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689B1 -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689B1
KR101080689B1 KR1020090100799A KR20090100799A KR101080689B1 KR 101080689 B1 KR101080689 B1 KR 101080689B1 KR 1020090100799 A KR1020090100799 A KR 1020090100799A KR 20090100799 A KR20090100799 A KR 20090100799A KR 101080689 B1 KR101080689 B1 KR 10108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rd
protrusion
projection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367A (ko
Inventor
히로히사 다카노
앗스시 사토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2Maintenance of line connectors, e.g. clea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택트가 소형인 경우에 있어서도 컨택트와 IC카드의 신호단자 사이에 위치하여 있는 이물을 제거함으로써 컨택트를 신호단자로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IC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컨택트(30)의 자유단부(33)의 IC카드(80) 측의 면에 IC카드가 수납케이스(C) 내에 장착할 때에 IC카드의 신호단자(81)에 접촉하는 접촉용 돌출부(35)와 접촉용 돌출부보다 IC카드의 인출방향에 위치하고 자유단부(33)가 자유상태일 때에 접촉 충돌부의 정점위치보다 IC카드 측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또 접촉용 돌출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컨택트의 폭 방향으로 뻗는 제거용 돌출부(34)를 구비한다.
IC카드용 커넥터

Description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CONNECTOR FOR IC-CARD}
본 발명은 아이씨 카드 신호단자에 접촉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컨택트를 구비하는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휴대전화)에 접속하는 SIM카드(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등의 평판상의 아이씨 카드(이하, IC카드)를 떼고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의 일측 단면이 열려져 있고 또 하면에 회로기판을 고정한 수납케이스와, 수납케이스 내부에 설치한 상기 회로기판과 도통하는 복수의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IC카드를 수납케이스 내에 완전히 삽입하면 IC카드의 표면에 설치한 신호단자가 수납케이스 내에 설치한 컨택트에 접촉하기 때문에 IC카드의 신호단자와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IC카드용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개구가 크고 컨택트 또는 IC카드의 신호단자 표면에 이물(예를 들면, 먼지, 기판가스, 사람의 기름기 등)이 부착한 상태에서 양자를 접촉시키려고 하면 접촉불량이 생겨버린다.
그래서 종래 IC카드용 커넥터에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일본 특개2004-111061호 공보)의 컨택트에 형성된 돌조부(突條部)를 상기 컨택트의 표면에 형성하 고 해당 돌조부를 IC카드용 커넥터 등의 평판 위의 신호단자에 대하여 접촉시켰다. 이와 같이 하면, 돌조부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돌조부와 신호단자 사이에 집중하중이 발생하기 때문에 컨택트를 신호단자에 접촉시킨 때에 돌조부에 의하여 이물이 제거되는 가능성이 높게 된다.
종래의 IC카드용 커넥터(및 IC카드)는 비교적 대형이었기 때문에 컨택트도 크고, 그런 이유로 컨택트가 가지는 탄성력도 컸다. 그렇기 때문에 컨택트에 상기와 같은 돌조부(접촉부)를 형성함으로써 IC카드의 신호단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근년 IC카드용 커넥터의 소형화(박형화)가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컨택트도 종래에 비하여 소형화되어 있고, 그의 탄성력이 낮아져 있다. 또한 소형화에 의해 컨택트 접촉부의 폭 치수가 좁게 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돌조부를 컨택트에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돌조부가 이물의 위로 올라타버리는 우려가 크고 특히 대형의 이물(예를 들면, 섬유가루, 티끌, 기판가스 등)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2(일본 실개평6-45284호 공보) 및 특허문헌3(일본 특개 2002-100440호 공보)에는 다른 타입의 IC카드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의 커넥터는 컨택트의 자유단부를 각각 독립하여 탄성변형 가능한 3개의 팻지로 분할하고 있다. 이 컨택트의 자유단부를, 예를 들면 이물이 부착되어 있고 IC카드의 신호단자에 접촉시키면, 이물에 맞닿아있는 팻지는 신호단자에 접촉하지않는 것의 나머지 팻지의 신호단자에 접촉하기(특허문헌2의 도 3 참조) 때문에, 컨택트와 신호단자는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한편, 특허문헌3의 커넥터는 컨택트의 자유단부를 2갈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컨택트의 자유단부를 이물이 부착하여 있는 IC카드의 신호단자에 접촉시키면 2갈래 부분의 한쪽 팻지가 이물에 맞닿는다 하여도(신호단자에 접촉하지 않을 때에도), 다른 쪽의 팻지는 신호단자에 접촉하기 때문에 컨택트와 신호단자는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그러나, 특허문헌2, 3의 어느 것도 이물의 크기(폭)가 컨택트의 자유단부보다 큰 경우는 컨택트의 자유단부(접촉부) 전체와 신호단자 사이에 이물이 끼어지기 때문에 컨택트의 자유단부를 신호단자에 접촉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즉, 컨택트의 자유단부와 신호단자의 접촉상태가 양호하게 되는가 아닌가는 이물의 크기나 부착위치에 의하여 좌우되어 버린다(확률적인 문제로 된다).
또한 근년의 IC카드용 커넥터와 같이 컨택트가 작은(폭이 좁은)경우는 컨택트의 자유단부의 각 팻지의 강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부주의한 IC카드의 끼우고 빼기 조작등에 의한 충돌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소성변형을 일으켜서, 컨택트가 신호단자에 대하여 접촉불능으로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택트가 소형인 경우에 있어서도 컨택트와 IC카드의 신호단자 사이에 위치하여 있는 이물을 제거함으로써 컨택트를 신호단자에 확실히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IC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IC카드용 커넥터는 표면에 신호단자를 가진 IC카드를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수납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IC카드 쪽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만곡단면 형상을 이루고, 또 상기 수납케이스에 삽입한 IC카드의 신호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 하는 자유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지지한 상기 끼우고 빼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컨택트를 가지는 IC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IC카드 측의 면에는 상기 IC카드가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신호단자로 접촉하고 측면 형상이 상기 자유단부와 대략 같은 만곡형상을 이루는 접촉용 돌출부와, 이 접촉용 돌출부보다 상기 IC카드의 인출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자유단부가 자유상태일 때에 상기 접촉용 돌출부의 정점위치보다 상기 IC카드 측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면서 상기 접촉용 돌출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서 상기 컨택트의 폭 방향으로 뻗어있는 제거용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용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제거용 돌출부에 접속하여 있는 것도 좋다.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IC카드 측의 면에, 한 쌍의 상기 접촉용 돌출부를 상기 컨택트의 폭 방향으로 간주를 가지고 나란히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한 쌍의 상기 접촉용 돌출부 사이에 이 접촉용 돌출부의 상기 제거용 돌출부 측의 단부로부터 다른 측의 단부측으로 맞은 편에 따라 상기 자유단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량이 서서히 작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제거용 돌출부가, 양단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가 대량 동일하고, 또 중앙부가 상기 양단부보다 상기 접촉용 돌출부에 반대측으로 위치하여도 좋다.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IC카드 측의 면에 상기 제거용 돌출부로부터 상기 접촉용 돌출부와 반대측으로 항하여 상기 자유단부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서서 히 감소하면서 뻗는 안내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에 신호단자를 가진 IC카드를 수납케이스에 삽입하면, IC카드의 표면(신호단자 이외의 부분)은 컨택트가 자유단자에 있을 때 제거용 돌출부보다도 IC카드 측에 위치하는 접촉용 돌출부에 접촉한다. 그러하면, 컨택트의 자유단부가 IC카드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기 때문에 제거용 돌출부가 IC카드 측으로 미소이동하여 제거용 돌출부와 IC카드와의 표면거리가 좁아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대로 IC카드를 더욱 삽입하면 제거용 돌출부와 IC카드의 신호단자 사이의 미소간극에 의하여 양자의 한 쪽에 부착되어 있는 큰 이물(예를 들면, 섬유가루, 티끌, 기판가스 등)이 제거된다. 또한 신호단자에 부착되어있는 작은 이물(예를 들면, 사람의 기름기, 피막형태의 이물 등)은 접촉용 돌출부와 신호단자 사이에 발생한 집중하중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신호단자는 청정한 상태로 접촉용 돌출부에 대하여 확실히 접촉한다.
또한, 제거용 돌출부는 접촉용 돌출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에 걸쳐서 컨택트의 폭 방향으로 뻗어있기 때문에 접촉용 돌출부에 영향을 주는 가능성이 있는 전체의 큰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나, IC카드를 수납케이스에 수납한 후에 큰 이물이 수납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수납케이스내로 침입하였다 하여도 제거용 돌출부에 의하여 이들 이물이 신호단자와 접촉용 돌출부의 대항면에 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2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거용 돌출부에 의하여 제거된 큰 이물이 제거된 직후에(제거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신호단자에 접촉용 돌출부가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용 돌출부와 신호단자에 의해 확실히 도통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촉용 돌출부를 신호단자에 보다 확실히 접촉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4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컨택트의 원래로 되는 급수판의 판두께가 얇은 경우에 있어서도 스탬핑 성형에 의해 제거용 돌출부와 접촉용 돌출부를 소망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거용 돌출부에 의해 큰 이물을 컨택트의 폭 방향으로 제거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IC카드를 커넥터에 삽입할 때 생기는 IC카드의 단부와 제거용 돌출부 사이의 충돌력(이상한 클릭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각 방향은 도면의 화살표를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도 1에 도시한 휴대단말(A)에 내장(고정)하는 것이며, 큰 구성요소로서, 인슐레이터(15), 컨택트(30), 셀(60) 및 트레이(60)를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15)는 절연성 또는 내열성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한 것이다. 저판부(16)의 상면의 좌우 양측부는 중앙부에 비하여 일단만큼 낮고 또 전후 방향으 로 뻗은 지지편 안내 오목부(17, 18)로 되어있다(지지편 안내 오목부(17)에 비하여 지지편안내 오목부(18)가 폭이 넓다). 또한 저판부(16)의 후방측의 좌우 양측부에는 저부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저판부(16)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대략 수직한 측벽(20)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측벽(20)의 외측면에는 각각 3개의 걸어맞춤 돌기(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판부(16)의 전후의 좌우 양단부 근방에는 측벽(20)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있는 대략 수직한 전부(前部) 스토퍼(22)가 좌우 한 쌍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저판부(16)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뻗은 3개의 긴 구멍(23)이 관통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인슐레이터(15)의 저판부(16)의 내부에는 상기 사출성형시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3본의 컨택트의 후부가 고정(매설)되어 있다. 컨택트(30)는 스탬핑 성형으로 얻어진 기재(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 코르손계 동합금)상에 하지도금(예를 들면, 니켈(Ni) 도금)을 실시한 후 마무리 도금(예를 들면, 금도금, 주석(Sn)-동(Cu)도금, 주석(Sn)-납(Pb)도금)을 실시하여 제조한 일체물이며 모두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지고 있다. 각 컨택트(30)의 후단에 형성한 테일부(31)는 저판부(16)의 후단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각 컨택트(3)의 전반부는 앞으로 경사진 상방향으로 향하여 뻗어있고 또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스프링 형상단자(32)로 되어있으며, 각 스프링형상 단자(32)는 저판부(16)의 3개의 긴 구멍(23)을 통하여 저판부(16)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형상 단자(32)의 전단부인 자유단자(33)는 상방으로 향하여 돌출된 단 면형상(측면형상)이 만곡현상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자유단부(33)의 상면에 정점위치(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위치)보다 약간 후방에는 컨택트(30)의 폭 방향에 직선적으로 뻗은 제거용 돌출부(30)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유단부(33)의 상면에는 제거용 돌출부(34)의 양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향하게 뻗은 자유단부(33)와 대략 같은 만곡형상이고 좌우 한 쌍인 접촉용 돌출부(35)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접촉용 돌출부(35)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형상 단자(32)(자유단부(33))가 자유상태인 때에 제거용 돌출부(3)는 접촉용 돌출부(35)의 정점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자유단부(33) 상면의 좌우의 접촉용 돌출부(35)의 후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평면형상의 경사면(36) 상면과 연속하여 있고, 경사면(36)은 제거용 돌출부(39)로부터 전방으로 맞은 편에 따라 그의 높이(자유단부(33)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량)가 서서히 낮게 되며, 그의 단부는 자유단부(만곡면)에 접속하여 있다. 자유단부(33)는 폭이 좁고, 또 제거용 돌출부(34) 및 접촉용 돌출부(35)를 스탬핑에 의해 국부적으로 돌출하도록 성형하기 때문에, 특히 컨택트 기재가 얇은 경우는 재료의 늘어남이 불충분하게 되고, 소망의 형상으로 형성하기 어렵다(최악은 구멍이 열린다). 그러나 제거용 돌출부(34) 및 접촉용 돌출부(35)와 자유단부(33)의 상면을 서서히 연결하여 경사면(36)을 형성함으로써 스탬핑에 의한 재료의 더메지(국부적으로 변형하는 개소)가 작게 되어 신장율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용 돌출부(34) 및 접촉용 돌출부(35)를 정밀도 높게 성형할 수 있다.
셀(4)은, 예를 들면 인청동이나 스테인리스에 의해 성형한 부재이다. 셀(40) 은 인슐레이터(15)와 대략 같은 평면형상이고, 인슐레이터(15)의 상면을 막는 천정부(41)와 천정부(4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늘어지는 좌우 한 쌍의 측판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천정부(41)와 측판부(42)에 걸친 부분에는 각 각 3개의 걸림구멍(44)이 전후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판부(42)의 후단에는 대략 수평한 테일부(45)가 안쪽으로 돌출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천정부(41)의 앞 가장자리에는 좌우 한 쌍의 테일부(4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 테일부(45, 46)의 표면에는 Su-Cu(주석 동)이나 금 도금되어 있다.
셀(40)의 천정부(41)를 인슐레이터(15)의 상부에 덮으면 인슐레이터(15)의 좌우의 3개 걸어맞춤 돌기(21)가 좌우의 걸림구멍(44)의 아래 가장자리에 맞물리고, 또한 좌우의 테일부(45)가 인슐레이터(15)에 대응하는 저부 절결부(19)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하여 서로 일체화한 인슐레이터(15)와 셀(40)로 되는 수납케이스(C)는 휴대단말(A)의 내부에 고정한 회로기관(도시생략)상의 회로패턴에 각 컨택트(30)의 테일부(31)를 납땜하고, 또 셀(40)의 테일부(45)와 테일부(46)를 상기 회로기관의 접지패턴이나 고정용 패턴에 납땜함으로써 상기 회로기관에 고정된다. 그러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단말(A)의 이면에 오목하게 설치한 배터리 수납부(B)(도 1에서는 배터리수납 오목부(B)로부터 배터리와 배터리 수납부(B)의 개구를 덮는 뚜껑을 떼어내고 있다)의 앞벽에 형성한 부착구멍 내에 수납 케이스(C)가 위치한다.
트레이(6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한 것이다. 트레이(60)는 후단부 를 구성하고, 또 그의 좌단부에 절결부(62)가 형성된 조작용 단부(61)와 조작용 단부(61)와 지지편(63)과 지지편(64)의 사이에는 노출용 개구(6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64)은 지지편(63)에 비하여 폭이 넓고 또 지지편(63)은 인슐레이터(15)의 좌측의 지지편안내 오목부(17)와 대략 같은 폭이며, 지지편(64)은 인슐리에터(15)의 우측의 지지편안내 오목부(18)와 대략 같은 폭이다.
조작용 단부(61), 지지편(63) 및 지지편(64)의 상면에는 IC카드(80)와 대략 같은 평면 형상이고 대략 같은 높이(IC카드(80)에서 판 두께보다 약간 높다)의 재치용 오목부(67)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조작용 단부(61)의 상면의 우단부에는 재치용 오목부(67)와는 독립한 삼각형상의 인출용 오목부(68)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60)의 후단부의 좌우 양측부에는 이 부분보다 전방의 부분에 비하여 외측으로 나아간 측부 스토퍼(69)가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60)에서 측부 스토퍼(69)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좌우의 측벽(20)의 내면 사이의 치수보다 작기 때문에 수납케이스(C)의 후단개구(삽입용 개구)에서 수납케이스(C) 내로 삽입 가능하지만, 트레이(60)의 후단부(측부 스토퍼(69)를 형성한 부분)의 좌우폭은 좌우의 측벽(20)의 내면 사이의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수납케이스(C) 내로 삽입이 불가능하다. 지지편(63) 및 지지편(64)의 전단면에는 전단 돌출부(70)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60)는 수납케이스(C)를 상기 회로기관에 납땜한 후에 수납케이스(C)의 후단개구로부터 수납케이스(C)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수납케이스(C)에 맞붙어진다. 트레이(6)를 수납케이스(C)에 맞붙이면 지지편(63)이 지지편안내 오목부(17)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짐과 동시에 지지편(64)이 지지편안내 오목부(1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또한, 인슐레이터(15)에서 지지편안내 오목부(17)와 지지편안내 오목부(18)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지지편안내 오목부(17) 및 지지편안내 오목부(18)보다 일단으로 높은 부분)가 노출용 개구(65)내에 위치한다.
수납케이스(C)와 일체화한 트레이(60)는 수납케이스(C)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즉 좌우의 측부 스토퍼(69)의 전단면이 셀(40)의 후단면의 좌우양측부에 각각 맞닿는 수납위치(도 1 ~ 도 3의 위치와, 트레이(60)가 수납케이스(C)로부터 후방으로 크게 인출된 인출위치(도 4, 도 5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커넥터(10)에 IC카드를 장착하려면, 먼저 제조현장의 작업자나 커넥터(10)를 탑재한 휴대단말(A)을 구입한 유저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위치에 위치하는 트레이(60)의 인출용 오목부(68)에 도시를 생략한 봉상부재들(예를 들면, 펜)의 단부를 걸어맞추고 이 봉상부재를 후방으로 잡아당기어서 트레이(60)을 인출위치하게 슬라이드 시킨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카드(80)를 트레이(60)의 재치용 오목부(67)에 재치하면, IC카드(80) 하면에 설치한 3개의 신호단자(도 4 참조)가 노출용 개구(65)를 통하여 트레이(60)의 하방으로 노출한다.
이어서, 트레이(60)의 조작용 단부(61)를 전방으로 누르면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카드(80)의 전단면이 각 컨택트(30)의 제거용 돌출부(34)에 접근 하고, IC카드(80)의 전단부(82)(도 10 참조)가 자유단부(33)의 상면의 후부(제거용 돌출부(34)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부분)에 맞닿은 후 제거용 돌출부(34)에 맞닿음으로써 자유단부(33)를 약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스프링형상 단자(32)를 하방으로 향하여 약간 탄성변형시킨다). 그래서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카드(80)의 하면(신호단자(81)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접촉용 돌출부(35)의 상면으로 올라탐으로써 자유단부(33)를 더욱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스프링형상 단자(32)를 더욱 하방으로 향하여 더욱 탄성변형 시키면), 제거용 돌출부(34)의 상단과 IC카드(80)의 신호단자(8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미소간극이 더욱 좁아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가령 제거용 돌출부(34)의 상면 또는(및) 신호단자(81)의 하면에 큰 이물(예를 들면, 섬유가루, 티끌, 기판가스등)가 부착되어 있다 하여도, 이들의 이물은 제거용 돌출부(34)의 상단과 신호단자(81) 사이의 미소간극을 통해 빠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제거된다(제거용 돌출부(34) 후방으로 비산한다).
게다가, 제거용 돌출부(34)는 한 쌍의 접촉용 돌출부(35)가 위치하는 영역보다도 긴 범위에 걸쳐서 컨택트의 폭 방향으로 뻗어있기 때문에 접촉용 돌출부(35)에 영향을 주는 가능성이 있는 큰 이물은 전부 제거된다.
그렇기 때문에, 제거용 돌출부(34)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접촉용 돌출부(35)에는 큰 이물이 제거된 신호단자(81)(IC카드(8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가 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한 쌍의 접촉용 돌출부(35)는 제거용 돌출부(34)보다 폭이 좁기 때문에 한 쌍의 접촉용 돌출부(35)에 신호단자(81)가 접촉하면 양자사이에 큰 집중하중이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가령 신호단자(81)(또는 접촉용 돌출부(35))에 (제거용 돌출부(34)의 상단과 신호단자(81) 사이의 미소간극보다 작은) 작은 이물(예를 들면, 사람의 기름기, 피막형상의 이물)이 부착하여있다 하여도 이 작은 이물은 해당 집중하중에 의해서 접촉용 돌출부(35)의 측방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한 쌍의 접촉용 돌출부(35)는 청정한 상태에서 신호단자(81)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로기관과 IC카드(80)가 확실히 전기적으로 도통하기 때문에 트레이(60)가 수납위치에 도달하면 휴대단말(A)에 내장한 상기 회로기관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어부(도시생략)가 IC카드(80)로 입력이 완료된 데이터를 읽어드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IC카드(80)를 커넥터(10)로부터 빼낼 때에는 상기와 같은 수순으로 트레이(60)를 인출위치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트레이(60)에 수납되어 있는 IC카드(80)는 절결부(62)에서는 하측으로도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등으로 집어내는 것이 가능하며, 커넥터(10)로부터 용이하게 꺼내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 의하면, 제거용 돌출부(34)에 의하여 큰 이물을 제거하고, 또 접촉용 돌출부(35)에 의하여 작은 이물을 제거하면서, 접촉용 돌출부(35)를 신호단자(81)에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접촉용 돌출부(35)와 신호용 단자(81)를 확실히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령 IC카드(80)를 수납케이스(C) 내에 삽입한 후에 큰 이물이 수납케이스(C)의 후반 개구부로부터 수납케이스(C) 내로 침입한다 하여도 이 이물이 신호단자(81)와 접촉용 돌출부(35)의 대항면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거용 돌출부(34)가 방지하기 때문에 이 이물에 의하여 접촉용 돌출부(35)와 신호단자(81) 사이에 접촉불량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제거용 돌출부(35)에 의하여 제거된 큰 이물이 제거된 바로 다음에 (제거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신호단자(81)에 접촉용 돌출부(35)와 제거용 돌출부(34)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접촉용 돌출부(35)와 신호단자(81)를 확실히 도통시키는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IC카드는 제조상의 문제로부터 두께의 공차가 커서, 예를 들면 두께 0.76mm에 대하여 공차 ±0.08mm라면, 20% 이상의 두께의 편차가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10)는 공차 상한의 두께를 가진 IC카드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빼낼 수 있는 치수 설정을 행하면서 공차 하한의 두께의 IC카드에 대하여도 안정한 접촉성능을 얻도록 설계를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두께 공차 하한의 IC카드(80A)를 삽입하면, IC카드(80A)와 수납케이스(C) 내부의 상하 양면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IC카드(80A)를 삽입한 경우는 IC카드(80A)의 하면(신호단자(81))과 접촉용 돌출부(35)에 접촉한 때에 스프링형상 단자(32)의 탄성변형량은 IC카드(80)를 삽입한 경우에 비하여 약간 작게 된다. 따라서 IC카드(80A)의 하면(신호단자(81))과 제거용 돌출부(34) 사이에 형성된 미소간극은 IC카드(80)를 삽입한 경우에 비하여 약간 크게된다.
한편,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공차 상한의 IC카드(80b)를 삽입하면, IC카드(80b)와 수납케이스(C) 내부의 상하 양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작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IC카드(80b)를 삽입한 경우는, IC카드(80b)의 하면(신호단 자(81))이 접촉용 돌출부(35)에 접촉했을 때의 스프링형상 단자(32)의 탄성변형량은 IC카드(80)를 삽입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약간 크게 된다. 따라서 IC카드(80b)의 하면 (신호단자(81))와 제거용 돌출부(34) 사이에 형성된 미소간극은 IC카드(80)를 삽입한 경우에 비하여 약간 작게 된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단부와 이것보다 후방부분 사이에 굴곡점을 형성하지 않는 형상의 컨택트에 제거용 돌출부와 접촉용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단, 굴곡점이 없는 컨택트에서는 제거용 돌출부 근방의 자유단부의 곡율이 작기 때문에 접촉용 돌출부가 IC카드(80B)의 신호단자(81)에 접촉하였을 때의 제거용 돌출부의 상하방향 위치는 스프링형상 단자의 휨정도에 의하여 제거용 돌출부와 신호단자 간극이 예상 이상으로 좁게 되고, 접촉용 돌출부가 신호단자에 접촉할 때에 제거용 돌출부가 신호단자에 접촉하여, 접촉압력이 접촉용 돌출부와 제거용 돌출부에 분산하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거용 돌출부와 접촉용 돌출부는 같이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용 돌출부와 신호단자(81) 사이에서 집중하중을 얻는 효과에는 변함이 없다.
이에 대하여 굴곡점을 가지는(자유단부(33)를 가지는) 컨택트의 경우는, 자유단부(33) 자체의 곡율이 크기 때문에 자유 상태에 있는 제거용 돌출부의 위치를 접촉용 돌출부의 정점위치보다도 의도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령 스프링형상 단자(32)가 예상 이상으로 휘어진다 하여도 제거용 돌출부가 신호단자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자유단부(33)에서 제거용 돌출부보다 후방의 부분과 신호다자(81)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 하기 때문에, 제거용 돌출부에서 제거된 이물이 후방으로 빠져나가기 쉬운 이점도 얻어질 수 있다.
컨택트에 굴곡점을 형성하는지의 여부는, IC카드의 형태(형상, 두께치수나 공차), 커넥터의 높이 및 이에 수반하는 컨택트의 변위량의 제한 등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을 행하면서 실시가능하다.
예를 들면, 컨택트(30)는 도 13 ~ 도 32에 나타낸 각 태양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 ~ 도 16에 나타낸 컨택트(85)는 자유단부(33)의 폭 전체에 걸쳐서 형성한 제거용 돌출부(86)와, 제거용 돌출부(86)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뻗으며 또 양자가 서로 평행하지 않은 한 쌍의 접촉용 돌출부(87)와, 좌우의 접촉용 돌출부(87) 후부 사이에 형성한 경사면(88)을 구비하고 있고, 컨택트(85)가 자유상태일 때 제거용 돌출부(86)는 접촉용 돌출부(87)의 정점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 컨텍트(85)에 의하면 IC카드(80)의 삽입시에 접촉용 돌출부(87)에 의한 좌우방향으로의 이물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9 ~ 도 20에 나타낸 컨택트(90)의 자유단부(33)에는 좌우의 접촉용 돌출부(35)의 후단에 대하여 양단이 연이어 접속하는(양단의 전후방향 위치가 대략 동일한) 평면으로 보아 대략 C자 형상(대락 반원 형상)의 제거용 돌출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90)가 자유상태일 때 제거용 돌출부(91)는 접촉용 돌출부(35)의 정점위치보다 하방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거용 돌출부(91) 사이에는 경사면(36)과는 다른 경사각이며, 또 단부가 경사면(36)의 후단에 접속하는 경사면(9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컨택트(90)에 의하면 제거용 돌출부(91)에 의한 좌우방향으로의 큰 이물의 제거가 기대될 수 있다.
도 21 ~ 도 24에 나타낸 컨택트(94)의 자유단부(33)의 상면에는 제거용 돌출부(34)의 후면으로부터 뒤로 경사지는 하방으로 향하여 자유간부(33) 상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서서히 줄이면서 뻗는 좌우 한 쌍의 안내부(95)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컨택트(94)에 의하면 IC카드를 커넥터(10)에 삽입하면 IC카드의 전단부는 안내부(95) 위를 슬라이드 하면서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IC카드의 전단부와 제거용 돌출부(34) 사이에 생기는 충돌력(이상한 클릿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거용 돌출부(34)와 접촉용 돌출부(35)의 돌출치수가 크게 설정될 수 없는 경우나 IC카드의 전단부에 C면 등의 유입면(誘入面)이 아닌 엣지로 되어있는 경우에 IC카드의 삽입성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확실한 이물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도 25 ~ 도 28에 나타낸 컨택트(97)의 자유단부(33)의 상면에는 제거용 돌출부(34)의 후면으로부터 뒤로 경사지는 하방으로 향하여 자유단부(33)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서서히 줄이면서 뻗은 삼각형상의 안내부(98)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9 ~ 도 32에 나타낸 컨택트(99)의 자유단부(33)의 상면에는 제거용 돌출부(34)의 후면으로부터 뒤로 경사지는 하방으로 향하여 자유단부(33) 상면으로 부터의 돌출량을 서서히 줄이면서 뻗은 직사각형 형상의 안내부(10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컨택트(97) 및 컨택트(99)를 채용한 경우에도 컨택트(94)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지며, 게다가 자유단부(33)의 폭이 좁은 경우나 한 쌍의 제거용 돌출부(34)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 있어서도, 컨택트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경사면(3)과 마찬가지로 스탬핑에 의한 재료의 더메지를 작게하여 컨택트 기재의 신장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접촉용 돌출부(35)의 본수는 2본이 아니여도 되며, 예를 들어 1본이나 2본 이외의 복수본(이웃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이여도 된다.
또한 제거용 돌출부와 접촉용 돌출부의 후단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컨택트와 인슐레이터(15)를 인서트성형 하지않고 컨택트를 인슐레이터(15)에 압입고정 하여도 된다.
또한, 자유단부(33)의 정점위치보다 선단측(전측)에 제거용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IC카드가 컨택트의 자유단부 측으로부터 커넥터(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 해당 제거용 돌출부에 의해 큰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IC카드(80)와 다른 사양 혹은 용도의 IC카드를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적용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적용한 휴대단말의 이면측을 밧데리 수납 오목부의 덮개를 떼어내어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트레이를 수납위치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를 앞으로 경사진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트레이를 수납위치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를 뒤로 경사진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트레이를 인출위치까지 인출한 커넥터와 트레이로부터 떼어낸 IC카드의 뒤로 경사진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IC카드를 탐재한 트레이를 인출위치하지 인출했을때의 커넥터의 뒤로 경사진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넥터의 뒤로 경사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자유상태인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화살표에 따른 단면도로서, (a)는 IC카드가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자유단부에 접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IC카드의 삽입상태 완료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판 두께가 얇은 IC카드를 커넥터에 삽입할때의 컨택트의 거동을 접 촉용 돌출부를 생략한 상태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12(a)는 판두께가 두꺼운 IC카드를 커넥터에 삽입하였을 때의 컨택트의 거동을 접촉용 돌출부를 생략해서 나타낸 모식도이고, (b)는 판두께가 두꺼운 IC카드를 본 발명과는 다른 형상을 구비한 커넥터에 삽입하였을 때의 컨택트의 거동을 접촉용 돌출부는 생략하면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3은 변형예의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과 같은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과 같은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XV1-XV1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변형예의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과 같은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7과 같은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XX-XX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로서, IC카드의 단부가 안내부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또 다른 변형예의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과 같은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과 같은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XXⅣ-XXⅣ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로서, IC카드의 단부가 안내부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또 다른 변형예의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와 같은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와 같은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XXⅧ-XXⅧ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로서, IC카드의 단부가 안내부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또 다른 변형예의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와 같은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와 같은 자유상태에 있는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XXXⅡ-XXXⅡ 화살표에 다른 단면도이다.
<주요도면부호의 부호설명>
10: 커넥터 15: 인슐레이터 16: 저판부
17, 18: 지지편안내 오목부 19: 저판접결부 20: 측벽
21: 걸어맞춤 돌기 22: 전부 스토퍼 23: 긴구멍
30: 컨택트 31: 테일부 32: 스프링형상 단자부
33: 자유단부 34: 제거용 돌출부 35: 접촉용 돌출부
36: 경사면 40: 셀 41: 천정부
42: 측판부 44: 걸림구멍 45, 46: 테일부
60: 트레이 61: 조작용 단부 62: 절결부
63, 64: 지지편 65: 노출용 개구 67: 재치용 오목부
68: 인출용 오목부 69: 측부 스토퍼 70: 전단 돌출부
80: IC카드 81: 신호단자 82: 전단부
85: 컨택트 86: 제거용 돌출부 87: 접촉용 돌출부
88: 경사면 90: 컨택트 91: 제거용 돌출부
92: 경사면 94: 컨택트 95: 안내부
97: 컨택트 98: 안내부 99: 컨택트
100: 안내부 A: 휴대단말 B: 배터리수납 오목부
C: 수납케이스

Claims (6)

  1. 표면에 신호단자를 가진 IC카드를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수납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IC카드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만곡단면 형상을 이루고, 또 상기 수납케이스에 삽입한 IC카드의 상기 신호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자유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지지한 상기 끼우고 빼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컨택트를 가진 IC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IC카드 측의 면에는
    상기 IC카드가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신호단자에 접촉하고 측면형상이 상기 자유단부와 같은 만곡형상을 이루는 접촉용 돌출부와, 상기 접촉용 돌출부보다 상기 IC카드의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자유단부가 자유상태일 때에 상기 접촉용 돌출부의 정점위치보다 상기 IC카드 측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면서 상기 접촉용 돌출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서 상기 컨택트의 폭 방향으로 뻗어있는 제거용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용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제거용 돌출부에 접속하여 있는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IC카드 측의 면에, 한 쌍의 상기 접촉용 돌출부를 상기 컨택트의 폭 방향으로 간극을 가지며 나란히 형성한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접촉용 돌출부 사이에 상기 접촉용 돌출부의 상기 제거용 돌출부 측의 단부로부터 다른 측의 단부 측으로 맞은 편에 따라 상기 자유단부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서서히 작게되고 경사면을 형성한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용 돌출부는 양단부의 길이방향의 위치가 동일하고, 또 중앙부가 이 양단부보다 상기 접촉용 돌출부와 반대측으로 위치하는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IC카드 측의 면에 상기 제거용 돌출부로부터 상기 접촉용 돌출부와 반대측으로 향하여 상기 자유단부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서서히 줄이면서 뻗는 안내부를 형성한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KR1020090100799A 2009-08-10 2009-10-22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KR101080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5764 2009-08-10
JP2009185764A JP5451244B2 (ja) 2009-08-10 2009-08-10 Icカード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67A KR20110016367A (ko) 2011-02-17
KR101080689B1 true KR101080689B1 (ko) 2011-11-08

Family

ID=4376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799A KR101080689B1 (ko) 2009-08-10 2009-10-22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51244B2 (ko)
KR (1) KR101080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97B1 (ko) * 2012-03-12 2013-10-23 (주)씨엘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KR20180000704U (ko) * 2016-08-30 2018-03-08 청씨 리 카드 접촉핀과 접촉에 사용하는 연결 장치 및 카드 리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9333A (ja) * 2012-04-25 2013-11-07 Kunshan Jiahua Electronics Co Ltd 電気コネクタ
JP6303349B2 (ja) * 2013-09-17 2018-04-04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105401A (ja) * 2021-01-04 2022-07-14 株式会社東芝 コネクタ、コンタクトピンの接続方法、コンタクトピン、及び、記憶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9193A (ja) 2002-02-05 2003-08-15 Ricoh Co Ltd コネクタ又は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982A (ja) * 1982-02-12 1983-08-16 ケル株式会社 コンタクト
JPS6010298Y2 (ja) * 1982-05-07 1985-04-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印刷配線板用電気コネクタの雌コンタク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9193A (ja) 2002-02-05 2003-08-15 Ricoh Co Ltd コネクタ又はソケ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97B1 (ko) * 2012-03-12 2013-10-23 (주)씨엘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KR20180000704U (ko) * 2016-08-30 2018-03-08 청씨 리 카드 접촉핀과 접촉에 사용하는 연결 장치 및 카드 리더기.
KR200489636Y1 (ko) * 2016-08-30 2019-07-15 김재건 카드 접촉핀과 접촉에 사용하는 연결 장치 및 카드 리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51244B2 (ja) 2014-03-26
KR20110016367A (ko) 2011-02-17
JP2011040253A (ja)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240B1 (ko) 카드 커넥터
US9960536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JP3860823B2 (ja)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KR101495002B1 (ko)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US9774359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US9780469B2 (en) Card connector enabling the use of various types of cards
JP3403098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WO2005096445A1 (ja) コネクタ
JP57386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0170707A (ja) トレイ式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7287533A (ja) カードコネクタ
KR20080007625A (ko) 커넥터 조립체
KR101080689B1 (ko) 아이씨 카드용 커넥터
KR20120066589A (ko) 검출 스위치 구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JP2002289295A (ja) カードコネクタ
US7686633B2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switch structure
US9431743B2 (en) Connector
JP4469805B2 (ja) カードコネクタ
CN108574164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装体
JP565736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60154528A1 (en) Card connector
JP2007287589A (ja) 電気コネクタ
JP4109669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100003869A1 (en) Contact and connector including the contact
US20220140510A1 (en) Card retain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