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240A -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240A
KR20120064240A KR1020100125381A KR20100125381A KR20120064240A KR 20120064240 A KR20120064240 A KR 20120064240A KR 1020100125381 A KR1020100125381 A KR 1020100125381A KR 20100125381 A KR20100125381 A KR 20100125381A KR 20120064240 A KR20120064240 A KR 20120064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surface layer
optic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120B1 (ko
Inventor
김영수
최연욱
강대인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12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1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5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electroluminescent l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7Electroluminescent display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내장재, 가구류 및 전자 제품의 커버용으로 사용되는 표면소재에 백라이트 기능을 접목시킴으로써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하여 감성미를 자아낼 수 있도록 제작된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광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마주보는 면에 인쇄무늬가 형성된 광학시트층; 및 상기 광학시트층 상에 배치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광학시트층의 인쇄무늬를 상기 표면층에 투영시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DEVICE HAVING SURFACE MATERIAL WHICH CAN DISPLAY IM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내장재, 가구류 및 전자 제품의 커버용으로 사용되는 표면소재의 배면에 백라이트 기능을 접목시켜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함과 더불어 미려함 및 감성미를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내장재, 가구류, 가전제품 등의 표면소재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목재를 이용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에 있다.
이때, 자동차용 내장재, 가구류, 가전제품 등에 이용되는 목재를 재질로 하는 표면소재는 천연목재를 가공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원목의 질감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천연 무늬목이나 인조무늬목을 시트형태로 형성한 후 이를 목재, 합판,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재의 표면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소재는 정적인 이미지만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할 뿐 멀티 패턴이나 동적인 이미지를 연출하는 데 한계가 있고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한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내장재, 가구류 및 전자 제품의 커버용으로 사용되는 표면소재의 배면에 백라이트 기능을 접목시켜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함과 더불어 미려함 및 감성미를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마주보는 면에 인쇄무늬가 형성된 광학시트층; 및 상기 광학시트층 상에 배치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광학시트층의 인쇄무늬를 상기 표면층에 투영시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특정한 무늬를 갖도록 다수의 제1 홀을 구비한 광학시트층; 및 상기 광학시트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 홀과 대응되는 다수의 제2 홀을 구비한 표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상기 다수의 제1 홀 및 제2 홀을 통과하여 상기 표면층에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상측이 개방된 케이스의 내부에 백라이트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도록 베이스층, 광학시트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는 시트층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면층에 이미지가 구현되도록 상기 광학시트층 및 표면층을 각각 관통하는 다수의 제1 홀 및 다수의 제2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는 표면소재의 배면에 백라이트 기능을 접목시켜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함과 더불어 미려함 및 감성미를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소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100)는 백라이트 유닛(110), 베이스층(120), 광학시트층(130) 및 표면층(140)을 포함한다. 이에 더불어, 상기 표시 장치(100)는 투명 커버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10)은 표시 장치(100)의 최하부에 배치되며, 광을 발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10)은, 도면으로 상세히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미도시) 및 상기 광원의 온(on) 및 오프(off)를 제어하는 백라이트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10)의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R), 녹(G), 청(B) 및 화이트(W) LED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의 광원들은 백라이트 구동부에 의해 온 및 오프가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베이스층(120)은 백라이트 유닛(1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베이스층(120)은 후술할 표면층(140)의 형태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10)으로부터 발산된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층(120)으로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PVC)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티엠 스티렌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광학시트층(130)은 베이스층(12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과 마주보는 면에 인쇄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시트층(130)은 백라이트 유닛(11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산란 특성 및 광 휘도를 높이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층(130)은,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층(140)은 광학시트층(130)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표면층(140)은 우드(wood), 인몰드 데코레이션(IMD), 수전사 및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층(140)의 두께는 0.3~0.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표면층(140)의 두께가 0.3mm 미만일 경우에는 표면층(140)의 원색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표면층(140)의 두께가 0.6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백라이트 유닛(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20), 광학시트층(130) 및 표면층(140) 모두는, 일 예로, 플레이트 형상(plate shape)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면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베이스층(120) 및 광학시트층(13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표면층(140)은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베이스층(120), 광학시트층(130) 및 표면층(14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커버층(150)은 표면층(140) 상에 부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커버층(150)은 외부 충격이나 진동, 그리고 먼지 등으로부터 표면층(140)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투명 커버층(150)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투명 커버층(150)은 PU(poly uretha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0.5~2mm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투명 커버층(150)의 두께가 0.5mm 미만일 경우에는 경도가 약해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투명 커버층(150)의 두께가 2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100)는 백라이트 구동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백라이트 유닛(110)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베이스층(120), 광학시트층(130) 및 표면층(140)을 차례로 통과하게 되고, 이때 상기 광학시트층(130)의 인쇄무늬가 표면층(140)에 투영되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층의 배면에 백라이트 유닛을 배치시킴으로써 자동차용 내장재, 가구류 및 전자제품 등에 다양한 미적 감각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환경 변화 요인에 관계없이 화려한 미적 감각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100)는 백라이트 유닛(110), 베이스층(120), 광학시트층(130), 표면층(140), 투명 커버층(150)에 더불어 케이스(160) 및 걸림턱(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60)는 백라이트 유닛(110), 베이스층(120), 광학시트층(130) 및 표면층(140)을 수납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케이스(160)는, 일 예로, 바닥부(160a) 및 상기 바닥부(160a)로부터 수직 연장된 4개의 수직부(160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160a)와 4개의 수직부(160b)는 나사(162)를 통한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케이스(160)는 바닥부(160a)와 4개의 수직부(160b)가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걸림턱(170)은 케이스(160)의 내측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10)과 베이스층(120) 간을 일정 간격 이격시킨다. 상기 걸림턱(170)은, 예를 들어, 케이스(160)의 내측 벽면에 아교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걸림턱(170)은 케이스(160) 내측의 마주보는 양측 변에 2개가 설계되거나, 또는 네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200)는 백라이트 유닛(210), 베이스층(220), 광학시트층(230) 및 표면층(24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210)은 표시 장치(200)의 최하부에 배치되며, 광을 발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210)은, 도면으로 상세히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미도시) 및 상기 광원의 온(on) 및 오프(off)를 제어하는 백라이트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210)의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R), 녹(G), 청(B) 및 화이트(W) LED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의 광원들은 백라이트 구동부에 의해 온 및 오프가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의 광원으로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또는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이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층(220)은 백라이트 유닛(2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베이스층(210)은 표면층(240)의 형태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백라이트 유닛(210)으로부터 발산된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베이스층(210)으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PVC)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티엠 스티렌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시트층(230)은 베이스층(220) 상에 배치되며, 특정한 무늬를 갖도록 다수의 제1 홀(H1)을 구비한다. 이러한 광학시트층(230)은 백라이트 유닛(21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산란 특성 및 광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층(230)은,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 시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표면층(240)은 광학시트층(23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 홀(H1)과 대응되는 다수의 제2 홀(H2)을 구비한다. 이러한 표면층(240)은 우드(wood), 인몰드 데코레이션(IMD), 수전사 및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쇄 무늬를 갖도록 광학시트층(230) 및 표면층(240)을 각각 관통하는 제1 홀(H1) 및 제2 홀(H2)이 구비되므로, 일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표면층(240)의 두께를 0.3~0.6mm로 제한할 필요가 없게 되는바, 그 두께가 2mm를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200)는 백라이트 구동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인쇄 무늬를 갖는 광학시트층(230)과 표면층(240)의 제1 및 제2 홀(H1, H2)을 각각 통과하여 표면층(240)에 이미지를 연출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면층(240) 상에 부착된 투명 커버층(2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투명 커버층(250)은 제1 홀(H1) 및 제2 홀(H2)과 대응되는 제3 홀(H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는 표시 장치를 구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구동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광학시트층의 인쇄 무늬를 표면층에 투영시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구동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인쇄 무늬를 갖는 광학시트층과 표면층의 제1 및 제2 홀을 각각 통과하여 표면층에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ST1: 상측이 개방된 홈을 구비한 케이스의 바닥면 상에 백라이트 유닛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는 걸림턱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표시 장치의 최하부에 배치되며, 광을 발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도면으로 상세히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백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 녹, 청 및 화이트 LED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들을 백라이트 구동부에 의해 온 및 오프가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또는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이 이용될 수 있다.
ST2: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도록 베이스층, 광학시트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는 시트층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시트층은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 부착된 걸림턱에 의해 상호 일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표면층의 형태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베이스층으로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PVC)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티엠 스티렌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시트층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산란 특성 및 광 휘도를 높이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층은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 시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은 우드(wood), 인몰드 데코레이션(IMD), 수전사 및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
ST3: 상기 표면층에 이미지가 구현되도록 상기 광학시트층 및 표면층을 각각 관통하는 다수의 제1 홀 및 다수의 제2 홀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홀 및 제2 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인쇄 무늬를 갖는 광학시트층 및 표면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제1 홀 및 제2 홀을 형성하는 단계시, 상기 제1 홀 및 제2 홀은 프레스 펀칭 또는 레이저 펀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트층은 상기 표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 및 제2 홀과 대응되는 제3 홀을 구비한 투명 커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공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표시장치
110 : 백라이트 유닛
120 : 베이스층
130 : 광학시트층
140 : 표면층
150 : 투명 커버층

Claims (19)

  1. 광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마주보는 면에 인쇄무늬가 형성된 광학시트층; 및
    상기 광학시트층 상에 배치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광학시트층의 인쇄무늬를 상기 표면층에 투영시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우드(wood), 인몰드 데코레이션(IMD), 수전사 및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0.3~0.6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PVC)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티엠 스티렌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층은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 베이스층, 광학시트층 및 표면층을 수납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베이스층 간을 이격시키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면층 상에 부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층은
    PU(poly uretha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층은
    0.5~2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광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특정한 무늬를 갖도록 다수의 제1 홀을 구비한 광학시트층; 및
    상기 광학시트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 홀과 대응되는 다수의 제2 홀을 구비한 표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상기 다수의 제1 홀 및 제2 홀을 통과하여 상기 표면층에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우드(wood), 인몰드 데코레이션(IMD), 수전사 및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면층 상에 부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층은
    상기 제1 및 제2 홀과 대응되는 제3 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LED(light emitting diode),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및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중 어느 하나를 광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상측이 개방된 케이스의 내부에 백라이트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도록 베이스층, 광학시트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는 시트층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면층에 이미지가 구현되도록 상기 광학시트층 및 표면층을 각각 관통하는 다수의 제1 홀 및 다수의 제2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및 제2 홀을 형성하는 단계시,
    상기 제1 홀 및 제2 홀은 프레스 펀칭 또는 레이저 펀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층은
    상기 표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 및 제2 홀과 대응되는 제3 홀을 구비한 투명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00125381A 2010-12-09 2010-12-09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381A KR101260120B1 (ko) 2010-12-09 2010-12-09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381A KR101260120B1 (ko) 2010-12-09 2010-12-09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240A true KR20120064240A (ko) 2012-06-19
KR101260120B1 KR101260120B1 (ko) 2013-05-02

Family

ID=4668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381A KR101260120B1 (ko) 2010-12-09 2010-12-09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1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60B1 (ko) * 2013-07-16 2015-02-23 주식회사 프린테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 부재
KR20170008247A (ko) * 2014-05-12 2017-01-23 도이체 인스티튜트 퓌어 텍스틸-운트 파저포슝 덴켄도르프 그늘 만들기 기능을 가지는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KR20200050046A (ko) * 2018-10-31 2020-05-11 주식회사 서연이화 레이저 반응층을 포함한 자동차용 내장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2441A (ja) * 2003-08-12 2005-03-10 Towa Meccs Corp 表示装置
JP2007271862A (ja) * 2006-03-31 2007-10-18 Tanaka Mokuzai Kogyo Kk パターン発光機能付き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60B1 (ko) * 2013-07-16 2015-02-23 주식회사 프린테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 부재
KR20170008247A (ko) * 2014-05-12 2017-01-23 도이체 인스티튜트 퓌어 텍스틸-운트 파저포슝 덴켄도르프 그늘 만들기 기능을 가지는 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KR20200050046A (ko) * 2018-10-31 2020-05-11 주식회사 서연이화 레이저 반응층을 포함한 자동차용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120B1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2743B1 (de) Innen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US10112533B2 (en) Vehicle decorative component and vehicle decorative component installing method
KR101219341B1 (ko) 자동차용 발광 가니쉬
US9318035B2 (e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having 3D sheet
US20110167690A1 (en) Light-Emitting Device
WO2006057531A1 (en) Light emitting mat for vehicles
KR101260120B1 (ko)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표면소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TR201615884A2 (tr) Aydinlatilmiş hoparlör
KR20220067164A (ko) 입체 패턴을 그라데이션으로 발광시키는 차량용 패널
JP4831097B2 (ja) 車両室内照明装置
JP2008189067A (ja) 車両用内装材
KR20120129614A (ko) 전자기기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장치
US10792946B2 (en) Illuminated assembly
US20020149715A1 (en) Display apparatus
KR200380481Y1 (ko) 자동차용 발광매트
JP2010180563A (ja) 照明機能を有する建築材
JP2010064356A (ja) 立体感を有する印刷シート
JP2013151268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2548968B1 (ko) 차량용 실내 장식재
KR102548967B1 (ko) 차량 실내 장식재
JP5180903B2 (ja) 照明付き収納装置
JP2721792B2 (ja) 看板立体文字用等の積層体
JP4978793B2 (ja) 浴室用リモコン
KR102100979B1 (ko) 차량용 앰비언트 조명 장치
JP2006230943A (ja) 化粧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