클수록, 그 때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이 제1의 구조 영역에 의해 유효하게 확산한 것을 의미한다.As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increases, it means that light incident at the incident angle at that time is effectively diffused by the first structural region.

반대로,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가 작을수록, 그 때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이 제1의 구조 영역을 그대로 투과하여, 확산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On the contrary, as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becomes smaller, it means that the light incident at the incident angle at that time passes through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s it is and does not diffuse.

또, 이러한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관해서는,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한다.Moreover, the specific measuring method of the spreading angle of such diffused light is described in an Example.

즉, 도 3(a)에 나타내는 특성 곡선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이라면, 입사각의 차이에 의해, 광의 투과와 확산의 정도가 크게 달라져,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과, 그 이외의 입사 각도 영역을,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That is, as understood from the characteristic curve shown in Fig. 3 (a),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e degree of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light is greatly changed by the difference in the incident angle, so that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and the other The incident angle region can be clearly separated.

한편,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지 않는 필름의 경우,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의 변화가 광의 투과와 확산의 정도에 대해 명확한 영향을 주지 않아,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인정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lm having no incidence angle dependency, as shown in Fig. 3B, the change in the incidence angle does not have a definite influence on the degree of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light, and thus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cannot be recognized.

(2) 컬럼 구조에 의한 광확산(2) Light Diffusion by Column Structure

또한, 도 5(a)에는, 컬럼 구조 영역만을 갖고,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2의 구조 영역(20)의 상면도(평면도)가 나타나 있고, 도 5(b)에는, 도 5(a)에 나타내는 제2의 구조 영역(20)을, 점선 A-A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제2의 구조 영역(20)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In addition, in FIG. 5A, only the column structure region is shown, and a top view (top view) of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20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is shown. In FIG. 5B, FIG. The cross section of the 2nd structural area | region 20 at the time of cut | disconnecting the 2nd structural area | region 20 shown to ()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dotted line AA, and looking at the cut surface from the arrow direction is shown.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등방성이란, 도 6(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이 필름에 의해 확산된 경우에, 확산된 출사광에 있어서의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서의, 그 광의 확산 상태(확산광의 퍼짐의 형상)가, 동면(同面) 내에서의 방향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a) to 6 (b), when light is diffused by a film, in the plane parallel to the film in the emitted light, It means that the light diffusion state (shape of spreading of the diffused light) has a property that does not change with the direction in the same plane.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의 구조 영역(20)의 경우, 확산된 출사광의 확산 상태는,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원상(円狀)이 된다.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2nd structural region 20, the diffused state of the diffused emitted light becomes circular in the surface parallel to a film.

여기서, 도 5(a)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구조 영역(20)은, 굴절률이 비교적 높은 주상물(22)과, 굴절률이 비교적 낮은 매체물(24)로 이루어지는 컬럼 구조(22, 24)를 갖고 있다.Here,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5A,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20 includes a columnar body 2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a medium 2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24)

또한, 도 5(b)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구조 영역(20)의 수직 방향에 있어서는, 굴절률이 비교적 높은 주상물(22)과, 굴절률이 비교적 낮은 매체물(24)은, 각각 소정의 폭을 갖고 서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B,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20, the columnar object 2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medium object 2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are respectively. It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arranged to each other.

이에 따라, 도 6(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제2의 구조 영역(20)에 의해 확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Thus, as shown in Figs. 6A to 6B,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it is estimated that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by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20.

즉,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구조 영역(20)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컬럼 구조(23)의 경계면(23')에 대해, 평행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의 값, 즉,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의 값인 경우에는, 입사광(62, 64)은, 컬럼 구조 내의 고 굴절률의 주상물(22) 내를,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막두께 방향을 따라 통과함으로써, 출광면 측에서의 광의 진행 방향이 같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b),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to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20 is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rom parallel to the boundary surface 23 ′ of the column structure 23, That is, in the case of the value withi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62, 64 passes through the columnar 22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n the columnar structur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on the light exit surface side. It is assumed that the traveling directions are the same.

그 결과,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제2의 구조 영역(20)에 따라 확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62', 64').As a result,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it is estimated that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along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20 (62 ', 64').

또한, 컬럼 구조 내의 고 굴절률의 주상물(22) 내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방향 변화는, 도 5(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전반사에 의해 직선상으로 지그재그로 방향 변화하는 스텝 인덱스형이 되는 경우 외, 곡선상으로 방향 변화하는 그래디언트 인덱스형이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change of the incident light in the columnar 22 of high refractive index in a columnar structure becomes a step index type which changes in a zigzag direction linearly by total reflection as shown to FIG. 5 (b), It is also conceivable to have a gradient index type that changes in direction on a curve.

한편, 제2의 구조 영역(20)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입사광(66)은, 제2의 구조 영역(20)에 따라 확산되지 않고, 그대로 제2의 구조 영역(20)을 투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66').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20 deviates from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66 does not diffuse along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20, and is as it is. It is estimated to penetrate the structural region 20 of (66 ').

이상의 기구에 따라, 컬럼 구조(23)을 구비한 제2의 구조 영역(20)은, 예를 들면, 도 6(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mechanism, the 2nd structural region 20 provided with the columnar structure 23 is incident angle dependence in light transmission and diffusion, as shown to FIG. 6 (a) (b), for example. It becomes possible to exert.

또, 제2의 구조 영역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과, 제2의 구조 영역에 의해 확산된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와의 관계는, 상술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재차의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to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diffused by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described above, Omit the description.

2. 기본적 구성2. Basic Configuration

이어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기본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basic structure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drawing.

도 7(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30)은,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루버 구조 영역(제1의 구조 영역)(10)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컬럼 구조 영역(제2의 구조 영역)(2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구조 영역을, 막두께 방향을 따라 순차로 상하 방향으로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to Fig.7 (a)-(b), the light-diffusion film 30 of this invention is a louver structure area | region (1st structure area | region) 10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isotropic diffusion of incident light. It has a column structure area | region (2nd structure area | region) 20 for making it, Preferably, it is the structure which includes these structure area | regions sequentially in an up-down direction along a film thickness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이라면,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구조 영역이 갖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중복시킴으로써, 확산 특성의 고르지 못함을 억제하여,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Therefore, in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7 (a), the unevenness of a diffusion characteristic is suppressed by overlapping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which the 1st and 2nd structural area has, Not only can a favorable incident angle dependency be obtained, but also the spreading angle of diffused light can be effectively extended.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이라면,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구조 영역이 갖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효과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넓힐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7 (b), the light-diffusion incidence angle area | region is made effective by shifting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which the 1st and 2nd structural area has, It can be easily widened.

3. 제1의 구조 영역3. First structural area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 즉,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판상 영역(고굴절률부) 및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판상 영역(저굴절률부)이,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structural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at is, a plate region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a plate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The region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has a louver structure region formed by being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long the film plane direction.

이하, 제1의 구조 영역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structural reg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굴절률(1) refractive index

또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 간의 굴절률의 차, 즉, 고굴절률부의 굴절률과, 저굴절률부의 굴절률과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late-shaped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is set to a value of 0.01 or more.

이 이유는, 이러한 굴절률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함으로써,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1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to a value of 0.01 or more, the incident light is stably reflected in the louver structure region as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nd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and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originating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re adjusted. Because it can improve more.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굴절률의 차가 0.01 미만의 값으로 하면, 입사광이 루버 구조 내에서 전반사하는 각도역이 좁아지는 점에서, 입사 각도 의존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거나,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가 과도하게 좁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less than 0.01, the angle range at which the incident light totally reflects in the louver structure becomes narrow, so that the incidence angle dependency is excessively lowered, or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is excessively narrow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case.

따라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 간의 굴절률의 차를 0.0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의 값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late-shaped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s set to a value of 0.05 or more, more preferably 0.1 or more.

또, 고굴절률부의 굴절률과, 저굴절률부의 굴절률과의 차는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루버 구조를 형성 가능한 재료를 선정하는 관점에서, 0.3 정도가 상한으로 생각된다.Moreover,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a high refractive index part and the refractive index of a low refractive index part is so preferable that it is large, about 0.3 is considered an upper limit from a viewpoint of selecting the material which can form a louver structure.

또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판상 영역(고굴절률부)의 굴절률을 1.5?1.7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 region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1.5 to 1.7.

이 이유는, 고굴절률부의 굴절률이 1.5 미만의 값으로 하면, 저굴절률부와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져, 원하는 루버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is less than 1.5, the difference with the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becomes too smal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louver structure.

한편, 고굴절률부의 굴절률이 1.7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재료 물질 간의 상용성(相溶性)이 과도하게 낮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a high refractive index part becomes a value exceeding 1.7, it is because the compatibility between material materials in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may become excessively low.

따라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고굴절률부의 굴절률을 1.52?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5?1.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art in a 1st structural area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52-1.65,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55-1.6.

또, 고굴절률부의 굴절률은,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a high refractive index par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JISK0062.

또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판상 영역(저굴절률부)의 굴절률을 1.4?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 region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1.4 to 1.5.

이 이유는, 이러한 저굴절률부의 굴절률이 1.4 미만의 값으로 하면,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의 강성(剛性)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such a low refractive index part is set to a value less than 1.4, the rigidity of the light-diffusion film obtained may fall.

한편, 이러한 저굴절률부의 굴절률이 1.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고굴절률부의 굴절률과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져, 원하는 루버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such a low refractive index part becomes a value exceeding 1.5, the difference with the refractive index of a high refractive index part becomes small too much,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louver structure.

따라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저굴절률부의 굴절률을 1.42?1.48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4?1.4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ow refractive index part in a 1st structural area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42-1.48,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44-1.46.

또, 저굴절률부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예를 들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in a low refractive index par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JISK0062, for example.

(2) 폭(2) width

또한, 도 8(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고굴절률부(12) 및 저굴절률부(14)의 폭(S1, S2)을, 각각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8A to 8B, the widths S1 and S2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12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14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respectively, are shown.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1-15 micrometers.

이 이유는, 이들의 판상 영역의 폭을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1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e width of these plate-shaped regions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1 to 15 mu m, the incident light is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louver structural region as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nd the incident originated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is is because the angle dependency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can be further improved.

즉, 이러한 판상 영역의 폭이 0.1㎛ 미만의 값으로 하면,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관계 없이,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폭이 1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루버 구조 내를 직진하는 광이 증가하여, 광확산의 균일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width | variety of such a plate-shaped area | region is set to a value less than 0.1 micrometer, it may become difficult to show light diffusivity regardless of the incident angle of incident l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is width becomes a value exceeding 15 micrometers, the light which goes straight in a louver structure will increase and the uniformity of light diffusion may deteriorate.

따라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의 폭을, 각각 0.5?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width | variety of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with which refractive index differs in a value in the range of 0.5-10 micrometers, respectively, and to set it as the value in the range which is 1-5 micrometers in a 1st structural area | region.

또, 루버를 구성하는 판상 영역의 폭이나 길이 등은, 광학 디지털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 variety, length, etc. of the plate-shaped area which comprise a louver can be calculated by observing with an optical digital microscope.

(3) 길이(3) length

또한, 도 8(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고굴절률부(12) 및 저굴절률부(14)의 길이 L1을, 각각 5?49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8A to 8B, the length L1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12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14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s 5 to 495 µm,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이 이유는, 이러한 길이가 5㎛ 미만의 값으로 하면, 루버 구조의 길이가 부족하고, 루버 구조 내를 직진해버리는 입사광이 증가하여, 충분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that when such a length is less than 5 µm, the length of the louver structure is insufficient, and incident light that goes straight inside the louver structure increases, and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sufficient incident angle dependency and spreading angle of diffused light. Because there is.

한편, 이러한 길이가 49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루버 구조를 형성할 때에, 초기에 형성된 루버 구조에 의해 광중합의 진행 방향이 확산해버려, 원하는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is length becomes a value exceeding 495 micrometers, when the active energy ray is irradiated to form the louver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the advancing direction of photopolymerization will spread | diffused with the louver structure formed initially, It is because it may become difficult to form a desired louver structure.

따라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이러한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의 길이를, 각각40?3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2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ength of the plate-shaped region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40 to 310 μm, and more preferably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95 to 255 μm. .

또,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 구조는,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막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하단 부분에까지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Moreover, as shown to FIG. 8 (b), the louver structure does not need to be formed in the upper-lower end part in a film thickness direction in a 1st structural area | region.

이 경우, 루버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상하단 부분의 폭 L2는, 제1의 구조 영역의 두께여도 되지만, 일반적으로, 0?100㎛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idth L2 of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where the louver structure is not formed may be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ructural region, but in general, it is preferably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 to 100 µm, and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 to 50 µm. It is more preferable,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5 micrometers.

(4) 경사각(4) inclination angle

또한, 도 8(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고굴절률부(12) 및 저굴절률부(14)가, 막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 θa로 연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8A to 8B,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e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12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14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have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θa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extend | stretch as.

이 이유는, 판상 영역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1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mak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late-shaped region constant, the incident light is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louver structure region as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nd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derived from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are further increased. Because it can improve.

또한,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 구조가 굴곡하여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Moreover, as shown in FIG.8 (c),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louver structure is bent.

이 이유는, 루버 구조가 굴곡하여 있음으로써, 루버 구조 내를 직진하여버리는 입사광을 감소시켜, 광확산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louver structure is bent, thereby reducing the incident light that goes straight inside the louver structure and improving the uniformity of light diffusion.

또, 이와 같은 굴곡한 루버 구조는,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하는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할 때에, 조사 광의 조사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재료 물질의 종류에 크게 의존한다.Moreover, although this curved louver structure can be obtained by irradiating light, changing the irradiation angle of irradiation light, when performing the 1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described in 2nd Embodiment, it forms a louver structure. The material depends greatly on the type of material.

또한, θa는 필름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루버 구조에 대해 수직인 면으로 필름을 절단한 경우의 단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필름 표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판상 영역의 경사각(°)을 의미한다.Further, θa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late-shaped region when the angle to the normal to the normal of the film surface measured in the cross section when the film is cut in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uver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film plane direction is 0 °. ).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조사 측의 필름면의 법선과 판상 영역과의 형성 각도 중 좁은 측의 각도를 의미한다. 또,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가 우측으로 기울어 있을 때의 경사각을 기준으로 하여, 루버가 좌측으로 기울어 있을 때의 경사각을 마이너스로 표기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angle of a narrow side among the formation angles of the normal line of the film surface of an incident light irradiation side, and a plate-shaped area | region is mean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A,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louver is inclined to the left is expressed on the basis of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louver is inclined to the right.

(5)두께(5) thickness

또한, 제1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5?49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ickness of a 1st structural area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495 micrometers.

이 이유는, 제1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막두께 방향을 따른 루버 구조의 길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1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o a value within this range, the length of the louver structur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can be stably secured, and the incident light in the louver structural region as the first structural region more stably.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and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originating from the first structural region by reflecting.

즉, 이러한 제1의 구조 영역의 두께가 5㎛ 미만의 값으로 하면, 루버 구조의 길이가 부족하고, 루버 구조 내를 직진해버리는 입사광이 증가하여, 충분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s less than 5 µm, the length of the louver structure is insufficient, and incident light that goes straight inside the louver structure increases, thereby obtaining sufficient incidence angle dependency and spreading angle of diffused light. This is because it may become difficult.

한편, 이러한 제1의 구조 영역의 두께가 49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루버 구조를 형성할 때에, 초기에 형성된 루버 구조에 의해 광중합의 진행 방향이 확산해버려, 원하는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s greater than 495 µm, the photopolymerization progresses by the louver structure initially formed when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to the light diffusing film composition to form a louver structure. It is because a direction may diffuse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form a desired louver structure.

따라서, 제1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40?3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2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thickness of a 1st structural area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40-310 micrometer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95-255 micrometers.

(6) 재료 물질(6) material materials

(6)-1 고굴절률부(6) -1 high refractive index part

또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 중,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판상 영역인 고굴절률부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 물질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주성분을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e kind of material material for forming the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which is a plate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mong the plate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main component may be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polymer of (meth) acrylic acid ester to contain.

이 이유는, 이러한 재료 물질이라면,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ith such a material material, not only the louver structure as the first structural region can be formed efficiently, but also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and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derived from the first structural region can be further improved. to be.

즉, 고굴절률부의 주성분(이하, (A1) 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로 함으로써, 제1의 구조 영역을 형성할 때에, 중합에 의해 (A1) 성분이 되는 모노머 성분(이하, 모노머 (A1) 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합 속도를, 중합에 따라 후술하는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부의 주성분(이하, (B1) 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되는 모노머 성분(이하, 모노머 (B1) 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합 속도보다도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That is, the main component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1) component)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is a polymer of a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to form the first structural region by polymerization (A1) component. The main component of the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epending on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component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monomer (A1)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com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1) component). It is estimated that it can make it faster than the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component (Hereinafter, it may be called a monomer (B1) component.).

그리고, 이들의 모노머 성분 간에 있어서의 중합 속도에 소정 차를 발생시켜, 양 모노머 성분끼리가 균일하게 공중합하는 것을 억제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 모노머 성분의 상용성을 소정의 범위로까지 저하시켜, 양 모노머 성분끼리의 공중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And a predetermined difference arises in the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rate between these monomer components, and it suppresses the copolymerization of both monomer components uniformly, More specifically, it reduces the compatibility of both monomer components to a predetermined range. It is estimated that copolymerization property of both monomer components can be reduced effectively.

그 결과, (A1) 성분 및 (B1) 성분이 필름면 내 방향을 따라 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따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louver structure in which (A1) component and (B1) component extended mutually along the film surface inside direction can be formed efficiently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또한, 모노머 (A1) 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모노머 (B1) 성분과의 상용성을 소정의 범위로까지 저하시켜, 루버 구조를 더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Moreover, by using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a monomer (A1) component, compatibility with a monomer (B1) component can be reduced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a louver structure can be formed more efficiently.

나아가, (A1) 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를 함유함으로써,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을 높게 하여, (B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소정 이상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Furthermore, by containing the polymer of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A1) componen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derived from the (A1) component in louver structure is made high, and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derived from (B1) component The difference with the refractive index of can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따라서, (A1) 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를 함유함으로써, 후술하는 (B1) 성분의 특성과 함께, 굴절률이 다른 경화물이 필름면 내 방향을 따라 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Therefore, by containing the polymer of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A1) component, the hardened | cured material from which refractive index differs with the characteristic of (B1) component mentioned later is mutually extended along the direction of a film plane inside the louver structure. It can be obtained efficiently.

따라서,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제1의 구조 영역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while having a good incidence angle dependency in the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light, a first structural region having a wide light diffusion incidence angle region can be obtained.

또,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에스테르 부분에 복수의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Moreover,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means the compound which has a some aromatic ring in the ester part of (meth) acrylic acid ester.

또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양쪽을 의미한다.In addition, "(meth) acrylic acid" means both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또한, 이와 같은 (A1)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 (A1) 성분으로서의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비페닐, (메타)아크릴산나프틸, (메타)아크릴산안트라실, (메타)아크릴산벤질페닐, (메타)아크릴산비페닐옥시알킬, (메타)아크릴산나프틸옥시알킬, (메타)아크릴산안트라실옥시알킬, (메타)아크릴산벤질페닐옥시알킬 등, 혹은, 이들의 일부가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알킬 등에 의해 치환된 것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the some aromatic ring as a monomer (A1) component which comprises such a (A1) component, it is (meth) acrylic-acid biphenyl, (meth) acrylic-acid naphthyl, ( (Meth) acrylic acid benzylphenyl, (meth) acrylic acid benzylphenyl, (meth) acrylic acid biphenyloxyalkyl, (meth) acrylic acid naphthyloxyalkyl, (meth) acrylic acid anthracyloxyalkyl, (meth) acrylic acid benzylphenyloxyalkyl, Alternatively, some of these may be substituted with halogen, alkyl, alkoxy, alkyl halide or the like.

또한, (A1)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 (A1) 성분으로서의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 비페닐환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s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the some aromatic ring as the monomer (A1) component which comprises (A1) componen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the compound containing a biphenyl ring, Especially, following General formula (1) It is preferable to contain the biphenyl compound represented b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일반식(1) 중, R1?R10은, 각각 독립하여 있고, R1?R10 중 적어도 1개는,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원자, 수산기, 카르복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인 치환기이다.)(In General formula (1), R <1> -R <10> is respectively independent and R <1> -R <10>. At least 1 is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following General formula (2), and the remainder is a substituent which is any one of a hydrogen atom, a hydroxyl group, a carboxy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 halogenated alkyl group, a hydroxyalkyl group, a carboxyalkyl group, and a halogen atom. to b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일반식(2)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탄소수 n은 1?4의 정수이며, 반복수 m은 1?10의 정수이다.)(In General Formula (2), R 11 i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carbon number n is an integer of 1 to 4, and the repeating number m is an integer of 1 to 10.)

이 이유는, (A1)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 (A1) 성분으로서,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모노머 (A1) 성분의 중합 속도를, 모노머 (B1) 성분의 중합 속도보다도,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using a biphenyl compound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s the monomer (A1)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onent (A1),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A1) component is higher than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B1) component, It is estimated that it can be done faster.

 또한, 모노머 (B1) 성분과의 상용성을 소정의 범위로까지, 보다 용이하게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또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을 높게 하여, (B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소정 이상의 값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compatibility with the monomer (B1) component can be more easily reduced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1) in the louver structure is made higher. , The difference with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shaped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1) can be more easily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나아가, 광경화시키기 전의 모노머 단계에서 액상이며, 희석 용매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모노머 (B1) 성분의 대표예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와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liquid at the monomer stage before photocuring, and even if it does not use a dilution solvent etc., it can mix uniformly with the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is a typical example of a monomer (B1) component.

또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R10이,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및 카르복시알킬기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알킬 부분의 탄소수를 1?4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R <1> -R <10> in General formula (1) contains any of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 halogenated alkyl group, a hydroxyalkyl group, and a carboxyalkyl group, carbon number of the alkyl part is 1-4.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a range.

이 이유는, 이러한 탄소수가 4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모노머 (A1) 성분의 중합 속도가 저하하거나,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이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하여,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소정의 루버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if the number of carbon atoms is more than 4,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A1) component is lowered, o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shaped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1) in the louver structure is too low. It is because it may become difficult to form a predetermined louver structure in the structural region of 1 efficiently.

따라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R10이,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및 카르복시알킬기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알킬 부분의 탄소수를 1?3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R <1> -R <10> in General formula (1) contains any of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 halogenated alkyl group, a hydroxyalkyl group, and a carboxyalkyl group, carbon number of the alkyl part is 1-3,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a range,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2.

또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R10이, 할로겐화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 이외의 치환기, 즉,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R <1> -R <10> in General formula (1) is a substituent other than a halogenated alkyl group or a halogen atom, ie, a substituent which does not contain a halogen.

 이 이유는, 광확산 필름을 소각 등할 때에, 다이옥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dioxins ar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light diffusion film is incinerated and the lik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또, 종래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는, 소정의 루버 구조를 얻음에 있어, 모노머 성분을 고굴절률화할 목적으로,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 할로겐 치환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Moreover, in the anisotropic light-diffusion film provided with the conventional louver structure, in order to obtain a predetermined louver structure and to high refractive index of a monomer component, it was common to perform halogen substitution in a monomer component.

이 때문에,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이라면, 할로겐 치환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높은 굴절률로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as long as it is a biphenyl compound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1), even if halogen substitution is not performed, it can be set as high refractive index.

따라서, 모노머 (A1) 성분으로서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발휘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biphenyl compound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1) as a monomer (A1) component, even when it does not contain a halogen, favorable incident angle dependence can be exhibited.

또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2?R9 중 어느 1개가,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R <2> -R <9> in General formula (1) is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2).

이 이유는,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의 위치를, 비페닐환에 있어서의 R1 및 R10 이외의 위치로 함으로써, 광경화시키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 모노머 (A1) 성분끼리가 배향하여, 결정화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monomer (A1) components are oriented in the step before photocuring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substituent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2) to a position other than R 1 and R 10 in the biphenyl ring. This can effectively prevent crystallization.

이에 따라, 광경화의 단계에 있어서, 모노머 (A1) 성분 및 모노머 (B1) 성분의 미세한 레벨에서의 응집상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제1의 구조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Accordingly, in the step of photocuring, aggregation phase separation at a fine level of the monomer (A1) component and the monomer (B1) component is enabled, and the first structural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louver structure can be more efficiently. Because you can get

나아가, 같은 관점에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3, R5, R6 및 R8 중 어느 1개가,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any one of R <3> , R <5> , R <6> and R <8> in General formula (1) is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2).

또한,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에 있어서의 반복수 m을, 통상 1?10의 정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repeating number m in the substituent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2) as an integer of 1-10 normally.

이 이유는, 반복수 m이 10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중합 부위와, 비페닐환을 잇는 옥시알킬렌쇄가 지나치게 길어져, 중합 부위에 있어서의 모노머 (A1) 성분끼리의 중합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repeating number m becomes a value exceeding 10, the oxyalkylene chain connecting the polymerization site and the biphenyl ring becomes too long, and the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s (A1) components in the polymerization site may be inhibited. Because there is.

따라서,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에 있어서의 반복수 m을, 1?4의 정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의 정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repeating number m in the substituent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2) into an integer of 1-4,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set it as an integer of 1-2.

또, 같은 관점에서,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에 있어서의 탄소수 n을, 통상 1?4의 정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carbon number n in the substituent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2) into an integer of 1-4 normally from a same viewpoint.

특히, 중합 부위인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위치가, 비페닐환에 대해 지나치게 가까워져 비페닐환이 입체 장해로 되어, 모노머 (A1) 성분의 중합 속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에 있어서의 탄소수 n을, 2?4의 정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3의 정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th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as a polymerization site is too close to the biphenyl ring, and the biphenyl ring becomes a steric hindrance, and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A1) component from decreasing,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carbon number n in the substituent represented by (2) into an integer of 2-4,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an integer of 2-3.

또한,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3)?(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biphenyl compound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1),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3)-(4) is mentioned.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또한, (A1)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 (A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200?2,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mer (A1) component which comprises (A1)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200-2500.

이 이유는, 모노머 (A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모노머 (A1) 성분의 중합 속도를 더 빠르게 하여, 모노머 (A1) 성분 및 모노머 (B1) 성분의 공중합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mer (A1) compon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A1) component is made faster and the copolymerizability of the monomer (A1) component and the monomer (B1) component is more effectively. It is because it is estimated that it can reduce.

그 결과, 광경화시에, (A1) 성분 및 (B1) 성분이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at the time of photocuring, the louver structure which the (A1) component and (B1) component extended mutually along the film surface direction can be formed more efficiently.

즉, 모노머 (A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미만의 값으로 되면, 예를 들면, 복수의 방향환의 위치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위치가 지나치게 가까워지고, 입체 장해에 의해 중합 속도가 저하하여, 모노머 (B1) 성분의 중합 속도에 가까워져, 모노머 (B1) 성분과의 공중합이 일어나기 쉬운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모노머 (A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모노머 (A1) 성분의 중합 속도가 저하하여 모노머 (B1) 성분의 중합 속도에 가까워져, 모노머 (B1) 성분과의 공중합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결과, 루버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mer (A1) component is less than 200,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aromatic rings and the positions of th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s become too close, and the polymerization rate is increased due to steric hindrance. It is because it may fall, near the polymerization rate of a monomer (B1) component, and copolymerization with a monomer (B1) component may occur easi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mer (A1) component exceeds a value of 2,500,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A1) component decreases and approaches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B1) component and copolymerizes with the monomer (B1) component. This is because, as a result, the louver structure may be difficult to be formed efficiently.

따라서, 모노머 (A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240?1,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60?1,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 monomer (A1)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240-1,500,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260-1,000.

또, 모노머 (A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고, 혹은, 구성 원자의 원자량을 기초로, 구조식으로부터 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 monomer (A1) component can be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r can be calculated from a structural formula based on the atomic weight of a constituent atom.

또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을 형성하는 모노머 (A1) 성분을 단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monomer (A1) component which forms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with high refractive index in louver structure into single.

이 이유는,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 즉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제1의 구조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provide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louver structure 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unevenness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late-shaped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1) in the louver structure, that is, the plate-shaped region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This is because the structural region of 1 can be obtained more efficiently.

즉, 모노머 (A1) 성분이, 모노머 (B1) 성분에 대한 상용성이 낮은 경우, 예를 들면, 모노머 (A1) 성분이 할로겐계 화합물 등의 경우, 모노머 (A1) 성분을 모노머 (B1) 성분에 상용시키기 위한 제3 성분으로서, 다른 모노머 (A1) 성분(예를 들면, 비할로겐계 화합물 등)을 병용하는 경우가 있다.That is, when the monomer (A1) component has low compatibility with the monomer (B1) component, for example, when the monomer (A1) component is a halogen-based compound or the like, the monomer (A1) component is replaced by the monomer (B1) component. As a 3rd component for making it compatible, the other monomer (A1) component (for example, non-halogen type compound etc.) may be used together.

그러나, 이 경우, 이러한 제3 성분의 영향에 따라, (A1) 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고르지 못하거나,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such a 3rd component,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with a high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A1) component may be uneven or it may fall.

그 결과, (B1) 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과의 굴절률 차가 불균일하게 되거나, 과도하게 저하하기 쉬워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As a result,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with the plate-shaped region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B1) becomes nonuniform or easily decreases excessively.

따라서, 모노머 (B1) 성분과의 상용성을 갖는 고굴절률인 모노머 성분을 선택하여, 그것을 단일의 모노머 (A1)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high refractive index monomer component having compatibility with the monomer (B1) component and use it as a single monomer (A1) component.

또, 예를 들면, 모노머 (A1) 성분으로서의 식(3)?(4)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이라면, 모노머 (B1) 성분과의 상용성을 갖기 때문에, 단일의 모노머 (A1)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iphenyl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4) as a monomer (A1) component has compatibility with the monomer (B1) component, and therefore can be used as a single monomer (A1) component. Can be.

(6)-2 저굴절률부(6) -2 low refractive index part

또한,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 중,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인 저굴절률부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 물질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주성분을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e type of material material for forming the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which is a plate region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mong the plate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main component is a urethane (meth) acrylate.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 polymer.

이 이유는, 이러한 재료 물질이라면,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ith such a material material, not only the louver structure as the first structural region can be formed efficiently, but also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and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derived from the first structural region can be further improved. to be.

즉, 저굴절률부의 주성분((B1) 성분)을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로 함으로써, (A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 (B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제1의 구조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by making the main component ((B1) component) of a low refractive index part into the polymer of urethane (meth) acrylat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derived from (A1) component,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derived from (B1) component Not only can the difference be more easily adjusted, but also the unevenness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shaped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1)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so that the first structural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louver structure can be obtained more efficiently. Because there is.

또,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의미한다.In addition, (meth) acrylate means both an acrylate and a methacrylate.

우선, (B1)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 (B1) 성분으로서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는, (a)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적어도 2개 함유하는 화합물, (b)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c)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된다.First, the urethane (meth) acrylate as the monomer (B1)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onent (B1) comprises (a) a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groups, (b) polyalkylene glycols, and (c) hydroxyalkyl. It is formed from (meth) acrylate.

이 중, (a) 성분인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적어도 2개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나아가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부가체(예를 들면,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3관능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Among these, as a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groups which are (a) component, For example, 2, 4- tolylene diisocyanate, 2, 6- tolylene diisocyanate, 1, 3- xylylene diisocyanate, 1, 4 Alicyclic polyisocyanates such as aromatic polyisocyanates such as xylylene diisocyanate, aliphatic polyisocyanates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hydrogenated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biuret bodies and iso Adducts (e.g., xylylenediisocyanate-based trifunctional adducts) that are reactants with low molecular weight active hydrogen-containing compounds such as cyanurate,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trimethylolpropane, castor oil, etc. ), And the like.

또한, 상술한 중에서도,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also that it is alicyclic polyisocyanate among the above-mentioned.

이 이유는,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면, 입체 구조 등의 관계에 따라,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여, 각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속도에 차를 마련하기 용이하여,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분자 설계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case of alicyclic polyisocyanate, it is easy to provide a difference in the reaction rate of each isocyanate group in comparison with aliphatic polyisocyanate according to the relation of the stereostructure and the like, and the molecular design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obtained is Because it is easy.

또한, 특히, (a) 성분이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a) component is alicyclic diisocyanate.

이 이유는,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이면, 예를 들면, (a) 성분이 (b) 성분과만 반응하거나, (a) 성분이 (c) 성분과만 반응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여, (a) 성분을, (b) 성분 및 (c) 성분과 확실하게 반응시킬 수 있어, 여분의 부(副)생성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if it is alicyclic diisocyanate, it suppresses that (a) component reacts only with (b) component or (a) component reacts only with (c) component, for example, (a) component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act with the component (b) and the component (c),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xtra side products.

그 결과,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B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 즉, 저굴절률의 판상 영역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nevenness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late-shaped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1)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at is, the plate-shaped region of low refractive index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또한,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이면,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여, 얻어지는 모노머 (B1) 성분과, 모노머 (A1) 성분으로서의 대표예인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과의 상용성을 소정의 범위로 저하시켜, 루버 구조를 보다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Moreover, if it is alicyclic diisocyanate, compared with aromatic diisocyanate, the compatibility of the monomer (B1) component obtained and the biphenyl compound which has a specific structure which is a typical example as a monomer (A1) component will be reduced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louver structure can be formed more efficiently.

나아가,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이면,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여, 얻어지는 모노머 (B1) 성분의 굴절률을 작게 할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A1) 성분의 대표예인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의 굴절률과의 차를 크게 하여, 입사 각도 의존성이 우수한 루버 구조를 더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an alicyclic diisocyanate,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B1) component obtained can be made small compared with an aromatic diisocyanate, with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iphenyl compound which has a specific structure which is a typical example of a monomer (A1) component. By making the difference larger, the louver structure excellent in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can be formed more efficiently.

또한, 이와 같은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도,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성의 차가 큰 점에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Moreover, in such alicyclic diisocyanate,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from a big difference in the reactivity of two isocyanate groups.

또한, 모노머 (B1) 성분으로서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형성하는 성분 중, (b) 성분인 폴리알킬렌글리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헥실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a polyalkylene glycol which is (b) component among the components which form the urethane (meth) acrylate as a monomer (B1) component, for example, polyethyleneglycol, polypropylene glycol, polybutylene glycol, polyhexylene Glycol etc. are mentioned, Especially,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polypropylene glycol.

이 이유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라면, 점도가 낮은 점에서 무용제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polypropylene glycol can be handled as a solvent without the viscosity being low.

또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라면, 모노머 (B1) 성분을 경화시킬 때에, 당해 경화물에 있어서의 양호한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가 되어, 광확산 필름의 핸들링성이나 실장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Moreover, when it is polypropylene glycol, when hardening a monomer (B1) component, it becomes a favorable soft segment in the said hardened | cured material, and since handling property and mountability of a light-diffusion film can be improved effectively, to be.

또, 모노머 (B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b)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b)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통상, 2,300?19,500이며, 바람직하게는 4,300?14,3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300?12,300이다.In addi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 monomer (B1) componen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b) component. Her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b) component is 2,300-19,500 normally, Preferably it is 4,300-14,300, Especially preferably, it is 6,300-12,300.

또한, 모노머 (B1) 성분으로서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형성하는 성분 중, (c) 성분인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a hydroxyalkyl (meth) acrylate which is (c) component among the components which form the urethane (meth) acrylate as a monomer (B1) component, For exampl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3-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3-hydroxybut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 Meth) acrylate, etc. are mentioned.

또한,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속도를 저하시켜, 소정의 루버 구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관점에서, 특히, 히드록시알킬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hydroxyalkyl methacrylate especially from a viewpoint of reducing the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rate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obtained and forming a predetermined louver structure more efficiently, and 2-hydroxyethyl methacryl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rate.

또한, (a)?(c) 성분에 의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성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nthesis | combination of urethane (meth) acrylate by (a)-(c) component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이 때 (a)?(c) 성분의 배합 비율을, 몰비로 (a) 성분:(b) 성분:(c) 성분=1?5:1:1?5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ompounding ratio of (a)-(c) component into the ratio of (a) component: (b) component: (c) component = 1-5: 1: 1-5 by molar ratio.

이 이유는, 이러한 배합 비율로 함으로써, (b) 성분이 갖는 2개의 수산기에 대해 각각 (a) 성분이 갖는 한쪽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하여 결합하여, 나아가, 2개의 (a) 성분이 각각 갖는 다른 한쪽의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 (c) 성분이 갖는 수산기가 반응하여 결합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효율적으로 합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y setting it as such a compounding ratio, the one isocyanate group which (a) component has respectively reacted and couple | bonds with respect to the two hydroxyl groups which (b) component has, Furthermore, the other one which the two (a) components have respectively It is because the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the hydroxyl group which (c) component has reacted and couple | bonded with the isocyanate group of can react efficiently.

따라서, (a)?(c) 성분의 배합 비율을, 몰비로 (a) 성분:(b) 성분:(c) 성분=1?3:1:1?3의 비율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2의 비율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compounding ratio of (a)-(c) component into the ratio of (a) component: (b) component: (c) component = 1-1: 1: 1-3 by molar ratio, More preferably, the ratio is 2: 1: 2.

또한, (B1)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 (B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mer (B1) component which comprises (B1)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3,000-20,000.

이 이유는, 모노머 (B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모노머 (A1) 성분 및 모노머 (B1) 성분의 중합 속도에 소정의 차를 발생시켜, 양 성분의 공중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sett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mer (B1) compon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 predetermined difference is generated in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A1) component and the monomer (B1) component, thereby effectively decreasing the copolymerizability of both components. It is estimated that it can be done.

그 결과, 광경화시에, (A1) 성분 및 (B1) 성분이 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at the time of photocuring, the louver structure in which (A1) component and (B1) component mutually extended can be formed efficiently.

즉, 모노머 (B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미만의 값으로 하면, 모노머 (B1) 성분의 중합 속도가 빨라지고, 모노머 (A1) 성분의 중합 속도에 가까워져, 모노머 (A1) 성분과의 공중합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결과, 루버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모노머 (B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A1) 성분 및 (B1) 성분이 필름면 방향으로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모노머 (A1) 성분과의 상용성이 과도하게 저하하여,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도포 단계에서 모노머 (A1) 성분이 석출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mer (B1) component is less than 3,000,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B1) component is increased, and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A1) component is approached, and the copolymerization with the monomer (A1) component is reduced. It is because it may become difficult to form a louver structure efficiently as a result which becomes easy to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mer (B1) component exceeds a value of 20,000,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a louver structure in which the component (A1) and the component (B1) extend in the film plane direction, or the monomer (A1 This is because the compatibility with the) component may be excessively lowered, and the monomer (A1) component may be precipitated at the application step of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

따라서, 모노머 (B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5,000?15,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0?13,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 monomer (B1)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000-15,000,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7,000-13,000.

또, 모노머 (B1)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고, 혹은, 구성 원자의 원자량을 기초로, 구조식으로부터 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 monomer (B1) component can be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r can be calculated from a structural formula based on the atomic weight of a constituent atom.

또한, 모노머 (B1) 성분은, 분자 구조나 중량평균분자량이 다른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되지만,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B1)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1종류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monomer (B1) component may use together 2 or more types whose molecular structure an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differ, from a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unevenness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derived from the (B1) component in louver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use only one type.

즉, 모노머 (B1) 성분을 복수 사용한 경우, (B1) 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고르지 못하거나, 높아지거나 하여, (A1) 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과의 굴절률 차가 불균일하게 되거나, 과도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a plurality of monomer (B1) components are use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late region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B1) is uneven or high, and the plate-shaped region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A1) and This is becaus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may become nonuniform or excessively lower.

4. 제2의 구조 영역4. Second structural area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 매체물 중에 당해 매체물과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물이 임립하여 이루어지는 컬럼 구조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structural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has a column structure reg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lumnar object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rom the medium are formed in the medium.

이하, 제2의 구조 영역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2nd structural area is demonstrated concretely.

(1) 굴절률(1) refractive index

또한,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의 굴절률과, 매체물의 굴절률과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lumnar product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dium is preferably 0.01 or more.

이 이유는, 이러한 굴절률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함으로써,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to a value of 0.01 or more, the incident light is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 structure region as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and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and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originating in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are reduced. Because it can improve more.

즉, 이러한 굴절률의 차가 0.01 미만의 값으로 하면, 입사광이 컬럼 구조 내에서 전반사하는 각도역이 좁아지는 점에서, 입사 각도 의존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거나,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가 과도하게 좁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less than 0.01, the angle range at which the incident light totally reflects in the column structure is narrowed, so that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is excessively lowered or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is too narrow. Because there is.

따라서,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주상물의 굴절률과, 매체물의 굴절률과의 차를 0.0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lumnar product in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dium is more preferably 0.05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0.1 or more.

또, 굴절률의 차는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컬럼 구조를 형성 가능한 재료를 선정하는 관점에서, 0.3 정도가 상한으로 생각된다.Moreover, although the difference of refractive index is so preferable that it is large, about 0.3 is considered an upper limit from a viewpoint of selecting the material which can form a columnar structure.

(2) 최대 직경(2) the maximum diameter

또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 S3을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9 (a),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maximum diameter S3 in the cross section of a columnar objec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1-15 micrometers in a 2nd structural area.

이 이유는, 이러한 최대 직경을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is maximum diameter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1 to 15 mu m, the incident light is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 structure region as the second structure region, and the incident angle dependence derived from the second structure region and This is because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can be further improved.

즉, 이러한 최대 직경이 0.1㎛ 미만의 값으로 하면,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관계 없이,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최대 직경이 1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컬럼 구조 내를 직진하는 광이 증가하여, 광확산의 균일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is maximum diameter is made into the value below 0.1 micrometer, it may become difficult to show light diffusivity irrespective of the incident angle of incident l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is maximum diameter becomes a value exceeding 15 micrometers, the light which goes straight in a columnar structure may increase, and uniformity of light diffusion may deteriorate.

따라서,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을 0.5?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n a 2nd structural area,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maximum diameter in the cross section of a columnar thing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5-10 micrometer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which is 1-5 micrometers.

또, 주상물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원, 타원, 다각형, 이형(異形)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bou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columnar object,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a mold release, etc.

또한, 주상물의 단면이란, 필름 표면과 평행한 면에 의해 절단된 단면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a columnar object means the cross section cut | disconnected by the surface parallel to a film surface.

또, 주상물의 최대 직경이나 길이 등은, 광학 디지털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diameter, length, etc. of a columnar object can be computed by observing with an optical digital microscope.

(3) 길이(3) length

또한,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의 길이(L3)을 5?49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2nd structural area, it is preferable to make length L3 of a columnar objec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495 micrometers.

이 이유는, 이러한 길이가 5㎛ 미만의 값으로 하면, 주상물의 길이가 부족하고, 컬럼 구조 내를 직진해버리는 입사광이 증가하여, 충분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length is less than 5 µm, the length of the columnar product is insufficient, and incident light that goes straight through the column structure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sufficient incident angle dependence and spreading angle of diffused light. Because there is.

한편, 이러한 길이가 49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컬럼 구조를 형성할 때에, 초기에 형성된 컬럼 구조에 의해 광중합의 진행 방향이 확산해버려, 원하는 컬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is length becomes a value exceeding 495 micrometers, when the active energy ray is irradiated to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and the column structure is formed, the advancing direction of photopolymerization will spread | diffused by the column structure initially formed, This is because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desired column structure.

따라서,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의 길이를 40?3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2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n a 2nd structural area,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length of a columnar objec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40-310 micrometer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95-255 micrometers.

또,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럼 구조는,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막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하단 부분에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C, the column structure may not be formed even in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n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이 경우, 컬럼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상하단 부분의 폭(L4)는, 제2의 구조 영역의 두께여도 되지만, 일반적으로, 0?50㎛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idth L4 of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in which the column structure is not formed may b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but in general, it is preferably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 to 50 µm, and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 to 5 µm.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value.

(4) 주상물 간의 거리(4) the distance between pillars

또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간에 있어서의 거리, 즉, 인접하는 주상물에 있어서의 스페이스(P)를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9 (a), in 2nd structural area | region, the distance between columnar objects, ie, the space P in adjacent columnar objects, is set 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1-15 micrometers. It is desirable to.

이 이유는, 이러한 거리를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e distance within a range of 0.1 to 15 mu m, the incident light is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 structure area as the second structure area, and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and diffusion originating from the second structure area. This is because the spreading angle of the light can be further improved.

즉, 이러한 거리가 0.1㎛ 미만의 값으로 하면,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관계 없이,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거리가 1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컬럼 구조 내를 직진하는 광이 증가하여, 광확산의 균일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is distance is made into the value below 0.1 micrometer, it may become difficult to show light diffusivity irrespective of the incident angle of incident l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is distance becomes a value exceeding 15 micrometers, the light which goes straight in a column structure will increase, and the uniformity of light diffusion may deteriorate.

따라서,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간에 있어서의 거리를 0.5?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n a 2nd structural area,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distance between columnar objects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5-10 micrometer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which is 1-5 micrometers.

(5) 경사각(5) inclination angle

또한, 도 9(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22)이 막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 θb로 임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9 (b) (c), in the 2nd structural area,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umnar object 22 stands by the inclination-angle (theta) b with respect to a film thickness direction.

이 이유는, 주상물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mak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lumnar constant constant, incident light is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 structure area as the second structure area, further improving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derived from the second structure area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Because you can.

또한,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상물이 굴곡하여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Moreover, as shown in FIG.9 (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lumnar object is bent.

이 이유는, 주상물이 굴곡하여 있음으로써, 컬럼 구조 내를 직진하여버리는 입사광을 감소시켜, 광확산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incident light leading straight through the column structure can be reduced by the bending of the columnar material, thereby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on.

또, 이와 같은 굴곡한 주상물은,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하는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할 때에, 조사 광의 조사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컬럼 구조를 형성하는 재료 물질의 종류에 크게 의존한다.In addition, this curved columnar object can be obtained by irradiating light while changing the irradiation angle of irradiation light when performing the 2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described in 2nd Embodiment, but forming a column structure. The material depends greatly on the type of material.

또한, θb는 필름면에 수직인 면으로서, 1개의 주상물 전체를 축선를 따라 2개로 절단하는 면에 의해 필름을 절단한 경우의 단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필름 표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주상물의 경사각(°)(그 법선과 주상물의 형성 각도 중 좁은 측의 각도)를 의미한다. 또,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럼이 우측으로 기울어 있을 때의 경사각을 기준으로 하여, 컬럼이 좌측으로 기울어 있을 때의 경사각을 마이너스로 표기한다.Moreover, (theta) b is a surface perpendicular | vertical to a film surface, and made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normal of the film surface measured in the cross section at the time of cut | disconnecting a film by the surface which cuts one whole columnar object in two along an axis to 0 degree. It means the angle of inclination (°) of the columnar body in the case (the angle of the narrow side between the normal line and the angle of formation of the columnar bod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B,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column is inclined to the left is negatively expressed based on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column is inclined to the right.

(6) 두께(6) thickness

또한, 제2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5?49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ickness of a 2nd structural area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495 micrometers.

이 이유는, 제2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막두께 방향에 따른 주상물의 길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to a value within this range, the length of the columnar articl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s stably secured, and the incident light is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 structural region as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This is because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derived from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can be further improved.

즉, 이러한 두께가 5㎛ 미만의 값으로 하면, 주상물의 길이가 부족하고, 컬럼 구조 내를 직진해버리는 입사광이 증가하여, 충분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두께가 49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컬럼 구조를 형성할 때에, 초기에 형성된 컬럼 구조에 의해 광중합의 진행 방향이 확산해버려, 원하는 컬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5 µm, the length of the columnar article is insufficient, and incident light that goes straight inside the columnar structure increases,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obtain sufficient incident angle dependence and spreading angle of diffused light. to be. On the other hand, when this thickness becomes a value exceeding 495 micrometers, when the active energy ray is irradiated to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to form a column structure, the advancing direction of photopolymerization will spread | diffused by the column structure initially formed, This is because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desired column structure.

따라서, 제2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40?3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2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thickness of a 2nd structural area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40-310 micrometer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95-255 micrometers.

(7) 재료 물질(7) material materials

(7)-1 주상물(7) -1 column

또한,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주상물을 구성하는 재료 물질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주성분을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2nd structural region, although the kind of material substance which comprises a columnar material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main component into the polymer of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some aromatic ring.

이 이유는, 이러한 재료 물질이라면,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ith such a material material, not only can the column structure as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be efficiently formed, but also the incident angle dependence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derived from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can be further improved. to be.

즉, 주상물의 주성분(이하, (A2) 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로 함으로써, 제2의 구조 영역을 형성할 때에, 중합에 따라(A2) 성분이 되는 모노머 성분(이하, 모노머 (A2) 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합 속도를, 중합에 따라 후술하는 매체물의 주성분(이하, (B2) 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되는 모노머 성분(이하, 모노머 (B2) 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중합 속도보다도 빠르게 하여, 이들의 모노머 성분 간에 있어서의 중합 속도에 소정 차를 발생시켜, 양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That is, when the main component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2) component) of the columnar product is a polymer of a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when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is formed, the component (A2) Monomer component which becomes the main component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B2) component) of the medium of the media mentioned later according to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rate of the monomer component (Hereinafter, it may be called a monomer (A2) component.) In the following, the monomer (B2)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below), and a predetermined difference may be generated in the polymerization rate between these monomer components, thereby effectively decreasing the copolymerizability of both monomer components. It is estimated.

그 결과, (B2)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매체물 중에 (A2)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주상물이 임립한 컬럼 구조를,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따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lumnar structure in which columnar objects composed of the component (A2) stand in the medium formed of the component (B2) can be efficiently formed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또한, 모노머 (A2) 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모노머 (B2) 성분과의 상용성을 소정의 범위로까지 저하시켜, 컬럼 구조를 더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In addition, by using a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the monomer (A2) component, the compatibility with the monomer (B2) component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column structure can be formed more efficiently. do.

나아가, 모노머 (A2) 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컬럼 구조에 있어서의 (A2) 성분에 유래한 주상물의 굴절률을 높게 하여, (B2) 성분에 유래한 매체물의 굴절률과의 차를, 소정 이상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Furthermore, by using a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the monomer (A2) componen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lumnar product derived from the component (A2) in the columnar structure is made high,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dium product derived from the component (B2) The difference of can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따라서, (A2) 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를 함유함으로써, 후술하는 (B2) 성분의 특성과 함께, (B2)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매체물 중에 (A2)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주상물이 임립한 컬럼 구조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Therefore, by containing the polymer of a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A2) component, the columnar object which consists of (A2) component is standing in the medium which consists of (B2) component with the characteristic of (B2) component mentioned later. One column structure can be efficiently obtained.

따라서,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제2의 구조 영역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while having good incidence angle dependency in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light, a second structural region having a wide light diffusion incidence angle region can be obtained.

또, (A2)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 (A2) 성분으로서의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상세에 관해서는,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모노머 (A1) 성분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Moreover, regarding the detail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the some aromatic ring as the monomer (A2) component which comprises (A2) component, it overlaps with the content of the monomer (A1) component in a 1st structural area. Therefore, it is omitted.

(7)-2 매체물(7) -2 media

또한,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매체물을 구성하는 재료 물질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주성분을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kind of material substance which comprises a medium in a 2nd structural area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main component into the polymer of urethane (meth) acrylate.

이 이유는, 이러한 재료 물질이라면,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의 구조 영역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ith such a material material, not only can the column structure as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be efficiently formed, but also the incident angle dependence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derived from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can be further improved. to be.

즉, 매체물의 주성분((B2) 성분)를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로 함으로써, (A2) 성분에 유래한 주상물의 굴절률과, (B2) 성분에 유래한 매체물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2) 성분에 유래한 매체물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소정의 컬럼 구조를 구비한 제2의 구조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by making the main component ((B2) component) of a media material into the polymer of urethane (meth) acry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lumnar product derived from (A2) component,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dia material derived from (B2) component, This is because not only can be adjusted more easily, but also the unevenness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dium derived from the component (B2)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so that a second structural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column structure can be obtained more efficiently.

또, (B2)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 (B2) 성분으로서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상세에 관해서는,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모노머 (B1) 성분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In addition, the detail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as a monomer (B2) component which comprises (B2) component overlaps with the content of the monomer (B1) component in a 1st structural area, and it abbreviate | omits.

5. 총(總) 막두께 5. Total film thickness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총막두께를 5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0-500 micrometers.

이 이유는, 광확산 필름의 총막두께가 50㎛ 미만의 값으로 하면, 컬럼 구조 및 루버 구조 내를 직진하는 광이 증가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광확산 필름의 총막두께가 50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컬럼 구조 및 루버 구조를 형성할 때에, 초기에 형성된 컬럼 구조 및 루버 구조에 의해 광중합의 진행 방향이 확산해버려, 원하는 컬럼 구조 및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when the total film thickness of a light-diffusion film is set to a value less than 50 micrometers, the light which goes straight in a columnar structure and a louver structure may increase,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show light diffusiv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film is a value exceeding 500 μm, when the active energy ray is irradiated to the composition for the light-diffusion film to form a column structure and a louver structure,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louver structure initially formed are This is because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photopolymerization may diffuse,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desired column structure and louver structure.

따라서, 광확산 필름의 총막두께를 80?3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26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total film thickness of a light-diffusion film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80-350 micrometer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which is 100-260 micrometers.

또,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단일의 필름 중에 제1 및 제2의 구조 영역을 갖는 구성이어도 되고, 제1의 구조 영역만을 갖는 필름과, 제2의 구조 영역만을 갖는 필름을 적층시킨 구성이어도 된다.Moreover,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may be the structure which has the 1st and 2nd structural area | region in a single film, and the structur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film which has only a 1st structural area | region and the film which has only a 2nd structural area | region is laminated | stacked. It may be.

특히, 제1 및 제2의 구조 영역을 적층할 때에, 그 사이에 기포 혼입 등이 생기는 것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양 구조가 단일의 필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보다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laminating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al regions, bubbles can be essentially suppressed from occurring in the form of bubbles, and therefore, a structure in which both structures are formed in a single film is more preferable.

또한, 제1의 구조 영역과, 제2의 구조 영역은,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 방향을 따라 순차로,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면 되고, 그 순번이나 수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oreov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a 1st structural area | region and a 2nd structural area | region in the up-down direction one by on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of a light-diffusion film, The order and number in particular are not restrict | limited.

6. 경사 각도의 조합6. Combination of angles of inclination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이라면,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막두께 방향에 대한 판상 영역의 경사 각도 θa와,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막두께 방향에 대한 주상물의 경사 각도 θb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그 광확산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Moreover, with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theta) a of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n a 1st structural area | region, and the inclination angle (theta) b of the columnar product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n a 2nd structural area | region are By adjusting each, the light-diffusion characteristic can be changed.

예를 들면, 각각의 구조 영역이 갖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중복시킴으로써, 확산 특성의 고르지 못함을 억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산광의 벌어짐 각도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For example, by overlapping the incidence angle dependence of each structural region, the unevenness of the diffusion characteristic can be suppressed and a good incidence angle dependency can be obtained,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can be effectively widened.

이 경우,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막두께 방향에 대한 판상 영역의 경사 각도 θa를 -8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과 함께,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막두께 방향에 대한 주상물의 경사 각도 θb를 -8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θa-θb의 절대값을 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θa-θb의 절대값을 5?2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θa of the plate-like region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80 ° to 80 °, and in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inclination angle θb of the columnar produc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80 to 80 °, and to set the absolute value of θa to θb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 to 80 °, and set the absolute value of θa to θb to 5 ?.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20 degrees.

또, 여기서 의 θa 및 θb의 내용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ta) a and (theta) b here is as having already demonstrated.

또한, 각각의 구조 영역이 갖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효과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넓힐 수 있다.Further, by shifting the incident angle dependency of each structural regio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can be effectively and easily widened.

이 경우,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막두께 방향에 대한 판상 영역의 경사 각도 θa를 -8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과 함께,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막두께 방향에 대한 주상물의 경사 각도 θb를 -8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θa-θb의 절대값을 5?6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θa-θb의 절대값을 20?4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θa of the plate-like region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80 ° to 80 °, and in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θb of the columnar article be a value within the range of -80 ° to 80 °, and the absolute value of θa-θb be a value within the range of 5 to 60 °, and the absolute value of θa-θb be 20 to 45 degrees.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

7. 용도7. Uses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반사형 액정표시장치(100)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0, it is preferable to use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for the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이 이유는,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이라면, 외광을 집광하여 효율적으로 투과시켜 액정표시장치의 내부에 취입하고, 또, 그 광을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ith 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ffuse external light so as to condense and efficiently transmit external light to be absorbed in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o use the light as a light source.

따라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유리판(104, 108) 및 액정(106), 및, 경면(鏡面) 반사판(107)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셀(110)의 상면, 혹은 하면에 배치하여, 반사형 액정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광확산판(103)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110 which consists of glass plates 104 and 108, the liquid crystal 106, and the mirror surface reflecting plate 107, etc., and reflects it. It is preferable to use it as the light-diffusion plate 103 in th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또,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편광판(101)이나 위상차판(102)에 제공함으로써, 광 시야각 편광판이나 광 시야 위상차판을 얻을 수 있다.Moreover, by providing the light-diffusion film of this invention to the polarizing plate 101 and the retardation plate 102, an optical viewing angle polarizing plate and an optical viewing phase difference plate can be obtained.

[제2의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는,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1의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2의 구조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 (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light-diffusion film having a first structural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a second structural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film characterized by including (d).

(a)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a) process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b)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에 대해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공정(b) Process of apply | coating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 with respect to a process sheet, and forming an application layer

(c) 도포층에 대해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하고, 도포층의 하방 부분에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을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 영역을 형성함과 함께, 도포층의 상방 부분에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을 남기는 공정(c) Louver structure region formed by irradiating 1st active energy ray with respect to a coating layer, and arrange | positioning several plate-shaped area | regions which differ in refractive index as a 1st structural region in the lower part of an application layer along the film surface direction. And forming a louver structure unformed reg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ating layer

(d) 도포층에 대해,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더 행하고,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에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매체물 중에 당해 매체물과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물을 임립시켜 이루어지는 컬럼상 구조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d) The application layer is further irradiated with a second active energy ray, and a columnar image is formed in the louver structure unformed region with a plurality of columnar bodie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rom the media in the media as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Process of forming structural regions

이하,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인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제1의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film which is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referring drawings, centering on a point different from 1st Embodiment.

1. 공정 (a):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준비 공정1. Process (a): Preparation process of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공정 (a)는,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이다.Process (a) is a process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노머 (A) 성분 및 모노머 (B) 성분을 40?80℃의 고온 조건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nomer (A) component and the monomer (B) component are stirred under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of 40 to 80 ° C to obtain a uniform mixed liquid.

또한, 이와 동시에, 혼합액에 대해, 소망에 따라 후술하는 (C) 성분 등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한 후,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면서, 원하는 점도가 되도록, 필요에 따라 희석 용제를 더 가함으로써,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용액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same time, after adding other additives, such as (C) component mentioned later, to a liquid mixture as needed, adding a diluting solvent as needed so that it may become a desired viscosity, stirring until it becomes uniform, It is preferable to obtain the solution of the composition for diffusion films.

또, 모노머 (A) 성분은, 중합함으로써, 제1 및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고굴절률부를 구성하는 (A) 성분이 되는 모노머 성분이며, 모노머 (B) 성분은, 중합함으로써, 제1 및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저굴절률부를 구성하는 (B) 성분이 되는 모노머 성분이다.Moreover, a monomer (A) component is a monomer component which becomes (A) component which comprises the high refractive index part in a 1st and 2nd structural area | region by superposing | polymerizing, and a monomer (B) component superposes | polymerizes by 1st And a monomer component serving as the component (B) constituting the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in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또한, 모노머 (A) 성분 및 모노머 (B) 성분의 종류에 대한 상세는,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노머 (A1) 및 (A2), 및, (B1) 및 (B2) 성분으로서, 각각 기재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In addition, the detail about the kind of a monomer (A) component and a monomer (B) component is described as a monomer (A1) and (A2) and (B1) and (B2) component in 1st Embodiment, respectively. Since it is the same, it abbreviate | omits.

(1) 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1) Refractive Index of Monomer (A) Component

또한, 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을 1.5?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refractive index of a monomer (A)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5-1.65.

이 이유는, 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부분과, (B)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를 구비한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y sett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A) component to a value within this ran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rt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and the port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in the louver structure and the column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louver structure and a column structure can be obtained more easily by adjusting more easily.

즉, 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이 1.5 미만의 값으로 하면,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져, 원하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이 1.6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는 크게 달라지지만, 점도가 과도하게 저하하여, 모노머 (B) 성분과의 상용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A) component is less than 1.5, the difference with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B) component becomes too small,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incident angle dependency.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A) component exceeds a value of 1.65, the difference with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B) component is greatly changed, but the viscosity is excessively lowered, making compatibility with the monomer (B) component difficult. Because there are cases.

따라서, (A) 성분의 굴절률을, 1.55?1.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6?1.59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refractive index of (A)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55-1. 6,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56-1.59.

또, 상술한 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이란, 광조사에 따라 경화하기 전의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A) component mentioned above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A) component before hardening by light irradiation.

그리고, 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은, 예를 들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And the refractive index of a monomer (A) componen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JISK0062, for example.

(2) 모노머 (A) 성분의 함유량(2) Content of monomer (A) component

또한, 모노머 (A) 성분의 함유량을, 후술하는 모노머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ke content of a monomer (A)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25-400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monomer (B) components mentioned later.

이 이유는, 모노머 (A) 성분의 함유량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모노머 (B) 성분과의 혼합성을 유지하면서도, 광조사한 경우에는, 양 성분의 공중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하시켜, 소정의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e content of the monomer (A) component to a value within such a range, while irradiating with light while maintaining the mixing property with the monomer (B) component, the copolymerizability of both components is effectively lowered, and the predetermined louver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and the column structure can be efficiently formed.

즉, 모노머 (A) 성분의 함유량이 25중량부 미만의 값으로 하면, 모노머 (B) 성분에 대한 (A) 성분의 존재 비율이 작아져,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폭 등이, (B)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폭 등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작아져,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확산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루버나 주상물의 길이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모노머 (A) 성분의 함유량이 400중량부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모노머 (B) 성분에 대한 모노머 (A) 성분의 존재 비율이 많아져,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폭 등이, (B)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폭 등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커지고, 반대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확산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루버나 주상물의 길이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content of a monomer (A) component is less than 25 weight part, the abundance ratio of (A) component with respect to a monomer (B) component becomes small, and to (A) component in a louver structure and a column structure. It is because the width | variety of the derived part, etc. become excessively small compared with the width | variety of the part derived from (B) component, etc.,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the louver structure and column structure which have favorable incidence angle dependence. Moreover, it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louver and columnar obj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light-diffusion film may become inadequate. On the other hand, when content of a monomer (A) component becomes a value exceeding 400 weight part, the abundance ratio of the monomer (A) component with respect to a monomer (B) component increases, and (A) component in a louver structure and a column structure It is because the width | variety of the part derived from, etc. becomes excessively large compared with the width | variety of the part derived from (B) component, etc., On the contrary,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the louver structure and column structure which have favorable incidence angle dependence. Moreover, it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louver and columnar obj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light-diffusion film may become inadequate.

따라서, 모노머 (A) 성분의 함유량을, 모노머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40?3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2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content of a monomer (A)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40-300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monomer (B) component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0-200 weight part. Do.

(3)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3) Refractive Index of Monomer (B) Component

또한,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을 1.4?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refractive index of a monomer (B)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4-1.5.

이 이유는,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부분과, (B)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를 구비한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y sett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B) component to a value within such a ran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rt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and the port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in the louver structure and the column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louver structure and a column structure can be obtained more easily by adjusting more easily.

즉,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이 1.4 미만의 값으로 하면, 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는 크게 달라지지만, 모노머 (A) 성분과의 상용성이 극단적으로 악화하여,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이 1.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모노머 (A)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져, 원하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i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B) component is less than 1.4, the difference with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A) component is greatly changed, but the compatibility with the monomer (A) component is extremely deteriorated, and thus the louver structure and column It is because it may become difficult to form a struct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B) component becomes a value exceeding 1.5, the difference with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A) component becomes too small,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desired incident angle dependence.

따라서,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을, 1.45?1.49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6?1.48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refractive index of a monomer (B)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45-1.49,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46-1.48.

또, 상술한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이란, 광조사에 따라 경화하기 전의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bove-mentioned monomer (B) component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onomer (B) component before hardening by light irradiation.

그리고,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And also in the refractive index of a monomer (B) component, it can measure according to JISK0062, for example.

(4) 모노머 (B) 성분의 함유량(4) Content of monomer (B) component

또한, 모노머 (B) 성분의 함유량을,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전체량(100중량%)에 대해, 20?8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ke content of a monomer (B)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20-80 weight%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100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이 이유는, 모노머 (B) 성분의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의 값으로 하면, 모노머 (A) 성분에 대한 모노머 (B) 성분의 존재 비율이 작아져,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에 있어서의 (B)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폭 등이, (A)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폭 등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작아져,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확산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루버나 주상물의 길이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content of the monomer (B) component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abundance ratio of the monomer (B) component to the monomer (A) component is reduced, and the (B) in the louver structure and the column structure It is because the width | variety of the part derived from the component), etc. becomes excessively small compared with the width | variety of the part derived from (A) component, and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the louver structure and column structure which have favorable incidence angle dependence. . Moreover, it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louver and columnar obj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light-diffusion film may become inadequate.

한편, 모노머 (B) 성분의 함유량이 80중량%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모노머 (A) 성분에 대한 모노머 (B) 성분의 존재 비율이 많아져,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에 있어서의 (B)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폭 등이, (A) 성분에 유래한 부분의 폭 등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커지고, 반대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확산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루버나 주상물의 길이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content of a monomer (B) component exceeds the 80 weight%, the abundance ratio of the monomer (B) component with respect to a monomer (A) component will increase, and (B) in a louver structure and a column structure It is because the width | variety of the part derived from a component, etc. becomes excessively large compared with the width | variety of the part derived from (A) component, and, on the contrary,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the louver structure and column structure which have favorable incidence angle dependence. . Moreover, it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louver and columnar obj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light-diffusion film may become inadequate.

따라서, 모노머 (B) 성분의 함유량을,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해, 30?7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6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content of a monomer (B) componen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30-70 weight% with respect to the whole amount of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and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40-60 weight%. More preferred.

(5) 광중합 개시제(5)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소망에 따라, (C) 성분으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photoinitiator as (C) component as needed.

이 이유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킴으로써,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 때에, 효율적으로 소정의 루버 구조 및 컬럼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by containing a photoinitiator, the predetermined louver structure and column structure can be formed efficiently, when irradiating an active energy ray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여기서, 광중합 개시제란,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따라, 라디칼 종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말한다.Here, a photoinitiator means the compound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a radical species according to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such as an ultraviolet-ray.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er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민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such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include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n-but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acetophenone, dimethylaminoacetophenon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2-diethoxy-2-phenylacetophen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e-1-one, 4- (2-hydroxyethoxy) phenyl-2- (hydroxy-2 -Propyl) ketone, benzophenone, p-phenylbenzophenone, 4,4-diethylaminobenzophenone, dichlorobenzophenone, 2-methylanthraquinone, 2-ethylanthraquinone, 2-tert-butylanthraquinone, 2- Aminoanthraquinone, 2-methyl thioxanthone, 2-ethyl thioxanthone, 2-chloro thioxanthone, 2,4-dimethyl thioxanthone, 2,4-diethyl thioxanthone, benzyl dimethyl ketal, acetophenone Dimethyl ketal, p-dimethyla Minbenzoic acid ester, oligo [2-hydroxy-2-methyl-1- [4- (1-methylvinyl) phenyl] propane, etc. are mentioned, You may use these 1 type independently, and 2 or more types You may use in combination.

또,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함유량으로서는, 모노머 (A) 성분 및 모노머 (B) 성분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 0.2?2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5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Moreover, as content in the case of containing a photoinitiator,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2-20 weight% with respect to 100 weight% of total amounts of a monomer (A) component and a monomer (B) component, and 0.5-15 weight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10 weight%.

(6) 그 밖의 첨가제(6) other additives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Moreover, other additives can be added suitably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중합 촉진제, 중합 금지제, 적외선 흡수제, 가소제, 희석 용제, 및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As another additive, antioxidant, a ultraviolet absorber, an antistatic agent, a polymerization promoter, a polymerization inhibitor, an infrared absorber, a plasticizer, a dilution solvent, a leveling agent,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또, 그 밖의 첨가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모노머 (A) 성분 및 모노머 (B) 성분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 0.01?5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3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2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content of another additive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01-5 weight% generally with respect to 100 weight% of total amounts of a monomer (A) component and a monomer (B) component, and 0.02-3 weight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05-2 weight%.

2. 공정(b): 도포 공정2. Process (b): application process

공정(b)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준비한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2)에 대해 도포하여 도포층(1)을 형성하는 공정이다.Step (b) is a step of forming the coating layer 1 by applying the prepared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 to the step sheet 2, as shown in Fig. 11 (a).

공정 시트로서는, 플라스틱 필름, 종이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As a process sheet, any of a plastic film and paper can be used.

이 중,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및 폴리이미드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Among these, examples of the plastic film include polyester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polyolefin film such as polyethylene film and polypropylene film, cellulose film such as triacetyl cellulose film, and polyimide film. .

또한, 종이로서는, 예를 들면, 글라신지, 코트지, 및 라미네이트지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paper, glassine paper, coated paper, laminated pape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또한, 공정 시트에 대해서는, 광경화 후에,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공정 시트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공정 시트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도포면 측에, 박리층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bout a process sheet, in order to make it easy to peel off the obtained light-diffusion film from a process sheet after photocuring,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eeling layer in the application surface side of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in a process sheet.

이러한 박리층은,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알키드계 박리제, 올레핀계 박리제 등, 종래 공지의 박리제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Such a peeling layer can be formed using conventionally well-known peeling agents, such as a silicone peeling agent, a fluorine peeling agent, an alkyd peeling agent, and an olefin peeling agent.

또, 공정 시트의 두께는, 통상, 25?2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ickness of a process shee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25-200 micrometers normally.

또한, 공정 시트 상에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이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및 그라비어 코팅법 등, 종래 공지의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Moreover, as a method of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on a process sheet, it is conventionally well-known, such as a knife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bar coating method, a blad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nd a gravure coating method, for example. This can be done according to the method.

또, 이 때, 도포층의 두께를, 100?7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make thickness of an application layer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00-700 micrometers.

3. 공정(c):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3. Step (c):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step

공정(c)는, 도포층에 대해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하고, 도포층의 하방 부분에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이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 영역을 형성함과 함께, 도포층의 상방 부분에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을 남기는 공정이다.The step (c) is performed by irradiating the first active energy ray to the coating lay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plate-like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s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ating lay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long the film plane direction. It forms a louver structure area | region and leaves a louver structure unformed area | region in the upper part of an application layer.

즉,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정 시트(2)의 상에 형성된 도포층(1)에 대해, 조사 각도가 제어된 직접 광만으로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선(50)을 조사한다.That is, as shown to FIG. 11 (b), the active energy ray 50 which consists only of direct light by which the irradiation angle was controlled is irradiated to the application layer 1 formed on the process sheet 2.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상의 자외선 램프(125)에 집광용의 콜드 미러(122)가 마련된 자외선 조사 장치(120)(예를 들면, 시판품이라면, 아이그래픽스(주)제, ECS-4011GX 등)에, 열선 컷트 필터(121) 및 차광판(123)을 배치함으로써, 조사 각도가 제어된 직접 광만으로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선(50)을 취출(取出)하여, 공정 시트(2)의 상에 형성된 도포층(1)에 대해, 조사한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a), the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120 (for example, if it is a commercial item) provided with the cold mirror 122 for condensing on the linear ultraviolet lamp 125 By placing the hot wire cut filter 121 and the light shielding plate 123 on iGraphics Co., Ltd., ECS-4011GX, etc., thereby extracting the active energy ray 50 made up of only the direct light of which the irradiation angle is controlled. Then, the application layer 1 formed on the process sheet 2 is irradiated.

또, 선상의 자외선 램프는, 도포층(1)을 갖는 공정 시트(2)의 길이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을 기준(0°)으로 하여, 통상 -80?80°의 범위 내의 값, 바람직하게는 -50?50°의 범위 내의 값, 특히 바람직하게는 -30?30°의 범위 내의 값이 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inear ultraviolet lamp has a value within the range of -80 to 80 °, preferably on the basis of the direction (0 °)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cess sheet 2 having the coating layer 1. It is provided so as to be a value in the range of -50 to 50 °,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30 °.

여기서, 선상 광원을 사용하는 이유는,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이 서로, 또한, 막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으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루버 구조 영역을, 효율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using the linear light source is that the louver structural regions as the first structural regions formed by parallelly arranging the plate-shaped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at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are efficiently and stably. It is because it can manufacture.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상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선상 광원의 축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평행광이며, 선상 광원의 축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는 비평행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by using the linear light source, it is substantially parallel light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and non-parallel light can be irradiated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이 때, 조사 광의 조사 각도로서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층(1)의 표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조사 각도 θ3을, 통상, -8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an irradiation angle of irradiation light, as shown to FIG. 12 (b), irradiation angle (theta) 3 when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normal line of the surface of the application layer 1 is 0 degrees, is -80 to 80 degrees normally.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이 이유는, 조사 각도가 -80?80°의 범위 외의 값으로 하면, 도포층(1)의 표면에서의 반사 등의 영향이 커져, 충분한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when the irradiation angle is set to a value outside the range of -80 to 80 °, the influence of reflection and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1 becomes large, and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sufficient louver structure.

또한, 조사 각도 θ3은, 1?80°의 폭(조사 각도 폭) θ3'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rradiation angle (theta) 3 has the width (irradiation angle width) (theta) 3 'of 1-80 degrees.

이 이유는, 이러한 조사 각도 폭 θ3'가 1° 미만의 값으로 하면, 루버 구조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져, 원하는 제1의 구조 영역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조사 각도 폭 θ3'가 8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조사 광이 지나치게 분산하여,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when such irradiation angle width | variety (theta) 3 'is set to a value less than 1 degree, the space | interval of a louver structure may become too narrow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1st structural area | region. On the other hand, when such irradiation angle width | variety (theta) 3 'becomes a value exceeding 80 degrees, it is because irradiation light may scatter too much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form a louver structure.

따라서, 조사 각도 θ3의 조사 각도 폭 θ3'를 2?4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2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irradiation angle width | variety (theta) 3 'of irradiation angle (theta) 3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2 to 45 degree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 to 20 degrees.

또한, 조사 광으로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lthough an ultraviolet-ray, an electron beam, etc. are mentioned as irradiation light, it is preferable to use an ultraviolet-ray.

이 이유는, 전자선의 경우, 중합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중합 과정에서 모노머 (A) 성분과 모노머 (B) 성분이 충분하게 상 분리할 수 없어,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가시광 등과 비교한 경우, 자외선의 쪽이, 그 조사에 따라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나, 사용 가능한 광중합 개시제의 배리에이션(variation)이 풍부하므로, 모노머 (A) 성분 및 모노머 (B) 성분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n electron beam, since the polymerization rate is very fast, the monomer (A) component and the monomer (B) component cannot be sufficiently phase separated in the polymerization process, and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louver structure. to be.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ed with visible light and the like, since the ultraviolet ray is rich in the variation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curable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and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at can be used, the selection of the monomer (A) component and the monomer (B) component Because it can widen the width of.

또한, 자외선의 조사 조건으로서는, 조도를 0.01?50mW/cm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s irradiation conditions of an ultraviolet-ray, it is preferable to make illuminance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01-50 mW / cm <2> .

이 이유는, 조도가 0.01mW/cm2 미만의 값으로 하면,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을 충분하게 형성할 수 있지만, 루버 구조를 명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조도가 50mW/cm2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A) 성분 및 (B) 성분의 상 분리가 진행되기 전에 경화해버려, 반대로, 루버 구조를 명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roughness is less than 0.01 mW / cm 2 , the louver structure unformed region can be sufficiently formed, but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louver structure clear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ughness becomes a value exceeding 50 mW / cm 2 , it hardens before the phase separation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progresses, on the contrary, it may be difficult to clearly form a louver structure. Because.

따라서, 자외선의 조도를 0.05?20mW/cm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mW/cm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an ultraviolet-ray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05-20 mW / cm <2> ,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which is 0.1-10 mW / cm <2> .

또한, 공정 시트 상에 형성된 도포층을, 0.1?10m/분의 속도로 이동시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한 자외선 조사 부분을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process sheet at a speed | rate of 0.1-10 m / min, and to let the ultraviolet irradiation part by an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pass.

이 이유는, 이러한 속도가 0.1m/분 미만의 값으로 하면, 양산성이 과도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속도가 10m/분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도포층의 경화, 바꿔 말하면, 루버 구조의 형성보다도 빨라, 도포층에 대한 자외선의 입사 각도가 변화해버려, 루버 구조의 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when such a speed is made into the value below 0.1 m / min, mass productivity may fall excessively. On the other hand, when such a speed becomes a value exceeding 10 m / min, curing of the coating layer, in other words, faster than the formation of the louver structure, the angle of incidence of ultraviolet rays to the coating layer changes, resulting in insufficient formation of the louver structure. Because there are cases.

따라서, 공정 시트 상에 형성된 도포층을, 0.2?5m/분의 범위 내의 속도로 이동시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한 자외선 조사 부분을 통과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3m/분의 범위 내의 속도로 통과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ove th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process sheet at a speed within the range of 0.2 to 5 m / min, and to pass the ultraviolet irradiation part by the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at a speed within the range of 0.5 to 3 m / min. It is more preferable to pass.

4. 공정(d):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4. Step (d): seco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step

공정(d)는, 도포층에 대해,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더 행하고,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에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매체물 중에 당해 매체물과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물이 임립하여 이루어지는 컬럼상 구조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이다.In the step (d), the coating layer is further irradiated with the second active energy ray, and in the louver structure unformed region, a plurality of columnar object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rom the media are placed in the media as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It is a process of forming the columnar structural region which consists of.

즉, 공정 시트의 상에 형성된 도포층에 대해, 광선의 평행도가 높은 평행광을 조사한다. 그 평행광의 조사에 있어서는, 도포층에 직접 조사해도 되지만, 노출하여 있는 도포층 표면에 박리 필름을 적층하여, 박리 필름 너머로 조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박리 필름으로서는, 상기 공정 시트에 기재되어 있는 것 중 자외선 투과성을 갖는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That is, parallel light with a high degree of parallelism of light rays is irradiated to the application layer formed on the process sheet. In irradiation of the parallel light, you may irradiate directly to a coating layer, It is also preferable to laminate | stack a peeling film on the exposed coating layer surface, and to irradiate over a peeling film. As a peeling film, what has ultraviolet permeability can be suitably selected from what is described in the said process sheet.

여기서,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에서 사용된 선상 광원에 의한 직접 광은, 그 광의 방향이 선상 광원의 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는 퍼짐을 갖지 않고, 대략 평행이지만, 선상 광원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는 광의 방향에 통일성이 없고, 랜덤이다.Here, the direct light by the linear light source used in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step has no sprea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and is substantially parallel, but 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re is no uniformity in the direction of light and is random.

이에 대해,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평행광이란, 발해지는 광의 방향이, 어느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도 퍼짐을 갖지 않는 대략 평행한 광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parallel light in 2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means the substantially parallel light which does not have spread in the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emitted light is seen from any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 광원(202)으로부터의 광을 렌즈(204)에 의해 평행광으로 한 후, 도포층에 조사하거나, 도 13(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상 광원(206)으로부터의 광을 통상물(208)의 집합체(210)에 의해 평행광으로 한 후, 도포층에 조사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a), after the light from the point light source 202 is converted into parallel light by the lens 204, the coating layer is irradiated, or FIG. 13 (b). As shown to (c),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light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06 into parallel light by the assembly 210 of the ordinary thing 208, and to irradiate an application layer.

따라서, 도 13(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평행광조사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야마시타덴소(주)제, 자외선 스폿 광원「HYPERCURE 200」에 옵션의 균일 노광 어댑터를 부착한 것을 들 수 있다.Therefore,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parallel light irradiation apparatus shown to FIG. 13 (a), the thing which attached the optional uniform exposure adapter to Yamashita Denso Co., Ltd., an ultraviolet spot light source "HYPERCURE'200" is mentioned, for example. .

그리고, 평행광에 있어서의 평행도를 1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o make parallelism in parallel light into the value of 10 degrees or less.

이 이유는, 이러한 평행도를 10° 이하의 값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주상물이 막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으로 임립하여 이루어지는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컬럼 구조 영역을, 효율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arallelism is set to a value of 10 ° or less, thereby efficiently and stably producing a column structure region as a second structure region formed by a plurality of columnar products standing up at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Because you can.

즉, 이러한 평행도가 1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컬럼 구조를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such parallelism becomes a value exceeding 10 degrees, a column structure may not be formed in some cases.

따라서, 평행광의 평행도를 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parallelism of parallel light into the value of 5 degrees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of 2 degrees or less.

또한, 조사 광으로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an ultraviolet-ray, an electron beam, etc. are mentioned as irradiation light, it is preferable to use an ultraviolet-ray for the same reason as in the 1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rocess.

또한, 자외선의 조사 조건으로서는, 조도를 0.01?30mW/cm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s irradiation conditions of an ultraviolet-ray, it is preferable to make illuminance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01-30 mW / cm <2> .

이 이유는, 조도가 0.01mW/cm2 미만의 값으로 하면, 컬럼 구조를 명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조도가 30mW/cm2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A) 성분 및 (B) 성분의 상 분리가 진행되기 전에 경화해버려, 반대로, 컬럼 구조를 명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roughness is less than 0.01 mW / cm 2 ,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column structure clear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ughness becomes a value exceeding 30 mW / cm 2 , it hardens before phase separation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proceeds, and conversely,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column structure clearly. Because.

따라서, 자외선의 조도를 0.05?20mW/cm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mW/cm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an ultraviolet-ray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05-20 mW / cm <2> ,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within the range which is 0.1-10 mW / cm <2> .

또한, 도포층의 이동 속도나 조사 광의 조사 각도에 관해서는,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bout the moving speed of an application layer and the irradiation angle of irradiation light, it can carry out similarly to a 1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rocess.

또, 도포층이 충분하게 경화하는 적산광량이 되도록, 제1 및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와는 별도로, 활성 에너지선을 더 조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also preferable to irradiate an active energy ray separately from 1st and 2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so that the application layer may be the amount of accumulated light which fully hardens.

이 때의 활성 에너지선은, 도포층을 충분하게 경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평행광 등이 아니라, 진행 방향이 랜덤인 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active energy ray at this time aims at fully hardening an application layer, it is preferable not to use parallel light etc. but to make light which advancing direction is random.

또한, 광경화 공정 후의 광확산 필름은, 공정 시트를 박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된다.In addition, the light-diffusion film after a photocuring process will be in the state which can be finally used by peeling a process sheet.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 등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실시예1]Example 1

1. 모노머 (B) 성분의 합성1. Synthesis of Monomer (B) Component

용기 내에,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 9,2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1몰에 대해, (a) 성분으로서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2몰, 및 (c) 성분으로서의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2몰를 수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 9,900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를 얻었다.2 mol of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as (a) component, and 2-hydroxyethyl as (c) component with respect to 1 mol of polypropylene glycol (PPG)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9,200 as component (b) in a container. After accommodating 2 mol of methacrylate (HEMA), it was react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o obtain a polyetherurethane methacrylat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9,900.

또,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하기 조건에 따라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In addi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olypropylene glycol and polyether urethane methacrylate is a polystyrene conversion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onditions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 GPC 측정 장치: 도소(주)제, HLC-8020? GPC measuring device: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HLC-8020

? GPC 칼럼 : 도소(주)제(이하, 통과 순으로 기재)? GPC column: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hereinafter, described in the order of passage)

  TSK guard column HXL-H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2)TSK gel GMHXL (× 2)

  TSK gel G2000HXLTSK gel G2000HXL

? 측정 용매 : 테트라히드로푸란 ? Measuring solvent: tetrahydrofuran

? 측정 온도 : 40℃ ? Measuring temperature: 40 ℃

2.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제조2. Preparation of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Film

이어서, 얻어진 모노머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 9,900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모노머 (A) 성분으로서의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중량평균분자량 268의 o-페닐페녹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주)제, NK에스테르 A-LEN-10) 100중량부와, (C) 성분으로서의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10중량부를 첨가한 후, 80℃의 조건하에서 가열 혼합을 행하여,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얻었다. 또, 모노머 (A) 성분 및 모노머 (B) 성분의 굴절률은, 아베 굴절계[아타고사제, 품명「아베 굴절계 DR-M2」, Na 광원, 파장: 589nm]에 의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한 바, 각각 1.58 및 1.46이었다.Subsequently, o-phenylphenoxy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68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as the monomer (A) component to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etherurethane methacrylat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9,900 as the obtained monomer (B) component. After adding 100 parts by weight of ethoxyethyl acrylate (manufactured by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NK ester # A-LEN-10) and 10 parts by weight of 2-hydroxy-2-methylpropiophenone as the component (C) And heat-mixing were performed on the conditions of 80 degreeC, and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was obtained.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monomer (A) component and the monomer (B) component were measured according to JIS K0062 using an Abbe refractometer (manufactured by Atago Co., Ltd., product name "Abe refractometer DR-M2", Na light source, wavelength: 589 nm], respectively. 1.58 and 1.46.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3.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도포3. Application of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Film

이어서, 얻어진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로서의 필름상의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라 칭한다.)에 대해, 애플리케이터(applicator)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막두께 200㎛의 도포층을 얻었다.Next, the obtained composition for anisotropic light-diffusion films is apply | coated to the film-form transpar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enceforth PET) as a process sheet | seat using an applicator, and the coating layer of 200 micrometers of film thicknesses is applied. Got it.

4. 도포층의 광경화4. Photocuring of Coating Layer

(1) 제1의 자외선 조사(1)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이어서, 도 12(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선상의 고압 수은 램프에 집광용의 콜드 미러가 부속한 자외선 조사 장치(아이그래픽스(주)제, ECS-4011GX)를 준비했다.Subsequently, an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ECS-4011GX, manufactured by IGraphics Co., Ltd.) in which a cold mirror for condensing was attached to a linear high-pressure mercury lamp as shown in Fig. 12A was prepared.

이어서, 열선 컷트 필터 화상에 차광판을 설치하고, 도포층의 표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이, 선상의 자외선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때의 도포층 및 PET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법선 방향을 0°로 한 경우에, 램프로부터의 직접의 자외선의 조사 각도(도 12(b)의 θ3)가 -40°이 되도록 설정했다.Subsequently, when a light shielding plate is provided in a heat ray cut filter image, and the ultraviolet-ray irradiated to the surface of an application layer makes the normal direction of the laminated body which consists of an application layer and PET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ultraviolet lamp set to 0 degrees. Was set so that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ultraviolet rays directly from the lamp (θ3 in FIG. 12 (b)) was -40 °.

이 때, 도포층으로부터의 램프의 높이는 500mm로 하고, 피크 조도는 1.7mW/cm2이 되도록 설정했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lamp from the coating layer was set to 500 mm, and the peak illuminance was set to be 1.7 mW / cm 2 .

또한, 차광판 등에서의 반사광이, 조사기 내부에서 미광(迷光)이 되어, 도포층의 광경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컨베이어 부근에도 차광판을 마련하여, 램프로부터 직접 발해지는 자외선만이 도포층에 대해 조사되도록 설정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light shielding plate or the like from being stray inside the irradiator and affecting the photocuring of the coating layer, a light shielding plate is provided near the conveyor, and only ultraviolet rays emitted directly from the lamp are applied to the coating layer. Was set to be investigated.

이어서, 컨베이어를 따라, 도포층을 도 12(a)에 있어서의 우방향으로, 0.2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자외선을 조사했다.Next, the ultraviolet-ray was irradiated along the conveyor, moving the coating layer to the right direction in FIG. 12 (a) at the speed of 0.2 m / min.

(2) 제2의 자외선 조사 (2)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이어서, 선상 광원에 의한 제1의 자외선 조사 공정을 거친 후, 도포층의 노출면 측을 두께 38㎛의 자외선 투과성을 갖는 박리 필름(린텍(주)제, SP-PET382050)에 의해 라미네이트했다.Subsequently, after passing through the 1st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by a linear light source, the exposed surface side of the application layer was laminated by the release film (SP-PET382050 made by Lintec Co., Ltd.) which has the ultraviolet-ray permeability of 38 micrometers in thickness.

이어서, 자외선 스폿 광원(야마시타덴소(주)제, HYPERCURE 200)에 옵션의 균일 노광 어댑터를 부착함으로써 평행도를 2° 이하으로 한 장치를 사용하여, 평행광의 입사각이 40°가 되도록 박리 필름 너머로 조사함으로써, 총막두께 200㎛의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Subsequently, by attaching an optional uniform exposure adapter to an ultraviolet spot light source (HYPERCURE 200, manufactured by Yamashita Denso Co., Ltd.), using an apparatus having a parallelism of 2 ° or less, irradiating it over the release film so that the incident angle of parallel light is 40 °. And the light-diffusion film of 200 micrometers of total film thicknesses were obtained.

그 때의 평균조도는 5mW/cm2, 램프 높이는 800mm로 했다.The average illuminance at that time was 5 mW / cm 2 , and the lamp height was 800 mm.

또,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는, 정압 두께 측정기(호세이사쿠쇼(주)제, 테크락 PG-02J)를 사용하여 측정했다.In addition, the film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film was measured using the static pressure thickness measuring instrument (The Hosei Chemical Co., Ltd. product, Techlock PG-02J).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은,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 구조의 경사각이 -27°이며, 주상물의 경사각이 27°인 광확산 필름인 것을 확인했다.Moreover, as shown in FIG.14 (a), the obtained light-diffusion film confirmed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uver structure was -27 degre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lumnar object was a light-diffusion film with 27 degrees.

또, 이러한 도 14(a)는,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에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필름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Moreover, such FIG. 14 (a)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film at the time of cut | disconnecting to the surface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in a louver structure.

또한, 제1의 구조 영역의 막두께는 66㎛이며, 제2의 구조 영역의 막두께는 38㎛이었다.The film thickness of the first structural region was 66 µm,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was 38 µm.

나아가, 얻어진 광확산 필름의 단면 사진을, 도 15(a)?(b)에 나타낸다. 도 15(a)는,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에 수직인 면으로 필름을 절단한 경우의 단면 사진이며, 도 15(b)는, 도 15(a)에 있어서의 절단면에 대해 수직인 면으로 필름을 절단한 경우의 단면 사진이다.Furthermore, the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the obtained light-diffusion film is shown to FIG. 15 (a)-(b). (A)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at the time of cut | disconnecting a film to the surface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plate-shaped area | region in a louver structure, and FIG. 15 (b) is a surface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cut surface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at the time of cut | disconnecting a film.

5. 측정5. Measure

변각 측색계(스가시험기(주)제, VC-2)를 사용하여,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광확산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당해 필름에 대해, 입사각 θ1=60°로, 광을 입사시켰다(C 광원, 시야각 2°).As shown to Fig.14 (a) using an angle measuring colorimeter (made by Suga Tester Co., Ltd.), it is light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obtained light-diffusion film with respect to the said film at incident angle (theta) 1 = 60 degrees. Was incident (C light source, viewing angle 2 °).

이어서,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된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를 측정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도 14(c)에 나타내는 산포도의 종축의 값이 0°의 횡축상에 나타나 있다.Next, spread of the diffused light diffused by the light-diffusion film and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 were measured. This measurement result shows the value of the vertical axis | shaft of the scatter diagram shown to FIG. 14 (c) on the horizontal axis of 0 degree.

즉, 횡축의 값이 확산광의 퍼짐 각도(°)의 범위를 나타내고, 플롯의 색이 그 각도로 확산된 확산광의 명도(%)를 나타낸다.That is, the value of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range of the spreading angle (°) of the diffused light, and the color of the plot represents the brightness (%) of the diffused light diffused at that angle.

여기서, 플롯의 색과, 명도(%)와의 관계는, 플롯의 색이 적색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100%에 가까운 것을 나타내고, 플롯의 색이 녹색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50%에 가까운 것을 나타내며, 플롯의 색이 감색(紺色)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0%에 가까운 것을 나타낸다. 또, 상세에 대해서는 도 14(b)에 나타낸다.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of the plot and the brightness (%) indicates that the closer the color of the plot is to red, the closer the brightness is to 100%, and the closer the brightness of the plot is to the green, the closer the brightness is to 50%. , The closer the color of the plot is to dark blue, the closer the brightness is to 0%. In addition, it shows in detail in FIG.14 (b).

또한, 나아가, 입사광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에 관해서도 측정하기 위해, 광확산 필름의 면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1점을 중심으로 하여, 광확산 필름을 동일 평면 내에 있어서 -80?80°의 범위에서 회전시키면서, 마찬가지의 측정을 행했다. 또, 이러한 회전의 각도는, 상술한 측정시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회전의 각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광확산 필름을 20°회전시킨 경우의 측정 결과는, 도 14(c)에 나타내는 산포도의 종축의 값이 20°의 횡축 상에 나타나게 된다.Furthermore, in order to measure also the spread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incident light,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 the light-diffusion film is centered around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surface of the light-diffusion film. The same measurement was performed while rotating in the range of -80 to 80 ° in the same plane. In addition, the angle of such rotation means the angle of rotation at the time of making the angle of the light-diffusion film into 0 degree at the time of the above-mentioned measurement. For example, the measurement result at the time of rotating the light-diffusion film by 20 degrees will show the value of the vertical axis | shaft of the scatter diagram shown to FIG. 14 (c) on the horizontal axis of 20 degrees.

따라서, 도 14(c)에 나타내는 산포도의 경우, 예를 들면, 명도가 30% 이상의 확산광이 분포하는 영역은, 도 14(c)에 있어서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catter diagram shown in FIG. 14 (c), for example, a region where the light intensity of 30% or more is distributed is a region surrounded by a dotted line in FIG. 14 (c).

이어서, 14(d)?(k)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 θ1을, 각각 50°, 40°, 30°, 0°, -30°, -40°, -50°, -60°로 변경하고, 입사각 θ1=6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를 측정했다.Subsequently, as shown in 14 (d) to (k), the incident angles θ1 for the light diffusing film were respectively 50 °, 40 °, 30 °, 0 °, -30 °, -40 °, -50 °,- It changed to 60 degrees, and spread | dispersed the diffused light and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 was measured similarly to the case of incident angle (theta) 1 = 60 degrees.

6. 결과6. Results

도 14(c)?(k)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광확산 필름에서는, 입사광의 입사각 θ1=0°전후의 범위에서는, 광의 확산이 일어나기 어려워지지만, 입사각 θ1=30?60°의 범위에서는, 컬럼 구조 영역에 의한 등방성 광확산이 생기고, 입사각 θ1=-60?-30°의 범위에서는, 루버 구조 영역에 의한 이방성 광확산이 일어나고 있어, 2개의 구조 영역에 의한 광확산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유효하게 확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s. 14 (c) to (k), in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1, light diffusion is less likely to occur in the range around the incident angle θ1 = 0 ° of incident light, but the incident angle θ1 = 30 to 60 °. In the range, isotropic light diffusion by the column structure region occurs, and anisotropic light diffusion by the louver structure region occurs in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θ1 = -60? -30 °, and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dependency by the two structure regions.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can be effectively enlarged by shifting.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2에서는, 도포층을 경화시킬 때에, 제1의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의 θ3을 4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루버 구조의 경사각이 27°, 주상물의 경사각이 27°인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In Example 2, when hardening an application layer,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ta) 3 in 1st ultraviolet irradiation to 40 degre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uver structure is 27 degre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lumnar object is 27 degrees. The light-diffusion film as shown in FIG. 16 which was degrees was obtained.

또한,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 θ1을, 각각 25°, 35°, 45°, 55°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에 대해서 측정했다.In addition, spreading of diffused light and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 were measured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made incident angle (theta) 1 with respect to the light-diffusion film into 25 degrees, 35 degrees, 45 degrees, and 55 degrees, respectively.

그 결과,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에서는, 루버 구조 영역 및 컬럼 구조 영역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사 각도 의존성이 거의 겹쳐 있기 때문에,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입사각 θ1=25?55°의 범위라고 하는 비교적 좁은 범위로 되었다.As a result, in the light-diffusion film of Example 2, since the light-diffusion incidence angle dependence in the louver structure region and the column structure region almost overlaps, the light-diffusion incidence angle region is in the range of incidence angle θ1 = 25 to 55 °. It became a relatively narrow range.

그러나,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은, 후술하는 비교예1 및 2와 비교하여 확산광의 균일성이 높고, 비교예3 및 4와 비교하여 입사광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이 큰 것이 확인되었다.However, the light-diffusion film of Example 2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of diffused light was high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mentioned later, and the spread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incident light was large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It became.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3에서는, 제1의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의 θ3을 40°로 변경하고, 제2의 자외선 조사의 평행광의 입사각을 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루버 구조의 경사각이 27°, 주상물의 경사각이 0°의 도 17(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In Example 3,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uver structure is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θ3 in the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is changed to 40 ° and the incident angle of parallel light in the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is changed to 0 °. The light-diffusion film as shown in FIG. 17 (a) of this inclination angle of 27 degrees and columnar objects was obtained.

또한, 도 17(b)?(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 θ1을, 각각 0°, 10°, 20°, 30°, 40°, 50°, 60°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에 대해서 측정했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 17 (b) (h), except that the incident angles (theta) 1 with respect to a light-diffusion film were 0 degree, 10 degree, 20 degree, 30 degree, 40 degree, 50 degree, 60 degree, respectively, It measured about spread of diffused light and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 similarly to Example 1.

그 결과, 도 17(b)?(h)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3의 광확산 필름에서는, 입사광의 입사각 θ1=20°전후에서는, 광의 확산이 일어나기 어려워지지만, 입사각=0?10°의 범위에서는, 컬럼 구조 영역에 의한 등방성 광확산이 생기고, 입사각 θ1=30?60°의 범위에서는, 루버 구조 영역에 의한 이방성 광확산이 일어나고 있어, 2개의 구조 영역에 의한 광확산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유효하게 확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7 (b)-(h), in the light diffusing film of Example 3, the diffusion of light hardly occurs after the incident angle θ1 = 20 ° of the incident light, but the incident angle = 0-10 °. In the range of, isotropic light diffusion by the column structure region occurs, and anisotropic light diffusion by the louver structure region occurs in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θ1 = 30 to 60 °, and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dependency by the two structure regions By shifting,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can be effectively enlarged.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4에서는, 제1의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의 θ3을 40°로 변경하고, 제2의 자외선 조사의 평행광의 입사각을 2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루버 구조의 경사각이 27°, 주상물의 경사각이 14°의 도 18(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In Example 4,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uver structure is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θ3 in the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is changed to 40 ° and the incident angle of parallel light in the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is changed to 20 °. The light-diffusion film as shown in FIG. 18 (a) of this inclination angle of this 27 degrees and columnar objects was obtained.

또한, 도 18(b)?(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 θ1을, 각각 5°, 15°, 25°, 35°, 45°, 55°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에 대해서 측정했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18 (b)-(g), Example 1 except having made incident angle (theta) 1 with respect to a light-diffusion film into 5 degrees, 15 degrees, 25 degrees, 35 degrees, 45 degrees, 55 degrees, respectively. Similarly, it measured about spread of diffused light and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

그 결과, 도 18(b)?(g)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4의 광확산 필름에서는, 입사광의 입사각 θ1=5?25°의 범위에서는, 컬럼 구조 영역에 의한 등방성 광확산이 생기고, 입사각 θ1=25?55°의 범위에서는, 루버 구조 영역에 의한 이방성 광확산이 일어나고 있어, 2개의 구조 영역에 의한 광확산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어긋나게 하면서도 일부 중복시킴으로써,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유효하게 확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8B and 18G, in the light diffusing film of Example 4, isotropic light diffusion by the column structure region occurs in the range of incident angle θ1 = 5 to 25 ° of incident light. In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θ1 = 25 to 55 °, anisotropic light diffusion by the louver structure region occurs, and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is effectively overlapped by partially overlapping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dependency by the two structure regions.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enlarged.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1에서는, 제1의 자외선 조사를 행하지 않고, 제2의 자외선 조사의 평행광의 입사각을 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 및 제2의 구조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 전체에 경사각이 0°의 컬럼 구조만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In Comparative Example 1,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except that the incident angle of the parallel light of the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was changed to 0 ° without performing the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A light-diffusion film having only a column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0 ° was obtained in the entir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nd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또한, 도 19(b)?(j)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 θ1을, 각각 20°, 15°, 10°, 5°, 0°, -5°, -10°, -15°, -20°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에 대해서 측정했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19 (b)-(j), the incident angles (theta) 1 with respect to a light-diffusion film are 20 degrees, 15 degrees, 10 degrees, 5 degrees, 0 degrees, -5 degrees, -10 degree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15 ° and -20 ° was measured for the spread of diffused light and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그 결과, 도 19(b)?(j)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1의 광확산 필름에서는, 컬럼 구조만을 갖기 때문에,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θ1=-15?15°의 범위라고 하는 비교적 좁은 범위로 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9 (b) and (j), since the light diffus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has only a columnar structure,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is in the range of θ1 = -15 to 15 °. It became a relatively narrow range.

또한, 확산광의 중심부가, 그 밖의 부분과 비교하여 특히 명도가 높고, 확산광의 균일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Moreover, it turns out that the center part of diffused light is especially high in brightness compared with other parts, and the uniformity of diffused light is low.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2에서는, 제1의 자외선 조사를 행하지 않고, 제2의 자외선 조사의 평행광의 입사각을 40°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 및 제2의 구조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 전체에 경사각이 27°의 컬럼 구조만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In Comparative Example 2, as shown in FIG. 20 (a),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except that the incident angle of parallel light of the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was changed to 40 ° without performing the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A light-diffusion film having only a column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27 ° was obtained in the entir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al region and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또한, 도 20(b)?(k)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 θ1을, 각각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에 대해서 측정했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 20 (b) (k), the incident angles (theta) 1 with respect to a light-diffusion film are 15 degrees, 20 degrees, 25 degrees, 30 degrees, 35 degrees, 40 degrees, 45 degrees, 50 degree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55 degrees and 60 degrees was measured about spread of diffused light and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 similarly to Example 1.

그 결과, 도 20(b)?(k)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2의 광확산 필름은, 컬럼 구조만을 갖기 때문에,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θ1=25?60°의 범위라고 하는 비교적 좁은 범위로 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20 (b) and (k), since the light diffus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has only a columnar structure,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is in the range of θ1 = 25 to 60 °. It became a relatively narrow range.

또한, 확산광의 중심부가, 그 밖의 부분과 비교하여 특히 명도가 높고, 확산광의 균일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Moreover, it turns out that the center part of diffused light is especially high in brightness compared with other parts, and the uniformity of diffused light is low.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3에서는, 제1의 자외선 조사의 θ3을 0°로 변경하고, 제2의 자외선 조사를 행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경사각이 0°의 루버 구조 영역과, 그 상방에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In Comparative Example 3, except that θ3 of the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was changed to 0 ° and the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was not performed, as in Example 1, as shown in FIG. The light-diffusion film which has the louver structure area | region of 0 degree and the louver structure unformed area | region above it was obtained as an inclination-angle as a structure area | region.

또한, 도 21(b)?(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 θ1을, 각각 20°, 15°, 10°, 5°, 0°, -5°, -10°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확산광의 퍼짐과, 그 명도(%)의 분포에 대해서 측정했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21 (b)-(h), the incident angles (theta) 1 with respect to a light-diffusion film were made into 20 degrees, 15 degrees, 10 degrees, 5 degrees, 0 degrees, -5 degrees, and -10 degrees, respectively. Others were measured about spread of diffused light and distribution of the brightness (%) similarly to Example 1.

그 결과, 도 21(b)?(h)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3의 광확산 필름은, 루버 구조만을 갖기 때문에, 광확산 각도 영역이, θ1=-5?15°의 범위로 하는 비교적 좁은 범위로 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21 (b)-(h), the light diffus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3 has only a louver structure, so that the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is in the range of θ1 = -5 to 15 °. It became a relatively narrow range.

또한, 확산광의 이방성이 크고, 입사광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Moreover, it turns out that the anisotropy of diffused light is large and spread of diffused l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incident light becomes small.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4에서는, 제1의 자외선 조사의 θ3을 40°로 변경하고, 제2의 자외선 조사를 행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경사각이 27°의 루버 구조 영역과, 그 상방에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In Comparative Example 4, the first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in Example 1 except that θ3 of the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is changed to 40 ° and the second ultraviolet irradiation is not performed. As shown in FIG. The light-diffusion film which has a louver structure area | region of 27 degrees as an area | region, and the louver structure unformed area | region above it was obtained.

또한, 도 22(b)?(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 θ1을, 각각 25°, 30°, 35°, 40°, 45°, 50°, 55°, 60°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했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22 (b)-(i), the incident angles (theta) 1 with respect to a light-diffusion film are 25 degrees, 30 degrees, 35 degrees, 40 degrees, 45 degrees, 50 degrees, 55 degrees, and 60 degrees, respectively. The other one manufactured the light-diffusion film similarly to Example 1.

또한, 도 22(b)?(i)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4의 광확산 필름은, 루버 구조만을 갖기 때문에, 광확산 각도 영역이, θ1=30?60°라고 하는 비교적 좁은 범위로 되었다.22 (b) to (i), since the light diffus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4 has only a louver structure, the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is in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θ1 = 30 to 60 °. It became.

또한, 확산광의 이방성이 크고, 입사광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퍼짐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Moreover, it turns out that the anisotropy of diffused light is large and spread of diffused l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incident light becomes small.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루버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컬럼 구조 영역을, 막두께 방향을 따라 상하에 마련함으로써,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광확산 필름을 얻어지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ood incidence is provided by providing a louver structure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a column structure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n addition to having angle dependence, a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wide light diffusing incident angle region was obtained.

 따라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 등은, 반사형 액정 장치에 있어서의 광제어막 외, 시야각 제어 필름, 시야각 확대 필름, 나아가서는 프로젝션용 스크린에도 제공할 수 있어, 이들의 고품질화에 현저하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Therefore, the light 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not only in the light control film in the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evice but also in the viewing angle control film, the viewing angle magnification film, and the projection screen, which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high quality thereof. It is expected.

1 … 도포층, 2 … 공정 시트, 10 … 제1의 구조 영역(이방성 광확산 필름), 12 …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판상 영역(고굴절률부), 13 … 루버 구조 영역, 13' … 루버 구조의 경계면, 14 …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판상 영역(저굴절률부), 20 … 제2의 구조 영역(등방성 광확산 필름), 22 … 주상물(柱狀物), 24 … 주상물 이외의 부분, 30 … 광확산 필름, 50 … 활성 에너지선, 120 … 자외선 조사 장치, 121 … 열선 컷트 필터, 122 … 콜드 미러, 123 … 차광판, 125 … 선상의 자외선 램프, 100 …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101 … 편광판, 102 … 위상차판, 103 … 광확산판, 104 … 유리판, 105 … 컬러 필터, 106 … 액정, 107 … 경면(鏡面) 반사판, 108 … 유리판, 110 … 액정셀, 202 … 점 광원, 204 … 렌즈, 206 … 선상(線狀)의 자외선 램프, 208 … 통상물, 210 … 통상물의 집합체One … 2 coating layer; Process sheet, 10... First structural region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12... A plate region (high refractive index por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13. Louver structure region, 13 '... 14 boundary surface of louver structure; A plate region (low refractive index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20... Second structural region (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22... Columnar, 24... 30 parts other than columnar items; Light diffusing film, 50... Active energy ray;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121. Hot wire cut filter, 122. Cold mirror, 123... Light shielding plate; UV lamp on board, 100...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101. Polarizer 102. Retardation plate, 103. Light diffusion plate, 104. Glass plate, 105. Color filter 106. Liquid crystal, 107... Mirror reflector, 108. Glass plate, 110... Liquid crystal cell, 202. Point light source, 204... Lens, 206. Ultraviolet ray lamp, 208... Ordinary material, 210... A collection of ordinary products

Claims (9)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1의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2의 구조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구조 영역이,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을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louver) 구조 영역이며,
상기 제2의 구조 영역이, 매체물 중에 당해 매체물과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물(柱狀物)을 임립(林立)시켜 이루어지는 컬럼 구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A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first structural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a second structural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The first structural region is a louver structural region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n parallel along the film plane direction,
The second structure region is a column structure region formed by standing a plurality of columnar objects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at of the medium in the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의 폭을, 각각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과 함께, 당해 판상 영역을 막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으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e width of the plate region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1 to 15 µm, respectively, and the plate region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Light diffusion film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 중,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의 주성분이,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이며,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의 주성분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structural region, the main component of the plate-shaped region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s a polymer of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among the plate-shaped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the main component of the plate-shaped region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is It is a polymer of urethane (meth) acrylate, The light-diffusion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5?49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aid 1st structural region is made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495 micrometers, The light-diffusion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상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을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과 함께, 주상물 간의 거리를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복수의 주상물을 막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으로 임립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aid 2nd structural area | region, while making the maximum diameter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aid columnar object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1-15 micrometers, the distance between columnar objects is made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0.1-15 micrometers, A light-diffusion film characterized by forming a plurality of columnar objects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구조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상물의 주성분이,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이며, 상기 매체물의 주성분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the main component of the columnar product is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and the main component of the medium is urethane (meth) acry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구조 영역의 두께를 5?49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aid 2nd structural area | region is made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5-495 micrometers, The light-diffusion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입사광을 이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1의 구조 영역과,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기 위한 제2의 구조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 (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a)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
(b) 상기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에 대해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도포층에 대해 제1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하고, 상기 도포층의 하방 부분에 제1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을 필름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 영역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도포층의 상방 부분에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을 남기는 공정
(d) 상기 도포층에 대해,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더 행하고, 상기 루버 구조 미형성 영역에 제2의 구조 영역으로서의 매체물 중에 당해 매체물과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주상물을 임립시켜 이루어지는 컬럼상 구조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diffusion film having a first structural region for an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and a second structural region for isotropically diffusing incident ligh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film containing following process (a)-(d).
(a) process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b) Process of apply | coating the said composition for light-diffusion films with respect to a process sheet, and forming an application layer
(c) Louver formed by irradiating a first active energy ray with respect to the said application layer, and arrange | positioning several plate-shaped area | regions from which the refractive index as a 1st structural area | region differs in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film surface direction below the said application layer. Forming a structural region and leaving the louver structure unformed reg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ating layer.
(d) further irradiating a second active energy ray to the coating lay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columnar objects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at of the medium in the medium as the second structural region in the louver structure unformed region. Process of forming columnar structural reg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로서, 평행도가 10° 이하의 값인 평행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s said 2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arallel light with a parallelism 10 value or less is irradiat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diffusion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110132900A 2010-12-16 2011-12-12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301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0010 2010-12-16
JP2010280010 2010-12-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54A Division KR101883941B1 (en) 2010-12-16 2017-11-01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940A true KR20120067940A (en) 2012-06-26
KR101830176B1 KR101830176B1 (en) 2018-02-20

Family

ID=464117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900A KR101830176B1 (en) 2010-12-16 2011-12-12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170144654A KR101883941B1 (en) 2010-12-16 2017-11-01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54A KR101883941B1 (en) 2010-12-16 2017-11-01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60979B2 (en)
KR (2) KR101830176B1 (en)
CN (1) CN102565894B (en)
TW (1) TWI537611B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361A1 (en) * 2012-11-29 2014-06-05 株式会社巴川製紙所 Anisotropic optical film
KR20160000454A (en) * 2013-04-30 2016-01-0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Display optical-diffusion film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60040172A (en) * 2013-08-05 2016-04-12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KR20160111961A (en) * 2014-01-21 2016-09-27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Anisotropic optical film
KR20160137964A (en) * 2014-03-28 2016-12-02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Anisotropic optical film
KR20170066323A (en) * 2014-10-01 2017-06-1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Optical diffusio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iffusion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210A1 (en) * 2012-04-17 2013-10-24 日本電気株式会社 Diffusion element, optical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projection device
JP5999992B2 (en) * 2012-06-15 2016-09-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diffusion film
JP2014038171A (en) * 2012-08-14 2014-02-27 Daicel Corp Anisotropic light-diffusing laminate and projector screen
KR102058471B1 (en) * 2012-12-27 2020-02-0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Light diffusion film
JP6047009B2 (en) * 2012-12-27 2016-12-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diffusion film
JP6047010B2 (en) * 2012-12-27 2016-12-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diffusion film
WO2014156304A1 (en) * 2013-03-29 2014-10-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film, and light diffusion film
CN105074508B (en) * 2013-03-29 2018-06-22 琳得科株式会社 The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iffusion film and optical diffusion film
WO2014156420A1 (en) * 2013-03-29 2014-10-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Light diffusion film and light diffus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JP6307497B2 (en) * 2013-04-30 2018-04-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Light diffusion film for displa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6144170B2 (en) * 2013-09-30 2017-06-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Transflective display
JP6227994B2 (en) * 2013-12-12 2017-11-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TW201702056A (en) * 2015-03-31 2017-01-16 巴川製紙所股份有限公司 Method of producing anisotropic optical film
JP2015222441A (en) * 2015-08-10 2015-12-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Anisotropic optical film
JP2017227901A (en) * 2016-06-21 2017-12-28 日華化学株式会社 Reflective screen, reflective screen sheet, and video imag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JP6955884B2 (en) * 2017-03-31 2021-10-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Projection screen
JP6955885B2 (en) * 2017-03-31 2021-10-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Projection screen
KR102283948B1 (en) * 2017-08-01 2021-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N109521505B (en) * 2017-09-20 2020-12-22 苏州大学 Optical absorption multilayer film
JP6725590B2 (en) * 2018-05-24 2020-07-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Light diffus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diffusing film
JP7245004B2 (en) * 2018-06-20 2023-03-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Light diffusion control laminate and reflective display
KR20210145764A (en) * 2019-03-29 2021-12-02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Light-diffusion film laminate for reflective display device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using same
JP7446738B2 (en) * 2019-08-20 2024-03-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Light diffusion controller and reflectiv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2521B2 (en) * 1988-09-01 1998-01-2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control plate
JPH02291503A (en) * 1989-05-02 1990-12-03 Tokumasa Saruwatari Combination of high-refractive medium and low-refractive medium of ray refractive dispersion plate
JP3712833B2 (en) * 1996-12-25 2005-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JP3480260B2 (en) * 1997-09-01 2003-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0275408A (en) * 1999-03-24 2000-10-06 Toppan Printing Co Ltd Light scattering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484330B2 (en) * 1999-09-21 2010-06-1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Anisotropic light scattering film
JP4156222B2 (en) * 2000-10-25 2008-09-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Surface light source unit and transmissiv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317006B2 (en) * 2001-05-28 2009-08-19 株式会社巴川製紙所 Light diffusion film having controlled scattering characteristics, optical element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3043216A (en) * 2001-07-30 2003-02-13 Toppan Printing Co Ltd Scattering anisotropic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813705B2 (en) * 2001-09-17 2011-11-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2003202415A (en) * 2001-12-28 2003-07-18 Clariant Internatl Ltd Optical film with controlled scattering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WO2003062874A1 (en) * 2002-01-23 2003-07-31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compensation plate and deflecting plate using the same
JP2005227566A (en) * 2004-02-13 2005-08-25 Seiko Instruments Inc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JP4095573B2 (en) * 2004-03-31 2008-06-04 株式会社巴川製紙所 Method for producing anisotropic diffusion medium
JP4749011B2 (en) * 2004-04-09 2011-08-17 直史 山内 Screen and image projection system using the same
JP2005326551A (en) * 2004-05-13 2005-11-24 Seiko Instruments Inc Image display device
JP4704737B2 (en) * 2004-11-05 2011-06-22 直史 山内 Screen, image project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creen
CN100580480C (en) * 2005-03-28 2010-01-13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JP4802707B2 (en) * 2005-05-17 2011-10-26 住友化学株式会社 Light control film
CN100570407C (en) * 2006-07-12 2009-12-16 宣茂科技股份有限公司 The structure of reflection type polarizing diffusion film and method for making
JP5247117B2 (en) * 2006-10-31 2013-07-24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Molded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0837392A (en) * 2006-10-31 2008-09-16 Tomoegawa Co Ltd Anisotropic diffusing film, display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239757A (en) 2007-03-27 2008-10-09 Sumitomo Chemical Co Ltd Photo-setting composition and light-controlling membrane produced by curing the same
JP2008256930A (en) 2007-04-04 2008-10-23 Mitsubishi Rayon Co Ltd Reflection type projection screen
JP2009037127A (en) * 2007-08-03 2009-02-19 Mitsubishi Rayon Co Ltd Optical low-pass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32987B1 (en) * 2007-11-30 2015-07-0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olyester film,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me, and area light source, solar battery back-sheet and solar battery each comprising the same
JP2009173018A (en) 2007-12-27 2009-08-06 Sumitomo Chemic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control film
EP2315058A4 (en) * 2008-08-07 2014-07-02 Toyo Boseki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anisotropic light-diffusing laminate, anisotropic light-reflecting laminate, and uses thereof
JP2010170076A (en) * 2008-08-07 2010-08-05 Toyobo Co Ltd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and anisotropic light-diffusing laminate and anisotropic light-reflecting laminate
JP2010044320A (en) 2008-08-18 2010-02-25 Daicel Chem Ind Ltd Light control film and back light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0113741A1 (en) * 2009-03-30 2010-10-07 東洋紡績株式会社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multilayer sheet of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361A1 (en) * 2012-11-29 2014-06-05 株式会社巴川製紙所 Anisotropic optical film
KR20160000454A (en) * 2013-04-30 2016-01-0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Display optical-diffusion film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60040172A (en) * 2013-08-05 2016-04-12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KR20160111961A (en) * 2014-01-21 2016-09-27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Anisotropic optical film
KR20160137964A (en) * 2014-03-28 2016-12-02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Anisotropic optical film
KR20170066323A (en) * 2014-10-01 2017-06-1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Optical diffusio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iffusion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65894A (en) 2012-07-11
CN102565894B (en) 2015-12-02
TW201226999A (en) 2012-07-01
JP2012141593A (en) 2012-07-26
KR101883941B1 (en) 2018-07-31
TWI537611B (en) 2016-06-11
KR101830176B1 (en) 2018-02-20
KR20170126422A (en) 2017-11-17
JP5960979B2 (en)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941B1 (en)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JP5324728B1 (en) Method for producing light diffusion film and light diffusion film
KR102115852B1 (en) Display optical-diffusion film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JP6140081B2 (en)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JP599999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diffusion film
KR20120067289A (en) Composition for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and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JP6126802B2 (en) Light diffusion film
KR102058471B1 (en) Light diffusion film
WO2014156303A1 (en)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film, and light diffusion film
KR102000510B1 (en) Producing method for light diffusion film
JP5912767B2 (en)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JP606379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diffusion film
JP588362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diffusion film
KR20120067290A (en) Composition for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and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JP6037822B2 (en) Method for producing light diffusion film and light diffusion film
JP2013148712A (en) Composition for light-diffusing film, and light-diffusing film
JP2013210408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JP2016048290A (en) Polygonal light diffus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709735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diffusion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