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589A - 검출 스위치 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검출 스위치 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589A
KR20120066589A KR1020110131305A KR20110131305A KR20120066589A KR 20120066589 A KR20120066589 A KR 20120066589A KR 1020110131305 A KR1020110131305 A KR 1020110131305A KR 20110131305 A KR20110131305 A KR 20110131305A KR 20120066589 A KR20120066589 A KR 2012006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rd
housing
movable contac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츠지
데츠키 와타나베
마르틴 리에메이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2006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94Coupling devices with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f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Abstract

접촉 시에 와이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소형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큰 헤르츠 스트레스를 얻을 수 있고, 접촉신뢰성이 높은 검출스위치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검출스위치구조는 서로 접촉하는 금속제의 고정콘택트 및 금속제의 가동콘택트로 이루어진다. 피검출체가 가동콘택트에 계합한 때에, 가동콘택트가 구동되어 가동콘택트와 고정콘택트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고정콘택트와 가동콘택트의 접촉은 고정콘택트의 코너부와 가동콘택트의 일면, 또는 고정콘택트의 일면과 가동콘택트의 코너부가 접촉함으로써 달성된다. 커넥터는 검출스위치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검출 스위치 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Detection switch structur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로 접촉하는 금속제의 고정콘택트 및 금속제의 가동콘택트로 이루어지는 검출 스위치 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메모리카드나 SIM(가입자 식별모듈)카드 등의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커넥터 등에 있어서는 그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스위치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카드삽입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스위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접점부재를 갖는 카드 소켓이 개시되어 있다. 이 카드 소켓에 있어서는 카드를 카드 소켓 내에 삽입하면 카드의 선단 코너부가 일방의 접점부재의 사면부(斜面部; 경사진 면부)에 당접한다. 그리고 당해 일방의 접점부재가 변위하여 이 접점부재의 제1접점이 타방의 접점부재의 제2접점과 와이핑접촉하고, 검출 스위치가 ON이 된다. 이에 따라 카드의 삽입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절연성 하우징의 내부에 배설되는 스위치 기구를 갖는 스위치부착 동축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스위치 기구는 접속판 및 전환용수철에 의해 구성된다. 접속판은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서 연장되는 평판상 접촉부와, 고정부에서 연장되는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는다.
또한 전환용수철은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서 연장되는 탄성아암부와, 탄성아암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에 접촉하는 접촉편과, 고정부에서 연장되는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전환용수철의 접촉편은 상대핀이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때에 접속판의 평판상 접촉부에 접촉한다. 또한 전환용수철의 접촉편은 상대핀이 하우징 내에 삽입되면 상대핀에 의해 접촉편이 접속판의 평판상 접촉부로부터 떨어지고,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특허문헌 3에는 검출 스위치를 갖는 메모리카드 및 SIM카드용 취부 소켓이 개시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는 소켓본체를 상하로부터 사이에 두는 상측 금속하우징 및 하측 금속하우징 플레이트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는 상측 금속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탄성절곡편과, 하측 금속플레이트에서 연장하여 탄성절곡편에 접촉하는 수직접촉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절곡편은 메모리카드 또는 SIM카드가 소켓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때에, 수직접촉돌기에 접촉하고 있다. 당해 카드가 소켓 내에 삽입되면 카드에 의해 탄성절곡편이 상방으로 변위하여 수직접촉돌기로부터 떨어져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드의 삽입이 검출된다.
일본특허공개 2002-32462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6-6628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8-299854호 공보
그러나 이들 종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카드 소켓,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스위치부착 동축 커넥터,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메모리카드 및 SIM카드용 취부 소켓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카드 소켓의 경우, 카드 삽입의 검출 시에 일방의 접점부재의 제1접점이 타방의 접점부재의 제2접점에 와이핑 접촉하므로 양 접점부재의 변위량을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카드 소켓의 치수의 축소화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스위치부착 동축 커넥터의 경우, 전환용수철의 접촉편과 접속판의 평판상 접촉부와의 접촉은 당해 접촉편의 판두께 방향을 따른 선과 평판상 접촉부의 면과의 선-면접촉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시에 있어서의 헤르츠 스트레스(Hertz stress)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헤르츠 스트레스가 낮으면 접촉편과 평판상 접촉부와 접촉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접촉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이 접촉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접촉편의 판두께를 크게 하는 등 접촉편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커넥터 자체의 크기가 커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촉편에 의한 접촉력을 크게 한 상태에서 접촉편을 하우징에 지지한 경우, 리플로어 납땝 접속 시에 하우징이 응력완화하면 하우징의 변형이 커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접촉편에 의한 하중을 내려도 접촉편과 접촉부와의 접촉력을 확보하기 위해 헤르츠 스트레스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메모리카드 및 SIM카드용 취부 소켓의 경우도 탄성 휨편과 수직접촉돌기와의 접촉은 탄성 절곡편의 면과 수직접촉돌기의 면 또는 선과의 면-면 또는 면-선 접촉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접촉 시에서의 헤르츠 스트레스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접촉시에 와이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소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큰 헤르츠 스트레스를 얻을 수 있고, 접촉신뢰성이 높은 검출스위치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검출스위치구조는, 서로 접촉하는 금속제의 고정콘택트 및 금속제의 가동콘택트를 구비하고, 피검출체가 상기 가동콘택트에 계합한 때에, 상기 가동콘택트가 구동되어 상기 가동콘택트와 상기 고정콘택트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는 검출스위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콘택트와 상기 가동콘택트의 접촉은 상기 고정콘택트의 코너부와 상기 가동콘택트의 일면, 또는 상기 고정콘택트의 일면과 상기 가동콘택트의 코너부가 접촉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커넥터는 청구항 1 기재의 검출스위치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콘택트가 상기 피검출체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콘택트가 상기 하우징에 취부되어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금속제의 쉘에서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3에 관계되는 커넥터는 청구항 2 기재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뻗는 대략 구형 형상을 갖고; 상기 고정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판상의 고정부와, 해당 고정부의 폭방향 측부로부터 폭방향 외측 및 대각선 상방으로 연장하는 고정접촉편부를 갖고; 상기 쉘은 하우징의 상면을 덮고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부와, 해당 평면부의 폭방향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측면을 덮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가동콘택트는 상기 쉘의 측면부에서 폭방향 대각선 내측으로 연장하는 외팔보 형상의 가동접촉편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콘택트와 상기 가동콘택트의 접촉은 상기 고정접촉편부의 코너부와 상기 가동접촉편부의 일면이 접촉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 중 청구항 4에 관계되는 커넥터는 청구항 3기재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콘택트는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접촉편부의 코너부는 금속판을 타발한 전단면의 코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검출스위치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에 의하면, 고정콘택트와 가동콘택트와의 접촉은 일방의 콘택트의 코너부와 타방의 콘택트의 일면이 접촉함으로써 달성되므로 고정콘택트와 가동콘택트와의 접촉 시에 와이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면접촉이 달성되어 큰 헤르츠 스트레스가 얻어지고, 접촉신뢰성이 높은 검출스위치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관계되는 검출스위치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카드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며, 카드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저면도이며, 카드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7]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8]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9]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0]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1] 도 5에 있어서의 11-11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 도 5에 있어서의 12-1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도 1에 나타낸 커넥터에 있어서의 검출스위치구조의 상세를 나타내고, (A)는 평면측에서 본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14] 도 7에 있어서의 화살표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 도 12에 있어서의 화살표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6] 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7] 검출스위치구조의 작용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모식적 평면도, (B)는 카드가 삽입된 후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1)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고, 메모리카드, SIM카드 등의 카드(피검출체)C를 수용한다. 커넥터(1)가 카드(C)를 수용함으로써 카드(C)와 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이 달성된다.
커넥터(1)는 절연성 하우징(10)과 금속제의 복수의 콘택트(20)와, 금속제의 쉘(30)과 검출스위치구조(40)와 캠기구(70)와 카드추출 검출스위치구조(8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듯이 전측(도 2에 있어서의 하측)에서 카드(C)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폭방향(도 2 및 도 5에서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구형(矩形)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카드(C)의 삽입안내면(12)을 내측에 갖는 좌측벽(11)을 갖는다. 하우징(10)을 덮는 쉘(30)(평면부31)과 하우징(10)과의 사이에 카드 삽입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카드(C)를 카드 삽입공간(13) 내에 삽입하는 때에 카드(C)의 좌측면을 좌측벽(11)의 삽입안내면(12)이 안내하고, 카드(C)의 우측면을 쉘(30)의 측면부(32)의 내측이 안내한다.
복수의 콘택트(20)는 도 3, 도 4, 도 5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하우징(10)의 전방측에 있어서 하우징(10)의 폭방향을 따라 2열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콘택트(20)는 카드(C)의 이면에 설치된 도전패드(C1;도 3참조)에 접촉하는 접촉부(21)와, 회로기판 상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콘택트(20)는 도전성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카드(C)가 카드 삽입공간(13)에 삽입되면, 카드(C)의 이면에 설치된 도전패드(C1)에 접촉부(21)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한 쉘(30)은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하우징(10)에 취부된다. 쉘(30)은 하우징(10)의 상면을 덮는 평면부(31)와, 하우징(10)의 폭방향 양측면을 덮는 한 쌍의 측면부(32)와, 하우징(10)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33)를 구비하고 있다. 평면부(31)는 하우징(10)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뻗는다. 각 측면부(32)는 평면부(31)의 폭방향 각 측면에서 하방으로 뻗는다. 또한 후면부(33)는 평면부(31)의 전후방향 후면에서 하방으로 뻗어 있다. 쉘(30)은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평면부(31)의 전방좌단에는 후술하는 캠기구(70)의 캠로드(미도시)를 상방에서 누르는 외팔보 형상의 캠로드 누름편(35)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검출스위치구조(40)는 카드(C)가 하우징(10)의 카드 삽입공간(13) 내에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커넥터(1)의 후방우측부에 배치된다. 이 검출스위치구조(40)는 도 4 및 도 1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가 카드 삽입공간(13) 내에 삽입되지 않은 때에, 서로 접촉하는 금속제의 고정콘택트(50) 및 금속제의 가동콘택트(60)으로 구성된다. 카드(C)가 카드 삽입공간(13) 내에 삽입되면, 도 17(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콘택트(60)가 구동되어 가동콘택트(60)와 고정콘택트(50)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카드(C)의 삽입이 완료된 것이 검출된다. 여기서 고정콘택트(50)와 가동콘택트(60)와의 접촉은 도 13(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콘택트(50)의 코너부(53)와 가동콘택트(60)의 일면(62a)이 접촉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고정콘택트(50) 및 가동콘택트(60)의 상세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콘택트(50)는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드(insert mold)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콘택트(50)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고정부(51)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51)는 하우징(10)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뻗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콘택트(50)는 도 13(A), (B)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51)의 폭방향측부에서 폭방향 외측방향, 나아가 대각선 상방으로 뻗는 고정접촉편부(52)를 갖고 있다. 그리고 고정접촉편부(52)의 선단은 금속판을 타발한 때의 전단면(54)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전단면(54)에서 고정접촉편부(52)의 상면에 걸쳐 경사면(5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면(54)에 형성되는 4개의 코너 중, 후측하부의 코너가 가동콘택트(60)의 가동접촉편부(61)의 일면(62a)에 접촉하는 코너부(5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동콘택트(60)는 도 7, 도 13(A), (B),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듯이 쉘(30)의 측면부(32)에서 후방으로 뻗는 외팔보 형상의 가동접촉편부(61)를 갖고 있다. 이 가동접촉편부(61)는 자유상태로 측면부(32)에서 후방으로 뻗는 후방연출부(61a)와, 후방연출부(61a)의 후단에서 폭방향 대각선 내측으로 뻗는 접촉아암부(61b)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아암부(61b)의 하부둘레에는 고정콘택트(60)의 코너부(53)에 접촉하는 일면(62a)이 있는 접촉돌기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돌기부(62)의 일면(62a)은 접촉돌기부(62)의 내측에 존재한다. 가동접촉편부(61)의 접촉아암부(61b)의 선단에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삽입공간(13)으로의 카드(C)의 삽입이 완료된 때에 카드(C)의 직선상 측면에 접촉하는 만곡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기구(70)는 이른바 푸쉬-푸쉬작용에 의한 카드의 배출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공지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이 카드추출 검출스위치구조(80)는 하우징(10)의 카드 삽입공간(13) 내에 삽입된 카드(C)를 추출할 때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다. 카드추출 검출스위치구조(80)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커넥터(1)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카드추출 검출스위치구조(80)는 쉘(30)의 후면부(33)에서 뻗는 제1스위치편(81)과, 카드(C)를 추출하는 때에 제1스위치편(81)에 접촉하는 제2스위치편(82)을 구비하고 있다. 제2스위치편(82)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카드(C)의 카드 삽입공간(13) 내로의 삽입이 완료되어 있는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스위치편(82)은 제1스위치편(81)로부터 떨어져 있다. 카드(C)를 추출하는 때에 카드(C)를 후방으로 압압하면 제2스위치편(82)은 제1스위치편(81)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카드의 추출 상태가 검출된다.
다음으로 도 17(A), (B)를 참조하여 검출스위치구조(40)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가 카드 삽입공간(13)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가동콘택트(60)를 구성하는 접촉돌기부(62)의 일면(62a)이 고정콘택트(50)의 코너부(53)에 접촉한다. 일면(61a)과 코너부(53)과의 접촉력은 가동접촉편부(61)의 탄성력에 의해 담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검출스위치구조(40)의 스위치는 온이며, 카드(C)의 삽입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고정콘택트(50)와 가동콘택트(60)의 접촉은 고정콘택트(50)의 코너부(53)와 가동콘택트(60)의 일면(62a)이 접촉함으로써 달성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정콘택트(50)와 가동콘택트(60)와의 접촉 시에 와이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면접촉이 달성되어 큰 헤르츠 스트레스를 얻을 수 있고, 접촉신뢰성이 높은 검출스위치구조(4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는 검출스위치구조(40)를 갖고, 고정콘택트(50)가 카드(C)를 수용하는 하우징(10)에 고정되며, 가동콘택트(60)가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금속제의 쉘(3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신뢰성이 높은 검출스위치구조(40)를 갖는 커넥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콘택트(50)는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하우징(10)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판상의 고정부(51)와, 고정부(51)의 폭방향측부에서 폭방향외측방향 그리고 대각선 상방으로 연장하는 고정접촉편부(52)를 갖는다. 한편, 가동콘택트(60)는 쉘(30)의 측면부(32)에서 폭방향 대각선 내측으로 연장하는 외팔보 형상의 가동접촉편부(61)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콘택트(50)와 가동콘택트(60)의 접촉은 고정접촉편부(52)의 코너부(53)와, 가동접촉편부(61)의 일면(62a)과의 접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너부(53)와 일면(62a)의 접촉을 달성하는 고정콘택트(50) 및 가동콘택트(60)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동콘택트(60)가 외팔보 형상의 가동접촉편부(61)를 가지므로, 고정콘택트(50)의 코너부(53) 및 가동콘택트(60)의 일면(62a)의 접촉 시에서의 확실한 접촉력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고정콘택트(50)는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고정접촉편부(52)의 코너부(53)는 금속판을 타발한 전단면(54)의 코너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접촉편부(52)의 코너부(53)를 고정콘택트(60)의 성형 시에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콘택트(50) 및 가동콘택트(60)의 접촉상태로부터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가 카드 삽입공간(13) 내에 삽입된다. 그러면 카드(C)의 전단코너둘레에 형성된 만곡면이 가동콘택트(60)의 가동접촉편부(61)를 구성하는 접촉아암부(61b)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접촉아암부(61b)가 가동접촉편부(61)의 후방연출부(61a)의 후단에서 폭방향 대각선 내측으로 연장하고, 카드 삽입공간(13) 내에 돌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카드(C)의 삽입이 진행되면 접촉아암부(61b)가 카드(C)의 만곡면을 따라 폭방향 외측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접촉돌기부(62)의 일면(62a)이 고정콘택트(50)의 코너부(53)으로부터 떨어지고, 가동콘택트(60)와 고정콘택트(50)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검출스위치구조(40)의 스위치는 오프가 되고, 카드(C)의 삽입이 검출되게 된다.
더욱이 카드(C)의 삽입이 진행되어 카드(C)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콘택트(60)의 만곡부(63)가 카드(C)의 직선상 측면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의 만곡부(63)의 카드(C)의 측면에 대한 접촉력은 가동접촉편부(61)의 탄력에 의해 담보되고 있다.
또한 카드(C)를 카드 삽입공간(13) 내에 삽입한 때에는 카드(C)의 이면에 설치된 도전패드(C1)가 각 콘택트(20)의 접촉부(21)에 접촉하고, 각 콘택트(20)를 통해 카드(C)와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한편, 카드(C)를 카드 삽입공간(13)으로부터 추출할 때에는 카드(C)를 삽입완료상태로부터 일단 후측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의 작용에 의해 카드(C)가 전방으로 부세(付勢)되고, 이에 따라 카드(C)를 카드삽입 공간(13)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 카드(C)의 추출 과정에 있어서, 가동콘택트(60)는 카드(C)의 삽입과정과 반대의 동작을 한다. 카드(C)의 추출이 완료된 때에는 가동콘택트(60)를 구성하는 접촉돌기부(62)의 일면(62a)이 고정콘택트(50)의 코너부(63)에 다시 접촉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스위치구조(40)는 카드(C)의 삽입을 검출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커넥터에 감합(嵌合)하는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검출하는 것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검출스위치구조(40)는 하우징 및 쉘을 갖는 커넥터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피검출체가 가동콘택트에 계합한 때에 가동콘택트가 구동되어 가동콘택트와 고정콘택트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면 좋다.
또한 고정콘택트와 가동콘택트의 접촉은 고정콘택트의 일면과 가동콘택트의 코너부가 접촉함으로써 달성되어도 좋다.
1 : 커넥터
10 : 하우징
30 : 쉘
31 : 평면부
32 : 측면부
40 : 검출스위치구조
50 : 고정콘택트
51 : 고정부
52 : 고정접촉편부
53 : 코너부
54 : 전단면
60 : 가동콘택트
61 : 가동접촉편부
62a : 일면
C : 카드(피검출체)

Claims (4)

  1. 서로 접촉하는 금속제의 고정콘택트 및 금속제의 가동콘택트를 구비하고, 피검출체가 상기 가동콘택트에 계합한 때에, 상기 가동콘택트가 구동되어 상기 가동콘택트와 상기 고정콘택트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는 검출스위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콘택트와 상기 가동콘택트의 접촉은 상기 고정콘택트의 코너부와 상기 가동콘택트의 일면, 또는 상기 고정콘택트의 일면과 상기 가동콘택트의 코너부가 접촉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스위치구조.
  2. 제1항 기재의 검출스위치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콘택트가 상기 피검출체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콘택트가 상기 하우징에 취부되어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금속제의 쉘에서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구형 형상을 갖고,
    상기 고정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판상의 고정부와, 해당 고정부의 폭방향 측부로부터 폭방향 외측방향 및 대각선 상방으로 연장하는 고정접촉편부를 갖고,
    상기 쉘은 하우징의 상면을 덮어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부와, 해당 평면부의 폭방향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측면을 덮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가동콘택트는 상기 쉘의 측면부에서 폭방향 대각선 내측으로 연장하는 외팔보 형상의 가동접촉편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콘택트와 상기 가동콘택트의 접촉은 상기 고정접촉편부의 코너부와 상기 가동접촉편부의 일면이 접촉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콘택트는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접촉편부의 코너부는 금속판을 타발한 전단면의 코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10131305A 2010-12-14 2011-12-08 검출 스위치 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KR20120066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8433A JP5727776B2 (ja) 2010-12-14 2010-12-14 検出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コネクタ
JPJP-P-2010-278433 2010-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89A true KR20120066589A (ko) 2012-06-22

Family

ID=4619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305A KR20120066589A (ko) 2010-12-14 2011-12-08 검출 스위치 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65309B2 (ko)
JP (1) JP5727776B2 (ko)
KR (1) KR20120066589A (ko)
CN (1) CN1027097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1719B2 (ja) * 2012-07-02 2017-02-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US9275260B2 (en) * 2013-02-20 2016-03-01 Molex, Llc Low profile connector
JP5798214B2 (ja) * 2013-06-17 2015-10-2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カードソケットのための接触端子
JP5852056B2 (ja) 2013-06-28 2016-02-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
JP2016131110A (ja) 2015-01-14 2016-07-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
JP1552812S (ko) * 2015-11-03 2016-06-27
JP1553611S (ko) * 2015-11-03 2016-07-11
JP1553879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5S (ko) * 2015-11-06 2016-06-27
KR101797654B1 (ko) * 2015-11-30 2017-11-15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KR101847457B1 (ko) * 2016-07-11 2018-04-10 교세라커넥터프로덕츠코리아(주) 카드 커넥터
CN106532301A (zh) * 2016-12-21 2017-03-22 池州信安电子科技有限公司 存储卡连接座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5311A (en) * 1996-12-17 2000-01-1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tact configuration for smart card reader
JP3288277B2 (ja) * 1997-09-16 2002-06-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4230036B2 (ja) * 1998-12-25 2009-02-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DE10051693A1 (de) * 2000-10-18 2002-05-02 Amphenol Tuchel Elect Smartcard-Connector sowie Schaltkontaktelement, insbesondere für einen Smartcard-Connector
FR2821988A1 (fr) * 2001-03-09 2002-09-13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pour cartes a memoire electronique a grande capacite de stockage
JP2002342629A (ja) 2001-05-16 2002-11-29 Nec Soft Ltd 在庫管理システムおよび在庫管理方法
JP4220446B2 (ja) 2004-08-27 2009-0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4469805B2 (ja) * 2006-03-06 2010-06-02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KR101349639B1 (ko) * 2007-06-04 2014-01-0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일체형 감지스위치를 갖는 메모리카드 및 sim카드장착소켓
US7416428B1 (en) * 2007-10-25 2008-08-2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JP2009104968A (ja) * 2007-10-25 2009-05-14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09756B (zh) 2016-02-03
JP5727776B2 (ja) 2015-06-03
US20120149224A1 (en) 2012-06-14
US8465309B2 (en) 2013-06-18
CN102709756A (zh) 2012-10-03
JP2012129028A (ja)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6589A (ko) 검출 스위치 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CN108306131B (zh) 可动连接器
US8690608B2 (en) Special USB plug having different structure from standard USB plug and USB receptacle matable with the special USB plug
EP2821939B1 (en) SIM card connector
US8109794B2 (en) Contact, and card adaptor and car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8864524B2 (en) Connector
US6947767B2 (en) Card holding structur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576853B2 (en) Switch exhibition non-unidirectional displacement
KR101738396B1 (ko) 커넥터 단자
JP461207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6081719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9876295B2 (en) Electric connector
US9431743B2 (en) Connector
KR101080689B1 (ko)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US7547220B1 (en) Memory card connector
US20120238114A1 (en) Card Connector
JP5400864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JP2014216278A (ja) カードコネクタ
US7159773B2 (en) Card connector having switch contacts
CN218677616U (zh) 电子卡座
JP2017045678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389233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TWI394323B (zh) Card connector device
TWM477689U (zh) 卡用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