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113A -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 Google Patents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113A
KR20120067113A KR1020100128551A KR20100128551A KR20120067113A KR 20120067113 A KR20120067113 A KR 20120067113A KR 1020100128551 A KR1020100128551 A KR 1020100128551A KR 20100128551 A KR20100128551 A KR 20100128551A KR 20120067113 A KR20120067113 A KR 2012006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node
height
low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완철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8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113A/ko
Priority to PCT/KR2011/008312 priority patent/WO2012081828A2/ko
Publication of KR2012006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Abstract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이 개시된다. 봉재와, 상기 봉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봉재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낮은 마디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낮은 마디 사이 각각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낮은 마디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상기 봉재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높은 마디를 포함하는,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은, 봉재의 표면에 높이가 서로 다른 마디를 형성하여 응력의 균일한 분배와 균열저감 효과를 갖는 동시에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Deformed bar having ribs having different heights}
본 발명은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를 보강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속에 묻어 넣는 강재를 철근이라 하며, 주로 봉강이 사용된다. 철근에는 표면의 요철의 유무에 따라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으로 구분된다. 즉, 원형단면의 봉재의 표면에 돌기가 없는 매끈한 표면으로 된 봉강을 원형철근이라 하며, 원형단면의 봉재의 표면에 리브(rib)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을 이형철근이라고 한다.
이형철근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경계면에서 철근이 축방향으로 활동(滑動)하지 않도록 봉강 표면에 돌기를 두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킨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형철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형철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형철근의 마디면적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종래의 이형철근(100)은 원형 단면의 봉강(102)에 봉강(102)의 축방향으로 복수 개의 리브(106)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봉강(102)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마디(104)가 일정 간격으로 봉강(102)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이형철근(100)의 마디(104)의 높이 및 인접 마디(104)와 간격은 한국산업규격(Korean Industrial Standard)에서 규정되어 있고 이는 외국의 규격에서도 유사하다. 종래의 이형철근(100)의 마디(104)의 높이는 한국산업규격(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의 규정에서 철근의 직경에 따라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형철근(100)이 콘크리트(108)에 묻혀서 정착될 때, 이형철근(100)의 부착강도는 콘크리트(108) 피복의 쪼갬 파괴(splitting failure)에 대한 저항력과 마디와 접촉되고 있는 콘크리트(108) 사이에 국부 전단파괴(local shear failure)로 인한 뽑힘(pullout)에 대한 저항력으로 구성된다. 이형철근의 부착강도는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커질수록, 또한 마디높이가 높을수록 대체로 증가 한다. 철근마디의 영향으로 부착강도는 마디면적비(relative rib area), 즉 전단면적(shearing area)에 대한 지압면적(bearing area)의 비에 관계된다고 본다.
마디면적비(Rr)이란 철근의 축에 대한 수직 면적을 철근의 마디와 마디의 중심간 거리에 둘레를 곱한 면적을 나눈 비로 나타나는 식이다(식 1). 즉, 철근의 지압면적을 전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지압면적이란 철근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뽑힘 파괴에 저항하는 면적을 말하며, 전단면적이란 쪼갬 파괴에 저항하는 면적을 말하는 것이다.
[식 1]
Figure pat00001

식 1은 식 2로 간략히 표시할 수 있다.
[식 2]
Figure pat00002

최근 미국 ACI() 408 위원회에서는 높은 마디면적비를 갖는 철근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할 경우의 정착길이 설계기준을 제시하였다. 높은 마디면적비를 갖는 철근이라는 것은 마디면적비(Rr)가 0.10 ~ 0.14 사이의 범위로 개선시켜 제작한 철근으로, 종래의 이형철근에 비해 마디높이가 높다.
높은 마디면적비를 갖는 철근에 대한 연구는 0.10 < Rr < 0.14 범위에서 Rr값이 증가 할수록 부착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마디면적 증가로 종래의 이형철근에 비해 부착강도가 증가하였지만 전단 파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Rr > 0.14 범위에서 부착강도 증가는 미약하고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높은 마디면적비를 갖는 철근이 종래의 이형철근에 비해서는 부착강도가 증가되지만 마디면적에 단순 비례하지 않는 점에 착안하고, 나아가 부착강도 증진을 위해 기존 철근이 갖는 한계를 극복 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이형철근과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에 묻히는 철근의 정착길이나 철근 간의 이음길이가 짧아질 수 있는데, 종래의 규격에 따른 철근의 부착력의 한계로 인해 정착길이 및 이음길이가 길어지고 이로 인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장력 철근을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종래의 규격에 따른 철근의 부착력의 한계로 인해 정착길이 및 이음길이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로 인해 자원 낭비뿐만 아니라 철근 정착부위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근의 정착에 필요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가 얇은 경우 길어진 정착길이 또는 이음길이로 인해 철근의 과밀을 초래하여 콘크리트 타설 등 공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봉재의 표면에 높이가 서로 다른 마디를 형성하여 높은 부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봉재와; 상기 봉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봉재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낮은 마디;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낮은 마디 사이 각각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낮은 마디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상기 봉재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높은 마디를 포함하는,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이 제공된다.
봉재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낮은 마디의 높이는, 상기 원형의 단면의 직경(D)에 0.04를 곱한 값(0.04D)이상 상기 원형의 단면의 직경(D)에 0.1를 곱한 값(0.1D)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높은 마디의 높이는 상기 낮은 마디의 높이의 2배 이하일 수 있다.
마디면적비(Rr)은 상기 높은 마디의 마디면적비(Rr1)와 상기 낮은 마디의 마디면적비(Rr2)의 합으로 결정되며, 상기 마디면적비(Rr)는 0.1 내지 0.14일 수 있다.
상기 봉재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봉재의 표면에 높이가 서로 다른 마디를 형성하여 응력의 균일한 분배와 균열저감 효과를 갖는 동시에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향상을 통해 정착길이 또는 이음길이를 줄일 수 있어 소요 철근을 줄여 공사비를 감축할 수 있고, 짧아진 정착길이를 통해 철근의 밀집도를 줄여 콘크리트의 타설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형철근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형철근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이형철근의 마디면적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마디면적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파괴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마디면적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파괴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이형철근(10), 봉재(12), 높은 마디(14), 낮은 마디(16), 리브(18), 높은 마디의 높이(H), 마디 간격(S), 낮은 마디의 높이(h), 봉재의 직경(D)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10)은, 봉재(12)와, 봉재(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봉재(12)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낮은 마디(16) 및 서로 인접하는 낮은 마디(16) 사이 각각의 중앙에 위치하고, 낮은 마디(16)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봉재(12)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높은 마디(14)를 포함하여, 응력의 균일한 분배와 균열 저감 효과를 갖는 동시에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더 높게 발휘할 수 있다.
봉재(12)는 선형의 긴 막대 형태로 강재, 고장력 강재, 섬유보강복합체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봉재(12)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강재를 재질로 원형의 단면을 가진 봉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높은 마디(14) 및 낮은 마디(16)는 봉재(12)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이형철근(10)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경우 콘크리트와의 경계면에서 봉재(12)의 축방향으로 활동(滑動)되지 않도록 한다. 높은 마디(14)는 봉재(12)의 표면에 후술할 낮은 마디(16)의 높이 보다 크게 돌출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경우 큰 부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낮은 마디(16)는 봉재(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봉재(12)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높은 마디(14)와 더불어 콘크리트(20)에 철근이 매립된 경우 봉재(12)의 축방향으로 활동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 횡방향이라 하면 봉재(12)의 축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거나, 축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룬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도 9 참조).
높은 마디(14)는, 서로 인접하는 낮은 마디(16)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낮은 마디(16)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봉재(12)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높은 마디(14)의 높이(H)는 낮은 마디의 높이(h) 보다 크게 형성되어 콘크리트에 대해 큰 부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마디(16)는 봉재(12)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며, 높은 마디(14)는 서로 인접하는 낮은 마디(16) 사이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다. 즉, 낮은 마디(16)과 높은 마디(14)는 봉재(12)의 축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봉재(12)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낮은 마디(16)의 높이(h)는 한국산업규격(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의 규정을 따를 수 있다. 한국산업규격(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를 따를 경우, 낮은 마디(16)의 높이(h)는 원형의 단면의 직경(D)에 0.04를 곱한 값(0.04D)이상 원형의 단면의 직경(D)에 0.1를 곱한 값(0.1D)이하의 값을 갖는다. 이 경우, 높은 마디(14)의 높이(H)는, 낮은 마디(16)의 높이(h)보다 크되, 낮은 마디(16)의 높이(h)의 2배 이하의 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재(12)가 원형의 단면을 갖고, 공칭지름의 호칭이 D19인 경우 낮은 마디(16)의 최소 높이는 공칭지름의 4%, 최대 높이는 공칭지름의 10%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10) 제조 시 낮은 마디(16)의 높이(h)가 결정되면, 높은 마디(14)의 높이(H)은 낮은 마디(16)의 높이보다 크되, 결정된 낮은 마디(16)의 높이의 2배 이하로 결정하게 된다.
봉재(12)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높은 마디(14) 및 낮은 마디(16)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며, 이외에 사각형 등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마디 간격(S)은, 봉재(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낮은 마디(16) 사이 중앙에 높은 마디(14)가 존재하게 되므로, 봉재(12)의 전 길이에 걸쳐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디면적비 Rr는 0.1 내지 0.14로 제안한다. 마디면적비는 높은 마디의 마디면적비(Rr1)와 낮은 마디의 마디면적비(Rr2)의 합으로 정의된다. 즉, 마디면적비 Rr은 아래의 [식 3]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식 3]
Figure pat00003

도 6을 참조하면, 높은 마디(14)의 마디면적비는 서로 인접하는 높은 마디(14) 간의 전단면적에 대한 높은 마디(14)의 지압면적의 비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식 4]와 같다. 그리고, 낮은 마디(16)의 마디면적비는 서로 인접하는 낮은 마디(16) 간의 전단면적에 대한 낮은 마디(16)의 지압면적의 비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식 5]와 같다.
[식 4]
Figure pat00004

[식 5]
Figure pat00005

따라서, [식 3]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마디면적비는 간략히 [식 6]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식 6]
Figure pat00006

한편, 봉재(12)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리브(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브(18)는 축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봉재(12)의 축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두 개의 리브(18)가 형성된다.
리브(18)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면적을 보다 넓게 하고 높은 마디(14) 및 낮은 마디(16)를 상호 지지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파괴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형철근(100)의 파괴양상을 나타내고, 도 7의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높은 마디면적비를 갖는 철근(100')의 파괴양상을 나타내며, 도 7의 (c)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도 4의 10)의 파괴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α1, α2, α3은 각각 지압각을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한국산업규격에 따라 실제 제작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형철근(100)의 마디면적비(Rr)를 [식 1]에 의해 산출해 보면, Rr값이 0.06에서 0.085 범위에 있으며, 높은 마디면적비를 갖는 철근(100') 및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10)에 비해 낮은 부착강도를 발휘하게 된다. 이때, 마디(104) 선단에서 시작되는 파단면(110)과 봉재(102)의 축방향이 이루는 각도, 즉 지압각(α1)은 대체로 작으나 쐐기 작용으로 쪼갬 파괴를 유발시켜 소정의 부착강도를 갖는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미국 ACI() 408 위원회의 제안에 따라 제작된 높은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100')의 마디면적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형철근(100)의 마디면적비(Rr)보다 커서, Rr 값이 0.10에서 0.14 범위에 있으며 높은 부착강도를 발휘하게 된다. 이때, 마디(104') 선단에서 시작되는 파단면(110')은 인접한 마디(104')로 쉽게 이어진다. 파단면(110')과 봉재(102')의 축방향이 이루는 각도, 즉 지압각(α2 )은 더욱 작아지며 쐐기 작용으로 쪼갬 파괴를 유발시키지만 낮은 소정의 부착강도를 갖는다. 이 경우, 마디(104')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을 경우, 지압각(α2) 더욱 작아지며 부착에 대한 저항력도 낮고, 뽑힘 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며 따라서 부착강도 증가가 크지 않다. 즉,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큰 높은 마디(104')로만 이루어진 높은 마디면적비를 갖는 철근(100')을 사용하는 경우 부착강도 증가에 한계를 갖는다.
반면, 도 7의 (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낮은 마디(16)의 높이는 한국산업규격을 따르나, 높은 마디(14)의 높이는 낮은 마디(16)의 높이의 2배 이하로서, [식 3] 내지 [식 5]에 의해 산정된 마디면적비(Rr) 값이 0.1 ~ 0.14에 있는 철근이다. 부착 파괴 시에 높은 마디(14)의 선단에서 파단이 시작하여 봉재(12)의 축방향으로 진행되며 낮은 마디(16)에 도달되며, 이 때 낮은 마디(16)의 높이가 낮으므로 높은 마디(14)로부터 시작되는 파단면(17)이 작지만 상대적으로 비교적 큰 지압각(α3)을 형성한다. 이 때, 큰 지압각(α3)을 갖는 쐐기의 작용으로 높은 부착강도가 발휘된다. 즉, 뽑힘 파괴가 일어나지 않아 부착 저항력이 높아진다. 이 경우의 지압각(α3)은 높은 마디면적비를 갖는 철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지압각(α3)을 유지하여 부착 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높게 된다. 즉,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마디(14)와 낮은 마디(16)로 이루어진 이형철근으로 Rr 값이 0.1 ~ 0.14 범위일 때, 뽑힘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최적의 높은 부착강도를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봉재(12), 높은 마디(12), 낮은 마디(14), 리브(18)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이형철근은 봉재(12)의 축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두 개의 리브(18)를 기준으로 도면 상의 위쪽과 아래쪽의 마디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면 상의 리브(18)를 기준으로 위쪽의 낮은 마디(16)가 봉재(12)의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인접한 낮은 마디(16) 사이에 높은 마디(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상의 리브(18)를 기준으로 아래쪽의 낮은 마디(16)가 위쪽의 낮은 마디(16)와 이격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인접한 낮은 마디(16) 사이에 높은 마디(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이형철근은 높은 마디(14) 및 낮은 마디(16)가 봉재(12)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어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 이형철근 12 : 봉재
14 : 높은 마디 16 : 낮은 마디
18 : 리브 20 : 콘크리트
H : 높은 마디의 높이 S : 마디 간격
h : 낮은 마디의 높이 D : 원형 단면의 직경

Claims (4)

  1. 봉재와;
    상기 봉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봉재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낮은 마디;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낮은 마디 사이 각각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낮은 마디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상기 봉재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높은 마디를 포함하는,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낮은 마디의 높이는, 상기 원형의 단면의 직경(D)에 0.05를 곱한 값(0.04D)이상 상기 원형의 단면의 직경(D)에 0.1를 곱한 값(0.1D)이하이며,
    상기 높은 마디의 높이는 상기 낮은 마디의 높이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3. 제2항에 있어서,
    마디면적비(Rr)은 상기 높은 마디의 마디면적비(Rr1)와 상기 낮은 마디의 마디면적비(Rr2)의 합으로 결정되며,
    상기 마디면적비(Rr)는 0.1 내지 0.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KR1020100128551A 2010-12-15 2010-12-15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KR20120067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551A KR20120067113A (ko) 2010-12-15 2010-12-15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PCT/KR2011/008312 WO2012081828A2 (ko) 2010-12-15 2011-11-02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551A KR20120067113A (ko) 2010-12-15 2010-12-15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113A true KR20120067113A (ko) 2012-06-25

Family

ID=4624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551A KR20120067113A (ko) 2010-12-15 2010-12-15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67113A (ko)
WO (1) WO201208182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344B1 (ko) * 2014-08-29 2015-07-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부착력 강화 이형철근
RU2814133C1 (ru) * 2023-11-07 2024-02-2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Евраз Объединенный Западно-Сибирс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Арматурный стержень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профил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0017U (ko) * 1981-05-28 1982-12-02
JPH0376922U (ko) * 1989-11-28 1991-08-01
KR20010003162A (ko) * 1999-06-21 2001-01-15 최병근 이형철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38811A (ko) * 2003-10-23 2005-04-29 문은석 이형철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344B1 (ko) * 2014-08-29 2015-07-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부착력 강화 이형철근
WO2016032143A1 (ko) * 2014-08-29 2016-03-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부착력 강화 이형철근
RU2814133C1 (ru) * 2023-11-07 2024-02-2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Евраз Объединенный Западно-Сибирс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Арматурный стержень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профил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1828A2 (ko) 2012-06-21
WO2012081828A3 (ko)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9147B2 (ja) スペーサを有する鋼補強帯片を備える組積造
CN104452978B (zh) 一种提前预留于薄墙内的梁筋锚固套筒及其施工方法
KR101885735B1 (ko) 상현재 보강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
KR10159447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이들의 결합구조
JP2008111228A (ja) ひび割れ抑制構造及びひび割れ抑制方法並びに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
KR20120067113A (ko) 높이가 다른 마디를 갖는 이형철근
KR101854160B1 (ko)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US20200200297A1 (en)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s and Structures
CN110158829B (zh) 一种装配式叠合楼板
US20190048601A1 (en) Lift anchor for precast concrete component
KR101540344B1 (ko) 부착력 강화 이형철근
CN211899070U (zh) 一种剪力墙结构
KR10119530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교량 신축이음부용 보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교량 신축이음부
JP6499421B2 (ja) 剪断補強筋及び鉄筋組立体
CN214364438U (zh) 一种多锚固点钢丝钢纤维
CN109518591B (zh) 钢筋
KR102089575B1 (ko)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KR101613430B1 (ko) 앵커형 frp층이 구비된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9498B1 (ko) 데크구조체 및 바닥구조체
JP6829799B2 (ja) 鉄筋
CN212248876U (zh) 一种高强度的预制板
KR101358639B1 (ko)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연속화 공법
JP6853463B2 (ja) 鉄筋
KR100511411B1 (ko) 건설용 합성 데크플레이트
KR101644620B1 (ko)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