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238A - 루버층 보호용 필름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루버층 보호용 필름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238A
KR20120065238A KR1020110130069A KR20110130069A KR20120065238A KR 20120065238 A KR20120065238 A KR 20120065238A KR 1020110130069 A KR1020110130069 A KR 1020110130069A KR 20110130069 A KR20110130069 A KR 20110130069A KR 20120065238 A KR20120065238 A KR 20120065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louver
louver lay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츠네카와
도모히로 마에카와
가츠미 아카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루버층에 적층되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으로서, 내용해성이 우수한 루버층 보호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루버층에 적층되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층 (A) 와, 그 층 (A)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아크릴계 수지층 (B)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이다. 아크릴계 수지층 (B) 는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루버층 보호용 필름 및 그 용도{FILMS FOR PROTECTING A LOUVER LAYER AND APPLICATIONS THEREOF}
본 발명은 루버층 보호용 필름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야각 제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은행의 ATM 이나, 카 내비게이션 등의 차재 장치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에는, 예를 들어 은행의 ATM 에서 사용되는 경우이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사용자 이외에게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한, 차재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이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이 사이드 윈도우 등에 비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상의 시야각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야각을 제어하기 위해, 시야각 제어 필름을, 디스플레이의 사용자측면에 배치하거나, 디스플레이와 광원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디스플레이를 투과한 광은,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대략 정면 방향에 추가하여, 광각측 방향으로도 출사되는데, 시야각 제어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광각측 방향에 대한 출사는 억제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엿보는 것이나, 사이드 윈도우 등에 대한 화상의 비침이 방지된다.
시야각 제어 필름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루버가 내부에 구비된 루버층과, 루버층에 적층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으로 되어 있다. 루버층은, 그 내부에 구비된 루버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광각측 방향으로 출사된 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고, 이 방향에 대한 광의 출사를 억제한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투명성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 되어 있고, 루버층을 보호한다.
특허문헌 1 에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JP 2004-109615A
그런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을 루버층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어 필름을, 그 루버층 보호용 필름이 가장 표면이 되도록 차재 장치에 배치하고, 그 차재 장치를 차량 내에서 사용하면, 그 루버층 보호용 필름이 용해되는 (또는 끈적거리게 된다)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에서 사용해도 용해되지 않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에 관련된 것이다.
(1) 루버층에 적층되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층 (A) 와, 그 층 (A)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아크릴계 수지층 (B)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
(2) 층 (B) 가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3) 고무 입자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 입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인 상기 (2) 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4) 층 (B) 가 투명 미립자를 함유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5) 투명 미립자의 굴절률 (Nd) 와 아크릴계 수지의 굴절률 (Nb) 의 차 (|Nd-Nb|) 가 0.01 이하인 상기 (4) 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6) 투명 미립자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수지와 투명 미립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인 상기 (4) 또는 (5) 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7) 투명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이 1?10 ㎛ 인 상기 (4)?(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8) 층 (B) 의 면이 매트면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9) 층 (B) 의 면의 표면 헤이즈가 13?40 % 인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10) 루버층 보호용 필름 전체의 두께가 20?300 ㎛ 이고, 층 (A) 의 두께가 그 필름의 10?90 % 이고, 층 (B) 의 두께가 5 ㎛ 이상인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11) 층 (A) 의 일방의 면에 층 (B) 가 적층되어 있는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12) 층 (A) 의 양방의 면에 층 (B) 가 적층되어 있는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13) 층 (A) 의 면이 루버층에 적층되는 면인 상기 (11) 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14) 층 (B) 의 면이 루버층에 적층되는 면인 상기 (11) 또는 (12) 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
(15) 상기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과 루버층을 포함하고, 루버층 보호용 필름이 루버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되어 배치되어 있는 시야각 제어 필름.
본 발명의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내용해성이 우수하고, 차량 내에서의 사용에 있어서의 용해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층 (A) (이하, 층 (A)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아크릴계 수지층 (B) (이하, 층 (B)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구비하는 필름으로서, 시야각 제어 필름에 있어서, 루버층에 적층하여 배치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층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층 (A) 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로 되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되는 수지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예를 들어 내열성, 기계적 강도, 투명성 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통상, 2 가 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계면 중축합법, 용융 에스테르 교환법으로 반응시켜 얻어진 것 외에, 카보네이트 프레폴리머를 고상 에스테르 교환법에 의해 중합시킨 것, 또는 고리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개환 중합법에 의해 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2 가 페놀은, 통상, 2 가 페놀이 되는 화합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2 가 페놀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레졸시놀,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5-디메틸)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페닐에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통칭 비스페놀 A),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3-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페닐)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디메틸부탄, 2,4-비스(4-하이드록시페닐)-2-메틸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펜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메틸펜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4-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o-디이소프로필벤젠,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5,7-디메틸아다만탄,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폰,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폭사이드,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피드,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케톤,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 및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2 가 페놀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스페놀 A,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디메틸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메틸펜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 가 페놀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스페놀 A 의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과, 비스페놀 A,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및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2 가 페놀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일반적으로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되는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 관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카보네이트 전구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데, 예를 들어 카르보닐할라이드, 카보네이트에스테르 또는 할로포르메이트 등이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또는 2 가 페놀의 디할로포르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층 (B)>
아크릴계 수지층 (B) 는 아크릴계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되어 있는 층이다.
아크릴계 수지란,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수지가 되는 수지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 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를 말한다. 아크릴계 수지로서, 예를 들어 메타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이고,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이어도 되고, 메타크릴산에스테르 50 중량% 이상과 이것 이외의 단량체 50 중량% 이하의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여기서,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는, 통상,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가 사용된다.
메타크릴 수지의 바람직한 단량체 조성은, 전체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메타크릴산알킬이 50?100 중량%, 아크릴산알킬이 0?50 중량%, 이들 이외의 단량체가 0?49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알킬이 50?99.9 중량%, 아크릴산알킬이 0.1?50 중량%, 이들 이외의 단량체가 0?49 중량% 이다.
메타크릴산알킬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바람직하게는 1?4 이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크릴산알킬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 바람직하게는 1?4 이다.
메타크릴산알킬 및 아크릴산알킬 이외의 단량체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단관능 단량체, 즉 분자 내에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1 개 갖는 화합물이어도 되고, 다관능 단량체, 즉 분자 내에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적어도 2 개 갖는 화합물이어도 되는데, 단관능 단량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단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알케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 N-치환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폴리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아크릴산알릴, 메타크릴산알릴, 계피산알릴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케닐에스테르, 프탈산디알릴, 말레산디알릴,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다염기산의 폴리알케닐에스테르, 디비닐벤젠 등의 방향족 폴리알케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메타크릴산알킬, 아크릴산알킬, 및 이들 이외의 단량체는 각각 필요에 따라 그들의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메타크릴 수지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그 유리 전이 온도가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리 전이 온도는, 단량체의 종류나 그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메타크릴 수지는, 상기 단량체 성분을, 현탁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중합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그 때, 바람직한 유리 전이 온도를 얻기 위해, 또는 바람직한 적층 필름에 대한 성형성을 나타내는 용융 점도를 얻기 위해 등, 중합시에 적당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쇄 이동제의 첨가량은, 단량체의 종류나 그 비율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는 고무 입자를 함유해도 된다. 그 고무 입자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무 입자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고무 입자, 부타디엔계 고무 입자,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입자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내후성, 내구성 면에서, 아크릴 고무 입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크릴 고무 입자는 고무 성분으로서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입자이고, 이 탄성 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의 입자이어도 되고, 이 탄성 중합체층과,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층을 갖는 다층 구조의 입자이어도 되는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B) 의 표면 경도의 관점에서 다층 구조의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탄성 중합체는 아크릴산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이어도 되고, 아크릴산에스테르 50 중량% 이상과 이것 이외의 단량체 50 중량% 이하의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여기서, 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통상, 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가 사용된다.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의 바람직한 단량체 조성은, 전체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산알킬을 50?99.9 중량%, 메타크릴산알킬을 0?49.9 중량%, 이들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를 0?49.9 중량%, 및 다관능 단량체를 0.1?10 중량% 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 중합체에 있어서의 아크릴산알킬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아크릴산알킬의 예와 동일하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 바람직하게는 4?8 이다.
또한, 상기 탄성 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알킬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메타크릴산알킬의 예와 동일하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 바람직하게는 1?4 이다.
상기 탄성 중합체에 있어서의 아크릴산알킬 및 메타크릴산알킬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메타크릴산알킬 및 아크릴산알킬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의 예와 동일하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성 중합체에 있어서의 다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다관능 단량체의 예와 동일하고, 그 중에서도,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케닐에스테르나, 다염기산의 폴리알케닐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성 중합체에 있어서의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산알킬, 이들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 및 다관능 단량체는 각각 필요에 따라 그들의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 고무 입자로서 다층 구조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 그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서술한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층의 외측에,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층을 갖는 것, 즉, 상기 서술한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를 내층으로 하고,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를 외층으로 하는, 적어도 2 층 구조인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외층의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인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는, 통상, 메타크릴산알킬이 사용된다.
또한, 외층의 중합체는, 내층의 탄성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0?4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200 중량부의 비율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외층의 중합체를, 내층의 탄성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그 탄성 중합체의 응집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아크릴계 수지층의 투명성이 양호해진다.
상기 외층의 중합체의 바람직한 단량체 조성은, 전체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메타크릴산알킬을 50?100 중량%, 아크릴산알킬을 0?50 중량%, 이들 이외의 단량체를 0?50 중량%, 및 다관능 단량체를 0?10 중량% 이다.
상기 외층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알킬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메타크릴산알킬의 예와 동일하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 바람직하게는 1?4 이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외층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아크릴산알킬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아크릴산알킬의 예와 동일하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 바람직하게는 1?4 이다.
상기 외층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알킬 및 아크릴산알킬 이외의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메타크릴산알킬 및 아크릴산알킬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의 예와 동일하고, 또한, 다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다관능 단량체의 예와 동일하다.
또, 상기 외층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알킬, 아크릴산알킬, 이들 이외의 단량체, 및 다관능 단량체는 각각 필요에 따라 그들의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다층 구조의 아크릴 고무 입자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2 층 구조의 내층인 상기 서술한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층의 내측에, 추가로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층을 갖는 것, 즉, 이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를 내층으로 하고, 상기 서술한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를 중간층으로 하고, 상기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를 외층으로 하는, 적어도 3 층 구조인 것을 들 수도 있다. 여기서, 내층의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인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는, 통상, 메타크릴산알킬이 사용된다. 또한, 내층의 중합체는, 중간층의 탄성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0?4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200 중량부의 비율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내층의 중합체의 바람직한 단량체 조성은, 전체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메타크릴산알킬을 70?100 중량%, 아크릴산알킬을 0?30 중량%, 이것 이외의 단량체를 0?30 중량%, 및 다관능 단량체를 0?10 중량% 이다.
상기 내층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알킬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메타크릴산알킬의 예와 동일하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 바람직하게는 1?4 이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내층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아크릴산알킬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아크릴산알킬의 예와 동일하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 바람직하게는 1?4 이다.
상기 내층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알킬 및 아크릴산알킬 이외의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메타크릴산알킬 및 아크릴산알킬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의 예와 동일하고, 또한, 다관능 단량체의 예로는, 먼저 메타크릴 수지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다관능 단량체의 예와 동일하다.
또, 상기 내층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알킬, 아크릴산알킬, 이들 이외의 단량체 및 다관능 단량체는 각각 필요에 따라 그들의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 고무 입자는, 먼저 서술한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을, 유화 중합법 등에 의해, 적어도 1 단의 반응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그 때,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중합체층의 외측에,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외층의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을, 상기 탄성 중합체의 존재하에, 유화 중합법 등에 의해, 적어도 1 단의 반응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상기 탄성 중합체에 그래프트시키면 된다.
또,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중합체층의 내측에, 추가로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먼저, 이 내층의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을, 유화 중합법 등에 의해, 적어도 1 단의 반응으로 중합시키고, 이어서, 얻어지는 중합체의 존재하에서, 상기 탄성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을, 유화 중합법 등에 의해, 적어도 1 단의 반응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상기 내층의 중합체에 그래프트시키고, 또한, 얻어지는 탄성 중합체의 존재하에서, 상기 외층의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을, 유화 중합법 등에 의해, 적어도 1 단의 반응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상기 탄성 중합체에 그래프트시키면 된다. 또, 각 층의 중합을, 각각 2 단 이상으로 실시하는 경우, 모두 각 단의 단량체 조성이 아니라, 전체로서의 단량체 조성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으면 된다.
아크릴 고무 입자의 입자직경에 관해서는, 그 고무 입자 중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층의 평균 입자직경이 0.01?0.4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3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7?0.2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탄성 중합체층의 평균 입자직경이 0.4 ㎛ 보다 크면,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B) 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투과율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 탄성 중합체층의 평균 입자직경이 0.01 ㎛ 보다 작으면, 층 (B) 의 표면 경도가 저하되어 흠집이 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상기 평균 입자직경은, 아크릴 고무 입자를 메타크릴 수지와 혼합하여 필름화하고, 그 단면에 있어서 산화루테늄에 의한 상기 탄성 중합체층의 염색을 실시하고,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염색된 부분의 직경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아크릴 고무 입자를 메타크릴 수지에 혼합하고, 그 단면을 산화루테늄으로 염색하면, 모상 (母相) 의 메타크릴 수지는 염색되지 않고, 상기 탄성 중합체층의 외측에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외층의 중합체도 염색되지 않고, 상기 탄성 중합체층만이 염색되기 때문에, 이렇게 하여 염색되고, 전자 현미경으로 대략 원 형상으로 관찰되는 부분의 직경으로부터, 입자직경을 구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중합체층의 내측에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내층의 중합체도 염색되지 않고, 그 외측의 상기 탄성 중합체층이 염색된 2 층 구조의 상태로 관찰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2 층 구조의 외측, 즉 상기 탄성 중합체층의 외경으로 생각하면 된다.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입자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 입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2?4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3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무 입자의 함유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고무 입자의 함유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표면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각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유기계 염료, 무기계 염료, 안료,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계면 활성제, 활제, 실리콘계 화합물 등의 난연제, 필러, 유리 섬유, 내충격성 개질제 등을 들 수 있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제조 공정>
본 발명의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층 (A)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아크릴계 수지층 (B) 가 적층되어 있는 필름이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은 매트면이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층 (B) 의 면이 매트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번쩍거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그 필름면이 매트면인 것에 의해, 번쩍거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매트면의 형성 방법은 목적으로 하는 매트면을 형성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데, 예를 들어 공압출 성형시에 외주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된 금속 롤인, 이른바 매트 롤을 사용한 전사에 의한 방법이나, 매트화제가 되는 입자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공압출 성형에 있어서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른바 매트 롤을 사용한 매트면의 형성 방법이란, 공압출 성형시에 외주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된 금속 롤을 사용하여, 요철을 전사하는 것에 의한 방법이고, 예를 들어 JP 2009-196327A, JP 2009-202382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제조 프로세스 (이하, 본 발명의 제조 프로세스라고 한다) 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조 프로세스 (또는 제조 방법) 는 용융 압출기 (1, 2) 를 2 대 준비한다. 각각의 압출기에 투입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용융 혼련되고, 각각 피드 블록 (3) 에 공급되어 용융되고 적층하여 일체화된다. 그 후, 싱글 매니폴드 다이 (4) (T 다이) 를 개재하여 수지가 확대되고, 다이 선단으로부터 필름상이 되어 압출된다.
본 발명의 제조 프로세스에서는, 다이 전 적층 방식 (또는 다이 앞에서 적층되는 방식) 으로 층 (A) 에 층 (B) 가 적층되고,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 종 3 층 및 2 종 2 층 분배형인 피드 블록 (3) 에 공급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피드 블록 (3) 내에서 층 (A) 의 양면에 층 (B) 가 적층된 3 층 구성으로 하여, 또는 층 (A) 의 일방의 면에 층 (B) 가 적층된 2 층 구성으로 하여 일체화된다.
상기 서술한 제조 프로세스에서는, 피드 블록 (3) 과 다이 (4) 를 사용한 예인데, 이들 대신에, 예를 들어 다이내 적층 방식인 멀티 매니폴드 다이, 다이외 적층 방식인 듀얼 슬롯 다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다이 (4) 로부터 압출된 수지는 대략 수평 방향에 대향 배치된 제 1 냉각 롤 (5) 과 제 2 냉각 롤 (6)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제 3 냉각 롤 (7) 에 의해, 천천히 냉각되고, 루버층 보호용 필름 (8) 을 얻을 수 있다.
제 1 냉각 롤 (5) 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부터 압출 성형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롤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냉각 롤 (5) 은, 예를 들어 직경이 25?100 ㎝ 정도이고, 고무 롤 또는 금속 탄성 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롤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롤이나 불소 고무 롤 등을 들 수 있고, 이형성을 높이기 위해 모래를 섞은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고무 롤의 경도는, JIS K6253 에 준거하여 측정한 A60°? A9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롤의 경도를 상기 범위 내로 하는 것은, 예를 들어 고무 롤을 구성하는 고무의 가교도나 조성을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실시할 수 있다.
금속 탄성 롤이란, 롤의 내부가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롤 또는, 롤의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어 있는 롤로서, 그 롤의 외주부가 굴곡성을 갖는 금속제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롤의 내부가 실리콘 고무 롤로 구성되고, 두께 0.2?1 ㎜ 정도의 원통형의 스테인리스강제 박막이 그 롤의 외주부에 피복된 롤이나, 두께 2?5 ㎜ 정도의 스테인리스강제의 원통형 박막이 롤 단부에서 고정되고, 롤의 내부에 물이나 기름 등의 유체가 봉입되어 있는 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 1 냉각 롤 (5) 로서, 필름의 파장 590 ㎚ 에서의 입사광의 리타데이션값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고무 롤이 바람직하다. 또, 고무 롤이나, 금속 탄성 롤의 금속제 박막의 표면은 반드시 평활할 필요는 없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 2 냉각 롤 (6) 과 동일하게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해도 된다.
제 2 냉각 롤 (6) 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부터 압출 성형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롤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냉각 롤 (6) 은, 예를 들어 직경이 25?100 ㎝ 정도이고, 통상, 금속 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덩어리를 깎아 낸 드릴드 롤이나, 중공 구조의 스파이럴 롤 등의 롤 내부에 유체, 증기 등을 통과시켜 롤 표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금속 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금속 롤의 외주면에 샌드 블라스트나 조각 등에 의해 원하는 요철 형상이 형성된 것을 사용해도 되고, 그 롤을 사용함으로써, 루버층 보호용 필름 중 어느 일방의 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고, 매트면으로 할 수 있다.
다이 (4) 로부터 압출된 수지가, 층 (A) 의 양면에, 층 (B) 가 적층된 적층 수지로서, 일방의 층 (B) 면에 매트면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층 (A) 의 일방의 면에, 층 (B) 가 적층된 적층 수지로서, 층 (B) 면에 매트면을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제 1 냉각 롤 (5) 과 제 2 냉각 롤 (6) 사이에 적층 수지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 2 냉각 롤 (6) 의 상기 요철 형상이 전사되고, 적층 수지는 필름상으로 성형된다. 그 때, 적층 수지의 층 (B) 측이 제 2 냉각 롤 (6) 과 접촉되는 측이 되도록 압출된다. 층 (A) 의 일방의 면에, 층 (B) 가 적층된 적층 수지로서, 그 층 (A) 면에 매트면을 형성하는 경우, 적층 수지의 층 (A) 측이 제 2 냉각 롤 (6) 과 접촉되는 측이 되도록 압출된다.
또, 층 (A) 의 양면에, 층 (B) 가 적층된 적층 수지로서, 양방의 층 (B) 면에 매트면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요철 형상을 외주면에 형성된 냉각 롤끼리의 사이에 그 적층 수지를 끼워 넣으면 된다.
제 1 냉각 롤 (5) 과 제 2 냉각 롤 (6) 사이에 끼워 넣어진 필름은, 제 2 냉각 롤 (6) 에 감긴 후, 인취 롤에 의해 인취되어 권취된다. 이 때, 제 2 냉각 롤 (6) 이후에 제 3 냉각 롤 (7) 을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필름이 천천히 냉각되기 때문에, 필름의 광학 변형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3 냉각 롤 (7) 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부터 압출 성형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금속 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드릴드 롤이나 스파이럴 롤 등을 들 수 있다. 제 3 냉각 롤 (7) 의 표면 상태는 경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냉각 롤 (7) 을 형성하는 경우, 제 2 냉각 롤 (6) 에 감긴 필름을, 제 2 냉각 롤 (6) 과 제 3 냉각 롤 (7) 사이에 통과시켜 제 3 냉각 롤 (7) 에 감도록 한다. 제 2 냉각 롤 (6) 과 제 3 냉각 롤 (7) 사이는,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여 해방 상태로 해도, 양 롤에 끼워 넣어도 된다. 또, 제 3 냉각 롤 (7) 이후에 제 4 냉각 롤, 제 5 냉각 롤, …과 복수 개의 냉각 롤을 형성하고, 제 3 냉각 롤 (7) 에 감은 필름을 순차로, 다음 냉각 롤에 감도록 해도 된다.
또한, 매트면의 형성 방법으로서, 매트화제로서 투명 미립자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공압출 성형에 있어서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의 공압출 성형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전술한 JP 2009-196327A, JP 2009-202382A 호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입자의 효과에 의해 필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냉각 롤 (6) 로서, 표면 상태가 경면인, 통상의 금속 롤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이 때에 사용하는 투명 미립자는, 통상, 이른바 광확산제라고 불리는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광확산제로서,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 스티렌계 중합체 입자, 실록산계 중합체 입자 등의 유기계 입자,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산화규소), 무기 유리, 탤크, 마이카, 화이트카본,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등의 무기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 무기계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지방산 등의 표면 처리제로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입자도 투명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의 요철감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수지 성분인 아크릴계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그다지 크지 않은 투명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투명 미립자는, 그 굴절률 (Nd) 와, 아크릴계 수지의 굴절률 (Nb) 의 차 (|Nd-Nb|) 가 0.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굴절률의 차 (|Nd-Nb|) 가 0.01 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미립자로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 스티렌계 중합체 입자, 실록산계 중합체 입자 등의 유기계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들 입자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의 입자이고, 이 중합체는 메타크릴산메틸과, 이것 이외의 분자 내에 라디칼 중합 가능한 이중 결합을 1 개 갖는 단관능 단량체와, 분자 내에 라디칼 중합 가능한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다관능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가교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먼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의 단량체의 예로서 예시한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계 단량체, 그리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스티렌계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에 있어서의 다관능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1,4-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프로필렌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타크릴레이트류 ;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프로필렌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아크릴레이트류 ; 디비닐벤젠, 디알릴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다관능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의 굴절률은 통상 1.46?1.55 정도이고, 벤젠 골격이나 할로겐 원자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큰 굴절률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는, 예를 들어 현탁 중합법, 미크로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분산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스티렌계 중합체 입자는 스티렌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의 입자이고, 이 중합체는 스티렌과, 이것 이외의 분자 내에 라디칼 중합 가능한 이중 결합을 1 개 갖는 단관능 단량체와, 분자 내에 라디칼 중합 가능한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다관능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가교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중합체 입자에 있어서의 스티렌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의 예로서, 메타크릴산메틸 외에, 먼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의 단량체의 예로서 예시한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계 단량체, 그리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스티렌계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메타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스티렌계 중합체 입자에 있어서의 다관능 단량체의 예로서, 먼저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의 다관능 단량체의 예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중합체 입자의 굴절률은 통상 1.53?1.61 정도이고, 벤젠 골격이나 할로겐 원자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큰 굴절률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 스티렌계 중합체 입자는, 예를 들어 현탁 중합법, 미크로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분산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 및 스티렌계 중합체 입자에서 사용되는 다관능 단량체의 비율은, 전체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통상 0.05?15 질량%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1?10 질량% 이다. 다관능 단량체의 양이 너무 적으면, 입자의 가교 정도가 충분하지 않고, 압출 성형에 있어서 열이나 전단이 가해진 경우에 입자가 크게 변형되기 쉽고, 결과적으로 원하는 광확산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또, 다관능성 단량체의 양이 너무 많으면, 압출 성형시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실록산계 중합체 입자는, 예를 들어 클로로실란류를 가수분해하고, 축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중합체의 입자이다.
클로로실란류로서, 예를 들어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디페닐디클로로실란, 페닐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실록산계 중합체는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실록산계 중합체에 과산화벤조일, 과산화2,4-디클로르벤조일, 과산화p-클로르벤조일, 과산화디큐밀, 과산화디-t-부틸-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 등의 과산화물을, 실록산계 중합체에 작용시킴으로써, 가교시킬 수 있다. 또한, 말단 실라놀기를 갖는 경우, 알콕시실란류와 축합 가교시켜도 된다. 가교된 중합체는, 규소 원자 1 개당, 유기 잔기가 2?3 개 정도 결합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록산계 중합체는 실리콘 고무, 실리콘 레진이라고도 불리는 중합체로서, 상온에서는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실록산 중합체 입자는 이러한 실록산 중합체를 분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선상 오르가노실록산 블록을 갖는 경화성 중합체나 그 조성물을 분무 상태로 경화시킴으로써, 입상 입자로 해도 된다. 또, 알킬트리알콕시실란 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을 암모니아 또는 아민류의 수용액 중에서 가수분해 축합시킴으로써 입상 입자로서 얻어도 된다.
이러한 실록산계 중합체 입자의 굴절률은 통상 1.40?1.47 정도이다.
투명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은, 원하는 표면 요철 형상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면 되는데, 원하는 표면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기 위해, 1?1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9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8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투명 미립자는 구형인 것이 일반적인데, 직사각형, 인편형, 침형, 판형 등의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중의 투명 미립자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와 투명 미립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 미립자의 함유량이 1 중량부보다 적으면, 층 (B) 면의 요철 형상의 형성이 불충분해지고, 번쩍거림의 발생을 억제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 15 중량부보다 많으면, 얻어지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이 무르고 갈라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
본 발명의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두께는, 20?3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2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2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가 20 ㎛ 미만이면 필름 자체의 강성이 낮아지므로,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내용해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또, 300 ㎛ 보다 두꺼우면, 입사광의 리타데이션값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파장 590 ㎚ 의 입사광의 리타데이션값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을 포함하는 시야각 제어 필름이, 예를 들어 카 내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경우, 액정 표시에 이용되는 광이 편광이므로, 광학 변형이 작은 것이 요구되고, 30 ㎚ 이하의 리타데이션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의 리타데이션값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의 리타데이션값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름의 리타데이션값을 상기 소정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공압출 성형에서의 제 1 냉각 롤 (5) 이 고무 롤 또는 금속 탄성 롤이면 되고, 보다 리타데이션값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고무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반사광에 의해 층 (B) 면에 발생하는 번쩍거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층 (B) 면의 표면 헤이즈가 10?4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헤이즈가 10 % 미만이면, 층 (B) 면에 번쩍거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40 % 보다 높으면, 필름이 하얗게 보일 우려가 있다. 여기서, 표면 헤이즈란, 층 (A) 면에 물을 도포하고, 도포한 물 위에 아크릴판을 배치하여, 루버층 보호용 필름에 아크릴판을 밀착시켜, 첩합 (貼合) 한 적층체를 제조하고, 그 적층체의 헤이즈를, JIS K7136 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얻어진 값을 말한다. 층 (B) 면의 표면 헤이즈를 상기 소정의 범위 내로 하기 위해, 공압출 성형에 있어서, 제 1 냉각 롤 (5) 을 금속 탄성 롤 또는 고무 롤로 하고, 제 2 냉각 롤 (6) 을 금속 롤로 하면 되고, 또는, 그 층 (B) 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여 매트면으로 하고, 이러한 요철 형상을 적절히 조정해도 된다. 요철 형상을 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투명 미립자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공압출 성형에 있어서 층 (B) 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 투명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이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함유량을 조정하면 된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층 (B) 면의 60°경면 광택도가 40?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60°경면 광택도가 40 % 미만이면, 필름이 하얗게 보일 우려가 있다. 또한, 100 % 보다 높으면, 층 (B) 면에 번쩍거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층 (B) 의 두께가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가 5 ㎛ 미만이면,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내용해성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층 (A) 의 두께는 층 (B) 의 두께와 필름 전체의 두께로부터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필름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10?90 % 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85 % 의 두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75 % 의 두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층 (A) 의 두께가 필름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10 % 미만이면, 필름의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종래의 루버층 보호용 필름을 루버층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어 필름을, 그 루버층 보호용 필름이 가장 표면이 되도록 차재 장치에 설치하고, 그 차재 장치를 차량 내에서 사용하면, 그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용해된다 (또는 끈적거리게 된다). 이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용해는, 차량내 온도의 상승에 의해, 자동차 내장 부품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 중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휘발되고, 그 휘발 성분이 그 루버층 보호용 필름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으로 추찰된다. 자동차 내장 부품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로부터 휘발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할로겐을 포함하는 유기 인계 난연제로부터 휘발되는 할로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층 (A) 와, 그 층 (A)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층 (B) 를 갖고, 이들 휘발 성분에 대한 내용해성이 우수하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은 층 (A) 의 일방의 면에 층 (B) 를 구비하는 2 층 구성이어도 되고, 층 (A) 의 양방의 면에 층 (B) 를 구비하는 3 층 구성이어도 된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으로부터, 시야각 제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루버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루버층 보호용 필름을 적층하면 된다. 루버층 보호용 필름이 층 (A) 의 일방의 면에 층 (B) 를 구비하는 2 층 구성인 경우, 휘발 성분에 대한 내용해성 면에서, 층 (A) 의 면을 루버층에 적층하고, 층 (B) 를 표면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시야각 제어 필름을 차재 장치에 배치하는 경우, 층 (B) 가 가장 표면, 즉 운전자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루버층에 대한 루버층 보호용 필름의 적층은 접착제층을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시되는 접착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의 루버층 보호용 필름을 갖는 시야각 제어 필름은 차재 장치에 대한 사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은행의 ATM 의 디스플레이 등, 표시되는 화상에 시야각 제어가 필요시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고, 그들 디스플레이의 사용자측면에 배치하거나, 그 디스플레이와 광원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실시예 중,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기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압출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압출기 (1) : 벤트가 부착된 스크루 직경 65 ㎜ 1 축 압출기 (도시바 기계 (주) 제조)
압출기 (2) : 벤트가 부착된 스크루 직경 45 ㎜ 1 축 압출기 (도시바 기계 (주) 제조)
피드 블록 (3) : 2 종 3 층 분배형 피드 블록 (히타치 조선 (주) 제조)
다이 (4) : T 다이
압출기 (1 및 2), 피드 블록 (3), 다이 (4), 제 1?제 3 냉각 롤 (5?7) 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고, 각 냉각 롤 (5?7) 을 이하와 같이 구성하였다.
<롤 구성 1>
제 1 냉각 롤 (5), 제 2 냉각 롤 (6) 및 제 3 냉각 롤 (7) 을 이하와 같이 구성하였다.
제 1 냉각 롤 (5) : 외경 450 ㎜Φ 이고 경도 A70°의 실리콘 고무 롤
제 2 냉각 롤 (6) : 외경 450 ㎜Φ 이고 경면 마무리의 스테인리스강제의 금속 롤 (드릴드 롤)
제 3 냉각 롤 (7) : 외경 450 ㎜Φ 이고 경면 마무리의 스테인리스강제의 금속 롤 (드릴드 롤)
<롤 구성 2>
제 1 냉각 롤 (5), 제 2 냉각 롤 (6) 및 제 3 냉각 롤 (7) 을 이하와 같이 구성하였다.
제 1 냉각 롤 (5) : 외경 450 ㎜Φ 이고 축 롤의 외주면을 덮도록 금속제 박막이 배치되고, 축 롤과 금속제 박막 사이에 유체가 봉입되어 있는 금속 탄성 롤
제 2 냉각 롤 (6) : 외경 450 ㎜Φ 이고 경면 마무리의 스테인리스강제의 금속 롤 (드릴드 롤)
제 3 냉각 롤 (7) : 외경 450 ㎜Φ 이고 경면 마무리의 스테인리스강제의 금속 롤 (드릴드 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투명 미립자 (매트화제) 및 아크릴 고무 입자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는, 스미토모 다우 (주) 제조의 「카리바 301-10 (상품명)」을 사용하였다.
<메타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로서, 메타크릴산메틸 97.8 % 와 아크릴산메틸 2.2 %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벌크 중합에 의해 얻어진 열가소성 중합체 (유리 전이 온도 104 ℃) 의 펠릿을 사용하였다. 또, 이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7121:1987 에 따라서,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가열 속도 10 ℃/분으로 구한 보외 (補外) 유리 전이 개시 온도이다.
<투명 미립자 (매트화제)>
투명 미립자로서, 체적 평균 입자직경 5.1 ㎛, 굴절률 (Nd) 1.495 의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의 가교 메타크릴산메틸계 중합체 입자 「MBX-5H (상품명)」를 사용하였다.
<아크릴 고무 입자>
아크릴 고무 입자로서, 최내층이 메타크릴산메틸 93.8 % 와 아크릴산메틸 6 % 와 메타크릴산알릴 0.2 %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경질 중합체이고, 중간층이 아크릴산부틸 81 % 와 스티렌 17 % 와 메타크릴산알릴 2 %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탄성 중합체이고,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 94 % 와 아크릴산메틸 6 %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경질 중합체이고, 최내층/중간층/최외층의 중량 비율이 35/45/20 이고, 중간층의 탄성 중합체층의 평균 입자직경이 0.22 ㎛ 인, 유화 중합법에 의한 구형 3 층 구조의 고무 입자를 사용하였다.
또, 아크릴 고무 입자에 있어서의 중간층의 탄성 중합체층의 평균 입자직경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탄성 중합체층의 평균 입자직경의 측정]
아크릴 고무 입자를 메타크릴 수지와 혼합하여 필름화하고, 얻어진 필름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내고, 절편을 0.5 % 4산화루테늄 수용액에 실온에서 15 시간 침지하고, 그 고무 입자 중의 탄성 공중합체층을 염색하였다. 또한, 미크로톰을 사용하여 약 80 ㎚ 의 두께로 샘플을 절단한 후,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이 사진으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염색된 탄성 공중합체층을 선택하고, 그 각각의 입자직경을 산출한 후, 그 수평균값을 평균 입자직경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층 (A) 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용융 혼련하여, 압출기 (1) 로부터 피드 블록 (3) 에 공급하고, 층 (B) 로서, 메타크릴계 수지 및 아크릴 고무 입자를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고, 압출기 (2) 로부터 피드 블록 (3) 에 공급하여 층 (A)/층 (B) 의 2 층 구성이 되도록 적층하고, 다이 (4) 로부터 필름상의 적층 수지를 압출하였다.
다음으로, 다이 (4) 로부터 압출된 적층 수지를, 층 (B) 가 제 2 냉각 롤 (6) 에 접촉하도록 하여, 제 1 냉각 롤 (5) 과 제 2 냉각 롤 (6) 사이에 끼워 넣고, 필름을 성형하였다. 또한, 제 2 냉각 롤 (6) 에 감긴 필름을, 제 2 냉각 롤 (6) 과 제 3 냉각 롤 (7) 사이에 통과시키고, 제 3 냉각 롤 (7) 에 감아, 층 (A) 의 일방의 면에 층 (B) 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2 층 구성이고, 층 (A), 층 (B) 및 필름 전체의 두께가 각각 표 1 에 나타내는 두께인 필름을 얻었다. 또, 표 1 중의 층 (A), 층 (B) 에 있어서의 「두께」는 층 (A), 층 (B) 의 각 두께를 나타내고 있고, 「총 두께」는 얻어진 루버층 보호용 필름 전체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층 (B) 로서, 메타크릴 수지, 투명 미립자 및 아크릴 고무 입자를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 에 나타내는 두께의 2 층 구성이고, 층 (B) 면이 매트면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냉각 롤의 구성을 상기 롤 구성 2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 에 나타내는 두께의 2 층 구성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압출기 (2) 로부터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공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 에 나타내는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의 필름을 얻었다.
Figure pat00001
얻어진 각 필름에 관해서,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리타데이션값>
얻어진 필름으로부터 가로 세로 50 ㎜ 사이즈로 시험편을 잘라내고, 미소 면적 복굴절률계 (오지 계측 기기 (주) 제조의 「KOBRA-CCD/X (상품명)」) 를 사용하여, 590 ㎚ 의 단색광을 층 (B) 면에 입사했을 때의 리타데이션값을 측정하였다.
<표면 헤이즈>
얻어진 필름의 층 (A) 면에 물을 도포하고, 도포한 물 위에, 두께 1 ㎜ 의 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의 아크릴판 「스미펙스 E000 (상품명)」을 배치하여, 얻어진 필름에 그 아크릴판을 밀착시키고, 첩합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적층체의 헤이즈를, JIS K7136 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얻어진 값을 표면 헤이즈로 하였다.
<60°경면 광택도>
JIS Z8741 에 준거하여, 얻어진 필름의 층 (B) 면의 60°경면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번쩍거림>
암실 내에서, 얻어진 필름의 층 (B) 면에, 두께 5 ㎜ 의 유리판을 배치하고, 유리판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3 m 의 위치에서 백열 전구로 비추면서, 유리판 너머로 층 (B) 면을 봤을 때, 그 면에 번쩍거림이 보이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번쩍거림이 보이지 않은 경우를 「○」, 번쩍거림이 보인 경우를 「×」로 판정하였다.
<내용해성>
얻어진 필름이, 차량 내의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이하의 내용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층 (B) 면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필름의 경우에는, 층 (A) 면) 에 용제 1?5 를 각각 0.1 ㎖ 적하하고, 85 ℃ 의 오븐 내에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켰다. 이어서, 필름을 오븐으로부터 꺼내고, 그 면에 적하한 용제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닦아낸 후, 그 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용해되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용해되지 않은 경우를 「○」, 일부 또는 전부가 용해된 경우를 「×」로 판정하였다.
용제 1 : 카오 (주) 제조의 「카오라이저 420 (상품명)」
용제 2 : 카오 (주) 제조의 「카오라이저 410 (상품명)」
용제 3 : 에어프로덕츠 재팬 (주) 제조의 「Dabco TRM (상품명)」
용제 4 : 에어프로덕츠 재팬 (주) 제조의 「Dabco 33LX (상품명)」
용제 5 : 에어프로덕츠 재팬 (주) 제조의 「Dabco BLX11 (상품명)」
Figure pat00002
1, 2 : 압출기
3 : 피드 블록
4 : 다이
5 : 제 1 냉각 롤
6 : 제 2 냉각 롤
7 : 제 3 냉각 롤
8 : 루버층 보호용 필름

Claims (15)

  1. 루버층에 적층되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층 (A) 와, 그 층 (A)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아크릴계 수지층 (B)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층 (B) 가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되어 있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고무 입자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 입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인 루버층 보호용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B) 가 투명 미립자를 함유하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투명 미립자의 굴절률 (Nd) 와 아크릴계 수지의 굴절률 (Nb) 의 차 (|Nd-Nb|) 가 0.01 이하인 루버층 보호용 필름.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투명 미립자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수지와 투명 미립자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5 중량부인 루버층 보호용 필름.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이 1?10 ㎛ 인 루버층 보호용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B) 의 면이 매트면인 루버층 보호용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B) 의 면의 표면 헤이즈가 13?40 % 인 루버층 보호용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루버층 보호용 필름 전체의 두께가 20?300 ㎛ 이고,
    층 (A) 의 두께가 그 필름의 10?90 % 이고,
    층 (B) 의 두께가 5 ㎛ 이상인 루버층 보호용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A) 의 일방의 면에 층 (B) 가 적층되어 있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A) 의 양방의 면에 층 (B) 가 적층되어 있는 루버층 보호용 필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층 (A) 의 면이 루버층에 적층되는 면인 루버층 보호용 필름.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층 (B) 의 면이 루버층에 적층되는 면인 루버층 보호용 필름.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루버층 보호용 필름과 루버층을 포함하고, 루버층 보호용 필름이 루버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되어 배치되어 있는 시야각 제어 필름.
KR1020110130069A 2010-12-10 2011-12-07 루버층 보호용 필름 및 그 용도 KR20120065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5428 2010-12-10
JP2010275428 2010-12-10
JP2011026891A JP2012137722A (ja) 2010-12-10 2011-02-10 ルーバー層保護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JP-P-2011-026891 2011-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238A true KR20120065238A (ko) 2012-06-20

Family

ID=4667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069A KR20120065238A (ko) 2010-12-10 2011-12-07 루버층 보호용 필름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137722A (ko)
KR (1) KR20120065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0386A1 (de) 2012-06-18 2013-12-19 Dongyang Mechatronics Corp. Bolzenanordnung für eine Scheibenwischervorrichtung eines Fahrzeu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1259A (ja) * 2018-04-19 2019-10-3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視野角制御シート
US20230266511A1 (en) * 2020-09-01 2023-08-24 Shin-Etsu Polymer Co., Ltd. Diffused light control sheet and diffused light irradi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0386A1 (de) 2012-06-18 2013-12-19 Dongyang Mechatronics Corp. Bolzenanordnung für eine Scheibenwischervorrichtung eines 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7722A (ja)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625B1 (ko) 광확산 필름,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JP5620644B2 (ja) タッチパネル用積層押出樹脂板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表面塗工板
KR20110085899A (ko) 광학용 매트 필름
TW200946971A (en) Light-diffusing laminated resin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tiglare film, antiglare polarizer, and image display
JP2009262542A (ja) 艶消し樹脂フィルム
JP2015132691A (ja) 樹脂積層板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0072630A (ja) 光制御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面光源装置
JP4835320B2 (ja) レンズ形状賦型用積層フィルム及びレンズフィルム
KR102156445B1 (ko) 표면 처리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JP6648054B2 (ja) タッチパネル
WO2015186810A1 (ja) 画像表示装置用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20065238A (ko) 루버층 보호용 필름 및 그 용도
JP2013197083A (ja) 光学機能部材支持用複層フィルム、プリズムシート、光源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KR20120044261A (ko) 광학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36381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098992A1 (ja) 光拡散性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11732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55521A (ja) 耐擦傷性樹脂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型情報端末の表示窓保護板
JP2012245662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95483A (ja) 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JP2013043390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72010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フィルム
JP2011232435A (ja) ディスプレイ保護用樹脂板
JP5341053B2 (ja) 光拡散性積層樹脂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44260A (ko) 광학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