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645A -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645A
KR20120064645A KR1020117005097A KR20117005097A KR20120064645A KR 20120064645 A KR20120064645 A KR 20120064645A KR 1020117005097 A KR1020117005097 A KR 1020117005097A KR 20117005097 A KR20117005097 A KR 20117005097A KR 20120064645 A KR20120064645 A KR 2012006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guest material
guest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613B1 (ko
Inventor
유타카 테라오
코지 카와구치
토시오 하마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dop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30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or Fermi energy val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40Interrelation of parameters between multiple constituent active layers or sublayers, e.g. HOMO values in adjacent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EL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소자로서, 상기 유기발광층이 전자수송성의 호스트 재료 및, 적어도 제1의 게스트 재료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는 모두 청색 내지 청록색 영역에 발광 피크를 가지고 있고, 또한, 호스트 재료의 이온화 포텐셜(IPH) 및 전자친화력(AFH)에 대하여, 하기 식(1)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이온화 포텐셜(IPG1) 및 전자친화력(AFG1)을 가지는 제1의 게스트 재료의 적어도 1종을, 상기 발광층이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동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높은 효율을 실현한다고 하는 현저한 이점을 제공한다.
IPH≤IPG1, 또한 AFH <AFG1 (1)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본 발명은, 플랫패널 디스플레이 및 조명용 광원에 응용가능한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디스플레이의 저(低)소비전력화에 직결되는 고효율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색변환형 컬러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는, 청 내지 청록의 발광을 행하는 유기발광소자(이하, 청색 내지 청록색 유기발광소자라고 함)를 이용하여, 청(靑) 픽셀에 대해서는 청색의 컬러필터를 이용하여 청색광을 투과시키고, 적(赤) 픽셀에 대해서는 색변환층을 이용한 EL광의 파장변환에 의해 적색발광을 얻는다.
녹색에 대해서는, 컬러필터에 의해 EL광 중 녹색성분을 투과시키거나, 혹은 녹(綠) 발광하는 색변환층을 이용함으로써 녹색발광을 얻는 것이다.
유기발광소자로서는, 적?녹?청 중 어느 화소에도 청색 내지 청록색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다. 따라서, 색변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청색 내지 청록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이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 등의 성능을 크게 좌우한다.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의 향상 수단으로서, 호스트 재료(host material) 중에 게스트 재료(guest material)를 도프(doping)한 것을 발광층으로서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본 방법은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의해 여기(勵起)된 호스트 재료로부터 게스트 재료로 에너지를 이동시켜, 게스트 재료에 의한 형광을 발광시키는 것이다. 게스트 재료의 도프농도는 수%로 낮기 때문에, 게스트 재료끼리의 상호작용에 의한 농도소광(concentration quenching, 濃度消光)이 발생하지 않고, 게스트 재료를 이상에 가까운 상황에서 발광시킬 수 있다. 본 방식의 발광 효율을 결정하는 인자는, 호스트 재료상에서의 재결합에 의한 일중항 여기자(singlet excitons)의 생성 확률, 게스트 재료로의 에너지 이동 효율, 게스트 재료의 형광 양자 수율(fluorescence quantum yield) 등을 포함한다.
보다 높은 효율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인광(燐光) 발광을 활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 참조). 인광 발광은 삼중항 상태(triplet state)로부터의 발광이기 때문에, 여기자 생성 확률이 높고, 대폭적인 발광 효율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핑 기술을 응용하여, 형광 유기발광소자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는 시도가 있다. 예컨대, 호스트 재료 중에, 전자정공 결합 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의 도펀트, 및 정공을 포착(trapping)할 수 있는 제2의 도펀트를 포함하는 유기EL층을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다른 예로서, 발광층이, 호스트 재료와, 이하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제1의 도펀트 및 제2의 도펀트를 포함하는 2종의 유기발광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3 참조). 그중 하나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이다.
(A) EV0>EV1 또한 EV0>EV2
(B) EC0≥EC2
(C) Eg0>Eg1, Eg2
(식 중, EV0, EV1, EV2는 각각 호스트 재료, 제1의 도펀트, 제2의 도펀트의 가전자 레벨(valence electron levels), EC0, EC2는 각각 호스트 재료, 제2의 도펀트의 전도 레벨(conduction levels), Eg0, Eg1, Eg2는 각각 발광층 재료, 제1의 도펀트, 제2의 도펀트의 에너지 갭이다).
또한, 다른 하나의 유기발광소자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이다.
(A') EV0>EV1 또한 EV0>EV2
(B') EC0≥EC1, EC2
(식 중, EV0, EV1, EV2는 각각 호스트 재료, 제1의 도펀트, 제2의 도펀트의 가전자 레벨, EC0, EC1, EC2는 각각 호스트 재료, 제1의 도펀트, 제2의 도펀트의 전도 레벨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S63-264692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38140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171828호
[비특허문헌 1] M. A. Baldo, S. Lamansky, P. E. Burrows, M. E. Thompson and S. R. Forrest, Applied Physics Letters, volume 75, issue 1, p4(1999년)
그러나,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인광 발광 방식에 있어서 색변환 방식에 필요한 청색 내지 청록색의 발광을 행하는 경우, 청색 내지 청록색 발광에 적합한 삼중항 에너지(triplet energy), 즉 큰 밴드갭(band gap)을 가지는 호스트 재료가 필요하게 된다. 그렇지만, 현재 시점에서 호스트 재료의 선택지(choice of the host material)가 한정되어 있으며, 발광 효율 및 구동 안정성이 양립하는 실용적인 호스트 재료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또한, 구동 안정성에 관해서는, 인광 발광은 형광 발광에 비하여 발광 상태가 오래 유지되기 때문에, 여기상태의 발광 재료가 다른 재료와 반응하여, 소광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재료수명이 짧다고 생각되며,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더욱 브레이크스루(breakthrough)가 필요하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그 실시예에 있어서, 1종류만의 도펀트를 이용한 예보다는 발광 효율 및 발광 수명이 개선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 기술을 청색 또는 청록색 유기발광소자에 적용한 예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2종류의 도펀트가 모두 발광할 수 있는 구성의 유기발광소자는, 캐리어 수송 도펀트를 더 이용함으로써 발광 효율 및 발광 수명은 향상하지만, 본질적으로 구동 전압이 높다고 하는 문제를 가진다. 왜냐하면, 2종류의 도펀트 양방이 전자를 포착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청색 내지 청록색 유기발광소자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대비에 있어서, 확실히 구동 전압을 상승시키지 않고, 휘도 효율의 향상 및 구동 수명의 연장이 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그 휘도 효율 및 구동 수명은 모두 단일 도펀트로도 달성할 수 있는 성능 레벨이며, 효과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고휘도, 고효율이며 장수명인 청색 내지 청록색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형광 발광을 이용한, 청색 내지 청록색 유기발광소자의 보다 고효율화를 목표로 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는, 적어도 일방이 가시광 투과성을 가지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EL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로서,
상기 유기발광층이 전자수송성의 호스트 재료 및, 적어도 제1의 게스트 재료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는 모두 청색 내지 청록색 영역에 발광 피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의 게스트 재료는, 상기 호스트 재료의 이온화 포텐셜(IPH) 및 전자친화력(AFH)에 대하여, 식(1)
IPH≤IPG1, 또한 AFH<AFG1 (1)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이온화 포텐셜(IPG1) 및 전자친화력(AFG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에 따르면, 구동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높은 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유기EL층)
유기EL층은,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서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및/또는 전자주입층을 개재시킨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유기EL층은 하기와 같은 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채용된다. 한편, 하기에는 양극, 음극도 포함시켜 나타내고 있지만, 유기EL층은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존재하는 층이다. 또한, 양극 및 음극은, 반사전극 또는 투명전극 중 어느 하나이다.
(1) 양극/유기발광층/음극
(2) 양극/정공주입층/유기발광층/음극
(3) 양극/유기발광층/전자주입층/음극
(4) 양극/정공주입층/유기발광층/전자주입층/음극
(5) 양극/정공수송층/유기발광층/전자주입층/음극
(6) 양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유기발광층/전자주입층/음극
(7) 양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유기발광층/전자수송층/전자주입층/음극
(투명전극(양극))
본 발명의 한 쌍의 전극 중, 가시광 투과성을 가지는 전극을 투명전극이라고 칭한다. 투명전극은, ITO(인듐-주석 산화물), 산화주석, 산화인듐, IZO(인듐-아연 산화물), IWO(인듐-텅스텐 산화물), 산화아연, 아연-알루미늄 산화물, 아연-갈륨 산화물, 또는 이들의 산화물에 대하여 F, Sb 등의 도펀트를 첨가한 도전성 투명 금속산화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투명전극은, 증착법, 스퍼터법 또는 화학기상퇴적(CVD)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정공주입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발광소자의 정공주입층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는, 트리아릴아민 부분구조(triarylamine moiety), 카르바졸(carbazole) 부분구조, 또는 옥사디아졸(oxadiazole) 부분구조를 가지는 재료 등, 일반적으로 유기EL 소자 또는 유기TFT소자에 이용되고 있는 정공수송 재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정공수송 재료는, 예컨대, N, N'-디페닐-N, N'-비스(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N, N, N', N'-테트라키스(tetrakis)(4-메톡시페닐(methoxyphenyl))-벤지딘(benzidine)(MeO-TPD), 4,4',4"-트리스{1-나프틸(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1-TNATA), 4,4',4"-트리스{2-나프틸(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2-TNATA), 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m-MTDATA),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NPB), 2,2',7,7'-테트라키스(N,N-디페닐아미노)-9,9'-스피로비플루오렌(spirobifluorene)(Spiro-TAD), N, N'-디(di)(비페닐-4-일(yl))-N, 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p-BPD), 트리(o-테르페닐(terphenyl)-4-일)아민(o-TTA), 트리(p-테르페닐-4-일)아민(p-TTA), 1,3,5-트리스[4-(3-메틸페닐페닐아미노)페닐]벤젠(m-MTDAPB), 또는 4,4',4"-트리스-9-카르바졸릴트리페닐아민(carbazolyltriphenylamine)(TCTA)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의 일반적인 재료 이외에, 각 유기 전자재료 메이커가 시판하고 있는 정공수송성 재료 등도 사용하여, 정공주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정공수송 재료에 전자수용성 도펀트를 첨가(p타입 도핑)하여 정공주입층을 형성해도 좋다. 전자수용성 도펀트는, 유기반도체 또는 무기반도체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용할 수 있는 유기반도체는, 예컨대, 2,3,5,6-테트라플루오로(tetrafluoro)-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tetracyanoquinodimethane)(F4-TCNQ) 등과 같은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유도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무기반도체는, 산화 몰리브덴(MoO3), 산화 텅스텐(WO3), 또는 산화 바나듐(V2O5)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전자수용성 도펀트의 얇은 막을 양극 상에 형성하여, 정공주입층으로 할 수도 있다.
정공주입층은, 증착법, 특히 저항가열 증착법 등의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자수용성 도펀트를 첨가할 경우에는, 도펀트 재료와 정공수송 재료를 진공챔버 중에서 동시에 가열 증발시켜 증착하는, 공증착(co-evaporation method)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산화 몰리브덴 등의 무기산화물 박막을 이용할 경우에는, 저항가열 증착 외에, 전자 빔 증착(electron beam deposi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등도 형성방법으로서 적절하게 이용된다.
(정공수송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EL소자의 정공수송층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로서는, 상기 정공주입층에서 예시한 것과 같은, 유기EL소자 또는 유기TFT의 정공수송 재료에 사용되는 공지된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정공수송층은, 증착법, 특히 저항가열 증착법 등의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발광층은, 전자수송성의 호스트 재료와, 적어도 제1의 게스트 재료,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를 포함한다. 제1의 게스트 재료는, 호스트 재료의 이온화 포텐셜(IPH), 및 전자친화력(AFH)에 대하여, 식(1)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이온화 포텐셜(IPG1), 및 전자친화력(AFG1)을 가진다.
IPH≤IPG1, 또한 AFH<AFG1 (1)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소자의 유기발광층은, 호스트 재료상에서 생성한 일중항 여기자의 여기 에너지가, 게스트 재료로 이동하여 발광하는 기구 외에, 제1의 게스트 재료에서 일중항 여기자가 직접 생성되고, 발광되는 기구를 겸비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 때문에, 유기발광층 전체의 여기자의 생성량을 향상시키고, 단일 게스트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층에서는 실현곤란할 정도로 높은 발광 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서는, 일반적으로 고효율을 나타내는 안트라센계(anthracene-based) 호스트 재료 등을 이용한 청색 또는 청록색 소자에 있어서는, 발광층 내에서는, 전자, 정공이 동등하게 주행하고 있지 않으며, 전자가 주로 주행하여, 재결합영역이 정공수송층 측에 치우쳐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요건인 식(1)과 같이, 제1의 게스트 재료가, IPH≤IPG1으로 정공 트랩성(hole trapping property)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AFH<AFG1이기 때문에, 전자 트랩성을 가짐으로써, 제1의 게스트 재료상에서 직접 여기자가 형성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발광층에 정공 트랩성을 부여하지 않고, 전자 트랩성을 불필요하게 함으로써, 재결합영역의 치우침(displacement)을 완화시키고 있는 것도, 고효율화, 고신뢰성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제1의 게스트 재료에 있어서 일중항 여기자를 직접 생성하여 발광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제1의 게스트 재료의 광학 밴드갭(EGG1)과, 호스트 재료의 광학 밴드갭(EGH)이, 식(2)의 관계를 충족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제1의 게스트 재료의 발광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제1의 게스트 재료로부터 호스트 재료로의 쓸데없는 에너지 이동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EGH>EGG1 (2)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는, 제1의 게스트 재료가 전자를 트랩함으로써 일중항 여기자의 직접 생성 및 발광을 발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단, 제1의 게스트 재료가 전자 트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의 게스트 재료의 도프 농도가 상승하면, 유기발광소자의 구동 전압도 상승하여, 전력효율이 개선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의 게스트 재료를 저농도로 도프하는 것이, 저전압구동 및 전력효율개선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제1의 게스트 재료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 0.5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질량%~ 0.2질량%이다.
게다가, 저(低)구동전압 및 전력효율개선의 관점에서는, 유기발광층 내에 도프되어 있는 제1의 게스트 재료 이외의 게스트 재료는, 전자 트랩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 또한 호스트 재료상에서 생성한 일중항 여기자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에 있어서, 제2의 게스트 재료는, 식(3)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이온화 포텐셜(IPG2), 전자친화력(AFG2), 광학 밴드갭(EGG2)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PH≥IPG2, AFH≥AFG2, 또한 EGH>EGG2 (3)
전자수송성의 호스트 재료는, 정공의 수송 능력에 비해서 전자의 수송 능력이 동등하거나 우수한 호스트 재료이다. 즉, 정공이동도≤전자이동도가 되는 재료이다.
청색 내지 청록색의 발광을 얻기 위한 전자수송성의 호스트 재료는, 예컨대, 페닐안트라센(phenylanthracene), 나프틸안트라센(naphthylanthracene), 디페닐안트라센(diphenylanthracene) 유도체, 금속착체, 또는 스티릴아릴렌(styrylarylene) 유도체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4,4'-비스(2,2'-디페닐비닐(diphenylvinyl))비페닐(DPVBi), 2,5-비스(5-t-부틸-2-벤조옥사졸일(benzoxazolyl))티오펜(BBOT), 9,10-비스(3' 5'-디아릴(diaryl))페닐안트라센(phenylanthracene)(JBEM), 9,10-디(2-나프틸)안트라센(ADN), 2-메틸-9,10,디(2-나프틸)안트라센(MADN), 9,10-비스-(9,9-비스(n-프로필)플루오렌-2-일)안트라센(ADF), 9-(2-나프틸)-10-(9,9-비스(n-프로필)-플루오렌-2-일)안트라센(ANF), 2,6-디(t-부틸)-9,10-디-[6-(t-부틸)(2-나프틸)]안트라센(TTBADN), 2,7-비스(2,2-디페닐비닐)-9,9'-스피로비플루오렌(DPVSBF), 2,2'-비스(10-페닐안트라센-9-일)-9,9'-스피로비플루오렌(spiro-FPA), 9, 10-비스(9,9'-스피로비[9H-플루오렌]-2-일)안트라센(Spiro-안트라센), 디-스피로-9,9'-디플루오렌-9",9'''-(9,10-디히드로-안트라센)(DSFA), 2,7-비스[2-(4-t-부틸페닐)피리미딘-5일]-9,9'-스피로플루오렌(TBPSF), Spiro-PBD, 1,3,5-트리스(N-페닐벤지이미다졸(phenylbenzimidazol)-2-일)벤젠(TPBI), 1,3,5-트리(1-피레닐(pyrenyl))벤젠(TPB3), 또는 알루미늄(III)비스(2-메틸-8-퀴놀리나토(quinolinato))-4-페닐페놀레이트(phenylphenolate)(BAlq) 등을 들 수 있다.
제1의 게스트 재료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는, 청색 내지 청록색 영역에 발광 피크를 가지는 재료이다. 제1의 게스트 재료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는, 사용하는 호스트 재료에 의존하며, 상술한 식(1) 또는 (3)을 충족시키도록 선택된다. 제1의 게스트 재료는, 또한 상술한 식(2)을 충족시키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는, 호스트 재료로서 기재한 재료에 더하여, 페릴렌, 2,5,8,11-테트라-t-부틸페릴렌(TBP), 4,4'-비스[2-{4-(N,N-디페닐아미노)페닐}비닐]비페닐(DPAVBi), 1,4-비스[2-(3-N-에틸카르바졸릴)비닐]벤젠(BCzVB), 4,4'-비스(2-(9-에틸-9H-카르바졸-3-일)비닐)비페닐(BCzVBi), 4-(디-p-톨릴아미노(tolylamino))-4'-[(디-p-톨릴아미노)스티릴]스틸벤(stilbene)(DPAVB), 1-4-디-[4-(N,N-디-페닐)아미노]스티릴-벤젠(DSA-Ph), N-(4- ((E)-2-(6-((E)-4-(디페닐아미노)스티릴)나프탈렌-2-일)비닐)페닐)-N-페닐벤젠아민(N-BDAVBi), 또는 트리스(2,3-메틸-8-히드록시퀴놀린(hydroxyquinoline))알루미늄(Alm23q3)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수송성의 호스트 재료와의 조합에 의해 고효율로 발광하는 제2의 게스트 재료는 비교적 찾기 용이하며, 제2의 게스트 재료의 첨가 농도를 1질량%~10질량%、 제1의 게스트 재료의 첨가 농도를 0.05질량%~ 0.5질량%(발광층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함)로 하여 발광층에 도프함으로써, 저전압, 고효율, 장수명을 겸비한 청색 내지 청록색 유기박막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종의 발광 기구를 공존시켜, 여기자 생성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1의 게스트가 전자를 트랩하고 있는 상태가, 안정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호스트가 전자수송성이기 때문에, 정공밀도가 낮고, 재결합이 쉽게 일어나지 않게 되어 있는 발광층 내의 정공주입 계면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도, 제1의 게스트 재료상에서 재결합이 일어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호스트 재료와 제1의 게스트 재료의 최저 공분자궤도(the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에너지 레벨(또는 전자친화력)(AFH와 AFG1)이 지나치게 가까운 시스템에서는, 게스트가 전자를 트랩하여도, 단시간에 재차 호스트로 이동해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호스트 재료와 제1의 게스트 재료 사이의 LUMO 에너지 갭(|AFH-AFG1|)으로서는, 약 0.2e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호스트 재료와 2종의 게스트 재료의 HOMO 레벨(이온화 포텐셜(IPH, IPG1, IPG2)), LUMO 레벨(전자친화력(AFH, AFG1, AFG2)), 및 광학 밴드갭(EGH, EGG1, EGG2)이 중요하기 때문에, 사전에 물성(物性)값을 측정해두고, 바람직한 조합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물성값의 측정에는, 예컨대 대기중 광전자 분광장치(photoelectron spectrometer) AC-2(리켄케이키제, manufactured by Riken Keiki Co., Ltd.)을 이용하여, 이온화 포텐셜(진공 준위(vacuum level)로부터 HOMO 레벨까지의 에너지 차)(Ip)을 측정하고, 자외가시 분광광도계(ultraviolet visible spectrometer) UV-2100PC(시마즈제작소제,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을 이용하여 광학흡수를 측정하여, 흡수단(absorption end)으로부터 광학 밴드갭(Eg)을 구한다. 전자친화력(Af)(진공 준위로부터 LUMO 레벨까지의 에너지 차)은 Eg과 Ip를 이용하여, Af=Ip-Eg로 하여 계산할 수 있다.
유기EL층은, 증착법 등의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을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전자수송층)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수송층은 임의 선택적으로 설치해도 좋은 층이다. 전자수송층은, 2-(4-비페닐일(biphenylyl))-5-(4-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PBD), 1,3,5-트리스(4-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릴)벤젠(TPOB)과 같은 옥사디아졸 유도체; 3-페닐-4-(1'-나프틸)-5-페닐-1,2,4-트리아졸(TAZ)과 같은 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triazine derivatives); 페닐퀴녹살린류; 5,5'-비스(디메시틸보릴(dimesitylboryl))-2,2'-비티오펜(BMB-2T), 5,5'-비스(디메시틸보릴)-2,2':5'2'-테르티오펜(terthiophene)(BMB-3T)과 같은 티오펜 유도체; 알루미늄트리스(8-퀴놀리노레이트(quinolinolate))(Alq3)와 같은 알루미늄 착체;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phenanthroline)(BPhen), 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BCP)과 같은 페난트롤린 유도체; 혹은 2,5-디-(3-비페닐)-1,1,-디메틸-3,4-디페닐실라시클로펜타디엔(diphenylsilacyclopentadiene)(PPSPP), 1,2-비스(1-메틸-2,3,4,5-테트라페닐실라시클로펜타디에닐(tetraphenylsilacyclopentadienyl))에탄(2PSP), 2,5-비스-(2,2-비피리딘-6- 일)-1,1-디메틸-3,4-디페닐실라시클로펜타디엔(PyPySPyPy)과 같은 실롤 유도체, 1,3,5-트리스(N-페닐벤지이미다졸(phenylbenzimidazole)-2-일)벤젠(TPBI) 등의 이미다졸 화합물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자수송층은, 증착법 등의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술한 제1, 제2 도펀트에 의한 고효율 발광, 장수명화는, 발광층 중을 주행하는 주(主) 전하가, 전자인 경우에 효과를 나타내므로, 페난트롤린 유도체나 실롤 유도체(silole derivative), 이미다졸 화합물 등의 전자수송 능력이 높은 전자수송층 재료를 이용했을 경우에, 보다 효과를 나타내며, 저구동 전압으로, 전력효율이 높은 소자의 제작에 적합하다.
(전자주입층)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주입층은, 음극과 전자수송층의 사이 또는 음극과 발광층의 사이에 임의 선택적으로 설치해도 좋은 층이며, 절연체 또는 반도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전자주입층은, 음극으로부터 발광층에 이르는 전자의 이동을 촉진하는 점에 있어서 유효하다.
일반적으로는, Li2O, LiO, Na2S 、Na2Se, 또는 NaO 등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 또는 알칼리 금속 칼코지나이드(chalcogenides), CaO, BaO, SrO, BeO, BaS, 또는 CaSe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 칼코지나이드, LiF, NaF, KF, CsF, LiCl, KCl 또는 NaCl 등의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CaF2, BaF2, SrF2, MgF2 또는 BeF2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의 할로겐화물, 또는 Cs2CO3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alkaline metal carbonates) 등을 이용하여, 전자주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의 재료를 이용해서 전자주입층을 형성하는 경우, 전자주입층의 막두께를 0.5~1.0n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또, Li, Na, K, 또는 Cs 등의 알칼리 금속, 또는 Ca, Ba, Sr, 또는 Mg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의 박막(막두께 1.0~5.0nm 정도)을 전자주입층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혹은 또, 상술한 전자수송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재료 중에, Li, Na, K,또는 Cs 등의 알칼리 금속, LiF, NaF, KF, 또는 CsF 등의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혹은 Cs2CO3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을 도프한 재료를 이용하여, 전자주입층을 형성해도 좋다.
전자주입층은, 증착법 등의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임의인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금속전극(음극))
금속전극은, 고반사율의 금속(Al, Ag, Mo, W, Ni, Cr 등), 비결정질 합금(NiP, NiB, CrP, CrB 등), 혹은 미결정성 합금(microcrystalline alloy)(NiAl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금속전극은, 증착법, 스퍼터법 등의 드라이 프로세스(dry process)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투명전극의 제작>
유리 기판(세로 50mm×가로 50mm×두께 0.7mm; 코닝(Corning Inc.)제 이글2000 글래스(Eagle 2000 glass)) 위에, ITO를 DC마그네트론 스퍼터법(magnetron sputtering method)에 의해, 설정 기판온도 200℃에서, 막두께 180nm가 되도록 막을 형성하고, 소위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선폭 2mm의 전극 패턴을 형성했다.
이하 포토리소그래피법의 순서를 간단히 설명한다. ITO막을 형성한 기판위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TFR-1250」(상품명, 토쿄오카공업제(manufactured by Tokyo Ohka Kogyo Co., Ltd.))을 스핀코팅(spin coating)에 의해 막두께 1.1㎛가 되도록 도포했다. 포토레지스트 형성 후의 기판을, 마스크얼라이너(mask aligner)를 이용하여 선폭 2mm의 라인 패턴의 섀도우가 형성되는 포토마스크(photomask)를 통하여 고압 수은램프에 의해 노광했다. 계속해서, 현상액 NMD-3(상품명, 토쿄오카공업제)에 의한 현상, 순수(pure water)에 의한 린스, 질소 블로우(nitrogen atmosphere), 80℃로 설정한 클린오븐(clean oven)에 있어서의 20분간 가열 건조를 행하여, ITO막 위에 선폭 2mm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45℃의 옥살산(oxalic acid) 수용액에 기판을 침지(浸漬)하여, ITO막의 불필요부(unnecessary portion)를 에칭에 의해 제거했다. 에칭 후에 기판을 순수로 린스, 질소 블로우로 건조시켜, 박리액 106(상품명, 토쿄오카공업제)에 침지하여 레지스트를 박리하고, 순수에 의해 린스하며, 질소 블로우에 의해 건조시켜,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얻었다.
<유기EL층 및 금속전극의 제작>
UV/O3 세정 장치 UV-1(삼코 주식회사, Samco International, Inc.)을 이용하여, 투명전극 패턴 표면을 세정 후, 투명전극이 부착된 유리 기판을 저항가열 증착장치 내에 장착하고,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발광층, 및 전자주입층을, 진공을 깨지 않고 순차 막을 형성했다.
막 형성시에, 진공조 내압(內壓)을, 1×10-4Pa 이하까지 압력을 내렸다. 정공주입층은 2-TNATA를 증착 속도 1Å/s에 의해, 20nm 막을 형성했다. 정공주입층에 이어서, 정공수송층은 NPB를 동일하게 1Å/s에 의해, 40nm 적층 했다.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로서 ADN(IPH=5.8eV, AFH=2.8eV), 제1의 게스트 재료로서, Alm23q3(IPG1=5.8eV, AFG1=2.9eV),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로서 DPAVBi(IPG2=5.4eV, AFG2=2.6eV)를 동시에 증착하는, 공증착에 의해 형성했다.
한편, 각 재료의 이온화 포텐셜(HOMO 레벨)(IPH, IPG 1, IPG2)은 대기중 광전자 분광측정장치 AC-2(리켄케이키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동일막의 흡수스펙트럼에서 얻은 광학 밴드갭(EGH, EGG1, EGG2)을 측정했다. 이온화 포텐셜 및 광학 밴드갭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전자친화력(LUMO 레벨)(AFH, AFG 1, AFG2)을 산출했다. 각 재료의 증착 속도는, ADN을 2.0Å/s, DPAVBi를 0.06Å/s, 및 Alm23q3을 0.002Å/s로 설정했다. 공증착한 유기발광층은 호스트 재료의 막 두께가 35nm가 되도록 막 형성하였다. 이때, Alm23q3은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극단적으로 증착레이트(deposition rate)가 낮기 때문에, 막후계(film thickness meter)의 위치를 증착원(deposition source)에 대하여 근접시켜, 검출 감도를 높게 함으로써, 증착 속도를 조정했다. 이때, 유기발광층의 구성 비율은, DPAVBi가 2.9체적%(2.4질량%)、Alm23q3은 0.1체적%(0.1질량%)이었다. 전자수송층은 TPBI를 증착 속도 1Å/s에 의해, 20nm 막을 형성했다.
전자수송층의 TPBI 막형성 후에, 진공을 깨지 않고, 기판을 금속막 증착용의 챔버로 이동시켰다. 계속해서, ITO의 라인 패턴과 수직으로 폭 2mm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메탈 마스크(metal mask)를 통하여, 두께 1nm의 LiF를 0.1Å/s의 증착 속도로 막을 형성하고, 전자주입층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그 위로부터 Al을 100nm, 3Å/s의 증착 속도로 막을 형성하고, 금속전극(음극, cathode)을 형성했다.
음극형성 후의 기판을, 대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건조질소 분위기(산소 10ppm 이하, 수분 1ppm 이하)의 글러브박스(glove box)로 이동시켰다. 글러브박스 내에 있어서, 4변 부근에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한 밀봉용 유리판(세로 41mm×가로 41mm×두께 1.1mm, 니폰덴키글래스제(Nippon Electric Glass Co., Ltd.) OA-10)을, 유기EL층을 덮도록 시료에 부착하고, 실시예 1의 청색 유기발광소자를 얻었다.
(실시예 2)
유기발광층 형성시의 Alm23q3의 증착 속도를, 0.006Å/s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청색 유기발광소자를 얻었다. 이때, 유기발광층의 구성 비율은, DPAVBi가 2.9체적%(2.4질량%), Alm23q3은 0.3체적%(0.3질량%)이었다.
(실시예 3)
유기발광층 형성시의 Alm23q3의 증착 속도를, 0.01Å/s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청색 유기발광소자를 얻었다. 이때, 유기발광층의 구성 비율은, DPAVBi가 2.9체적%(2.4질량%), Alm23q3은 0.5체적%(0.5질량%)이었다.
(비교예 1)
유기발광층 형성시에 Alm23q3을 사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했다.
(비교예 2)
유기발광층 형성시에 Alm23q3의 대신에 DSA-ph(IPG1=5.4eV, AFG1=2.7eV)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했다.
(비교예 3)
유기발광층 형성시에 Alm23q3의 증착 속도를 0.06Å/s로 하고, DPAVBi를 이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했다.
(평가)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작한 유기발광소자의 전압, 전류, 휘도 특성(brightness characteristics)을 평가했다. 전류밀도 10mA/cm2인 때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실시예에 있어서, Alm23q3가 식(1)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제1의 게스트 재료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DPAVBi는 식(3)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제2의 게스트 재료로서 기능하고 있다. 상기의 제1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 2, 3의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은, 비교예 1의 소자와 비교하여 개선되어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결과로부터, 식(1)의 관계식을 충족시키지 않는 게스트 재료(본 예에서는 DSA-Ph)에서는, 0.1% 도프해도, 거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의 결과로부터, 식(1)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제1의 게스트 재료 Alm23q3만을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농도로 도프하면, 구동 전압이 상승해버리는 것도 알 수 있다. 구동 전압에 대해서는, 실시예 3에서 이미 약간 고전압화되어 있으며, 0.5% 미만으로 제1의 게스트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전압상승을 회피하면서 발광 효율의 개선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적어도 일방이 가시광 투과성을 가지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EL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로서,
    상기 유기발광층이 전자수송성의 호스트 재료 및, 적어도 제1의 게스트 재료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게스트 재료는 모두 청색 내지 청록색 영역에 발광 피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의 게스트 재료는, 상기 호스트 재료의 이온화 포텐셜(IPH) 및 전자친화력(AFH)에 대하여, 식 (1)
    IPH≤IPG1, 또한 AFH <AFG1 (1)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이온화 포텐셜(IPG1) 및 전자친화력(AFG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게스트 재료의 광학 밴드갭(bandgap)(EGG1)과, 상기 호스트 재료의 광학 밴드갭(EGH)이, 하기 식 (2)
    EGH>EGG1 (2)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게스트 재료가, 하기 식 (3)
    IPH≥IPG2, AFH≥AFG2, 또한 EGH>EGG2 (3)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이온화 포텐셜(IPG2), 전자친화력(AFG2) 및 밴드갭(EGG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유기발광소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게스트 재료의 첨가 농도가, 0.5 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20117005097A 2009-09-11 2009-09-11 유기발광소자 KR101345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5949 WO2011030450A1 (ja) 2009-09-11 2009-09-11 有機発光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645A true KR20120064645A (ko) 2012-06-19
KR101345613B1 KR101345613B1 (ko) 2013-12-31

Family

ID=4373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097A KR101345613B1 (ko) 2009-09-11 2009-09-11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5159B2 (ko)
JP (1) JP4771243B2 (ko)
KR (1) KR101345613B1 (ko)
CN (1) CN102149788B (ko)
TW (1) TWI439174B (ko)
WO (1) WO2011030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3853B2 (ja) * 2011-08-31 201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74031B1 (ko) * 2013-09-17 2020-02-05 가부시키가이샤 큐럭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TWI606623B (zh) * 2014-01-10 2017-11-21 樂金顯示科技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裝置及照明設備
US9929365B2 (en) 2014-05-28 2018-03-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Excited state management
KR102244081B1 (ko) 2014-08-13 2021-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10062861B2 (en) * 2015-02-24 2018-08-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2018156721A (ja) * 2015-07-14 2018-10-04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US10290816B2 (en) 2015-11-16 2019-05-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CN106803542B (zh) 2017-01-16 2019-02-1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蓝色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EP3975279B1 (en) 2018-10-15 2024-03-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itting blue light
WO2021010425A1 (en) 2019-07-16 2021-01-21 Ricoh Company, Ltd. Solar cell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module
US20210167287A1 (en) 2019-11-28 2021-06-03 Tamotsu Horiuchi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module
EP4064355A1 (en) 2021-03-23 2022-09-28 Ricoh Company, Ltd. Solar cell module
WO2023008085A1 (en) 2021-07-29 2023-02-02 Ricoh Company,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solar cell module
JP2023137773A (ja) 2022-03-18 2023-09-29 株式会社リコー 光電変換素子、光電変換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9292A (en) * 1987-03-02 1988-09-0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modified thin film luminescent zone
JP2814435B2 (ja) 1987-03-02 1998-10-22 イーストマン・コダック・カンパニー 改良薄膜発光帯をもつ電場発光デバイス
US6475648B1 (en) 2000-06-08 2002-11-05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efficiency
JP4152173B2 (ja) * 2002-11-18 2008-09-17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881502B2 (en) * 2003-09-24 2005-04-19 Eastman Kodak Company Blu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a non-hole-blocking layer
CN100369287C (zh) * 2003-11-05 2008-02-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电激发光组件及其制造方法
JP2005285470A (ja) * 2004-03-29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999291B2 (ja) * 2005-06-30 2012-08-15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又は発光装置
KR101386216B1 (ko) 2006-06-07 2014-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2008270557A (ja) 2007-04-20 2008-11-06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素子
US20080286610A1 (en) * 2007-05-17 2008-11-20 Deaton Joseph C Hybrid oled with fluorescent and phosphorescent layers
WO2009119591A1 (ja) * 2008-03-25 2009-10-01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49788A (zh) 2011-08-10
JPWO2011030450A1 (ja) 2013-02-04
US20110291082A1 (en) 2011-12-01
KR101345613B1 (ko) 2013-12-31
TW201119493A (en) 2011-06-01
JP4771243B2 (ja) 2011-09-14
TWI439174B (zh) 2014-05-21
US8525159B2 (en) 2013-09-03
WO2011030450A1 (ja) 2011-03-17
CN102149788B (zh)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613B1 (ko) 유기발광소자
TWI495707B (zh) 有機發光二極體及其製造方法
JP5476061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939284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US8877350B2 (en) White OLED with two blue light-emitting layers
KR101345617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JP4481930B2 (ja) 白色系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009784B1 (ko) 유기 전기발광 소자
CN105849930A (zh) 有机发光元件
JP6385575B2 (ja) 赤色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006305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CN110492007B (zh) 一种吖啶化合物及其在机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JP2022545320A (ja) 芳香族アミン化合物、キャッピング層材料及び発光素子
KR20200115509A (ko) 방향족 아민 화합물, 캐핑층 재료 및 발광 소자
KR101730554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20068746A (ko) 유기el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2157575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照明装置
KR101428821B1 (ko) 유기 el 소자
CN114267803A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JP4818298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
KR100971348B1 (ko) 유기 el 소자
JP2004039275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