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950A -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 Google Patents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950A
KR20200093950A KR1020190011327A KR20190011327A KR20200093950A KR 20200093950 A KR20200093950 A KR 20200093950A KR 1020190011327 A KR1020190011327 A KR 1020190011327A KR 20190011327 A KR20190011327 A KR 20190011327A KR 20200093950 A KR20200093950 A KR 20200093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receiving groove
snap ring
groov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670B1 (ko
Inventor
이영일
Original Assignee
이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일 filed Critical 이영일
Priority to KR102019001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6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에 너트부가 결합함으로써 배관을 감싸 고정하되, 스냅링이 스냅링홈에 안착되는 것과 동시에 지시선을 이용하여 너트 부재가 결합 되는 적정 토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A PIPE CLAMP FOR TORGUE REGULATION}
본 발명은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부재에 너트 부재가 결합함으로써 배관을 감싸 고정하되, 링 장치와 지시선을 이용하여 너트 부재가 결합 되는 적정 토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관 클램프가 이용된다. 배관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관 간에 접촉되게 하여 접촉된 배관 외측을 감싸면서 고정하게 되고, 이러한 배관 클램프를 이용한 배관 간의 연결은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0155호 "파이프 연결구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주면에 오목홈이 형성된 커플링 링을 대향하는 플랜지부 외주에 끼우고, 상기 커플링 링을 내경이 축소되도록 조임으로써, 오목홈의 각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각 플랜지부의 이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압압하여, 압압시 생기는 축방향의 분력에 의해 한 쌍의 플랜지부가 압착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으로서, 각 플랜지부들 또는 각 파이프들에 부착 교정면이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 링이 정규의 부착 자세보다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자세인 채로 플랜지부들에 부착하여 조여지는 경우에만 조임 완료 전에 상기 커플링 링의 일부분에 맞닿아 상기 일부분이 그 이상의 파이프 측으로 접근함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이어지는 조임에 따라 상기 커플링 링의 자세가 정규의 부착자세에 근접하게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볼트부에 너트부를 나사결합시켜 파이를 연결시킬 경우, 적정 토크를 알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적정 토크로 볼트부에 너트부를 조일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파이프 연결장치가 과도하게 조여져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볼트부와 너트부가 결합됨에 따라 파이프 연결장치가 축소되면서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과도한 조임으로 인해 파이프가 파손되어 파이프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2-006015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을 감싸는 몸체와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에 각각 표시된 지시선이 일치될 때 적정 토크로 조여진 것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너트부에 안착홈과 스냅링홈을 형성하여 스냅링이 스냅링홈에 안착되는 순간에 너트부가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적정 토크로 조여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너트부에 안착홈과 스냅링홈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안착홈과 몸체에 지시선을 더 표시하여, 지시선의 일치와 스냅링이 스냅링홈에 안착되는 구성을 통해, 적정 토크로 조여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반달형 부재와 제2반달형 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링크 결합되어 배관을 감싸는 몸체; 상기 제1반달형 부재의 타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고 외주연에 이 형성된 나사봉 및 상기 나사봉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로 구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나사봉에 삽입되며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반달형 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나사봉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과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면서 상기 너트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봉을 따라 삽입되는 너트부가 지지되어 상기 제1반달형 부재와 제2반달형 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수용홈의 폭은 상기 제2수용홈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걸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반달형 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1수용홈이 형성된 위치에 제1지시선이 표시된다.
아울러, 상기 너트부는 하단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너트부의 하단에는 외주연을 따라 제2지시선이 표시되어, 상기 너트부가 장착되면서 상기 너트부의 하단이 상기 제1수용홈 안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1지시선과 상기 제2지시선이 일치함에 따라 적정 토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반달형 부재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의 내부에는 배관에 장착된 플랜지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하게 각각 제1플랜지 수용홈과 제2플랜지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너트부의 하단에는 외주연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에 상기 제2지시선이 표시되고 상기 안착홈 상에 스냅링이 장착되며, 상기 안착홈보다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움푹 패인 스냅링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가 상기 제1수용홈으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스냅링 밀려 올라가게 되고, 상기 스냅링홈에 상기 스냅링이 안착되어 상기 너트부가 더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1지시선과 상기 제2지시선이 일치됨으로써 적정 토크로 상기 너트부를 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로, 제1반달형 부재와 제2반달형 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링크 결합되어 배관을 감싸는 몸체; 상기 제1반달형 부재의 타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고 외주연에 이 형성된 나사봉 및 상기 나사봉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로 구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나사봉에 삽입되며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반달형 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나사봉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과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면서 상기 너트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봉을 따라 삽입되는 너트부가 지지되어 상기 제1반달형 부재와 제2반달형 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수용홈의 폭은 상기 제2수용홈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걸림부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너트부는 하단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너트부의 하단에는 외주연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스냅링이 안착되고,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움푹 패인 스냅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가 상기 제1수용홈의 안으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스냅링이 밀려 올라가 상기 스냅링홈에 안착되어 상기 너트부가 더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적정 토크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에 따르면, 배관을 감싸는 몸체와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에 각각 지시선이 표시되고, 너트부가 점차 결합됨에 따라 지시선 간에 점차 격차가 줄어들다 일치하게 되고, 이렇게 일치된 것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적정 토크로 조여졌음을 쉽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냅링이 너트부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다가 스냅링홈에 안착되어 너트부가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쉽게 적정 토크로 클램프를 배관에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와 지시선이 일치하는 것을 통해 육안으로 적정 토크를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냅링이 스냅링홈에 안착되어 더이상 너트부가 전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적정 토크를 판별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정확하게 적정 토크로 클램프를 배관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시선에 의해 적정 토크로 조임으로써, 클램프가 과도한 조임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과도한 조임으로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가 배관을 연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적정 토크로 조여지는 실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너트부와 스냅링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적정 토크로 조여지는 실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적정 토크로 조여지는 실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가 배관을 연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적정 토크로 조여지는 실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의 구성은 크게 몸체(10), 고정부(20), 너트부(30)로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반원형인 제1반달형 부재(11)와 제2반달형 부재(12)로 구성되며, 배관을 감싸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의 일단에는 링크(13)로 결합된다.
상기 링크(13)는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에 힌지로 결합되며, 이러한 힌지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는 유동적으로 범위를 넓혀 상기 배관을 내부로 수용하고, 범위를 다시 좁혀 배관을 감싸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를 이용하여 배관을 결합 시, 끝단이 절단된 절단면만 형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상기 배관을 연결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배관의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의 각각의 내측면에는 오목한 제1플랜지 수용홈(11a)과 제2플랜지 수용홈(12d)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플랜지 수용홈(11a)과 상기 제2플랜지 수용홈(12d)이 각각 형성된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의 내부로 상기 배관의 플랜지 부분이 수용되어 상기 배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함으로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의 타단에는 후술할 상기 고정부(20)의 나사봉(22)과 상기 너트부(30)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홈(12a)과 제2수용홈(1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용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제1지시선(12c)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너트부(30)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제2반달형 부재(12)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들인 상기 고정부(20)와 상기 너트부(30)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의 타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헤드부(21)와, 상기 헤드부(21)로부터 연장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나사봉(22) 및 상기 나사봉(22)에 삽입되는 스페이서(23)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23)는 후술할 상기 너트부(30)가 상기 나사봉(22)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가 충돌이 일어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3)를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가 상기 스페이서(23)를 양쪽에서 맞물게 되면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의 나사봉(22)에 결합되는 너트부(3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20)의 나사봉(22)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제1수용홈(12a), 상기 너트부(30)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홈(1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용홈(12a)의 폭은 상기 제2수용홈(12b)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폭의 차이로 상기 제2수용홈(12b) 하단에는 걸림부(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14)의 용도는 아래에서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
상기 너트부(30)의 형태는 끝단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하단에 제2지시선(30a)이 형성되어 있어, 도 3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30)가 상기 나사봉(22)에 점차 결합되다가 상기 너트부(30)의 끝단이 상기 제1수용홈(12a)에 점차 진입하게 된다.
이렇게 점차 진입하다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3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제2지시선(30a)이 상기 제1수용홈(12a)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1지시선(12c)이 일치하게 되고, 이러한 일치는 상기 너트부(30)가 상기 나사봉(22)에 적절한 토크로 조립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1지시선(12c)과 제2지시선(30a)의 일치되는 시점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쉽게 적절한 토크로 상기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를 장착시킬 수 있게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래프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너트부와 스냅링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적정 토크로 조여지는 실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에 표시되어 있던 상기 제1지시선(12c)과 상기 너트부(30)의 하단에 표시되어 있던 상기 제2지시선(30a)을 표시선을 표시하지 않는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30)의 하단에 안착홈(31)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31)에 스냅링(32)을 안착시키고, 상기 안착홈(31)보다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외주연을 따라 패인 스냅링홈(32a)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5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안착홈(31)에 안착되어 있던 상기 스냅링(32)은 상기 너트부(30)가 상기 나사봉(22)에 결합되어 점차 상기 제1수용홈(12a) 안으로 진입하게된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기술했던 상기 제1수용홈(12a)과 상기 제2수용홈(12b)의 폭의 차이로 형성된 상기 걸림부(14)에 의해 점차 상기 너트부(30)의 상향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스냅링(32)이 계속 올라가다가 상기 스냅링홈(32a)에 안착된다.
상기 스냅링홈(32a)에 상기 스냅링(32)이 안착됨으로써, 상기 너트부(30)는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이렇게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너트부(30)에 의해 적정 토크로 상기 너트부(30)가 상기 나사봉(22)에 결합된 것을 사용자는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적정 토크로 조여지는 실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는 상기 너트부(30)의 하단에 외주연을 따라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1)에는 상기 제2지시선(30a)이 더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31)에 스냅링(32)을 안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31)보다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외주연을 따라 패인 스냅링홈(32a)을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6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30)가 상기 나사봉(22)에 결합되어 점차 상기 제1수용홈(12a) 안으로 진입하게된다.
다음으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31)에 안착되어 있던 상기 스냅링(32)은 실시예 1에서 기술했던 상기 제1수용홈(12a)과 상기 제2수용홈(12b)의 폭차이로 생긴 상기 걸림부(14)에 의해 상기 너트부(30)의 상향으로 점차 이동한다.
이렇게 점차 이동하던 상기 스냅링(32)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냅링홈(32a) 안으로 안착되어 더이상 상기 너트부(30)가 전진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는 적정 토크로 상기 너트부(30)가 상기 나사봉(22)에 결합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스냅링(32)이 상기 스냅링홈(32a)에 안착되어 상기 너트부(30)가 전진하지 못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안착홈(31)에 형성되어 있던 상기 제2지시선(30a)이 상기 제1지시선(12c)과 일치하여 육안으로도 적정 토크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에 따르면, 배관을 연결하는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지시선(12c)과 상기 제2지시선(30a)의 일치를 통해 적정 토크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며(실시예1), 상기 제1지시선(12c)과 상기 제2지시선(30a)이 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스냅링(32)이 상기 스냅링홈(32a)에 안착되어 상기 너트부(30)가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게 함으로써 적정 토크를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실시예2).
아울러, 상기 제1지시선(12c)과 상기 제2지시선(30a)을 표시하고, 상기 스냅링(32)이 상기 스냅링홈(32a)에 안착되는 구성을 더하여, 상기 스냅링(32)이 상기 스냅링홈(32a)에 안착되는 시점이 상기 제1지시선(12c)과 상기 제2지시선(30a)이 일치되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는 보다 정확하게 육안과 손의 감각을 이용하여 적정 토크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몸체 11 : 제1반달형 부재 11a : 제1플랜지 수용홈
12 : 제2반달형 부재 12a : 제1수용홈
12b : 제2수용홈 12c : 제1지시선
12d : 제2플랜지 수용홈 13 : 링크
14 : 걸림부
20 : 고정부 21 : 헤드부 22 : 나사봉
23 : 스페이서
30 : 너트부 30a : 제2지시선 31 : 안착홈
32 : 스냅링 32a : 스냅링홈

Claims (4)

  1. 제1반달형 부재(11)와 제2반달형 부재(12)가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링크(13) 결합되어 배관을 감싸는 몸체(10);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의 타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헤드부(21)와, 상기 헤드부(21)로부터 연장되고 외주연에 이 형성된 나사봉(22) 및 상기 나사봉에 삽입되는 스페이서(23)로 구성되는 고정부(20); 및
    상기 나사봉(22)에 삽입되며 상기 나사봉(22)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의 타단에는 상기 나사봉(22)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12a)과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면서 상기 너트부(30)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12b)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봉(22)을 따라 삽입되는 너트부(30)가 지지되어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제2반달형 부재(12)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수용홈(12a)의 폭은 상기 제2수용홈(12b)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걸림부(14)를 형성하며,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의 타단에서 상기 제1수용홈(12a)이 형성된 위치에 제1지시선(12c)이 표시되고,
    상기 너트부(30)는 하단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너트부(30)의 하단에는 외주연을 따라 제2지시선(30a)이 표시되어, 상기 너트부(30)가 장착되면서 상기 너트부(30)의 하단이 상기 제1수용홈(12a) 안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1지시선(12c)과 상기 제2지시선(30a)이 일치함에 따라 적정 토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의 내부에는 배관에 장착된 플랜지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하게 각각 제1플랜지 수용홈(11a)과 제2플랜지 수용홈(12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30)의 하단에는 외주연을 따라 안착홈(31)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31)에 상기 제2지시선(30a)이 표시되고 상기 안착홈(31) 상에 스냅링(32)이 장착되며, 상기 안착홈(31)보다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움푹 패인 스냅링홈(32a)이 더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30)가 상기 제1수용홈(12a)으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14)에 의해 상기 스냅링(32) 밀려 올라가게 되고, 상기 스냅링홈(32a)에 상기 스냅링(32)이 안착되어 상기 너트부(30)가 더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1지시선(12c)과 상기 제2지시선(30a)이 일치됨으로써 적정 토크로 상기 너트부를 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4. 제1반달형 부재(11)와 제2반달형 부재(12)가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링크(13) 결합되어 배관을 감싸는 몸체(10);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의 타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헤드부(21)와, 상기 헤드부(21)로부터 연장되고 외주연에 이 형성된 나사봉(22) 및 상기 나사봉(22)에 삽입되는 스페이서(23)로 구성되는 고정부(20); 및
    상기 나사봉(22)에 삽입되며 상기 나사봉(22)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반달형 부재(12)의 타단에는 상기 나사봉(22)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12a)과 상기 제1수용홈(12a)과 연통되면서 상기 너트부(30)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12b)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봉(22)을 따라 삽입되는 상기 너트부(22)가 지지되어 상기 제1반달형 부재(11)와 제2반달형 부재(12)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수용홈(12a)의 폭은 상기 제2수용홈(12b)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걸림부(14)를 형성하며,
    상기 너트부(30)는 하단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너트부(30)의 하단에는 외주연을 따라 안착홈(31)이 형성되어 스냅링(32)이 안착되고, 상기 안착홈(31)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움푹 패인 스냅링홈(32a)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30)가 상기 제1수용홈(12a)의 안으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14)에 의해 상기 스냅링(32)이 밀려 올라가 상기 스냅링홈(32a)에 안착되어 상기 너트부(30)가 더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적정 토크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KR1020190011327A 2019-01-29 2019-01-29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KR102172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27A KR102172670B1 (ko) 2019-01-29 2019-01-29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27A KR102172670B1 (ko) 2019-01-29 2019-01-29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50A true KR20200093950A (ko) 2020-08-06
KR102172670B1 KR102172670B1 (ko) 2020-11-02

Family

ID=7204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327A KR102172670B1 (ko) 2019-01-29 2019-01-29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6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155A (ko) 2010-12-01 2012-06-11 이하라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 연결구조
KR101242383B1 (ko) * 2011-07-19 2013-03-15 차보용 반도체 제조 장비의 가스 공급배관 피팅구
US20130263674A1 (en) * 2012-04-05 2013-10-10 ENGINEERED PRODUCT SUPPLY, LLC, d/b/a/ EPS Tube or pipe clamp with a force measurement device
KR101734842B1 (ko) * 2016-05-13 2017-05-12 김준하 진공배관용 클램프
KR101796002B1 (ko) * 2016-03-16 2017-12-01 한효신 진공배관용 클램프
KR101796003B1 (ko) * 2016-03-16 2017-12-01 한효신 너트 제어수단을 갖는 진공배관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155A (ko) 2010-12-01 2012-06-11 이하라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 연결구조
KR101242383B1 (ko) * 2011-07-19 2013-03-15 차보용 반도체 제조 장비의 가스 공급배관 피팅구
US20130263674A1 (en) * 2012-04-05 2013-10-10 ENGINEERED PRODUCT SUPPLY, LLC, d/b/a/ EPS Tube or pipe clamp with a force measurement device
KR101796002B1 (ko) * 2016-03-16 2017-12-01 한효신 진공배관용 클램프
KR101796003B1 (ko) * 2016-03-16 2017-12-01 한효신 너트 제어수단을 갖는 진공배관용 클램프
KR101734842B1 (ko) * 2016-05-13 2017-05-12 김준하 진공배관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670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9180A1 (en) Pipe joint locking device
KR101518377B1 (ko) 배관 연결용 커넥터
US6840267B1 (en) Connection kit for a bath spout
JP2009250408A (ja) 異種管接合継手
KR20200093950A (ko) 토크 조절이 용이한 배관 클램프
JP2003097785A (ja) 樹脂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KR20140058664A (ko) 안전 헤드
AU2005218073B2 (en) Pipe insert
US11371637B2 (en) Pipe fitting placement device
US11933028B2 (en) Adjustable fluidic coupling
KR101452357B1 (ko) 관이음 장치
NO137163B (no) R¦rkobling.
KR200329381Y1 (ko) 배관 연결용 커플링
KR20150120328A (ko) 배관 연결용 커넥터
JPH04329969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継手
US20200300394A1 (en) Tubing retainer
JP2021131099A (ja) 火無し継手における気密試験用プラグ取付構造、火無し継手、及び気密試験用プラグ
JP4236033B2 (ja) 継手機構
KR20160095603A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EP1388701A1 (en) Monoblock connection for pipes
JPH0735275A (ja) スライド式管継手
US9302352B2 (en) Line up tool
US20230279895A1 (en) Quick-fit connection assembly
CN216112769U (zh) 夹子及盲法兰连接装置
CN216041523U (zh) 水龙头的连接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