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155A - 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155A
KR20120060155A KR1020110126104A KR20110126104A KR20120060155A KR 20120060155 A KR20120060155 A KR 20120060155A KR 1020110126104 A KR1020110126104 A KR 1020110126104A KR 20110126104 A KR20110126104 A KR 20110126104A KR 20120060155 A KR20120060155 A KR 20120060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ing
pipe
attachment
flange por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요시 기무라
테츠야 야마다
토쿠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이하라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라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에스텍 filed Critical 이하라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12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155A/ko
Publication of KR2012006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16L23/10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with a pivoting or swinging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커플링 링(40)이 플랜지부(20)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내주면에 오목홈(43)이 형성된 커플링 링(40)을, 대향하는 플랜지부(20)에 외주에 끼우고, 이 커플링 링(40)을 내경이 축소되도록 조임으로써, 오목홈(43)의 각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43a)이 각 플랜지부(20)의 이면에 형성된 경사면(22)을 압압하여, 압압시 생기는 축방향의 분력에 의해 한 쌍의 플랜지부(20)가 압착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으로서, 각 플랜지부(20)들 또는 각 파이프(10)들에 부착 교정면(51)이 형성되어, 커플링 링(40)이 정규의 부착 자세보다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자세인 채로 플랜지부(20)들에 부착하여 조여지는 경우에만, 조임 완료 전에 상기 커플링 링(40)의 일부분(44a)에 맞닿아, 상기 일부분(44a)이 그 이상의 파이프(10)측으로 접근함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이어지는 조임에 따라 상기 커플링 링(40)의 자세가 정규의 부착 자세에 근접하게 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조{PIPE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한 쌍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끝단(end)들에 플랜지부가 설치된 한 쌍의 파이프를 직렬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파이프 연결구조로서, 한 쌍의 파이프의 끝단에 플랜지부를 설치하고, 그 플랜지부를, 커플링 링(coupling ring)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 커플링 링의 내주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에는, 둘레방향으로 뻗는 오목홈(concave groove)이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의 연결시에는, 상기 오목홈이,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외주연부(outer circumference)에 끼워지게 한 후, 파스너(fastener)를 이용하여, 상기 커플링 링의 내경(inner diameter)을 좁힌다. 그러므로, 상기 오목홈의 각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각 플랜지부의 대향면과는 반대측인 이면(reverse)에 형성된 경사면을 압압(press)한다. 그때, 플랜지부를 축방향으로 압압하는 분력(component of force)이 생기고, 이 분력에 의해서 상기 플랜지부들이 압착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일본 공개특허 2008-286325호 공보
그러나, 커플링 링을 부착할 때, 커플링 링이 플랜지부에 대해서 비스듬하면, 상기 파스너를 조여 가더라도, 한 쌍의 파이프가 서로 충분히 밀착하지 않고, 또한, 한 쌍의 파이프의 축 간에 어긋남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결과, 파이프들이 적절히 연결되지 않고, 파이프 내부를 유통하는 유체가 누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한 쌍의 파이프를 확실히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하여, 커플링 링이 플랜지부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플랜지들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한 파이프 연결구조는, 한 쌍의 파이프의 끝단에 각각 설치한 플랜지부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그 내주면에 오목홈이 둘레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된 커플링 링이, 상기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외주연부에 끼워지고, 이 커플링 링이 그 내경이 축소되도록 조여짐으로써, 상기 오목홈의 각 측면에 형성한 경사면이 플랜지부의 대향면과는 반대측인 이면에 형성한 경사면을 압압하고, 이에 의해 생기는 한 쌍의 플랜지가 압압시 발생된 축방향의 분력에 의해 압착 결합되어 연결된다. 이 구성에서, 상기 각 플랜지부들 또는 각 파이프들에 부착 교정면 (attachment correcting surface)이 구비되어, 상기 커플링 링이 상기 플랜지부들에 부착되어, 정규의 부착 자세보다 소정(prescribe) 각도 이상 기울어진 자세인 채로 조여진 경우에만, 조임 완료 전에 상기 커플링 링의 일부분에 상기 부착 교정면이 맞닿아, 상기 일부분이 파이프들에 실질적으로 그 이상 접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커플링 링의 자세가 이어지는 조임에 따라 정규의 부착 자세에 근접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상기 부착 교정면이 상기 플랜지부에 부착되어 조여질 때 상기 부착 교정면이 정규의 부착 자세보다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만, 상기 부착 교정면이 조임 완료 전에 상기 커플링 링의 일부분에 맞닿아, 상기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그 이상 파이프측으로 접근됨을 방지하고, 이어지는 조임에 의해 상기 커플링 링의 자세가 상기 정규의 부착 자세에 근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커플링 링을 부착할 때, 커플링 링이 파이프에 대해서 기울어진 경우라도, 커플링 링의 일부분이 파이프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커플링 링의 타 부분이 파이프측으로 근접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에 대한 커플링 링의 기울기(inclination)를 작게 할 수 있어, 커플링 링의 자세를 개선할 수 있다. 그 결과, 커플링 링이 플랜지부에 대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랜지부를 확실히 결합할 수 있어, 플랜지부가 각각 설치된 파이프들은 확실히 연결된다.
더 확실하게 커플링 링의 자세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부착 교정면이, 플랜지부의 각 경사면의 도중(intermediate portion)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돌출부들은 둘러싸고(circumscribe), 상기 각 부착 교정면은 환상 (annular shape)의 형상을 갖는데, 상기 플랜지부에 대해, 상기 커플링 링이 어느 방향에서 부착된 경우라도, 커플링 링의 자세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연결구조에 이용되는 플랜지 부착 파이프도 본 발명의 한 형태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플랜지 부착 파이프는: 상기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끝단에 설치된 상기 플랜지부,;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상기 부착 교정면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의 파이프들 및 커플링 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구조에 의하면, 커플링 링이 플랜지부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부착됨을 방지하여, 파이프들이 확실히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 형태에서의 파이프 연결구조의 정규의 연결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 형태에서의 커플링 링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 형태에서의 커플링 링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 형태에서의 파이프 연결구조의,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 형태에서의 파이프 연결구조가 약간 기울어진 연결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파이프 연결구조의 연결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파이프 연결구조의 연결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에 의한 파이프 연결구조(100)는, 한 쌍의 파이프(10)을 직렬 연결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파이프(10)들과 그 파이프(10)들에 의해 연결되는 유체 장치(도시 안함)를 포함하는 유체공급라인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 파이프 연결구조(100)는,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의 선단부(tip end)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플랜지부(20)와, 상기 각 플랜지부(20)들 사이에 개재하는 가스켓(gasket, 30)과, 상기 각 플랜지부(20)를 결합하는 커플링 링(40)을 포함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플랜지부(20)들은, 개략 원환판 형상(annular plate shape)을 갖고, 여기에서는 상기 파이프(10)과 일체로 설치되며, 플랜지부(20)의 축(A1)이, 상기 파이프(10)의 축과 대략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20)는, 상기 파이프(10)과 함께 플랜지 부착 파이프(1)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0)의 선단면(이하, "대향면"이라 한다)에는, 원환상(annular-shaped)의 돌기(21)가 설치되어 있고, 플랜지부(20)의 이면에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0)의 측주면(side circumferential surface)에서의 선단부에는,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단차부(stepped portion,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켓(30)은 쌍을 이룬 상기 플랜지부(20)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플랜지부(20)의 돌기(21)가 가스켓(30)에 파고듦으로써, 기밀성(hermeticity)을 확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가스켓(30)은, 같은 두께의 원환판 형상을 갖고, 쌍을 이룬 상기 플랜지부(20) 사이에 끼워지는 가스켓 본체(31)와, 개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가스켓 본체(31)가 일 끝단(一端)을 막도록 부착되는 끼움부(fitting portion,32)를 포함한다. 끼움부(32)의 내경은, 상기 플랜지부(20)의 단차부(23)의 외경에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상기 끼움부(32)가 상기 단차부(23)에 끼워져, 상기 가스켓 본체(31)의 축과 상기 플랜지부(20)의 축(A1)이 대략 일치된다. 끼움부(32)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부(20)의 가장 큰 직경을 갖는 부분에 대응하는, 측주면의 기단부(proximal end)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가스켓 본체(31)의 내경은, 상기 파이프(10)의 내경과 대략 일치한다.
커플링 링(40)은, 도 3에 개방상태를, 그리고 도 4에 고리 상태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것끼리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일련의 유닛부재(41a?41c)와, 양단에서 유닛부재(41a,41c)들을 연결하여 상기 일련의 (41a?41c)를 환상으로 하는 파스너(42)를 구비하는 것이다. 각 유닛부재(41a?41c)(여기에서는 3개의 유닛부재)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뻗는 오목홈(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오목홈(43)은, 대향하는 플랜지부(20)의 외주연부에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갖고, 오목홈(43)의 각 측면에는, 각 플랜지부(20)의 경사면 (22)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43a)이 형성된다. 오목홈(43)의 양 엣지 (edge)에는, 커플링 링(40)의 축(A2)을 중심으로 하여, 커플링 링(40)의 축(A2)에 평행한 환상을 이루는 면(이하, "교정면(44)"이라고도 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42)는 볼트부(42a)와 너트부 (42b)를 포함한다. 볼트부(42a)는 그 기단부가 상기 3개의 유닛부재의 일 끝단에 위치된 유닛부재(41a)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상기 3개의 유닛부재의 타단에 위치된 유닛부재(41c)의 선단부에 형성된 오목홈 형상의 노치(notch,42c)에 끼워지도록 적용된다. 상기 노치 (42c)에 끼워져서 돌출된 볼트부(42a)에 너트부(42b)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양단에서 유닛부재(41a,41c)가 연결되고, 커플링 링(40)의 내경이 확대 및 축소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의 파이프 연결구조(100)는, 한 쌍의 돌출부(50)를 더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출부(50)는, 개략 환상을 이루고, 여기에서는, 상기 각 플랜지부(20)의 경사면(22)의 도중(여기에서는 경사면(22)의 기단부)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플랜지부(20)의 기단부를 둘러싸도록 (circumscribe) 설치된다. 돌출부(50)의 래디얼 방향 외향의 면(이하, "부착 교정면(51)"이라 한다)은, 플랜지부(20)의 축(A1)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플랜지부(20)의 축(A1)에 평행한 환상 면(annular surface)이며, 이 구성에서는 경사면(22)과 연속되어 있다. 이 부착 교정면(51)의 축방향의 길이는, 커플링 링(40)의 축방향의 길이와, 대향시킨 한 쌍의 플랜지부(20) 및 돌출부(50)의 축방향의 길이가 대략 일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각 돌출부(50)의 축방향 외향의 면(52)은, 상기 플랜지부 (20)의 축(A1)에 직교하는 원환판 형상의 면이다.
아울러, 여기에서는, 부착 교정면(51)은, 상기 플랜지부(20)의 축(A1)에 평행한 것으로 하는데, 바꾸어 말하면, 부착 교정면(51)의 법선 벡터는, 래디얼 방향 외향의 성분을 포함하지만, 축방향에 평행한 성분은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그렇지만, 부착 교정면(51)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기단(基端)측이나 선단(distal end)측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부착 교정면(51)이 기단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즉, 상기 법선 벡터가, 축방향으로 평행하고 기단측을 향하는 성분과, 래디얼 방향 외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플랜지부(20)의 축 (A1)에 대한 부착 교정면(51)의 기울기가, 상기 플랜지부(20)의 경사면(22)의 기울기보다 작다. 이에 대해, 부착 교정면(51)이 선단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상기 법선 벡터가, 축방향으로 평행하고 선단측을 향하는 성분과, 래디얼 방향 외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경사가 래디얼 방향 외향으로 형성되면 좋다.
상기 부착 교정면(51) 및 상기 교정면(44)(즉, 교정되어야 할 면)의 설명과 아울러, 상술된 파이프 연결구조(100)를 이용하여, 파이프(10)끼리를 연결하는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커플링 링(40)을 부착할 때, 커플링 링(40)이 플랜지부(20)에 대해 거의 비스듬하게 되지 않고, 정규의 부착 자세를 거의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쌍을 이룬 플랜지부(20)중 하나의 단차부(23)에, 가스켓(30)의 끼움부 (32)를 끼워넣어, 가스켓(30)의 축과 플랜지부(20)의 축(A1)을 대략 일치시키는 동시에, 쌍을 이룬 플랜지부(20)중 하나의 돌기(21)와 가스켓 본체(31)의 일면이 맞닿는다. 또한, 가스켓 본체(31)의 이면에, 다른 하나의 플랜지부(20)의 돌기(21)를 맞닿는다.
다음으로, 양단의 유닛부재(41a,41c)가 결합되지 않은 개방상태의 커플링 링 (40)을, 대향하는 플랜지부(20)의 외주연부 둘레에 씌워져, 상기 외주연부에 상기 커플링 링(40)의 오목홈(43)이 외주연부에 끼워지게 한다. 그런 다음, 양단의 유닛부재(41a,41c)가 연결되어, 파스너(42)에 의해 조여, 커플링 링(40)의 내경이 줄어든다.
이 커플링 링(40)이 조이는 과정에서, 커플링 링(40)의 교정면(44)이, 플랜지부(20)의 부착 교정면(51)으로 근접해간다. 플랜지부(20)에 대해서, 커플링 링 (40)이 정규의 부착 자세 또는 그에 준하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교정면(44)이 상기 부착 교정면(51)에 맞닿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교정면(44)이 파이프(10)측으로 근접해간다. 여기서, 커플링 링(40)이 정규의 부착 자세에 있다고 하는 것은, 플랜지부(20)의 축(A1)과, 커플링 링(40)의 축(A2)이 대략 일치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준하는 자세라 함은, 커플링 링(40)이 약간 기울어진 자세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축(A1,A2) 간의 경사각도가, 소정 각도(여기에서는 3도 이하이며, 1도가 바람직하다) 미만인 상태를 의미한다.
부착 교정면(51)이 교정면(44)에 접근하는 것과 병행하여, 상기 오목홈(43)의 경사면(43a)이, 상기 플랜지부(20)의 경사면(22)을 가압하여 민다. 이때 쌍을 이룬 플랜지부(20)를 축방향으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분력이 생긴다. 그러므로, 이 분랸에 의해 쌍을 이룬 플랜지부(20)끼리가 눌려져, 돌기(21)가 가스켓(30)에 파고들어, 파이프(10)끼리 기밀하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커플링 링(40)을 부착할 때, 커플링 링 (40)이 플랜지부(20)에 대해 비스듬하게 되어, 정규의 부착 자세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술의 순서와 동일하게, 한 쌍의 플랜지부(20)와 가스켓(30)이 조립된다. 다음으로, 플랜지부(20)에 커플링 링(40)이 부착되어 조여진다. 그러나, 이 커플링 링(40)의 조이는 과정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링(40)이 정규의 부착 자세보다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다. 여기서, 커플링 링(40)이 기울어진 자세에 있다라고 함은, 상기 플랜지부(20)의 축(A1)과, 커플링 링(40)의 축 (A2)간의 경사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 이상인 상태를 가리킨다.
커플링 링(40)이 조여가면, 커플링 링(40)의 내경이 좁아지고, 커플링 링 (40)의 교정면(44)이, 플랜지부(20)의 부착 교정면(51)에 근접해간다. 이때, 커플링 링(40)이 기울어져 있으므로, 커플링 링(40)의 교정면(44)의 일부분(44a)(여기에서는 교정면(44)의 일단부)가, 상기 부착 교정면(51)(여기에서는 부착 교정면 (51)의 외연(outer periphery,51a))에 맞닿는다. 그러므로, 상기 교정면(44)의 일부분(44a)은, 그 이상 파이프(10)측(래디얼 방향)으로 근접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교정면(44)의 타 부분(44b)(여기에서는 교정면(44)의 타단부)과, 플랜지부(20)의 축(A1) 간의 거리는, 교정면(44)의 상기 일부분(44a)과 플랜지부(20)의 축(A1) 간의 거리보다 커져 있다.
그런 다음, 커플링 링(40)을 더 조여 가면, 교정면(44)의 일부분(44a)은, 파이프(10)측과의 거리(즉, 플랜지부(20)의 축(A1)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축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한편, 커플링 링(40)의 타 부분(44b)은, 파이프(10)측에 더 근접해간다. 그러므로, 교정면(44)의 타 부분(44b)과 플랜지부(20)의 축(A1) 간의 거리가 줄어들어, 교정면(44)의 일부(44a)와 플랜지부(20)의 축(A1) 간의 거리에 근접해 간다. 그 결과, 상기 커플링 링(40)의 기울기가 작아지고, 커플링 링(40)의 자세는, 정규의 부착 자세에 근접해간다.
상술의 순서와 유사하게, 부착 교정면(51)이 교정면(44)에 접근하는 것과 병행해서, 상기 오목홈(43)의 경사면(43a)이, 플랜지부(20)의 경사면(22)을 가압해서 밀고, 그때 생긴 축방향으로의 분력에 의해, 쌍을 이룬 플랜지부(20)가 서로 가압되어, 파이프(10)들이 기밀하게 서로 연결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조임 완료전 상태와, 도 6에 나타내는 조임 완료시의 상태를 비교하면, 조임 완료시에는, 커플링 링 (40)의 자세가 개선되어 있고, 기울기가 작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상기 커플링 링(40)이 상기 플랜지부(20)에 부착되어, 상기 부착 교정면(51)이 정규의 부착 자세보다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져 조여지는 경우에만, 조임 완료전에 상기 부착 교정면(51)이 싱ㄱ; 커플링 링(40)의 일부분 (44a)에 맞닿아, 상기 일부분(44a)이 그 이상 파이프(10)측으로 접근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어지는 조임에 의해 상기 커플링 링(40)의 자세가 상기 정규의 부착 자세에 근접된다. 그러므로, 커플링 링(40)을 부착할 때, 커플링 링(40)이 파이프 (10)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된 경우라도, 커플링 링(40)의 일부분(44a)이 파이프 (10)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커플링 링(40)의 타 부분(44b)이 파이프(10)측에 근접하게 되어, 상기 플랜지부(20)에 대한 커플링 링(40)의 기울기가 줄어들어, 커플링 링(40)의 자세가 개선될 수 있다. 그 결과, 커플링 링(40)이 플랜지부(20)에 대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부착됨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랜지부(20)를 확실히 결합할 수 있어, 플랜지부(20)가 각각 설치된 파이프(10)들이 확실히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링(40)의 축방향의 길이와, 대향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20) 및 돌출부(50)의 축방향의 길이가 대략 일치하도록, 각 부착 교정면(51)의 축방향의 길이가 규정되므로, 커플링 링(40)으로부터 돌출부(50)가 거의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플랜지 부착 파이프(1)의 길이를 가급적 짧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착 교정면은, 각 플랜지부의 경사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했지만, 플랜지부의 측주면이나, 상기 각 파이프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링의 오목홈의 각 경사면에 환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부의 래디얼 방향 내향의 면에 교정면이 형성되며, 각 플랜지부의 측주면에 부착 교정면이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외주면에 부착 교정면이 형성되는 예로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링의 엣지를, 래디얼 방향에서 내향으로 더 돌출시켜, 그 돌출부에 교정면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돌출부를, 플랜지부 또는 파이프와 일체로 설치하는 대신에, 개별 몸체에 설치해도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그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의하면, 커플링 링이 플랜지부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들이 확실히 연결될 수 있다.
100 : 파이프 연결구조
10 : 파이프
20 : 플랜지부
22 : 플랜지부의 경사면
40 : 커플링 링
43 : 오목홈
43a : 커플링 링의 경사면
44 : 피교정면
44a : 피교정면의 일부분
51 : 부착 교정면
A1 : 플랜지부의 축
A2 : 커플링 링의 축

Claims (4)

  1. 한쌍의 파이프의 끝단(end)에 각각 구비된 플랜지부들이 대향된 상태에서, 내주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에 둘레방향으로 뻗는 오목 그루브(groove)를 갖춘 커플링 링(coupling ring)이,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들의 바깥 둘레에 결합되며, 커플링 링을 조여 내경을 축소함으로써 상기 오목홈의 각 측면 상에 형성된 경사면이, 플랜지부의 각 대향면과는 반대인 이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압압하고, 이에 의해 한 쌍의 플랜지부가 압압시에 형성된 축방향 분력에 의해 압착되어 결합되고,
    각 플랜지부 또는 각 파이프에 부착 교정면(attachment correcting surface)이 구비되어, 상기 커플링 링이 플랜지부에 부착(attach)되어, 정규의 부착 자세(normal attachment attitude)일 때보다, 소정(prescribed)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죄어지는(fasten) 경우에만, 조임 완료 전에 부착 교정면이 커플링 링의 일부분에 맞닿아짐으로써, 그 일부분이 파이프 쪽으로 실질적으로 더 이상 근접되어짐이 방지되고, 이어지는(subsequent) 조임에 따라 커플링 링의 자세가 정규의 부착 자세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교정면이, 각 플랜지부의 경사면의 도중(intermediate portion)에서 돌출된 돌출부(protruded portion)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둘러싸고(circumscribe), 부착 교정면이 환상(annular sha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
  4. 제1항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에 사용되고: 파이프; 이 파이프의 끝단에 구비된 플랜지부; 및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플랜지부 상에 형성된 부착 교정면을 포함하는 플랜지 부착 파이프(flange-equipped pipe).
KR1020110126104A 2010-12-01 2011-11-29 파이프 연결구조 KR20120060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04A KR20120060155A (ko) 2010-12-01 2011-11-29 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8768 2010-12-01
KR1020110126104A KR20120060155A (ko) 2010-12-01 2011-11-29 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155A true KR20120060155A (ko) 2012-06-11

Family

ID=4661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104A KR20120060155A (ko) 2010-12-01 2011-11-29 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1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950A (ko) 2019-01-29 2020-08-06 이영일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950A (ko) 2019-01-29 2020-08-06 이영일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0639B2 (en) Adapter coupling
KR101828783B1 (ko)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US6749232B2 (en) Pipe clamp, in particular, pipe coupling
US11454156B2 (en) Exhaust clamp and method
JP2011256931A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組付方法
TW201723338A (zh) 軸聯結器
JPH0680985U (ja) 管体継手構造
CA2939064C (en) Joint unit
KR101873862B1 (ko) 파이프 이지 결속장치
US20200277986A1 (en) V-clamp with more evenly distributed clamping load
US6773040B2 (en) Spacer-less type pipe joint and packing ring used for the same
KR20120060155A (ko) 파이프 연결구조
US20120139238A1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WO2022085415A1 (ja) 接続構造
JP2023136405A (ja) 管継手構造
GB206080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couplings
JP2009287642A (ja) ブーツ固定用バンド
JP2006029365A (ja) 管継手
JP3027062U (ja) 管継手の締付装置
JP2532785B2 (ja) 管継ぎ手
JP2004027986A (ja) 排気管の継手構造
JPH0523914Y2 (ko)
JP7333954B2 (ja) 継手構造及び継手構造の組み付け方法
JP2003269666A (ja) 管の継手構造
JPH03531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