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172A - 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 Google Patents

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172A
KR20160040172A KR1020167001507A KR20167001507A KR20160040172A KR 20160040172 A KR20160040172 A KR 20160040172A KR 1020167001507 A KR1020167001507 A KR 1020167001507A KR 20167001507 A KR20167001507 A KR 20167001507A KR 20160040172 A KR20160040172 A KR 20160040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ilm
light diffusion
angle
diffus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7130B1 (en
Inventor
바쿠 가타기리
사토루 쇼시
겐타로 구사마
도모오 오루이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1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6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with positional variation of the diffusing properties, e.g. gradient or patterned diff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3Optical louvre elements, e.g. for directional light bloc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반사판과,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있어서, 사용하는 광확산 필름을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 함에 의해,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휘도의 균일성이 뛰어난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공한다. 반사판과,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로서, 광확산 필름이, 필름 내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영역을 구비한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이다.By using the light diffusion film to be used as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i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formed by laminating the reflection plate and the light diffusion film, even if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changes, Provided is an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which can stably maintain a uniform luminance of display light within a viewing angle. A reflection plate and a light diffusion film, wherein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n optical diffusion film having an interna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a region where the refractive index is relatively low in the film.

Description

외광 이용형 표시체{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사해 오는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표시 기능을 발휘하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which exhibits a predetermined display function by using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특히,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휘도의 균일성이 뛰어난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which can stably maintain a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 even when an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changes, and is excellent in uniformity of luminance of display light within a viewing angle.

종래, 광확산 특성을 갖는 면이나 경면 반사면에 대하여 문자나 화상을 인쇄하거나, 혹은, 이들 면에 대하여 문자나 화상을 인쇄한 투명 혹은 반투명의 필름을 첩합하거나 하여 이루어지는 외광 이용형의 표시체(이하, 외광 이용형 표시체라고 함)가, 간판이나 표지로서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an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isplay body ") which is formed by printing characters or images on a surface or a specular reflection surface having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r by bonding transparent or translucent films printed with characters or images on these surfaces , An external light-use display body) is used as a signboard or a cover.

이러한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태양 직사광이나 확산 천공광, 혹은, 건조물, 노면, 수목 등으로부터의 2차적 산란광과 같은 외광을 광원으로서 이용하여, 소망의 표시광을 산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Such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external light such as direct sunlight, diffused perforated light, or secondary scattered light from a dried object, road surface, tree or the like is used as a light source to scatter and emit a desired display light.

또한, 이러한 외광 이용형 표시체로서는, 소망의 도안 등이 인쇄된 장식층의 전면(前面)에, 수지 중에 미립자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예를 들면, 특허문헌 1)나, 프리즘, 코너 큐브 어레이, 마이크로 비드 등을 사용한 재귀성 반사면의 전면에, 소망의 도안 등이 인쇄된 장식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재귀 반사성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예를 들면, 특허문헌 2)가 알려져 있다.As such an 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an external-light-use display body (for example,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1), a retroreflective external light-use type display body (for example,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Publication 2) are known.

즉, 특허문헌 1에는, 도 62(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편면에 요철이 형성된,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헤이즈율이 20% 이하의 투광판으로 이루어지는 간판용 전면판(301)으로서, 요철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가 0.2∼0.7㎛이며, 또한 10점 평균 거칠기가 1∼7㎛이며, 투광판이, 투명 기판(302)과, 당해 투명 기판(302)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 일체화된 광확산층(303)으로 구성되고, 당해 광확산층(303)의 표면이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용 전면판(301), 및, 이러한 간판용 전면판(301)의 배면 측에 표시체(320)가 배치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이 개시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62 (a) and 62 (b), th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ignboard front surface As the plate 301, the central line average roughness of the uneven surface is 0.2 to 0.7 占 퐉, the 10-point average roughness is 1 to 7 占 퐉, and the translucent plate has the transparent substrate 302, A sign board front face plate 301 comprising a light diffusing layer 303 laminated and integrated on both sides and having an uneven surfa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303; And the display body 32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body 320. [

또한, 상술한 광확산층으로서는, 합성 수지 중에 수지 입자(광확산재)가 분산된 구성인 것이 개시되어 있다.Further, as the light-diffusing layer described above, it is disclosed that a resin particle (light diffusion material) is dispersed in a synthetic resin.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도 6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귀 반사 큐브 코너 시트재(424)로서, 관찰 표면과, 평행한 홈군의 적어도 2개의 교차하는 세트에 의해 획정되는 복수의 큐브 코너 요소를 구비한 구조화 표면(435)과, 당해 큐브 코너 요소의 적어도 몇 개의 위에 배치된 금속 필름(430)을 갖는 큐브층(432)과, 전면과 당해 큐브층(432)의 당해 관찰 표면에 접합된 후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오버레이층(434)과, 당해 오버레이층(434)에 배치된 착색 표시(416)를 구비하고, 당해 착색 표시(416)가 당해 홈군의 적어도 1개의 세트에 대하여 정렬 배치되는, 재귀 반사 큐브 코너 시트재(424)가 개시되어 있다.62 (c), as th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 material 424, a plurality of cube corners defined by at least two intersecting sets of the observation surface and parallel grooves, A cube layer 432 having a metallic film 430 disposed on at least some of the cube corner elements and a cube layer 432 having a junction with the front and the surface of the cube layer 432, And a color indication (416) disposed in the overlay layer (434), wherein the color indication (416) is arranged in at least one of the set of recesses A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 material 424 is disclosed.

또한, 상술한 착색 표시가 확산 반사성인 것이 개시되어 있다.It is also disclosed that the above-mentioned colored display is diffuse-reflective.

일본국 특개2001-109414호 공보(특허청구범위)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09414 (claims) 일본국 특표2003-531396호 공보(특허청구범위)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3-531396 (claims)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간판용 전면판을 사용한 간판의 경우, 표시광의 출사각은, 외광의 입사각에 단순하게 의존할 뿐이므로,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했을 경우에,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보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ignboard using the front panel for signboar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outgoing angle of display light merely depends on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when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changes, And it became difficult to maintain it.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간판용 전면판을 사용한 간판에 있어서의 광확산 특성은, 가우스 분포형의 광확산 특성이기 때문에,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휘도의 균일성이 낮아지고, 특히 표시체가 대면적인 경우에는, 표시광의 휘도 불균일이 현저해진다는 문제가 보였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diffusion property of the signboard using the signboard front pane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a Gaussian distribution type light diffusion property, the uniformity of brightness of the display light in the viewing angle is lowered,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brightness unevenness of the display light becomes remarkable.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재귀 반사 큐브 코너 시트재의 경우에는, 표시광을, 입사해 온 외광의 광원을 향하여 출사하게 되므로,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했을 경우에,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보였다.In the case of th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 materia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since the display light is emitted toward the light source of incident external light, when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changes, as in Patent Document 1,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stably.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의 재귀 반사 큐브 코너 시트재는, 표시광을, 입사해 온 외광의 광원을 향하여 출사하게 되므로, 특히 표시체가 대면적인 경우에는, 표시광의 휘도 불균일이 현저해질뿐만 아니라, 충분한 시야각을 얻는 것마저 할 수 없다는 문제가 보였다.In addition, since th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 materia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emits display light toward a light source of incident external light, 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body is wide, the brightness unevenness of the display light becomes remarkable, I could not even get a viewing angle.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의 재귀 반사 큐브 코너 시트재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제조 비용의 점에서도 문제를 갖고 있었다.Further, th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 materia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has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is not easy to manufacture, and has a problem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휘도의 균일성이 뛰어난 외광 이용형 표시체가 요구되고 있었다.Therefore, even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external light change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device which can stably maintain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s and is excellent in uniformity of brightness of display light within a viewing angle.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예의 노력한 바, 반사판과,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있어서, 사용하는 광확산 필름을, 필름 내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영역을 구비한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 함에 의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In view of the abov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ade an effort to provide a light diffusing film to be used in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formed by laminating a reflection plate and a light diffusion film in a region where the refractive index is relatively low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providing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n interna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with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the light diffusion film.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휘도의 균일성이 뛰어난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which can maintain a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 even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external light changes, and is excellent in uniformity of brightness of display light within a viewing angle.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판과,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로서, 광확산 필름이, 필름 내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영역을 구비한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가 제공되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comprising a reflection plate and a light diffusion film laminated, where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s an interna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in the film A light-diffusing film and an external light-utilizing type display body characterized by being a light-diffusing film, whereby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즉,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이면, 사용하는 광확산 필름을,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 하고 있으므로, 광범위한 각도로부터 입사해 오는 외광을, 효율적으로 표시광으로서 소정의 방향에 확산 출사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light diffusion film to be used is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a wide angle can be effectively diffused You can go out.

따라서,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external light changes,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s can be stab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이면,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이, 단순한 가우스 분포형의 광확산 특성이 아니며, 확산광의 휘도의 균일성이 뛰어난 광확산 특성을 가지므로,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휘도의 균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diffusion property of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is not a simple Gaussian distribution type light diffusion property, and the light diffusion property having excellent uniformity of diffused light brightness Therefore, the uniformity of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light within the viewing angl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구성하기에 있어서, 반사판과 광확산 필름의 사이, 또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반사판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에 장식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decorative layer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reflection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reflection plate and the light diffusion film or between the reflection plate and the light diffusion film when constructing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효과에 의해, 장식층에 의한 소망의 표시 내용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성이 뛰어난 표시광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By such a constitution,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changes, the desired display content by the decorative layer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 a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 by the effect of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the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It can be displayed as display light with excellent uniformity of luminance in the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구성하기에 있어서,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주상물을 필름 막두께 방향에 임립(林立)시켜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 및,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을 필름면(필름의 단면 이외의 면을 의미한다. 이하에 있어서 동일)에 따른 임의의 한 방향에 교호(交互)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 혹은 어느 한 쪽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constructing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lumnar bodie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re immersed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late-shaped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are arranged alternately in any one direction along the film surface (which means surfaces oth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film, hereinafter the same) A louver structure, or a structure of either one.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일정한 표시 특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external light changes,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within the viewing angle can be further improved while the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 is stab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구성하기에 있어서,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칼럼 구조인 경우에, 광확산 필름이 단일층의 광확산 필름으로서,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가 60∼700㎛의 범위 내의 값이며, 또한,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을,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막상으로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층을 광경화할 때의 당해 도포층의 이동 방향을 따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각 입사각에 대한 헤이즈값이 70% 이상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 column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 single-layer light diffusion film, And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with respect to the normal to the film surface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700 to -700 탆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ed layer when the coated layer formed by coating the composition for the l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haze value with respect to each incident angle is 70% or more.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사용하는 광확산 필름이, 소정의 막두께를 갖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광확산 필름이므로, 복수의 광확산 필름을 적층시켰을 경우와 비교하여, 첩합 공정을 줄일 수 있고, 경제적으로 유리할 뿐만 아니라, 표시광에 있어서의 흐림의 발생이나 층간 박리의 발생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By such a constitution, since the light-diffusing film to be used is a light-diffusing film composed of a single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film thickness, the bonding process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light-diffusing films are laminated, The occurrence of fogging in the display light and the occurrence of delamination between layers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한편, 당해 광확산 필름이, 내부 구조로서 칼럼 구조를 가짐과 함께,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가지므로, 필름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각도로부터 입사해 오는 외광을, 효율적으로 표시광으로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ight-diffusing film has a columnar structure as an internal structure and has a predetermined light-diffusing propert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ransmit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a wide angle, The light can be diffused and emitted to the front face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또, 「단일층」이란, 복수매의 광확산 필름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1매의 광확산 필름 내에 내부 구조가 복수층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단일층」에 포함된다.The "single layer" means that a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films are not laminated, and a case where a plurality of internal structures are formed in one light diffusion film is also included in the "single layer".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구성하기에 있어서,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루버 구조인 경우에, 광확산 필름이 제1 루버 구조 및 제2 루버 구조를, 필름 막두께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순차로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예각 θ1을 10∼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has a louver structure, the light diffusion film is divided into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second louver structu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cute angle &thetas; 1 betwee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region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region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is 10 To 90 [deg.].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사용하는 광확산 필름이, 내부 구조로서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임과 함께,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을, 소정의 각도로 교차시켜서 이루어지므로, 외광의 방위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효율적으로 표시광으로서 소정의 방향에 확산 출사할 수 있다.With such a constitution, the light diffusion film to be used is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as an internal structure,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late-like area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plat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ffuse and emit display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in the azimuth direction of the external light changes.

도 1(a)∼(c)는,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2(a)∼(c)는,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3(a)∼(c)는, 종래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4(a)∼(c)는, 종래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다른 도면.
도 5(a)∼(b)는,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6(a)∼(b)는,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의존성 및 등방성 광확산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7(a)∼(b)는,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8(a)∼(b)는,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의존성 및 이방성 광확산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9(a)∼(c)는,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10(a)∼(c)는,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을 예로 들어,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과,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확산 출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11(a)∼(c)는,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을 예로 들어,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과,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확산 출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다른 도면.
도 12(a)∼(c)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과,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확산 출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13(a)∼(c)는, 소정의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과,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확산 출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다른 도면.
도 14(a)∼(b)는,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소정의 광확산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15(a)∼(b)는, 칼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16(a)∼(b)는,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각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17(a)∼(d)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18은,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다른 도면.
도 19(a)∼(c)는,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소정의 광확산 필름의 기본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20은, 루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21(a)∼(c)는,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22(a)∼(e)는,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입사광의 확산 면적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23(a)∼(e)는,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입사광의 확산 면적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사진.
도 24(a)∼(d)는,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각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25(a)∼(b)는, 선상 광원을 사용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26(a)∼(b)는,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27은, 선상 광원을 사용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다른 도면.
도 28(a)∼(d)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 외의 광확산 필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29(a)∼(b)는, 필름 내에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30(a)∼(c)는, 방위각 방향마다의 입사 각도폭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31(a)∼(b)는,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다른 도면.
도 32는, 실시예1의 광확산 필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33(a)∼(b)는, 실시예1의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단면의 양자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34(a)∼(b)는, 실시예1의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35(a)∼(b)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36은, 실시예1, 2, 5, 비교예1 및 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표시 특성을 나타내는 사진.
도 37은, 실시예1, 2, 5, 비교예1 및 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표시 특성을 나타내는 다른 사진.
도 38은, 실시예1, 2, 5, 비교예1 및 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표시 특성을 나타내는 또 다른 사진.
도 39는, 실시예1, 2, 5, 비교예1 및 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표시 특성을 나타내는 또 다른 사진.
도 40(a)∼(c)는, 실시예2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및 사진.
도 41(a)∼(b)는,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42는, 실시예2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43은,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44(a)∼(h)는, 실시예2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코노스코프 화상.
도 45는, 실시예2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입사각-휘도 차트.
도 46(a)∼(c)는, 실시예3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및 사진.
도 47(a)∼(b)는, 실시예3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다른 사진.
도 48은, 실시예3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49(a)∼(g)는, 실시예3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코노스코프 화상.
도 50은, 실시예3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입사각-휘도 차트.
도 51(a)∼(c)는, 실시예4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및 사진.
도 52(a)∼(b)는, 실시예4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다른 사진.
도 53은, 실시예4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54(a)∼(g)는, 실시예4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코노스코프 화상.
도 55는, 실시예4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입사각-휘도 차트.
도 56(a)∼(b)는, 실시예5에서 사용한 자외선 조사 장치 및 조사광 평행화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57(a)∼(b)는, 실시예5에서 사용한 자외선 조사 장치 및 조사광 평행화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다른 도면.
도 58(a)∼(c)는, 실시예5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및 사진.
도 59는, 실시예5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도 60(a)∼(g)는, 실시예5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코노스코프 화상.
도 61은, 실시예5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공하는 입사각-휘도 차트.
도 62(a)∼(c)는, 종래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도면.
Figs. 1 (a) to 1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 (a) to 2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 (a) to 3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Fig.
Figs. 4 (a) to 4 (c) are views for explaining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Fig.
5 (a) and 5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a film.
6 (a) and 6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cident angle dependence and an isotropic light diffusion in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a film.
Figs. 7 (a) and 7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a film. Fig.
Figs.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cidence angle dependency and an anisotropic light diffusion in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a film. Fig.
Figs. 9 (a) to 9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a light diffusion film. Fig.
10 (a) to 10 (c) are provided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diffusion property of the light diffusion film and the outgoing diffusion of the display light i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taking the light diffusion film of the embodiment 2 as an example The drawings.
Figs. 11 (a) to 11 (c) are provided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diffusion property of the light diffusion film and the diffusion light emission of the display light i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taking the light diffusion film of the second embodiment as an example Other drawings.
Figs. 12 (a) to 12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diffusion property of a light diffusion film that does not satisfy a predetermined parameter and the outgoing diffusion of display light in an external light utilization display body;
Figs. 13 (a) to 13 (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which does not satisfy the predetermined parameters and the diffuse emission of the display light i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display body.
14 (a) and 14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a film.
15 (a) and 15 (b) are diagrams provided for explaining the column structure.
Figs. 16A and 1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respective steps in a method for producing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a film. Fig.
Figs. 17A to 17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rocess. Fig.
Fig. 18 is another diagram provided for explaining the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rocess. Fig.
19A to 19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basic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a film.
20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uver structure;
Figs. 21 (a) to 21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Fig.
22 (a) to 22 (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23 (a) to 23 (e) are photograph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24 (a) to 24 (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respective steps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a film.
25 (a) and 25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using a linear light source.
Figs. 26A and 2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angles of the linear light sources; Fig.
FIG. 27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using a linear light source; FIG.
Figs. 28 (a) to 28 (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ther light diffusion fil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9A and 2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in a film. FIGS.
30 (a) to 30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ontrol of the incident angle width for each azimuth direction.
31 (a) to 31 (b) are views provided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diagram provided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mbodiment 1. Fig.
Figs. 33 (a) and 33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1; Fig.
Figs. 34 (a) and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1. Fig.
Figs. 35 (a) and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valuation method of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Fig.
3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Examples 1, 2,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37 is another photograph show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Examples 1, 2,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38 is another photograph show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Examples 1, 2,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Fig.
39 is another photograph show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Examples 1, 2,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Fig.
Figs. 40 (a) to 40 (c) are drawings and photographs provided to show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n Example 2. Fig.
41 (a) and 41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Fig. 42 is a view provided to show an incident angle-haze value chart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n Example 2. Fig.
Fig. 4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light diffusion property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pplied to a display body using external light. Fig.
Figs. 44 (a) to 44 (h) are conoscopic images provided to show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2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Fig.
45 is an angle of incidence-luminance chart provided to exhibit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2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Figs. 46 (a) to 46 (c) are drawings and photographs provided to show cross-sections of the light-diffusing film in Example 3. Fig.
Figs. 47 (a) to 47 (b) are photographs for providing cross-sections of the light-diffusing film in Example 3. Fig.
FIG. 48 is a view provided to show an incident angle-haze value chart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n Example 3. FIG.
49 (a) to 49 (g) are conoscopic images provided to exhibit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3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50 is an angle of incidence-luminance chart provided to exhibit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3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Figs. 51 (a) to 51 (c) are drawings and photographs provided to show cross-sections of the light-diffusing film in Example 4. Fig.
Figs. 52 (a) to 52 (b) are photographs for providing cross-sections of the light-diffusing film in Example 4. Fig.
Fig. 53 is a view for showing an incident angle-haze value chart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n Example 4. Fig.
Figs. 54 (a) to 54 (g) are conoscopic images provided to show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4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Fig.
55 is an angle of incidence-luminance chart provided to exhibit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4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Figs. 56 (a) and 56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ultraviolet irradiating apparatus and the irradiating light collimating member used in the fifth embodiment; Fig.
Figs. 57 (a) and 57 (b) are views provided to illustrate the ultraviolet irradiating apparatus and the irradiating light collimating member used in the fifth embodiment; Fig.
Figs. 58 (a) to 58 (c) are drawings and photographs provided to show cross-sections of the light-diffusing film in Example 5. Fig.
FIG. 59 is a view for providing an incident angle-haze value chart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n Example 5. FIG.
Figs. 60 (a) to 60 (g) are conoscopic images provided to exhibit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5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61 is an angle of incidence-luminance chart provided to exhibit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5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Figs. 62 (a) to 62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Fig.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반사판과,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로서, 광확산 필름이, 필름 내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영역을 구비한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comprising a reflection plate and a light diffusion film laminated thereon, where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s an interna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with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a region where the refractive index is relatively low, Is a light-diffusing film having a light-diffusing property.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적의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기본 구성1. Basic structure of display type using external light

처음으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기본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basic structure of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1)는, 반사판(10)과, 광확산 필름(100)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As shown in Fig. 1 (a),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 comprising a reflection plate 10 and a light diffusion film 100 laminated.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하는 광확산 필름을,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diffusion film to be used is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as described later.

따라서,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incidence angle of the external light changes, the uniformity of the brightness within the viewing angl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while the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s are stably maintained.

또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1)는, 반사판(10)과, 광확산 필름(100)의 사이에 장식층(2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100)에 있어서의 반사판(10)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에 장식층(20)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1 (b),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1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the decorative layer 20 between the reflector 10 and the light diffusion film 100,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decorative layer 20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reflection plate 10 is located in the light diffusion film 100, as shown in Fig. 1 (c).

이와 같이 장식층을 마련함에 의해,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효과에 의해, 장식층에 의한 소망의 표시 내용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성이 뛰어난 표시광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decorative layer in this manner,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changes, the desired display content by the decorative layer can be stably maintained by the effect of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the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display light with excellent uniformity of luminance in the viewing angle.

또, 장식층이란, 문자나 도안 등을 인쇄한 수지 필름 등을 의미한다.The decorative layer means a resin film or the like printed with letters, drawings, or the like.

2.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특성2. Characteristics of display body using external light

이어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특성을, 종래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특성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Next,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light utilizing type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즉, 도 2(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1)는, 사용하는 광확산 필름을,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 하고 있으므로, 광범위한 각도로부터 입사해 오는 외광(3)을, 효율적으로 표시광(4)으로서 소정의 방향에 확산 출사할 수 있다.2 (a) to 2 (c), since the light-diffusing film to be used is a light-diffusing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the external light- The external light 3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3 can be diffused and emitted efficiently as the display light 4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즉, 광범위한 각도로부터 입사해 오는 외광(3)을, 표시광(4)으로서, 일정한 광확산 각도 영역에 대하여 확산 출사할 수 있다.That is, the external light 3 incident from a wide angle can be diffused and emitted as the display light 4 with respect to a constant light diffusion angle area.

따라서, 도 2(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광(3)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2 (a) to 2 (c),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a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 even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external light 3 changes.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1)는,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이, 단순한 가우스 분포형의 광확산 특성이 아니며, 확산광의 휘도의 균일성이 뛰어난 광확산 특성을 가지므로, 도 2(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4)의 휘도의 균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diffusion property of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is not a simple Gaussian distribution type light diffusion property, 2 (a) to 2 (c),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light 4 within the viewing angl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이에 반해, 도 3(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수지 중에 미립자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광확산 필름을 사용한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경우, 표시광(4)의 출사각은, 외광(3)의 입사각에 단순히 의존할 뿐이므로, 외광(3)의 입사 각도가 변화했을 경우에, 그것에 따라 표시광(4)의 출사각이 변화되어버려,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 (a) to 3 (c), in the case of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1 'using the light diffusion film in which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resi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outgoing angle of the display light 4 changes only depending on the incident angle of the external light 3. Therefore,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external light 3 changes, the outgoing angle of the display light 4 changes accordingly, It becomes difficult to stably maintain the display characteristics.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수지 중에 미립자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광확산 필름을 사용한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경우,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이, 단순한 가우스 분포형의 광확산 특성이 되므로, 도 3(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반사 방향의 표시광(4)의 휘도가 극단적으로 커지고, 그 주변 방향의 표시광(4)의 휘도가 극단적으로 작아진다.In the case of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1 'using the light diffusion film in which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resi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light diffusion property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 simple Gaussian distribution type light diffusion property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light 4 in the regular reflection direction becomes extremely large an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light 4 in the peripheral direction becomes extremely small as shown in Figs. 3 (a) to 3 (c).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수지 중에 미립자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광확산 필름을 사용한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경우,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4)의 휘도의 균일성이 낮아지고, 특히 표시체가 대화면인 경우에는, 표시광(4)의 휘도 불균일이 현저해진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1 'using the light diffusion film formed by dispersing fine particles in the resi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light 4 in the viewing angle is lowered , 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body is a large screen, the luminance unevenness of the display light 4 becomes remarkable.

또한,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재귀 반사성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경우, 표시광(4)을, 입사해 온 외광(3)의 광원(2)을 향하여 출사하게 되므로, 외광(3)의 입사 각도가 변화했을 경우에, 그것에 따라 표시광(4)의 출사각이 변화해버려,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As shown in Figs. 4 (a) to 4 (c), in the case of the retroreflective external light using type display body 1 ''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the display light 4 is reflected by the incident external light 3, the emission angle of the display light 4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cident angle of the external light 3. Thus,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a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 It becomes difficult.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재귀 반사성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경우,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광(4)을, 입사해 온 외광(3)의 광원(2)을 향하여 출사하게 되므로, 특히 표시체가 대면적인 경우에는, 표시광(4)의 휘도 불균일이 현저해질뿐만 아니라, 충분한 시야각을 얻는 것마저 곤란해진다.In the case of the retroreflective display device using external light 1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s shown in Figs. 4 (a) to 4 (c), the display light 4 is reflected by the incident external light 3,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viewing angle as well as the brightness unevenness of the display light 4, especially when the display body is wide.

3. 광확산 필름3. Light diffusion film

광확산 필름은, 광범위한 각도로부터 입사해 오는 외광을, 반사판을 통하여, 표시광으로서 소정의 방향에 확산 출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The light diffusion film has a function of diffusing and emitting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a wide angle through a reflection pl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display light.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이러한 광확산 필름에 특징을 갖고 있다.Further,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such a light-diffusing film.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은, 필름 내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영역을 구비한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light-diffus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diffusing film having an interna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a region where the refractive index is relatively low in the film.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처음에, 도 5∼8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기본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ight diffus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basic principl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기본적인 태양인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도 5∼6), 및,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도 7∼8)을 예로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의 기본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That is,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Figs. 5 to 6) and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Fig. 7 to 8) in the film, which is the basic mod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rincipl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광확산의 기본 원리(1) Basic principle of light diffusion in light diffusion film

(1)-1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 -1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a film

처음에, 도 5∼6을 사용하여,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기본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basic principle of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a fil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Fig.

우선, 도 5(a)에는,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의 상면도(평면도)가 나타나 있고, 도 5(b)에는, 도 5(a)에 나타내는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을, 점선A-A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화살표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광확산 필름(100a)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5A shows a top view (plan view) of a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FIG. 5B shows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shown in FIG.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dashed line AA, and a sectional view of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is shown when the cut surface is viewed from the direction along arrows.

또한, 도 6(a)에는,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의 전체도를 나타내고, 도 6(b)에는, 도 6(a)의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을 X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6 (a) shows the overall view of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Fig. 6 (b) shows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100a are viewed from the X direction.

이러한 도 5(a)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은,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상물(112)과,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114)으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113)를 갖고 있다.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5 (a),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is composed of the columnar material 11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region 11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Column structure 113 as shown in FIG.

또한, 도 5(b)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의 수직 방향에 있어서는,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상물(112)과,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114)은, 각각 소정의 폭을 가지며 교호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5 (b),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the columnar material 11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region 112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114)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are alternately arranged.

이에 따라,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에 의해 확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a),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range of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it is assumed that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즉,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칼럼 구조(113)의 경계면(113a)에 대하여, 평행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의 값, 즉,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의 값인 경우에는, 입사광(152, 154)은, 칼럼 구조 내의 상대적으로 고굴절률의 주상물(112)의 내부를,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막두께 방향을 따라 빠져나감에 의해, 출광면 측에서의 광의 진행 방향이 같아지지 않게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5B,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ncident light on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is changed from a parallel angle to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surface 113a of the columnar structure 113 The incident light 152 and 154 enter the inside of the columnar material 11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the columnar structure while being displaced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It is presumed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on the light-exiting-surface side becomes uneven.

그 결과,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에 의해 확산되어, 확산광(152', 154')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As a result,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range of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the incident light is estimated to be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to become diffused light 152 ', 154'.

한편,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156)은, 점선A-A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내에 있어서, 광확산 필름(100a)에 의해 확산되지 않고, 그대로 광확산 필름(100a)을 투과하여, 투과광(156')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ident angle of incident light to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deviates from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angle, the incident light 156 is reflected by the dotted line AA It is presumed that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as the transmitted light 156 'without being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in the cross section cu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란,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점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의 각도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확산광을 출광하는 것에 대응하는 입사광의 각도 범위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angle region " means the angle range of the incident light corresponding to the diffusion of the diffused light when the angle of the incident light from the point light source is changed with respect to the light diffusion film .

또한, 이러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칼럼 구조의 굴절률차나 경사각 등에 의해, 그 광확산 필름마다 결정되는 각도 영역이다.Such a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angle region" is an angle region determined for each light diffusion film by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r an inclination angle of the columnar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as shown in FIG. 6 (a).

이상의 기본 원리에 의해, 필름 내에 칼럼 구조(113)를 구비한 광확산 필름(100a)은,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 described above,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the columnar structure 113 in the film exhibi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Lt; / RTI >

또한, 도 5∼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 구조(113)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은, 통상, 「등방성」을 갖게 된다.Further, as shown in Figs. 5 to 6,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the columnar structure 113 usually has " isotropic ".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등방성」이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이 필름에 의해 확산되었을 경우에, 확산된 출사광에 있어서의 필름과 평행한 면(필름의 단면(端面) 이외의 면과 평행한 면을 의미한다. 이하에 있어서 동일) 내에서의, 그 광의 확산 상태(확산광의 확산의 형상)가, 동(同)면 내에서의 방향에 의해 변화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isotropic " means that, when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by the film, the isotropic property of the surface of the film parallel to the film in the diffused outgoing light (The shape of the diffusion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same plane as the plane (the plane parallel to the plane other than the plane) .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이 필름(100a)에 의해 확산되었을 경우에, 확산된 출사광의 확산 상태는,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원상이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 when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by the film 100a, the diffused state of the outgoing light becomes a circular shape in a plane parallel to the film.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입사광의 「입사각 θa」라고 했을 경우, 입사각 θa는, 광확산 필름의 입사측 표면의 법선에 따라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을 0°로 했을 경우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As shown in Fig. 6 (b), when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is referred to as " incident angle? A " of incident light, the incident angle? (Degrees)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light to be incident is 0 deg.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확산 각도 영역」이란,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입사광이 가장 확산되는 각도에 점광원을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얻어지는 확산광의 각도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 means the angle range of diffused light obtained by fixing the point light source to the light diffusion film at an angle at which the incident light is most diffus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확산광의 개방각 θb」란, 상술한 「광확산 각도 영역」의 각도폭(°)이며,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의 단면을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개방각 θb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gle θb of diffused light" is the angular width (°) of the above-described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and as shown in FIG. 6 (b) The opening angle? B of the diffused light.

또, 광확산 각도 영역의 각도폭(°)과,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의 폭은, 대략 동일해지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he angular width (DEG) of the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and the width of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region becom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또한, 도 6(a)에 나타내는 입사광 B와 같이,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a)은,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입사각이 다른 경우여도, 출광면 측에 있어서 거의 같은 광확산을 시킬 수 있다.In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like the incident light B shown in Fig. 6 (a),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is included in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region, Substantially the same light diffusion can be performed on the light-exiting surface side.

따라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은, 광을 소정 개소에 집중시키는 집광 작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has a light converging action for concentrating ligh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또, 칼럼 구조 내의 주상물(112)의 내부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방향 변화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반사에 의해 직선상에 지그재그로 방향 변화하는 스텝 인덱스형이 되는 경우 외에, 곡선상으로 방향 변화하는 그래디언트 인덱스형이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inside the columnar structure 112 in the columnar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step index type in which the direction changes in a zigzag pattern on the straight line by total reflection as shown in Fig. 5 (b) It may be considered to be a gradient index type which changes its direction to an upward direction.

또한, 도 5(a) 및 (b)에서는,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주상물(112)과,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영역(114)과의 경계면을 간단하게 직선으로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계면은 약간 사행(蛇行)하고 있으며, 각각의 주상물은 분기나 소멸을 따른 복잡한 굴절률 분포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5 (a) and 5 (b), the interface between the columnar body 11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region 11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is simply shown in a straight line. Actually, And each of the columnar bodies forms a complex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 structure due to branching or extinction.

그 결과, 같지 않은 광학 특성의 분포가 광확산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As a result, it is presumed that the uneven distribution of the optical characteristics improves the light diffusibility.

(1)-2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 -2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다음으로, 도 7∼8을 사용하여,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기본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 the basic principle of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a film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7(a)에는,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의 상면도(평면도)가 나타나 있고, 도 7(b)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을, 점선A-A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화살표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광확산 필름(100b)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7A is a top view (plan view) of a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FIG. 7B shows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shown in FIG. Diffusing film 100b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dotted line AA and the cut surface is viewed from the direction along arrows.

또한, 도 8(a)에는,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의 전체도를 나타내고, 도 8(b)에는, 도 8(a)의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을 X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8 (a) shows the overall view of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Fig. 8 (b) shows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are viewed from the X direction.

이러한 도 7(a)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은, 필름면에 따른 임의의 한 방향에,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122)과,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124)이 교호로 평행 배치된 루버 구조(123)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7 (a),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has, in one arbitrary direction along the film surface, a plate-like region 12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a louver structure 123 in which plate-shaped regions 124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또한, 도 7(b)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고굴절률의 판상 영역(122)과, 상대적으로 저굴절률의 판상 영역(124)은, 각각 소정 두께를 갖고 있으며,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에 대한 법선 방향(막두께 방향)에 있어서도, 교호로 평행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As shown in the sectional view of Fig. 7 (b), the plate-shaped region 12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plate-shaped region 12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normal direction (film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이에 따라,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에 의해 확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Thus, as shown in Fig. 8 (a),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range of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it is estimated that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the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즉,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루버 구조(123)의 경계면(123a')에 대하여, 평행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의 값, 즉,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의 값인 경우에는, 입사광(152, 154)은, 루버 구조 내의 상대적으로 고굴절률의 판상 영역(122)의 내부를,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막두께 방향을 따라 빠져나감에 의해, 출광면 측에서의 광의 진행 방향이 같아지지 않게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7B,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ncident light on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is changed from a parallel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angle (angle) with respect to the interface surface 123a 'of the louver structure 123, The incident light 152 and 154 are incident on the inside of the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plate-like area 122 in the louver structur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It is presumed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on the light-exiting-surface side becomes unequal due to exiting.

그 결과,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에 의해 확산되어, 확산광(152', 154')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As a result,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range of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the incident light is estimated to be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the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to become diffused light 152 ', 154'.

한편,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156)은, 점선A-A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내에 있어서,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되지 않고, 그대로 광확산 필름(10)을 투과하여, 투과광(156')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to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the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deviates from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angle, the incident light 156 is reflected by the dotted line AA It is presumed that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diffusion film 10 as a transmitted light 156 'without being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film in the cross section cu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과 같은 기본 원리에 의해, 필름 내에 루버 구조(123)를 구비한 광확산 필름(100b)은,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the louver structure 123 in the film by the basic principle such as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the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 Likewise, it is possible to exhibit dependence of the incident angle on the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light.

단,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루버 구조(123)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b)은, 통상, 「이방성」을 갖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8 (a),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having the louver structure 123 in the film usually has "anisotropy".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방성」이란,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이 필름에 의해 확산되었을 경우에, 확산된 출사광에 있어서의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서의, 그 광의 확산 상태(확산광의 확산의 형상)가, 동면 내에서의 방향에 따라 다른 성질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 anisotropy " means, as shown in Fig. 8 (a), in a case where incident light is diffused by a film, Means that the diffusion state (the shape of diffusion of diffusion light) has different propert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the hibernation.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에 포함되는 성분 중, 필름면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필름면에 따른 임의의 한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루버 구조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성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광의 확산이 발생하는 한편, 입사광에 포함되는 루버 구조의 방향에 평행한 성분에 대해서는, 광의 확산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방성 광확산이 실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a), among the components included in incident light,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m surface, the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uver structure extending in any one direction along the film surface It is presumed that anisotropic light diffusion is realized because diffusion of light is selectively generated on the other hand and light components are not easily diffused for component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louver structure included in the incident light.

따라서, 이방성을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확산의 형상은,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타원 형상이 된다.Therefore, the diffusion shape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nisotropy becomes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as shown in Fig. 8 (a).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광확산에 기여하는 입사광의 성분은, 주로 필름면에 따른 임의의 한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루버 구조의 방향에 수직인 성분이므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입사광의 「입사각 θa」라고 했을 경우, 필름면에 따른 임의의 한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루버 구조의 방향에 수직인 성분의 입사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때, 입사각 θa는, 광확산 필름의 입사측 표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를 0°로 했을 경우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 of the incident light contributing to light diffusion is a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ouver structure that extends mainly along any one direction along the film plane. Therefore, as shown in Fig. 8 (b) In the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when it is referred to as " incident angle [theta] a " of incident light, it means an incident angle of a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ouver structure extending along one arbitrary direction along the film surface. Incidentally, the incident angle? A here means the angle (°) when the angle of the light-diffusing film to the normal to the incident-side surface is 0 °.

또한,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확산광의 개방각」이란, 상술한 「광확산 각도 영역」의 폭이며,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면에 따른 임의의 한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루버 구조의 방향에 평행인 방향 X로부터, 필름의 단면을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개방각 θb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the " opening angle of diffused light " is the width of the above-described " light diffusing angle region ", and as shown in Fig. 8 (b) Means the opening angle? B of the diffused light when view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lm from a direction X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louver struc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그 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other contents are omitted because they overlap with the content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the columnar structure in the above-mentioned film.

이하,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 및, 필름 내에 이들과는 다른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 각각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태양을 예로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spect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and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ese in the film, The light-diffusing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2)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이하의 구성의 광확산 필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As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a film,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the following constitu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즉, 내부 구조가 칼럼 구조임과 함께, 단일층의 광확산 필름으로서,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가 60∼700㎛의 범위 내의 값이며, 또한,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을,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막상으로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층을 광경화할 때의 당해 도포층의 이동 방향을 따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각 입사각에 대한 헤이즈값이 70% 이상의 값인 광확산 필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at is, the inner structure has a columnar structure, and a single-layered light-diffusing film has a film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film within a range of 60 to 700 占 퐉 and an incident angle of incident light with respect to a normal line of the film surface, When the coating layer form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a diffusion film in a film form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degre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when the coating layer is photo-cured, the haze value for each of the incident angles is not less than 70% The light diffusion film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2)-1 단일층(2) -1 single layer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은, 단일층이다.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single layer.

이 이유는, 복수의 광확산 필름을 적층시켰을 경우와 비교하여, 첩합 공정을 줄일 수 있고, 경제적으로 유리할뿐만 아니라,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흐림의 발생이나 층간 박리의 발생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light-diffusing films are laminat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onding process, economically advantageous, and also to effectiv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fogging or delamination in the display image Because.

또, 복수의 광확산 필름을 직접 적층시켰을 경우 외에, 다른 필름 등을 개재하여 복수의 광확산 필름을 적층시켰을 경우도, 복수의 광확산 필름을 적층시켰을 경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films are directly laminated, a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films are laminated via another film or the like, or a case where a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films are stacked.

(2)-2 광확산 특성(2) -2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

또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은, 도 9(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입사각 θa를,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막상으로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층(101)을 광경화할 때의 당해 도포층(101)의 이동 방향 B에 따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헤이즈값을 70% 이상의 값으로 한다.9 (a) to 9 (c), the light diffusing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cident angle [theta] a with respect to the normal to the film surface is set to be the coating layer 101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degrees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B of the applied layer 101 at the time of photo-curing, the haze value for each of the incident angles? A is set to a value of 70% or more.

이 이유는, 광확산 필름이 이러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가짐에 의해, 당해 필름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각도로부터 입사해 오는 외광을, 효율적으로 표시광으로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light diffusion film has such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property that the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a wide angle can be effectively used as display light in front of the external light- As shown in FIG.

즉, 이러한 헤이즈값이 70% 미만의 값이 되면, 대응하는 입사각 θa로 입사해 오는 외광을, 효율적으로 표시광으로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정면에 확산 출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haze value is less than 70%,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diffuse the external light incident at the incident angle? A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as display light.

따라서,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입사각 θa를,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막상으로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층을 광경화할 때의 당해 도포층의 이동 방향을 따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헤이즈값을 7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with respect to the normal to the film surface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de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ed layer at the time of photo-curing the coated layer form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a light- More preferably 7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80% or more, of the haze valu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cident angles? A.

또한, 상술한 광확산 특성은, 통상, 필름의 한쪽의 면에 있어서 만족하는 경우에는, 다른 한쪽의 면에 있어서도 만족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지만, 가령 한쪽의 면밖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여도, 소정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말할 필요도 없이,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범위 내이다.When the above-mentioned light diffusion property is satisfied on one surface of the film, it is generally confirmed that the other surface is also satisfactory. However, even if only one surface is unsatisfacto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within the rang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또, 도 9(a)는, 점광원(202)으로부터의 조사광(50)을 렌즈(204)에 의해 평행광(60)으로 하고, 이동 방향 B에 따라 이동하고 있는 공정 시트(102) 상의 도포층(101)에 대하여 조사하며, 광경화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9A shows a state in which the irradiation light 50 from the point light source 202 is made parallel light 60 by the lens 204 and the image of the process sheet 10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ating layer 101 is irradiated and photocured.

또한, 도 9(b)는, 광원(310) 및 적분구(320)를 사용하여,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입사각 θa를, 도포층의 이동 방향 B에 따라 -70∼70°의 범위에서 바꾸면서,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헤이즈값을 측정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9B shows a case where the angle of incidence θa with respect to the normal to the film surface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degrees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B of the coating layer by using the light source 310 and the integrating sphere 320 , And a haze value for each incident angle? A is measured.

또한, 도 9(c)는,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입사각 θa를 -70∼70°의 범위에서 바꾼 모양을, 필름을 고정한 상태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9 (c)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m is fixed, in which the incident angle &thetas; a with respect to the normal to the film surface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degrees.

이어서, 도 10∼13을 사용하여,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과,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확산 출사와의 관계를 설명한다.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iffusion light emission of the display light i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Fig.

처음에, 이들의 도면의 개요를 설명하면, 도 10(a)에는,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100a)(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입사각 θa에서 광을 입사하여, 1회 확산시킨 모양이 나타나 있다.First, light is incident on the light-diffusing film 100a (light diffus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f Example 2 at an incident angle &thetas; a, The diffuse shape is shown.

또한, 도 10(b)에는, 도 10(a)의 입사각 θa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헤이즈값(%)을 측정한 입사각-헤이즈값 차트가 나타나 있다.10B shows an incident angle-haze value chart obtained by measuring the haze value (%)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cident angles? A (degrees) when the incident angle? A of FIG. 10A is changed.

또한, 도 10(c)에는, 도 10(a)의 입사각 θa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입사각 θa의 범위에 대한 1회 확산된 광의 확산 상태(코노스코프 화상의 모식도)가 나타나 있다.10 (c) shows a diffusion state (a schematic diagram of a conoscopic image) of the light diffused once with respect to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s? A when the incident angle? A is changed in FIG. 10 (a).

또한, 도 11(a)에는,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100a)을 반사판(10)에 대하여 첩합하고, 측정용 시험편으로 하고, 당해 시험편의 필름 측으로부터 입사각 θa에서 광을 입사하여, 반사판(10)에서의 반사를 통하여 2회 확산시킨 모양이 나타나 있다.11 (a), the light-diffusing film 100a of Example 2 is bonded to the reflector 10 to form a test piece for measurement, light is incident on the film side of the test piece at an incident angle? Is diffused twice through the reflection at the light source 10 shown in Fig.

또한, 도 11(b)에는, 도 11(a)의 입사각 θa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필름 정면의 휘도(㏅/㎡)를 측정한 입사각-휘도 차트가 나타나 있다.11B shows an incident angle-luminance chart obtained by measuring the luminance (㏅ / ㎡) of the film front fac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cident angles? A (°) when the incident angle? Is shown.

또한, 도 11(c)에는, 도 11(a)의 입사각 θa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입사각 θa에 대한 2회 확산된 광의 확산 상태(코노스코프 화상)가 나타나 있다.11 (c) shows the diffused state of the light diffused twice (a conoscopic imag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cident angles? A when the incident angle? A of FIG. 11 (a) is changed.

또한, 도 12(a)에는,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파라미터를 만족하지 않는,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α)(이하,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이라고 함)에 대하여, 입사각 θa에서 광을 입사하여, 1회 확산시킨 모양이 나타나 있다.12A shows a light diffusion film 100?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 light diffusing film instead of the light diffus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Quot; film "), light is incident at an incident angle &thetas; a and diffused once.

또한, 도 12(b)에는, 도 12(a)의 입사각 θa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헤이즈값(%)을 측정한 입사각-헤이즈값 차트가 나타나 있다.12B shows an incident angle-haze value chart in which a haze value (%) with respect to each of incident angles? A (degrees) is measured when the incident angle? A of FIG. 12A is changed.

또한, 도 12(c)에는, 도 12(a)의 입사각 θa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입사각 θa의 범위에 대한 1회 확산된 광의 확산 상태(코노스코프 화상의 모식도)가 나타나 있다.Fig. 12 (c) shows the diffusion state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oscopic image) of the light diffused once with respect to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wh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in Fig. 12 (a) is changed.

또한, 도 13(a)에는,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100α)을 반사판(10)에 대하여 첩합하고, 측정용 시험편으로 하고, 당해 시험편의 필름 측으로부터 입사각 θa에서 광을 입사하여, 반사판(10)에서의 반사를 통하여 2회 확산시킨 모양이 나타나 있다.13 (a) shows a case in which a light diffusion film 100? Instead of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reflection plate 10 and used as a test piece for measurement, and from the film side of the test piece, And diffused twice through the reflection on the reflection plate 10 is shown.

또한, 도 13(b)에는, 도 13(a)의 입사각 θa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필름 정면의 휘도(㏅/㎡)를 측정한 입사각-휘도 차트가 나타나 있다.13B shows an incident angle-luminance chart obtained by measuring the luminance (㏅ / ㎡) of the front face of the film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cident angles θa (°) when the incident angle θa shown in FIG. 13 Is shown.

또한, 도 13(c)에는, 도 13(a)의 입사각 θa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입사각 θa에 대한 2회 확산된 광의 확산 상태(코노스코프 화상)가 나타나 있다.13 (c) shows the diffused state of light (convolution image) twice diffus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cident angles? A when the incident angle? A in Fig. 13 (a) is changed.

우선, 도 10(a)에 나타내는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100a)은, 도 10(b)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θa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헤이즈값이 70% 이상의 값을 취하고 있으며,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다.First, as shown in the incident angle-haze value chart of Fig. 10 (b),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of Example 2 shown in Fig. 10 (a) wa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 The haze value for each incident angle? A takes a value of 70% or more and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또한, 도 10(b)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에 있어서의 입사각 θa=-70∼-18°, -18∼-2°, -2∼34°, 34∼44° 및 44∼70°의 범위에 대한 1회 확산된 광의 확산 상태는, 각각 도 10(c)의 코노스코프 화상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In the incident angle-haze value chart of Fig. 10 (b), the incident angle? A is in the range of -70 to -18, -18 to -2, -2 to 34, 34 to 44 and 44 to 70 Diffusion state of the once-diffused light with respect to the conoscopic image shown in Fig. 10 (c) is a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conoscopic image in Fig. 10 (c).

즉,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100a)은, 입사각 θa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헤이즈값이 70% 이상의 값이므로,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θa=-70∼70°의 전범위에 있어서, 직선 투과광이 적은 균일한 확산광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직선 투과광이 많을수록, 헤이즈값은 작아진다).That is, in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of Embodiment 2, wh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deg.], The haze value for each incident angle [ It can be seen that uniformly diffused light with less linear transmitted light can be obtained in the entir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 -70 to 70 [deg.] (The more the linearly transmitted light is, the smaller the haze value is).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사각 θa=-2∼34°의 범위에 있어서는, 입사각 θa가 도 6(a)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에 해당하므로,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등방성 광확산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 -2 to 34 [deg.], Since the incident angle [theta] a corresponds to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 Isotropic light diffusion of the light emitting layer is generated.

한편, 입사각 θa=-70∼-18°, -18∼-2°, 34∼44° 및 44∼70°의 범위에 있어서는, 입사각 θa가 도 6(a)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의 범위 외에 해당하므로, 원형의 등방성 광확산이 발생하지 않고,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승달형의 광확산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A = -70 to -18, -18 to -2, 34 to 44 and 44 to 70, the incident angle? It can be seen that circular isotropic light diffusion does not occur and crescent type light diffusion occurs as shown in Fig. 10 (c).

여기에서, 도 5(b)를 사용한 앞의 설명에 있어서는, 입사각 θa가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의 범위 외의 경우에는, 점선A-A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내에 있어서, 입사광이 필름에 의해 확산되지 않고 투과한다고 기재했다.Here, in the above description using Fig. 5 (b), wh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is out of the range of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angle, the incident light is not diffused by the film in the section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dotted line AA .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등방성 광확산이 발생하는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편의적인 것이며, 실제로는, 도 6(a)에 있어서의 입사광A 및 C와 같이, 입사 각도가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사광의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서의 확산은 초승달형이 된다. 여기에서, 실제로는, 초승달형의 확산광도, 투과광이 아닌, 문자대로, 확산광인 점에 유의해야한다.However, this explanation is for convenience in describing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angles in which isotropic light diffusion occurs. In reality, as in the case of incident light A and C in Fig. 6A, When not included in the incident angle region, the diffusion in the plane parallel to the film of the outgoing light becomes a crescent shape.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in practice, diffused light is not crescent-shaped diffused light and transmitted light but differs from letter.

어쨌든,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100a)은, 입사각 θa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헤이즈값이 70% 이상의 값이므로, 등방성 광확산 또는 초승달형의 광확산의 차이는 있지만, 입사각 θa=-70∼70°의 전범위에 있어서, 직선 투과광이 적은 균일한 확산광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In any case,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of Example 2 has a haze value of 70% or mor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cident angles? A when the angle of incidence? A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占 and isotropic light diffusion or crescent type It can be seen that uniformly diffused light with less linear transmitted light is obtained in the entir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 -70 to 70 [deg.].

이에 따라, 도 10(a)에 나타내는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100a)은,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θa의 광을 반사판(10)에서의 반사를 통하여 합계 2회 확산시켰을 경우에,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있다.Thus, as shown in Fig. 11 (a),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10 (a) diffuses light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through the reflection at the reflector 10 twic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ffuse and exit the film to the front side.

즉, 도 11(b)의 입사각-휘도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θa를 0∼6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필름 표면의 휘도가, 적어도 입사각 θa=10∼40°의 범위에서 8㏅/㎡(게인 약 1 : 표준 백색판보다도 효율 좋게 외광을 반사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값)를 초과한 값으로 되어 있으며, 넓은 범위의 입사광을, 반사판(10)의 반사를 통한 합계 2회의 확산에 의해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incident angle-luminance chart of Fig. 11 (b), when the angle of incidence [theta] a is changed in the range of 0 to 60 degrees, the brightness of the film surface with respect to each incident angle [theta] (A value of about 1: a value judged to be able to reflect external light more effectively than a standard white plate) within a range of 10 m / m < 2 > It can be seen that diffusion and emiss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lm by a total of two times of diffusion.

이것은, 실시예2의 광확산 필름이면, 1회째의 확산에 있어서 입사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반사판에서의 반사를 통한 2회째의 확산이, 반사각과 내부 구조의 경사각과의 관계에서 불균일해졌다고 해도, 결과적으로 균일한 확산광을 필름면 측에 출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2, since the incident light can be diffused uniformly in the first diffusion, the second diffusion through the reflection on the reflection plate is uneve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flection angle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ternal structure It is considered that uniform diffusion light can be emitted to the film surface side as a result.

또한, 도 11(a)에 나타내는 합계 2회 확산시키는 모델은,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의 광확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모델이다.11A is a model for measuring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when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pplied to a display body using an external light.

또, 도 11(c)에는, 실제의 모양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입사각 θa=0°, 20°, 40° 및 60°에 대한 2회 확산된 광의 확산 상태(코노스코프 화상)가 나타나 있다.11 (c) shows a diffusion state (a conoscopic image) of the diffused light twice at the incident angles? A = 0, 20, 40 and 60 in order to show the actual shape more specifically have.

즉, 0㏅/㎡∼각 코노스코프 화상에 있어서의 최대의 휘도의 값까지의 휘도 분포를, 청색으로부터 적색까지의 14단계로 나누어서 나타내고, 0㏅/㎡가 청색이며, 0㏅/㎡를 초과한 값∼각 코노스코프 화상에 있어서의 최대의 휘도의 값까지를 13등분하고, 0㏅/㎡∼최대의 휘도의 값에 근접함에 따라, 청색∼수색(水色)∼녹색∼황색∼오렌지색∼적색으로 13단계로 변화하도록 나타내고 있다.That is, the luminance distribution from 0 mu m / m < 2 > to the maximum luminance value in each of the conoscopic images is divided into 14 steps from blue to red, 0 mu m / m < 2 > (Light blue) to green to yellow to orange to red (red) as the luminance approaches 0 to the maximum brightness value, and the value of the maximum brightness in each of the conoscopic images is divided into 13 equal parts. To 13 levels.

또한, 각 코노스코프 화상에 있어서의 방사상으로 그어진 선은, 각각 방위각 방향 0∼180°, 45∼225°, 90∼270°, 135∼315°를 나타내고, 동심 원상으로 그어진 선은,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극각 방향 18°, 38°, 58°, 78°를 나타낸다.The lines drawn in the radial direction in each of the conoscopic images indicate azimuth directions of 0 to 180 DEG, 45 to 225 DEG, 90 to 270 DEG, and 135 to 315 DEG, and lines drawn in a concentric circle direction 38 degrees, 58 degrees, 78 degrees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따라서, 각 코노스코프 화상에 있어서의 각 동심원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의 색이,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된 확산광의 상대적인 휘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 동심원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의 절대적인 휘도가, 도 11(b)의 각 플롯의 종축의 값에 대응하고 있다.Therefore, the color at the central portion of each concentric circle in each of the conoscopic images represents the relative luminance of the diffused light emitted to the front of the film, and the absolute luminance at the center portion of each concentric circle is )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vertical axis of each plot.

한편, 도 12(a)에 나타내는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100α)은, 도 12(b)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θa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입사각 θa의 값에 따라서는 헤이즈값이 70% 미만의 값을 취하는 경우가 있어,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요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incident angle-haze value chart of Fig. 12 (b),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which is not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12 (a) , The haze value may be less than 70%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incident angle &thetas; a, which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또한, 도 12(b)의 입사각-헤이즈 차트에 있어서의 입사각 θa=-70∼-17°, -17∼-7°, -7∼16°, 16∼36° 및 36∼70°의 범위에 대한 1회 확산된 광의 확산 상태는, 각각 도 12(c)의 코노스코프 화상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In the range of the incidence angle? A = -70 to -17 degrees, -17 to -7 degrees, -7 to 16 degrees, 16 to 36 degrees and 36 to 70 degrees in the incident angle-haze chart of FIG. 12 (b) The diffusion state of the once-diffused light is shown in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oscopic image of Fig. 12 (c).

즉,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100α)은, 입사각 θa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입사각 θa의 값에 따라서는 헤이즈값이 70% 미만의 값을 취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러한 입사각 θa의 범위에 있어서는, 직선 투과광이 많아지고, 균일한 확산광을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deg.], The light diffusion film 100 [alpha] other than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aze value of less than 70% 12 (c), it can be seen that in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the linearly transmitted light increases, and a uniform diffused light can not be obtained.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사각 θa=-7∼16°의 범위에 있어서는, 입사각 θa가 도 6(a)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에 해당하고, 또한, 헤이즈값이 70% 이상의 값이므로,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등방성 광확산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the incidence angle [theta] a = -7 to 16 [deg.], The incident angle [theta] a corresponds to the light diffusion incidence angle region described using Figure 6 (a) or the like and the haze value is 70% , It can be seen that circular isotropic light diffusion occurs as shown in Fig. 12 (c).

한편, 입사각 θa=-17∼-7° 및 16∼36°의 범위에 있어서는, 입사각 θa가 도 6(a)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의 범위 외에 해당하고, 또한, 헤이즈값이 70% 이상의 값이므로, 원형의 등방성 광확산이 발생하지 않고,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승달형의 광확산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 -17 to -7 degrees and the range of 16 to 36 degrees, the incident angle [theta] a falls outside the range of the light diffusion incidence angle range described using Figure 6 (a) It is found that the circular isotropic light diffusion does not occur and the crescent type light diffusion occurs as shown in Fig. 12 (c) because the value is 70% or more.

한편, 입사각 θa=-70∼-17° 및 36∼70°의 범위에 있어서는, 입사각 θa가 도 6(a)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의 범위 외에 해당하고, 또한, 헤이즈값이 70% 미만의 값이므로, 윤곽으로서는 초승달형의 광확산이 생기면서도, 그 중앙 부분에 직진 투과광이 강하게 드러난 불균일한 광확산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ange of the incidence angle? A = -70 to -17 and the range of 36 to 70, the incident angle? A falls outside the range of the light diffusion incidence angle rang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uneven light diffusion occurs in which the straight-line transmitted light is strongly displayed at the center portion while the crescent-shaped light diffusion occurs.

따라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100α)은, 입사각 θa를 -70∼7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입사각 θa의 값에 따라서는 헤이즈값이 70% 미만의 값을 취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러한 입사각 θa의 범위에 있어서는, 윤곽으로서는 초승달형의 광확산이 생기지만, 직진 투과광이 많아지고, 균일한 확산광을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deg.], The light diffusion film 100 [alpha] other than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haze value of less than 70% In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s; a, the crescent-shaped light diffusion occurs as the outline, but the straight-line transmitted light increases, and it can be seen that uniform diffusion light can not be obtained.

그 결과, 도 12(a)에 나타내는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100α)은,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θa의 광을 반사판(10)에서의 반사를 통하여 합계 2회 확산시켰을 경우에,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3 (a), the light diffusion film 100a, which is not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12 (a)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diffuse and exit the film to the front face of the film.

즉, 도 13(b)의 입사각-휘도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θa를 0∼60°의 범위에서 바꾸었을 경우에,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필름 표면의 휘도가, 입사각 θa=10∼30°의 범위에서밖에 8㏅/㎡를 초과한 값을 취할 수 없어, 넓은 범위의 입사광을, 반사판(10)의 반사를 통한 2회의 확산에 의해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incident angle-luminance chart of Fig. 13 (b), when the incident angle &thetas; a is changed in the range of 0 to 60 degrees, the luminance of the film surface with respect to each incident angle &thetas; ,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diffuse and emit a wide range of incident light to the front side of the film by two diffusions through reflection of the reflection plate 10 .

또한, 입사각 θa를 20°로부터 30°로 변화시켰을 때의 필름 표면의 휘도의 낙차가 현저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입사각 θa=0∼20°라는 좁은 범위에서밖에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없음도 알 수 있다.Further, since the deviation of the luminance of the film surface when the angle of incidence [theta] a is changed from 20 [deg.] To 30 [deg.] Is remarkab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ffuse and exit the film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lm only in a narrow range of the incident angle [ None can be found.

이것은,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에서는, 1회째의 확산에 있어서, 특히 입사각 θa의 절대값이 큰 경우에, 입사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없으므로, 반사판에서의 반사를 통한 2회째의 확산이, 반사각과 내부 구조의 경사각과의 관계에서 불균일해졌을 경우에, 균일한 확산광을 필름면 측에 출사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This is because, in the light diffusion film other than the light diffusion film of this embodiment,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ident angle &thetas; a is large in the first diffusion, incident light can not be diffused uniformly, It is considered that the uniform diffused light can not be emitted to the film surface side when the diffusing time becomes uneve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flection angle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ternal structure.

즉, 필름면 측에 출사되는 확산광이 불균일해졌을 경우에는, 통상, 필름 정면 이외의 각도에 확산광이 비교적 높은 휘도로 출사하게 되므로, 필름 정면의 휘도가 상대적으로 저하하기 쉬워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That is, when the diffused light emitted to the film surface side is uneven, the diffused light is emitted at a relatively high luminance at an angle ot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m, so that the luminan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lm is likely to relatively decrease .

또, 도 13(c)에는, 실제의 모양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입사각 θa=0°, 20°, 40° 및 60°에 대한 2회 확산된 광의 확산 상태(코노스코프 화상)가 나타나 있다.13 (c) shows a diffusion state (a conoscopic image) of diffused light twice at incident angles? A = 0, 20, 40 and 60 in order to show the actual shape more specifically have.

따라서, 도 11(c)의 경우와 같이, 각 코노스코프 화상에 있어서의 각 동심원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의 색이,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된 확산광의 상대적인 휘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 동심원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의 절대적인 휘도가, 도 13(b)의 각 플롯의 종축의 값에 대응하고 있다.Therefore, as in the case of Fig. 11 (c), the color at the central portion of each concentric circle in each of the conoscopic images represents the relative luminance of the diffused light diffused and emitted to the front of the film, and the center portion of each concentric circle 13B correspond to the value of the vertical axis of each plot in Fig. 13 (b).

또, 상술한 실시예2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과 같이,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은, 외광의 방위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반사판의 반사를 통한 2회의 확산에 의해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있다.Like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ample 2, the light diffus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light diffus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changing in the incident angle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in the azimuth direction of the external light changes , The light can be diffused and emitted to the front face of the film efficiently by two diffusions through the reflection of the reflection plate.

한편, 상술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의 경우에는, 도포층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위각 방향에 있어서,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했을 경우여도, 반사판의 반사를 통한 2회의 확산에 의해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ight-diffusing film other than the light-diffus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incidence angle of the external light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changes in the azimuth angl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ffuse and emit ligh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ilm by two diffusions through reflection.

단,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의 경우에는, 그 외의 방위각 방향으로부터의 외광에 대해서는,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했을 경우에는, 반사판의 반사를 통한 2회의 확산에 따라서도,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other than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light from the other azimuth direction,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external light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changes,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diffuse and emit light toward the front face of the film.

따라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아닌 광확산 필름을 사용한 외광 이용형 표시체여도, 특정 방위각 방향에서밖에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하지 않는 환경하(예를 들면, 지면에 메워넣고, 태양광을 외광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등)이면, 충분히 외광 이용형 표시체로서 실용 가능하다.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an external light using type display body using a light diffusion film other than the light diffus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does not change only in a specific azimuth direction (for example, The case of using as external light, etc.), it is practically usable as a display using a light sufficiently.

(2)-3 내부 구조(2) -3 internal structure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주상물을 필름 막두께 방향에 임립시켜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aspect is a column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lumnar bodies having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re fir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region where the refractive index is relatively low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단, 상술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안정적으로 발휘시키는 관점에서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한쪽의 면을 제1면으로 하고, 다른 쪽의 면을 제2면으로 했을 경우에, 주상물이, 제1면으로부터 제2면에 향하여 형상 변화하여 이루어지는 변형 주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stably exhibiting the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when on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defined as the first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defined as the second surface, And is a deformed columnar material having a shape changing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이 이유는, 제1면으로부터 제2면에 향하여 형상 변화하여 이루어지는 변형 주상물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를 구비한 광확산 필름의 경우, 예를 들면, 제1면으로부터 제2면에 향하여 형상 변화하지 않는 통상의 주상물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를 구비한 광확산 필름의 경우보다도 더, 상술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case of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composed of a deformed columnar body whose shape changes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does not change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This is becaus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forementioned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can be stably obtained even in the case of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composed of ordinary columnar material.

이하, 변형 주상물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lumn structure composed of the deformed columnar bod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주상물(112)에 있어서, 제2면(116)으로부터 제1면(115)에 향하여 직경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deformed columnar body 112 from the second surface 116 toward the first surface 115 increases.

이 이유는, 이러한 변형 주상물을 갖는 칼럼 구조를 형성함에 의해,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forming a columnar structure having such a deformed columnar body,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property can be more stably imparted to the light diffusion film.

즉, 이러한 변형 주상물이면, 통상의 주상물과 비교하여, 주상물의 축선 방향과 평행한 광이어도 직진 투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even if the deformed columnar material is light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lumnar body as compared with a normal columnar material, it is difficult for straight-pass transmission,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provide predetermined light- It is because.

또한,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주상물(112')이, 당해 주상물의 도중에 있어서 굴곡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s shown in Fig. 14 (a), it is preferable that the deformed columnar body 112 'has a curved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columnar body.

이 이유는, 이러한 변형 주상물을 갖는 칼럼 구조를 형성함에 의해,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한층 더 안정적으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forming a columnar structure having such a deformed columnar body,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property can be more stably imparted to the light diffusion film.

즉, 이러한 변형 주상물이면, 통상의 주상물과 비교하여, 광이 직진 투과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확산광의 개방각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한층 더 안정적으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in the case of such a deformed columnar material, as compared with a normal columnar material, light is hardly transmitted straightly, and the open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can be increased. Therefore, Can be given.

또한,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주상물(112a", 112b")이, 제1면(115")의 측에 위치하는 제1 주상물(112a")과, 제2면(116")의 측에 위치하는 제2 주상물(112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4 (b), the deformed columnar material 112a ", 112b "includes a first columnar body 112a"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surface 115 " And the second columnar body 112b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lumnar body" 116 ".

이 이유는, 이러한 변형 주상물을 갖는 칼럼 구조를 형성함에 의해,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한층 더 안정적으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광확산 특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forming the columnar structure having such a deformed columnar body, it is possible not only to stably impart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property to the light diffusion film, but also to control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property efficiently It is because.

즉, 이러한 변형 주상물이면, 통상의 주상물과 비교하여, 광이 직진 투과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확산광의 개방각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한층 더 안정적으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in the case of such a deformed columnar material, as compared with a normal columnar material, light is hardly transmitted straightly, and the opening angle of the diffused light can be increased. Therefore, Can be given.

또한, 제1 주상물의 상단부와, 제2 주상물의 하단부가, 후술하는 실시예4의 광확산 필름과 같이, 번갈아서 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중복 칼럼 구조 영역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columnar body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columnar body have overlapping columnar structure regions formed by alternately polymerizing them as in the light diffusing film of Example 4 described later.

이 이유는, 이러한 중복 칼럼 구조 영역을 가짐에 의해, 제1 및 제2 주상물의 사이의 주상물 미형성 부분에 있어서의 산란광의 발생을 억제하여, 광확산 각도 영역 내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강도의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having such a redundant column structure region, generation of scattered light in the columnar body nonformed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lumnar bodies is suppressed, and uniformity of the intensity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light diffusion angular region It is because we can improve sex.

(i) 굴절률(i) refractive index

칼럼 구조에 있어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상물의 굴절률과,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lumn struc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lumnar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is preferably 0.01 or more.

이 이유는, 이러한 굴절률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함에 의해, 칼럼 구조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안정적으로 반사시켜서, 칼럼 구조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보다 높여,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과, 비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과의 구별을 명확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making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to a value of 0.01 or more, the incident light is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 structure to further increase the dependency on the incident angle derived from the column structure,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clearly control the distinction from the region.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굴절률의 차가 0.01 미만의 값이 되면, 입사광이 칼럼 구조 내에서 전반사하는 각도역이 좁아지므로, 입사 각도 의존성이 과도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is less than 0.01,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ncident light in the column structure becomes narrower, so that the dependency of the incident angle may be excessively lowered.

따라서, 칼럼 구조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상물의 굴절률과,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0.0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lumnar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is more preferably 0.0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1 or more.

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상물의 굴절률과,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는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굴곡 칼럼 구조를 형성 가능한 재료를 선정하는 관점에서, 0.3 정도가 상한이라고 생각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a columnar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refractive index of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is greater, but from the viewpoint of selecting a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curved columnar structure, the upper limit is considered to be about 0.3.

(ⅱ) 최대경(Ii)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 구조에 있어서, 주상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최대경S를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s shown in Fig. 15 (a), in the column structure, the maximum diameter 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ar body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0.1 to 15 占 퐉.

이 이유는, 이러한 최대경을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칼럼 구조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서, 칼럼 구조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setting the maximum diameter within the range of 0.1 to 15 占 퐉, incident light can be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ar structure, and the dependency of the incident angle derived from the columnar structure can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즉, 이러한 최대경이 0.1㎛ 미만의 값이 되면,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상관 없이,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최대경이 15㎛를 초과한 값이 되면, 칼럼 구조 내를 직진하는 광이 증가하고, 확산광의 균일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maximum diameter is less than 0.1 탆, it may become difficult to exhibit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irrespective of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diameter exceeds 15 탆, the light going straight in the column structure increases, and the uniformity of the diffused light may deteriorate.

따라서, 칼럼 구조에 있어서, 주상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최대경을 0.5∼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column structure, the maximum diameter on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ar body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10 mu 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5 mu m.

또, 주상물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원, 타원, 다각형, 이형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lumnar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circular, elliptical, polygonal, or deformed, for example.

또한, 주상물의 단면이란, 필름 표면과 평행한 면에 의해 절단된 단면을 의미한다.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ar body means a cross section cut by a plane parallel to the film surface.

또, 주상물의 최대경이나 길이 등은, 광학 디지털 현미경으로 관찰함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maximum diameter and length of the columnar material can be measured by observing with an optical digital microscope.

(ⅲ) 주상물 간의 거리(Iii) the distance between the columns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 구조에 있어서, 주상물 간에 있어서의 거리, 즉, 인접하는 주상물에 있어서의 스페이스 P를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s shown in Fig. 15 (a), it is preferable to set the distance between the columnar bodies, that is, the space P in the adjacent columnar body, within the range of 0.1 to 15 mu m in the column structure.

이 이유는, 이러한 거리를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칼럼 구조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서, 칼럼 구조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making the distance within the range of 0.1 to 15 占 퐉, the incident light can be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ar structure, and the dependence of the incident angle derived from the columnar structure can be further improved.

즉, 이러한 거리가 0.1㎛ 미만의 값이 되면,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상관 없이,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거리가 15㎛를 초과한 값이 되면, 칼럼 구조 내를 직진하는 광이 증가하고, 확산광의 균일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distance is less than 0.1 탆, there is a case where it becomes difficult to exhibit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irrespective of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exceeds 15 mu m, the light advancing straightly in the column structure increases and the uniformity of diffused light may deteriorate.

따라서, 칼럼 구조에 있어서, 주상물 간에 있어서의 거리를 0.5∼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column structu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lumnar bodies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10 mu 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5 mu m.

(ⅳ) 두께(Iv) Thickness

또한, 칼럼 구조의 두께, 즉,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면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의 주상물의 길이 La를 50∼7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set the length La of the columnar body in the range of 50 to 700 占 퐉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ilm surface, that is, as shown in Fig. 15 (b).

이 이유는, 칼럼 구조의 두께를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막두께 방향에 따른 주상물의 길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칼럼 구조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서, 칼럼 구조에 유래한 광확산 각도 영역 내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강도의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column structure within this range, the length of the columnar body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can be stably secured, the incident light can be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uniformity of the intensity of the diffused light within the angular region can be further improved.

즉, 이러한 칼럼 구조의 두께 La가 50㎛ 미만의 값이 되면, 주상물의 길이가 부족하여, 칼럼 구조 내를 직진해버리는 입사광이 증가하고, 광확산 각도 영역 내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강도의 균일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칼럼 구조의 두께 La가 700㎛를 초과한 값이 되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칼럼 구조를 형성할 때에, 초기에 형성된 칼럼 구조에 의해 광중합의 진행 방향이 확산해버려, 소망의 칼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thickness La of the column structure is less than 50 占 퐉, the length of the columnar body is insufficient and incident light which goes straight in the column structure increases, and uniformity of the intensity of the diffused light within the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increases This is because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La of such a column structure exceeds a value of 700 탆, when the column structure is formed by irradiating the active energy ray to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 desired column structure.

따라서, 칼럼 구조의 두께 La를 70∼4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thickness La of the column structure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70 to 400 mu 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 to 300 mu m.

또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은,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두께 방향 전체에 칼럼 구조(막두께 방향 길이 La)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필름의 상단부, 하단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칼럼 구조 미형성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15 (b),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have a columnar structure (length La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formed in the entire film thickness direction, and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m Column structure unformed portion.

또, 도 14(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 주상물을 갖는 칼럼 구조의 경우에는, 상방 부분(광확산 필름을 제조할 때에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되는 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주상물의 길이와, 하방 부분에 있어서의 주상물의 길이와의 비를, 통상, 7:1∼1:5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column structure having a deformed columnar body as shown in Figs. 14 (a) to 14 (b), the columnar structure in the upper part (the part on the side where the active energy ray is irradiated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light diffusion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water to the length of the columnar body in the lower portion is usually within the range of 7: 1 to 1:50.

(v) 경사각(v) inclination angle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 구조에 있어서, 주상물(112)가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 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경사각 θc로 임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s shown in Fig. 15 (b), it is preferable that in the column structure, the columnar material 112 is fired at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C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of the light diffusion film.

이 이유는, 주상물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함에 의해, 칼럼 구조 내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반사시켜서, 칼럼 구조에 유래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mak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lumnar material constant, the incident light can be more stably reflected in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dependency of the incident angle derived from the column structur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경사각 θc를 0∼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inclination angle &thetas; c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0 to 50 DEG.

이 이유는, 칼럼 구조에 의해 발현되는 광확산 각도 영역을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함이다. 즉,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설치하는 위치, 시인자가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시인하는 각도를 고려하여, 확산광을 시인자의 방향에 집광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adjust the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expressed by the column structure in an arbitrary direction. That is, in order to condense the diffused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viewer, considering the position where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is installed and the angle at which the viewer visually observes the external light-use display body.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시인자가 영상을 대략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정면에서 시인하게 되는 장면에서는, 필름의 정면이 광확산 각도 영역이 되도록 주상물의 경사각 θc를 제어한다. 한편, 예를 들면, 시인자가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하방 등으로부터 시인하는 장면에서는, 그 방향이 광확산 각도 영역이 되도록 주상물의 경사각 θc를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n a scene in which the viewer visually observes the image on the front face of the display body using the external light using type, the inclination angle &thetas; c of the column body is controlled so that the front face of the film becomes the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in a scene in which the viewer visually recognizes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from below, the inclination angle &thetas; c of the columnar body is controlled so that the direction becomes the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단, 경사각 θc가 50°를 초과한 값이 되면, 필름의 정면에 대하여 확산광을 출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However, when the inclination angle &thetas; c exceeds 50 DEG, it may be difficult to emit diffused ligh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lm.

따라서, 경사각 θc를 0∼4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inclination angle &thetas; c within the range of 0 to 40 DEG, more preferably to be within the range of 0 to 30 DEG.

또한, 경사각 θc는, 필름면에 수직인 면으로서, 1개의 주상물 전체를 축선에 따라 2개로 절단하는 면에 의해 필름을 절단했을 경우의 단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필름 표면에 대한 법선의 각도를 0°로 했을 경우의 주상물의 경사각(°)을 의미한다.The inclination angle? C i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lm surface, in which the angle of the normal to the film surface measured on the cross section when the film is cut by two planes cut along the entire axial line of one columnar body is set to 0 (Deg.) Of the columnar body when it is in the range of "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각 θc는, 칼럼 구조의 상단면의 법선과, 주상물의 최상부가 이루는 각도 중 좁은 측의 각도를 의미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5 (b), the inclination angle &thetas; c means an angle between the normal to the top surface of the columnar structure and the top of the columnar body.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상물이 좌측으로 경사져 있을 때의 경사각을 기준으로 하고, 주상물이 우측으로 경사져 있을 때의 경사각을 마이너스로 표기한다.Further, as shown in Fig. 15 (b),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columnar object is tilted to the right is referred to as minus with reference to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columnar object is inclined to the left.

또, 도 14(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 주상물을 갖는 칼럼 구조의 경우에는, 통상, 상방 부분에 있어서의 주상물(광의 입사 측의 주상물)의 경사각을 0∼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과 함께, 하방 부분에 있어서의 주상물(광의 출사 측의 주상물)의 경사각을 0∼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a column structure having a deformed columnar body as shown in Figs. 14 (a) to 14 (b),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lumnar body (the columnar body on the incidence side of light) ,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lumnar body (the columnar body on the exit side of the light) in the lower portion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0 to 50 degrees.

(2)-4 막두께(2) -4 film thickness

또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는, 막두께를 60∼7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한다.In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m thickness is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60 to 700 mu m.

이 이유는,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가 60㎛ 미만의 값이 되면, 칼럼 구조 내를 직진하는 입사광이 증가하고,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가 700㎛를 초과한 값이 되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칼럼 구조를 형성할 때에, 초기에 형성된 칼럼 구조에 의해 광중합의 진행 방향이 확산해버려, 소망의 칼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표시 화상에 흐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film is less than 60 탆, incident light that goes straight in the column structure increases and it becomes difficult to exhibit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film exceeds 700 mu m, when the composition for a light-diffusing film is irradiated with an active energy ray to form a column structure, the progress of the light-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 desired column structure. Further, there is a case that fogging easily occurs in the display image.

따라서,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80∼4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film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 to 450 mu 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to 250 mu m.

(2)-5 제조 방법(2) -5 Production method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은, 하기 공정(a)∼(c)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diffusing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a) to (c).

(a) (A)성분으로서의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B)성분으로서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와, (C)성분으로서의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a) a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comprising a (meth) acrylate ester contain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as a component (A), a urethane (meth) acrylate as a component (B)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s a component Process to prepare

(b)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에 대하여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공정(b) a step of applying a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to a process sheet to form a coating layer

(c) 도포층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공정(c) a step of irradiating the coating layer with an active energy ray

이하, 각 공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 공정(a) :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준비 공정(i) Step (a): Preparation of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film

이러한 공정은, 소정의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이다.This step is a step of preparing a predetermined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보다 구체적으로는, (A)∼(C)성분 및 소망에 의해 그 외의 첨가제를 혼합하는 공정이다.More specifically, it is a step of mixing the components (A) to (C) and other additives by desirability.

또한, 혼합에 있어서는, 실온하에서 그대로 교반해도 되지만,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40∼80℃의 가온 조건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ixing, the mixture may be stirred at room temperature, but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uniform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mixture is stirred under a warming condition of 40 to 80 캜 to obtain a homogeneous mixture.

또한, 도공에 적합한 소망의 점도가 되도록, 희석 용제를 더 더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add a diluting solvent so as to have a desired viscosity suitable for coating.

이하,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1 (A)성분(i) -1 Component (A)

(종류)(Kinds)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은, (A)성분으로서,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preferably contains a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as the component (A).

이 이유는, (A)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함에 의해, (A)성분의 중합 속도를, (B)성분의 중합 속도보다도 빠르게 하여, 이들의 성분 간에 있어서의 중합 속도에 소정의 차를 발생시켜, 양성분의 공중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component (A) is higher than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component (B) by including the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the component (A) It is presumed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copolymerization of the positive components.

그 결과, 광경화시켰을 때에, (B)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A)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주상물을 임립시켜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photo-curing is carried out, a columnar structure formed by fusing a plurality of columnar bodie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in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

또한, (A)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함에 의해, 단량체의 단계에서는 (B)성분과 충분한 상용성(相溶性)을 가지면서도, 중합의 과정에 있어서 복수 연결된 단계에서는 (B)성분과의 상용성을 소정의 범위에까지 저하시켜서, 칼럼 구조를 더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Further, by including the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the component (A),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lymer having a sufficient compatibility with the component (B) in the step of the monomer, B) component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 column structure can be formed more efficiently.

또한, (A)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함에 의해, 칼럼 구조에 있어서의 (A)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을 높게 하여, (B)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소정 이상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in the columnar structure is increased by including the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the component (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Can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따라서, (A)성분으로서, 특정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함에 의해, 후술하는 (B)성분의 특성과 더불어, (A)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과, (B)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Therefore, by including the specific (meth) acrylic acid ester as the component (A),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and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A column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low index of refraction derived from the refractive index can be efficiently obtained.

또,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에스테르 잔기 부분에 복수의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The term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means a compound hav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in the ester residue portion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또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양쪽을 의미한다.The term "(meth) acrylic acid" means both of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또한, 이러한 (A)성분으로서의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비페닐, (메타)아크릴산나프틸, (메타)아크릴산안트라실, (메타)아크릴산벤질페닐, (메타)아크릴산비페닐옥시알킬, (메타)아크릴산나프틸옥시알킬, (메타)아크릴산안트라실옥시알킬, (메타)아크릴산벤질페닐옥시알킬 등, 혹은, 방향환 상의 수소 원자의 일부가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할로겐화알킬 등에 의해 치환된 것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as the component (A) include biphenyl (meth) acrylate, naphthyl (meth) acrylate, anthrac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benzylphenyloxyalkyl (meth) acrylate, naphthyloxyalkyl (meth) acrylate, anthracyloxyalkyl (meth) acrylate and benzylphenyloxyalkyl Is substituted with halogen, alkyl, alkoxy, halogenated alkyl, or the like.

또한, (A)성분으로서의 복수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 비페닐환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plurality of aromatic rings as the component (A) preferably contains a compound containing a biphenyl ring. In particular, a bipheny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일반식(1) 중, R1∼R10은, 각각 독립하고 있으며, R1∼R10의 적어도 1개는,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원자, 수산기, 카르복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불소 이외의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및 불소 이외의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이다)(Formula (1) of, R 1 ~R 10 are, respectively and independently, at least one of R 1 ~R 10 is, to a substituent group represented by formula (2), and the other is a hydrogen atom, a hydroxyl group , A carboxy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 halogenated alkyl group other than fluorine, a hydroxyalkyl group, a carboxyalkyl group and a halogen atom other than fluorine)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일반식(2)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탄소수 n은 1∼4의 정수이며, 반복수 m은 1∼10의 정수이다)(In the general formula (2), R 11 i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the number of carbon atoms is an integer of 1 to 4, and the number of repeating m is an integer of 1 to 10)

이 이유는, (A)성분으로서, 특정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을 포함함에 의해, (A)성분 및 (B)성분의 중합 속도에 소정의 차를 발생시켜, (A)성분과, (B)성분과의 상용성을 소정의 범위에까지 저하시켜서, 양성분끼리의 공중합성을 더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 predetermined difference in polymerization rate between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is generated by including a biphenyl compound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s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A) ) Component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 copolymerization of the two components can be further lowered.

또한, 칼럼 구조에 있어서의 (A)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을 높게 하여, (B)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소정 이상의 값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Furth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in the column structure can be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can be more easily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또한,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3)∼(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bipheny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nclud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s (3) to (4).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분자량)(Molecular Weight)

또한, (A)성분의 분자량을, 200∼2,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nent (A)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0 to 2,500.

이 이유는, (A)성분의 분자량을 소정의 범위로 함에 의해, (A)성분의 중합 속도를 더 빠르게 하여, (A)성분 및 (B)성분의 공중합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component (A) is made faster by sett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nent (A)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copolymerization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It is estimated.

그 결과, 광경화시켰을 때에, (B)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A)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주상물을 임립시켜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를, 보다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photo-curing is carried out, a columnar structure formed by firing a plurality of columnar bodie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in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

즉, (A)성분의 분자량이 200 미만의 값이 되면, 입체 장해가 작아지기 때문에 (B)성분과의 공중합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정되고, 그 결과, 칼럼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A)성분의 분자량이 2,500을 초과한 값이 되면, (B)성분과의 분자량의 차가 작아짐에 따라, (A)성분의 중합 속도가 저하하여 (B)성분의 중합 속도에 근접해지고, (B)성분과의 공중합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정되고, 그 결과, 칼럼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nent (A) is less than 200, it is presumed that copolymerization with the component (B) tends to occur because the steric hindrance becomes small.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form the column structure efficiently This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nent (A) exceeds 2,500,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component (A) decreases and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component (B) becomes closer to the polymerization rate as the molecular weight difference with the component , And (B) components is likely to occur. As a result, it may become difficult to form the column structure efficiently.

따라서, (A)성분의 분자량을, 240∼1,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60∼1,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nent (A)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40 to 1,500,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60 to 1,000.

또, (A)성분의 분자량은, 분자의 조성과, 구성 원자의 원자량으로부터 얻어지는 계산값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nent (A) can be determin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molecule and the calculated value obtained from the atomic weight of the constituent atom.

(굴절률)(Refractive index)

또한, (A)성분의 굴절률을 1.5∼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1.5 to 1.65.

이 이유는, (A)성분의 굴절률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A)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과, (B)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칼럼 구조를 구비한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can be controlled more easily by sett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This is because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can be obtained more efficiently.

즉, (A)성분의 굴절률이 1.5 미만의 값이 되면, (B)성분의 굴절률과의 차가 너무 작아져서, 유효한 광확산 각도 영역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A)성분의 굴절률이 1.65를 초과한 값이 되면, (B)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는 커지지만, (B)성분과의 외견상의 상용 상태마저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is less than 1.5, the difference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becomes too small, and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an effective light diffusion angle reg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exceeds 1.65, the difference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becomes large, but it may be difficult to form even the apparent state of compatibility with the component (B) .

따라서, (A)성분의 굴절률을, 1.52∼1.6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6∼1.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2 to 1.62,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6 to 1.6.

또, 상술한 (A)성분의 굴절률이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기 전의 (A)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above-mentioned component (A)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before curing by light irradiation.

또한, 굴절률은, 예를 들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for example, JIS K0062.

(함유량)(content)

또한,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A)성분의 함유량을, 후술하는 (B)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omponent (A) in the composition for a light-diffusing film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25 to 4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B) described below.

이 이유는, (A)성분의 함유량이 25중량부 미만의 값이 되면, (B)성분에 대한 (A)성분의 존재 비율이 적어져, 도 5(b)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칼럼 구조에 있어서의 (A)성분에 유래한 주상물의 폭이 과도하게 작아져,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칼럼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확산 필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주상물의 길이가 불충분해지고,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A)성분의 함유량이 400중량부를 초과한 값이 되면, (B)성분에 대한 (A)성분의 존재 비율이 많아지고, (A)성분에 유래한 주상물의 폭이 과도하게 커지고, 반대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칼럼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확산 필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주상물의 길이가 불충분해지고,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나타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A) is less than 25 parts by weight, the presence ratio of the component (A) to the component (B) becomes small, and in the column structure shown in the cross- The width of the columnar body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of the columnar grains becomes excessively small, and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 columnar structure having a good incident angle dependency.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columnar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ight-diffusing film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light-diffusing film may not exhibit predetermined light-diffusing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A) exceeds 400 parts by weight, the presence of the component (A) in the component (B) increases and the width of the component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column structure having a good incident angle dependency.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columnar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ight-diffusing film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light-diffusing film may not exhibit predetermined light-diffusing characteristics.

따라서, (A)성분의 함유량을, (B)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40∼3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2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A)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3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50 to 20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B).

(i)-2 (B)성분(i) -2 (B) Component

(종류)(Kinds)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은, (B)성분으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preferably contains urethane (meth) acrylate as the component (B).

이 이유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이면, (A)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과, (B)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의 불균일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칼럼 구조를 구비한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not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can be more easily controlled with urethane (meth) acrylate, ) Component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and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can be obtained more efficiently.

또,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의미한다.Further, (meth) acrylate means both of acrylate and methacrylate.

우선,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는, (B1) 이소시아나토기를 적어도 2개 함유하는 화합물, (B2) 폴리올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디올 화합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B3)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된다.(B1) a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o groups, (B2) a polyol compound, preferably a diol compound, particularly preferably a polyalkylene glycol, and (B3) a polyol compound, Hydroxyalkyl (meth) acrylate.

(굴절률)(Refractive index)

또한, (B)성분의 굴절률을 1.4∼1.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within the range of 1.4 to 1.55.

이 이유는, (B)성분의 굴절률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A)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과, (B)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칼럼 구조를 구비한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is set to a value within this range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This is because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can be obtained more efficiently.

즉, (B)성분의 굴절률이 1.4 미만의 값이 되면, (A)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는 커지지만, (A)성분과의 상용성이 극단적으로 악화하여, 칼럼 구조를 형성할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B)성분의 굴절률이 1.55를 초과한 값이 되면, (A)성분의 굴절률과의 차가 너무 작아져서, 소망의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is less than 1.4, the difference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increases, but the compatibility with the component (A) is extremely deteriorated, There is.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exceeds 1.55,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becomes too small, and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incident angle dependency.

따라서, (B)성분의 굴절률을, 1.45∼1.54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6∼1.5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45 to 1.54,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46 to 1.52.

또, 상술한 (B)성분의 굴절률이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기 전의 (B)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above-mentioned component (B)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before curing by light irradiation.

그리고, 굴절률은, 예를 들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for example, JIS K0062.

또한, 상술한 (A)성분의 굴절률과, (B)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is preferably 0.01 or more.

이 이유는, 이러한 굴절률의 차를 소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의 보다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 및 보다 넓은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possible to obtain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better incident angle dependency in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light and a wider light diffusion angle of incidence angle region .

즉, 이러한 굴절률의 차가 0.01 미만의 값이 되면, 입사광이 칼럼 구조 내에서 전반사하는 각도역이 좁아지므로, 광확산에 있어서의 개방각이 과도하게 좁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굴절률의 차가 과도하게 큰 값이 되면, (A)성분과 (B)성분의 상용성이 너무 악화하여, 칼럼 구조를 형성할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is less than 0.01,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ncident light in the column structure becomes narrower, so that the opening angle in the light diffusion may be excessively narrow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becomes excessively large, the compatibility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becomes too poor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lumn structure can not be formed.

따라서, (A)성분의 굴절률과, (B)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를, 0.05∼0.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0.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B) is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05 to 0.5, and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1 to 0.2.

또, 여기에서 말하는 (A)성분 및 (B)성분의 굴절률이란, 광조사에 의해 경화하기 전의 (A)성분 및 (B)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referred to herein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before curing by light irradiation.

(함유량)(content)

또한,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B)성분의 함유량을,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전체량 100중량%에 대하여, 10∼75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omponent (B) in the composition for a light-diffusing film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10 to 7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ion for a light-diffusing film.

이 이유는, (B)성분의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의 값이 되면, (A)성분에 대한 (B)성분의 존재 비율이 적어지고, (B)성분에 유래한 영역이, (A)성분에 유래한 영역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작아지고,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칼럼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B)성분의 함유량이 75중량%를 초과한 값이 되면, (A)성분에 대한 (B)성분의 존재 비율이 많아지고, (B)성분에 유래한 영역이, (A)성분에 유래한 영역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커지고, 반대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칼럼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B)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 proportion of the component (B) relative to the component (A) is decreased and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It is difficult to obtain a column structure having a satisfactory dependence on the angle of incide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B) exceeds 75% by weight, the proportion of the component (B) relative to the component (A) increases and the region derived from the component (B) ,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a column structure having a good incident angle dependency.

따라서, (B)성분의 함유량을,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전체량 100중량%에 대하여, 20∼7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6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B)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70% by weight,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6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ion for the light- .

(i)-3 (C)성분(i) -3 (C) Component

(종류)(Kinds)

또한,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은, (C)성분으로서, 광중합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preferably contain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s the component (C).

이 이유는,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했을 때에, 효율적으로, (B)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A)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주상물을 임립시켜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a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is irradiated with an active energy ra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mponent (A) derived from the component (A) is relatively high in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the component The columnar structure can be formed by immersing the columnar material in the columnar structure.

여기에서, 광중합개시제란,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종이나 수소 이온 등,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물질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말한다.Here,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refers to a compound that generates a substance that initiates polymerization reaction, such as radical species or hydrogen ion, upon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이러한 (C)성분으로서의 광중합개시제는, α-히드록시아세토페논형 광중합개시제, α-아미노아세토페논형 광중합개시제 및 아실포스핀옥사이드형 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s the component (C) is preferably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Hydroxyacetophenone typ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 -Aminoacetophenone typ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cylphosphine oxide type polymerization initiator.

이 이유는, 이들의 광중합개시제이면, 칼럼 구조에, 보다 명확하게 굴곡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개방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s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the bending can be more clearly generated in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opening angle of diffused light in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can be expanded more effectively.

즉, 이들의 광중합개시제이면, 굴곡한 칼럼 구조의 형성에 있어서, (A)성분 및 (B)성분에 유래한 영역의 굴절률차가 보다 커지도록, 이들의 성분의 분리를 재촉하면서 경화시키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고 추측되기 때문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s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in the formation of the curved column structure, the separation of these components is accelerated so that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regions derived from the components (A) and (B) .

광중합개시제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er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민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α-히드록시아세토페논형 광중합개시제로서는,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인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for example,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n-but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acetophenone, Phenylacetophenone, 2,2-diethoxy-2-phenylacetophen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 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1-one, 4- (2-hydroxyethoxy) phenyl- 2- Benzoquinone, 2-ethyl anthraquinone, 2-tert-butyl anthraquinone, 2-tert-butyl anthraquinone, 2-methylthioxanthone, 2-chlorothioxanthone, 2,4-dimethylthioxanthone, 2,4-diethylthioxanthone, benzyldimethylketal, acetophenone dimethylketal, p-dimethylamine benzoate Propyl], and one of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thereof. The term " 2-hydroxy-2-methyl- . Among them, the? -Hydroxyacetophenone typ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함유량)(content)

또한,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C)성분의 함유량을,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0.2∼2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omponent (C) in the composition for a light-diffusing film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2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s (A) and (B) .

이 이유는, (C)성분의 함유량이 0.2중량부 미만의 값이 되면, 충분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얻는 것이 곤란해질뿐만 아니라, 중합 개시점이 과도하게 적어져, 필름을 충분히 광경화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C)성분의 함유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한 값이 되면, 도포층의 표층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가 과도하게 강해져서, 오히려 필름의 광경화가 저해되거나, 악취가 과도하게 강해지거나, 혹은 필름의 초기의 황색미가 강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C) is less than 0.2 parts by weight,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a light-diffusing film having a sufficient angle of incidence dependence,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ion point becomes excessively small, It may become difficul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C) exceeds 20 parts by weight, the ultraviolet ray absorption in the surface layer of the coating layer becomes excessively strong, and the photocuring of the film is inhibited or the odor becomes excessively strong, Or the initial yellowish color of the coloring material may become strong.

따라서, (C)성분의 함유량을,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0.5∼1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C)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s (A) Is more preferable.

(i)-4 (D)성분(i) -4 (D) Component

(종류)(Kind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은, 특히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상물의 도중에 있어서 굴곡부를 갖는 변형 주상물(112')을 갖는 칼럼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 (D)성분으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a light-diffusing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composition for forming a columnar structure having a bent portion 112 'in the middle of a columnar body as shown in Fig. 14 (a) ) Componen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ultraviolet absorber.

이 이유는, (D)성분으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했을 때에, 소정 파장의 활성 에너지선을, 소정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active energy ray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can be selectively absorbed 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active energy ray is irradiated by including the ultraviolet absorbent as the component (D).

그 결과,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경화를 저해하지 않고,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형성되는 칼럼 구조에 굴곡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4 (a), curvature can be generated in the column structure formed in the film without inhibiting the curing of the composition for the light diffusion film, and as a result, And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property can be stably provided.

또한, (D)성분이,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히드록시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nent (D) is preferably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phenyltriazine type ultraviolet ray absorbing agent, a benzotriazole type ultraviolet ray absorbing agent, a benzophenone type ultraviolet ray absorbing agent and a hydroxybenzoate type ultraviolet ray absorbing agent.

또한,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5)∼(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Further, specific examples of the hydroxyphenyltriazine type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5) to (9).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또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Further, specific examples of the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0).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0

(함유량)(content)

또한,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D)성분의 함유량을,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미만(단, 0중량부를 제외함)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 in the composition for a light-diffusing film is less than 2 parts by weight (excluding 0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nents (A) As shown in Fig.

이 이유는, (D)성분의 함유량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경화를 저해하지 않고, 필름 내에 형성되는 칼럼 구조에 굴곡을 생기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etting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 to a value with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cause bending of the column structure formed in the film without hindering the curing of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This is because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property can be more stably imparted to the diffusion film.

즉, (D)성분의 함유량이 2중량부 이상의 값이 되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경화가 저해되어서, 필름 표면에 수축 주름이 생기거나, 전혀 경화하지 않게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D)성분의 함유량이 과도하게 적어지면, 필름 내에 형성되는 소정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충분한 굴곡을 생기게 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에 대하여, 소정의 광확산 특성을 안정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 is 2 parts by weight or more, the curing of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is inhibited, and shrinkage wrinkles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film or no curing may occur at all.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 is excessively small, it becomes difficult to cause sufficient bending of the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to be formed in the film, and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property is stably imparted This is because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D)성분의 함유량을,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1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2 to 1 part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s (A) Is more preferable.

(i)-5 다른 첨가제(i) -5 Other additives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의, 상술한 화합물 이외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dditive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compounds may be added to the extent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힌더드아민계 광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중합 촉진제, 중합 금지제, 적외선 흡수제, 가소제, 희석 용제, 및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such an additive include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antioxidants, antistatic agents, polymerization accelerators, polymerization inhibitors, infrared absorbers, plasticizers, diluting solvents, and leveling agents.

또, 이러한 첨가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3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2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general, the content of such an additive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01 to 5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in a range of 0.02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s (A) and (B) More preferably 0.05 to 2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ⅱ) 공정(b) : 도포 공정(Ii) Step (b): The coating step

이러한 공정은,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102)에 대하여 도포하여, 도포층(101)을 형성하는 공정이다.This step is a step of forming the coating layer 101 by coating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on the process sheet 102 as shown in Fig. 16 (a).

공정 시트로서는, 플라스틱 필름, 종이 중 어느 것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As the process sheet, any of plastic film and paper can be used.

이 중,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및 폴리이미드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lastic film include a polyester film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polyolefin film such as a polyethylene film and a polypropylene film, a cellulose film such as a triacetyl cellulose film, a polyimide film, and the like .

또한, 종이로서는, 예를 들면, 글라신지, 코팅지, 및 라미네이트지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aper include gloss paper, coated paper, and laminated paper.

또한, 후술하는 공정을 고려하면, 공정 시트(102)로서는,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Also, considering the process described below, the process sheet 102 is preferably a plastic film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against heat or active energy rays.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상술한 것 중,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및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Among these plastic films, polyester films, polyolefin films and polyimide films are preferably used.

또한, 공정 시트에 대해서는, 광경화 후에,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공정 시트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공정 시트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도포면 측에, 박리층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e process shee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elease layer on the application sid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composition in the process sheet in order to easily peel off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from the process sheet after photo-curing.

이러한 박리층은,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알키드계 박리제, 올레핀계 박리제 등, 종래 공지의 박리제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Such a release layer can be formed by using a conventionally known release agent such as a silicone-based release agent, a fluorine-based release agent, an alkyd-based release agent, and an olefin-based release agent.

또, 공정 시트의 두께는, 통상, 25∼2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rocess sheet is preferably set within a range of usually 25 to 200 mu m.

또한, 공정 시트 상에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이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및 그라비어 코팅법 등,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od of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on the process sheet include a known method such as a knife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bar coating method, a blad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nd a gravure coating method Method can be used.

또, 이때, 도포층의 막두께를 60∼7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within a range of 60 to 700 mu m.

(ⅲ) 공정(c) :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공정(Iii) Step (c): irradiation process of active energy ray

이러한 공정은,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층(101)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하고,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형성하여, 광확산 필름으로 하는 공정이다.This step is a step of forming a light diffusion film by form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by irradiating the coating layer 101 with active energy rays as shown in Fig. 16 (b).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공정에 있어서는, 공정 시트 상에 형성된 도포층에 대하여, 광선의 평행도가 높은 평행광을 조사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step of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parallel rays having a high degree of parallelism of light are irradiated onto th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process sheet.

여기에서, 평행광이란, 발하는 광의 방향이, 어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여도 확산을 가지지 않는 대략 평행한 광을 의미한다.Here, the parallel light means substantially parallel light having no diffusion even if the direction of light emitted is from any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광원(202)으로부터의 조사광(50)을 렌즈(204)에 의해 평행광(60)으로 한 후, 도포층(101)에 조사하거나, 도 17(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상 광원(225)으로부터의 조사광(50)을, 조사광 평행화 부재(200(200a, 200b))에 의해 평행광(60)으로 한 후, 도포층(101)에 조사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A, the irradiation light 50 from the point light source 202 is converted into the parallel light 60 by the lens 204, and then the coating layer The irradiation light 50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25 is parallel to the irradiation light parallelizing member 200 (200a, 200b) as shown in Figs. 17 (b) to (c)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the coating layer 101 with the light 60.

또, 도 1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광 평행화 부재(200)는, 선상 광원(225)에 의한 직접광 중, 광의 방향이 랜덤이 되는 선상 광원(225)의 축선 방향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예를 들면, 판상 부재(210a)나 통상 부재(210b) 등의 차광 부재(210)를 사용하여 광의 방향을 통일함에 의해, 선상 광원(225)에 의한 직접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17 (d), the irradiation light collimating member 200 is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225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light is direct in the direct light by the linear light source 225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direct light by the linear light source 225 into parallel light by unifying the directions of light by using the light shielding member 210 such as the plate member 210a or the normal member 210b have.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상 광원(225)에 의한 직접광 중, 판상 부재(210a)나 통상 부재(210b) 등의 차광 부재(210)에 대한 평행도가 낮은 광은, 이들에 접촉하여, 흡수된다.More specifically, light having a low parallelism to the light shielding member 210, such as the sheet member 210a or the normal member 210b, in direct light by the linear light source 225 is contacted and absorbed.

따라서, 판상 부재(210a)나 통상 부재(210b) 등의 차광 부재(210)에 대한 평행도가 높은 광, 즉, 평행광만이, 조사광 평행화 부재(200)를 통과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선상 광원(225)에 의한 직접광이, 조사광 평행화 부재(200)에 의해 평행광에 변환되게 된다.Therefore, only light having a high degree of parallelism to the light shielding member 210 such as the plate member 210a or the normal member 210b, that is, parallel light, passes through the irradiation light collimating member 200, Direct light by the light source 225 is converted into parallel light by the irradiation light collimating member 200.

또, 판상 부재(210a)나 통상 부재(210b) 등의 차광 부재(210)의 재료 물질로서는, 차광 부재(210)에 대한 평행도가 낮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내열흑도장을 실시한 알스타 강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light shielding member 210 such as the sheet member 210a or the normal member 210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bsorb light having a low degree of parallelism to the light shielding member 210. For example, For example, an alstar steel plate having a heat-resistant black coating can be used.

또한, 조사광의 평행도를 1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set the parallelism of the irradiation light to a value of 10 DEG or less.

이 이유는, 조사광의 평행도를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칼럼 구조를 효율적, 또한,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column structure can be efficiently and stably formed by setting the parallelism of the irradiation light to a value within this range.

따라서, 조사광의 평행도를 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parallelism of the irradiation light is more preferably set to a value of 5 DEG or less, and more preferably set to a value of 2 DEG or less.

또한, 조사광의 조사각으로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층(101)의 표면에 대한 법선의 각도를 0°로 했을 경우의 조사각 θd를, 통상, -8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8, the irradiation angle? D in the case where the angle of the normal to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101 is 0 is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usually -80 to 80 占.

이 이유는, 조사각이 -80∼80°의 범위 외의 값이 되면, 도포층(101)의 표면에서의 반사 등의 영향이 커지고, 충분한 칼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irradiation angle is out of the range of -80 to 80 °, the influence of reflection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101 becomes large and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a sufficient column structure.

또한, 조사광으로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irradiation light,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rays can be mention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ultraviolet rays.

이 이유는, 전자선의 경우, 중합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중합 과정에서 (A)성분과 (B)성분이 충분히 상분리할 수 없고, 칼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가시광 등과 비교했을 경우, 자외선 쪽이, 그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나, 사용 가능한 광중합개시제의 베리에이션이 풍부하므로, (A)성분 및 (B)성분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electron beams, the polymerization rate is very fast, so that the components (A) and (B) can not sufficiently be phase-separated in the course of polymerization and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a column structure.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ed with visible light or the like, since the ultraviolet ray is enriched with ultraviolet curing resin that can be cured by the irradiation or variation of a usabl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e choice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Because.

또한, 자외선의 조사 조건으로서는, 도포층 표면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를 0.1∼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ultraviolet irradiation condi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peak illuminance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within a range of 0.1 to 10 mW / cm 2.

이 이유는, 이러한 피크 조도가 0.1㎽/㎠ 미만의 값이 되면, 칼럼 구조를 명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피크 조도가 10㎽/㎠를 초과한 값이 되면, (A)성분 및 (B)성분의 상분리가 진행되기 전에 경화해버려, 반대로, 칼럼 구조를 명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peak illuminance becomes less than 0.1 mW / cm 2, it may become difficult to form the column structure clear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ak illuminance exceeds 10 mW / cm 2, curing occurs before phase separation of the components (A) and (B) proceeds and conversely, it is difficult to form the column structure clearly It is because.

따라서,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의 도포층 표면의 피크 조도를 0.3∼8㎽/㎠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peak illuminance of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in ultraviolet irradiation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3 to 8 mW / cm 2,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6 mW / cm 2.

또, 여기에서 말하는 피크 조도란, 도포층 표면에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이 최대값을 나타내는 부분에서의 측정값을 의미한다.The term "peak roughness" as used herein means a measured value at a portion where the active energy ray irradiate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exhibits the maximum value.

또한,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의 도포층 표면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을 5∼200mJ/㎠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in ultraviolet irradiation is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5 to 200 mJ / cm 2.

이 이유는, 이러한 적산 광량이 5mJ/㎠ 미만의 값이 되면, 칼럼 구조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충분히 신장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적산 광량이 200mJ/㎠를 초과한 값이 되면,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에 착색이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integrated amount of light is less than 5 mJ / cm 2, it may be difficult to extend the column structure from the upward to the downward direction sufficient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grated amount of light exceeds 200 mJ / cm 2, coloration may occur in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따라서,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의 도포층 표면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을 7∼150mJ/㎠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100mJ/㎠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tegrated amount of light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in ultraviolet irradiation is within a range of 7 to 150 mJ / cm 2,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10 to 100 mJ / cm 2.

또, 필름 내에 형성하는 내부 구조에 의해, 피크 조도 및 적산 광량을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optimize the peak illuminance and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by the internal structure formed in the film.

또한, 자외선 조사일 때에, 공정 시트 상에 형성된 도포층을, 0.1∼10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process sheet at a speed of 0.1 to 10 m / min w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이 이유는, 이러한 속도가 0.1m/분 미만의 값이 되면, 양산성이 과도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속도가 10m/분을 초과한 값이 되면, 도포층의 경화, 환언하면, 칼럼 구조의 형성보다도 빠르고, 도포층에 대한 자외선의 입사 각도가 변화되어버려, 칼럼 구조의 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velocity becomes less than 0.1 m / min, the mass productivity may excessively decrea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locity exceeds 10 m / min, the curing of the coating layer, in other words, the formation angle of the ultraviolet ray to the coating layer is changed faster than the formation of the columnar structure and the formation of the column structure becomes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there are cases.

따라서, 자외선 조사일 때에, 공정 시트 상에 형성된 도포층을, 0.2∼5m/분의 범위 내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3m/분의 범위 내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ultraviolet ray is irradiated, the coated layer formed on the process sheet is more preferably moved at a speed within a range of 0.2 to 5 m / min, and more preferably at a speed within a range of 0.3 to 3 m / min.

또, 자외선 조사 공정 후의 광확산 필름은, 공정 시트를 박리함에 의해, 최종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light diffusion film after the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is finally usable by peeling off the process sheet.

또,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주상물과, 제2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주상물로 이루어지는 변형 주상물(112a", 112b")을 갖는 칼럼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를 2단계로 나누어서 행한다.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lumn having deformed columnar bodies 112a "and 112b" made of a first columnar body located on the first surface side and a second columnar body positioned on the second surface side as shown in Fig. 14 (b) When the structure is formed, ultraviolet irradiation is performed in two stages.

즉, 처음에 제1 자외선 조사를 행하고, 도포층의 하부, 즉 제1면 측에 제1 주상물을 형성하여, 도포층의 상부, 즉 제2면 측에 칼럼 구조 미형성 영역을 남긴다.That is, the first ultraviolet irradiation is performed first, and the first columnar material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ating layer, that is, on the first surface side, leaving the column structure non-forming region on the upper side of the coating layer, i.e., the second surface side.

이때, 안정적으로 칼럼 구조 미형성 영역을 남기는 관점에서는, 제1 자외선 조사를, 산소 저해의 영향을 이용하기 위해, 산소 존재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from the viewpoint of stably leaving the unstructured column structure reg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first ultraviolet ray irradiation under the oxygen atmosphere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effect of oxygen inhibition.

이어서, 제2 자외선 조사를 행하고, 제2면 측에 남겨진 칼럼 구조 미형성 영역에 제2 주상물을 형성한다.Subsequently, the second ultraviolet ray irradiation is performed, and a second columnar body is formed in the column structure non-forming region left on the second surface side.

이때, 안정적으로 제2 주상물을 형성하는 관점에서는, 산소 저해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제2 자외선 조사를, 비산소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from the viewpoint of stably forming the second columnar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conduct the second ultraviolet ray irradiation under a non-oxygen atmosphere in order to suppress the influence of the oxygen inhibition.

(3)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3)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이하의 구성의 광확산 필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As a light-diffusing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a film, a light-diffusing film having the following constitu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즉, 내부 구조가 루버 구조임과 함께, 제1 루버 구조 및 제2 루버 구조를, 필름 막두께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순차로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예각 θ1을 10∼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at is,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ouver structure and having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second louver structure sequentially from below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cute angle &thetas; 1 defined by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is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10 to 90 DEG.

(3)-1 기본적 구성(3) -1 Basic configuration

우선, 도 19를 사용하여,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기본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basic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즉, 도 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100b')은, 도 19(a)에 나타내는 제1 루버 구조(123a), 및 도 19(b) 제2 루버 구조(123b)를, 필름 막두께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순차로 갖는다.19 (c),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shown in FIG. 19 (a) and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a shown in FIG. 19 (b) (123b) sequentially from below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또한, 도 19(a)에 나타내는 제1 루버 구조(123a)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도 19(b)에 나타내는 제2 루버 구조(123b)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은, 각각 다르고,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는, 교차하고 있다.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au region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shown in Fig. 19 (a)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au region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shown in Fig. 19 (b) And they cross each other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따라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100b')이면, 필름에 대하여 입사한 광을, 예를 들면, 우선,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루버 구조(123b)에 의해 이방성 광확산시키게 된다.19 (b), the light incident on the film is converted into anisotropic light diffusion (light diffusion) by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

이어서, 제2 루버 구조(123b)에 의해 이방성 광확산된 확산광을, 또한,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루버 구조(123a)에 의해, 제2 루버 구조(123b)는 다른 방향에 이방성 광확산시키게 된다.19 (a),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diffuses the anisotropically light-diffused diffused light by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in the other direction As shown in FIG.

그 결과, 도 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100b')에 입사한 광은, 사각 형상으로 광확산되게 되어, 입사광의 확산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9C, the light incident on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light-diffus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can be effectively widened.

또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100b')을 반사판과 적층하고, 외광 이용형 표시체로 함에 의해, 외광의 방위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효율적으로 표시광으로서 소정의 방향에 확산 출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laminated with the reflection plate and is made into an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so that even if the incident angle in the azimuth direction of external light changes, It becomes possible to diffuse and exit.

보다 구체적으로는,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은,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위각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해서는, 그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지만, 이것과 직교하는 방위각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해서는, 그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가 변화했을 경우에 효과적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More specifically, the light-diffusing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effectively diffuses the incident light from the azimuthal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louver structure,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changes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diffuse the incident light from the azimuth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n the case where the incident angle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changes.

이 점,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100b')이면, 2개의 다른 방위각 방향으로부터의 외광이 입사했을 경우여도, 효율적으로 표시광으로서 소정의 방향에 확산 출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regard, the light diffusion film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iciently diffuse and emit display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even when external light from two different azimuth directions is incident.

또, 상술한 「하방」이란, 공정 시트 상에 도포층을 마련했을 때에, 도포층의 막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공정 시트에 가까운 측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편의적인 용어이며, 광확산 필름 자체의 상하 방향을 조금도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mentioned " downward " means a side closer to the process sheet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layer when the application layer is provided on the process sheet. Therefore, it is a convenience term for describing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tself is not limited at all.

또한,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란, 도 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이 필름에 의해 확산되었을 경우에, 확산된 출사광에 있어서의 필름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어서의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서의, 확산광이 분포되는 면적을 의미한다.19 (c), when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by the film,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is a plane that is parallel to the film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lm in the diffused outgoing light Means an area in which the diffused light is distributed in the light source.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확산 필름에 대해서 상술한다.Hereinafter,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3)-2 제1 루버 구조(3) -2 First louver structure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 간의 굴절률의 차, 즉, 상대적으로 고굴절률의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 상대적으로 저굴절률의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plate-like region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au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lateau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More preferably 0.0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1 or more.

또, 상세에 대해서는,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항목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details of the above-mentioned film are omitted because they overlap with the contents of the item " refractive index " 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루버 구조(123a)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고굴절률 판상 영역(122) 및 저굴절률 판상 영역(124)의 폭(S1, S2)을, 각각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20, the widths S1 and S2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late-shaped area 122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plate-shaped area 124, which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are set to 0.1 to 15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10 mu 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5 mu m.

또, 상세에 대해서는,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최대경」 및 「주상물 간의 거리」의 항목의 내용에 준하므로, 생략한다.The detail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maximum diamet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lumnar bodies" 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the columnar structure in the above-mentioned film, and therefore will not be described.

또한, 제1 루버 구조의 두께, 즉, 도 20에 나타내는 필름 표면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루버 구조 존재 부분의 길이 Lb는 5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2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louver structure, that is, the length Lb of the first louver structure existing portion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ilm surface shown in Fig. 20 is within a range of 50 to 500 mu m, Mu] m, more preferably a value within a range of 80 to 200 [mu] m.

또, 상세에 대해서는,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두께」의 항목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Note that the details are omitted because they are overlapped with the content of the item " thickness " 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above-mentioned film.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고굴절률 판상 영역(122) 및 복수의 저굴절률 판상 영역(124)이, 막두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일정한 경사각 θc로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20, in the first louper structure, the plurality of high refractive index plate-shaped regions 122 and the plurality of low refractive index plate-shaped regions 124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are forme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C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in parallel.

또, θc는 필름면에 따른 임의의 한 방향에 연장되는 제1 루버 구조에 대하여 수직인 면에서 필름을 절단했을 경우의 단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필름 표면에 대한 법선의 각도를 0°로 했을 경우의 판상 영역의 경사각(°)을 의미한다.In the case where the angle of the normal to the film surface measured on the cross section when the film is cut o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louver structure extending in any one direction along the film surface is 0 DEG Means the inclination angle (DEG) of the plate-shaped area.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루버 구조의 상단면의 법선과 판상 영역의 최상부가 이루는 각도 중 좁은 측의 각도를 의미한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 영역이 좌측으로 경사져 있을 때의 경사각을 기준으로 하고, 판상 영역이 우측으로 경사져 있을 때의 경사각을 마이너스로 표기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0, the angle is defined as the angle between the normal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top of the plate-shaped area, which is the narrower side of the angle. As shown in Fig. 20,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plate-shaped area is inclined to the left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and the inclination angle when the plate-shaped area is inclined to the right as minus.

또한,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루버 구조(123a)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122, 124)의 연장 방향 N1과, 필름의 장척 방향 E'가 이루는 예각 θ2를 1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1 (a),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extending direction N1 of the plate-shaped regions 122 and 124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and the elongation direction E ' It is preferable to set the acute angle &thetas; 2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10 to 80 DEG.

이 이유는,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더불어, 입사광을 그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뿐만 아니라, 그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광확산시킴에 의해 입사광의 확산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mak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 value within such a range, it is possible to make the incident light not only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can be effectively widened by the light diffusion eve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 결과, 이음매가 없는 대면적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로서, 또한, 시야각이 넓은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실현할 수 있다.As a result,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having a large viewing angle can be realized as a large-area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having no joints.

즉, 이러한 예각이 10° 미만의 값이 되면,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필름의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예각이 80°를 초과한 값이 되면,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필름의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acute angle is less than 10,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is generally excessively lowered, although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is in general, The diffusion area of the diffusion layer may become excessively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acute angle exceeds 80 DEG,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re deteriorated excessively, generally depending o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au region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may become excessively small.

따라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필름의 장척 방향이 이루는 예각을 35∼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44∼4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cute angle formed by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region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5 to 55 DEG, more preferably 40 to 50 DEG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4 to 46 DEG, and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4 to 46 DEG.

(3)-3 제2 루버 구조(3) -3 second louver structure

제2 루버 구조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1 루버 구조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여, 이하의 점만 기재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louv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louver structure, avoid duplication and only the following points are described.

즉,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2 루버 구조(123b)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122, 124)의 연장 방향 N2와, 필름의 장척 방향 E'가 이루는 예각 θ3을 1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1 (b),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elongation direction N2 of the plate-shaped regions 122 and 124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and the elongation direction E 'of the film It is preferable to set the acute angle &thetas; 3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10 to 80 DEG.

이 이유는,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에 의해,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더불어, 입사광을 그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뿐만 아니라, 그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광확산시킴에 의해 입사광의 확산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mak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a value within such a range, the incident light can be directed not only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can be effectively widened by the light diffusion eve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필름의 장척 방향이 이루는 예각을 35∼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44∼4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cute angle formed by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region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5 to 55 degrees, more preferably 40 to 50 degree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4 to 46 DEG, and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4 to 46 DEG.

(3)-4 막두께(3) -4 film thickness

또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5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2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50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70 to 30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 to 200 mu m Is more preferable.

또한,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 방향에는, 예를 들면, 표층부 등에 루버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있어도 된다.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of the light-diffusing film, for example, there may be a portion where no louver structure exists in the surface layer portion.

따라서,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는, 제1 루버 구조의 두께 및 제2 루버 구조의 두께의 합계와 같거나, 그 이상이 된다.Therefore, the film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film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ouver structure.

또, 상세에 대해서는,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막두께」의 항목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details of the above-mentioned film are omitted because they overlap with the contents of the item " film thickness " 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3)-5 연장 방향의 조합(3) -5 Combination of extension direction

또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는,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루버 구조(123a)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122, 124)의 연장 방향 N1과, 제2 루버 구조(123b)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122, 124)의 연장 방향 N2가 이루는 예각 θ1을 10∼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한다.In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1 (c),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extending direction N1 of the plate-shaped regions 122 and 124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And the extending direction N2 of the plate-shaped regions 122 and 124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are set to values within a range of 10 to 90 degrees.

이 이유는,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입사광을 그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뿐만 아니라, 그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광확산시킴에 의해 입사광의 확산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힌 장척상의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structuring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longitudinal film in which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is effectively widened by diffusing the incident light not only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그 결과, 시야각이 넓은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다른 방위각 방향으로부터 외광이 입사했을 경우여도, 효율적으로 표시광으로서 소정의 방향에 확산 출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a result,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having a wide viewing angle can be realized, and even when external light is incident from other azimuth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ffuse and emit display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즉, 이러한 예각이 10° 미만의 값이 되면,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acute angle is less than 10,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may be excessively small.

따라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예각을 80∼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89∼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cute angle formed by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is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80 to 90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85 to 90 DEG, and still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89 to 90 DEG.

또한,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루버 구조(123a)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122, 124)의 연장 방향 N1과, 제2 루버 구조(123b)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122, 124)의 연장 방향 N2가 필름의 장척 방향 E'와 직교하는 가상선 E"에 대하여, 선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21 (c),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extending direction N1 of the plate-shaped regions 122 and 124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and the extending direction N2 of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Is preferably in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a virtual line E "in which the extending direction N2 of the plate-shaped regions 122 and 12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is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E 'of the film.

이 이유는,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을 이와 같이 교차시킴에 의해, 입사광을 따라 균일하게 광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light can be uniformly diffused along the incident light by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au region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au region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

즉, 특히, θ2=45°, θ3=45°의 경우, 혹은 각각이 그 주변값인 경우에는, 각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을 선대칭으로 함에 의해, 후술하는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산광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너비와, 상하 방향의 너비를, 각각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θ2 = 45 ° and θ3 = 45 °, or in the case where each is a peripheral valu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region in each louver structure is made to be a line-symmetrical shape, The width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width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can be respectively maximized.

따라서, 이러한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는, 횡방향의 시야각과, 종방향의 시야각을 각각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다.Therefore, when such a light-diffusing film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using external light, the viewing angl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viewing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maximized.

여기에서, 도 22(a)∼(e)를 사용하여,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입사광의 확산 면적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a) to 22 (e).

즉 도 22(a)∼(e)는, 각각 좌측에 제1 루버 구조(123a) 및 이것에 입사한 광의 확산 상태(50')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에 제2 루버 구조(123b) 및 이것에 입사한 제1 루버 구조(123a)에 의한 확산광의 확산 상태(51')를 나타내고 있다.22A to 22E show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and the light diffusion state 50 'incident on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and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on the right side, And the diffusion state 51 'of the diffused light by the incident first louver structure 123a.

우선, 도 22(a)는, θ1=90°, θ2=45°, θ3=45°의 경우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확산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최종적인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충분히 넓어짐을 알 수 있다(51').22 (a) shows the diffused state of incident light in the case of? 1 = 90,? 2 = 45, and? 3 = 45, but it can be seen that the final diffused area of the incident light is sufficiently widened 51 ').

한편, 도 22(b)는, θ1=60°, θ2=30°, θ3=30°의 경우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확산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22(a)의 경우와 비교하여, 필름의 장척 방향 E'에 따른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51').On the other hand, Fig. 22 (b) shows the diffusion state of incident light in the case of? 1 = 60 deg.,? 2 = 30 deg., And? 3 = 30 deg. It is understood that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 in the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E 'is lowered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is smaller (51').

또한, 도 22(c)는, θ1=60°, θ2=60°, θ3=60°의 경우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확산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22(a)의 경우와 비교하여, 필름의 장척 방향 E'와 직교하는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51').22 (c) shows the diffused state of the incident light in the case of? 1 = 60,? 2 = 60, and? 3 = 60.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22 (a) It is understood that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E 'decreases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becomes smaller (51').

한편, 도 22(d)는, θ1=30°, θ2=15°, θ3=15°의 경우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확산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22(a)의 경우와 비교하여, 필름의 장척 방향 E'에 따른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더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더 작아짐을 알 수 있다(51').On the other hand, FIG. 22 (d) shows the diffusion state of incident light in the case of? 1 = 30,? 2 = 15 and? 3 = 15, It is understood that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 in the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E 'is further lowered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is smaller (51').

또한, 도 22(e)는, θ1=30°, θ2=75°, θ3=75°의 경우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확산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22(a)의 경우와 비교하여, 필름의 장척 방향 E'와 직교하는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더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더 작아짐을 알 수 있다(51').22 (e) shows the diffused state of the incident light in the case of? 1 = 30,? 2 = 75, and? 3 = 75.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22 (a) It is understood that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E 'is further reduced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becomes smaller (51').

또, 도 22(a)∼(e)에 대응하는 확산광의 사진을, 도 23(a)∼(e)에 나타낸다.Figs. 23 (a) to 23 (e) show photographs of diffused light corresponding to Figs. 22 (a) to 22 (e).

(3)-6 제조 방법(3) -6 Manufacturing method

또한,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은, 예를 들면, 하기 공정(a)∼(e)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Further, 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a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a) to (e).

(a) 굴절률이 다른 2개의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a) preparing a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comprising two polymerizable compound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b)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에 대하여 도포하여, 제1 도포층을 형성하는 공정(b) a step of applying a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to a process sheet to form a first coated layer

(c) 제1 도포층에 대하여, 당해 제1 도포층을 이동시키면서, 선상 광원을 사용하여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하고, 제1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c) a step of forming a first louver structure by irradiating the first coated layer with a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using a linear light source while moving the first coated layer;

(d)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에 대하여 도포하여,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d) applying a composition for a light-diffusing film to the first coating layer having the first louver structure to form a laminate composed of the first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coating layer

(e) 제2 도포층에 대하여,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이동시키면서, 선상 광원을 사용하여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하고, 제2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과,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이 이루는 예각 θ1'을 10∼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공정(e) a step of forming a second louver structure by performing a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with a linear light source while moving a laminate composed of the first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coating lay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ating layer ,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cute angle &thetas; 1 'formed by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first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is in the range of 10 to 90 DEG Lt; / RTI >

이하,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 공정(a) :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준비 공정(i) Step (a): Preparation of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film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준비 공정에 대해서는,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준비 공정」의 항목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is omitted because it is overlapped with the content of the item " preparation process of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 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ⅱ) 공정(b) : 제1 도포 공정(Ii) Step (b): First coating step

또한, 제1 도포층의 막두께를 80∼7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coating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 to 70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to 500 mu 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20 to 300 mu m More preferable.

또, 제1 도포 공정은,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해지지만, 상세에 대해서는,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도포 공정」의 항목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first coating step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24 (a), but the detail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items of the " coating step " 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 Are omitted.

(ⅲ) 공정(c) :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Iii) Step (c):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step

공정(c)는,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도포층(101a)에 대하여, 당해 제1 도포층(101a)을 이동 방향 E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선상 광원(225a)을 사용하여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50a)를 행하여, 제1 루버 구조(123a)를 형성하는 공정이다.24 (b), in the step (c), while the first coated layer 101a is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ated layer 101a,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source 225a is used And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50a is performed to form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상의 자외선 램프(225a)에 집광용의 콜드 미러(222)가 마련된 자외선 조사 장치(220)(예를 들면, 시판품이면, 아이그라픽스(주)제, ECS-4011GX 등)에, 열선 컷 필터(221) 및 차광판(223(223a, 223b))을 배치함에 의해, 조사 각도가 제어된 직접광으로만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선(50a)을 취출하고, 공정 시트(102) 상에 형성된 제1 도포층(101a)에 대하여, 조사한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5 (a), an ultraviolet irradiator 220 (for example, a commercially available ultraviolet irradiator 220) provided with a cold mirror 222 for light- The heat ray cut filter 221 and the light shielding plates 223 (223a and 223b) are disposed on the active energy ray 50a (made by IGraphics Co., Ltd., ECS-4011GX etc.) Is taken out, and the first coated layer 101a formed on the process sheet 102 is irradiated.

또한,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225a)의 장축 방향과, 제1 도포층(101a)의 이동 방향 E에 따른 가상선 E'(필름의 장척 방향)가 이루는 예각 θ2'를 1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6 (a),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of the linear light source 225a in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E of the first coated layer 101a 2 'formed by the imaginary line 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10 to 80 degrees.

이 이유는,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를 이와 같이 규정함에 의해, 후술하는 공정(e)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와 더불어, 입사광을 그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뿐만 아니라, 그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광확산시킴에 의해 입사광의 확산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힌 장척상의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 좋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defining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linear light sources in such a manner, not only the direction along the lo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but als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as well as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linear light sources in the step (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ong-length light-diffusing film effectively spreading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by effectively diffusing the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즉, 이러한 θ2'가 10° 미만의 값이 되면, 후술하는 공정(e)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필름의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θ2'가 80°를 초과한 값이 되면, 후술하는 공정(e)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필름의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angle θ2 'is less than 10 °,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is excessively lowered, generall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step (e)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may become excessively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θ2 'exceeds a value of 80 °, the light diffusing characteristic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generally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linear light sources in the step (e) ,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may be excessively reduced.

따라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과, 제1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따른 가상선이 이루는 예각 θ2'를 35∼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44∼4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cute angle &thetas; 2 'formed by the imaginary line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ated layer is within a range of 35 to 55 DEG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50 degrees, and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4 to 46 degrees.

또, 선상 광원(225a)과 도포층(101a)과의 간격은, 어느 위치에서도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 linear light source 225a and the coating layer 101a is substantially the same at any position.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각도로서는,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도포층(101a)의 표면에 대한 법선의 각도를 0°로 했을 경우의 조사 각도 θe를, 통상 -8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5 (b), the irradiation angle? E when the angle of the normal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oated layer 101a is set to 0 degrees is generally -80 to 80 Deg.] Is preferable.

이 이유는, 이러한 조사 각도가 -80∼80°의 범위 외의 값이 되면, 제1 도포층(101a)의 표면에서의 반사 등의 영향이 커지고, 충분한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if the irradiation angle is out of the range of -80 to 80 占 the influence of reflection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ating layer 101a becomes large and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a sufficient louver structure Because.

또한, 조사 각도 θe는, 1∼80°의 폭(조사 각도폭) θe'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rradiation angle? E has a width (irradiation angle width)? E 'of 1 to 80 degrees.

이 이유는, 이러한 조사 각도폭 θe'가 1° 미만의 값이 되면, 도포층의 이동 속도를 과도하게 저하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제조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조사 각도폭 θe'가 80°를 초과한 값이 되면, 조사광이 너무 분산되어서,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irradiation angle width? E 'is less than 1 °, the moving speed of the coating layer must be excessively lowered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rradiation angle width? E 'exceeds 80 °, the irradiation light is dispersed too much, and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a louver structure.

따라서, 조사 각도 θe의 조사 각도폭 θe'를 2∼4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2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irradiation angle width? E 'of the irradiation angle? E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45 占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20 占.

또, 조사 각도폭 θe'를 갖는 경우, 그 정확히 중간 위치의 각도를 조사 각도 θe로 한다.When the irradiation angle width? E 'is provided, the angle of the intermediate position is exactly the irradiation angle? E.

또한,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장구상(長溝狀)의 활성 에너지선 투과부를 갖는 차광판을 개재하여 행함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 투과부의 길이 방향이, 선상 광원의 길이 방향에 평행인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is performed through a shield plate having a long groove-like active energy ray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ive energy ray transmitting por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

또, 활성 에너지선 투과부는, 활성 에너지선을 투과하는 상태이면 어떤 태양이어도 된다.The active energy ray transmitting portion may be of any type as long as it is transparent to the active energy rays.

예를 들면, 석영 유리로 이루어져도 되며, 차광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 단순한 공간 등이어도 된다.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quartz glass, or may be a simple space in which no light shielding material is present.

구체적으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차광판(223a, 223b)에 의해 형성되는 장구상의 극간(활성 에너지선 투과부)을 통하여 행함과 함께, 장구상의 극간의 길이 방향이, 선상 광원(225a)의 장축 방향에 평행인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Concretely, as shown in Fig. 27, through the apertures (active energy ray transmitting portions) in the apertures formed by the two shading plates 223a and 223b and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apertures in the apertures, 225a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ajor axis direction.

이와 같이 차광판을 배치함에 의해, 도 25(a)에 나타내는 활성 에너지선(50a)의 조사 각도 θe를 소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절하고, 제1 도포층(101a)의 표면에 있어서의 각 위치에 의해, 선상 광원(225a)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50a)이 과도하게 다른 각도에서 조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By arranging the shielding plate like this, the irradiation angle [theta] e of the active energy ray 50a shown in FIG. 25 (a) is adjusted to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irradiation of the active energy ray 50a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25a at an excessively different angle.

그 결과, 형성되는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경사각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얻어지는 장척상의 광확산 필름의 광확산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formed louver structure can be made uniform, and further,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obtained long-axis light diffusion film can be made uniform.

또한,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제1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를 0.1∼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peak illuminance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ated layer in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0.1 to 50 mW / cm 2, and a value within a range of 0.3 to 10 mW / More preferably 0.5 to 5 mW / cm < 2 >.

또한,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제1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을 5∼300mJ/㎠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200mJ/㎠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150mJ/㎠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amount of light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ated layer in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is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5 to 300 mJ / cm 2, and a value within a range of 10 to 200 mJ /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150 mJ / cm < 2 >.

또한, 제1 도포층의 이동 속도를 0.1∼10m/분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5m/분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3m/분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moving speed of the first coated layer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0.1 to 10 m / min,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2 to 5 m / min, a value within a range of 0.5 to 3 m / Is more preferable.

또, 상세에 대해서는,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공정」의 항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Note that details are omitted because they are overlapped with the item of " process of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 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above-mentioned film.

(ⅳ) 공정(d) : 제2 도포 공정(Iv) step (d): second coating step

공정(d)는, 도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1 루버 구조(123a)가 형성된 제1 도포층(101a')에 대하여 도포하여, 제1 도포층(101a') 및 제2 도포층(101b)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101c)를 형성하는 공정이다.24 (c), the composition for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pplied to the first coating layer 101a 'on which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is formed, and the first coating layer 101a ') And a second coated layer 101b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101b.

또, 제1 루버 구조(123a)를 형성할 때, 활성 에너지선 투과 시트(예를 들면, 두께 38㎛의 PET 필름 등의 활성 에너지선 투과성을 갖는 박리 필름)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당해 시트를 박리하여 도포층(101a')의 표면을 노출시키고나서 상술의 조작을 행한다.When an active energy ray transmitting sheet (for example, a separation film having an active energy ray transmittance such as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38 mu m) is used to form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101a 'is exposed, and the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제2 도포층(101b)의 형성에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은, 제1 도포층(101a)의 형성에 사용된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used for forming the second application layer 101b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used for forming the first application layer 101a.

이 이유는, 같은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도포층(101a')에 형성된 제1 루버 구조(123a)와 도포층(101b)'에 형성된 제2 루버 구조(123b)와의 계면에서의 반사가 억제됨과 함께, 밀착성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using the sam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reflec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formed on the coating layer 101a 'and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formed on the coating layer 101b' Can be suppressed, and the adhesion can also be improved.

또한,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 상에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이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및 그라비어 코팅법 등, 상술한 공정(b)과 같은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od for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on the first coating layer on which the first louver structure is formed include knife coating method, roll coating method, bar coating method, blade coating method, die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or the like, as in the above-mentioned step (b).

또한, 제2 도포층의 막두께를 80∼7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ating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 to 70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to 500 mu 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20 to 300 mu m More preferable.

또, 상세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도포층에 있어서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Note that the details will be omitted because they overlap with thos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coating layer.

(v) 공정(e) :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v) Step (e): the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step

공정(e)은, 도 2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도포층(101b)에 대하여, 제1 루버 구조(123a)가 형성된 제1 도포층(101a') 및 제2 도포층(101b)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101c)를 이동시키면서, 선상 광원(225b)을 사용하여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행하고, 제2 루버 구조(123b)를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225a)의 장축 방향과,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225b)의 장축 방향이 이루는 예각 θ1'을 10∼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공정이다.24 (d), the first coating layer 101a 'and the second coating layer 101b' in which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is formed are formed on the second coating layer 101b, As a step of forming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by irradiating the second active energy ray using the linear light source 225b while moving the laminate 101c made of the second louver structure 123b as shown in Fig. Similarly,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an acute angle? 1 'betwee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225a in the first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225b in the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10 to 90 degrees.

즉, 선상 광원을 사용한 2회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에 있어서, 각각의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의 관계를 소정의 범위로 규정함에 의해,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을, 소정의 각도로 교차시켜서 이루어지는 장척상의 광확산 필름을, 효율 좋게 제조할 수 있다.That is, by defining the relationship of the arrangement angles of the respective linear light sourc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two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rocesses using the linear light source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region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ufacture an elongated light diffusion film formed by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like region in the louver structure at a predetermined angle.

따라서, 입사광을 그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뿐만 아니라, 그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광확산시킴에 의해 입사광의 확산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힌 장척상의 광확산 필름을, 효율 좋게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by effectively diffusing the incident light not only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ufacture a long-length light diffusion film effectively spreading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와 같이 복수의 광확산 필름을 서로 연결시키지 않고, 입사광을 그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 및, 그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광확산시킬 수 있는 장척상의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long-lived light diffusion film capable of light-diffusing incident light in a direction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its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connecting a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films as in the prior art is obtained .

그 결과, 이음매가 없는 대면적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로서, 또한, 시야각이 넓은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실현할 수 있다.As a result,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having a large viewing angle can be realized as a large-area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having no joints.

또, 본 태양에 따른 광확산 필름은,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을, 각각의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예각이 소정의 범위 내의 값이 되도록, 단순히 적층함에 의해 얻을 수도 있다.The light diffus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simply laminating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a film such that the acute angle formed by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au region in each louver structur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You can get it.

즉, 도 26(b)에 나타내는 예각 θ1'이 10° 미만의 값이 되면,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acute angle &thetas; 1 'shown in FIG. 26B is less than 10 DEG,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may be excessively small.

따라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과,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이 이루는 예각 θ1'을 80∼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89∼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cute angle &thetas; 1 'formed by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first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is set to 80 to 90 DEG More preferably in a range of 85 to 90 degrees, and still more preferably in a range of 89 to 90 degrees.

또한,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225b)의 장축 방향과, 제1 루버 구조(123a)가 형성된 제1 도포층(101a') 및 제2 도포층(101b)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101c)의 이동 방향 E에 따른 가상선 E'가 이루는 예각 θ3'을 1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6 (b),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of the linear light source 225b in the seco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uver structure 123a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cute angle &thetas; 3 'formed by the imaginary line E' along the moving direction E of the layered product 101c made up of the layer 101a 'and the second coated layer 101b is within a range of 10 to 80 DEG.

이 이유는,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를 이와 같이 규정함에 의해, 상술한 공정(c)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와 더불어, 입사광을 그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뿐만 아니라, 그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광확산시킴에 의해 입사광의 확산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힌 장척상의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 좋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defining the arrangement angles of the linear light sources in such a manner, in addition to the arrangement angles of the linear light sources in the above-described step (c), not only the direction along the lo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ong-length light-diffusing film effectively spreading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by effectively diffusing the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즉, 이러한 θ3'이 10° 미만의 값이 되면, 상술한 공정(c)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필름의 장척 방향에 따른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θ3'이 80°를 초과한 값이 되면, 상술한 공정(c)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배치 각도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필름의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의 광확산 특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고, 입사광의 확산 면적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angle θ3 'is less than 10 °,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is excessively lowered, generall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linear light sources in the above-described step (c)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may become excessively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θ3 'exceeds a value of 80 °,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generally varie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linear light sources in the above-described step (c) , 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incident light may be excessively reduced.

따라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가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과,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이동 방향에 따른 가상선이 이루는 각도 θ3'을 35∼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44∼4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ngle? 3 'formed by the imaginary line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with the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 imaginary lin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minate composed of the first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coating layer,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5 to 55 °,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50 °, and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4 to 46 °.

또, 선상 광원(225b)과 도포층(101b)과의 간격은, 어느 위치에서도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 linear light source 225b and the coating layer 101b is substantially the same at any position.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각도 및 조사 각도폭에 대해서는, 도 25(a)∼(b)를 사용하여 설명한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의 경우와 같은 수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rradiation angle and the irradiation angle width of the active energy ray are preferably in the same numerical rang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 (a) to 25 (b).

또한,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225a)의 장축 방향과,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225b)의 장축 방향이 제1 도포층(101a') 및 제2 도포층(101b)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이동 방향 E와 직교하는 가상선 E"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6 (b),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of the linear light source 225a in the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of the linear light sou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first coated layer 101a 'and the second coated layer 101b'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virtual line 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E of the laminated body composed of the first coated layer 101a' and the second coated layer 101b.

이 이유는,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을 이와 같이 배치함에 의해,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입사광을 보다 균일하게 광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by arranging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the incident light can be diffused more uniformly in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특히, θ2'=45°, θ3'=45°의 경우, 혹은 각각이 그 주변값인 경우에는, 선상 광원을 선대칭이 되도록 배치함에 의해, 확산광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너비와, 상하 방향의 너비를, 각각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θ 2 '= 45 ° and θ 3' = 45 °, or when each is a peripheral value, the width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width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dth, respectively.

따라서, 이러한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는, 횡방향의 시야각과, 종방향의 시야각을 각각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다.Therefore, when such a light-diffusing film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using external light, the viewing angl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viewing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maximized.

또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대해서도,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부터, 2매의 차광판에 의해 형성되는 장구상의 극간을 통하여 행함과 함께, 장구상의 극간의 길이 방향이,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에 평행인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7, the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is also perform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air of shading plates formed of the two shading plates for the same reason as the case of the first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p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또한,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제2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를 0.1∼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peak illuminance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ated layer in the seco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0.1 to 50 mW / cm 2, and a value within a range of 0.3 to 10 mW / More preferably 0.5 to 5 mW / cm < 2 >.

또한,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제2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을 5∼300mJ/㎠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200mJ/㎠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150mJ/㎠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total amount of light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ating layer in the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300 mJ / cm 2,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200 mJ /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150 mJ / cm < 2 >.

또한,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이동 속도를 0.1∼10/분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5m/분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3m/분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moving speed of the laminate composed of the first coated layer and the second coated layer in which the first louver structure is formed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0.1 to 10 min and a value within a range of 0.2 to 5 m /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5 to 3 m / min.

또, 상세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도포층에 있어서의 내용과 중복하기 때문에, 생략한다.Note that the details will be omitted because they overlap with thos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coating layer.

또한, 공정(c)의 경우와 같은 관점에서, 제2 도포층의 상면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 투과 시트를 라미네이트한 상태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irradiate the active energy rays with the active energy ray transmitting sheet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ated layer from the viewpoint of the case of the step (c).

또한, 제2 도포층이 충분히 경화하는 적산 광량이 되도록, 공정(e)으로서의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와는 별도로, 또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irradiate an active energy ray separately from the seco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s the step (e) so that the second coated layer has an accumulated light quantity enough for curing.

이때의 활성 에너지선은, 제2 도포층을 충분히 경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평행광이 아닌, 어느 진행 방향에 있어서도 랜덤한 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active energy ray at this time is intended to sufficiently cure the second coating layer, it is preferable to use random light in any traveling direction, not parallel light.

또, 상술한 공정(d)∼(e)는, 하나의 콘베이어를 사용하여, 공정(b)∼(c)와 연속하여 행해도 되며, 공정(b)∼(c)에서 얻은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을 롤상으로 하여 회수하고, 이것을 별도 콘베이어에 얹어서 공정(d)∼(e)를 행해도 된다.The above-mentioned steps (d) to (e) may be carried out in succession to the steps (b) to (c) using one conveyor, and the first louver structure (D) to (e) may be carried out by collecting the first coated layer having the first coating layer formed thereon in a roll form and putting it on a separate conveyor.

따라서, 전자의 경우, 공정(c)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과, 공정(e)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은, 별개로 배설되게 되고, 후자의 경우, 동일 선상 광원을 배치 각도를 변경(선회)시켜서 사용해도 되는 것이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step (c) and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step (e) are separately disposed. In the latter case,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ollinear light source is changed May be used.

(4) 필름 내에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4)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in the film

필름 내에, 상술한 칼럼 구조나 루버 구조와는 다른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column structure or louver structure in a film will be described.

즉, 도 2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내에,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영역(134) 중에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복수의 박편상물(132)을, 필름면에 따른 임의의 한 방향을 따라 복수열 배열시켜서 이루어지는 소정의 내부 구조(133)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c)에 대해서 설명한다.28 (a), a plurality of thin flakes 13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a region 13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are stacked in a film along with a plurality A light diffusion film 100c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133 formed by arraying in a column direction will be described.

이러한 광확산 필름(100c)에 있어서, 일렬로 배열한 복수의 박편상물(132)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그 간극에는,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영역(134)이 개재하고 있다.In this light diffusion film 100c, a plurality of thin flakes 132 arranged in a line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region 13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is interposed in the gap.

즉, 박편상물(132)은,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의 연재를,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영역(134)에 의해 절단함에 의해 형성된 단부와, 2개의 단부에 의해 끼워지는 판상 부분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thin piece 132 is composed of an end portion formed by cutting the edge portion of the plate-like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by the region 134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and a plate-like portion sandwiched by the two end portions.

따라서, 이러한 소정의 내부 구조(133)는, 말하자면, 루버 구조 및 칼럼 구조의 하이브리드 구조라고 말할 수 있다.Therefore, this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133 can be said to be a hybrid structure of a louver structure and a column structure, as a matter of fact.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박편상물에 있어서는, 중앙의 판상 부분이 이방성 광확산을 발현시키고, 단부가 등방성 광확산을 발현시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More specifically, in a flaky article constitut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it is presumed that the central plate-like portion expresses anisotropic light diffusion and the end portion expresses isotropic light diffusion.

그 때문에, 박편상물에 있어서의 중앙의 판상 부분의 길이가 소정 이상의 경우에는, 루버 구조의 특성이 강하게 발현하여, 타원 형상 광확산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반대로, 박편상물에 있어서의 중앙의 판상 부분의 길이가 소정 이하의 경우에는, 칼럼 구조의 특성이 강하게 발현하여, 거의, 등방성 광확산과 같은 광확산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when the length of the center plate-shaped portion of the flak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louver structure characteristics are strongly manifested and elliptical light diffusion occurs. Conversely, When the length of the plate-like portion is not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umn structure are strongly expressed, and light diffusion such as isotropic light diffusion occurs almost.

단, 외관상, 등방성 광확산과 같은 광확산이 발생하는 경우여도, 칼럼 구조와는 다른 소정의 내부 구조에 기인하여, 필름에 대한 외광의 입사각을 방위각 방향에 있어서 변화시켰을 경우에는,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과는 다른 광확산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However, even when light diffusion such as isotropic light diffusion occurs apparently,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external light to the film is changed in the azimuth direction due to the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column structure, It is confirmed that the light diffusion film exhibits different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또한, 필름 내에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은,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층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할 때에, 방위각 방향마다 입사 각도폭이 소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in the film is preferably such that when an active energy ray is irradiated to a coating layer composed of 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the angle of incidence is controlled to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every azimuth angle direction And then irradiating with an energy ray.

즉,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광원으로서의 선상 광원(225)과, 당해 선상 광원(225)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을 조절하기 위한 입사 각도폭 조절 부재(200)를 사용함과 함께, 입사 각도폭 조절 부재(200)를, 선상 광원(225)과 도포층(101)과의 사이, 또한, 선상 광원(225)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의 방사 영역 중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9A, a linear light source 225 as an active energy linear light source, an incident angle width adjusting member 200 for adjusting an incident angle width of an active energy ray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25,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incident angle width adjusting member 200 in the radiation region of the active energy ray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25 and the coating layer 101 and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25 .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 각도 조절 부재(200)가, 복수의 판상 부재(210)로 이루어짐과 함께, 복수의 판상 부재(210)가 각각의 주면을 대향시키면서 평행 배치됨과 함께, 주면이 연직 방향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9 (a), the incident angle adjusting member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210, and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210 face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surface is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이 이유는, 이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준비 공정을 실시함에 의해, 선상 광원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을, 방위각 방향마다 입사 각도폭이 소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된 활성 에너지선으로 변환하여, 도포층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active energy rays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are converted into active energy rays whose angle of incidence is controll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ach azimuth angle direction by performing the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preparing step,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또, 「복수의 판상 부재가 각각의 주면을 대향시키면서 평행 배치된다」고 했지만, 선상 광원으로부터의 직접광을, 방위각 방향마다 입사 각도폭이 소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된 활성 에너지선으로 변환하는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면 충분하다.Although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ir principal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direct light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is converted into an active energy ray whose angle of incidence is controlled to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ach azimuth angle direction , It is sufficient if it is substantially parallel.

또한, 「선상 광원(225)과 도포층(101)과의 사이, 또한, 선상 광원(225)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의 방사 영역 중」이란, 예를 들면,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상 광원(225)으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선상 광원(225)의 연직 하방 또한 도포층(101)의 연직 상방이 된다.The term " in the radiation region of the active energy ray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25 and the coating layer 101 and also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25 " means tha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9 (b) When the active energy ray is irradiat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25, the linearly arranged light source 225 is vertically downward and vertically above the application layer 101.

이때, 도 30(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층(101)의 표면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광원(225)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60)의 조도가 최대가 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일점 R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이 최소값 θ4를 취하는 방위각 방향 X와,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이 최대값 θ5를 취하는 방위각 방향 Y가 직교하고 있으며,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의 최소값 θ4를 5° 이하의 값으로 함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의 최대값 θ5를 5° 초과 10° 이하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0 (a) to 30 (c),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101, on the region where the illuminance of the active energy ray 60 from the active energy ray source 225 is maximized The azimuthal direction X in which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active energy ray takes the minimum value? 4 and the azimuthal direction Y in which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active energy ray takes the maximum value? 5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t the arbitrary one point R positio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value? 4 of the incident angle of the line is set to a value of not more than 5 degrees and the maximum value? 5 of the incident angle width of the active energy ray is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more than 5 degrees and not more than 10 degrees.

여기에서, 도 30(a)는, 도포층(101)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평면도이며, 도 30(b)는, 도 30(a)에 있어서의 방향 Y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측면도이며, 방위각 방향 X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을 나타낸 도면이다.30 (a) is a plan view when viewed from above the coating layer 101, Fig. 30 (b) is a side view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Y in Fig. 30 X is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active energy ray.

또한, 도 30(c)는, 도 30(a)에 있어서의 방향 X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측면도이며, 방위각 방향 Y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을 나타낸 도면이다.30 (c) is a side view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X in Fig. 30 (a), and shows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active energy rays in the azimuth direction Y. Fig.

우선,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광원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도가 최대가 되는 영역」이란, 도 30(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광원으로서 선상 광원(225)을 사용했을 경우, 도포층(101)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선상으로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60)의 분포의 중심선이 된다.First, as shown in Figs. 30 (a) to 30 (c), the "area where the roughness of the active energy ray from the active energy ray source is maximize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 Is used as the center line of the distribution of the active energy ray 60 which is irradiated almost linearly on the surface of the application layer 101.

따라서,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상 광원(225)으로부터 연직 하방을 향하여 활성 에너지선(60)을 조사했을 경우에는, 도 30(a)의 도포층(101)의 표면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225)의 중심선의 연직 하방으로의 투영선이 활성 에너지선 광원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도가 최대가 되는 영역이 된다.30 (b), when the active energy ray 60 is irradiat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225,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101 of Fig. 30 (a) The projection line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linear light source 225 becomes a region where the illuminance of the active energy ray from the active energy linear light source becomes maximum.

또한, 예를 들면, 선상 광원으로부터 우측 대각선 하방을 향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했을 경우에는,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용 광원의 중심선의 우측 대각선 하방에의 투영선의 근방이 활성 에너지선 광원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도가 최대가 되는 영역이 된다.For example, when an active energy ray is irradiated from the linear light source toward the lower right diagonal line, the vicinity of the projection line below the right diagonal line of the center line of the dedicated light source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is shifted from the active energy ray source And becomes the region where the illuminance of the active energy ray becomes maximum.

다음으로,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광원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도가 최대가 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일점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이 최소값을 취하는 방위각 방향」은, 도 30(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광원으로서 선상 광원(225)을 사용했을 경우,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60)의 입사 각도폭이 최소값 θ4를 취하는 방위각 방향 X가 되고, 선상 광원(225)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Next, an " azimuthal direction in which the incident angle width of the active energy ray takes a minimum value at an arbitrary point located on a region where the illuminance of the active energy ray from the active energy ray source is maximum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 As shown in Fig. 30 (a) to Fig. 30 (c), when the linear light source 225 is used as the active energy ray source,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active energy ray 60 Is the azimuth angle direction X taking the minimum value [theta] 4, and becomes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225. [

그리고, 「임의의 일점」으로서의 점 R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60)의 입사 각도폭의 최소값 θ4는,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 R로부터, 선상 광원(225)의 단면 원으로의 2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된다.The minimum value? 4 of the incident angle width of the active energy ray 60 at the point R as the "arbitrary single point" is calculated from the point R by the cross section circle of the linear light source 225 As shown in FIG.

또한,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광원으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도가 최대가 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일점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이 최대값을 취하는 방위각 방향」은, 도 30(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광원으로서 선상 광원(225)을 사용했을 경우,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60)의 입사 각도폭이 최대값 θ5를 취하는 방위각 방향 Y가 되고, 상술한 방위각 방향 X와 직교하는 방위각 방향이 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 an azimuthal direction in which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active energy ray takes a maximum value at an arbitrary point located on a region where the illuminance of the active energy ray from the active energy ray source is maximum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 As shown in Fig. 30 (a) to Fig. 30 (c), when the linear light source 225 is used as the active energy ray source,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active energy ray 60 The azimuth direction Y taking the maximum value [theta] 5 becomes the azimuth angl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zimuth angle direction X described above.

그리고, 「임의의 일점」으로서의 점 R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60)의 입사 각도폭의 최대값 θ5는,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 R로부터, 인접하는 2매의 판상 부재(210)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225) 측의 단부에의 2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된다.30 (c), the maximum value? 5 of the incident angle width of the active energy ray 60 at the point R as the " arbitrary single point " Is an angle formed by two tangent lines at the end on the linear light source 225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210.

이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이 최소값 θ4를 취하는 방위각 방향 X와, 활성 에너지선의 입사 각도폭이 최대값 θ5를 취하는 방위각 방향 Y가 직교함에 의해, 효율 좋게 소정의 내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zimuthal direction X in which the incident angle width of the active energy ray takes the minimum value 4 and the azimuthal direction Y in which the incident angle width of the active energy ray takes the maximum value 5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whereby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can be efficiently formed .

또, 그 외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조건 등에 대해서는, 상술한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 혹은,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의 경우에 준할 수 있다.The irradiation conditions of other active energy rays can be applied to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lm or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5) 그 외의 광확산 필름(5) Other light diffusion films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광확산 필름에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광확산 필름에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은, 이들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ight diffusion film used in the light diffusion film of external light use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concrete examples, but the light diffusion film used i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light diffus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예를 들면,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름 내에 루버 구조와 칼럼 구조를 모두 갖는 광확산 필름(100d)이어도 된다.For example, the light diffusion film 100d may have both a louver structure and a column structure in the film as shown in Fig. 28 (b).

또한, 도 2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름 내에 격자상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e)이어도 되며, 도 2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름 내에 동심 원상의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100f)이어도 된다.The light diffusing film 100e having a lattice-like internal structure in the film as shown in Fig. 28 (c) may also be used, and as shown in Fig. 28 (d) Film 100f.

또, 이들의 광확산 필름에 대해서는, 상술한 칼럼 구조를 형성할 때에 사용한 것과 같은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방법으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실제로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출원인에 의해 별도 특허출원되어 있지만, 그 상세에 대해서는 생략한다(참조 : 일본국 특원2011-268544, 일본국 특원2011-266315, 일본국 특원2011-266314 등).These light diffusion films can be actually obtained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with a predetermined method on the sam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as used for forming the column structure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atent has been filed, the details thereof are omitted (c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1-26854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1-26631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1-266314, etc.).

3. 반사판3. Reflector

또한, 도 1(a)∼(c)에 나타내는 반사판(10)은, 광을 반사하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외광 이용형 표시체(1)에 플렉서블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 증착층(10a)을 갖는 수지 필름(10b)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lector 10 shown in Figs. 1A to 1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reflecting light. However, since flexibility can be imparted to the display 1 using the external light, the aluminum evaporated layer (10b) having the above-mentioned resin film (10a).

또한, 반사판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입체 형상으로서는, 통상, 평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톱니상 반사판이나 코너 큐브 어레이와 같은 비평면 경면 반사판, 혹은 미약한 확산 반사판으로 할 수도 있다.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reflecting plate is usually preferably flat, but it may be a non-planar specular reflecting plate such as a sawtooth reflecting plate or a corner cube array, or a weak diffused reflecting plate.

이 경우, 톱니상 반사판이나 코너 큐브 어레이와 같은 비평면 경면 반사판은, 외광 입사 각도와 관찰 각도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소위 재귀성 반사를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고, 미약한 확산 반사판은, 지금까지 설명해 온 확산광의 균일성이나, 극각 및 방위각 방향에서의 외광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한 소정의 방향에의 표시광의 불변성 등의 특성을 잃지 않고 시야각을 유효하게 확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n this case, a non-planar specular reflector such as a sawtooth reflector or a corner cube array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freely design an angle of incidence of the external light and an observation angle, that is, to obtain so-called retroreflective reflection, , The viewing angle can be effectively expanded without sacrificing the uniformity of the diffused light described so far an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onstancy of the display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the incident angle of the external light in the polar angle and azimuth direction.

또한, 반사판을 반투과형의 반사판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eflector is a semi-transmissive reflector.

이 이유는, 외광이 충분한 환경하에서는, 외광을 표시광의 광원으로서 이용하는 한편, 외광이 불충분한 환경하에서는, 반사판의 이면에 마련한 백라이트를 표시광의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under an environment in which external light is sufficient, external light is used as a light source of display light, and under an environment in which external light is insufficient, a backlight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plate can be used as a light source of display light.

또, 반사판의 두께는, 10∼5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reflecto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500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to 500 mu m.

4. 장식층4. Decorative floor

또한, 도 1(b)∼(c)에 나타내는 장식층(20)에 대해서도, 문자나 도안 등에 의해 표시 내용을 나타낸 층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표시 내용을 보다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문자나 도안 등을 구성하는 잉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인쇄층(20a), 이인쇄층(易印刷層)(20b) 및 투명 혹은 반투명의 수지 필름(20c)의 적층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corative layer 20 shown in Figs. 1 (b) to 1 (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layer showing the display content by letters or drawings. However, since the display contents can be freely configured, It is preferable to use a laminate of a printing layer 20a made of ink or the like constituting a pattern, a printing layer (easy printing layer) 20b and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esin film 20c.

이 이유는, 문자나 도안 등이 인쇄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외광이 수지 필름을 용이하게 투과하는 한편, 문자나 도안 등이 인쇄된 부분에 대해서는,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외광의 투과가 저해되기 때문에, 표시 내용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xternal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late easily transmits the resin film to a portion where characters, drawings, etc. are not printed, while the portion where characters or drawings are printed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lat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contents.

또한, 장식층은, 반사판이나 광확산 필름 상에 직접 인쇄된 인쇄층이어도 된다.The decorative layer may be a printed layer directly printed on a reflection plate or a light diffusion film.

또, 장식층의 두께는, 10∼1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decorative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100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500 mu m.

5. 점착제층5. Adhesive layer

또한, 도 1(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판(10), 광확산 필름(100) 및 장식층(20)은, 각각 점착제층(30)을 통하여 적층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1 (a) to 1 (c),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lector 10, the light diffusion film 100, and the decorative layer 20 are laminated vi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 respectively.

이러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충분한 점착성 및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고무계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sufficient tackiness and transparency. For example, conventionally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of acryl, silicone, urethane and rubber can be used.

또, 점착제층의 두께는, 1∼1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10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to 30 mu m.

6. 그 외의 태양6. Other sun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그 외의 태양을, 도 31(a)∼(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Other aspects of the external light utilizing type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1 (a) to 31 (b).

즉, 도 31(a) 및 (b)는, 외광 입사 측에 내광성을 갖는 층(40)을 적층한 태양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이다.31 (a) and 31 (b) ar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ies 1 of the embodiment in which a layer 40 having light-resistance is laminated on the external light incident side.

이와 같이,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있어서의 외광 입사 측에 내광성을 갖는 층을 적층함에 의해, 광확산 필름이 자외선에 의해 황변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laminating the layer having the light-resistant property on the external light incidence side of the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yellowing of the light diffusion film by ultraviolet rays.

이러한 내광성을 갖는 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분산시킨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layer having such light resistance, a resin film in which an ultraviolet absorber is dispersed can be used.

또한, 도 31(b)는, 반사판(10)과 장식층(20)을 일체로 하여,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총 막두께를 얇게 한 태양이다.31 (b) is a view in which the reflector 10 and the decorative layer 20 are integrated to make the total thickness of the display body 1 of the external light use type thinner.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사판(10)의 표리를 도 31(a)과는 반대로 배치하고, 반사판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10b)에 대하여, 장식층(20)의 수지 필름(20c)으로서의 역할도 하게 함에 의해 수지 필름층을 1층분 생략한 태양이다.More specifically,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reflector 10 are arranged opposite to those of Fig. 31 (a), and serve as the resin film 20c of the decorative layer 20 with respect to the resin film 10b of the reflector The resin film layer is omitted for one layer.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실시예1][Example 1]

1.광확산 필름의 작성1. Preparation of light diffusion film

(1) 저굴절률 중합성 화합물 (B)성분의 합성(1) Synthesis of low refractive index polymerizable compound (B)

용기 내에 (B2) 성분으로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 9,2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1몰에 대하여, (B1) 성분으로서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나토(IPDI) 2몰, 및 (B3) 성분으로서의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2몰을 수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9,900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를 얻었다.2 moles of isophorone diisocyanato (IPDI) as a component (B1) and 2 moles of 2-hydroxyethyl (meth) acrylate as a component (B3) were added to 1 mole of polypropylene glycol (PPG)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9,200 as component (B2) After admitting 2 moles of methacrylate (HEMA),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o obtain a polyether urethane methacrylat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9,900.

또,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하기 조건에 따라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olypropylene glycol and polyether urethane methacrylate is a polystyrene reduced valu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GPC 측정 장치 : 도소(주)제, HLC-8020GPC measurement apparatus: HLC-8020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GPC 칼럼 : 도소(주)제(이하, 통과순으로 기재)GPC column: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rder of passage)

TSK guard column HXL-H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2)TSK gel GMHXL (× 2)

TSK gel G2000HXLTSK gel G2000HXL

·측정 용매 : 테트라히드로퓨란Measurement solvent: tetrahydrofuran

·측정 온도 : 40℃· Measuring temperature: 40 ℃

(2)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조제(2) Preparation of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film

이어서, 얻어진 (B)성분으로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 9,900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A)성분으로서의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분자량 268의 o-페닐페녹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주)제, NK 에스테르 A-LEN-10) 150중량부와, (C)성분으로서의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0중량부((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8중량부)를 첨가한 후, 80℃의 조건하에서 가열 혼합을 행하여,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얻었다.Subsequently, 100 parts by weight of polyether urethane methacrylat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9,900 as component (B) was dissolved in 100 parts by weight of o-phenylphenoxyethoxyethyl acrylat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68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3) as component (A) 150 parts by weight of a polyoxyalkylene polyol (NK Ester A-LEN-10 manufactured by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and 20 parts by weight of 2-hydroxy-2-methyl- (8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was added and heated and mixed under the condition of 80 캜 to obtain a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또, (A)성분 및 (B)성분의 굴절률은, 아베 굴절계(아타고(주)제, 아베 굴절계 DR-M2, Na 광원, 파장 589㎚)를 사용하여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한 바, 각각 1.58 및 1.46이었다.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were measured according to JIS K0062 using an Abbe refractometer (Abe Refractometer DR-M2, Na light source, wavelength 589 nm) And 1.46.

(3) 제1 도포 공정(3) First coating step

이어서, 얻어진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로서의 필름상의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함)에 대하여 도포하여, 막두께 165㎛의 제1 도포층을 형성했다.Subsequently, the obtained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was applied to a transpar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T) as a process sheet to form a first coat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65 탆.

(4)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4) First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rocess

이어서,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상의 고압 수은 램프에 집광용의 콜드 미러가 부속된 자외선 조사 장치(아이그라픽스(주)제, ECS-4011GX)를 준비했다.Subsequently, an ultraviolet irradiator (ECS-4011GX, manufactured by Igraphics Co., Ltd.) to which a cold mirror for condensing was attached was prepared in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s shown in Fig. 25 (a).

이때,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과, 제1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따른 가상선이 이루는 예각 θ2가 45°가 되도록 자외선 조사 장치를 설치했다.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ultraviolet irradiating device was provided such that the acute angle? 2 formed by the imaginary line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ated layer was 45 degrees.

이어서, 열선 컷 필터틀 상에 차광판을 설치하고, 제1 도포층의 표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이,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1 도포층 표면의 법선을 0°로 했을 경우에, 선상 광원으로부터의 직접의 자외선의 조사 각도(도 25(b)의 θe)가 16°가 되도록 설정했다.Then, when a shading plate is provided on the hot-cut filter frame and the normal line of the surface of the first coating layer when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oating layer is viewed from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is 0 DEG, (? E in FIG. 25 (b)) of the direct ultraviolet rays from the light source is set to 16 degrees.

또한, 제1 도포층 표면으로부터 선상 광원까지의 높이는 2000㎜로 하고, 피크 조도는 1.26㎽/㎠, 적산 광량은 23.48mJ/㎠가 되도록 설정했다.The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coating layer to the linear light source was set to 2000 mm, the peak illuminance was set to 1.26 mW / cm 2, and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was set to 23.48 mJ / cm 2.

또한, 차광판 등에서의 반사광이, 조사기 내부에서 미광이 되고, 제1 도포층의 광경화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베이어 부근에도 2매의 차광판을 설치하고, 선상 광원으로부터 직접 발하는 자외선만이 제1 도포층에 대하여 조사되도록 설정했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reflected light from the shading plate or the like from becoming stray light inside the irradiation apparatus and affecting the light curing of the first coated layer, two shading plates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onveyor as shown in Fig. 27, Only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directly from the first coating layer were irradiated to the first coating layer.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차광판에 의해 형성되는 장구상의 극간(극간 폭 : 35㎝)이 형성되도록 배치하고, 당해 장구상의 극간의 길이 방향이,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에 평행인 방향이 되도록 설치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7, it is arranged so as to form a gap (gap width: 35 cm) in a slot formed by two shading plates,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p between the apertures in the slot is shorter than the long axis direction So as to be in a parallel direction.

이어서, 콘베이어에 의해, 제1 도포층을 도 24(b)에 있어서의 오른쪽 방향에, 1.0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장척 방향(제1 도포층의 이동 방향)의 길이가 30m, 단척 방향의 길이가 1.4m, 막두께 165㎛의 장척상의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을 얻었다.Subsequently, the first coated layer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while moving the first coated layer in the rightward direction in Fig. 24 (b) at a speed of 1.0 m / min by the conveyor, and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ated layer) A length of 1.4 m, and a film thickness of 165 mu m was formed on the first coated layer.

이어서, 확실한 경화를 도모하기 위해, 제1 도포층의 노출면 측에, 활성 에너지선 투과성 시트로서, 두께 38㎛의 자외선 투과성을 갖는 박리 필름(린텍(주)제, SP-PET382050; 자외선 조사 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0.01㎛, 헤이즈값 1.80%, 상선명도 425, 파장 360㎚의 투과율 84.3%)을 라미네이트했다.Subsequently, in order to ensure reliable curing, a release film (SP-PET382050, manufactured by LINTEC CO., LTD.) Having ultraviolet transmittance of 38 mu m in thickness as an active energy ray transmissive sheet was coated on the exposed surface side of the first coated layer, A haze value of 1.80%, an image clarity of 425, and a transmittance of 84.3% at a wavelength of 360 nm).

이어서, 산란광 조사를, 피크 조도 13.7㎽/㎠, 적산 광량 213.6mJ/㎠가 되도록 행했다.Then, the scattered light was irradiated so that the peak illuminance was 13.7 mW / cm 2 and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was 213.6 mJ / cm 2.

또, 상술한 피크 조도 및 적산 광량은, 수광기를 부착한 UV METER(아이그라픽스(주)제, 아이 자외선 적산 조도계 UVPF-A1)을 제1 도포층의 위치에 설치하여 측정했다.The above-mentioned peak illuminance and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were measured by placing a UV meter (UV-IR integrated gamut meter UVPF-A1 manufactured by Igraphics Co., Ltd.) equipped with a light receiver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coating layer.

또한, 얻어진 장척상의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의 막두께는, 정압 두께 측정기(다카라세이사쿠쇼(주)제, 테크록 PG-02J)를 사용하여 측정했다.The film thickness of the obtained first coating layer having the first louver structure was measured using a static pressure gauge (TECLOCK PG-02J manufactured by Takara Shuzo Co., Ltd.).

(5) 제2 도포 공정(5) Second coating step

이어서, 활성 에너지선 투과 시트를, 얻어진 장척상의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으로부터 박리했다.Then, the active energy ray transmission sheet was peeled off from the first coating layer on which the obtained long luccal first louver structure was formed.

이어서, 상술의 공정에서 얻은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얻어진 장척상의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의 노출면에 대하여 도포하여, 막두께 165㎛의 제2 도포층을 형성했다.Subsequently, the composition for a light-diffusing film obtained in the above-mentioned process was appli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coated layer having the obtained long-lipped first louver structure to form a second coat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65 탆.

(6)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6) Seco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process

이어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과, 제2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있어서의 선상 광원의 장축 방향이 이루는 예각 θ1이 90°가 되도록 자외선 조사 장치를 설치한 것 외에는,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 공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 내부에 제1 루버 구조 및 제2 루버 구조를 갖는 막두께 330㎛의 장척상의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Then,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ultraviolet irradi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acute angle &thetas; 1 betwee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first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in the second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is 90 DEG. Except that the apparatus was installed, a long-lived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330 mu m having a first louver structure and a second louver structure was obtained by irradiating the same with ultraviolet ligh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activation energy ray irradiation step.

또,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선상 광원의 장척 방향과,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이동 방향에 따른 가상선이 이루는 예각 θ3은 45°였다.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acute angle? 3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and the virtual lin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minate composed of the first coated layer and the second coated layer in which the first louver structure was formed was 45 ° .

또한, 제2 도포층에 자외선을 조사했을 경우에도, 제1 도포층의 경우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투과 시트(자외선 투과성을 갖는 박리 필름)를 라미네이트한 상태에서, 산란광을 조사하여, 확실한 경화를 도모했다.Also, even when the second coating layer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scattered light is irradiated in the state of being laminated with an active energy ray transmitting sheet (a releasing film having ultraviolet ray permeability) as in the case of the first coating layer, I tried.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은,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예각이 90°인 것을 확인했다.32,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the light-diffusing film obtained is a light-diffusing film which is formed by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late-like region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acute angle was 90 °.

또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필름의 장척 방향이 이루는 예각이 45°인 것을 확인했다.Further,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it was confirmed that the acute angle formed by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like region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film longitudinal direction was 45 °.

또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필름의 장척 방향이 이루는 예각이 45°인 것을 확인했다.Further,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lm, it was confirmed that the acute angle formed by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like region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was 45 °.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필름의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사진을 도 33(a)에, 필름의 장척 방향에 평행 또한 필름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사진을 도 33(b)에, 각각 나타낸다.Fig. 33 (a) is a photograph of a section obtained by cutting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at a plan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nd Fig. 33 And Fig. 33 (b), respectively.

또, 광확산 필름의 절단은 면도기를 사용하여 행하고, 단면의 사진 촬영은 광학 현미경(반사 관찰)을 사용하여 행했다.Further, the light diffusion film was cut using a razor, and photographing of the cross section was perform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reflection observation).

(7) 광확산 특성의 평가(7) Evaluation of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광확산 필름의 하측(제1 루버 구조가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당해 필름에 대하여 필름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광을 입사했다.As shown in Fig. 32, light was incident on the film from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lm surface from the lower side (the side where the first louver structure is located) of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이어서, 변각측색계(스가시켄키(주)제, VC-2)를 사용하여, 필름의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및, 필름의 장척 방향에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광의 스펙트럼 차트를 얻었다.Subsequently, a spectral chart of the diffused ligh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n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was obtained using a side color system (VC-2, manufactured by Suga Shikeki Co., Ltd.) .

즉,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된 확산광에 있어서의 광확산 각도(°)를 횡축에 취하고, 확산광의 상대 강도(-)를 종축에 취했을 경우의 스펙트럼 차트를 얻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34 (a), in the case where the light diffusion angle (deg) in the diffused light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film is taken on the abscissa and the relative intensity (-) of the diffused light is taken on the ordinate .

여기에서, 도 34(a)에 나타내는 스펙트럼 차트A는, 필름의 장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광에 대응하고 있으며, 스펙트럼 차트B는, 필름의 장척 방향에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광에 대응하고 있다.Here, the spectrum chart A shown in Fig. 34 (a) corresponds to the diffused ligh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nd the spectrum chart B shows the diffusions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Light.

또한, 코노스코프(autronic-MELCHERS GmbH사제)를 사용하여, 도 3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2에 있어서의 Z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확산광의 사진을 얻었다.Further, as shown in Fig. 34 (b), a photograph of the diffused light when viewed from the Z direction in Fig. 32 was obtained using a conoscope (autronic-MELCHERS GmbH).

이러한 도 34(a)∼(b)에 나타내는 결과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내부 구조를 갖는 필름으로부터 예측되는 광확산 특성과 일치하는 것이며, 이러한 필름에 의해, 시야각이 넓은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 추정되는 것이었다.The results shown in Figs. 34 (a) and 34 (b) are consistent with the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predicted from the film having the inter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32. By this film, the external light- It was presumed that it could be realized.

2.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제조2. Manufacture of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이어서,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경면 반사판(두께 100㎛의 PET 필름의 표면에 알루미늄을 두께 300㎚가 되도록 증착한 것) 상에 두께 15㎛의 점착제층을 개재하고 첩합하여,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조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 (a), the resulting light-diffusing film was laminated on a mirror-surface reflector (a surface of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0 mu m so as to have aluminum of 300 nm in thickness) To prepare a display body using external light.

3.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평가3. Evaluation of display type using external light

(1)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휘도의 균일성의 평가(1) Evaluation of uniformity of luminance of display light in viewing angle

얻어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대해서,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휘도의 균일성을 평가했다.The uniformity of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light within the viewing angle was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즉, 도 3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외광 이용형 표시체(1)를, 광확산 필름의 면이 상측이 되도록 수평한 면 상에 재치했다.That is, as shown in Fig. 35 (a), the obtained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1 was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was on the upper side.

이어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표면의 법선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5° 경사한 위치에 외광 광원(2)으로서의 선상 광원(2)을 배치했다.Then, the linear light source 2 as the external light source 2 was disposed at a position inclined by 5 占 in the arrow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normal line of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dy 1 for external light use.

이때, 선상 광원(2)은,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표면과 평행, 또한, 그 축선이 지면(紙面)과 직교하도록 배치했다.At this time, the linear light source 2 was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dy for external light use type and its ax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또한, 이때, 외광 이용형 표시체(1)는, 그 광확산 필름의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이,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과 평행해지고,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이,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치했다.At this time, in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device 1,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of the light-diffusing film become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figure, Ar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per surface.

이어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표면의 법선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5° 경사한 위치로부터, 외광 이용형 표시체(1)를 관찰함에 함께, 사진 촬영을 행했다. 얻어진 사진을 도 36에 있어서의 (1)에 나타낸다.Next,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1 was observed from a position inclined by -5 de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ith respect to the normal line of the surface of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1, and photographing was performed. The obtained photograph is shown in (1) in Fig.

이러한 도 36에 있어서의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휘도의 균일성이 높은 표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1) in FIG. 36,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Example 1 had display characteristics with high uniformity of luminance.

(2) 외광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한 표시 특성의 평가(2) Evalu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change of incidence angle of external light

얻어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대해서, 외광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한 표시 특성을 평가했다.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obtained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were evaluated.

즉, 우선,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체의 휘도의 균일성의 평가와 같이, 도 3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표면의 법선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5° 경사한 위치에 선상 광원(2)을 배치했다.That is, first, as shown in Fig. 35 (a),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body in the viewing angle is evaluated, And the line-shaped light source 2 was disposed at the position.

이어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법선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5° 경사한 위치로부터, 외광 이용형 표시체(1)를 관찰함과 함께, 사진 촬영을 행했다. 얻어진 사진을 도 36에 있어서의 (1)에 나타낸다.Next, with respect to the normal line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element 1,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element 1 was observed from a position inclined at -5 de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photography was performed. The obtained photograph is shown in (1) in Fig.

이어서, 도 3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표면의 법선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10° 경사한 위치에 선상 광원(2)을 배치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5 (b), the line-shaped light source 2 is disposed at a position inclined by 10 占 in the arrow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normal line of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dy 1 for external light use.

이어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1)의 법선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5° 경사한 위치로부터, 외광 이용형 표시체(1)를 관찰함과 함께, 사진 촬영을 행했다. 얻어진 사진을 도 37에 있어서의 (1)에 나타낸다.Next, with respect to the normal line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element 1,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element 1 was observed from a position inclined at -5 de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photography was performed. The obtained photograph is shown in (1) in Fig.

또한, 선상 광원(2)의 위치를 도 35(b)에 나타내는 상태로 유지하면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1)를 방위각 방향에 45° 회전시켜서 촬영한 사진을 도 38에 있어서의 (1)에 나타내고, 90° 회전시켜서 촬영한 사진을 도 39에 있어서의 (1)에 나타낸다.The photograph taken by rotating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1 in the azimuth direction at an angle of 45 while the posi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2 is maintained in the state shown in Fig. 35 (b) is shown in (1) (1) in Fig. 39 shows a photograph taken by rotating the lens at 90 [deg.].

우선, 도 36에 있어서의 (1) 및 도 37에 있어서의 (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외광의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변화(5°로부터 10°에의 변화)에 대하여, 약간의 휘도의 저하가 보이지만, 휘도의 균일성은 저하하지 않고, 거의 같은 표시 특성이 얻어져 있다.First, as understood from (1) in FIG. 36 and (1) in FIG. 37,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the incident angle (change from 5 DEG to 10 DEG)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of the external light, But uniformity of luminance is not lowered, and almost the same display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또한, 도 37에 있어서의 (1), 도 38에 있어서의 (1) 및 도 39에 있어서의 (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외광 입사의 방위각 방향이 제1 또는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일치하고 있는 경우(도 37에 있어서의 (1) 및 도 39에 있어서의 (1)의 경우)에는, 비교적 휘도의 균일성이 높고,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38에 있어서의 (1)의 경우)에는, 휘도의 균일성이 낮아져 있다.As can be understood from (1) in FIG. 37, (1) in FIG. 38, and (1) in FIG. 39, the azimuthal direction of external light incidence is the (The case of (1) in Fig. 37 and the case of (1) in Fig. 39),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is relatively high, (1)), the uniformity of luminance is lowered.

이상으로부터, 실시예1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표시광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성이 높고, 또한, 한정된 범위이긴 하지만, 외광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하여 표시 특성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From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material of Example 1 showed almost no change in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although the luminance uniformity was high and the range was limited.

또,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평가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상술한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장식층을 갖지 않는 태양으로 했지만, 장식층을 갖는 태양이어도, 기본적으로 같은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별도, 확인했다.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ectively evaluating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the above-described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is not provided with a decorative layer, but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at the same result is obtained basically did.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2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조하여, 평가했다.In Example 2,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material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light-diffusing film was produced as follows.

1.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및 평가1.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light diffusion film

(1) 도포 공정(1) Coating process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조제한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로서의 필름상의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함)에 대하여 도포하여, 막두께 170㎛의 도포층을 형성했다.The composition for a light diffusion film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as applied to a transpar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T) as a process sheet to form a coat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70 탆.

(2) 활성 에너지선 조사(2)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이어서, 도포층을 도 16(b)에 있어서의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중심 광선 평행도를 ±3° 이내로 제어한 자외선 스폿 평행 광원(쟈텟쿠(주)제)을 사용하여, 평행도가 2° 이하의 평행광(주피크 파장 365㎚, 그 외 254㎚, 303㎚, 313㎚에 피크를 갖는 고압 수은 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을, 조사각(도 18의 θd)이 거의 10°가 되도록 도포층에 조사했다.16 (b), while using the ultraviolet spot parallel light source (manufactured by JATEC CO., LTD.) Having the central ray parallelism controlled within the range of +/- 3 degrees, the degree of parallelism was 2 DEG or less (Ultraviolet rays from a high-pressure mercury lamp having peaks at 254 nm, 303 nm, and 313 nm in the main peak wavelength of 365 nm) was applied to the coating layer so that the irradiation angle (? D in Fig. 18) I investigated.

그때의 피크 조도는 2.00㎽/㎠, 적산 광량은 53.13mJ/㎠, 램프 높이는 240㎜로 하고, 도포층의 이동 속도는 0.2m/분으로 했다.The peak illuminance at that time was 2.00 mW / cm 2, the accumulated light intensity was 53.13 mJ / cm 2, the lamp height was 240 mm,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oating layer was 0.2 m / min.

이어서, 확실한 경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포층의 노출면 측에, 두께 38㎛의 자외선 투과성을 갖는 박리 필름(린텍(주)제, SP-PET382050; 자외선 조사 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0.01㎛, 헤이즈값 1.80%, 상선명도 425, 파장 360㎚의 투과율 84%)을 라미네이트했다.(SP-PET382050, manufactured by LINTEC CO., LTD.) Having a thickness of 38 mu m and having a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of 0.01 on the surface of the ultraviolet irradiation side was coated on the exposed surface side of the coating layer in order to ensure reliable curing. Mu m, haze value of 1.80%, image clarity of 425, transmittance of 84% at a wavelength of 360 nm).

이어서, 박리 필름 상으로부터, 상술한 평행광의 진행 방향을 랜덤하게 한 산란광을 피크 조도 10㎽/㎠, 적산 광량 150mJ/㎠가 되도록 조사하여 도포층을 완전 경화시켜, 공정 시트와 박리 필름을 제외한 상태에서의 막두께가 170㎛인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Subsequently, the scattered light obtained by randomly moving the direction of parallel light was irradiated from the release film so that the peak illuminance was 10 mW / cm 2 and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was 150 mJ / cm 2 to completely cure the coating layer.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thickness of 170 mu m was obtained.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평행 또한 필름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모식도를 도 40(a)에 나타내고, 그 단면 사진을 도 40(b)에 나타낸다.Fig. 40 (a) is a schematic view of a section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cut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and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film surface, and a cross-sectional photograph thereof is shown in Fig. 40 (b).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수직 또한 필름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단면 사진을 도 40(c)에 나타낸다. 도 40(b) 및 (c)로부터, 얻어진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 주상물을 갖는 칼럼 구조임을 알 수 있다.Fig. 40 (c) show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a cross section of the resulting light-diffusing film cut perpendicular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pplied layer and on the plane orthogonal to the film surface. 40 (b) and 40 (c),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is a columnar structure having a deformed column as shown in Fig. 6 (a).

또, 광확산 필름의 절단은 면도기를 사용하여 행하고, 단면의 사진 촬영은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기엔스(주)제, VHX-2000)를 사용하여 반사 관찰에 의해 행했다.The light diffusing film was cut using a razor, and photographing of the cross section was performed by reflection observation using a digital microscope (VHX-2000, manufactured by GUENNES CO., LTD.).

(3) 광확산 특성의 평가(3) Evaluation of light diffusion characteristics

(3)-1 헤이즈값의 측정(3) -1 Measurement of haze value

얻어진 광확산 필름의 헤이즈값을 측정했다.The haze value of the resulting light-diffusing film was measured.

즉,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회전시킴에 의해,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입사각 θa를, 도포층의 이동 B방향에 따라, -70∼70°의 범위에서 바꾸면서, 각 입사각 θa에 대한 헤이즈값(%)을 BYK(주)제의 장치를 개조한 것을 사용하여, ASTM D 1003에 준하여 측정했다.That is, as shown in Fig. 9 (b), by changing the incident angle [theta] a with respect to the normal to the film surface in the range of -70 to 70 [deg.]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B of the coating layer by rotating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 And the haze value (%)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cident angles &thetas; a was modified according to ASTM D 1003 using a device manufactured by BYK Corporation.

또한, 그때의 광확산 필름에 대한 광의 입사는, 도 4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의 이측(裏側), 즉 광확산 필름을 제조할 때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 측의 반대 측으로부터 행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1 (a), the incidence of the light on the light diffusion film at that time is per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

또한,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주상물의 경사와 같은 측의 경사를 갖는 입사각 θa를 플러스의 값으로서 표기하고, 주상물의 경사와 반대 측의 경사를 갖는 입사각 θa를 마이너스의 값으로서 표기한다. 얻어진 입사각-헤이즈값 차트를 도 42에 나타낸다.Incidentally, also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incident angle &thetas; a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s the inclination of the columnar body is expressed as a positive value, and the incident angle &thetas; a having the inclination opposite to the inclination of the columnar body is expressed as a negative value. The obtained angle-of-haze value chart is shown in Fig.

또, 헤이즈값(%)은, 하기 수식(1)에서 산출되는 값을 의미하고, 하기 수식(1) 중, 확산 투과율(%)이란, 전광선 투과율(%)에서 평행광 투과율(%)을 뺀 값이며, 평행광 투과율(%)이란, 직진 투과광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2.5°까지의 너비를 갖는 광의 투과율(%)을 의미한다.The haze value (%) means a valu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and the diffusion transmittance (%) in the following equation (1) mean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arallel light transmittance (%) from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 And the parallel light transmittance (%) means the transmittance (%) of light having a width up to ± 2.5 °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nearly transmitted light.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1

(3)-2 코노스코프에 의한 측정(3) -2 Measurement by conoscopic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특성을 측정했다.The light diffusion property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wa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using external light was measured.

즉,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광확산 필름(100a)을 반사판(10)에 대하여 첩합하여, 측정용 시험편으로 했다.Namely, as shown in Fig. 43,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100a was bonded to the reflection plate 10 to obtain a test piece for measurement.

이어서,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노스코프(autronic-MELCHERS GmbH사제)(400)의 반사 모드를 사용하여, 시험편(100a, 10)에 대하여 가동식의 광원 암(410)으로부터 광을 입사했다.43, light was incident on the test piece 100a, 10 from the movable light source arm 410 by using the reflection mode of a conoscopic 400 (manufactured by autronic-MELCHERS GmbH).

또한, 그때의 광확산 필름에 대한 광의 입사는, 도 4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필름의 이측, 즉 광확산 필름을 제조할 때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 측의 반대 측으로부터 행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1 (b), the incidence of light onto the light diffusion film at that time was carried out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that is, the side from which the active energy ray was irradiated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light diffusion film.

또한,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주상물의 경사와 같은 측의 경사를 갖는 입사각 θa를 플러스의 값으로서 표기하고, 주상물의 경사와 반대 측의 경사를 갖는 입사각 θa를 마이너스의 값으로서 표기한다. 얻어진 코노스코프 화상을 도 44(a)∼(g)에 나타낸다.Incidentally, also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incident angle &thetas; a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s the inclination of the columnar body is expressed as a positive value, and the incident angle &thetas; a having the inclination opposite to the inclination of the columnar body is expressed as a negative value. The obtained conoscopic images are shown in Figs. 44 (a) to (g).

또, 반사판은, JDSU(주)제의 BV2이며, 측정용 시험편은, 이러한 반사판의 알루미늄 증착면에 대하여 두께 15㎛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광확산 필름을 첩합하여 얻었다.The reflector was BV2 manufactured by JDSU Co., Ltd. The test piece for measurement was obtained by bonding a light diffusion film to the aluminum evaporated surface of the reflector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 mu m.

또한, 이들의 코노스코프 화상은, 도 44(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각 코노스코프 화상에 있어서의 최대의 휘도의 값까지의 휘도 분포를, 청색으로부터 적색까지의 14단계로 나누어서 나타내고, 0㏅/㎡가 청색이며, 0㏅/㎡를 초과한 값∼각 코노스코프 화상에 있어서의 최대의 휘도의 값을 13등분하고, 0㏅/㎡∼최대의 휘도의 값에 근접함에 따라, 청색∼수색∼녹색∼황색∼오렌지색∼적색으로 13단계로 변화하도록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44 (h), these conoscopic images have a luminance distribution ranging from 0 mu m / m < 2 > to a maximum luminance value in each of the conoscopic images in 14 steps from blue to red And the value of 0 ㏅ / m 2 is blue, the value exceeding 0 ㏅ / ㎡ from the maximum brightness value in each of the conoscopic images is divided into thirteen, and the value of 0 ㏅ / ㎡ to the maximum brightness is approached And thus changes to 13 levels from blue to searched to green to yellow to orange to red.

또한, 각 코노스코프 화상에 있어서의 방사상으로 그어진 선은, 각각 방위각 방향 0∼180°, 45∼225°, 90∼270°, 135∼315°를 나타내고, 동심 원상으로 그어진 선은,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극각 방향 18°, 38°, 58°, 78°를 나타낸다.The lines drawn in the radial direction in each of the conoscopic images indicate azimuth directions of 0 to 180 DEG, 45 to 225 DEG, 90 to 270 DEG, and 135 to 315 DEG, and lines drawn in a concentric circle direction 38 degrees, 58 degrees, 78 degrees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따라서, 각 코노스코프 화상에 있어서의 각 동심원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의 색이,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된 확산광의 상대적인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Therefore, the color at the central portion of each concentric circle in each of the conoscopic images represents the relative luminance of the diffused light emitted to the front of the film.

또한, 도 45에, 입사각 θa와, 도 44(a)∼(g)에 있어서의 각 동심원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의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입사각-휘도 차트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 45로부터, 입사각 θa=0∼50°의 넓은 범위의 입사광을,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ig. 45 shows an incident angle-luminance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and the luminance ([mu] / m2) i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concentric circle in Figs. 44 (a) to (g). From Fig. 45, it can be seen that incident light in a wid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 0 to 50 [deg.] Can be diffused and emitted efficiently to the film front face.

2.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평가2. Evaluation of display type using external light

또한, 도 36에 있어서의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휘도의 균일성이 높은 표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2) in FIG. 36,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Example 2 had a display characteristic of high luminance uniformity.

또한, 도 36에 있어서의 (2) 및 도 37에 있어서의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외광의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하여, 약간의 휘도의 저하가 보이지만, 휘도의 균일성은 저하하지 않고, 거의 같은 표시 특성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2) in FIG. 36 and (2) in FIG. 37,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of Example 2 exhibits a slight lumin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of luminance was not lowered and almost the same display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또한, 도 37에 있어서의 (2), 도 38에 있어서의 (2) 및 도 39에 있어서의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외광의 방위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해서도, 약간의 휘도의 저하는 있지만 휘도의 균일성은 저하하지 않고, 거의 같은 표시 특성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2) in FIG. 37, (2) in FIG. 38 and (2) in FIG. 39, in the external light utilizing type display body of Embodiment 2, It was confirmed that even with a slight change in the incident angle, the uniformity of luminance was not lowered, and almost the same display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3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In Example 3, a light diffusion film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light diffusion film was produced as follows.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조하여, 평가했다.Using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material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1.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및 평가1.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light diffusion film

실시예3에서는,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또한 (D)성분으로서의 식(10)으로 표시되는 자외선 흡수제(BSF(주)제, TINUVIN 384-2)를 0.5중량부((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도 46∼50에 나타낸다.In Example 3, 0.5 parts by weight ((A)) of an ultraviolet absorber (TINUVIN 384-2 made by BSF) represented by the formula (10) as a component (D) And 0.2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B) were added to the light diffusion film.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Figs.

여기에서, 도 46(a)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평행 또한 필름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모식도이며, 도 46(b)는, 그 단면 사진이다.Here, Fig. 46 (a) is a schematic view of a section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which is cut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and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film surface, and Fig. 46 (b)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thereof.

또한, 도 46(c)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수직 또한 필름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사진이다.46 (c) is a photograph of a section obtained by cutting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perpendicular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and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film surface.

또한, 도 47(a)는, 도 46(b)의 단면 사진에 있어서의 주상물의 굴곡부 부근을 확대한 사진이며, 도 47(b)는, 주상물의 굴곡부로부터 하방 부분을 더 확대한 사진이다. 도 46(b)∼(c) 및 도 47(a)∼(b)로부터, 얻어진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 주상물을 갖는 칼럼 구조임을 알 수 있다.Fig. 47 (a)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bent portion of the columnar body in the sectional view of Fig. 46 (b), and Fig. 47 (b) is a photograph further enlarging the lower portion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columnar body. From FIGS. 46 (b) to 46 (c) and 47 (a) to 47 (b),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is a column structure having a deformed columnar body as shown in FIG. .

또한, 도 48은, 얻어진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이다.48 is an angle of incidence-haze chart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또한, 도 49(a)∼(g)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49 (a) to 49 (g) are photographs showing the light diffusion state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또한, 도 50은, 입사각 θa와, 도 49(a)∼(g)에 있어서의 각 동심원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의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입사각-휘도 차트이다. 이러한 도 50으로부터, 입사각 θa=0∼60°의 넓은 범위의 입사광을,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50 is an angle of incidence-luminance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and the luminance ([mu] / m2) i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concentric circle in Figs. 49 (a) to 49 (g). From Fig. 50, it can be seen that incident light in a wid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 0 to 60 [deg.] Can be diffused and emitted efficiently to the film front face.

2.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평가2. Evaluation of display type using external light

실시예3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서는, 실시예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와 같은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Evaluation results similar to those of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Example 2 were obtained i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Example 3.

따라서, 번잡해지는 것을 막는 관점에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사진의 게재는 생략했다.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complication, the photographing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is omitted.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4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In Example 4, a light diffusion film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light diffusion film was produced as follows.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조하여, 평가했다.Using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material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1.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및 평가1.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light diffusion film

실시예4에서는, 도포층의 막두께를 210㎛로 바꿈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 조사 시에, 평행광을 조사한 후에, 도포층의 노출면 측에 박리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상태에서, 산란광을 조사하는 대신에, 중심 광선 평행도를 ±3° 이내로 제어한 자외선 스폿 평행 광원(쟈텟쿠(주)제)을 사용하여, 평행도가 2° 이하의 평행광을, 조사각(도 18의 θd)이 거의 25°가 되도록 도포층에 조사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는 210㎛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51∼55에 나타낸다.In Example 4, after changing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to 210 탆 and irradiating the active energy beam with parallel light, scattered light was irradi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film was laminated on the exposed surface side of the coating layer Instead, parallel light having a degree of parallelism of 2 DEG or less was irradiated using an ultraviolet spot parallel light source (manufactured by JATEC CO., LTD.) Whose central ray parallelism was controlled within 3 DEG, Deg.], The light diffusing film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 The film thickness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was 210 μm.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Figs.

여기에서, 도 51(a)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평행 또한 필름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모식도이며, 도 51(b)는, 그 단면 사진이다.Here, FIG. 51 (a) is a schematic view of a section of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cut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pplied layer and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film surface, and FIG. 51 (b)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thereof.

또한, 도 51(c)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수직 또한 필름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단면 사진이다.51 (c)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cut perpendicular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pplied layer and o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lm surface.

또한, 도 52(a)는, 도 51(b)의 단면 사진에 있어서의 제1 주상물 및 제2 주상물이 중복하고 있는 중복 칼럼 구조 영역 부근을 확대한 사진이며, 도 52(b)는, 중복 칼럼 구조 영역으로부터 하방 부분을 더 확대한 사진이다. 도 51(b)∼(c) 및 도 52(a)∼(b)로부터, 얻어진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 주상물을 갖는 칼럼 구조임을 알 수 있다.52 (a)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overlapping columnar structure region where the first columnar body and the second columnar body overlap in the cross-sectional image of Fig. 51 (b), and Fig. 52 , And the lower part from the redundant column structure area is further enlarged. It can be seen from Figs. 51 (b) to 51 (c) and 52 (a) to 52 (b)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is a column structure having a deformed column as shown in Fig. .

또한, 도 53은, 얻어진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이다.53 is an angle of incidence-haze chart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또한, 도 54(a)∼(g)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54 (a) to 54 (g) are photographs showing the light diffusion state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또한, 도 55는, 입사각 θa와, 도 54(a)∼(g)에 있어서의 각 동심원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의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입사각-휘도 차트이다. 이러한 도 55로부터, 입사각 θa=0∼60°의 넓은 범위의 입사광을, 효율적으로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55 is an incident angle-luminance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and the luminance ([mu] / m2) i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concentric circle in Figs. 54 (a) to 54 (g). From Fig. 55, it can be seen that incident light in a wide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 0 to 60 [deg.] Can be diffused and emitted efficiently to the film front face.

2.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평가2. Evaluation of display type using external light

실시예4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서는, 실시예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와 같은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I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Example 4, the same evaluation results as those of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Example 2 were obtained.

따라서, 번잡해지는 것을 막는 관점에서,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사진의 게재는 생략했다.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complication, the photographing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is omitted.

[실시예5][Example 5]

실시예5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조하여, 평가했다.In Example 5,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material was prepar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light-diffusing film was produced as follows.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조하여, 평가했다.Using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material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1.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및 평가1.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light diffusion film

실시예5에서는, 자외선 스폿 평행 광원 대신에, 도 5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상의 고압 수은 램프(직경 25㎜, 길이 2.4m, 출력 28.8㎾)에 집광용의 콜드 미러가 부속한 자외선 조사 장치(아이그라픽스(주)제, 소형 실험기)를 준비했다.In Example 5, in place of the ultraviolet spot collimated light source, an ultraviolet ray irradiated with a cold mirror for light condensation was irradiated onto a line-shaped high-pressure mercury lamp (diameter 25 mm, length 2.4 m, output 28.8 kW) (Manufactured by Igraphics Co., Ltd., small-sized test machine).

이어서, 선상의 자외선 램프와, 도포층과의 사이에, 도 56(b)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판상 부재가 각각 평행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입사 각도폭 조절 부재를 배치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6 (b), an incident angular width adjusting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are arranged in parallel is disposed between the line-shaped ultraviolet lamp and the coating layer.

이때, 도포층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도포층의 이동 방향과, 판상 부재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예각, 즉, 도 57(a)에 있어서의 θf가 45°가 되도록 입사 각도폭 조절 부재를 배치했다.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above the application layer, the incident angle width adjusting member is disposed such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formed b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like member, that is,? F in FIG. did.

또한, 도 5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층과 입사 각도폭 조절 부재와의 사이에, 2매의 차광 부재를 개재시켰다.Further, as shown in Fig. 56 (a), two light shielding members were interposed between the coating layer and the incident angular width adjusting member.

또한, 입사 각도폭 조절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간격(도 57(a)에 있어서의 L1)은 23㎜, 판상 부재의 폭(도 57(a)에 있어서의 L2)은 510㎜, 판상 부재의 두께는 1.6㎜이며, 재료는 내열흑도료를 실시한 알스타 강재였다.57 (a)) is 23 mm, and the width (L2 in Fig. 57 (a) in Fig. 57 (a)) of the plate- Mm, the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was 1.6 mm, and the material was Alstar steel subjected to heat-resistant black paint.

또한, 입사 각도 조절 부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도 57(b)에 있어서의 L3)는 200㎜, 입사 각도폭 조절 부재의 상단과, 선상의 자외선 램프의 하단과의 사이의 거리(도 57(b)에 있어서의 L4)는 100㎜, 입사 각도폭 조절 부재의 하단과, 도포층의 표면과의 사이의 거리(도 57(b)에 있어서의 L5)는 1700㎜였다.The length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incident angle adjusting member (L3 in FIG. 57 (b)) was 20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incident angle width adjusting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line- 57 (b) was 10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cident angle-adjusting member and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L5 in FIG. 57 (b)) was 1700 mm.

또한, 도포층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도포층의 이동 방향의 길이 W는, 도 5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차광 부재(223a 및 223b)의 사이의 길이이며, 360㎜였다.The length W of the coating lay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in the area where the active energy rays are irradiated is the length between the two light shielding members 223a and 223b as shown in Fig. 56 (a) , 360 mm.

또한, 선상의 자외선 램프는, 도포층의 이동 방향과, 선상의 자외선 램프의 장축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했다.The line-shaped ultraviolet lamp was disposed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and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line-shaped ultraviolet lamp we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따라서,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자외선 램프의 중심선의 연직 하방으로의 투영선이 자외선 램프로부터의 활성 에너지선(자외선)의 조도가 최대가 되는 영역이 된다.Therefore, the projection line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ultraviolet lamp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becomes a region where the illuminance of the active energy ray (ultraviolet ray) from the ultraviolet lamp becomes the maximum.

이어서, 입사 각도 조절 부재를 개재하여 선상의 자외선 램프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함에 의해, 평행도가 -5° 이하의 평행광을, 조사각(도 18의 θd)이 0°가 되도록 박리 필름 넘어 도포에 조사하고, 막두께 170㎛의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Subsequently,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from the line-shaped ultraviolet lamp through the incident angle adjusting member to irradiate parallel light having a degree of parallelism of -5 degrees or less to the coating film so that the irradiation angle (? D in Fig. 18) To obtain 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thickness of 170 탆.

그때, 도포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술한 자외선의 조도가 최대가 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일점에 있어서, 선상의 자외선 램프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자외선의 입사 각도폭이 최소값(도 30(b)의 θ4)으로서 2.9°를 취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인 도포층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자외선의 입사 각도폭이 최대값(도 30(c)의 θ5)으로서 8.6°를 취하도록, 박리 필름 넘어 도포층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했다.At that tim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shaped ultraviolet lamp at an arbitrary point located on a region where the illuminance of the ultraviolet ray is maximize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when the incident angle width of the ultraviolet ray reaches the minimum value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ultraviolet rays is 8.6 占 as the maximum value (? 5 of FIG. 30 (c))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ating layer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The coated layer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so that it could take place.

또한, 그때의 도포층 표면의 피크 조도는 1.05㎽/㎠, 적산 광량은 22.6mJ/㎠이며, 도포층의 이동 속도는 1.0m/분으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도 58∼61에 나타낸다.At that time, the peak roughness of the coating layer surface was 1.05 mW / cm 2,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was 22.6 mJ / cm 2,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oating layer was 1.0 m / min.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Figs. 58 to 61.

여기에서, 도 58(a)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평행 또한 필름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모식도이며, 도 58(b)는, 그 단면 사진이다.Here, Fig. 58 (a) is a schematic view of a section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cut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and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lm surface, and Fig. 58 (b)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thereof.

또한, 도 58(c)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도포층의 이동 방향에 수직 또한 필름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사진이다.Fig. 58 (c) is a photograph of a section obtained by cutting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perpendicular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and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film surface.

이들의 단면 사진으로부터, 얻어진 광확산 필름은, 필름 내에 도 2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정의 내부 구조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From these cross-sectional photograph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ing light-diffusing film had a predetermined inter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28 (a) in the film.

또한, 도 59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입사각-헤이즈값 차트이다.59 is an angle of incidence-haze chart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또한, 도 60(a)∼(g)는,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상당하는 광확산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60 (a) to 60 (g) are photographs showing the light diffusion state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obtained light diffusion film is applied to a display using external light.

또한, 도 61은, 입사각 θa와, 도 60(a)∼(g)에 있어서의 각 동심원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의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입사각-휘도 차트이다. 이러한 도 61로부터, 입사각 θa=0∼30°의 좁은 범위의 입사광밖에, 필름 정면에 확산 출사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61 is an incident angle-luminance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t angle [theta] a and the luminance ([mu] / m2) in the center portion of each concentric circle in Figs. 60 (a) to 60 (g). From Fig. 61, it can be seen that only the incident light in a narrow range of the incident angle [theta] a = 0 to 30 [deg.] Can not diffuse and exit to the front of the film.

이것으로부터, 이러한 필름을 사용한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우위성을 확립할 수 있는 입사광의 각도 범위가 좁으므로, 한정된 환경하(예를 들면, 지면에 메워넣고, 태양광을 외광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유효하게 사용 가능한 것이 예상된다.Therefore,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using such a film has a narrow angular range of incident light capable of establishing superiority, and therefore, is suitable for use in a limited environ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solar light as external ligh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2.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평가2. Evaluation of display type using external light

또한, 도 36에 있어서의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5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휘도의 균일성이 높은 표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3) in FIG. 36,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Example 5 had high display uniformity of luminance.

또한, 도 36에 있어서의 (3) 및 도 37에 있어서의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5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외광의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하여, 약간의 휘도의 저하가 보이지만, 휘도의 균일성은 저하하지 않고, 거의 같은 표시 특성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3) in FIG. 36 and in (3) in FIG. 37,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of Example 5 exhibits a slight change in the incident angle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of the external light,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of luminance was not lowered and almost the same display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또한, 도 37에 있어서의 (3), 도 38에 있어서의 (3) 및 도 39에 있어서의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5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외광 입사의 방위각 방향이 필름 제조 시의 도포층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고 있는 경우(도 37에 있어서의 (3)의 경우)에는, 비교적 휘도의 균일성이 높고,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38에 있어서의 (3) 및 도 39에 있어서의 (3)의 경우)에는, 휘도의 균일성이 낮아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3) in FIG. 37, (3) in FIG. 38, and (3) in FIG. 39, in the external light utilizing type display body of Embodiment 5, (The case of (3) in Fig. 37),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is relatively high, and when they are not coincident with each other (the cases of (3) and (The case of (3) in Fig. 39),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was lowered.

이상으로부터, 실시예5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표시광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성이 높고, 또한, 한정된 범위이긴 하지만, 외광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하여 표시 특성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From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of Example 5 showed almost no change in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although the luminance uniformity was high and the range was limited.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1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In Comparative Example 1, a light diffusion film was prepar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light diffusion film was produced as follows.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조하여, 평가했다.Using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material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1.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및 평가1.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light diffusion film

비교예1에서는, 아크릴산부틸 및 아크릴산을, 중량비 95:5의 비율로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1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도아고세이(주)제, 아로닛쿠스 M-315, 분자량 423, 3관능형) 15중량부와, 광중합개시제로서의 벤조페논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의 중량비 1:1의 혼합물(치바·스페셜티·케미컬(주)제, 이르가큐어500) 1.5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니혼폴리우레탄(주)제, 코로네이트L) 0.3중량부와, 실란 커플링제로서의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가가쿠고교(주)제, KBM-403) 0.2중량부와, 진구상 실리콘 미립자(GE도시바실리콘(주)제, 토스펄145, 평균 입경 4.5㎛) 18.6중량부를 가함과 함께, 아세트산에틸을 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성 재료의 아세트산에틸 용액(고형분 14중량%)을 조제했다.In Comparative Example 1,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850,000, which was obtained by polymerizing butyl acrylate and acrylic acid in a weight ratio of 95: 5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wa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ris (acryloxyethyl) iso 15 parts by weight of cyanurate (Aronikkus M-315, molecular weight: 423, trifunctional type,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and 1 part by weight of benzophenone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Irgacure 500,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and 0.3 part by weight of trimethylolpropane-modified tolylene diisocyanate (Coronate L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Co., Ltd.) as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d 0.2 part by weight of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as a silane coupling agent and 0.2 part by weight of a spherical silicone fine particle (manufactured by GE Toshiba Silicone Co., 145, average particle diameter 4.5 mu m) And ethyl acetate were added and mixed to prepare an ethyl acetate solution (solid content: 14% by weight) of a sticky material.

이어서, 얻어진 점착성 재료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우세키(주)제, 코스모샤인 A4100)에 대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나이프식 도공기로 도포한 후, 90℃에서 1분간 건조 처리하여 점착성 재료층을 형성했다.Next, an ethyl acetate solution of the obtained sticky material was applied to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Cosmo Shine A4100, made by Toyobo Co., Ltd.) having a thickness of 100 占 퐉 by a knife coater such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was 25 占 퐉 And then dried at 90 DEG C for 1 minu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layer.

이어서, 박리 시트로서의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박리 필름(린텍(주)제, SP-PET3811)의 박리층과, 얻어진 점착성 재료층을 첩합하고, 첩합하고나서 30분 후에, H밸브 사용의 무전극 램프(퓨전(주)제)를 사용하여, 조도 600㎽/㎠, 광량 150mJ/㎠가 되도록, 박리 필름 측으로부터 점착성 재료층에 자외선을 조사했다.Subsequently, a peeling layer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eling film (SP-PET3811, manufactured by LINTEC CORPORATION) having a thickness of 38 mu m as a peeling sheet and the obtained adhesive material layer were laminated, and after 30 minutes from the application, H valve The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from the release film side to the adhesive material layer so that the light intensity was 600 mW / cm 2 and the light quantity was 150 mJ / cm 2 using an electrodeless lamp (manufactured by Fusion Corporation).

그리고, 얻어진 자외선 경화 후의 점착성 재료층을 비교예1의 광확산 필름으로 했다.Then, the obtained adhesive material layer after ultraviolet curing was used as the light diffusion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얻어진 광확산 필름은, 입사각 θa를 -70∼70°의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경우에, 헤이즈값이 항상 약 98%였다.The haze value of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was always about 98% when the angle of incidence? A wa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

또, 비교예1에 있어서는, 코노스코프에 의한 측정을 생략했다.In Comparative Example 1, measurement by a conoscopic was omitted.

2.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평가2. Evaluation of display type using external light

또한, 도 36에 있어서의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1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휘도의 균일성은 높지만, 충분한 휘도가 얻어지지 않고, 어두운 것이 확인되었다.Further, as shown in (4) in Fig. 36,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of Comparative Example 1 showed high uniformity of brightness, but did not obtain sufficient brightness and was dark.

또한, 도 36에 있어서의 (4) 및 도 37에 있어서의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1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외광의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하여, 휘도의 균일성은 저하하지 않지만, 충분한 휘도가 얻어지지 않고, 어두운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4) in Fig. 36 and (4) in Fig. 37,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of Comparative Example 1 exhibits uniform luminance uniformity with respect to change in incident angle in the polar angle direction of external light The luminance did not deteriorate, but sufficient brightness was not obtained and darkness was confirmed.

또한, 도 37에 있어서의 (4), 도 38에 있어서의 (4) 및 도 39에 있어서의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1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외광 입사의 방위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하여, 휘도의 균일성은 저하하지 않지만, 충분한 휘도가 얻어지지 않고, 어두운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4) in FIG. 37, (4) in FIG. 38, and (4) in FIG. 39, in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azimuth direction of external light incidence The uniformity of luminance was not lowered, but sufficient brightness was not obta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ark.

이상으로부터, 비교예1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실시예1∼5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비하여, 휘도가 낮고, 밝기의 점에서 뒤떨어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From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lower in brightness and inferior in brightness than the external light-use display body of Examples 1 to 5.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2에서는, 진구상 실리콘 미립자의 첨가량을 줄인 것 외에는, 비교예1과 마찬가지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In Comparative Example 2, a light diffusion film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amount of the fine spherical silicon fine particles to be added was reduced.

또한, 얻어진 광확산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외광 이용형 표시체를 제조하여, 평가했다.Using the obtained light-diffusing film, an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material was produc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1. 광확산 필름의 평가1. Evaluation of light diffusion film

얻어진 광확산 필름은, 입사각 θa를 -70∼70°의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경우에, 헤이즈값이 항상 약 50%였다.The haze value of the resulting light-diffusing film was always about 50% when the angle of incidence? A wa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

또, 비교예2에 있어서도, 코노스코프에 의한 측정을 생략했다.Also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measurement by the conoscopic was omitted.

2. 외광 이용형 표시체의 평가2. Evaluation of display type using external light

또한, 도 36에 있어서의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충분한 휘도가 얻어지고, 밝지만, 휘도의 균일성이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5) in Fig. 36,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ernal light utilization type display body of Comparative Example 2 obtained a sufficient luminance and was bright, but the luminance uniformity was low.

또한, 도 36에 있어서의 (5) 및 도 37에 있어서의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외광의 극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하여, 현저히 휘도가 변화되어버림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5) in FIG. 36 and (5) in FIG. 37, in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brightness of the incident light in the extreme- It can be seen that it has been changed.

또한, 도 37에 있어서의 (5), 도 38에 있어서의 (5) 및 도 39에 있어서의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충분한 휘도가 얻어지지 않고, 어두운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5) in FIG. 37, (5) in FIG. 38, and (5) in FIG. 39, in the external light utilizing type display body of Comparative Example 2, Dark was confirmed.

이상으로부터, 비교예2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실시예1∼5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비하여, 표시광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성, 및 외광의 입사 각도 변화에 대한 표시 특성의 점에서 뒤떨어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Comparative Example 2 is inferior to the external light-use display body of Examples 1 to 5 in terms of uniformity of brightness in display light and display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changes in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의하면, 반사판과,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에 있어서, 사용하는 광확산 필름을, 필름 내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영역을 구비한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 함에 의해, 외광의 입사 각도가 변화한 경우여도, 일정한 표시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시야각 내에 있어서의 표시광의 휘도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diffusing film to be used in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formed by laminating the reflection plate and the light-diffusing film is placed in a region where the refractive index is relatively low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n interna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with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can stably maintain constant display characteristics even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external light changes,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can be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외광 이용형 표시체는, 간판, 광고 및 도로용 표지 등, 외광을 이용한 표시체에 적용할 수 있고, 이들의 고품질화에 현저히 기여하는 것이 기대된다.Therefore, the external light-utilizing displa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splay body using external light such as a signboard, an advertisement, and a road sign, and it is expected that it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high quality of the display body.

1 : 외광 이용형 표시체, 2 : 외광 광원, 3 : 외광, 4 : 표시광, 10 : 반사판, 10a : 알루미늄 증착층, 10b : 수지 필름, 20 : 장식층, 20a : 인쇄층, 20b : 이인쇄층, 20c : 수지 필름, 30 : 점착제층, 40 : 내광성을 갖는 층, 50 : 광원으로부터의 조사광, 50' : 광의 확산 상태, 51' : 확산광의 확산 상태, 60 : 평행광, 100 : 광확산 필름, 100a : 필름 내에 칼럼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 100b : 필름 내에 루버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 101 : 도포층, 101a : 제1 도포층, 101a' : 제1 루버 구조가 형성된 제1 도포층, 101b : 제2 도포층, 101c :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 102 : 공정 시트, 112 :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상물, 113 : 칼럼 구조, 113a : 칼럼 구조의 경계면, 114 :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115 : 제1면, 116 : 제2면, 122 :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 123 : 루버 구조, 123a : 제1 루버 구조, 123b : 제2 루버 구조, 123a' : 루버 구조의 경계면, 124 :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 200 : 조사광 평행화 부재, 202 : 점광원, 204 : 렌즈, 210 : 차광 부재, 210a : 판상 부재, 210b : 통상 부재, 220 : 자외선 조사 장치, 221 : 열선 컷 필터, 223 : 차광판, 225 : 선상 광원, 310 : 광원, 320 : 적분구, 400 : 코노스코프, 410 : 광원 암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using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diffusing state of diffused light, 60: a parallel light, 100: a diffused light, 20: a resin film, 30: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0a: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a film, 100b: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louver structure in the film, 101: coating layer, 101a: first coating layer, 101a ': first A first coating layer and a second coating layer, 102: a process sheet, 112: a columnar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113: a columnar structure, 113a: a columnar structure 114: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115: a first surface, 116: a second surface, 122: a plate-shaped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123: A louver structure 123a a first louver structure 123b a second louver structure 123a a louver interfacial surface 124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sheet region 200 irradiance parallelizing member 202 point light source 204 light- A light shielding plate, a linear light source, a light source, an integrating sphere, a cone-shaped member, and a cone-shaped member. Scope, 410: light source arm

Claims (5)

반사판과,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로서,
상기 광확산 필름이, 필름 내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영역을 구비한 내부 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
A reflective plate, and a light diffusion film,
Wherein the light-diffusing film is a light-diffusing film having an interna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a region where a refractive index is relatively low in th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과 광확산 필름의 사이, 또는, 상기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판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 측에 장식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corative film has a decorative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reflection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reflection plate and the light diffusion film or the light diffusion fil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주상물을 필름 막두께 방향에 임립(林立)시켜서 이루어지는 칼럼 구조, 및,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판상 영역을 필름면에 따른 임의의 한 방향에 교호(交互)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 혹은 어느 한 쪽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has a column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lumnar bodie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re grown in a film thickness direction in a region where the refractive index is relatively low, A louver structure in which the plate-shaped reg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ny one direction along the film plane, or a structure of either one of th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상기 칼럼 구조인 경우에, 상기 광확산 필름이 단일층의 광확산 필름으로서, 상기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가 60∼700㎛의 범위 내의 값이며, 또한,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을,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막상으로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층을 광경화할 때의 당해 도포층의 이동 방향을 따라, -70∼70°의 범위에서 바꾼 경우에, 각 입사각에 대한 헤이즈값이 70%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case whe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the column structure, the light diffusion film is a single-layer light diffusion film,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within a range of 60 to 700 mu m,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incident light with respect to the normal to the film surface is changed in the range of -70 to 70 degre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ated layer when the coating layer formed by coating the composition for a light- Wherein the haze value for each incident angle is 70% or mo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가 상기 루버 구조인 경우에, 상기 광확산 필름이 제1 루버 구조 및 제2 루버 구조를, 필름 막두께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순차로 갖는 광확산 필름으로서, 필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상기 제1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영역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예각 θ1을 10∼9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이용형 표시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ght diffusion film has a first louver structure and a second louver structure sequentially from below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whe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the louver structu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acute angle? 1 formed by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first louver structure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area in the second louver structure is set to a value within a range of 10 to 90 degrees Type display body.
KR1020167001507A 2013-08-05 2014-03-11 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KR1021371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2078 2013-08-05
JPJP-P-2013-162078 2013-08-05
PCT/JP2014/056235 WO2015019648A1 (en) 2013-08-05 2014-03-11 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172A true KR20160040172A (en) 2016-04-12
KR102137130B1 KR102137130B1 (en) 2020-07-24

Family

ID=5246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507A KR102137130B1 (en) 2013-08-05 2014-03-11 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27349B2 (en)
KR (1) KR102137130B1 (en)
CN (1) CN105452910B (en)
TW (1) TWI628474B (en)
WO (1) WO201501964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1370B2 (en) 2017-11-08 2020-09-01 Lg Display Co., Lt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5158B2 (en) * 2014-08-27 2019-06-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Polygon-shaped light diffusion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lygon-shaped light diffusion film
JP6955885B2 (en) * 2017-03-31 2021-10-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Projection screen
JP7446738B2 (en) * 2019-08-20 2024-03-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Light diffusion controller and reflective display
TW202125060A (en) * 2019-12-06 2021-07-0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Reflective display body
JP2021096290A (en) * 2019-12-13 2021-06-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Light diffusion control member and reflection type display mediu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414A (en) 1999-10-01 2001-04-20 Sumitomo Chem Co Ltd Front plate for signboard and signboard
JP2002017983A (en) * 2000-07-03 2002-01-22 Seven Corporation:Kk Decoration sheet for game board
JP2003531396A (en) 2000-04-13 2003-10-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Cube 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 with enhanced coloring
JP2005141593A (en) * 2003-11-07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ecurity device
JP2008122812A (en) * 2006-11-15 2008-05-29 Kuraray Co Ltd Light diffusion sheet
JP2009173018A (en) * 2007-12-27 2009-08-06 Sumitomo Chemic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control film
KR20120067940A (en) * 2010-12-16 2012-06-2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WO2013108540A1 (en) * 2012-01-19 2013-07-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9303A (en) * 2003-12-24 2005-07-14 Hitachi Chem Co Ltd Optical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7148864A1 (en) * 2007-01-17 2007-12-27 Taegutec Ltd. Rolling mill and roll thereof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414A (en) 1999-10-01 2001-04-20 Sumitomo Chem Co Ltd Front plate for signboard and signboard
JP2003531396A (en) 2000-04-13 2003-10-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Cube 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 with enhanced coloring
JP2002017983A (en) * 2000-07-03 2002-01-22 Seven Corporation:Kk Decoration sheet for game board
JP2005141593A (en) * 2003-11-07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ecurity device
JP2008122812A (en) * 2006-11-15 2008-05-29 Kuraray Co Ltd Light diffusion sheet
JP2009173018A (en) * 2007-12-27 2009-08-06 Sumitomo Chemic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control film
KR20120067940A (en) * 2010-12-16 2012-06-2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WO2013108540A1 (en) * 2012-01-19 2013-07-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1370B2 (en) 2017-11-08 2020-09-01 Lg Display Co., Lt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19648A1 (en) 2017-03-02
JP5927349B2 (en) 2016-06-01
TWI628474B (en) 2018-07-01
CN105452910A (en) 2016-03-30
KR102137130B1 (en) 2020-07-24
CN105452910B (en) 2019-01-11
WO2015019648A1 (en) 2015-02-12
TW201506472A (en)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851B1 (en) Display optical-diffusion film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using same
TWI620960B (en) Display device
TWI537611B (en)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TWI578026B (en) Anisotropic light-diffusion film
CN105339813B (en) Optical diffusion film composition and optical diffusion film
US9869803B2 (en)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film, and light diffusion film
KR20160040172A (en) External-light-utilizing display body
CN109564304B (en) Light diffusion film laminate for reflective display device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964130B1 (en)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00512B1 (en) Producing method for light diffusion film
JP2010501985A (en) Backlight suitable for display devices
KR20120067289A (en) Composition for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and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CN101410730A (en) Structured composite optical films
TW201437693A (en) Light diffusion film and producing method for light diffusion film
TWI613465B (en) Producing method for light diffusion film
JP6309753B2 (en) External light display
KR20120067290A (en) Composition for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and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JP6144170B2 (en) Transflective display
JP2016048290A (en) Polygonal light diffus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8693692B (en) Projection screen
JP6586805B2 (en) Edge light type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198749A (en) Light beam control member
KR102410170B1 (en) Projection screen
JP6227994B2 (en)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CN115053156A (en) Optical film and micro LED display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