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74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741A
KR20120060741A KR1020110116737A KR20110116737A KR20120060741A KR 20120060741 A KR20120060741 A KR 20120060741A KR 1020110116737 A KR1020110116737 A KR 1020110116737A KR 20110116737 A KR20110116737 A KR 20110116737A KR 20120060741 A KR20120060741 A KR 2012006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inger
electrode
unit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6818B1 (ko
Inventor
다이스케 솟타
노리후미 오구라
츠요시 호소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6932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3857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2006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7)에 표면을 손가락을 접촉시켜 조작하기 위한 터치 조작면(17)으로 한 터치 조작부(16)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터치 조작부(16)의 내측에 터치 조작면(17)에 손가락이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정전 용량식 터치 검출용 전극(32)을 설치하며, 터치 검출용 전극(32)으로서는 중앙에 스타트용 전극(32a)을 배치하고, 상기 주위에 8개의 부채 형상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을 고리 형상으로 나열하여 배치하며, 터치 조작면(17)에 있어서,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에 대응한 터치 다이얼부(17b) 위를 소정 방향으로 손가락이 이동함에 따라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운전 조건에 관한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고, 패널에 변경 조작 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패널을 평면화할 수 있고 외관을 좋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방수 대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설정 내용으로부터 선택된 1개의 설정 내용을 실행하는 세탁기에서는, 선택 가능한 설정 내용(운전 모드, 운전 코스 등)의 수가 늘어나는 것에 의해, 설정 내용에 따라서 동일한 조작 키를 연속해서 눌러 설정 내용을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
이 수고를 덜기 위해, 변경 조작 수단으로서 패널에 회동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다이얼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 다이얼의 회동에 따라서 원하는 설정 내용을 선택하도록 한 것이 있다. 조작 다이얼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185237호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조작 다이얼은 손으로 잡아 회동하여 조작할 필요가 있으므로, 패널 평면에 대해 조작 다이얼이 돌출되게 되고, 이 돌출된 조작 다이얼은 외관을 나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패널에는 조작 다이얼을 설치하기 위해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방수 대책이 필요해지고, 그 방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패널에 설정 내용의 변경 조작 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패널을 평면화하여 외관의 모양새를 좋게 하고, 또한 방수 대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는 세탁기 본체에 설치된 패널과, 상기 패널에 설치되어 운전 조건에 관한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설정 내용을 변경 조작하기 위한 설정 내용 변경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 내용 변경 조작 수단은 상기 패널에 설치되어 표면을 손가락을 접촉시켜 조작하기 위한 터치 조작면으로 한 터치 조작부와, 상기 터치 조작부의 내측에 나열하여 설치되고, 상기 터치 조작면으로의 손가락의 조작을 검출하는 정전 용량식 복수의 터치 검출용 전극과, 상기 터치 조작면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서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터치 검출용 전극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설정 내용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또한 패널을 평면화하여 외관의 모양새를 좋게 하고, 또한 방수 대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터치 조작부의 단면도,
도 2는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패널의 정면도,
도 4는 터치 검출용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패널의 통부(筒部)를 내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터치 검출 회로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상당 도면,
도 9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터치 조작부의 정면도,
도 10은 터치 조작부의 단면도,
도 11은 기판의 정면도,
도 12는 터치 검출 회로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검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14는 감도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15는 LED의 교호(交互)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LED의 한쪽 방향의 회전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LED의 반대 방향의 회전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작용 설명용 플로우차트,
도 19는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판의 정면도,
도 20은 터치 다이얼용 전극의 검출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터치 조작부의 단면도,
도 22는 기판의 정면도,
도 23은 기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4는 센서 검출 회로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감도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26은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25 상당 도면,
도 27은 제7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터치 조작부의 단면도,
도 28은 기판의 정면도,
도 29는 제8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판의 정면도 및
도 30은 터치 다이얼용 전극의 검출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드럼식 세탁건조기에 적용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건조기(1)의 외곽을 구성하는 세탁기 본체(2)는 전면이 완만하게 경사진 대략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세탁기 본체(2)의 상면에는 급수구(3) 및 천정판(4)이 설치되어 있다. 세탁기 본체(2)의 전면 중앙부에는 문(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문(5)의 상부에는 문(5)을 개방하기 위한 문 버튼(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 본체(2)의 전면 상부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7) 및 세제류 투입부(8)가 설치되어 있다. 패널(7)의 표면은 전측 하부의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널(7)의 내측에는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의 표시용 제어 장치(9)(도 6에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패널(7)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단에 전원 「온」키(10) 및 전원 「오프」키(11)가 설치되고, 그 좌측 옆에 세탁, 세탁 건조(세건), 건조의 각 운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운전 모드 키(12~14) 및 문(5)이 폐쇄된 상태로 잠겨져 있는 것을 표시하는 도어록 표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각 운전 모드 키(12~14)는 각각 조명부(12a~14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조명부(12a~14a) 및 도어록 표시부(15)는 LED의 백라이트에 의해 조명되도록 되어 있다.
운전 모드 키(12~14)의 좌측 옆에는 터치 조작부(16)가 패널(7)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터치 조작부(16)의 표면이 손가락을 접촉시켜 조작하기 위한 터치 조작면(17)으로 되어 있다.
터치 조작부(1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의 터치 조작면(17)이 주위의 패널(7)의 표면을 따르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내면에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부(16a)가 설치되어 있다.
터치 조작면(17)의 중앙에는 스타트 조작부(17a)가 설치되고, 이 스타트 조작부(17a)의 주위에 다이얼 기능을 가진 터치 다이얼부(17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터치 조작면(17)상에는 도 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18)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18)는 스타트 조작부(17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링부(18a)와, 상기 링부(18a)로부터 외측으로 방사 형상으로 연장된 8개의 막대형상부(18a)를 구비하고, 상기 막대형상부(18b)는 터치 다이얼부(17b)를 8 등분으로 나누고 있다.
이 터치 다이얼부(17b)는 운전 조건에 관한 설정 내용의 하나인 운전 코스의 선택이나 예약 시각의 설정 등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스타트 조작부(17a)는 운전 코스의 개시 및 실행중인 운전 코스의 일시 정지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 조작부(16)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으로 복귀하여 터치 조작부(16)의 터치 조작면(17)의 좌측 아래에 위치하는 패널(7)의 내측에는 부저(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부저(19)가 위치하는 좌측 옆에는 운전 코스를 표시하는 운전 코스 표시부(20)(표시부)가 설치되고, 그 좌측 옆에 그 외의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21)의 하방에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공정의 횟수 또는 시간 등을 선택하기 위한 공정 키(22~25), 목욕물의 사용의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목욕물 키(26), 타이머 예약 시각을 선택하기 위한 예약 키(27)가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터치 조작부(16)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7)의 내측에 돌출하여 설치된 원통 형상의 통부(28)(도 5 참조) 내에 터치 센서 유닛(29)을 터치 센서 유닛(29)의 표면이 터치 조작부(16)의 내면의 평면부(16a)에 밀착하여 따르는 상태로 터치 조작부(16)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터치 센서 유닛(29)은 원통 형상의 케이스(30) 내에 원형상의 기판(31), 터치 검출용 전극(32), 터치센서용 IC(33), 커넥터(34), 진동자(35)를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터치센서 유닛(29)은 통부(28)의 내주면에 설치된 볼록부(28b)에 케이스(30)의 외주면에 설치된 오목부(30a)를 끼워맞춰 회전 고정을 하고, 복수의 탄성 변형 가능한 걸어맞춤 조부(爪部)(28a)에 걸어맞춰 유지되어 있다.
기판(31)의 상면에는 터치 조작부(16)의 내측에 위치하여 정전 용량식 복수의 터치 검출용 전극(32)이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터치 검출용 전극(32)은 터치 조작면(17)에 손가락이 접촉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기판(31)의 내면에는 터치센서용 IC(33), 커넥터(34), 2개의 진동자(35)(도 1에서는 한쪽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31)은 커넥터(34)를 통해 표시용 제어 장치(9)(도 6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터치 검출용 전극(32)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호 부재(36)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보호 부재(36)의 표면은 평탄하고, 터치 조작부(16)의 내면의 평면부(16a)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기판(31)의 내측은 터치 센서용 IC(33)로의 습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습용 수지(37)로 덮여 있다.
도 4는 터치 조작부(16)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며, 터치 조작부(16)의 내측의 터치 검출용 전극(32) 및 터치센서용 IC(33), 커넥터(34), 진동자(35)의 배치가 파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터치 검출용 전극(32)은 중앙에 원형상의 스타트용 전극(32a)(D0)이 배치되고, 이 스타트용 전극(32a)(D0)의 주위에 8 개의 부채 형상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D1~D8)이 환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스타트용 전극(32a)(D0)은 스타트 조작부(17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8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D1~D8)은 8 등분으로 나누어진 터치 다이얼부(17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18)의 막대형상부(18b)는 패널(7)의 정면에서 봐서 패널(7)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접한 2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터치센서용 IC(33)와 커넥터(34)는 기판(31)의 내면에 있어서, 중앙의 스타트용 전극(32a)(D0)을 끼우도록 위치하여 상하로 배치되고, 2개의 진동자(35)는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용 제어 장치(9)에는 온 스위치(38), OFF 스위치(39), 터치센서용 IC(33)를 통해 스타트용 전극(32a)과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 및 그 외의 스위치(4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표시용 제어 장치(9)는 이들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부(12a~14a), 도어록 표시부(15), 표시부(20, 21), 진동자(35), 부저(19)를 제어하고, 주 제어 장치(41)로 신호를 입력한다. 주 제어장치(41)는 세탁건조기(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것이다.
온 스위치(38) 및 오프 스위치(39)는 각각 전원 「온」키(10) 및 전원 「오프」키(11)를 조작하여 표시용 제어 장치(9)에 신호를 입력한다. 그외의 스위치(40)는 각 조작 키(12~14, 22~27)를 조작하여 표시용 제어 장치(9)에 신호를 입력한다.
표시용 제어 장치(9)는 터치 조작부(16)의 터치 다이얼부(17b)를 조작하여 부저(19) 및 진동자(35)를 동작시키고, 표시부(20, 21)에 표시되는 설정 내용을 변경한다.
표시용 제어 장치(9)는 터치 조작부(16)의 터치 다이얼부(17b)를 조작하여 부저(19) 및 진동자(35)를 동작시키고, 표시부(20, 21)에 표시되는 설정 내용을 변경한다.
도 7에 도시한 터치 검출 회로에 있어서, 터치센서용 IC(33)에는 복수의 터치 검출용 전극(32)을 접속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스타트용 전극(32a)(D0)과 8개의 터치다이얼용 전극(32b(D1~D8))이 접속되어 있다.
스타트용 전극(32a)(D0)에는 센서 회로(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센서 회로(42)는 단자(P1)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충전용 콘덴서(43), 방전용 저항(44)과, 단자(P1)와 단자(P2) 사이에 접속된 고정 콘덴서(45)를 구비하고, 단자(P2)는 스타트용 전극(32a)(D0)에 접속되어 있다.
8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D1~D8))에도 각각 센서 회로(42)가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조작면(17)의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촉했을 때는 인체의 정전용량에 의해 터치 검출용 전극(32a(D0))이 콘덴서(46)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된 상태가 되고, 상기 터치 검출용 전극(32a(D0))에 전압이 발생하여, 터치 센서용 IC(33)는 표시용 제어 장치(9)로 검출 신호를 보낸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조작면(17)의 터치 다이얼부(17b)에 손가락을 이동시켜 접촉시켰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D1~D8)에 차례로 전압이 발생하고, 터치 센서용 IC(33)는 차례로 검출 신호를 표시용 제어 장치(9)로 보낸다.
이것에 의해 표시용 제어 장치(9)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사용자가 전원 「온」키(10)를 눌러 전원을 투입 후, 세탁, 세탁 건조(세건), 건조의 3 가지 운전 모드중에서, 예를 들면 세탁 모드 키(12)를 눌러 세탁 모드를 선택하면, 표시용 제어 장치(9)에 의해 세탁 모드 키(12)의 조명부(12a) 및 운전 코스 표시부(20)의 「표준」이 백라이트에 의해 조명되고, 표시부(21)에 세탁 시간[분], 헹굼 횟수(회), 탈수 시간(분)이 표시된다.
각 운전 모드는 다른 조합으로 복수의 운전 코스를 갖고 있고, 예를 들면 세탁 모드에서는 운전 코스로서, 「표준」, 「핫미스트」, 「에너지 절약」, 「드라이」, 「타올(소량)」, 「모포」, 「정성들임」, 「메모리」, 「클린」을 갖고, 이 중에서 원하는 운전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터치 조작부(16)의 터치 다이얼부(17b)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서 터치 다이얼부(17b) 위를 원을 그리도록 하여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이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서 손가락이 접촉한 터치 다이얼부(17b)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D1~D8))으로부터 터치 센서용 IC(33)를 통해 표시용 제어 장치(9)에 검출 신호가 보내진다.
이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용 제어 장치(9)는 손가락이 접촉한 전극 및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표시부(20, 21)에 표시되는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며, 또한 진동자(35) 및 부저(19)를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설정 내용이 변경되는 것에 맞춰 터치 조작부(16)가 진동하고, 부저(19)로부터 소리가 나오도록 되어 있다.
터치 다이얼부(17b) 위를 제 1 방향(예를 들면, 도 4에 화살표(A1)로 나타내는 시계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킴으로써 운전 코스 표시부(20)의 운전 코스 중, 상기 세탁 모드에 포함되는 운전 코스가 차례로 한개씩 백라이트에 의해 비춰진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도 4에 화살표(A2)로 나타내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반대 순서로 운전 코스가 한개씩 백라이트에 의해 비춰진다.
사용자는 표시부(20)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원하는 운전 코스가 비춰진 곳에서 터치 다이얼부(17b)상의 손가락의 이동 조작을 정지하여 운전 코스의 선택을 결정한다.
또한, 세탁 시간, 헹굼 횟수, 탈수 시간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것에 대응하는 조작 키(22~24)를 조작한 후, 터치 다이얼부(17b)상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부(21)의 숫자를 변화시킨다.
그 후, 스타트 조작부(17a)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스타트용 전극(32a)(D0)으로부터 터치 센서용 IC(33)를 통해 표시용 제어 장치(9)에 검출 신호가 보내지고, 또한 표시용 제어 장치(9)로부터 주 제어 장치(41)로 신호가 보내지며, 주 제어 장치(41)에 의해 운전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서, 터치 조작부(16), 터치 검출용 전극(32), 터치센서용 IC(33) 및 표시용 제어 장치(9)는 표시부(20, 21)에 표시된 설정 내용을 변경 조작하기 위한 변경 조작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다른 설정예로서 사용자가 전원 투입 후, 상기한 방법에 의해 원하는 운전 모드와 운전 코스를 선택하여 예약 키(27)를 누르면, 타이머 예약의 설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표시부(21)에 예약 시각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 다이얼부(17b)에 접촉시키면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표시부(21)에 표시되는 예약 시각이 변경되어 간다.
사용자가 희망하는 시간의 숫자인 곳에서 터치 다이얼부(17b)의 조작을 정지하여 예약 시각의 선택을 결정하고, 스타트 조작부(17a)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주 제어 장치(41)에 의해 선택된 시간 후에 운전이 실행된다.
상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조작부(16)의 터치 다이얼부(17b)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서 이동시킴으로써 운전 코스 표시부(20) 및 표시부(21)의 설정 내용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터치 조작부(16)는 패널(7)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패널(7)에 조작 다이얼과 같은 돌출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패널(7)을 평면화할 수 있고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패널(7)에 대해 조작 다이얼과 같이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방수 대책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조작부(16)를 패널(7)에 일체로 설치하고, 패널(7)에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방수 대책을 더 간소하게 할 수 있다.
터치 조작면(17)이 주위의 패널(7)의 표면을 따라서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터치 조작부(16)의 내면을 평면부(16a)로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터치센서 유닛(29)의 보호 부재(36)의 표면으로서는 평면에 형성하면 좋고, 터치 센서 유닛(29)의 표면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터치 조작부(16)에 리브(18)를 설치하고, 손가락이 터치 다이얼부(17b)를 이동할 때 리브(18)의 막대형상부(18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설정 내용의 변경 조작에 따른 조작감을 얻을 수 있고, 설정 내용을 변경 조작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리브(18) 대신에 홈으로 해도 좋다.
또한, 링부(18a)에 의해 터치 조작용 면(17)의 스타트 조작부(17a)와 터치 다이얼부(17b)를 나누고 있으므로, 터치 다이얼부(17b)의 조작을 하고 있을 때, 잘못해서 스타트 조작부(17a)를 조작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손가락이 터치 다이얼부(17b) 위를 이동함에 따라 부저(19)로부터 소리를 내고, 또한 진동자(35)에 의해 터치 조작부(16)가 진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확실히 터치 조작부(16)에 터치한 것을 소리와 진동에 의해 인식할 수 있고, 한층 더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패널(48)이 패널 본체(48a)와, 패널 본체(48a)의 표면에 설치된 보호 시트(4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패널 본체(48a)에는 장착 구멍(47)이 설치되고, 상기 장착 구멍(47)에 터치 센서 유닛(29)이 통부(28)를 통해 장착되어 있으며, 터치센서 유닛(29)을 걸어맞춤 조부(28a)에 걸어맞춰 유지하고 있다.
패널 본체(48a)의 표면과 터치 센서 유닛(29)의 표면이 대략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표면은 표시 내용이 인쇄된 얇은 보호 시트(48b)로 덮여 있다.
터치센서 유닛(29)의 표면, 즉 보호부재(36)의 표면에는 제1 실시형태의 리브(18)(링부(18a), 막대형상부(18b))를 대신하여 링부(51a)와, 방사상의 복수개의 막대형상부(51b)를 구비한 리브(51)가 설치되어 있다.
보호 시트(48b)에 있어서, 보호부재(36)의 표면에 대응하는 부분은 표면을 터치 조작면(50)으로 한 터치 조작부(40)로 되어 있다.
터치 조작부(49)에 있어서, 중앙부의 스타트용 전극(32a)에 대응하는 부위가 스타트 조작부(50a)가 되고, 상기 스타트용 전극(32a)의 주위에 위치하는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에 대응하는 부위가 환형상의 터치 다이얼부(50b)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보호 시트(48b) 표면의 터치 다이얼부(50b)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서 이동시키면, 표시용 제어 장치(9)에 의해 표시부(20, 21)에 표시되는 설정 내용이 변경되고, 스타트 조작부(50a)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주 제어 장치(41)에 의해 운전이 실행된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본체(48a)에 센서 유닛(29)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47)을 설치한 구성으로 했지만, 상기 장착 구멍(47)을 덮도록 보호 시트(48b)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방수 대책을 채택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8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터치 조작부(16)의 터치 조작면(17)상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52)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52)는 투광성을 갖는 것으로 스타트 조작부(17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제 1 실시형태의 링부(18a)와 동일한 내주 링부(52a)와, 터치 다이얼부(17b)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외주 링부(52b)를 구비하고, 이들 내주 링부(52a)와 외주 링부(52b) 사이를 터치 다이얼부(17b) 위를 손가락이 이동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부(53)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53)는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의 배치에 대응시킨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터치 조작부(16)의 내측이 되는 기판(31)의 내면측(스타트용 전극(32a)측과는 반대측)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트용 전극(32a)의 상방측에 위치하여 발광부를 구성하는 LED(54)가 설치되어 있다.
LED(54)는 기판(31)의 내면에 대응하는 측이 발광면으로 되어 있고, 기판(31)에는 LED(54)의 발광면에 대응하여 투과 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기판(31)의 내면측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8 개의 발광부가 되는 LED(55)가 설치되어 있다.
LED(55)는 기판(31)의 내면에 대응하는 측이 발광면으로 되어 있고, 기판(31)에는 LED(55)의 발광면에 대응하여 투과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LED(54)가 발광했을 때는 사용자는 상기 LED(54)의 발광을 기판(31)의 투과 구멍(54a) 및 리브(52)의 내주 링부(52a)를 통해 시인(視認)할 수 있다. 또한, LED(55)가 발광했을 때는 사용자는 그 LED(55)의 발광을 기판(31)의 투과 구멍(55a) 및 리브(52)의 외주 링부(52b)를 통해 시인할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터치 검출 회로에는 터치센서용 IC(33) 대신에 터치 센서용 IC(33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치센서용 IC(33A)의 단자(P1, P2) 사이에는 전해 콘덴서(56)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단자(P1)는 +5V의 직류 전원선(57)에 접속되고, 단자(P2)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터치 센서용 IC(33A) 내에 있어서, 단자(P1)는 저항(58, 59)을 직렬로 통하여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터치센서용 IC(33A)는 단자(P3)를 갖고 있고, 상기 단자(P3)는 제2 터치 검출용 전극으로서의 스타트용 전극(32a)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스타트용 전극(32a)은 저항(60)을 통해 터치 센서용 IC(33A)의 단자(P1)에 접속되어 있다.
터치센서용 IC(33A) 내에서, 단자(P3)는 콤퍼레이터(61)의 음(-)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MOS형 FET(62)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콤퍼레이터(61)의 출력 단자는 카운터(63)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콤퍼레이터(61)의 양(+) 단자는 저항(58, 59)의 공통 접속점에 접속되어 +2.5V의 임계값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FET(62)의 게이트 및 카운터(63)의 제어 단자에는 온 오프 지령 신호(64)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스타트 스위치(65)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온 오프 지령 신호(64)는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을 번갈아 반복하는 펄스 신호이다.
터치센서용 IC(33A)는 8개의 단자(P4)(도 12에서는 1개만 도시)를 갖고 있고, 이들 단자(P4)는 8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각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은 저항(60)을 통해 터치센서용 IC(33A)의 단자(P1)에 접속되어 있다.
터치센서용 IC(33A) 내에서, 단자(P4)에도 콤퍼레이터(61), FET(62), 카운터(63)가 설치되고, FET(62)의 게이트 및 카운터(63)의 제어 단자에는 온 오프 지령 신호(64)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상에 의해 다이얼부 스위치(66)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센서 검출 회로의 검출 원리에 대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스타트 스위치(65)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조작부(16)의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촉하지 않는 통상시에는 스타트용 전극(32a)은 콘덴서(67)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촉하지 않는 통상시에는 콘덴서(67)는 스타트용 전극(32a)에 대한 기생 정전 용량이 된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촉하고 있는 조작시에는 콘덴서(67)는 스타트용 전극(32a)의 기생 정전용량에 인체에 의한 정전 용량을 더한 가산 정전용량이 되고, 기생 정전용량보다도 커진다.
터치센서용 IC(33A)의 FET(62)의 게이트 및 카운터(63)의 제어 단자에는 온 오프 지령 신호(64)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온 오프 지령 신호(64)가 로우 레벨 신호(오프 신호)일 때는 FET(62)가 오프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67)가 충전되며, 충전 전압은 서서히 상승하여 그 후 일정해진다.
상기 콘덴서(67)의 충전 전압은 이것이 기생 정전용량의 통상시에는 도 1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신속히 상승하지만, 정전용량이 큰 가산 정전용량(기생 정전용량+인체 정전용량)의 조작시에는 도 1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완만해진다.
그 후, 온 오프 지령 신호(64)가 하이 레벨 신호(온 신호)가 되면, FET(6)가 온되는 것에 의해 콘덴서(67)의 충전 전하는 순식간에 방전되고, 방전 전압은 0이 된다.
한편, 콤퍼레이터(61)는 양(+) 단자에 +2.5V의 임계값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양(+) 단자에 부여되는 충전 전압이 +2.5V 미만일 때는 동작하여 하이 레벨의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카운터(63)는 제어 단자에 온 오프 지령 신호(64)가 부여됨으로써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의 하강으로 리셋되고나서 트리거되어 카운터 동작을 스타트한다.
그리고, 입력 단자에 부여되는 콤퍼레이터(61)의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이 되면, 카운터 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카운터(63)의 카운트값은 콤퍼레이터(31)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게 된다.
콤퍼레이터(61)에 있어서, 음(-) 단자에 부여되는 콘덴서(67)의 충전 전압이 +2.5V의 임계값이 되어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이 되기까지의 시간은 콘덴서(67)가 기생 정전용량의 통상시는 시간(T1)이 되지만, 콘덴서(67)가 가산 정전용량이 되는 조작에는 이것보다도 긴 시간(T2)이 된다.
상기 카운터(61)의 카운트값(시간(T1, T2) 신호)이 검출 신호로서 표시용 제어 장치(9)(도 6 참조)에 부여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표시용 제어 장치(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LED(54, 55)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스타트 스위치(65)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조작부(16)의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근하여 접촉하는 경우의 과정에서는 스타트용 전극(32a)과 손가락 사이의 거리와, 콘덴서(68)의 충전 전압이 +2.5V의 임계값에 도달하기까지의 콤퍼레이터(31)의 동작 시간(도 13에 시간(T2)에 상당)과의 관계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타트용 전극(32a)에 접근함에 따라서 콘덴서(67)의 정전 용량은 점점 커지고, 시간(T2)이 길어진다.
이것에 의해, 카운터(63)의 카운트값(시간(T2) 신호)을 검출 신호로서 입력하는 표시용 제어 장치(9)에, 감도가 높은 임계값(시간(Ta))과 이것보다도 큰(긴) 감도가 낮은 임계값(시간(Tb))을 미리 설정해두고 전환하도록 하면, 시간(T2)이 감도가 높은 임계값(시간(Ta))일 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근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시간(T2)이 감도가 낮은 임계값(시간(Tb))일 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촉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스타트 스위치(65)의 검출 원리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검출 원리도 동일하고, 상기 스타트 스위치(65)의 설명에 있어서, 스타트 조작부(17a)를 터치 다이얼부(17b)와 바꾸고, 스타트용 전극(32a)을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과 바꾸는 것으로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다이얼부 스위치(66)에서도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용 제어 장치(9)에 감도가 높은 임계값(시간(Ta))과 이것보다도 큰(긴) 감도가 낮은 임계값(시간(Tb))을 미리 설정해두고 전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는 터치센서용 IC(33A)와 표시용 제어 장치(9)의 동작을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터치 조작부(16)에 대해 회전 조작(다이얼 조작)할 때는 터치 센서용 IC(33A) 및 표시용 제어 장치(9)는 도 18의 플로우차트를 실행한다. 우선, 다이얼부 스위치(66)에 반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판단 단계(S1)), 반응이 없을(판단 단계(S1)에서 「아니오」)때는 스타트 스위치(65)의 감도를 고(高)로 전환한다(처리 단계(S12)).
계속해서, 다이얼 조작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판단 단계(S3)),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검출 신호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다이얼부(17b)를 회전 조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작하지 않을 때는(판단 단계(S3)에서 「아니오」),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감도를 고로 전환한다(처리 단계(S13)).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조작부(16) 부근에 가까워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처리 단계(S14)), 「아니오」인 경우에는 LED(55)가 점멸 교호 표시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판단 단계(S16)), 점멸 표시하고 있지 않을 때는(판단 단계(S16)에서 「아니오」), 판단 단계(S7)로 이행한다.
이제 판단 단계(S7)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다이얼부(17b)에 접촉시켜 회전 조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는(판단 단계(S7)에서 「아니오」) 판단 단계(S1)로 복귀한다.
이하, 판단 단계(S1), 처리 단계(S12), 판단 단계(S3), 처리 단계(S13), 판단 단계(S14, S16, S7)를 반복하는 대기중이 된다.
상기 대기중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 조작부(16)의 스타트 조작부(17a) 또는 터치 다이얼부(17b) 부근에 근접하면, 이 때에는 스타트 스위치(65) 및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감도가 고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검출할 수 있고(판단 단계(S14)에서 「예」), 처리 단계(S15)로 이행한다.
표시용 제어 장치(9)는 이 처리 단계(S15)에서는 도 15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LED(55) 중 1개 걸러 4개를 세트로 하여 번갈아 발광 표시시킨다. 도 15에서 칠해진 부분이 발광을 나타내고 있다.
그 후는 판단 단계(S7)로 이행하고, 이하, 판단 단계(S1), 처리 단계(S12), 판단 단계(S3), 처리 단계(S13), 판단 단계(S14), 처리 단계(S15) 및 판단 단계(S7)를 반복하여 LED(55)에 점멸 교호 표시시킨다.
또한, 이 점멸 교호 표시중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 조작부(16)로부터 이간시킨 경우에는 판단 단계(S14)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하고, LED 점멸 교호 표시중이라고 판단(판단 단계(S16)에서 「예」)하며, 터치 조작부(16)로부터 손가락이 떨어지고나서 5초 후에 LED(55)를 소등시킨다(처리 단계(S17)).
LED(55)의 점멸 교호 표시중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 조작부(16)의 터치 다이얼부(17b)에 접근시킨 경우에는 다이얼부 스위치에 반응이 있다고 판단 단계(S1)에서 「예」라고 판단하고, 스타트 스위치(65)의 감도를 저(低)로 전환한다(처리 단계(S2)).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다이얼부(17b)를 조작할 때(판단 단계(S3)에서 「예」)는,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감도를 저로 전환한다(처리 단계(S4)).
그리고, LED(55)가 점멸 교호 표시중이면(판단 단계(S5)에서 「예」), 상기 LED(55)의 점멸 교호 표시를 정지시키고, 판단 단계(S7)로 이행한다. 또한, LED(55)가 점멸 표시중이 아니라고(판단 단계(S5)에서 「아니오」) 판단했을 때에는 바로 판단 단계(S7)로 이행한다.
판단 단계(S7)에서는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감도가 저로 전환되어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 다이얼부(17b)에 접촉시킨 상태로 회전 조작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손가락의 회전 조작 방향이 화살표(A1) 방향(도 9 및 도 16에서 시계 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판단 단계(S8))한다. 이것은 8개의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검출 신호의 변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살표(A1) 방향이라고 판단했을 때는(판단 단계(S8)에서 「예」), 표시용 제어 장치(9)는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조작부(16)의 최상부에서 화살표(A1) 방향측의 2개의 LED(55)를 발광시킨다(처리 단계(S9)).
이하, 이 처리 단계(S9)로 이행할 때마다 도 16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A1) 방향으로 LED(55)를 1개 진행하여 점등(발광)시킨다.
또한, 화살표(A1) 방향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판단 단계(S8)에서 「아니오」, 사용자의 손가락의 조작 방향은 화살표(A2) 방향(도 9 및 도 17에서 반시계 방향)이므로, 표시용 제어 장치(9)는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조작부(16)의 최상부에서 화살표(A2) 방향측의 2개의 LED(55)를 발광시키고(처리 단계(S10)), 이후 이 처리 단계(S10)로 이행할 때마다 도 17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A2) 방향으로 LED(55)를 1개 진행하여 점등시킨다.
계속해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스 선택이나 시간 표시 등의 현재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표시를 갱신한다(처리 단계(S11)).
그 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표시부(20)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희망하는 운전 코스가 비춰진 곳에서 터치 다이얼부(1b)의 조작을 정지하여 운전 코스의 선택을 결정하거나, 또는 세탁 시간, 헹굼 횟수, 탈수 시간을 변경한다.
그리고, 스타트 조작부(17a)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스타트 스위치(65)로부터 터치 센서용 IC(33A)를 통해 표시용 제어 장치(9)에 검출 신호가 보내지고, 또한 표시용 제어 장치(9)로부터 주 제어 장치(41)로 신호가 보내져 주 제어 장치(41)에 의해 운전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용 제어 장치(9)는 스타트 스위치(65)로부터 검출 신호가 부여되면, LED(54)를 발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손가락을 접촉시키면서 이동시킴으로써 운전 코스 표시부(20) 및 표시부(21)의 설정 내용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이하와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기판(31)에 스타트용 전극(32a) 및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에 대응하여 LED(54, 55)를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스타트용 전극(32a) 및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사용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다.
이 경우, LED(54, 55)를 기판(31)의 스타트용 전극(32a) 및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과는 반대측 면이 되는 내면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스타트용 전극(32a) 및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을 터치 조작부(16)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조작면(17)과 스타트용 전극(32a) 및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의 사이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고, 조작 감도(터치 감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조작부(16)의 터치 조작면(17)상에 스타트 조작부(17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내주 링부(52a)와, 터치 다이얼부(17b)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외주 링부(52b)에 의해 터치 다이얼부(17b)위를 손가락이 이동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부(53)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손가락을 터치 다이얼부(17b) 위를 가이드부(53)를 따라서 확실히 이동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스타트 스위치(65) 및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감도를 개별로 고, 저로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터치 다이얼부(17b)의 조작 당초(當初)는 스타트 스위치(65) 및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감도를 고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 조작부(16)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LED(55)를 점멸 교호 표시시킬 수 있고, 터치 조작부(16)가 기능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다이얼부(17b)를 회전 조작할 때는 다이얼부 스위치(66)의 감도를 저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다이얼부(17b)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서 조작하는 것을 조건으로 검출 동작이 실시되게 되고, 사용자의 조작 의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작의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다이얼부(17b)의 회전 조작중에는 스타트 스위치(65)의 감도를 저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중인 손가락 이외의 다른 손가락이 잘못해서 스타트 조작부(17a)에 일시적으로 접근했다고 해도 주 제어 장치(41)에 운전 개시 신호가 보내지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다이얼부(17b)의 회전 조작중에는 스타트 스위치(65)의 감도를 저로 전환하도록 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다이얼부(17b)의 회전 조작중에는 표시용 제어 장치(9)가 스타트 스위치(65)의 검출 신호를 접수하지 않도록 하는, 즉 무효화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안전성이 더 향상된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는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기판(31)에 8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D1~D8)을 설치하는 구성을 대신하여,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D1~D4))를 설치하고 있다.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은 180도의 각도 영역을 가진 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가 최대 폭이며, 그 중앙부로부터 외주측 양 방향(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을 향할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은 외주의 중앙부로부터 시계 방향측의 거의 절반이 기판(31)과 동심원상이고, 내주의 중앙부로부터 반시계 방향측의 거의 절반이 기판(31)과 동심원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D1~D4)은 터치 다이얼부(17b)(도 9 참조)와 대응하도록 환형상으로 배치되고, 구체적으로는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D1, D2, D3, D4)의 시계 방향측의 내주 부분에, 이것들과 각각 인접하는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D2, D3, D4, D1)의 반시계 방향측의 외주 부분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각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은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과 마찬가지로 도 12에 도시한 다이얼부 스위치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고, 그 검출 신호는 표시용 제어 장치(9)(도 6 참조)에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9에 있어서, 기판(31)에 도 9의 터치 조작부(16)를 대응시킨 경우, 최상부 위치를 0도로 하여 이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터치 다이얼부(17b)에 접촉시킨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손가락에 대응하는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변화하므로, 상기 면적이 상대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에 의해, 손가락에 의해 작용하는 정전 용량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4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D1, D2, D3, D4)이 구성하는 다이얼부 스위치의 검출 신호(콤퍼레이터 동작 시간)는 도 20의 (a), (b), (c),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고, 180도의 범위로 연속적으로 90도 상승하고 90도 하강하는 신호가 되고, 차례로 서로 90도 어긋난 검출 신호가 된다.
상기 도 20의 (a) 내지 (d)에 도시한 검출 신호가 표시용 제어 장치(9)에 부여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의 회전 조작 각도를 무단계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3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5에는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제 5 실시형태의 기판(31)에는 제 3 실시형태의 터치 검출용 전극(32) 대신에 터치 검출용 전극(68)이 설치되어 있다.
터치 검출용 전극(68)은 터치 조작부(16)의 스타트 조작부(17a)에 대응하는 제 2 터치 검출용 전극으로서의 스타트용 전극(69)과, 터치 다이얼부(17b)에 대응하여 환형상으로 배치된 8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70)(D1~D8)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타트용 전극(69)은 중앙부의 직사각형 형상의 신호측 전극(69a)과 그 주위부의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전원측 전극(69b)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 다이얼용 전극(70)은 중앙부의 직사각형 형상의 신호측 전극(70a)과 그 주위부의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전원측 전극(70b)을 포함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다이얼용 전극(70)에 있어서, 신호측 전극(70a)은 기판(31) 내에 설치된 접속용 전극(71)에 스루홀을 통해 땜납(72)에 의해 접속되고, 전원측 전극(70b)은 기판(31) 내에 접속용 전극(71) 보다 표면측에 위치하여 설치된 접속용 전극(73)에 스루홀을 통해 땜납(7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스타트용 전극(69)의 신호용 전극(69a) 및 전원용 전극(69b)도 동일하게 하여 접속용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판(31)의 표면에는 스타트용 전극(69) 및 터치 다이얼용 전극(70)의 주위를 소정의 틈을 갖고 둘러싸는 그라운드 전극(실드)(75)이 설치되고, 또한 기판(31)의 내면 거의 전역에는 그라운드 전극(실드)(76)이 설치되며, 그라운드 전극(실드)(75)과 그라운드 전극(실드)(76)은 스루홀을 통해 땜납(7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24에 있어서, 터치 검출 회로에는 터치 센서용 IC(33A) 대신에 터치 센서용 IC(3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터치 센서용 IC(33B)의 단자(P1)는 저항(78)을 통해 NPN형 트랜지스터(79)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79)에 있어서, 베이스는 저항(80)을 통해 에미터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15V의 직류 전원선(81)에 접속되며, 컬렉터는 저항(82)을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용 IC(33B)내에서, 단자(P1)에는 방형파 신호(83)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방형파 신호(83)는 소정 주기로 하이 레벨, 로우 레벨을 번갈아 반복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이 방형파 신호(83)가 베이스로 부여되는 트랜지스터(79)는 로우 레벨일 때는 온이 되고, 하이 레벨일 때는 오프가 되도록 온 오프를 반복하게 된다.
트랜지스터(79)의 컬렉터에는 전원선(84)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원선(84)은 트랜지스터(79)의 온 시에는 에미터 전위가 되고, 트랜지스터(79)의 오프 시에는 그라운드 전위가 된다.
이 전원선(84)에는 스타트용 전극(69)의 전원측 전극(69b)이 접속되어 있고, 또한 8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70)(도 24에서는 1개만 도시)의 전원측 전극(70b)이 접속되어 있다.
터치 센서용 IC(33B)는 단자(P2)를 갖고, 이 단자(P2)는 터치 센서용 IC(33B) 내에서 A/D 변환 회로(85)에 접속되어 있다.
이 단자(P2)는 다이오드(86)를 역방향으로 통해 스타트용 전극(69)의 신호측 전극(69a)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다이오드(86)의 캐소드는 저항(87)을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콘덴서(88)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다이오드(89)를 순방향으로 통해 직류 전원선(57)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것들에 의해 스타트 스위치(90)가 구성되어 있다.
터치센서용 IC(33B)는 8개의 단자(P3)(도 24에서는 1개만 도시)를 갖고, 이들 단자(P3)와, 이들 8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70)의 신호측 전극(70a)의 사이에는 스타트 스위치(90)와 마찬가지로 A/D 변환 회로(85), 다이오드(86), 저항(87), 콘덴서(88) 및 다이오드(89)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이것들에 의해 각 다이얼부 스위치(91)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센서 검출 회로의 검출 원리에 대해 도 25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타트 스위치(90)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조작부(16)의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촉하지 않는 통상시에는 스타트용 전극(69)의 전원측 전극(69a)과 신호측 전극(69b)은 이간하여 절연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촉시킨 조작시에는 스타트용 전극(69)의 전원측 전극(69a)과 신호측 전극(69b)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정전 용량에 의한 콘덴서(92)를 통해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79)의 온시에는 전원선(84), 콘덴서(92)를 통해 콘덴서(88)가 충전되어 전압이 발생하고, 이 발생 검압은 A/D 변환 회로(85)에 부여된다.
그런데, 스타트 스위치(90)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조작부(16)의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근하여 접촉하는 경우의 과정에 있어서, 스타트용 전극(69)과 손가락 사이의 거리와, 콘덴서(88)의 충전 전압(발생 전압)의 관계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타트용 전극(69)에 접근함에 따라서 콘덴서(92)의 정전 용량은 점점 작아지고, 발생 전압은 커진다. 이것에 의해 A/D 변환 회로(85)의 출력 신호를 검출 신호로서 입력하는 표시용 제어 장치(9)에, 감도가 높은 임계값(전압(Va))과 이 전압(Va) 보다도 큰 전압(Vb)인 감도가 낮은 임계값(전압(Vb))을 미리 설정해두고, 감도 고와 감도 저를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발생 전압이 감도가 높은 임계값(전압(Va))일 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근했다고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발생 전압이 감도가 낮은 임계값(전압(Vb))일 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타트 조작부(17a)에 접촉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스타트 스위치(90)의 검출 원리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이얼부 스위치(91)의 검출 원리도 동일하고, 스타트 스위치(90)의 설명에 있어서, 스타트 조작부(17a)를 터치 다이얼부(17b)와 바꾸고, 스타트용 전극(69)을 터치 다이얼용 전극(70)을 바꾸기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다이얼부 스위치(91)에서도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용 제어 장치(9)에 감도가 높은 임계값(전압(Va))과 이것보다도 큰 감도가 낮은 임계값(전압(Vb))을 미리 설정해두고 전환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터치 센서용 IC(33A) 대신에 터치센서용 IC(33B)를 이용하도록 해도 터치센서용 IC(33B)와 표시용 제어 장치(9)에 도 18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 제 5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5 실시형태의 도 21 및 도 24를 참조한다.
이 제 6 실시형태에서는 도 24의 터치센서용 IC(33B)의 단자(P1)에 부여되는 방형파 신호(83)의 방형파 주파수를 감도 고용(高用)의 주파수 고와, 감도 저용(低用)의 주파수 저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6은 전극(스타트 전극(69) 또는 터치 다이얼용 전극(70))과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의 거리, 콘덴서(88)의 발생 전압 및 주파수 고, 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주파수 고쪽이 주파수 저보다도 콘덴서(92)를 흐르는 전류가 커지고, 콘덴서(88)의 발생 전압이 높아진다.
따라서, 전압의 임계값을 일정한 Vb로 설정해도 주파수 고일 때는 손가락이 스타트 조작부(17a) 또는 터치 다이얼부(17b)에 접근한 것을 검출할 수 있고, 이것에 대해 주파수 저일 때는 손가락이 스타트 조작부(17a) 또는 터치 다이얼부(17b)에 접촉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스타트 스위치(90)와 다이얼부 스위치(91)의 감도를 개별로 고, 저로 전환하고 싶은 경우에는 터치 센서용 IC(33B)에 스타트 스위치(90) 전용 단자(P1)와 다이얼부 스위치(91) 전용 단자(P1)를 설치하여 주파수를 개별로 전환하도록 하면 좋다.
이 제 6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대해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5 실시형태의 도 21 및 도 2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제 7 실시형태에서는 패널(7)에 설치된 터치 조작부(16)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거의 원형상의 볼록부(93)와, 상기 볼록부(93)의 주위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로서의 거의 원고리 형상의 볼록조부(94)를 구비하고, 볼록부(93)는 하면이 개방되고, 표면(상면)이 스타트 조작부(17a)로서 형성되며, 또한 볼록조부(94)는 하면이 개방되고, 표면(상면)이 환형상의 터치 다이얼부(17b)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7 실시형태에서는 기판(31)은 중앙부에 위치하는 원형상의 기판(31A)과, 상기 기판(31A)의 주위에 위치하는 원고리형상의 기판(31B)으로 분할하여 구성되고, 기판(31A)에는 스타트용 전극(69)이 설치되고, 기판(31B)에는 8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7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31A)은 볼록부(93)의 하면 오목부 내에 설치되고, 스타트용 전극(69)이 스타트 조작부(17a)에 대응하며, 기판(31B)은 볼록조부(74)의 하면 오목부 내에 설치되고, 터치 다이얼용 전극(70)이 터치 다이얼부(17b)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제 7 실시형태에서는 터치 조작부(17a)를 조작하는 부분이 볼록부(93)에 형성되고, 또한 터치 다이얼부(17b)를 따라서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볼록조부(94)에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 5 실시형태와 다를 뿐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대해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8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제 8 실시형태에서는 기판(31)의 중앙부에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스타트용 전극(69)이 설치되고, 이 스타트용 전극(69)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4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이 설치되어 있다.
단, 이 제 8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은 제 4 실시형태 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31)에는 4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원고리형상의 공통의 전원측 전극(32d)이 설치되어 있다. 이 4 개의 터치 다이얼측 전극(32c)과 전원측 전극(32d)은 터치 조작부(16)의 터치 다이얼부(17b)(도 21 참조)에 대응하여 4쌍의 전극을 구성하고, 도 24의 부호 "91"로 나타내는 다이얼부 스위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에 의해 터치 다이얼부(17b)를 회전 조작하면, 전원측 전극(32d)과 4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에 손가락의 정전 용량이 차례로 작용하고, 전원측 전극(32d)과 4개의 터치 다이얼용 전극(32c)에 의해 구성되는 4개의 다이얼부 스위치에 차례로 전압이 발생하고, 그 발생 전압은 각각 도 30의 (a), (b), (c),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따라서, 이 제 8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터치 다이얼용 전극(32b)(D1~D8), 70(D1~D8)을 고리 형상으로 나열하여 배치하도록 했지만, 복수의 터치 검출용 전극을 직선 형상으로 나열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 터치 조작부(16)를 이것에 대응시키도록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조작면(17)상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서 구동시켜 설정 내용의 변경 조작을 할 수 있다.
터치 조작부(16)의 스타트 조작부(17a)를 주위의 터치 조작면(17)보다 오목하게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잘못해서 스타트 조작부(17a)를 조작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 조작부의 터치 다이얼부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서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부에 표시되는 설정 내용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터치 조작부는 패널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패널에 조작 다이얼과 같은 돌출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패널을 평면화할 수 있고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패널에 대해 조작 다이얼과 같이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방수 대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새로운 실시형태는 그외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2 : 세탁기 본체
7 : 패널
9: 표시용 제어 장치(표시 제어 수단, 변경 조작 수단)
16 : 터치 조작부(변경 조작 수단)
17 : 터치 조작면(변경 조작 수단)
17a : 스타트 조작부
17b : 터치 다이얼부(변경 조작 수단)
20 : 운전 코스 표시부(표시부)
21 : 표시부
29 : 터치 센서 유닛
32, 68 : 터치 검출용 전극(변경 조작 수단)
32a, 69 : 스타트용 전극(제 2 터치 검출용 전극)
32b, 32c : 터치 다이얼용 전극(변경 조작 수단)
53 : 가이드부
55 : LED(발광부)

Claims (8)

  1. 세탁기 본체에 설치된 패널,
    상기 패널에 설치되어 운전 조건에 관한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설정 내용을 변경 조작하기 위한 설정 내용 변경 조작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상기 설정 내용 변경 조작 수단은,
    상기 패널에 설치되어 표면을 손가락을 접촉시켜 조작하기 위한 터치 조작면으로 한 터치 조작부,
    상기 터치 조작부의 내측에 나열하여 설치되어, 상기 터치 조작면으로의 손가락의 조작을 검출하는 정전 용량식 복수의 터치 검출용 전극 및
    상기 터치 조작면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서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터치 검출용 전극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설정 내용을 변경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검출용 전극은 고리 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는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부는 상기 패널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터치 조작면의 표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터치 조작면의 내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터치 검출용 전극을 가진 터치 센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은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의 표면을 상기 터치 조작부의 상기 내면을 따르게 한 상태로 상기 터치 조작부의 상기 내측에 장착하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부에 상기 터치 조작면 위를 손가락이 이동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부를 상기 터치 검출용 전극의 배치에 대응시켜 고리 형상으로 설치하는 세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부의 상기 내측에 복수의 발광부를 설치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 조작면 위를 손가락이 이동하도록 조작되었을 때 상기 발광부의 발광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용 전극의 감도를 상기 터치 조작면으로의 손가락의 접근으로 손가락의 검출이 가능한 레벨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 검출용 전극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조작면으로의 손가락의 접근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발광부의 발광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세탁기.
  7. 제 2 항에 있어서,
    고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터치 검출용 전극의 중앙부에, 상기 터치 조작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을 검출하는 정전 용량식 제 2 터치 검출용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터치 검출용 전극의 감도를 상기 터치 검출용 전극의 감도 보다도 낮게 설정하고 있는 세탁기.
  8. 제 2 항에 있어서,
    고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터치 검출용 전극의 중앙부에 상기 터치 조작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을 검출하는 정전 용량식 제 2 터치 검출용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 검출용 전극에 대한 조작중에는 상기 제 2 터치 검출용 전극으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무효화하도록 하는 세탁기.
KR1020110116737A 2010-12-02 2011-11-10 세탁기 KR101386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9320 2010-12-02
JP2010269320A JP5738578B2 (ja) 2010-04-19 2010-12-02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741A true KR20120060741A (ko) 2012-06-12
KR101386818B1 KR101386818B1 (ko) 2014-04-17

Family

ID=4645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737A KR101386818B1 (ko) 2010-12-02 2011-11-10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86818B1 (ko)
CN (1) CN102560960B (ko)
TW (1) TWI46857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871A (ko) * 2014-10-02 201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777421B2 (en) 2013-04-04 2017-10-03 Lg Electronics Inc. Control panel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1153B2 (ja) * 2013-12-25 2016-12-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US10563335B2 (en) 2014-11-26 2020-02-18 Lg Electronics Inc. Washer
KR102243658B1 (ko) 2014-11-26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WO2016085132A1 (ko) * 2014-11-26 201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N105908453B (zh) 2015-11-02 2018-07-2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06012410B (zh) * 2015-11-02 2017-12-2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及制造设于该衣物处理装置的门的方法
CN206070193U (zh) 2015-11-02 2017-04-05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101708355B1 (ko)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048967B (zh) * 2015-11-02 2018-03-0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及制造设于该衣物处理装置的门的方法
CN106012440B (zh) 2015-11-02 2018-09-1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101708352B1 (ko)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08354B1 (ko)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5821623B (zh) * 2016-05-26 2018-06-08 丹阳市逸帆电子有限公司 洗衣机防水控制板
DE102016214642B4 (de) * 2016-08-08 2024-02-2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Touchdrehwähler,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CN107780129B (zh) * 2016-08-31 2022-12-2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洗衣机的洗涤预约方法和预约系统
TWI717172B (zh) * 2019-12-26 2021-01-21 台灣松下電器股份有限公司 防水觸控面板裝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892A (ja) * 2001-02-28 2002-09-10 Hitachi Ltd 洗濯機、表示操作パネル及びこの表示操作パネルを備えた家庭電化機器
JP4777070B2 (ja) * 2006-01-11 2011-09-21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DE102006013937A1 (de) * 2006-03-16 2007-09-27 Prettl Appliance Systems Gmbh Bedienblendenanordnung für Haushaltsmaschin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edienblendenanordnung
GB0612200D0 (en) * 2006-06-20 2006-08-02 Philipp Harald Capacitive position sensor
KR101405288B1 (ko) * 2007-03-28 2014-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트롤패널을 구비한 드럼세탁기
JP2009139019A (ja) * 2007-12-06 2009-06-25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WO2010079551A1 (ja) * 2009-01-07 2010-07-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7421B2 (en) 2013-04-04 2017-10-03 Lg Electronics Inc. Control panel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60039871A (ko) * 2014-10-02 201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96035A (ko) * 2014-10-02 202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3867A (en) 2012-08-16
CN102560960B (zh) 2015-04-01
KR101386818B1 (ko) 2014-04-17
TWI468571B (zh) 2015-01-11
CN102560960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818B1 (ko) 세탁기
JP5738578B2 (ja) 洗濯機
US20020126094A1 (en) Input device with capacitive antenna
KR101912986B1 (ko) 기계 부품의 표면에 대한 용량성 감지 노드 통합
JP5408717B2 (ja) 静電容量式スイッチ装置
US20130050139A1 (en) Multifunctional touch and/or proximity sensor
CN101488740B (zh) 触摸式按键及其控制方法
JP2014014588A (ja)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CN101207377A (zh) 一种控制板传感器及显示设备
JP2018134259A (ja) 洗濯機
CN107503416B (zh) 马桶器的检测电路及其检测方法
JP2010183941A (ja) 家庭電化製品の入力表示装置
CN113445259B (zh) 按键结构、按键结构控制方法及洗衣机
JP6569084B2 (ja) 操作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洗濯機または洗濯乾燥機
JP2014033844A (ja)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2014100597A (ja) 洗濯機
JP2014014587A (ja)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5978461B2 (ja)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3190539U (ja) スイッチ構造
JP5938806B2 (ja) 洗濯機
US20070272677A1 (en) Sensor element arrangement for a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ensor element arrangement
CN214033025U (zh) 一种洗衣机
KR20120053787A (ko)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스위치
CN210626928U (zh) 一种带有磁旋钮和指纹识别的智能马桶
JPH09306315A (ja) 照光式タッチ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