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289A -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방성 광확산 필름 - Google Patents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방성 광확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289A
KR20120067289A KR1020110132890A KR20110132890A KR20120067289A KR 20120067289 A KR20120067289 A KR 20120067289A KR 1020110132890 A KR1020110132890 A KR 1020110132890A KR 20110132890 A KR20110132890 A KR 20110132890A KR 20120067289 A KR20120067289 A KR 2012006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light
anisotropic light
diffus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939B1 (ko
Inventor
도모오 오루이
겐타로 구사마
사토루 쇼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Abstract

[과제]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그것을 광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A) 성분으로서의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인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등으로서, (A) 성분의 함유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방성 광확산 필름 {COMPOSITION FOR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AND AN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본 발명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 얻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그것을 광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내부에 마련된 광원(내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이용하여, 소정 화상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근래, 휴대 전화나 차재용(車載用) 텔레비전 등의 보급에 따라, 액정표시화면을 실외에서 볼 기회가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내부 광원으로부터의 광 강도가 외광에 뒤처져버려, 소정 화면을 시인(視認)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용도에 있어서는, 액정표시장치의 내부 광원에 의한 소비 전력이, 전(全) 소비 전력에 대해 큰 비율을 점하기 때문에, 내부 광원을 다용(多用)한 경우, 배터리의 지속 시간이 짧아져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있다.
그래서,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원의 일부로서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라면, 광원의 일부로서 외광을 이용하므로, 외광이 강할수록, 선명한 화상을 인식할 수 있음과 함께, 내부 광원의 전력 소비에 관해서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외광을 효율적으로 투과시켜 액정표시장치의 내부에 취입(取入)하고, 또, 그 외광을 광원의 일부로서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광확산하기 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허문헌1에는, 도 10(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기판(1103)과 하 기판(1107)과의 사이에 액정층(1105)을 끼워 이루어지는 액정셀과, 하 기판(1107)의 측에 마련된 광반사판(1110)과, 액정층(1105)과 광반사판(1110)과의 사이에 마련된 광제어판(이방성 광확산 필름)(1108)을 가진 액정 장치(1112)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산란시킴과 함께 소정 각도 이외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광제어판(1108)이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광제어판(1108)은, 소정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산란하는 방향을 광제어판(1108)의 표면에 투영한 산란축 방향(1121)이, 액정셀 면 내에서 거의 6시 방향의 방향이 되도록 액정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으로서는, 다양한 태양이 알려져 있지만, 특히, 필름면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상의 고굴절률 영역과, 가늘고 긴 판상의 저굴절률 영역을, 서로 평행 배치함으로써, 필름 내에, 광 방향을 제어하거나, 광분산성을 조절하거나 할 수 있는, 루버(louver)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4).
즉, 특허문헌2에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복수 종 함유하는 막상 조성물에 특정 방향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그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고, 특정 각도 범위의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하는 광제어막(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그 조성물에 함유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 복수의 방향환과 1개의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분자 내에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막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3에는, 분자 내에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플루오렌계 화합물(A), 그 플루오렌계 화합물(A)과 굴절률이 다른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B), 및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및 그것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광제어막이 개시되어 있다.
나아가, 특허문헌4에는, 적어도, (A) 일반식(7)으로 표시되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혹은 브롬화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와, (B) 구조 단위 중에 에틸렌성의 불포화 결합을 적어도 1개 이상 함유하는 라디칼 중합성을 갖는 화합물과, (D)화학 방사선에 의해 라디칼 종을 발생하는 광중합 개시제와, (E) 열에 의해 양이온 종을 발생하는 열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온에 있어서, (B) 라디칼 중합성을 갖는 화합물의 굴절률이 (A)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혹은 브롬화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및 (C)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양이온 중합성기를 가진 화합물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pat00001
(일반식(7) 중, R은 수소 원자 혹은 브롬 원자를 나타내고 있고, 반복수 p는 자연수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 특허3480260호공보(특허청구범위) 일본 특개2006-350290호공보(특허청구범위) 일본 특개2008-239757호공보(특허청구범위) 일본 특허3829601호공보(특허청구범위)
그러나, 특허문헌1?4에 개시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은,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의존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도 좁기 때문에,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외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복수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여,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의 폭을 넓히는 시도도 되어 있지만, 화상의 선명도가 저하하거나, 홍채색(모아레 현상)이 나타나거나, 나아가서는, 경제적으로 불리하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예의 노력한 바,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과, 중량평균분자량이 소정의 범위 내의 값인 중합성 화합물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한 후, 광경화함으로써,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 얻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그것을 광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성분으로서의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인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로서, (A) 성분의 함유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이 제공되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일반식(1) 중, R1?R10은, 각각 독립하여 있고, R1?R10 중 적어도 1개는,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원자, 수산기, 카르복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인 치환기이다.)
Figure pat00003
(일반식(2)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탄소수 n은 1?4의 정수이며, 반복수 m은 1?10의 정수이다.)
즉, (A) 성분으로서,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을 함유함과 함께, (B)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소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성분의 중합 속도(예를 들면, 광 라디칼 중합 속도)에 소정의 차를 발생시켜, (A) 성분과, (B) 성분과의 상용성(相溶性)을 소정의 범위로까지 저하시켜, 양 성분끼리가 균일하게 공중합하는 것을 억제하여, 양 성분끼리의 공중합성이 저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광경화시에, (A) 성분의 경화물 및 (B) 성분의 경화물이 서로 연재(延在) 배치되어, 필름면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상의 고굴절률 영역과, 가늘고 긴 판상의 저굴절률 영역이, 서로 평행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루버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이라면,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면 방향」이란, 막두께 방향을 z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x-y 평면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란,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대해, 점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광의 각도를 변화시킨 경우에, 확산 광을 출광하는 것에 대응하는 입사광의 각도 범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이란, 입사광의 광확산이 일어나는 필름에 대한 입사 각도 영역(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과, 광확산이 일어나지 않는 그 밖의 입사 각도 영역과의 사이의 구별이, 명확하게 제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방성」의 의미에 있어서도,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 일반식(1)에 있어서, R2?R9 중 어느 1개가,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광경화시키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 (A) 성분끼리가 배향하여, 결정화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경화의 단계에 있어서, (A) 성분 및 (B) 성분의 미세한 레벨에서의 응집상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 (A)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200?2,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양 성분의 공중합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시켜,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 (A) 성분의 굴절률을 1.5?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보다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A) 성분의 굴절률이란, 광 조사에 따라 경화하기 전의 (A) 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 (B) 성분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 (B) 성분의 굴절률을 1.4?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B) 성분의 굴절률이란, 광 조사에 따라 경화하기 전의 (B) 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 상술한 (A) 성분의 굴절률과, (B)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더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A) 성분 및 (B) 성분의 굴절률이란, 광 조사에 따라 경화하기 전의 (A) 성분 및 (B) 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C) 성분으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함과 함께, 그 함유량을,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해, 0.2?2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 때에, 효율적으로 소정의 루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이, (A) 성분으로서의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인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함과 함께, (A) 성분의 함유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다.
Figure pat00004
(일반식(1) 중, R1?R10은, 각각 독립하여 있고, R1?R10 중 적어도 1개는,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원자, 수산기, 카르복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인 치환기이다.)
Figure pat00005
(일반식(2)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탄소수 n은 1?4의 정수이며, 반복수 m은 1?10의 정수이다.)
즉,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라면, 소정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이루어지므로,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막두께를 10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지 않고, 단층인 채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등에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외광을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표시되는 화상의 선명도가 저하하거나, 홍채색이 나타나거나 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도 1(a)?(b)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루버(louver) 구조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2]도 2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의존성 및 이방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3]도 3(a)?(b)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의존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4]도 4(a)?(c)는, 입사각 및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5]도 5(a)?(c)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개념도이다.
[도 6]도 6(a)?(b)는, 광경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7]도 7(a)?(c)는,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루버 구조의 태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8]도 8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9]도 9는, 실시예1, 3 및 4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과,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도 10(a)?(b)는, 종래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사용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도면이다.
[제1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는, (A) 성분으로서의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인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로서, (A) 성분의 함유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기본 원리
최초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얻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하, 단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라 칭한다.)의 기본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a)에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의 상면도(평면도)가 나타나 있고, 도 1(b)에는, 도 1(a)에 나타내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을, 점선 A-A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도 1(a)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은, 필름면 방향에 있어서, (A) 성분에 유래한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라인상(line 狀)의 판상 영역(12)과, (B) 성분에 유래한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라인상의 판상 영역(14)이 서로 평행 배치된 루버 구조(13)를 비교하고 있다.
또한, 도 1(b)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성분에 유래한 고굴절률의 판상 영역(12)과, (B) 성분에 유래한 저굴절률의 판상 영역(14)은, 각각 소정 두께를 유지하고 있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의 수직 방향에 있어서도, 서로 평행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에 의해 확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루버 구조(13)의 경계면(13')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에 가까운 소정의 범위 내의 각도, 즉,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의 각도인 경우에는, 입사광(52, 54)은, 루버 구조 내의 고굴절률의 판상 영역(12) 내를,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막두께 방향을 따라 통과함으로써, 출광면 측에서의 광의 진행 방향이 같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결과,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에 의해 확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52', 54').
또,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루버 구조의 굴절률 차나 경사각 등에 의해, 그 이방성 광확산 필름마다 결정되는 각도 영역이다.
또한, 루버 구조 내의 고굴절률의 판상 영역(12) 내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방향 변화는, 고굴절률의 판상 영역(12) 내의 굴절률 구배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전 따라 직선상으로 지그재그로 방향 변화하는 스텝 인덱스형의 경우 외, 곡선상으로 방향 변화하는 그래디언트(gradient) 인덱스형이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입사광(56)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에 의해 확산되지 않고, 그대로 투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6').
이상의 기구에 따라, 루버 구조(12, 14)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은,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그 입사각이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출광면 측에 있어서 거의 마찬가지로 광확산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은, 광을 소정 개소(個所)에 집중시키는 집광 작용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이방성」이란,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의 확산된 광(52', 54')과 같이, 광이 필름에 의해 확산된 경우에, 확산된 출사광에 있어서의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서의, 그 광의 확산 상태(확산 광의 퍼짐의 형상)가, 동면(同面) 내에서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성질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의 경우, 주로, 확산된 출사광에 있어서의 필름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필름(10)의 면 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루버 구조의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광이 확산되어, 확산 광의 퍼짐의 형상은 대략 타원상이 된다(52', 54').
또한, 도 3(a)를 사용하여,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과,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즉, 도 3(a)에는, 횡축에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을 취하고, 종축에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를 취하여 이루어지는 특성 곡선이 나타나 있다.
또,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θ1이란,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에 대해 수직으로 입사하는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각도(°)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방성 광확산에 기여하는 입사광의 성분은, 주로 필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루버 구조의 방향에 수직인 성분이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입사광의 「입사각 θ1」이라 한 경우, 필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루버 구조의 방향에 수직인 성분의 입사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입사각 θ1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입사측 표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 θ2란, 문자 그대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가 클수록, 그 때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이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의해 유효하게 확산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가 작을수록, 그 때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이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그대로 투과하여, 확산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관해서는,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한다.
이러한 특성 곡선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라면, 입사각의 차이에 의해, 광의 투과와 확산의 정도가 크게 달라져,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과, 그 이외의 입사 각도 영역을,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지 않는 필름의 경우,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의 변화가 광의 투과와 확산의 정도에 대해 명확한 영향을 주지 않아,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을 인정할 수 없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과, 그 이외의 입사 각도 영역과의 차가 명확하며, 또한,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 및 그것을 얻을 수 있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A) 성분: 비페닐 화합물
(1) 종류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은, (A) 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6
(일반식(1) 중, R1?R10은, 각각 독립하여 있고, R1?R10 중 적어도 1개는,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원자, 수산기, 카르복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인 치환기이다.)
Figure pat00007
(일반식(2)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탄소수 n은 1?4의 정수이며, 반복수 m은 1?10의 정수이다.)
이 이유는, (A) 성분으로서,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A) 성분의 중합 속도를, (B) 성분의 중합 속도보다도 빠르게 하여, 이들의 성분 간에 있어서의 중합 속도에 소정의 차를 발생시켜, 양 성분의 공중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광경화시에,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 및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이 서로 연재한, 소위, 루버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A) 성분으로서,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B) 성분과의 상용성을 소정의 범위로까지 저하시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루버 구조를 더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A) 성분으로서,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을 높게 하여,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소정 이상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A) 성분으로서,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후술하는 (B) 성분의 특성과 함께, 굴절률이 다른 판상 영역이 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R10이,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및 카르복시알킬기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알킬 부분의 탄소수를 1?4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탄소수가 4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A) 성분의 중합 속도가 저하하거나,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이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하여,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소정의 루버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R10이,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및 카르복시알킬기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알킬 부분의 탄소수를 1?3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R10 중에서 선택되는 치환기가, 할로겐화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 이외의 치환기, 즉,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소각 등할 때에, 다이옥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 종래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는, 소정의 루버 구조를 얻음에 있어, 모노머 성분을 고굴절률화할 목적으로, 모노머 성분에 있어서 할로겐 치환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점에서,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이라면, 할로겐 치환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높은 굴절률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라면,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2?R9 중 어느 1개가,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의 위치를, 비페닐환에 있어서의 R1 및 R10 이외의 위치로 함으로써, 광경화시키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 (A) 성분끼리가 배향하여, 결정화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경화의 단계에 있어서, (A) 성분 및 (B) 성분의 미세한 레벨에서의 응집상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같은 관점에서, 일반식(1)에 있어서의 R3, R5, R6 및 R8 중 어느 1개가,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에 있어서의 반복수 m을, 통상 1?10의 정수로 한다.
이 이유는, 반복수 m이 1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중합 부위와, 비페닐환을 잇는 옥시알킬렌쇄가 너무 길어져, 중합 부위에 있어서의 (A) 성분끼리의 중합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에 있어서의 반복수 m을, 1?4의 정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의 정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같은 관점에서,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에 있어서의 탄소수 n을, 통상 1?4의 정수로 한다.
또한, 중합 부위인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위치가, 비페닐환에 대해 너무 가까워서, 비페닐환이 입체 장해로 되고, (A) 성분의 중합 속도가 저하하는 경우도 고려하면,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에 있어서의 탄소수 n을, 2?4의 정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3의 정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3)?(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2) 중량평균분자량
또한, (A) 성분으로서의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을, 200?2,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A) 성분으로서의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후술하는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에 있어서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각각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양 성분의 공중합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광경화시에,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 및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이 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A)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미만의 값으로 되면, 비페닐환의 위치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위치가 너무 가까워지고, 입체 장해에 의해 중합 속도가 저하하여, (B) 성분의 중합 속도에 가까워져, (B) 성분과의 공중합이 일어나기 쉬운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A)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B) 성분과의 분자량의 차가 작아지고, (A) 성분의 중합 속도가 저하하여 (B) 성분의 중합 속도에 가까워져, (B) 성분과의 공중합이 일어나기 쉬워질 것으로 추정되며, 그 결과, 루버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 성분으로서의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을, 240?1,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60?1,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A)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분자의 조성과, 구성 원자의 원자량으로부터 얻어지는 계산값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한, (A)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A) 성분은, 분자 구조나 중량평균분자량이 다른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되지만,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1종류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A) 성분에 있어서의 (B) 성분에 대한 상용성이 낮은 경우, 예를 들면, (A) 성분이 할로겐계 화합물 등의 경우, (A) 성분을 (B) 성분에 상용시키기 위한 제3 성분으로서, 다른 (A) 성분(예를 들면, 비할로겐계 화합물 등)을 병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이러한 제3 성분의 영향에 따라, (A) 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고르지 못하거나, 저하하기 쉬워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B) 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과의 굴절률 차가 불균일하게 되거나, 과도하게 저하하기 쉬워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B) 성분과의 상용성을 갖는 고굴절률인 모노머 성분을 선택하여, 그것을 단독의 (A)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A) 성분으로서의 식(3)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이라면, 저점도이므로, (B) 성분과의 상용성을 갖기 위해, 단독의 (A)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3) 굴절률
또한, (A) 성분으로서의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의 굴절률을 1.5?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A) 성분의 굴절률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A) 성분의 굴절률이 1.5 미만의 값으로 하면, (B)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져, 원하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A) 성분의 굴절률이 1.6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B)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는 크게 나지만, (B) 성분과의 상용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 성분으로서의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의 굴절률을, 1.55?1.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6?1.59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A) 성분의 굴절률이란, 광 조사에 따라 경화하기 전의 (A) 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또한, 굴절률은, 예를 들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4) 함유량
또한, (A) 성분으로서의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의 함유량을, 후술하는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이유는, (A) 성분의 함유량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B) 성분과의 혼합성을 유지하면서도, 광 조사한 경우에는, 양 성분이 공중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 소정의 루버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A) 성분의 함유량이 25중량부 미만의 값으로 하면, (B) 성분에 대한 (A) 성분의 존재 비율이 작아져,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폭이,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폭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작아져,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루버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루버의 길이가 불충분해져, 광확산성을 나타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A) 성분의 함유량이 400중량부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B) 성분에 대한 (A) 성분의 존재 비율이 많아져,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폭이,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폭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커지고, 반대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루버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루버의 길이가 불충분해져, 광확산성을 나타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 성분으로서의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의 함유량을,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40?3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2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B) 성분: 중합성 화합물
(1) 종류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성, 음이온 중합성 및 라디칼 중합성 중 어느 하나인 중합성 화합물이어도 되지만, (A) 성분과 같은 중합계를 이용할 수 있고, 후술하는 (C) 성분도 공용할 수 있으며, 취급이 용이해지는 점에서, 라디칼 중합성의 중합성 화합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의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측쇄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폴리머,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실리콘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이면,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B) 성분으로서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또,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의미한다.
우선,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는, (a)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적어도 2개 함유하는 화합물, (b)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c)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된다.
이 중, (a) 성분인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적어도 2개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나아가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부가체(예를 들면,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3관능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중에서도,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면,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여, 입체 구조 등의 관계에서 각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속도에 차를 마련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a) 성분이 (b) 성분과만 반응하거나, (a) 성분이 (c) 성분과만 반응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여, (a) 성분을, (b) 성분 및 (c) 성분과 확실하게 반응시킬 수 있어, 여분의 부(副)생성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의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 즉, 저굴절률의 판상 영역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면,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여, 얻어지는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과, (A) 성분으로서의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과의 상용성을 소정의 범위로 저하시켜, 루버 구조를 보다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면,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여, 얻어지는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의 굴절률을 작게 할수 있는 점에서, (A) 성분으로서의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 화합물의 굴절률과의 차를 크게 하여, 이방성이 우수한 루버 구조를 더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만 함유하는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이면, (b) 성분 및 (c) 성분과 정량적으로 반응하여, 단일의 (B) 성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인 것을, 특히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 이유는,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성에 유효한 차이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형성하는 성분 중, (b) 성분인 폴리알킬렌글리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헥실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라면, 점도가 낮은 점에서 무용제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라면, (B) 성분을 경화시킬 때에, 당해 경화물에 있어서의 양호한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가 되어,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핸들링성이나 실장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B)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주로, (b)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b)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통상, 2,300?19,500이며, 바람직하게는 4,300?14,3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300?12,300이다.
또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형성하는 성분 중, (c) 성분인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속도를 저하시켜, 소정의 루버 구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관점에서, 특히, 히드록시알킬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a)?(c) 성분에 의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성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a)?(c) 성분의 배합 비율을, 몰비로 (a) 성분:(b) 성분:(c) 성분=1?5:1:1?5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배합 비율로 함으로써, (b) 성분이 갖는 2개의 수산기에 대해 각각 (a) 성분이 갖는 한쪽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하여 결합하고, 나아가 2개의 (a) 성분이 각각 갖는 다른 한쪽의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 (c) 성분이 갖는 수산기가 반응하여 결합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효율적으로 합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c) 성분의 배합 비율을, 몰비로 (a) 성분:(b) 성분:(c) 성분=1?3:1:1?3의 비율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2의 비율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2) 중량평균분자량
또한,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을,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이유는,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A) 성분 및 (B) 성분의 중합 속도에 소정의 차를 발생시켜, 양 성분의 공중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광경화시에,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 및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이 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
즉, (B)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미만의 값으로 하면, (B) 성분의 중합 속도가 빨라지고, (A) 성분의 중합 속도에 가까워져, (A) 성분과의 공중합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결과, 루버 구조를 효율 좋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B)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A) 성분 및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이 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A) 성분과의 상용성이 과도하게 저하하여, 도포 단계에서 (A) 성분이 석출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을, 5,000?15,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0?13,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B)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B) 성분은, 분자 구조나 중량평균분자량이 다른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되지만,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의 고르지 못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1종류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B) 성분을 복수 사용한 경우, (B) 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고르지 못하거나, 높아지거나 하여, (A) 성분에 유래한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과의 굴절률 차가 불균일하게 되거나, 과도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3) 굴절률
또한,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의 굴절률을 1.4?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B) 성분의 굴절률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소정의 루버 구조를 구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B) 성분의 굴절률이 1.4 미만의 값으로 하면, (A)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는 크게 달라지지만, (A) 성분과의 상용성이 극단적으로 악화하여, 루버 구조를 형성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B) 성분의 굴절률이 1.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A)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져, 원하는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의 굴절률을, 1.45?1.49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6?1.48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B) 성분의 굴절률이란, 광 조사에 따라 경화하기 전의 (B) 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또한, 굴절률은, 예를 들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A) 성분의 굴절률과, (B)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굴절률의 차를 소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더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굴절률의 차가 0.01 미만의 값으로 하면, 입사광이 루버 구조 내에서 전반사하는 각도역이 좁아지는 점에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가 과도하게 좁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굴절률의 차가 과도하게 큰 값으로 되면, (A) 성분과 (B) 성분의 상용성이 너무 악화하여, 루버 구조를 형성할 수 없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 성분의 굴절률과, (B)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를, 0.05?0.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0.2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 말하는 (A) 성분 및 (B) 성분의 굴절률이란, 광 조사에 따라 경화하기 전의 (A) 성분 및 (B) 성분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4) 함유량
또한,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을,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전체량 100중량%에 대해, 20?8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B) 성분의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의 값으로 하면, (A) 성분에 대한 (B) 성분의 존재 비율이 작아져,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폭이,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폭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작아져,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루버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루버의 길이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B) 성분의 함유량이 80중량%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A) 성분에 대한 (B) 성분의 존재 비율이 많아져,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폭이,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폭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커지고, 반대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루버 구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루버의 길이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 성분으로서의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을,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전체량 100중량%에 대해, 30?7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6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4. 광중합 개시제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소망에 따라, (C) 성분으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 때에, 효율적으로 소정의 루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광중합 개시제란,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따라, 라디칼 종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말한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er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민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함유량으로서는,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 0.2?2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5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5. 그 밖의 첨가제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중합 촉진제, 중합 금지제, 적외선 흡수제, 가소제, 희석 용제, 및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밖의 첨가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 0.01?5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3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2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2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이, (A) 성분으로서의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인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함과 함께, (A) 성분의 함유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제1의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이러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은, 말할 필요도 없이, 이하의 제조 방법에 따라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준비 공정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준비 공정은, (A) 성분 및 (B) 성분을 함유하는 소정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 성분 및 (B) 성분을 40?80℃의 고온 조건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동시에, 혼합액에 대해, 소망에 따라 (C) 성분 등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한 후, 외관상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면서, 원하는 점도가 되도록, 필요에 따라 희석 용제를 더 가함으로써,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용액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성분의 상세 및 배합 비율 등에 관해서는,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2) 도포 공정
도포 공정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준비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2)에 대해 도포하여 도포층(1)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공정 시트로서는, 플라스틱 필름, 종이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및 폴리이미드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종이로서는, 예를 들면, 글라신지, 코트지, 및 라미네이트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공정 시트에 대해서는, 광경화 후에, 얻어진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공정 시트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공정 시트에 있어서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도포면 측에, 박리층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박리층은,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알키드계 박리제, 올레핀계 박리제 등, 종래 공지의 박리제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공정 시트의 두께는, 통상, 25?2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 시트 상에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이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및 그라비어 코팅법 등, 종래 공지의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또, 이 때, 도포층의 두께를, 100?7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광경화 공정
광경화 공정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도포층을 광경화시켜, 도포층을 이방성 광확산 필름으로 하는 공정이다.
즉,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정 시트(2)의 상에 형성된 도포층(1)에 대해, 조사 각도가 제어된 직접 광만으로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선(50)을 조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상(線狀)의 자외선 램프(25)에 집광용의 콜드 미러(22)가 마련된 자외선 조사 장치(20)(예를 들면, 시판품이라면, 아이그래픽스(주)제, ECS-4011GX 등)에, 열선 컷트 필터(21) 및 차광판(23)을 배치함으로써, 조사 각도가 제어된 직접 광만으로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선(50)을 취출(取出)하여, 공정 시트(2)의 상에 형성된 도포층(1)에 대해, 조사한다.
또, 선상의 자외선 램프는, 도포층(1)을 갖는 공정 시트(2)의 길이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을 기준(0°)으로 하여, 통상 -80?80°의 범위 내의 값, 바람직하게는 -50?50°의 범위 내의 값, 특히 바람직하게는 -30?30°의 범위 내의 값이 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조사광의 조사 각도로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층(1)의 표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조사 각도 θ3을, 통상, -8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조사 각도 θ3이 -80?80°의 범위 외의 값으로 하면, 도포층(1)의 표면에서의 반사 등의 영향이 커져, 충분한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사 각도 θ3은, 1?80°의 폭(조사 각도 폭) θ3'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조사 각도 폭 θ3'가 1° 미만의 값으로 하면, 루버 구조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져,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조사 각도 폭 θ3'가 8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조사광이 지나치게 분산하여,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사 각도 θ3의 조사 각도 폭 θ3'를 2?4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2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선상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선상 광원의 축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평행광이며, 선상 광원의 축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는 비평행한 조사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조사광으로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전자선의 경우, 중합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중합 과정에서 (A) 성분과 (B) 성분이 충분하게 상 분리할 수 없어,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가시광 등과 비교한 경우, 자외선의 쪽이, 그 조사에 따라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나, 사용 가능한 광 개시제의 배리에이션(variation)이 풍부하므로, (A) 성분 및 (B) 성분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외선의 조사 조건으로서는, 조사시의 피크 조도가 0.1?50mW/cm2의 범위 내의 값이 되도록 하고, 또한, 도포층이 충분하게 경화하는 적산광량이 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포층이 충분하게 경화하는 적산광량이 되도록, 다단계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 시트 상에 형성된 도포층을, 0.1?10m/분의 속도로 이동시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한 자외선 조사 부분을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속도가 0.1m/분 미만의 값으로 하면, 양산성이 과도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속도가 10m/분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도포층의 경화, 바꿔 말하면, 루버 구조의 형성보다도 빨라, 도포층에 대한 자외선의 입사 각도가 막두께 방향을 따라 크게 변화해버려, 루버 구조의 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정 시트 상에 형성된 도포층을, 0.2?5m/분의 범위 내의 속도로 이동시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한 자외선 조사 부분을 통과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3m/분의 범위 내의 속도로 통과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경화 공정 후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은, 공정 시트(2)를 박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된다.
2. 막두께
또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10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적층하지 않고, 단층인 채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등에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외광을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표시되는 화상의 선명도가 저하하거나, 홍채색이 나타나거나 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막두께가 100㎛ 미만의 값으로 하면, 필름 내에 형성되는 막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루버 구조의 길이가 과도하게 짧아져, 루버 구조 내를 직진해버리는 입사광이 증가하여, 충분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막두께가 50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조사광을 장시간 조사하게 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거나, 조사광이, 초기에 형성된 루버 구조에 의해 확산해버려, 원하는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13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루버 구조
또한, 도 7(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은,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12)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14)이 서로 연재한 루버 구조를 구비하지만,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12) 및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14)의 각각의 폭(S1, S2)을, 0.1?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폭이 0.1㎛ 미만의 값으로 하면,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관계 없이,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폭이 1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반대로,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관계 없이,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12) 및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14)의 각각의 폭(S1, S2)을, 0.5?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초기 경사각 θ4를, 0?8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초기 경사각 θ4가 8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입사 각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초기 경사각 θ4를 0?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초기 경사각 θ4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 조사 측의 필름면의 법선과 루버와의 형성 각도 중 좁은 측의 각도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기 경사각 θ4는, 필름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루버 구조에 대해 수직인 면으로 필름을 절단한 경우에 있어서 측정되는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를 0°로 한 경우의 판상 영역의 경사각(°)을 의미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 영역이 우측으로 기울어 있을 때의 경사각을 기준으로 하여, 판상 영역이 좌측으로 기울어 있을 때의 경사각을 마이너스로 표기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두께 방향 전체에 루버 구조(막두께 방향 길이 L1)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10)의 상단 부분, 하단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한쪽에 루버 구조 미형성 부분(막두께 방향 길이 L2)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막두께 방향의 길이 L1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의 막두께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50?500㎛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길이가 50㎛ 미만의 값으로 하면, 루버 구조 내를 직진해버리는 입사광이 증가하여, 충분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길이가 50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루버 구조 내를 통과하는 사이에, 광의 반사나 흡수 등의 손실이 발생할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막두께 방향 L1의 길이를, 130?3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루버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상하단 부분의 폭 L2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10)의 막두께에도 따르지만, 일반적으로, 0?200㎛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0㎛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의 범위 내의 값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 구조가 굴곡하여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루버 구조가 굴곡하여 있음으로써, 루버 구조 내를 직진하여버리는 입사광을 감소시켜, 광확산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와 같은 굴곡한 루버 구조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광경화를 행할 때에, 조사광의 조사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A) 성분 및 (B) 성분의 종류에 크게 의존한다.
또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을 1.5?1.7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이 1.5 미만의 값으로 하면,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져, 원하는 이방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이 1.7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B) 성분과의 상용성이 과도하게 낮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을 1.52?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5?1.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굴절률은, 예를 들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을 1.4?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이 1.4 미만의 값으로 하면, 얻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강성(剛性)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이 1.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져, 원하는 이방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을 1.42?1.48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4?1.46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굴절률은, 예를 들면,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는,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굴절률의 차가 0.01 미만의 값으로 하면, 입사광이 루버 구조 내에서 전반사하는 각도역이 좁아지는 점에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가 과도하게 좁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루버 구조에 있어서의 (A)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 (B) 성분에 유래한 판상 영역의 굴절률과의 차를, 0.03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굴절률의 차는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0.1 정도가 상한으로 생각된다.
4. 용도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반사형 액정표시장치(100)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이라면, 외광을 효율적으로 투과시켜 액정표시장치의 내부에 취입하고, 또, 그 광을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은, 유리판(104, 108) 및 액정(106), 및, 경면(鏡面) 반사판(107)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셀(110)의 상면, 혹은 하면에 배치하여, 반사형 액정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광확산판(103)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1. (B) 성분의 합성
용기 내에,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 9,2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1몰에 대해, (a) 성분으로서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2몰, 및 (c) 성분으로서의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2몰를 수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중합시켜, 중량평균분자량 9,900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를 얻었다.
또, PPG 및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하기 조건에 따라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 GPC 측정 장치: 도소(주)제, HLC-8020
? GPC 칼럼 : 도소(주)제(이하, 통과 순으로 기재)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2)
  TSK gel G2000HXL
? 측정 용매 : 테트라히드로푸란
? 측정 온도 : 40℃
2.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제조
이어서, 얻어진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 9,900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A) 성분으로서의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중량평균분자량 268의 o-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주)제, NK에스테르 A-LEN-10) 100중량부와, (C) 성분으로서의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10중량부를 첨가한 후, 80℃의 조건하에서 가열 혼합을 행하여,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A) 성분 및 (B) 성분의 굴절률은, 아베 굴절계(아타고(주)제, 품명: 아베 굴절계 DR-M2, 광원: Na 광원, 파장: 589nm)에 따라, JIS K0062에 준하여 측정했다.
또, 이하에 있어서,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비페닐-1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Figure pat00010
3.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의 도포
이어서, 얻어진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로서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라 칭한다.)에 대해, 애플리케이터(applicator)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막두께 250㎛의 도포층을 얻었다.
4. 도포층의 광경화
이어서,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선상의 고압 수은 램프에 집광용의 콜드 미러가 부속한 자외선 조사 장치(아이그래픽스(주)제, ECS-4011GX)를 준비했다.
이어서, 열선 컷트 필터 화상에 차광판을 설치하고, 도포층의 표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이, 선상의 자외선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때의 도포층 및 PET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법선 방향을 0°로 한 경우에, 램프로부터의 직접의 자외선의 조사 각도(도 6(b)의 θ3이 0?10°의 범위(조사 각도 폭 θ3'=10°)가 되도록 설정했다.
이 때, 도포층으로부터의 램프의 높이는 290mm로 하고, 피크 조도는 9mW/cm2이 되도록 설정했다.
또한, 차광판 등에서의 반사광이, 조사기 내부에서 미광(迷光)이 되어, 도포층의 광경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컨베이어 부근에도 차광판을 마련하여, 램프로부터 직접 발해지는 자외선만이, 도포층에 대해 조사되도록 설정했다.
이어서, 컨베이어를 따라, 도포층을 도 6에 있어서의 우방향으로, 0.2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막두께가 250㎛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었다.
또,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는, 정압 두께 측정기(호세이사쿠쇼(주)제, 테크락 PG-02J)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그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단면을 광학 디지털 현미경(키엔스(주)제)에 의해 관찰한 바, 조사광이 최초로 닿는 필름면 측의 루버 구조의 경사각(초기 경사각)이 6.5°이며, 루버 구조의 막두께 방향의 길이(도 7(b)의 L1)는 200㎛이었다.
5. 평가
(1) 측정에 의한 입사 각도 의존성의 평가
변각 측색계(스가시험기(주)제, VC-2)를 사용하여, 얻어진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하방으로부터, 당해 필름에 대해, 광을 입사시켰다(C 광원, 시야각 2°).
이어서,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된 확산 광의 명도(%)를, 각도 5°마다 측정했다.
이어서, 인접하는 측정 점끼리의 명도의 차가 10% 미만이 되는 양단의 측정 점의 간의 각도 범위를 확산 영역으로 하고, 당해 각도 영역의 각도 폭을,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로 했다.
또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0°의 경우에 있어서의 확산 영역, 당해 확산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의 평균값, 및, 당해 평균값과, 확산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의 최대값 및 최소값과의 차의 절대값을, 각각 표1에 나타낸다.
또한, 입사광의 입사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각각의 입사각에 있어서의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를 측정하여, 당해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가 10° 이상인 것과 같은 입사 각도의 범위를,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으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또,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의 값이 클수록, 그 때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입사광이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의해 유효하게 확산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가 작을수록, 그 때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이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그대로 투과하여, 확산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1, 3 및 4에 대해서, 횡축에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각(°)을 횡축에 취하고,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를 종축에 취하여 이루어지는 특성 곡선을, 각각 도 9에 나타낸다.
또, 예를 들면, 실시예1의 경우와 같이, 특성 곡선 상에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가 10°인 때의 측정 플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특성 곡선(외삽선)과, 확산 광의 벌어짐 각도=10°의 직선과의 교점에 있어서의 입사각(°)의 값으로부터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의 값을 얻었다.
(2) 목시(目視)에 의한 이방성의 평가
(2)-1 광확산성
5인의 패널러(paneler)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정면(확산 방향)으로부터, 당해 필름을 통해, 그 반대 측의 모습을 눈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의 보이는 쪽을, 하기 기준을 따라 평가하여, 목시에 의한 광확산성의 평가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A: 5인 중 5인이, 충분한 불투명성을 갖는다고 판단했다.
B: 5인 중 3?4인이, 충분한 불투명성을 갖는다고 판단했다.
C: 5인 중 3?5인이, 불투명성은 떨어지지만, 불투명성 자체는 갖는다고 판단했다.
D: 5인 중 3?4인이, 불투명성을 갖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E: 5인 중 5인이, 불투명성을 갖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2)-2 광 투과성
5인의 패널러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경사 45°방향(투과 방향)으로부터, 당해 필름을 통해, 그 반대 측의 모습을 눈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의 보이는 쪽을, 하기 기준을 따라 평가하여, 목시에 의한 광 투과성의 평가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 5인 중 5인이, 완전히 투명하고 또한 무착색이라고 판단했다.
○: 5인 중 3?4인이, 완전히 투명하고 또한 무착색이라고 판단했다.
△: 5인 중 3?4인이, 백탁 혹은 황색을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했다.
×: 5인 중 5인이, 백탁 혹은 황색을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했다.
[실시예2]
실시예2에서는, (b) 성분을 중량평균분자량이 실시예1의 경우보다도 작은 PPG로 변경함으로써, (B)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을 6,100으로 변경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3]
실시예3에서는, (b) 성분을 중량평균분자량이 실시예1의 경우보다도 큰 PPG로 변경함으로써, (B)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을 14,500으로 변경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4]
실시예4에서는, (A) 성분의 첨가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60중량부로 하고, (C) 성분의 첨가량을 20중량부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5]
실시예5에서는, (A) 성분의 첨가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150중량부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6]
실시예6에서는, (B) 성분을 합성할 때에, (c) 성분으로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를 사용하고, (C) 성분의 첨가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7]
실시예7에서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500㎛로 한 외는, 실시예6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8]
실시예8에서는, (C) 성분의 첨가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4중량부로 변경함과 함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500㎛로 한 외는, 실시예6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9]
실시예9에서는, (C) 성분의 첨가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중량부로 변경함과 함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500㎛로 한 외는, 실시예6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10]
실시예10에서는, (A) 성분을 하기 식(4)으로 표시되는 중량평균분자량 312의 o-페닐페녹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또, 이하에 있어서, 식(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비페닐-2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Figure pat00011
[실시예11]
실시예11에서는, (A) 성분을 비페닐1 및 비페닐2가 50:50(중량비)인 혼합물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1]
비교예1에서는, (B) 성분을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중량평균분자량: 216)(신나카무라가가쿠(주)제, NK에스테르 A-SA)로 변경하고, (C) 성분의 첨가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로 함과 함께,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500㎛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2]
비교예2에서는, (B)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를 합성할 때에, (c) 성분으로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를 사용함과 함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을 740으로 변경하고, 나아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막두께를 500㎛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3]
비교예3에서는, (A) 성분을 하기 식(5)으로 표시되는 에톡시화비스페놀A형디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주)제, NK에스테르 A-BPE-4)로 변경하고, (C) 성분의 첨가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4중량부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12
[비교예 4]
비교예4에서는, (A) 성분을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신나카무라가가쿠(주)제, NK에스테르 A-BPEF)로 변경하고, (C) 성분의 첨가량을,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4중량부로 한 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13
[표1]
Figure pat00014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의 구조를 갖는 비페닐환 함유 화합물과, 중량평균분자량이 소정의 범위 내의 값인 중합성 화합물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갖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의 투과와 확산에 있어서 양호한 입사 각도 의존성을 가짐과 함께, 광확산 입사 각도 영역이 넓은 이방성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등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광제어막 외, 시야각 제어 필름, 시야각 확대 필름, 나아가서는 프로젝션용 스크린에도 적용할 수 있어, 이들의 고품질화에 현저하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 … 도포층, 2 … 공정 시트, 10 … 이방성 광확산 필름, 12 … (A) 성분에 유래한 비교적 굴절률이 높은 판상 영역, 14 … (B) 성분에 유래한 비교적 굴절률이 낮은 판상 영역, 20 … 자외선 조사 장치, 21 … 열선 컷트 필터, 22 … 콜드 미러, 23 … 차광판, 25 … 선상(線狀)의 자외선 램프, 50(52, 54, 56) … 입사광(활성 에너지선), 100 …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101 … 편광판, 102 … 위상차판, 103 … 광확산판, 104 … 유리판, 105 … 컬러 필터, 106 … 액정, 107 … 경면(鏡面) 반사판, 108 … 유리판, 110 … 액정셀

Claims (10)

  1. (A) 성분으로서의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인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로서,
    상기 (A) 성분의 함유량을, 상기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Figure pat00015

    (일반식(1) 중, R1?R10은, 각각 독립하여 있고, R1?R10 중 적어도 1개는,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원자, 수산기, 카르복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인 치환기이다.)
    Figure pat00016

    (일반식(2)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탄소수 n은 1?4의 정수이며, 반복수 m은 1?1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2?R9 중 어느 1개가, 상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200?2,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의 굴절률을 1.5?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의 굴절률을 1.4?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의 굴절률과, 상기 (B) 성분의 굴절률과의 차를,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C) 성분으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함과 함께, 그 함유량을, 상기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해, 0.2?20중량%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9.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이, (A) 성분으로서의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B) 성분으로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인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함과 함께,
    상기 (A) 성분의 함유량을, 상기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25?40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
    Figure pat00017

    (일반식(1) 중, R1?R10은, 각각 독립하여 있고, R1?R10 중 적어도 1개는,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원자, 수산기, 카르복시기,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인 치환기이다.)
    Figure pat00018

    (일반식(2)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탄소수 n은 1?4의 정수이며, 반복수 m은 1?10의 정수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막두께를 100?5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필름.




KR1020110132890A 2010-12-15 2011-12-12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방성 광확산 필름 KR101883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9584 2010-12-15
JPJP-P-2010-279584 2010-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289A true KR20120067289A (ko) 2012-06-25
KR101883939B1 KR101883939B1 (ko) 2018-08-30

Family

ID=4634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890A KR101883939B1 (ko) 2010-12-15 2011-12-12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방성 광확산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26941B2 (ko)
KR (1) KR101883939B1 (ko)
CN (1) CN102532423B (ko)
TW (1) TWI5195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41B1 (ko) * 2014-10-21 2015-06-29 (주)코앤코 고굴절율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6676B2 (ja) 2012-03-06 2015-12-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093113B2 (ja) * 2012-03-19 2017-03-08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異方性光学フィルム
EP2927714B1 (en) * 2012-11-29 2020-04-01 Tomoegawa Co., Ltd. Anisotropic optical film
JP2014137467A (ja) * 2013-01-16 2014-07-28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US9869803B2 (en) 2013-03-28 2018-01-16 Linte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film, and light diffusion film
US9632217B2 (en) 2013-03-29 2017-04-25 Lintec Corporation Light diffusion films and compositions for preparing the same
WO2014156421A1 (ja) 2013-03-29 2014-10-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および光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082078B2 (ja) * 2015-10-13 2017-02-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7097067A (ja) * 2015-11-19 2017-06-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黄変抑制用層構造及びウィンドウフィルム
US10739501B2 (en) 2016-09-14 2020-08-11 Tomoegawa Co., Ltd. Light diffusion film laminate for reflective display device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674462B (zh) * 2017-09-18 2019-10-11 奇美實業股份有限公司 擴散板與具有所述擴散板的直下式背光模組以及顯示裝置
JP7040959B2 (ja) * 2018-02-21 2022-03-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拡散粘着剤組成物、光拡散粘着剤シート、及び光拡散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
JP7279062B2 (ja) * 2018-09-28 2023-05-22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異方性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導光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用面状照明装置
JP2020134894A (ja) * 2019-02-26 2020-08-3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
JP7414397B2 (ja) * 2019-02-26 2024-01-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483A (ja) * 1996-04-18 1997-10-31 Sumitomo Chem Co Ltd 積層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捩じれネマチック型液晶表示装置
JPH11322868A (ja) * 1998-05-12 1999-11-26 Nippon Kayaku Co Ltd 樹脂組成物、レンズ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3480260B2 (ja) 1997-09-01 2003-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3829601B2 (ja) 2000-02-10 2006-10-04 凸版印刷株式会社 異方性光散乱フィルム用組成物及び異方性光散乱フィルム
KR20060119764A (ko) * 2005-05-17 2006-11-2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광 제어 필름
JP2008239757A (ja) 2007-03-27 2008-10-09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硬化させてなる光制御膜
JP2010060890A (ja) * 2008-09-04 2010-03-18 Dic Corp 光学物品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8693B2 (ja) * 2001-09-17 2012-05-09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制御された散乱・透過特性を有する光学積層体
JP4135940B2 (ja) * 2004-10-20 2008-08-2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異方性拡散媒体
CN1869082A (zh) * 2005-05-17 2006-11-2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控薄膜
KR101207184B1 (ko) * 2008-08-20 2012-11-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휘도 강화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483A (ja) * 1996-04-18 1997-10-31 Sumitomo Chem Co Ltd 積層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捩じれネマチック型液晶表示装置
JP3480260B2 (ja) 1997-09-01 2003-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H11322868A (ja) * 1998-05-12 1999-11-26 Nippon Kayaku Co Ltd 樹脂組成物、レンズ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3829601B2 (ja) 2000-02-10 2006-10-04 凸版印刷株式会社 異方性光散乱フィルム用組成物及び異方性光散乱フィルム
KR20060119764A (ko) * 2005-05-17 2006-11-2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광 제어 필름
JP2006350290A (ja) 2005-05-17 2006-12-28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制御膜
JP2008239757A (ja) 2007-03-27 2008-10-09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硬化させてなる光制御膜
JP2010060890A (ja) * 2008-09-04 2010-03-18 Dic Corp 光学物品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41B1 (ko) * 2014-10-21 2015-06-29 (주)코앤코 고굴절율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19574B (zh) 2016-02-01
JP5926941B2 (ja) 2016-05-25
CN102532423A (zh) 2012-07-04
CN102532423B (zh) 2016-01-06
TW201224023A (en) 2012-06-16
KR101883939B1 (ko) 2018-08-30
JP2012141591A (ja)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941B1 (ko) 광확산 필름 및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20067289A (ko) 이방성 광확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방성 광확산 필름
JP6140081B2 (ja) 異方性光拡散フィルム
JP5324728B1 (ja) 光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拡散フィルム
JP6230670B2 (ja) 異方性光拡散フィルム用組成物および異方性光拡散フィルム
KR102058471B1 (ko) 광확산 필름
WO2014156303A1 (ja) 光拡散フィルム用組成物および光拡散フィルム
JP6126802B2 (ja) 光拡散フィルム
KR101964130B1 (ko) 이방성 광확산 필름 및 이방성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JP5912766B2 (ja) 異方性光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000510B1 (ko)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JPWO2014178231A1 (ja) ディスプレイ用光拡散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130141365A (ko)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3148712A (ja) 光拡散フィルム用組成物および光拡散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