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300A -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300A
KR20120061300A KR1020100122563A KR20100122563A KR20120061300A KR 20120061300 A KR20120061300 A KR 20120061300A KR 1020100122563 A KR1020100122563 A KR 1020100122563A KR 20100122563 A KR20100122563 A KR 20100122563A KR 20120061300 A KR20120061300 A KR 20120061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tage
upper frame
turn table
assemb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134B1 (ko
Inventor
이상만
황태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1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4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mproved accessi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 공정 설비는, 레일(2a)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 상기 하부조립라인(2)의 레일(2a)과 나란한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해 완성하는 상부조립라인(4);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을 턴 테이블(100)에 싣고 180도 각도로 회전하여 상부 프레임(40)의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 및 한쪽은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로부터 반출 레일(102)에 의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상부조립라인(4)을 향하는 횡단 레일(201)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을 싣고 반출 레일(102)을 따라 이동되어 오는 이동 대차(50)를 좌우이송 대차(200)에 싣고 상기 횡단 레일(201)을 따라 상기 상부조립라인(4) 초입의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의 방향을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턴 테이블 스테이지에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 작업이 간단하고 안전하며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을 턴 테이블 스테이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선행 공정을 쉽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정 간에 밸런스 유지에 유리하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EQUIPMENT FOR ASSEMBLY PROCESS OF EXCAVATORS}
본 발명은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부 프레임의 방향 전환과 이송이 용이하고 상부 프레임의 선행 조립 공정을 쉽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 간에 밸런스 유지는 물론 작업공간 확보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에도 유리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0)와, 하부 주행체(10)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선회체(20)와, 상부 선회체(20) 전방에 장착되는 작업장치(30)로 이루어진다.
상부 선회체(20)는, 상부 프레임(40)에 탑재되는 운전실 캡(22), 엔진(24) 및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26)로 이루어지고, 상부 프레임(40)의 전방에는 상기한 작업장치(30) 및 유압 장치가 연결된다.
작업장치(30)는 상부 프레임(40)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붐(31)으로부터 암(32), 버킷(bucket)(33)이 관절연결되고, 이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붐 실린더(35), 암 실린더(36) 및 버킷 실린더(3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굴삭기를 조립하는 조립 공정은, 하부 주행체(10)와 상부 선회체(20)를 별도로 조립해 나간 다음, 공정 라인의 마지막 지점에서 합류하여 하부 주행체(10)와 상부 선회체(20)를 연결하고, 이어지는 라인에서 작업 장치(30)를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굴삭기 조립 공정 라인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 조립 공정 라인에는, 레일(2a)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프레임(11)과 궤도(12) 및 선회 베어링(도시하지 않음) 등을 결합하여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과,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 엔진 등을 결합하여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하는 상부조립라인(4)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하부조립라인(2)과 상부조립라인(4)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서로 합류되어, 하부 주행체(10)와 상부 선회체(20)를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조립라인(2)과 상부조립라인(4)에는 하부 주행체(10)와 상부 선회체(20)가 동일하게 그들의 전방 부분이 선행하도록 하여 조립 라인을 따르도록 하여 조립의 오류를 줄이고 최후의 합류와 반출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상부 프레임(40)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부분이 더 무거워 무게중심이 전방 쪽으로 치우치기 때문에 지게차(6)로 들어올려 반입할 때에는 전방 부분이 지게차(6)에 가깝게 탑재하여야 전도의 위험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게차(6)에 의해 조립 라인으로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은, 전방 부분이 뒤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조립라인(4)에 투입되기 전에 천장 크레인(8)을 사용하여 들어올린 다음 180도 방향 전환하여 전방 부분이 선행하도록 한 후 상부조립라인(4)으로 운반하여야 한다.
상부 프레임(40)은 매우 넓고 무겁기 때문에 천장 크레인(8)으로 방향을 전환할 때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크다. 또한, 안전사고의 염려나 천장 크레인(8)의 느린 속도 때문에 방향 전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까지 발생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의 방향 전환을 위해, 천장 크레인(8)을 사용할 때에는, 하부조립라인(2)과 같은 다른 공정에서는 천장 크레인(8)을 사용할 수 없어 대기하여야 하는 시간이 많아져서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을 천장 크레인(8)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부조립라인(4)의 길이가 그만큼 짧아져서, 상부선행공정, 즉 전장포설공정(상부 프레임에 전기장치를 설치하는 공정)을 작업장 바닥에서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고, 그에 따라 하부조립라인(2)과 공정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는 폐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부 프레임의 방향 전환과 이송이 용이하고, 상부 프레임의 선행 조립 공정을 쉽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정 간에 밸런스 유지는 물론 작업공간 확보와 작업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에도 유리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는, 하부 주행체(10)와, 하부 주행체(10)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22), 엔진(24) 및 카운터 웨이트(26) 등이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20)와, 상부 선회체(20) 전방에 장착되는 작업장치(30)를 포함하는 굴삭기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 설비로서, 레일(2a)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프레임(11), 궤도(12)를 포함하는 하부 장치를 결합하여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 상기 하부조립라인(2)의 레일(2a)과 나란한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 엔진을 포함하는 상부 장치를 결합하여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해 완성하는 상부조립라인(4);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을 턴 테이블(100)에 싣고 180도 각도로 회전하여 상부 프레임(40)의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 및 한쪽은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로부터 반출 레일(102)에 의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상부조립라인(4)을 향하는 횡단 레일(201)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을 싣고 반출 레일(102)을 따라 이동되어 오는 이동 대차(50)를 좌우이송 대차(200)에 싣고 상기 횡단 레일(201)을 따라 상기 상부조립라인(4) 초입의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를 포함한다.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초입에는 이동 대차(50)의 반입을 위한 반입 레일(101)이 설치되고,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턴 테이블(100) 상에는 상기 반입 레일(101)과 연결되어 이동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연결 레일(120)이 설치되며, 상기 로딩 스테이지(300a)와 상기 상부조립라인(4) 사이에는 상부조립라인(4)의 레일(4a)로 이동 대차(50)가 이동하기 위한 로딩 레일(30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턴 테이블(100)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 프레임(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30)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130)의 하부에는 상부 프레임(40) 아래쪽으로 이동 대차(50)를 진입시키기 위해 지지대(130)를 상승시키는 한편, 진입된 이동 대차(50)에 상부 프레임(40)을 올려놓기 위해 지지대(130)를 하강시키는 유압 리프트(140)가 설치된다.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의 좌우이송 대차(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 횡단 레일(201)을 따라 구르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220);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반출 레일(102)과 연결가능하고 로딩 스테이지(300a)의 로딩 레일(301)과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설치되는 연결 레일(212)을 포함한다.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 사이를 동력에 의해 왕복하도록, 상기 좌우이송 대차(200)에는 모터(250)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240)이 설치되고, 작업장 바닥에는 상기 피니언(240)에 맞물리는 맞물림 레일(230)이 설치된다.
여기서, 피니언(240)은 체인 구동을 위한 스프로킷 휠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 레일(230)은 스프로킷 휠에 맞물리는 체인 또는 기어에 맞물리는 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에 의하면,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턴 테이블 스테이지에서 간단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 작업이 간단하고 안전하며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을 턴 테이블 스테이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에 배선 등의 전기 설비를 설치하는 등의 선행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작업장 바닥에서 선행공정을 수행하던 것에 비해 작업이 한층 쉽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턴 테이블 스테이지, 좌우 이송 스테이지 및 로딩 스테이지에 의해 상부조립라인이 연장된 효과가 합해져서 공정간 밸런스 유지에 더욱 유리하다.
또한, 작업장이 테이블 스테이지, 좌우이송 스테이지 및 로딩 스테이지로 잘 정렬되고, 차지하는 공간도 콤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굴삭기 조립 공정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조립 공정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공정 설비 중, 턴 테이블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턴 테이블에 이동 대차가 진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이동 대차에 상부 프레임을 내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좌우이송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조립 공정 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조립 공정 설비는, 레일(2a)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프레임(11), 궤도(12)를 포함하는 하부 장치를 결합하여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과, 하부조립라인(2)의 레일(2a)과 나란한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 엔진을 포함하는 상부 장치를 결합하여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해 완성하는 상부조립라인(4)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을 턴 테이블(100)에 싣고 180도 각도로 회전하여 방향을 반대로 회전시켜 상부 프레임(40)의 전방이 선행하도록 하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가 마련되는 한편,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을 싣고 나온 이동 대차(50)를 좌우이송 대차(200)에 탑재하고 상부조립라인(4) 초입까지 좌우 방향으로 횡단 이동 가능한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가 마련되며, 상부조립라인(4) 초입에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부터 이송되어 온 좌우이송 대차(200)를 멈추고 이동 대차(50)를 상부조립라인(4)으로 반입하기 위해 대기하고 반입을 안내하는 로딩 스테이지(300a)가 마련된다.
그리고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전방에는 턴 테이블(100)로 이동 대차(50)를 반입시키기 위한 반입 레일(101)이 배치되고,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와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 사이에는 반출 레일(102)이 설치되어 이동 대차(50)를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 이동시켜 좌우이송 대차(200)에 실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 사이에는 횡단 레일(201)이 설치되어 이동 대차(50)를 실은 좌우이송 대차(5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로딩 스테이지(300a)와 상부조립라인(4)의 레일(4a) 사이에는 로딩 레일(301)이 설치되어, 로딩 스테이지(300a)에 와있는 이동 대차(50)를 상부조립라인(4)의 레일(4a)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게차(6)를 통해 작업장으로 반입된 방향이 거꾸로 된 상부 프레임(40)을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 간단하게 방향을 전환하고, 이동 대차(50)에 실어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 이동한 후,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이 탑재된 이동 대차(50)를 함께 실어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횡단하여 이송한 다음, 로딩 스테이지(3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이 탑재된 이동 대차(50)를 상부조립라인(4)으로 반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간단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 작업이 간단하고 안전하며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을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에 선행 공정, 즉, 배선 등의 전기 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에 작업장 바닥에서 수행하던 것에 비해 작업이 한층 쉽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정 간에 밸런스 유지에 유리하다. 또한, 작업장이 테이블 스테이지(100a),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 및 로딩 스테이지(300a)로 잘 정렬되어 있고 차지하는 공간도 콤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각 스테이지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 있어서, 전술한 턴 테이블(100)은 작업장 바닥의 베이스(103)에 복수의 롤러(112)의 지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턴 테이블(100)의 상부 양측에는 이동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연결 레일(120)이 설치된다. 이의 연결 레일(120)은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초입에 설치된 반입 레일(101)과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설치되어 반입 레일(101)을 따라 이동해 오는 이동 대차(50)가 턴 테이블(100) 위로 올라와 실릴 수 있도록 한다.
턴 테이블(100)의 양측, 즉, 상기 양측 연결 레일(120)의 외측에는 상부 프레임(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30)가 배치되고, 이의 지지대(130)는 유압 리프트(140)에 의해 지지 된다. 유압 리프트(140)는 지지대(13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 실린더(142)와 피스톤(144)으로 이루어진다. 피스톤(144)의 단부는 상기 지지대(130)의 저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
턴 테이블(100)의 반출 측에는 반출 레일(102)이 설치된다. 반출 레일(102)은 턴 테이블(100)의 상면에 설치된 연결 레일(120)과 동일한 높이와 폭을 가지고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는, 턴 테이블(100)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는 턴 테이블(100)을 전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것보다 작업자가 항상 주의를 기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 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작업자의 주의 속에서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게차에 의해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지지대(130)의 상부에 안착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에 전기설비를 포설한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이 유압 리프트(140)와 지지대(130) 위에 높게 얹힌 상태에서 전장 포설 작업을 수행하면 작업이 수월하고 작업 시간도 적게 든다.
도 5에서 전장 포설 등 선행 작업을 실시한 이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리프트(140)를 상승시켜 상부 프레임(40)을 들어올리고, 반입 레일(101)(도 1 및 도 4 참조)과 그에 연결되는 연결 레일(120)을 따라 이동 대차(50)를 턴 테이블(100)로 이동시켜 상부 프레임(40) 아래로 진입시킨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리프트(140)를 하강시키면 상부 프레임(40)이 이동 대차(50)에 실린다. 이처럼 상부 프레임(40)을 실은 이동 대차(50)를 반출 레일(102)(도 3 및 도 4 참조)을 따라 이동시켜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도 3 참조)의 좌우이송 대차(200)(도 3 참조)에 다시 싣는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이송 대차(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3을 병행 참조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송 대차(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베이스 플레이트(210)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220)를 포함한다. 롤러(220)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부터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설치되어 있는 횡단 레일(201)을 따라 구르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양측에는 프레임(222)이 설치되어 보강하고 있으며, 롤러(220)는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장착된다. 한편, 이동 대차(50)는 전후방의 롤러(52) 장치가 연결대(54)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전술한 반출 레일(102)(도 9 참조)과 동일한 높이와 폭을 유지하는 연결 레일(212)이 설치된다.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로부터 반출 레일(102)을 따라 이동해 오는 이동 대차(50)의 롤러(52)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의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설치된 연결 레일(212) 위로 굴러들어와서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탑재되게 된다.
따라서, 좌우이송 대차(200)는 이동 대차(50)를 실은 채 횡단 레일(201)을 따라 롤러(220)를 굴려 이동하게 된다. 도 8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이송 대차(200)는, 좌우이송 스테이지(도면상 우측)에서 로딩 스테이지(도면상 좌측)로 이동하고, 이동을 멈추면 좌우이송 대차(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면에 설치된 연결 레일(212)이 로딩 스테이지(300a)의 반출 측에 설치된 로딩 레일(301)과 일치하게 되어, 로딩 레일(301)을 따라 이동 대차(50)를 굴려 상부조립라인(4)으로 반입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 사이를 좌우이송 대차(200)가 동력에 의해 왕복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송 대차(200)에는 모터(250)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240)이 설치되고, 작업장 바닥에는 상기 피니언(240)에 맞물리는 맞물림 레일(230)이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250)에 의해 피니언(240)을 회전시키면, 피니언(240)이 맞물림 레일(23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에 의해 좌우이송 대차(200)를 밀게 됨으로써, 좌우이송 대차(200)의 롤러(20)가 횡단 레일(201)을 따라 굴러 로딩 스테이지(300a)로 이송된다. 로딩 스테이지(3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이 탑재된 이동 대차(50)를 상부조립라인(4)으로 보낸 다음에는, 피니언(240)을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면 좌우이송 대차(200)가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 복귀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240)은 체인 구동을 위한 스프로킷 휠(sprocket wheel)로 구성하고 맞물림 레일(230)은 스프로킷 휠에 맞물리는 체인을 바닥에 길게 깔아놓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피니언(240)을 기어(gear)로 구성하고, 맞물림 레일(230)은 기어에 맞물리는 랙(rack)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들은 당연히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2 : 하부조립라인 2a : 레일
4 : 상부조립라인 4a : 레일
6 : 지게차 8 : 전장 크레인
10 : 하부 주행체 20 : 상부 선회체
22 : 운전실 캡 24 : 엔진
26 : 카운터 웨이트 30 : 작업장치
31 : 붐 32 : 암
33 : 버킷 35 : 붐 실린더
36 : 암 실린더 37 : 버킷 실린더
40 : 상부 프레임 50 : 이동 대차
52 : 롤러 54 : 연결대
100a : 턴 테이블 스테이지 100 : 턴 테이블
101 : 반입 레일 102 : 반출 레일
110 : 회전판 112 : 롤러
120 : 연결 레일 130 : 지지대
140 : 리프트 142 : 유압 실린더
144 : 피스톤 200a : 좌우이송 스테이지
200 : 좌우이송 대차 201 : 횡단 레일
210 : 베이스 플레이트 212 : 연결 레일
220 : 롤러 222 : 프레임
230 : 맞물림 레일 240 : 피니언
250 : 모터 252 : 축
300a : 로딩 스테이지 301 : 로딩 레일

Claims (6)

  1. 하부 주행체(10)와, 하부 주행체(10)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22), 엔진(24) 및 카운터 웨이트(26) 등이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20)와, 상부 선회체(20) 전방에 장착되는 작업장치(30)를 포함하는 굴삭기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 설비로서,
    레일(2a)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프레임(11), 궤도(12)를 포함하는 하부 장치를 결합하여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
    상기 하부조립라인(2)의 레일(2a)과 나란한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 엔진을 포함하는 상부 장치를 결합하여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해 완성하는 상부조립라인(4);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을 턴 테이블(100)에 싣고 180도 각도로 회전하여 상부 프레임(40)의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 및
    한쪽은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로부터 반출 레일(102)에 의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상부조립라인(4)을 향하는 횡단 레일(201)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을 싣고 반출 레일(102)을 따라 이동되어 오는 이동 대차(50)를 좌우이송 대차(200)에 싣고 상기 횡단 레일(201)을 따라 상기 상부조립라인(4) 초입의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초입에는 이동 대차(50)의 반입을 위한 반입 레일(101)이 설치되고,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턴 테이블(100) 상에는 상기 반입 레일(101)과 연결되어 이동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연결 레일(120)이 설치되며,
    상기 로딩 스테이지(300a)와 상기 상부조립라인(4) 사이에는 상부조립라인(4)의 레일(4a)로 이동 대차(50)가 이동하기 위한 로딩 레일(30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턴 테이블(100)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 프레임(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30)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130)의 하부에는 상부 프레임(40) 아래쪽으로 이동 대차(50)를 진입시키기 위해 지지대(130)를 상승시키는 한편, 진입된 이동 대차(50)에 상부 프레임(40)을 올려놓기 위해 지지대(130)를 하강시키는 유압 리프트(1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의 좌우이송 대차(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
    횡단 레일(201)을 따라 구르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220);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반출 레일(102)과 연결가능하고 로딩 스테이지(300a)의 로딩 레일(301)과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설치되는 연결 레일(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 사이를 동력에 의해 왕복하도록, 상기 좌우이송 대차(200)에는 모터(250)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240)이 설치되고, 작업장 바닥에는 상기 피니언(240)에 맞물리는 맞물림 레일(2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240)은 체인 구동을 위한 스프로킷 휠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 레일(230)은 스프로킷 휠에 맞물리는 체인 또는 기어에 맞물리는 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KR1020100122563A 2010-12-03 2010-12-03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KR101428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563A KR101428134B1 (ko) 2010-12-03 2010-12-03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563A KR101428134B1 (ko) 2010-12-03 2010-12-03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300A true KR20120061300A (ko) 2012-06-13
KR101428134B1 KR101428134B1 (ko) 2014-08-07

Family

ID=4661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563A KR101428134B1 (ko) 2010-12-03 2010-12-03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412B1 (ko) * 2012-12-28 2014-07-08 (주)한진에프에이에스 자동차 조립 라인용 부품 운송 시스템
KR102304444B1 (ko) * 2020-06-26 2021-09-23 박동욱 굴삭기 하부 프레임 반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8566B (zh) * 2018-03-14 2021-05-25 江苏金坛长荡湖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同车身的底盘共线装配生产线及其使用方法
CN110814732B (zh) * 2019-10-22 2021-05-28 江苏同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车架自动翻转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311B1 (ko) * 1996-12-18 1999-08-02 양재신 물체 이송장치의 쉬프팅장치
KR19990059721A (ko) * 1997-12-31 1999-07-26 양재신 자동차 조립공정의 언더바디 이송방법
KR100444038B1 (ko) * 2001-08-14 2004-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KR20090052053A (ko) * 2007-11-20 2009-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412B1 (ko) * 2012-12-28 2014-07-08 (주)한진에프에이에스 자동차 조립 라인용 부품 운송 시스템
US9511807B2 (en) 2012-12-28 2016-12-06 Hyundai Motor Company Component transferring system for automotive assembly line
KR102304444B1 (ko) * 2020-06-26 2021-09-23 박동욱 굴삭기 하부 프레임 반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134B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91978B (zh) 自行小车系统
CN202953738U (zh) 门式起重机
CN101284629A (zh) 一种桥架起重机
KR20120061300A (ko)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CN107350699B (zh) 一种焊接转运翻转变位装置及翻转焊接箱型梁的方法
KR101426581B1 (ko)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CN110550544B (zh) 起重机及使用该起重机的重物的起重搬运方法
CN218657526U (zh) 箱型梁的焊接生产线
CN201177983Y (zh) 放射性或危险性物品搬运存储装置
CN116495501A (zh) 一种火车集装箱卸料系统及卸料方法
CN214558407U (zh) 客车侧围骨架焊装流水线
CN113978958B (zh) 一种垃圾运输处理系统
CN115871612A (zh) 前置式换电设备和换电站
CN205526360U (zh) 一种预制件运输装置
CN212268562U (zh) 悬链输送线上实现双向行走积放的承载小车
CN112453749A (zh) 客车侧围骨架焊装流水线
CN112605627A (zh) 一种船舶一体化隔振抗冲装置进舱输送系统
JP2011183252A (ja) ダイコータ用台車
CN203062217U (zh) 一种综采设备吊运安装车
CN105731311B (zh) 直角坐标轨道搬运装卸机器人
CN110273373B (zh) 具有可移动的多功能台车的导梁机
CN102205918B (zh) 电缆输送装卸装置
CN205526358U (zh) 一种预制件生产运输系统
CN203033428U (zh) 具有上下双工位的分拣设备
CN110273365B (zh) 运架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