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457A - 탈봉기 - Google Patents

탈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457A
KR20180056457A KR1020160154119A KR20160154119A KR20180056457A KR 20180056457 A KR20180056457 A KR 20180056457A KR 1020160154119 A KR1020160154119 A KR 1020160154119A KR 20160154119 A KR20160154119 A KR 20160154119A KR 20180056457 A KR20180056457 A KR 20180056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unit
sliding member
lever portio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남진
Original Assignee
평화양봉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양봉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평화양봉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60154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457A/ko
Publication of KR2018005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2Devices for uncapping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봉작업 시, 소초광에 붙어 있는 벌을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고, 휴대성이 용이한 탈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는, 바 형태로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판상의 가이드부재가 양단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집게가 형성되어 소초광을 집을 수 있게 마련되는 집게부, 상기 몸체부와 평행한 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방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레버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집게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를 상기 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는 제 1 탄성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레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를 상기 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소초광을 재차 탈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봉기{Bee escape}
본 발명은 탈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봉작업 시, 소초광에 붙어 있는 벌을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고, 휴대성이 용이한 탈봉기에 관한 것이다.
벌꿀을 채집하는 양봉작업에서 벌꿀을 채집하기 위해 소초광을 만들어 벌집을 짓도록 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소초광을 걷어내어 벌꿀을 채집한다.
이때, 상기 소초광을 수거 시, 벌을 효과적으로 털어내기 위한 장치를 탈봉기라 한다.
기존의 탈봉기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이동이 어렵고, 벌을 털어내는 효과가 높지 않으며, 벌이 제대로 털어지지 않았을 시, 재차 털어내기가 구조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휴대용 탈봉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229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이 많아 여전히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우며, 2차, 3차 탈봉을 실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229호 (2014.11.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탈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소초광을 재차 털어낼 수 있는 탈봉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는, 바 형태로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판상의 가이드부재가 양단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집게가 형성되어 소초광을 집을 수 있게 마련되는 집게부, 상기 몸체부와 평행한 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방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레버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집게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를 상기 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는 제 1 탄성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레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를 상기 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는,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간편하게 소초광을 재차 탈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의 작동순서에 따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의 해제돌기에 의해,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를 이용하여 소초광을 집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로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판상의 가이드부재(110)가 양단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집게가 형성되어 소초광(A)을 집을 수 있게 마련되는 집게부(200), 상기 몸체부(100)와 평행한 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하방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레버부(300),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집게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200)를 상기 몸체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는 제 1 탄성부(400),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레버부(3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300)를 상기 몸체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는 제 2 탄성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는, 바 형태로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판상의 가이드부재(110)가 양단부의 하방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의 베이스가 되는 부분으로 소초광(A)의 넓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양단부 사이의 길이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하기의 레버부(30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하기의 레버부(300)의 슬라이딩 범위를 가이드 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상기 몸체부(100)의 양단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상 또는 바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0)가 상기 몸체부(100)의 양단에 형성되어 하기의 레버부(300)가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사이에서 상부 및 하부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에는, 하기의 레버부(300)가 상승 시, 하기의 슬라이딩부재(310)가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하는 해제돌기(12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양단 하부에, 하기의 슬라이딩부재(310)와 형성되는 위치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하방을 향한 돌기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해제돌기(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레버부(30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하기의 슬라이드경사부(312)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하기의 슬라이딩부재(310)를 상기 레버부(300)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집게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집게가 형성되어 소초광(A)을 집을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집게부(200)는, 상기 소초광(A)을 고정 및 해제하는 부분으로, 하방을 향해 조(jaw)형태의 집게가 형성된다.
상기 집게의 일부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를 회동하여 상기 집게의 일부만 회동하여 집거나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집게부(200)에는, 하기의 슬라이딩부재(310)의 단부가 수용되는 걸림홈(210)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홈(210)은, 상기 집게부(200)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면에 형성되거나 관통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10)은, 하기의 슬라이딩부재(310)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집게부(200)의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초광(A)이 복수개 중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하나의 소초광(A)만을 집어내기 위해 상기 소초광(A)의 사이를 파고들 수 있는 형태로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거나 뾰족해 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레버부(300)는, 상기 몸체부(100)와 평행한 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하방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상기 레버부(300)는,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레버부(300)의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부재(310)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10)는, 외측방향 즉, 상기 레버부(300)의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받아 슬라이딩 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고정부(311)와 슬라이드경사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집게고정부(311)는, 단부에 역삼각형이나 돌기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홈(210)에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집게고정부(311)가 상기 걸림홈(210)에 수용됨으로 인해, 상기 레버부(300)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집게부(200)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집게고정부(311)는, 상기 걸림홈(210)에 수용되어 상기 집게부(200)를 상승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다음으로, 슬라이드경사부(312)는, 상부에 상기 레버부(300)의 외측방향으로 빗면이 형성되는 직삼각형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경사부(312)는, 상기 레버부(30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해제돌기(120)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레버부(300)가 상승하여 상기 몸체부(100)와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상기 슬라이드경사부(312)의 경사면과 상기 해제돌기(120)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310)가 상기 레버부(300)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레버부(300)가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집게고정부(311)가 상기 걸림홈(210)에서 해제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집게부(200)를 들어올리던 힘이 해제되면서 상기 집게부(200)가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부(30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10)가 상기 레버부(30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 3 탄성부(6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탄성부(60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10)를 상기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스프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탄성부(400)는,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집게부(200) 사이에 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200)가 상기 몸체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상기 제 1 탄성부(400)에 의해, 상기 집게걸림부가 상기 수용홈에서 해제되면, 상기 집게부(200)가 강하게 하방으로 튕겨져 내려온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탄성부(500)는,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레버부(300) 사이에 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300)가 상기 몸체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상기 제 2 탄성부(500)에 의해, 상기 레버부(300)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부(300)가 하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탈봉기는, 상기 집게부(200)의 손잡이를 회동시켜 상기 소초광(A)을 집어 올린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가운데를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지지하며 상기 레버부(300)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긴다.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레버부(30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210)에 상기 집게고정부(311)가 수용되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집게부(200)가 상기 레버부(300)와 함께 상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이다.
상기 레버부(300)가 상승함에 따라,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돌기(120)와 상기 슬라이드경사부(312)가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10)가 상기 레버부(300)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10)가 상기 레버부(300)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집게고정부(311)가 상기 걸림홈(210)에서 해제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10)와 상기 걸림홈(210)의 결합이 해제되면,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300)는, 상기 제 1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강하게 튕겨져 내려온다.
이에 따라, 상기 집게부(200)와 함께 상기 소초광(A)이 하방으로 강하게 튕겨져 내려와 충격이 가해져 벌들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레버부(300)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제 2 탄성부(5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버부(30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10)가 상기 걸림홈(210)에 재수용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소초광
100 : 몸체부
110 : 가이드부재
120 : 해제돌기
200 : 집게부
210 : 걸림홈
300 : 레버부
310 : 슬라이딩부재
311 : 집게고정부
312 : 슬라이드경사부
400 : 제 1 탄성부
500 : 제 2 탄성부
600 : 제 3 탄성부

Claims (5)

  1. 바 형태로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판상의 가이드부재;가 양단부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집게가 형성되어 소초광을 집을 수 있게 마련되는 집게부;
    상기 몸체부와 평행한 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방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레버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집게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를 상기 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는 제 1 탄성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레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를 상기 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집게부가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하고,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집게부가 상기 제 1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하방으로 강하게 튕겨져 내려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의 양측에는, 외측방향으로 탄성을 받아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집게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가 수용되는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와의 접촉면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레버부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돌기형태로 마련되는 해제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봉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단부에 역삼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는 집게고정부;와
    상부에 상기 레버부의 외측방향으로 빗면이 형성되는 직삼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해제돌기와 접촉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레버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드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봉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레버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탄성이 작용하는 제 3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봉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의 집게는,
    단부의 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봉기.



KR1020160154119A 2016-11-18 2016-11-18 탈봉기 KR20180056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19A KR20180056457A (ko) 2016-11-18 2016-11-18 탈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19A KR20180056457A (ko) 2016-11-18 2016-11-18 탈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57A true KR20180056457A (ko) 2018-05-29

Family

ID=6245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119A KR20180056457A (ko) 2016-11-18 2016-11-18 탈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4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875B1 (ko) * 2018-06-08 2019-07-16 김태구 탈봉조립체 및 탈봉조립체가 장착된 양봉장치
WO2022145717A1 (ko) * 2020-12-30 2022-07-07 (주)매일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DE102021108854B3 (de) 2021-04-09 2022-07-14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reifen und Losbrechen von Wabenrahm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391Y1 (ko) * 2004-05-28 2004-08-30 박영후 양봉용 소비의 벌 탈리장치
KR20120045211A (ko) * 2010-10-29 2012-05-09 박남수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KR20120060253A (ko) * 2010-09-07 2012-06-12 유운희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KR20140046739A (ko) * 2012-10-11 2014-04-21 장재욱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391Y1 (ko) * 2004-05-28 2004-08-30 박영후 양봉용 소비의 벌 탈리장치
KR20120060253A (ko) * 2010-09-07 2012-06-12 유운희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KR20120045211A (ko) * 2010-10-29 2012-05-09 박남수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KR20140046739A (ko) * 2012-10-11 2014-04-21 장재욱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875B1 (ko) * 2018-06-08 2019-07-16 김태구 탈봉조립체 및 탈봉조립체가 장착된 양봉장치
WO2022145717A1 (ko) * 2020-12-30 2022-07-07 (주)매일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DE102021108854B3 (de) 2021-04-09 2022-07-14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reifen und Losbrechen von Wabenrahmen
EP4070655A1 (de) 2021-04-09 2022-10-12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orrichtung zum greifen von wabenrahm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6457A (ko) 탈봉기
CA1264344A (en) Golf ball retriever
US5784830A (en) Fish hook removing devices
DK161119B (da) Rengoeringsredskab
KR200481444Y1 (ko) 벌통에서 소비판을 인출하기 위한 집게
CN105665291B (zh) 羽毛球羽毛检测专用夹具
US3028190A (en) Gripping tool jaws
KR100770742B1 (ko) 릴레이 분리용 풀러
CN109077034B (zh) 一种防咬伤的甲鱼捕捉夹
US10758909B2 (en) Device to assist in manual transfer of pipette tips
US2792683A (en) Nut pickup device
US8479751B2 (en) Plier-type power flosser
US2746788A (en) Nail clam
KR101270146B1 (ko) 인서트 고정용 패스너의 탈거기
US1598514A (en) Moss-gathering device
KR200443264Y1 (ko) 제침기
CN210655791U (zh) 一种用于电源线加工流水线的电线移动吊具
KR200476270Y1 (ko) 제침기
US20210122021A1 (en) Staple remover
JP5339251B2 (ja) 果実取り具
CN210210384U (zh) 血型卡抓取机械手
US721154A (en) Fruit-picker.
FR2670621A1 (fr) Procedes et dispositifs pour ranger des fils dans des pinces qui saisissent et maintiennent des fils.
FR2638762A1 (fr) Procede et appareil de manutention de peaux ou de cuirs
CN211732955U (zh) 可用于输送采血管的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