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253A -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253A
KR20120060253A KR1020100087358A KR20100087358A KR20120060253A KR 20120060253 A KR20120060253 A KR 20120060253A KR 1020100087358 A KR1020100087358 A KR 1020100087358A KR 20100087358 A KR20100087358 A KR 20100087358A KR 20120060253 A KR20120060253 A KR 20120060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ption
lift
axis
beekeeping
de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운희
Original Assignee
유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운희 filed Critical 유운희
Priority to KR102010008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253A/ko
Publication of KR2012006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2Devices for uncapping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자동으로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바디프레임의 하부에는 이송바퀴를 구성하고, 상단부 일측에는 손잡이를 구성하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어 벌통에 수용된 소비를 1차탈봉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소비를 상,하,좌,우로 이송하는 탈봉리프트를 구성하며, 상기 탈봉리프트를 X축으로 이송하는 X축이송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탈봉리프트를 Y축으로 이송하는 Y축이송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어 소비의 표면에 붙은 잔여 벌을 2차탈봉하는 보조탈봉부를 구성하고, 상기 X축이송수단과 Y축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소비를 수거하는 소비수거부를 구성하여,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수거하는 것을 자동화하도록 해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양봉농가의 인력부족현상을 해결하고, 수레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이동성이 용이하며, 각각의 구성품을 모듈화하여 제작 및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되므로 양봉농가의 소득에 큰 기여를 하고, 탄성스프링과 완충스프링 사이에 소비를 잡고 있는 리퍼부를 구성하여, 동기부에 의해 리퍼부가 상,하로 순간 유동하여 소비에 붙어 있는 벌을 탈봉하도록 함으로써, 물리적 충격에 약한 벌을 보호하고, 탈봉작업이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완충스프링에 의해 소비가 낙하를 할 시 바닥에 부딪혀 소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apiculture honeycomb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자동으로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바디프레임의 하부에는 이송바퀴를 구성하고, 상단부 일측에는 손잡이를 구성하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어 벌통에 수용된 소비를 1차탈봉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소비를 상,하,좌,우로 이송하는 탈봉리프트를 구성하며, 상기 탈봉리프트를 X축으로 이송하는 X축이송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탈봉리프트를 Y축으로 이송하는 Y축이송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어 소비의 표면에 붙은 잔여 벌을 2차탈봉하는 보조탈봉부를 구성하고, 상기 X축이송수단과 Y축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소비를 수거하는 소비수거부를 구성하여, 신속하고 완전하게 소비로부터 벌을 탈봉할 뿐만 아니라, 탈봉된 소비를 별도의 수거함에 수거하거나 바로 채밀하도록 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양봉산업은 벌꿀과 밀랍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을 사양하는 산업으로서, 꿀벌을 이용하여 자연에 존재하는 꽃에서 꿀과 화분을 수집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특성 때문에, 유익한 밀원인 꽃을 찾아 산간오지 등으로 이동하면서 양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봉산업의 이동성과 산간오지 등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그 기계화가 더디게 진행되었고, 주로 양봉 전문가인 기술인력의 노동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봉 전문인력의 경우 그 한계가 있어 노동력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품앗이로 노동력을 보완하고 있다.
종래에는 벌꿀을 수확하는 채밀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소비에 붙은 벌을 사람이 벌통에서 꺼내는 순간 흔들어서 다수의 벌들을 이탈시킨 후, 작업자가 일일이 벌을 떨어내어 채밀기 등을 이용하여 소방에서 꿀을 분리시키곤 하였다.
그러나,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 소비에 붙은 벌을 일일이 떨어내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데, 근래 봉군수의 증가를 고려할 때 양봉 전문인력의 부족은 더욱 다급한 실정이다.
더욱 벌꿀을 수확하는 시기에 노동력의 부족으로 인해 적절한 시기에 수확이 이루어지지 않아 소득의 감소는 물론이고 품질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벌에 쏘이는 것을 방지하며, 신속하고 완전하게 소비로부터 벌을 탈리시키며,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수레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이동성이 용이하며, 각각의 구성품을 모듈화하여 제작 및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되므로 양봉농가의 소득에 큰 기여를 하고, 탄성스프링과 완충스프링 사이에 소비를 잡고 있는 리퍼부를 구성하여, 동기부에 의해 리퍼부가 상,하로 순간 유동하여 소비에 붙어 있는 벌을 탈봉하도록 함으로써, 물리적 충격에 약한 벌을 보호하고, 탈봉작업이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완충스프링에 의해 소비가 낙하를 할 시 바닥에 부딪혀 소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치의 몸체를 이루며, 하부에는 이송바퀴를 구성하고, 상단부 일측에는 손잡이를 구성한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어 벌통에 수용된 소비를 1차탈봉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소비를 상,하,좌,우로 이송하는 탈봉리프트와, 상기 탈봉리프트를 좌, 우향인 X축으로 이송하는 X축이송수단과, 상기 탈봉리프트를 상, 하향인 Y축으로 이송하는 Y축이송수단과, 상기 탈봉리프트에 의해 1차탈봉된 소비의 표면에 붙은 잔여 벌을 2차탈봉하는 보조탈봉부와, 상기 X축이송수단과 Y축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소비를 수거하는 소비수거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탈봉리프트는 벌통에 수용된 소비를 잡는 니퍼부와, 상기 니퍼부를 소정높이에서 낙하하도록 락(lock)을 해제하는 동기부와;, 상기 동기부에 의해 니퍼부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니퍼부의 유동에 의한 낙하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니퍼부는 상기 소비의 상부를 잡는 상부집게와; 상기 소비의 측면을 잡는 좌,우측부집게로 구성하되, 상기 집게들은 힌지를 축으로 하부가 벌어지고, 상부는 오므리게 구성하고, 상기 집게들의 상부에는 전동모터에 의해 상기 집게의 상부를 오므리도록 하는 조임구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더불어 상기 소비수거부는 수거된 소비를 정열하여, 수용하는 수거함을 구성하고, 상기 수거함의 하부에는 수거함이 전,후로 유동하도록 컨베이어를 내부에 구성한 가이드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소비수거부에 의해 수거된 소비를 원심회전력으로 꿀을 채취하는 채밀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벌통에 수납된 소비를 수거하는 것을 자동화하도록 해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양봉농가의 인력부족현상을 해결하고, 수레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이동성이 용이하며, 각각의 구성품을 모듈화하여 제작 및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되므로 양봉농가의 소득에 큰 기여를 하는 효과를 가진 신규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스프링과 완충스프링 사이에 소비를 잡고 있는 리퍼부를 구성하여, 동기부에 의해 리퍼부가 상,하로 순간 유동하여 소비에 붙어 있는 벌을 탈봉하도록 함으로써, 물리적 충격에 약한 벌을 보호하고, 탈봉작업이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완충스프링에 의해 소비가 낙하를 할 시 바닥에 부딪혀 소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 신규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동기부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동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동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3d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동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니퍼부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니퍼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X축이송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X축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X축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Y축이송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Y축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Y축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부조탈봉부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소비수거부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봉용 소비를 수거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장치의 몸체를 이루며, 하부에는 이송바퀴(110)를 구성하고, 상단부 일측에는 손잡이(120)를 구성한 바디프레임(100)과;
상기 바디프레임(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벌통(10)에 수용된 소비(11)를 1차탈봉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소비를 상,하,좌,우로 이송하는 탈봉리프트(200)와;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X축으로 이송하는 X축이송수단(300)과;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Y축으로 이송하는 Y축이송수단(400)과;
상기 탈봉리프트(200)에 의해 1차탈봉된 소비(11)의 표면에 붙은 잔여 벌을 2차탈봉하는 보조탈봉부(500)와;
상기 X축이송수단(300)과 Y축이송수단(400)에 의해 이송된 소비(11)를 수거하는 소비수거부(60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탈봉리프트(200)는 벌통(10)에 수용된 소비(11)를 잡는 니퍼부(210)와;
상기 니퍼부(210)를 소정높이에서 낙하하도록 락(lock)을 해제하는 동기부(220)와;
상기 동기부(220)에 의해 니퍼부(21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230)과;
상기 니퍼부(210)의 유동에 의한 낙하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스프링(24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니퍼부(210)는 상기 소비(11)의 상부를 잡는 상부집게(211)와;
상기 소비(11)의 측면을 잡는 좌,우측부집게(212);로 구성하되, 상기 집게(211,212)들은 힌지를 축으로 하부가 벌어지고, 상부는 오므리게 구성하고, 상기 집게(211,212)들의 상부에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집게의 상부를 오므리도록 하는 조임구(213);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소비수거부(600)는 수거된 소비를 정열하여, 수용하는 수거함(610)을 구성하고, 상기 수거함(610)의 하부에는 수거함(610)이 전,후로 유동하도록 컨베이어(621)를 내부에 구성한 가이드받침대(620);를 포함하여 구성한 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벌통(10)에 수납된 소비(11)를 수거하기 위해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바디프레임(100)과, 벌통(10)에 수납된 소비(11)를 잡아 이송하는 탈봉리프트(200)와,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X축 또는 Y축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300,400)과, 소비에 붙은 잔여 벌들을 탈봉하는 보조탈봉부(500)와, 이송된 소비(11)를 수거하는 소비수거부(600)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바디프레임(100)은 장치의 몸체를 이루도록 각각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육면체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육면체를 이루는 바디프레임(100)을 보다 견고하게 구성하기 위해 마감판(130) 등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프레임(100)은 이동성을 갖도록, 상기 바디프레임(100)의 좌,우측면 하부에는 이송바퀴(110)를 구성하고, 상단부 일측에는 손잡이(120)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디프레임(100)은 육면체 형상을 중점으로 서술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탈봉리프트(200)는 상기 바디프레임(100)의 내부에 구성되는데, X축과 Y축으로 구성된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상, 하, 좌, 우로 이동하고, 벌통(10)에 수용된 소비(11)를 캐치해 동기부(2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소비(11)를 캐치하고 있는 탈봉리프트(200)가 상,하(낙하)로 유동하여 1차탈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탈봉리프트(200)는 벌통(10)에 수용된 소비(11)를 캐치하는 니퍼부(210)를 구성하고, 상기 니퍼부(210)를 소정높이에서 낙하하도록 락(lock)을 해제하는 동기부(220)를 구성하며, 상기 동기부(220)에 의해 니퍼부(210)에 탄성이 부여되어 낙하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230)를 구성하고, 상기 니퍼부(210)의 낙하에 의한 낙하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스프링(240)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니퍼부(210)는 탄성스프링(230)과 완충스프링(240)의 사이에 구성되어 동기부(220)가 니퍼부(210)를 가압해 탄성스프링(230) 쪽으로 니퍼부(210)를 상승시키면, 상기 니퍼부(210)가 탄성스프링(230)에 의해 탄성을 가지게 되고, 동기부(220)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스프링(230)에 의해 상기 니퍼부(210)가 순간 낙하하고, 낙하하는 니퍼부(200)가 완충스프링(240)에 부딪혀 관성에 의해 소비(11)에 붙은 벌들이 탈리한다.
이는 종래에 사람이 일일이 소비(11)를 잡고 흔들어 관성으로 탈봉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상기 동기부(220)의 일 예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니퍼부(210)를 걸어 상향으로 잡아당기는 고리(221)를 구성하되, 상기 고리(221)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축(222)의 하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축(222)의 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고리(221)가 승강하도록 하고, 상기 고리(221)의 일측단에는 고리(221)가 소정하중을 견디어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프링(223)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고리(221)를 니퍼부(210)에 고정한 후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면, 상기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스크류축(222)이 회전하여, 고리(221)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상기 니퍼부(210)가 탄성스프링(230)에 의해 탄성이 부과됨은 물론 니퍼부(210)의 하중이 증가되어 상기 고리(221)가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상기 고리(221)가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여 고리(221)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니퍼부(210)가 탄성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 동기부(220)의 다른 예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니퍼부(210)의 상부에 걸림구(224)를 구성하고, 상기 걸림구(224)에 끼워져 니퍼부(210)를 상향으로 잡아당기는 걸림추(225)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추(225)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릴에 감긴 와이어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224)는 소정하중을 견디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갖는 걸림편(226)을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하여, 마주보고 있는 걸림편(226)의 사이에 걸림추(225)가 끼워져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추(225)를 걸림구(224)에 고정하도록 걸림추(225)를 걸림편(226)들의 사이에 끼워 고정한 후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여 와이어를 릴로 감아 올리면, 상기 걸림추(225)가 니퍼부(210)를 상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니퍼부(210)가 탄성스프링(230)에 의해 탄성이 부과됨은 물론 니퍼부(210)의 하중이 증가되어 상기 걸림편(226)들이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서로 벌어져 고정하고 있던 걸림추(225)를 이탈시키면, 니퍼부(210)가 탄성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 동기부(220)의 또 다른 예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니퍼부(210)의 좌, 우측에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는 캠(227)을 구성하여, 상기 캠(227)이 회전함에 따라 니퍼부(210)가 승강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캠(227)이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캠(227)이 니퍼부(210)를 가압해 니퍼부(210)가 상승함과 동시에 탄성스프링(230)에 의해 탄성을 갖게 되고, 상기 캠(227)이 니퍼부(210)의 가압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니퍼부(210)가 탄성스프링(230)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 동기부(220)의 다른 실시예로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니퍼부(210)와 연결된 와이어를 감는 마름모형의 릴(228)을 구성하고, 상기 마름모형의 릴(228)은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순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니퍼부(210)가 승강하는데, 상기 릴(228)의 후단부에 직각으로 베벨기어를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의 순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피니언이 랙을 좌,우로 이송하여 와이어가 릴(228)에 감기는 것을 안내하도록 가이드(229)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마름모형의 릴(228)의 종단측에 와이어가 감겨 있을 시 상기 릴(228)에서 와이어를 이탈시켜 와이어를 따라 상승하던 니퍼부(210)가 순간 하강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탈봉리프트(200)의 니퍼부(210)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비(11)의 상부를 잡는 상부집게(211)를 구성하고, 상기 소비(11)의 측면을 잡는 좌,우측부집게(212)를 구성하는데, 상기 집게(211,212)들은 힌지를 축으로 하부가 벌어지고, 상부는 오므리게 구성한다.
즉 다시 말해 상부집게(211)와 좌,우측집게(212)는 초기 소비를 잡기 위해 벌어진 상태로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게(211,212)들은 하부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게(211,212)들의 상부에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집게(211,212)들의 하부를 오므리도록 하는 조임구(213)를 구성한다.
상기 조임구(213)는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집게(211,212)들의 상부를 가압해 상기 집게(211,212)들의 하부를 오므리도록 한다.
상기 전동모터와 조임구(213)를 이용하여 집게(211,212)들의 하부를 오므리도록 하는 기능을 발하도록 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먼저 상기 집게(211,212)들의 상부에 인입되어 상기 집게(211,212)들의 상부를 가압하는 원추형의 조임구(213)를 환봉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환봉을 전동모터로 일측으로 유동하게 하면 상기 원추형의 조임구(213)가 상기 집게(211,212)들의 상부에 인입되어 상기 집게(211,212)의 상부가 벌어지면서 그 하부는 오므리게 된다.
다른 예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구(213)는 상기 집게(211,212)들의 상부를 가압하여 벌어지게 하기 위해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돌출된 가압편을 형성하여, 상기 조임구(213)을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랙(도시하지 않음)과 피니언(도시하지 않음)으로 연결하여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조임구(213)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집게(211,212)들의 상부를 가압해 집게(211,212)들의 상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상기 집게(211,212)들의 하부가 오므려져 소비(11)를 잡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좌, 우향인 X축으로 이동하기 위해 탈봉리프트(200)를 X축으로 이송하는 X축이송수단(300)을 살펴보면, 상기 X축이송수단(300)으로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이송하는 나선봉(310)방식, 와이어(320)방식, 타이밍벨트(330)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X축이송수단(300)으로 나선봉(310)방식을 살펴보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봉리프트(200)는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한쌍의 가이드블록(141)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140)에 고정되는데, 상기 가이드블록(141)의 일측에 나선봉(310)을 결합부재로 결합한다.
이때 나선봉(310)이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결합공에는 나선봉(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산과 대응하는 기어산을 결합공의 내주연에 형성하고, 나선봉(310)은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종단을 바디프레임(10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선봉(310)은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서로 기어박스(도시하지 않음)로 연결하여 상기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나선봉(310)이 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가이드블록(141)을 좌향 또는 우향으로 이송하므로, 상기 가이드블록(141)에 고정된 탈봉리프트(200) 또한 좌향 또는 우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탈봉리프트(200)의 정지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톱퍼(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스톱퍼(도시하지 않음)로는 리미트스위치나 광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봉리프트(200)가 정지위치상에 이송되면 스톱퍼(도시하지 않음)가 구동하여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해 상기 탈봉리프트(200)가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X축이송수단(300)으로 와이어(320)방식을 살펴보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봉리프트(200)는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한쌍의 가이드블록(141)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140)에 고정되는데, 상기 가이드블록(141)의 일측에 와이어(320)을 결합부재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320)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구동풀리(321)와 자유회전하는 아이들풀리(322)에 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풀리(321)가 회전,역회전하면, 가이드블록(141)이 좌향 또는 우향으로 이송하므로, 상기 가이드블록(141)에 고정된 탈봉리프트(200) 또한 좌향 또는 우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탈봉리프트(200)의 정지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톱퍼(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스톱퍼(도시하지 않음)로는 리미트스위치나 광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봉리프트(200)가 정지위치상에 이송되면 스톱퍼(도시하지 않음)가 구동하여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해 상기 탈봉리프트(200)가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X축이송수단(300)으로 타이밍벨트(330)방식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20)방식과 동일한 구성하는데,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구동치차(331)와 자유회전하는 아이들치차(332)에 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구성되어,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치차의 회전, 역회전에 따라 탈봉리프트(200)가 좌향 또는 우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상, 하향인 Y축으로 이송하는 Y축이송수단(400)은 상기 X축이송수단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X축이송수단(3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탈봉리프트(200)와 함께 좌향 또는 우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Y축이송수단(400)은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이송하는 랙(410)방식, 와이어(420)방식, 실린더(430)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먼저 Y축이송수단(400)으로 랙(410)방식을 살펴보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X축이송수단의 몸체에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하되, 상기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는 피니언(도시하지 않음)을 구성하고, 상기 피니언(도시하지 않음)과 상응하는 랙(410)을 결합부재로 상기 탈봉리프트(200)와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랙(410)은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피니언(도시하지 않음)을 회전, 역회전하면 랙(410)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랙(410)의 하단에 결합된 탈봉리프트(200)도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탈봉리프트(200)의 정지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톱퍼(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스톱퍼(도시하지 않음)로는 리미트스위치나 광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봉리프트(200)가 정지위치상에 이송되면 스톱퍼(도시하지 않음)가 구동하여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해 상기 탈봉리프트(200)가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Y축이송수단(400)으로 와이어(420)방식을 살펴보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봉리프트(200)는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와이어(420)를 연결하며, 상기 X축이송수단(300) 내부에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하는 릴(도시하지 않음)을 구성하여 상기 릴(도시하지 않음)에 와이어(420)가 감기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릴(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와이어(420)가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탈봉리프트(200)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Y축이송수단(400)으로 실린더(430)방식을 살펴보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X축이송수단(300)에 유체의 입출에 따라 구동하는 실린더(430)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430)의 종단에 탈봉리프트(200)를 결합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430)에 유체가 입출함에 따라 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가 신장되어 상기 탈봉리프트(200)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탈봉리프트(200)에 의해 1차탈봉된 소비(11)의 표면에 붙은 잔여 벌을 2차탈봉하는 보조탈봉부(500)는 구성하는데, 상기 보조탈봉부(500)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하는 한쌍의 롤브러쉬(510)를 회전시켜 소비(11)에 붙은 잔여 벌들을 탈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탈봉부(500)는 필요따라 그 위치를 변경하도록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비수거부(600)는 상기 X축이송수단(300)과 Y축이송수단(400)에 의해 이송된 소비(11)를 수거하도록 하는데, 상기 소비수거부(600)는 소비를 수거하여 수용하는 수거함(610)과, 상기 수거함(610)을 받치는 가이드받침대(620)으로 구성하는데,
상기 수거함(610)의 내부에는 수거된 소비가 정열하도록 환봉으로 격판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받침대(620)의 내부에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수거함을 소정거리만큼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하는 컨베이어(621)를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탈봉리프트(200)에 의해 이송된 소비(11)를 수거함(610)에서 받아 수거를 하게 되는데, 상기 수거함(610)에 수용되는 소비(11)들이 서로 부딪히지 않게 정열하도록, 상기 수거함(610)의 내부에 구성된 환봉들 사이에 마련된 수용부에 소비(11)의 낙하위치가 서로 맞도록 가이드받침대(620)의 내부에 구성된 컨베이어(621)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수거함(610)을 유동시켜 상기 수거함(610)의 환봉들 사이에 소비(11)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621)의 제어는 상기 가이드받침대(620)의 내부에 제어컨트롤러를 마련하고 있고, 낙하위치의 판단은 포토센서로 확인하는데, 상기 수거함의 수용부 유무 판단, 상기 수거함의 위치판단, 상기 수거함에 소비의 수를 카운터하는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컨트롤러에서 컨베이어(621)를 전진 또는 후진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상기 소비수거부(600)에 의해 수거된 소비를 원심회전력으로 꿀을 채취하는 채밀부(700)를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채밀부(700)는 내주연에 와류형으로 가이드판을 형성하여 소비(11)를 와류회전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관(710)을 구성하되, 상기 소비(11)가 가이드판으로 따라 와류회전하면서 하향으로 유도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 일측에는 소비의 고속회전에 의해 원심분리된 꿀을 배출하는 배출공(7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수용된 소비(11)를 고속회전시키도록 전동모터(도시하지않음)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회전축(720)을 상기 가이드관(710)의 내부 중심에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전, 후향인 Z축으로 이송하는 Z축이송수단(800)을 구성할 수 있는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이송하는 나선봉(310)방식, 와이어(320)방식, 타이밍벨트(330)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벌통 11: 소비 100: 바디프레임
110: 이송바퀴 120: 손잡이 130: 마감판
140: 가이드레일 141: 가이드블록 200: 탈봉리프트
210: 니퍼부 211: 상부집게 212: 좌,우측집게
213: 조임편 220: 동기부 221: 고리
222: 스크류축 223: 스프링 224: 걸림구
225: 걸림추 226: 걸림편 227: 캠
300: X축이송수단 310: 나선봉 320: 와이어
321: 구동풀리 322: 아이들풀리 330: 타이밍벨트
400: Y축이송수단 410: 랙 420: 와이어
430: 실린더 500: 보조탈봉부 510: 롤브러쉬
600: 소비수거부 610: 수거함 620: 가이드받침대
630: 컨베이어 700: 채밀부 710: 가이드관
720: 회전축 800: Z축이송수단

Claims (9)

  1. 양봉용 소비를 수거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장치의 몸체를 이루며, 하부에는 이송바퀴(110)를 구성하고, 상단부 일측에는 손잡이(120)를 구성한 바디프레임(100)과;
    상기 바디프레임(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벌통(10)에 수용된 소비(11)를 1차탈봉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소비를 상,하,좌,우로 이송하는 탈봉리프트(200)와;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좌, 우향인 X축으로 이송하는 X축이송수단(300)과;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상, 하향인 Y축으로 이송하는 Y축이송수단(400)과;
    상기 탈봉리프트(200)에 의해 1차탈봉된 소비(11)의 표면에 붙은 잔여 벌을 2차탈봉하는 보조탈봉부(500)와;
    상기 X축이송수단(300)과 Y축이송수단(400)에 의해 이송된 소비(11)를 수거하는 소비수거부(6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봉리프트(200)는 벌통(10)에 수용된 소비(11)를 잡는 니퍼부(210)와;
    상기 니퍼부(210)를 소정높이에서 낙하하도록 락(lock)을 해제하는 동기부(220)와;
    상기 동기부(220)에 의해 니퍼부(21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230)과;
    상기 니퍼부(210)의 유동에 의한 낙하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스프링(24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니퍼부(210)는 상기 소비(11)의 상부를 잡는 상부집게(211)와;
    상기 소비(11)의 측면을 잡는 좌,우측부집게(212);로 구성하되, 상기 집게(211,212)들은 힌지를 축으로 하부가 벌어지고, 상부는 오므리게 구성하고, 상기 집게(211,212)들의 상부에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집게(211,212)의 상부를 오므리도록 하는 조임구(21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비수거부(600)는 수거된 소비를 정열하여, 수용하는 수거함(610)을 구성하고, 상기 수거함(610)의 하부에는 수거함(610)이 전,후로 유동하도록 컨베이어(621)를 내부에 구성한 가이드받침대(62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좌향 또는 우향으로 이송하는 상기 X축이송수단(300)으로, 상기 바디프레임(100)에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나선봉(31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좌향 또는 우향으로 이송하는 상기 X축이송수단(300)으로, 상기 바디프레임(100)에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구동풀리(321)와 자유회전하는 아이들풀리(322)에 거치하는 와이어(32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봉리프트(200)를 좌향 또는 우향으로 이송하는 상기 X축이송수단(300)으로, 상기 바디프레임(100)에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구동치차(331)와 자유회전하는 아이들치차(332)에 거치하는 타이밍벨트(3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기부(220)는 스크류축(222)의 하단부에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는 고리(221)를 구성하는데, 상기 고리(221)의 회동을 방해하는 스프링(223)을 결합구성하여, 상기 고리(221)가 스프링(223)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하중을 견디되, 스프링(223)의 탄성력을 넘으면 고리(221)가 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기부(220)는 소정 탄성력을 갖는 걸림편(226)을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한 걸림구(224)와;
    상기 걸림구(224)의 걸림편(226)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걸림편(226) 들의 탄성력을 넘는 힘에 의해 걸림구(224)에서 이탈하는 걸림추(22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KR1020100087358A 2010-09-07 2010-09-07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KR20120060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358A KR20120060253A (ko) 2010-09-07 2010-09-07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358A KR20120060253A (ko) 2010-09-07 2010-09-07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253A true KR20120060253A (ko) 2012-06-12

Family

ID=4661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358A KR20120060253A (ko) 2010-09-07 2010-09-07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253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319B1 (ko) * 2013-03-14 2013-09-09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자동 밀도기
CN103749336A (zh) * 2013-12-27 2014-04-30 杭州协腾精密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蜂王幼虫搬运机
KR101411042B1 (ko) * 2012-06-29 2014-06-25 장재욱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KR20160078197A (ko) * 2014-12-24 2016-07-04 장재욱 양봉용 소비 집게
KR20160002897U (ko)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벌통에서 소비판을 인출하기 위한 집게
KR20180054182A (ko) * 2016-11-15 2018-05-24 이미옥 자동 탈봉기
KR20180056457A (ko) * 2016-11-18 2018-05-29 평화양봉영농조합법인 탈봉기
KR101863947B1 (ko) * 2016-12-07 2018-06-04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자동 안전 밀도기
WO2019092731A1 (en) 2017-11-13 2019-05-16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matic beehives
CN110810333A (zh) * 2019-12-05 2020-02-21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中华草龟孵化转移装置及其方法
CN111011265A (zh) * 2020-01-04 2020-04-17 辛全英 一种蜜蜂养殖收蜜一体化系统
CN111248109A (zh) * 2019-10-29 2020-06-09 刘金辉 一种蜜蜂养殖用蜂蜡刮取装置
CN111248156A (zh) * 2020-03-13 2020-06-09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蜜蜂自动收集装置
CN111802284A (zh) * 2020-09-05 2020-10-23 胡邵宣 一种化妆品原料处理装置
DE102021108854B3 (de) 2021-04-09 2022-07-14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reifen und Losbrechen von Wabenrahmen
US20220295760A1 (en) * 2017-11-13 2022-09-22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nomous beehives
GB2595105B (en) * 2019-01-30 2023-06-07 Jeong Hyuk Automatic bee separation device
US11895989B2 (en) 2022-07-04 2024-02-13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mated beehive control and management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42B1 (ko) * 2012-06-29 2014-06-25 장재욱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KR101306319B1 (ko) * 2013-03-14 2013-09-09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자동 밀도기
CN103749336A (zh) * 2013-12-27 2014-04-30 杭州协腾精密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蜂王幼虫搬运机
CN103749336B (zh) * 2013-12-27 2015-08-19 杭州协腾精密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蜂王幼虫搬运机
KR20160078197A (ko) * 2014-12-24 2016-07-04 장재욱 양봉용 소비 집게
KR20160002897U (ko)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벌통에서 소비판을 인출하기 위한 집게
KR20180054182A (ko) * 2016-11-15 2018-05-24 이미옥 자동 탈봉기
KR20180056457A (ko) * 2016-11-18 2018-05-29 평화양봉영농조합법인 탈봉기
KR101863947B1 (ko) * 2016-12-07 2018-06-04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자동 안전 밀도기
US20220295760A1 (en) * 2017-11-13 2022-09-22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nomous beehives
US11991993B2 (en) * 2017-11-13 2024-05-28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nomous beehives
EP3694313A4 (en) * 2017-11-13 2020-12-02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MATIC BEEHIVES
US11957113B2 (en) 2017-11-13 2024-04-16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matic beehives
WO2019092731A1 (en) 2017-11-13 2019-05-16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matic beehives
US11930794B2 (en) * 2017-11-13 2024-03-19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nomous beehives
GB2595105B (en) * 2019-01-30 2023-06-07 Jeong Hyuk Automatic bee separation device
CN111248109A (zh) * 2019-10-29 2020-06-09 刘金辉 一种蜜蜂养殖用蜂蜡刮取装置
CN111248109B (zh) * 2019-10-29 2021-11-05 刘金辉 一种蜜蜂养殖用蜂蜡刮取装置
CN110810333A (zh) * 2019-12-05 2020-02-21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中华草龟孵化转移装置及其方法
CN111011265A (zh) * 2020-01-04 2020-04-17 辛全英 一种蜜蜂养殖收蜜一体化系统
CN111248156A (zh) * 2020-03-13 2020-06-09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蜜蜂自动收集装置
CN111802284A (zh) * 2020-09-05 2020-10-23 胡邵宣 一种化妆品原料处理装置
EP4070655A1 (de) 2021-04-09 2022-10-12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orrichtung zum greifen von wabenrahmen
DE102021108854B3 (de) 2021-04-09 2022-07-14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reifen und Losbrechen von Wabenrahmen
US11895989B2 (en) 2022-07-04 2024-02-13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mated beehive control and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0253A (ko)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KR200460083Y1 (ko) 채밀작업용 탈봉기
CN206851765U (zh) 一种方便捕鱼的鱼池
CN104053356B (zh) 养蜂业的改进
CN206274778U (zh) 水果采摘装置
KR101227309B1 (ko) 로얄제리 생산용 자동이충기
CN206933011U (zh) 能实时监测数据的智能蜂箱
KR20120129715A (ko)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CN204968921U (zh) 一种用于室内中蜂养殖观察的蜂箱
CN110235803A (zh) 一种具有出鸭系统的肉鸭养殖笼具
KR20170076030A (ko) 슬라이딩식 꿀 채집기
CN104170771A (zh) 一种全自动移动养蜂车
CN206836000U (zh) 一种用于蜂箱的蜂螨收集装置
CN107743930A (zh) 一种高密度鱼类养殖用起捕装置及其起捕方法
KR101211561B1 (ko) 양봉용 자동 봉솔장치
CN205511589U (zh) 一种自动移脾蜂巢
CN203735080U (zh) 一种割草机
CN209983336U (zh) 高效取蜜机
CN104224397B (zh) 一种大型犬诊疗保定装置
CN103688655A (zh) 一种割草机
AU2021103051A4 (en) A Method of Collecting Drones of Apis Cerana Using a Separator
KR20090003866U (ko) 양봉용 소비의 자동 탈봉장치
KR101174425B1 (ko) 사봉 수집 장치
KR200352966Y1 (ko) 벌꿀 수확용 탈봉기
CN211910139U (zh) 一种阳台养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