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402A -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402A
KR20120065402A KR1020127009287A KR20127009287A KR20120065402A KR 20120065402 A KR20120065402 A KR 20120065402A KR 1020127009287 A KR1020127009287 A KR 1020127009287A KR 20127009287 A KR20127009287 A KR 20127009287A KR 20120065402 A KR20120065402 A KR 20120065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ide wall
wall portion
pawl
wind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838B1 (ko
Inventor
다카토시 나카오카
에리 야마네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4633Linear actuators, e.g. comprising a piston moving along reel axis and rotating along its ow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으로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제공한다.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는 폴(43) 및 기구측 암(92)의 아래쪽에 암 보호용 연장부(143)가 마련된다. 암 보호용 연장부(143)는 내측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또, 하우징(11)의 측벽부(13)에는 연결축(9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가로로 긴 개구부(144A)의 하단 가장자리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축 보호용 연장부(144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축 보호용 연장부(144B)의 아래쪽에는 차량의 체결편(161)에 장착될 때에, 볼트(162)가 삽입 통과되는 볼트 삽입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SEAT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시에 웨빙(webbing)의 헐거워짐을 제거하기 위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의 앞좌석용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는 센터 필러(center pillar)의 이너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센터 필러내에 수용되어 차체에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315572호(단락(0015)?(0034), 도 1?도 7)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센터 필러의 이너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하단 가장자리부의 중앙 위치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체결편이 형성된다. 또, 이 개구부의 상단 가장자리부의 중앙 위치 부근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베이스판의 하단부가 체결편의 상단부에 볼트/너트에 의해서 체결된다. 또, 이 베이스판의 상단부가 단면 크랭크형상으로 차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형성된 장착판 부재를 거쳐, 개구부 상단 가장자리부의 중앙 위치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볼트/너트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그러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베이스판의 내측 하단부의 근방에 기구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베이스판을 위쪽으로 돌출된 체결편에 장착할 때에, 기구 부재가 체결편에 닿아,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손상을 주는 원인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또, 체결편과 기구 부재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신중히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장착 작업 시간의 단축이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차량에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는 웨빙을 권회 수납하는 권취 드럼, 제1의 측벽부와 상기 제1의 측벽부에 대향하는 제2의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측벽부와 상기 제2의 측벽부 사이에서 상기 권취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차량 충돌시에 상기 권취 드럼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웨빙을 권취하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의 측벽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상기 권취 드럼을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권취 드럼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의 측벽부의 내측에 대향하도록 상기 권취 드럼의 에지부의 외주(바깥둘레)에 형성된 래칫 기어(latchet gear),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의 측벽부의 내측에 일단측이 축지지되어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춰지지 않은 위치에 배치된 폴(pawl), 상기 구동 수단의 시동시에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서 직접 작동되어 상기 폴을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춘 상태로 록하는 로킹(locking)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의 측벽부의 외측에 일단측을 축지지되는 암 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의 측벽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서 직접 작동되어 상기 암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수단,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의 측벽부의 내측에 일단측이 축지지되어 상기 폴의 상기 래칫 기어에 대해 반대측의 측면에 맞닿는 압압 부재, 상기 암 부재와 상기 압압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축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제3의 측벽부, 상기 웨빙의 인출 방향에 대해 제3의 측벽부의 대향 단부에 형성되고 차량에 하우징을 장착하기 위해 마련된 볼트 삽입 구멍, 상기 볼트 삽입 구멍에 밀착되는 상기 연결축의 측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3의 측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축 보호용 제1의 연장부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기 폴에 밀착된 다른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압압 부재의 일 측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의 측벽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압압부재 보호용 제2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연결축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제3의 측벽부의 단부에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 삽입 구멍이 형성된다. 또, 축 보호용 제1의 연장부가 볼트 삽입구멍 측에 대향하도록 제3의 측벽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3의 측벽부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 삽입 구멍을 센터 필러의 하부 등에 형성되는 개구부에서 체결 부재의 상단부에 볼트/너트에 의해서 체결할 때, 축 보호용 제1의 연장부가 상기 체결 부재와 연결축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차량으로의 장착시에, 연결축의 구부러짐 등과 같은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신뢰성이 높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프리텐셔너 기구부의 구동 수단이 기동한 경우, 상기 하우징의 제1의 측벽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암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수단이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서 직접 작동된다. 이 때문에, 구동 수단의 기동과 거의 동시에, 암 부재, 연결축, 압압 부재를 거쳐 하우징의 제2의 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된 폴을 직접 작동시켜, 이 폴을 래칫 기어와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상태로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서, 폴에 밀착된 다른 측면에 대향하는 압압 부재의 일 측면을 보호하도록, 압압 부재 보호용 제2의 연장부가 하우징의 제2의 측벽부의 내측에서 연장되며, 압압 부재는 제2의 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축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제3의 측벽부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 삽입 구멍을 센터 필러의 하부 등에 형성된 개구부의 체결 부재의 상단부에 볼트/너트에 의해서 체결할 때, 체결 부재와 압압 부재 사잉의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한다. 이와 동시에, 차량으로의 장착시, 압압 부재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더욱 신뢰성이 높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각각을 유닛별로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권취 드럼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단면도.
도 5는 권취 드럼 유닛, 프리텐셔너 유닛 및 권취 스프링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6은 프리텐셔너 유닛을 하우징 유닛에의 장착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프리텐셔너 유닛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프리텐셔너 유닛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하우징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로킹 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프리텐셔너 기구의 가스 발생부재의 작동에 의해서 피스톤이 이동하여 회전 레버의 하단부가 기어측 암의 선단부로부터 어긋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도 11에 대응하는 폴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대해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략적인 구성]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를 유닛별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는 차량의 웨빙(3)을 권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는 하우징 유닛(5), 권취 드럼 유닛(6), 프리텐셔너 유닛(7), 권취 스프링 유닛(8) 및 로킹 유닛(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로킹 유닛(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5)을 구성하는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고정 설치된다. 로킹 유닛(9)은 웨빙(3)의 급격한 인출이나 차량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에 반응해서 웨빙(3)의 인출을 정지시키는 기동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기구(17)(도 6 참조)를 구비한 프리텐셔너 유닛(7)은 하우징 유닛(5)에 탑재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유닛(5)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벽부(13)와 이 측벽부와 대향하는 측벽부(14)를 구비한다. 측벽부(13, 14)의 상하 에지(edge)부에서, 나사 고정부(13A, 13B)와 나사 고정부(14A, 14B)는 각각 측벽부(13)과 측벽부(14)에서 대략 직각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프리텐셔너 유닛(7)과 하우징 유닛(5)은 나사 고정부(13A, 13B, 14A, 14B)에서 3개의 나사(15) 및 스토퍼(16)에 의하여 나사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프리텐셔너 유닛(7)은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측벽부를 구성한다.
또한 권취 스프링 유닛(8)은 프리텐셔너 유닛(7)의 외측에 스프링 케이스(56)(도 5 참조)와 일체로 형성된 나일론 래치(8A)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웨빙(3)이 감기는 권취 드럼 유닛(6)은 하우징 유닛(5)의 측벽부(12)에 고정된 로킹 유닛(9)과 프리텐셔너 유닛(7) 사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권취 드럼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 ]
다음에, 권취 드럼 유닛(6)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권취 드럼 유닛(6)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권취 드럼 유닛(6), 프리텐셔너 유닛(7) 및 권취 스프링 유닛(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6)은 가이드 드럼(21), 드럼 샤프트(22), 토션 바(23), 와이어(24), 와이어 플레이트(25), 래칫(ratchet) 기어(26) 및 베어링(3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드럼(21)은 알루미늄재 등에 의해 형성되고, 프리텐셔너 유닛(7) 측의 일 단면부가 폐쇄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리텐셔너 유닛(7) 측에 있어서, 가이드 드럼(21)의 축심 방향의 에지부에는 가이드 드럼(2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략 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7)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에 각 클러치 폴(pawl)(29)이 걸어 맞추어지는 클러치 기어(30)가 형성되어 있다.
프리텐셔너 유닛(7) 측의 가이드 드럼(21)의 단면부 중앙 위치에는 원통형 부착 보스(31)가 세워 마련된다. 또한, 스틸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드럼 샤프트(22)는 압입 등에 의해 상기 단면부의 중앙 위치에 탑재된다. 또한 부착 보스(31)의 외주에는 폴리아세탈 수지 등과 같은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통형상부(32A)와 통형상부(32A)의 기단부(基端部)의 외주에 연결된 플랜지 단부(32B)를 구비한 베어링(32)이 끼워 맞추어진다. 권취 드럼 유닛(6)은 베어링(32)을 거쳐서 피니언 기어체(33)의 축받이부(33A) (도 6, 도 8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 기어체(33)는 스틸재 등으로 형성되며 프리텐셔너 유닛(7)을 구성한다.
또한, 가이드 드럼(21)의 내측에는, 중심축을 따라 서서히 가늘어지도록 구배가 형성된 축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7) 측 상의 축 구멍(21A)내에는, 스틸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토션 바(23)를 끼워맞추기 위한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어 있다. 토션 바(23)의 스플라인(23A) 측은 가이드 드럼(21)의 축 구멍(21A)에 삽입되고 플랜지부(27)에 접할 때까지 압입된다. 이것에 의해, 토션 바(23)가 가이드 드럼(21) 내에 압입해서 고정되어 토션 바(23)가 가이드 드럼(21) 내에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드럼(21)의 축심 방향의 로킹 유닛(9) 측에는, 가이드 드럼(21)의 에지부의 약간 내측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플랜지부(35)로부터 축심 방향 외측의 부분은 약간 외경이 가늘어진 원통 형상의 단차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차부(36)의 외측 단부에는 반경 방향의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돌출 핀(37, 37)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35)의 외측면에는 소정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된다. 스테인레스재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선재(線材) 형상의 와이어(24)는 이 볼록부의 형상에 맞추어 단차부(36)의 기단부 외주에 장착된다.
또한 플랜지부(35)의 외주부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달걀형인 와이어 플레이트(25)로 덮여 있다. 와이어 플레이트(25)는 알루미늄재 등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드럼(21)에 대향하는 내측면의 외주부에 볼록부(38)를 구비한다. 볼록부(38)는 플랜지부(35)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와이어(24)와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와이어 플레이트(25)의 중앙부에는 단차부(36)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40)이 형성된다. 이 관통 구멍(40)의 축심 방향 외측의 바깥 에지부에는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돌출하는 2개의 볼록부가 반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어 맞춤 볼록부(4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관통 구멍(40)의 각 걸어 맞춤 볼록부(41) 사이에 끼워진 축심 방향 외측의 바깥 에지부에는 반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4쌍의 코킹(rivet) 핀(39)이 세워 마련된다. 또한 각 코킹 핀(39)의 기단부에는 반원호 형상으로 소정 깊이 움푹패인 오목부(3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칫 기어(26)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틸재 등에 의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연장부(42)를 구비한다. 연장부(42)는 축심 방향의 외주부로부터 단차부(36)와 거의 동일한 길이까지 연장된다. 연장부(42)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또는 차량 긴급 시에 폴(43)이 걸어 맞추어 지는 래칫 기어부(45)가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연장부(42)의 축심 방향 가이드 드럼(21) 측의 에지부에는 외주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방지(baffle) 플랜지(46)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걸어 맞춤 오목부(46B)는 반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회전 방지 플랜지(46)의 외주부에 마련된다(도 5 참조). 각각의 걸어 맞춤 오목부(46B)는 그 외주부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움푹 패인 2개의 오목부를 구비한다. 반원호 형상으로 소정 깊이 움푹 패인 오목부(46A)는 각 코킹 핀(39)에 대향하도록 회전 방지 플랜지(46)의 축심 방향 외측면에 형성된다.
가이드 드럼(21)에서 세워진 각 돌출 핀(37)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그 각 돌출 핀(37)이 삽입되도록 래칫 기어(26)에서 관통 구멍(47)이 뚫어 마련되어 있다. 또 각 관통 구멍(47)의 주위는 소정 깊이 움푹 패인 오목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칫 기어(26)의 외측 중심 위치에는 축부(48)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축부(48)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인(4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 드럼 유닛(6)은 이 축부(48)를 거쳐서 로킹 유닛(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래칫 기어(26)의 내측면의 중앙부에는 원통 형상의 탑재 보스(49)가 세워 마련되어 있고, 이 탑재 보스(49)의 내주면에는 토션 바(23)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스플라인(23B)이 끼워 맞추어지는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션 바(23)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스플라인(23B)의 외경은 그 토션 바(23)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스플라인(23A)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플레이트(25)의 각각의 걸어 맞춤 볼록부(41)에 래칫 기어(26)의 회전 방지 플랜지(46)의 각각의 걸어 맞춤 오목부(46B)가 끼워 맞추어 진다. 그 후, 각각의 코킹 핀(39)이 그 기단부의 오목부(39A) 및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 방지 플랜지(46)의 오목부(46A)의 내측으로 넓어지도록 코킹된다. 가이드 드럼(21)의 플랜지부(35)의 외측면에 와이어(24)를 장착한다. 계속해서, 플랜지부(35)의 외측에 와이어 플레이트(25) 및 래칫 기어(26)를 씌워서, 래칫 기어(26)의 각 관통 구멍(47)에 가이드 드럼(21)의 각 돌출 핀(37)을 삽입 통과시키면서, 탑재 보스(49)에 토션 바(23)의 타단측에 형성된 스플라인(23B)을 끼워 맞춘다. 그 후, 각각의 돌출 핀(37)을 관통 구멍(47)의 주위에 형성된 오목부(47A)의 내측으로 넓어지도록 코킹한다.
이것에 의해, 래칫 기어(26) 및 와이어 플레이트(25)는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래칫 기어(26)와 와이어 플레이트(25)가 토션 바(23) 및 각 돌출 핀(37)을 거쳐서 가이드 드럼(21)에 대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 드럼(21)의 플랜지부(27)와 플랜지부(35) 및 와이어 플레이트(25) 사이의 외주면에 웨빙(3)이 감긴다.
[권취 스프링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
다음에, 권취 스프링 유닛(8)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 스프링 유닛(8)은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권취 가압(urging) 기구(55), 이 권취 가압 기구(55)를 수용하는 스프링 케이스(56)와 스프링 샤프트(5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 스프링 유닛(8)은 스틸재 등으로 형성되는 프리텐셔너 유닛(7)의 외측면을 구성하는 커버 플레이트(57)의 각 관통 구멍(51)에, 스프링 케이스(56)의 3개소에 마련된 각 나일론 래치(8A)를 거쳐서 고정된다. 그리고, 권취 드럼 유닛(6)의 드럼 샤프트(22)의 선단부가 스프링 케이스(56)의 스프링 샤프트(58)를 거쳐서 나선 스프링에 결합된다. 따라서, 나선 스프링의 가압(urging force)에 의해 권취 드럼 유닛(6)은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프리텐셔너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
다음에, 프리텐셔너 유닛(7)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4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프리텐셔너 유닛(7)을 하우징 유닛(5)에의 장착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리텐셔너 유닛(7)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프리텐셔너 유닛(7)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유닛(7)은 프리텐셔너 기구(17)와 하우징 유닛(5)의 측벽부(12)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폴(43)(도 9 참조)을 회전시키는 강제 로킹 기구(53)로 구성되어 있다.
[프리텐셔너 기구]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기구(17)는, 차량 충돌시 가스 발생 부재(61)를 작동시키고, 이 가스의 압력을 이용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의 플랜지부(27)를 거쳐서 그 권취 드럼 유닛(6)을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구이다.
여기서, 프리텐셔너 기구(17)는 가스 발생 부재(61), 파이프 실린더(62), 가스 발생 부재(61)의 가스압을 받고 파이프 실린더(62) 내를 이동하는 실링(sealing) 플레이트(63) 및 피스톤(64), 이 피스톤(64)에 형성된 랙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체(33), 이 파이프 실린더(62)가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5), 이 베이스 플레이트(65)에 파이프 실린더(62)의 피니언 기어체(33) 측의 측면에 당접해서 탑재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베이스 블록체(66), 베이스 플레이트(65)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클러치 기구(68)로 구성되어 있다.
또, 피니언 기어체(33)는 스틸재 등으로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상이고, 그 외주부에 피스톤(64)에 형성된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피니언 기어체(33)는 피니언 기어부(71)의 축심 방향에서 커버 플레이트(57) 측의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7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72)는 피니언 기어부(71)의 근원 직경(root diameter)을 외경으로 커버 플레이트(57)의 두께 치수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피니언 기어부(71)의 축심 방향에서 베이스 플레이트(65) 측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체(33) 상에는 플랜지부(73)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축받이부(33A)를 구비한 보스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부(33A)는 권취 드럼 유닛(6)의 드럼 샤프트(22)가 삽입됨과 함께, 베어링(32)이 끼워 맞추어 진다. 또, 이 보스부(74)의 기단부의 외경을 갖는 3 세트의 스플라인이 중심각 약 120도 간격으로 보스부(7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68)는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 대략 둥근 고리형상(annular-shaped)의 폴 베이스(76),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 3개의 클러치 폴(29),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폴 가이드(77)를 구비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 가이드(77)와 폴 베이스(76)는 각 클러치 폴(29)을 협지한다.
또한 폴 베이스(76)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 홈이 중심각 약 120도 간격으로 3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플라인 홈에는 피니언 기어체(33)의 보스부(74)에 형성된 스플라인이 압입된다. 또한 폴 가이드(77)의 내주 직경은 폴 베이스(76)의 스플라인 홈보다 크게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65)에 대향하는 폴 가이드(77)의 외측의 측면부 3개소에는 등각도로 위치 결정 돌기(77A)가 돌출 형성된다.
클러치 기구(68)의 폴 가이드(77)의 외측면에 마련된 위치 결정 돌기(77A)는 베이스 플레이트(65)의 위치 결정 구멍(81)에 맞추어져서, 그 클러치 기구(68)를 베이스 플레이트(65)의 외측면에 배치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체(33)의 보스부(74)는 베이스 플레이트(65)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83)에 삽입된다. 따라서, 보스부(74)에 형성된 각 스플라인은 클러치 기구(68)를 구성하는 폴 베이스(76)의 각 스플라인 홈에 압입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클러치 기구(68)와 피니언 기어체(33)가 베이스 플레이트(65)에 배치 고정됨과 함께,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가 도 7에 도시하는 위치에 항상 위치 결정된다.
상기 베이스 블록체(66)는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체(33)의 플랜지부(73)는 기어 수납부(85)의 저면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82) 내에 삽입된다. 이 기어 수납부(85)는 베이스 블록체(66)의 내측의 측면 에지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 형상으로 움푹패이도록 형성되며 또한, 저면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상이다(도 11 참조). 베이스 플레이트(65) 상의 베이스 블록체(66)의 측면부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보스(79)는 베이스 플레이트(65)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80)에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 블록체(66)는 베이스 플레이트(65)의 내측면에 배치된다(도 6 참조).
또한 베이스 블록체(66)의 외측 측면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65) 측으로 연장되도록 탄성 걸어 맞춤 부재(66A)가 형성되며, 이 탄성 걸어 맞춤 부재(66A)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또 베이스 블록체(66)의 하측 측면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65) 측으로 연장되며,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탄성 걸어 맞춤 부재(66B)가 형성된다(도 8 참조). 탄성 걸어 맞춤 부재(66A)와 탄성 걸어 맞춤 부재(66B)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65)의 측단부에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블록체(66)가 베이스 플레이트(65)에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65)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83)은 피니언 기어체(33)의 보스부(74)의 기단부의 외경을 지지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다. 또 관통 구멍(83)은 피니언 기어체(33)의 일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어 수납부(85)의 높이는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와 플랜지부(73)의 높이의 합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강제 록 기구]
여기서, 베이스 블록체(66)내에 배치되는 강제 록 기구(53)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블록체(66)에는 강제 로킹 기구(53)를 설치하는 오목부(86)가 형성된다. 베이스 블록체(66)에는 상기 강제 로킹 기구(53)를 구성하는 푸시 블록(87), 회전 레버(88), 블록 가압 스프링(87A), 기어측 암(89) 및 가압 스프링(90)이 마련된다. 블록 가압 스프링(87A)은 푸시 블록(87)을 회전 레버(88) 측 방향으로 힘을 부가한다. 가압 스프링(90)은 기어측 암(89)을 회전 레버(88) 측 방향으로 힘을 부가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기어측 암(89)에는 베이스 플레이트(65)의 외측으로부터 강제 로킹 기구(53)를 구성하는 연결축(91)과 기구측 암(92)이 연결되어 있다.
이 회전 레버(88)는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나 알루미늄재 등으로 형성되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벤딩부(bending portion)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레버(88)는 일단측이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에 대향하도록, 베이스 블록체(66)의 오목부(86)의 저면부에 세워 마련되는 보스(9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푸시 블록(87)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 블록(87)은 오목부(86)의 저면부에 세워 마련되는 위치 결정 돌기(94)에 의해, 일단이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의 톱니의 근처에 위치하고, 타단이 회전 레버(88)의 근처에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이 푸시 블록(87)은 블록 가압 스프링(87A)에 의해 회전 레버(88) 측으로 힘이 부가되어, 덜거덕거림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체(33)가 회전한 경우, 회전 레버(88)는 피니언 기어부(71)의 톱니에 눌린 푸시 블록(87)에 의해 외측 방향(도 7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 푸시 블록(87)은 블록 가압 스프링(87A)에 의해 피니언 기어체(33) 측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기어측 암(89)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와 알루미늄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블록체(66)의 오목부(86)의 저면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96)에 삽입되는 보스(95)는 베이스 블록체(66)의 측면부의 회전 레버(88)와 접촉하는 타단부와 대향하는 기어측 암(89)의 일단부에 세워 마련된다. 또한, 기어측 암(89)의 보스(95)가 세워 마련되는 측면부에는 연결축(91)의 일단측에 형성된 절곡부가 삽입되는 소정 깊이의 홈부(9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측 암(89)은 회전 레버(88) 측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회전 레버(88)의 타단측이 당접하는 단차부(98)를 구비한다. 그리고 기어측 암(89)의 보스(95)는 오목부(86)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96)에 삽입되고, 기어측 암(89)은 회전 레버(88) 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단차부(98)에 대향하는 기어측 암(89)의 다른 쪽의 선단부 하면은 가압 스프링(90)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기어측 암(89)은 회전 레버(88) 측으로(도 7에서 상측 방향임)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단차부(89)가 회전 레버(88)의 타단측에 당접해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 레버(88)가 도 7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회전 레버(88)의 타단측이 기어측 암(89)의 선단부로부터 떨어지고, 기어측 암(89)이 가압 스프링(90)의 가압력에 의해 외측 방향(도 7에서 반시계 방향임)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91)은 스틸재 등의 선재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호 약 90도 어긋나서 대향하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이 연결축(91)의 직선부의 길이는 하우징 유닛(5)의 각 측벽부(13, 14)(도 9 참조)의 폭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블록체(66)의 오목부(86)의 저면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96)에 연결축(91)의 일단측 절곡부가 삽입되는 홈(101)이 외주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65)의 기어측 암(89)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연결축(91)의 일단측 절곡부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축(91)의 일단측 절곡부는 베이스 플레이트(65)의 관통 구멍(102), 베이스 블록체(66)의 관통 구멍(96) 및 홈(101)을 통해서, 베이스 블록체(66)의 오목부(86)에 설치된 기어측 암(89)의 홈부(97)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기구측 암(92)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나 알루미늄재 등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폭이 좁은 대략 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단부의 외측면 상에는 하우징 유닛(5)의 측벽부(12)(도 9 참조)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105)(도 도 9 및 도 10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보스(106)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구측 암(92)의 외주측 에지부의 측벽부(12) 측의 외측면에는 노치부(138)에 삽입 통과되는 보스(92A)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기구측 암(92)의 내면의 중앙선을 따라 소정 깊이의 홈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91)의 타단측 절곡부가 기구측 암(92)의 홈부(107)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기구측 암(92)은 이 기구측 암(92)의 중심각 측의 에지부의 외측면에 세워 마련되는 보스(106)의 축심과 연결축(91)의 축심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되도록 연결축(91)의 타단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유닛(7)이 하우징 유닛(5)에 장착된 경우에는, 기구측 암(92)의 보스(106)는 측벽부(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0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도 10 참조). 또한, 기구측 암(92)의 보스(92A)는 측벽부(12)에 형성된 노치부(138)에 삽입되어, 측벽부(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리텐셔너 기구]
다음에, 프리텐셔너 기구(17)를 구성하는 파이프 실린더(62)의 구성 및 장착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 실린더(62)는 스틸 파이프재 등으로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실린더(62)는 그 일단측(도 7 중, 하측 절곡 부분)에 대략 원통 형상의 수납부(62A)를 구비한다. 파이프 실린더(62)는 가스 발생 부재(61)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가스 발생 부재(61)는 화약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시를 생략하는 제어부로부터의 착화 신호에 의해 그 화약을 착화시켜 가스 발생제의 연소로 가스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 실린더(62)의 타단측(도 7 중, 상위 절곡 부분)에는 단면이 대략 장방형인 피스톤 수납부(62B)가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체(33)에 대향하는 부분에 노치부(111)가 형성된다. 파이프 실린더(62)가 베이스 플레이트(65) 상에 설치된 경우, 그 노치부(111) 내에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가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피스톤 수납부(62B)의 상단부에는 베이스 블록체(66) 측의 측면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65)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112)가 걸어 맞추어져, 파이프 실린더(62)의 상하 방향의 빠짐 방지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노치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치부(113) 옆쪽과 파이프 실린더(62)의 대향 측면부에 스토퍼 나사(16)를 삽입 통과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나사(16)는 프리텐셔너 유닛(7)을 하우징 유닛(5)에 부착함과 함께, 피스톤(64)의 빠짐 방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7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링 플레이트(63)는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피스톤 수납부(62B)의 상단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링 플레이트(63)에는 길이 방향 양끝 에지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각의 상단부의 전체 폭에 걸쳐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 플레이트(63)의 중앙부에는 배기 구멍(6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64)은 스틸재 등으로 형성되어, 피스톤 수납부(62B)의 상단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하며, 단면이 대략 장방형이고, 전체적으로 장척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피스톤(64)의 하단부에는 실링 플레이트(63)의 돌기부(63A)가 횡방향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끼움홈(6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64)의 하단면에는 이 하단면으로부터 그 피스톤(64)의 측면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64B)과 연통하는 미세 직경의 연통 구멍(64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링 플레이트(63)의 각각의 돌기부(63A)가 피스톤(64)의 각각의 끼움홈(64)에 횡측으로부터 슬라이딩시켜 끼워진 후, 실링 플레이트(63)가 내측에 장착되고, 피스톤 수납부(62B)의 상단 측에서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압입된다. 또한 실링 플레이트(63)에 형성된 배기 구멍(63B)은 피스톤(64)의 연통 구멍(64C)을 거쳐서 관통 구멍(64B)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가스 발생 부재(61)에서 발생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실링 플레이트(63)가 압압되고, 피스톤(64)이 피스톤 수납부(62B)의 상단측 개구부(도 7에서 상단부)로 이동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 웨빙(3)이 다시 인출되는 경우, 피니언 기어체(33)의 역회전에 의해 피스톤(64)이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파이프 실린더(62) 내의 가스는 실링 플레이트(63)의 배기 구멍(63B), 피스톤(64)의 연통 구멍(64C) 및 관통 구멍(64B)을 거쳐서 배출되고, 피스톤(64)은 원활하게 내려간다.
또, 피스톤(64)의 피니언 기어체(33)측의 측면에는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에 맞물리는 랙(1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랙(116)의 선단부(도 7에서 상단부)의 배면에는 스토퍼 나사(16)에 접촉 가능한 단차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 발생 부재(61)가 작동할 때까지의 통상 상태에서, 피스톤(64)은 피스톤 수납부(62B)의 저면에 위치하여 랙(116)의 선단이 피니언 기어부(71)와 걸어 맞춤 상태를 유지하지 않게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 수납부(62B)의 노치부(111)의 내측에, 베이스 블록체(66)의 기어 수납부(85)의 양측 에지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각각의 돌출부(109)를 끼워 맞추면서, 피스톤 수납부(62B)의 상단부에 형성된 노치부(113)에 베이스 플레이트(65)의 절곡부(112)를 끼워 맞추어, 베이스 플레이트(65) 상에 파이프 실린더(62)를 배치한다. 대략 U자 형상인 랙 방지 핀(108)은 베이스 블록체(66)에 세워 마련된다. 랙 방지 핀(108)은 랙(116)의 상단의 기어 홈에 삽입되고, 피스톤(64)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피스톤(64)의 선단부는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의 근처에 위치해서, 피스톤(64)은 걸어 맞춤 상태를 유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 실린더(62)의 피스톤 수납부(62B)의 대향면은 리브(110) 및 등받이부(backrest)(118A, 118B)에 의해서 지지된다. 리브(110)는 베이스 블록체(66)의 측면부에 세워 마련되고 단면이 대략 삼각형이다. 등받이부(118A, 118B)는 베이스 플레이트(65)의 측면 에지부의 피니언 기어체(33)에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이 등받이부(118A, 118B)는 피스톤 수납부(62B)보다 조금 높게 되도록 연장되어 있고, 커버 플레이트(57)의 각 등받이부(118A, 118B)에 대향하는 측단부에 형성된 각 관통 구멍(119A, 119B)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118A, 118B)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관통 구멍(119A, 119B)의 측면 에지부는 내측 방향(도 8 중, 좌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예를 들면, 약 1㎜의 깊이)로 움푹 패여 있다. 따라서, 등받이부(118A, 118B)가 관통 구멍(119A, 119B)에 각각 삽입된 경우, 관통 구멍(119A, 119B)의 내측면이 등받이부(118A, 118B)의 외측면에 확실하게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65) 상에 베이스 블록체(66), 강제 로킹 기구(53), 파이프 실린더(62) 등이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 플레이트(57) 측의 측면부로 돌출하는 베이스 블록체(66)의 위치 결정 보스(121)는 커버 플레이트(57)의 위치 결정 구멍(122)에 맞추어진다. 그 결과, 베이스 블록체(66), 강제 로킹 기구(53)나 파이프 실린더(62) 등의 상측에 커버 플레이트(57)가 장착된다. 동시에, 피니언 기어체(33)의 원통형상 지지부(72)가 커버 플레이트(57)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지지 구멍(125)에 맞추어진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65)의 측면 에지부에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등받이부(118A, 118B)는 등받이부(118A, 118B)에 대향하는 커버 플레이트(57)의 측면 에지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 구멍(119A, 119B)에 삽입된다. 그리고 탄성 걸어 맞춤 부재(66C)와 탄성 걸어 맞춤 부재(66D)는 각각 커버 플레이트(57)의 측단부에 래치된다. 상기 탄성 걸어 맞춤 부재(66C)는 베이스 블록체(66)의 외측 측면부로부터 커버 플레이트(57) 측으로 연장되어,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 걸어 맞춤 부재(66D)는 베이스 블록체(66)의 상측 측면부로부터 커버 플레이트(57) 측으로 연장되어, 외측 방향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57)가 베이스 블록체(66)에 설치 고정되고, 파이프 실린더(62)가 커버 플레이트(57)와 베이스 플레이트(65)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체(33)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부(72)가 커버 플레이트(57)의 지지 구멍(125)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체(33)의 양단부에 형성된 보스부(74)의 기단부와 지지부(72)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65)의 관통 구멍(83)과 커버 플레이트(57)의 지지 구멍(1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파이프 실린더(62)의 각 관통 구멍(114), 커버 플레이트(57)의 각 관통 구멍(11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127) 및 베이스 플레이트(65)의 각 관통 구멍(11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나사 구멍(141B)(도 9 참조)이 동일축 상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 스토퍼 나사(16)가 커버 플레이트(57) 쪽에서 베이스 플레이트(65) 측으로 삽입 통과되어 나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실린더(62)는 커버 플레이트(57)와 베이스 플레이트(65)에 의해서 유지됨과 함께, 베이스 블록체(66)와 각각의 등받이부(118A, 118B)에 의해서 양측면부가 유지된다. 또한 파이프 실린더(62)의 피스톤 수납부(62B)의 상단측 개구는 커버 플레이트(57)의 상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커버부(131)에 의해 덮여진다. 또한 가스 발생 부재(61)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실링 플레이트(63)가 압압되어, 피스톤(64)이 피스톤 수납부(62B)의 상단측 개구부(도 7에서 상단부)로 이동한다. 이 경우, 피스톤(64)의 단차부(117)가 관통 구멍(114)에 삽입 통과된 스토퍼 나사(16)에 맞닿아, 정지시킬 수 있다.
[하우징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
다음에, 하우징 유닛(5)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4, 도 9 및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하우징 유닛(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로킹 유닛(9)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5)은 하우징(11), 브래킷(133), 프로텍터(135), 폴(43)과 폴 리벳(1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스틸재 등으로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 뒤쪽의 측벽부(12)에는 권취 드럼 유닛(6)의 래칫 기어(26)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1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137)의 경사(oblique) 하측의 폴(43)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노치부(138)가 형성되고, 폴(43)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노치부(138)의 횡측에 폴(43)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관통 구멍(139)이 형성되어 있다.
폴(43)이 당접하는 상기 노치부(138)의 부분에는 관통 구멍(139)의 동심원 상에 반원 형상의 안내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40)에 당접해서 슬라이딩하는 폴(43)의 부분은 측벽부(12)의 두께 치수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부분은 안내부(140)의 측면 에지부와 동일한 곡률 반경의 원호 형상으로 움푹 패인 단차부(43B)가 측벽부(12)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43)의 외측의 측면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로킹 유닛(9)을 구성하는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의 가이드 홈(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는 안내 핀(43A)이 삽입된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의 양측 에지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각 측벽부(13, 14)가 연장되어 있다. 또, 경량화 및 웨빙의 장착 작업의 효율화 등이 도모되도록, 각 측벽부(13, 14)의 중앙부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측벽부(13, 14)의 상하 에지부에는 나사 고정부(13A, 13B, 14A, 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나사 고정부는 각각의 플레이트에 대해 소정의 폭으로 대략 직각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 각 나사 고정부(13A, 13B, 14A)에는 각 나사(15)가 나사 고정되는 각 나사구멍(141A)이 압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된다. 나사 고정부(14B)에는 스토퍼 나사(16)가 나사 고정되는 나사구멍(141B)이 압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나사구멍을 관통구멍으로 해서, 스토퍼 나사(16)를 너트로 체결하도록 해도 좋다.
또, 측벽부(13)의 상단 에지부에 각 리벳(134)에 의해서 장착되는 브래킷(133)은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다. 측벽부(13)의 상단 에지부로부터 대략 직각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에는 웨빙(3)이 인출되는 가로로 긴 관통구멍(142)이 형성된다. 나일론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가로로 긴 프레임형상의 프로텍터(135)는 관통 구멍(142)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 측벽부(13)의 하단부에는 체결편(161)(도 10 참조)에 하우징(11)을 장착할 때, 볼트(162)(도 10 참조)가 삽입통과되는 볼트 삽입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틸재 등으로 형성된 폴(43)의 단차부(43B)는 안내부(140)에 맞닿아, 측벽부(12)의 외측으로부터 관통구멍(139)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리벳(136)에 의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폴(43)의 측면과 래칫 기어(26)의 측면이 측벽부(12)의 외측면과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위치된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유닛(7)을 각 나사(15) 및 스토퍼 나사(16)에 의해서 하우징 유닛(5)에 장착한 경우, 연결축(91)의 타단측 절곡부에 장착된 기구측 암(92)의 보스(106)가 측벽부(12)에 형성된 관통구멍(105)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보스(106)는 노치부(138) 내에 위치하는 폴(43)의 하측의 측면부의 근방에 위치한다. 기계구 암(92)의 외측의 측면에 세워 마련된 보스(92A)가 노치부(138)에 삽입된다. 폴(43)은 통상시에는 기구측 암(92)에 근접한 상태이며, 래칫 기어(26)에 걸어 맞추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벽부(12)에 장착된 폴(43) 및 기구측 암(92)의 아래쪽에는 소정 높이(예를 들면, 약 10㎜) 만큼 상기 측벽부(12)의 하단면 보다 높은 위치에 암 보호용 연장부(143)가 배치된다. 상기 암 보호용 연장부(143)는 소정 폭(예를 들면, 폭 약 10㎜) 만큼 상기 폴(43) 및 기구측 암(92)에 대향하도록 내측 방향(도 4 중, 좌측 방향임)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즉, 측벽부(12)에 장착된 폴(43) 및 기구측 암(92)의 아래쪽에는 소정 폭으로 기구측 암(92)에 대향하도록 대략 직각으로 소정 길이(예를 들면, 약 10㎜) 만큼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암 보호용 연장부(143)가 마련된다.
또, 도 4,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축(91)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측벽부(13)에는 연결축(9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대향하는 가로로 긴 개구부(144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44A)의 하단 에지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축 보호용 연장부(144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축 보호용 연장부(144B)는 가이드 드럼(21)에 밀착되는 에지부가 측벽부(13)에 대향하는 연결축(91)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 이 축 보호용 연장부(144B)의 아래쪽에는 볼트 삽입 구멍(132)이 형성되고, 이 볼트 삽입 구멍(132)에 볼트(162)가 삽입통과되어 너트(163)에 의해서 차량의 체결편(161)에 고정된다.
[강제 록 기구 및 폴의 동작 설명]
다음에, 차량 충돌시 등에 있어서, 프리텐셔너 기구(17)의 가스 발생 부재(61)의 작동에 의해서 기동하는 강제 로킹 기구(53) 및 폴(43)의 동작에 대해 도 11 및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프리텐셔너 기구(17)의 가스 발생 부재(61)의 동작에 의해서 피스톤(64)이 이동하여, 회전 레버(88)의 하단부가 기어측 암(89)의 선단부로부터 어긋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응하는 폴(43)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등에 있어서, 프리텐셔너 기구(17)의 가스 발생 부재(61)가 작동한 경우, 파이프 실린더(62)의 피스톤 수납부(62B) 내의 피스톤(64)이 도 7에 나타내는 통상 상태에서, 랙 고정 핀(108)을 부러뜨려(shear) 위쪽으로(화살표 X1 방향임) 이동하고, 피니언 기어체(33)를 정면에서 보아 시계반대방향(화살표 X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 회전 레버(88)의 상단부는 블록 가압 스프링(87A)에 의해서 눌린 푸시 블록(87)에 의해서 더욱 눌러지기 때문에, 이 회전 레버(88)의 하단부가 기어 측 암(89)의 선단부로부터 어긋난다.
그 때문에, 기어측 암(89)은 가압 스프링(90)에 의해서 외측 방향으로 압압 되어, 정면에서 보아 시계반대방향(화살표 X4 방향임)으로 회전한다. 또한, 푸시 블록(87)은 블록 가압 스프링(87A)에 의해서 외측 방향으로 압압되고,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와 이간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회전 레버(88)의 상단부를 오목부(86)의 내벽면에 맞닿게 한 상태로 유지한다.
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레버(88)의 하단부가 기어측 암(89)의 선단부로부터 어긋난 경우, 상기 기어측 암(89)이 정면에서 보아 시계반대방향(화살표 X5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기어측 암(89)의 홈부(97) 내에 일단측 절곡부가 삽입되어 있는 연결축(91)도 축심 주위로 정면에서 보아 시계반대방향(화살표 X5 방향)으로 회전한다.
연결축(91)의 타단측에서 절곡부가 홈부(107)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기구측 암(92)은 기어측 암(89)의 회전에 따라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화살표 X5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폴(43)은 래칫 기어(26)의 래칫 기어부(45)에 맞추어진다. 또한, 폴(43)과 래칫 기어(26)의 래칫 기어부(45)는 권취 드럼 유닛(6)의 웨빙(3)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고,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폴(43)과 래칫 기어(26)의 래칫 기어부(45)가 맞물리는 경우, 웨빙(3)의 인출 방향에서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킹 동작이 실행됨과 함께,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따라서, 클러치 기구(68)와 피니언 기어체(33)가 일체로 되어 회전을 개시하기 이전에, 폴(43)은 권취 드럼 유닛(6)의 웨빙(3)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프리텐셔너 기구(17)의 동작에 따라 피니언 기어체(33)의 회전이 정지한 후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레버(88)의 하단부가 기어측 암(89)의 선단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프리텐셔너 기구(17)의 동작 후에는 폴(43)과 래칫 기어(26)의 래칫 기어부(45)의 맞물림이 유지된다. 이 때문에 권취 드럼 유닛(6)의 래칫 기어(26) 및 와이어 플레이트(25)가 웨빙(3)의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에서, 하우징(11)의 측벽부(12)에는 폴(43) 및 기구측 암(92)의 아래쪽에, 내측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암 보호용 연장부(143)가 마련되어 있다. 또, 하우징(11)의 측벽부(13)에는 연결축(9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대향하도록 형성된 가로로 긴 개구부(144A)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축 보호용 연장부(144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축 보호용 연장부(144B)의 아래쪽에는 차량의 체결편(161)이 장착될 때에, 볼트(162)가 삽입통과되는 볼트 삽입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를 차량의 체결편(161)에 장착하는 경우, 축 보호용 연장부(144B)는 체결편(161)의 상부 에지부와 연결축(91) 상이의 접촉을 방지하고, 암 보호용 연장부(143)는 체결편(161)의 상부 에지부와 기구측 암(92) 또는 폴(43)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를 체결편(161)에 장착하는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차량 충돌시에 있어서, 프리텐셔너 기구(17)의 가스 발생 부재(61)가 작동한 경우, 파이프 실린더(62)의 피스톤 수납부(62B) 내의 피스톤(64)이 통상 상태에서 위쪽으로 이동하여,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에 맞닿아, 피니언 기어체(33)를 회전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피니언 기어체(33)의 피니언 기어부(71)의 톱니가 푸시 블록(87)을 누fms다 따라서, 푸시 블록(87)은 베이스 블록체(66)의 저면부에 세워 마련된 위치결정 돌기(94)를 부러뜨린다. 그리고, 위치결정 돌기(94)가 부러진 푸시 블록(87)은 블록 가압 스프링(87A)에 의해서 눌려 회전 레버(88)의 선단부에 닿고, 이 회전 레버(88)를 눌러 회전운동시킨다. 그 때문에, 이 회전 레버(88)의 하단부가 기어측 암(89)의 선단부로부터 어긋난다. 그것에 의해, 기어측 암(89)이 가압 스프링(90)에 의해서 외측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동시에, 연결축(91)을 거쳐 기구측 암(92)이 회전운동한다. 그 결과, 폴(43)은 권취 드럼 유닛(6)의 래칫 기어(26)의 래칫 기어부(45)와 걸어 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차량 충돌시에 있어서, 프리텐셔너 기구(17)의 가스 발생 부재(61)가 작동하여 작동한 경우, 피스톤(64)에 의한 피니언 기어체(33)의 회전운동과 거의 동시에, 푸시 블록(87), 블록 가압 스프링(87A), 회전 레버(88), 기어측 암(89), 연결축(91) 및 기구측 암(92)에 의해서 폴(43)이 직접 회전운동하여, 권취 드럼 유닛(6)의 래칫 기어(26)에 걸어 맞추어진다. 이 때문에, 프리텐셔너 기구(17)의 작동과 거의 동시에, 폴(43)이 권취 드럼 유닛(6)의 래칫 기어(26)에 걸어 맞춰져, 권취 드럼의 웨빙(3) 인출 방향의 회전을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로킹하여, 차량 탑승자에 의한 웨빙(3)의 인출을 방지하고, 벨트 하중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개량,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

  1. 웨빙을 권회 수납하는 권취 드럼,
    제1의 측벽부와 상기 제1의 측벽부에 대향하는 제2의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측벽부와 상기 제2의 측벽부 사이에서 상기 권취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및
    차량 충돌시에 상기 권취 드럼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웨빙을 권취하는 프리텐셔너 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의 측벽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상기 권취 드럼을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 드럼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의 측벽부의 내측에 대향하도록 상기 권취 드럼의 에지부의 외주에 형성된 래칫 기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의 측벽부의 내측에 일단측이 축지지되어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춰지지 않은 위치에 배치된 폴,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시에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서 직접 작동되어 상기 폴을 상기 래칫 기어에 걸어 맞춘 상태로 록하는 로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의 측벽부의 외측에 일단측을 축지지되는 암 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의 측벽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서 직접 작동되어 상기 암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수단,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의 측벽부의 내측에 일단측이 축지지되어 상기 폴의 상기 래칫 기어에 대해 반대 측의 측면에 맞닿는 압압 부재, 상기 암 부재와 상기 압압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축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제3의 측벽부, 상기 웨빙의 인출 방향에 대해 제3의 측벽부의 대향 단부에 형성되고 차량에 하우징을 장착하기 위해 마련된 볼트 삽입 구멍, 상기 볼트 삽입 구멍에 밀착되는 상기 연결축의 측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3의 측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축 보호용 제1의 연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기 폴에 밀착된 다른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압압 부재의 일 측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의 측벽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압압부재 보호용 제2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20127009287A 2009-09-16 2010-03-30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1289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4108 2009-09-16
JP2009214108A JP5456423B2 (ja) 2009-09-16 2009-09-16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CT/JP2010/056142 WO2011033801A1 (en) 2009-09-16 2010-03-30 Seatbelt retr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402A true KR20120065402A (ko) 2012-06-20
KR101289838B1 KR101289838B1 (ko) 2013-07-26

Family

ID=4217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287A KR101289838B1 (ko) 2009-09-16 2010-03-30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19068B2 (ko)
EP (1) EP2477850A1 (ko)
JP (1) JP5456423B2 (ko)
KR (1) KR101289838B1 (ko)
CN (1) CN102470821A (ko)
AU (1) AU2010296689B2 (ko)
WO (1) WO2011033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4868B2 (ja) * 2008-03-31 2013-08-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5116881A (ja) * 2013-12-17 2015-06-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6381370B2 (ja) * 2014-08-27 2018-08-29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CN110316144A (zh) * 2019-08-12 2019-10-11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安全带卷收器和安全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4883A1 (de) * 1993-05-05 1994-11-10 Trw Repa Gmbh Sicherheitsgurtaufroller
JPH08133011A (ja) * 1994-11-07 1996-05-28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836971B2 (ja) * 1998-02-05 2006-10-25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CA2361712C (en) * 1999-02-16 2007-10-23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take-up device
JP2000313301A (ja) * 1999-04-30 2000-11-14 T S Tec Kk サイドエアーバッグ装置を備える車輌用シート
JP4662214B2 (ja) * 1999-08-18 2011-03-30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03332517A (ja) * 2002-05-14 2003-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波集積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無線装置
JP4163608B2 (ja) 2003-12-16 2008-10-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544931B2 (ja) * 2004-03-26 2010-09-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6306354A (ja) * 2005-04-28 2006-11-09 Shinichi Okamoto 屋根部を上下できる乗り物のシートの収納方法
JP2006315572A (ja) * 2005-05-13 2006-11-24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JP4819645B2 (ja) * 2006-10-12 2011-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878105B1 (ko) 2007-05-18 2009-01-14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
KR101314051B1 (ko) * 2009-03-04 2013-10-01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9223A1 (en) 2012-06-07
EP2477850A1 (en) 2012-07-25
US8419068B2 (en) 2013-04-16
JP2011063081A (ja) 2011-03-31
CN102470821A (zh) 2012-05-23
JP5456423B2 (ja) 2014-03-26
WO2011033801A1 (en) 2011-03-24
AU2010296689A1 (en) 2012-02-02
AU2010296689B2 (en) 2013-04-18
KR101289838B1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542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1227541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1330689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1257007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1227538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1289838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JP5778697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KR101227539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2131700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JP4976326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274870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274871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09241865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362401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0018071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433255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53494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EP2316698B9 (en) Webbing take-up device
JP527687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