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635A - 전화 컨퍼런스에 있을 때 이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컨퍼런스에 있을 때 이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635A
KR20120059635A KR1020127010722A KR20127010722A KR20120059635A KR 20120059635 A KR20120059635 A KR 20120059635A KR 1020127010722 A KR1020127010722 A KR 1020127010722A KR 20127010722 A KR20127010722 A KR 20127010722A KR 20120059635 A KR20120059635 A KR 20120059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erence call
hold
line
user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튜어트 오. 골드만
칼 에프. 라우셔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2005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퍼런스 브리지에 대한 방법은: a) 특히,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이용자가 홀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확립하고 상태 정보를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102)로서, 상태 정보는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자 정보를 보유하는, 상태 정보를 확립하고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이용자 디바이스들이 연결된 것을 나타내도록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104); c) 대역내 신호를 통해 각 이용자 디바이스에게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106); d)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라인-온-홀드(line-on-hold)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108)로서, 라인-온-홀드 신호는 대역내 신호인, 상기 라인-온-홀드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108); 및 e)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수신된 각 라인-온-홀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장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 프로세서,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 디바이스, 및 라인-온-홀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화 컨퍼런스에 있을 때 이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WHEN IN A TELEPHONE CONFERENCE}
본 발명은 유지 상태 특징을 제공함으로써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이 연결되는 동안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대역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유지 상태 특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따라서, 거기에 특히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통화 동안 컨퍼런스 콜의 참여자들과 연관된 다른 유형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참여자들 중 하나 이상에게 제공하는 데 있어서 유용성을 가질 수 있다.
배경으로서, 컨퍼런스 브리지들은 상이한 이용자 디바이스들 상의 다중의 당사자들이 단일 콜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다중 당사자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한다. 컨퍼런스 콜을 개시하고 당사자들을 연결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한다. 또한, 컨퍼런스 콜에 당사자를 추가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컨퍼런스 콜에 연결되면, 이용자 디바이스는 컨퍼런스 콜이 종료될 때까지 연결되어 유지할 수도 있고, 컨퍼런스 콜을 홀드(hold)로 둘 수도 있고, 홀드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컨퍼런스 콜로 복귀할 수도 있거나, 컨퍼런스 콜을 종료할 수 있다.
홀드 기능은 예를 들면, 이용자가 통화대기 제어부를 누르는 것에 의해 수동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추가로, 이용자 디바이스 상의 다른 특징들의 이용은 착신 콜에 응답하기 위해 라인들을 스위칭하거나 발신 콜을 걸기 위해 라인들을 스위칭하는 것과 같이 홀드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둘 때, 이용자 디바이스가 홀드이다는 것이 다른 당사자들에게 통지되지 않고 홀드중인 당사자가 여전히 참여하는 것처럼 다른 당사자들 사이에서 대화가 계속될 수도 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된다. 다른 당사자들은 질문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회답 또는 코멘트가 예상될 때 당사자로부터 회답 또는 코멘트가 없는 경우에 당사자가 홀드중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 디바이스는 당사자가 다른 라인을 통해 콜을 받을 수 있도록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둘 수 있다(예를 들면, 콜 대기음에 응답한다). 홀드중인 당사자는 다른 당사자에게 홀드를 통지할 시간을 갖지 못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라인을 통한 콜이 호출음(ringing)을 중지하기 이전에 다른 당사자들에게 통지하기 위해 컨퍼런스 콜 동안 대화를 차단하는 것은 무례할 수 있다.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도록 당사자에게 요구할 수도 있는 컨퍼런스 콜 동안의 다수의 다른 환경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당사자는 다른 라인을 통해 콜을 걸거나 즉각적인 주목을 요구하는 다른 문제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당사자는 단순히, 컨퍼런스 콜로부터의 다른 문제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 홀드 기능을 활성화하기를 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홀드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그 상태 정보를 컨퍼런스 콜 동안 하나 이상의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솔루션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기존의 무선, 유선 라인, 및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들 및 기존의 이용자 디바이스들과 호환가능한 대기 상태 특징을 제공하는 솔루션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서,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a) 컨퍼런스 호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립하여 그 상태 정보를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연결되고, 상태 정보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자 상태를 보유하는, 상기 상태 정보를 확립하여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가 연결된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상태 정보를 초기에 설정하는 단계; c) 컨퍼런스 호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에게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이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 d)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로부터 라인-온-홀드(line-on-hold)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이 라인-온-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인, 상기 수신하는 단계; 및 e) 대응하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각 라인-온-홀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연결되고, 상태 정보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 상태를 보유하는, 상기 저장 디바이스; 컨퍼런스 콜을 제어하고, 저장 디바이스와 동작적으로 통신하여, 상태 정보를 확립하고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가 연결된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상태 정보를 초기에 설정하는 프로세서;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에게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통신하는 송신 디바이스로서,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 및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라인-온-홀드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통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로서, 라인-온-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인, 상기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대응하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각 라인-온-홀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a)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브리지 제어기로부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에서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수신되고,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다른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컨퍼런스 콜의 참여자로서 이용자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상기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b)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에 대한 홀드 기능을 막 활성화하려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c) b) 에서의 결정에 응답하여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브리지 제어기로 라인-온-홀드 신호 및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라인-온-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인, 상기 송신하는 단계; 및 d) 라인-온-홀드 신호가 송신된 이후에 이용자 디바이스에서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용가능성의 다른 범위가 아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의 다양한 변경물들 및 변동물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한 예들이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다양한 부분들, 및 방법의 단계들의 구성, 배열, 및 조합에 존재하고, 이에 의해, 고려되는 목적들이 이하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청구범위에서 지적하고 첨부한 도면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다.
도 1은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
도 2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
도 4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실시예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임의의 도 1 내지 도 4와 협력하여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시그널링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콜 흐름도.
도 6은 임의의 도 1 내지 도 4와 협력하여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수집되거나 제공된 상태 정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된다. 예를 들면, 브리지 제어기기가 기존의 무선, 유선 라인, 및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들과의 호환성을 보유하면서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기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이용자 디바이스가 기존의 무선, 유선 라인, 및 VoIP 네트워크들과의 호환성을 보유하면서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기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컴퓨터 디바이스가 기존의 IP 네트워크들과의 호환성을 보유하면서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기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브리지 제어기들, 이용자 디바이스들, 및 컴퓨터 디바이스들이 여기에서 식별되지만,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기법들은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들, 데이터 네트워크들, 이용자 디바이스들, 및 컴퓨터 디바이스들과의 호환성을 방해하지 않고 임의의 대응하는 브리지 제어기, 이용자 디바이스, 및 컴퓨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브리지 제어기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통해 다중의 이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컨퍼런스 콜을 연결한다. 각 이용자 디바이스가 참여자로서 수용되고 컨퍼런스 브리지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연결된 이후에, 브리지 제어기가 컨퍼런스 콜에 대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로 고유 값을 전송한다. 예를 들면, 고유 값은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컨퍼런스 브리지의 포트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값들은 제 1 참여자에 대해 하나(1)일 수도 있고, 다음 참여자에 대해 둘(2)일 수 있다. 고유 값은 또한, 브리지 제어기가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이용자 디바이스들에게 통지한다.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 이용자 디바이스들은 콜 동안 이용하기 위해 고유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지 않은 이용자 디바이스들은 고유 값을 간단히 무시하고 컨퍼런스 콜에 통상적으로 계속 참여한다.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홀드의 인보크를 시작할 때,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브리지 제어기로부터 포트 번호(즉, 브리지에 부착되고 브리지가 이러한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냄)를 수신하면, 이용자 디바이스는 컨퍼런스 콜에 대한 홀드를 개시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트 번호를 갖는 간략한 대역내 톤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다. 브리지 제어기는 홀드 메시지를 검출하고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었다는 것을 인지한다.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을 오프 홀드로 받은 이후에, 이용자 디바이스는 브리지 제어기로 홀드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거나 상이한 대역내 톤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에 복귀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브리지 제어기는 컨퍼런스 콜에 연결되고, 대역내 메시지에 대한 콜을 모니터링한다. 홀드 상태 특징은 대역내 메시지들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홀드 상태 변화들에 기초하여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를 보유한다. 상태 정보는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의 홀드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는 셋업 및 콜 수용시에 브리지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콜러 ID 명칭 및 번호를 이용하여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당사자들(즉, 이용자 디바이스들)을 식별할 수 있다.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지 않은 이용자 디바이스들이 그들의 홀드 상태에 관한 대역내 신호들을 단지 제공하지 않지만, 컨퍼런스 브리지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백워드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이 제공된다. 홀드 상태 특징은 현재의 참여자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또는 브리지 제어기로부터의 아웃콜(outcall)들을 통해 컨퍼런스 콜에 조인되는 추가의 이용자 디바이스들로 연장될 수 있다.
이제, 청구물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단지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102에서 시작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프로세스(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가 확립되어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다중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연결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자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104에서, 상태 정보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초기에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유 식별자가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106).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108에서, 라인-온-홀드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가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라인-온-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라인-온-홀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110).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100)는 또한,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라인-오프-홀드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라인-오프-홀드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로 복귀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라인-오프-홀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라인-오프-홀드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응답하기 위해 프로세스(100)는 라인-오프-홀드 신호 확인응답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라인-오프-홀드 신호가 수신된 각 이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확인응답은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100)는 또한,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이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컴퓨터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도 있거나 로그인 요청이 프로세싱된 이후에 컴퓨터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초기 상태 정보는 수동으로(예를 들면, 활성화된 이용자 리프레시) 또는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리프레시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상태 정보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는 리프레시 레이트(예를 들면, 시간) 또는 상태 정보에 대한 변화(예를 들면, 홀드 상태 변화)에 기초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할 수 있다. 이용자에 대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 및 컴퓨터 디바이스는 이용자가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면서 컴퓨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참여자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의 개시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의 임의의 참여자일 수 있다. 더욱이, 다중의 참여자들에게는 다중의 대응하는 컴퓨터 디바이스들을 통해 상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웹페이지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태 정보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100)는 또한, 컴퓨터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디바이스로부터의 로그인 요청을 인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은 패스워드 체크, 가입자 권한 체크, 및 다른 보안 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이후에, 로그인 확인응답이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로그인 확인응답은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었고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태 정보에 액세스하는데 인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네트워크는 인터넷과 같은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또는 IP 폰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결합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는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 디바이스에 대해 원격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100)는 또한,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응답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확인응답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확인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100)는 또한, 대응하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응답하기 위해 라인-온-홀드 확인응답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각 이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인-온-홀드 확인응답은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유선 통신 네트워크, VoIP 네트워크,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해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된 포트 번호와 관련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각 대역내 신호는 펄스 톤, 주파수 톤 멀티-주파수 톤, 또는 이러한 톤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스(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의 브리지 제어기 또는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퍼런스 브리지(201)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브리지 제어기(200)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저장 디바이스(202), 프로세서(204), 송신 디바이스(206), 및 수신 디바이스(20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303)는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210)를 저장할 수 있다. 다중의 이용자 디바이스들(212)은 통신 네트워크(214)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연결될 수 있다. 상태 정보(210)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디바이스들(212)에 대한 참여자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컨퍼런스 콜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202)와 동작적으로 통신하는 프로세서(204)는 상태 정보(210)를 확립할 수도 있고,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212)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상태 정보(210)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통신하는 송신 디바이스(206)는 고유 식별자를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212)에 송신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통신하는 수신 디바이스(208)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212)로부터 라인-온-홀드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라인-온-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대응하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212)가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라인-온-홀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208)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212)로부터 라인-오프-홀드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8)는 대응하는 라인-오프-홀드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212)가 컨퍼런스 콜로 복귀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라인-오프-홀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21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206)는 대응하는 라인-오프-홀드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응답하기 위해 라인-오프-홀드 확인응답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라인-오프-홀드 신호가 수신된 각 이용자 디바이스(212)로 송신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확인응답은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208)는 데이터 네트워크(218)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216)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상에 이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218)를 통해 상태 정보(210)를 컴퓨터 디바이스(216)로 제공할 수 있다. 상태 정보(210)는 컴퓨터 디바이스(216)로 송신될 수도 있거나 로그인 요청이 프로세싱된 이후에 컴퓨터 디바이스(216)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상의 초기 상태 정보(210)는 수동으로(예를 들면, 활성화된 이용자 리프레시) 또는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리프레시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상의 상태 정보(210)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들은 리프레시 레이트(예를 들면, 시간) 또는 상태 정보(210)에 대한 변화(예를 들면, 홀드 상태 변화)에 기초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할 수 있다. 이용자에 대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212) 및 컴퓨터 디바이스(212)는, 이용자가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212)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면서 컴퓨터 디바이스(216)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 상의 참여자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의 개시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의 임의의 참여자일 수 있다. 더욱이, 다중의 참여자들에게는 다중의 대응하는 컴퓨터 디바이스들(216)을 통해 상태 정보(210)가 제공될 수 있다. 상태 정보(210)는 웹페이지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216)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태 정보(210)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216)에 제공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4)는 컴퓨터 디바이스(216)가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210)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디바이스(216)로부터의 로그인 요청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은 패스워드 체크, 가입자 권한 체크, 및 다른 보안 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206)는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이후에 로그인 확인응답을 데이터 네트워크(218)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216)로 송신할 수 있다. 로그인 확인응답은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고 컴퓨터 디바이스(216)가 상태 정보(210)에 액세스하는 것이 인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네트워크(218)는 인터넷과 같은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216) 및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212)는 스마트 폰 또는 IP 폰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222)에서 결합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216)는 상태 정보(210)가 저장되는 저장 디바이스(202)에 대해 원격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208)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212)로부터 확인응답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4)는 대응하는 확인응답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212)가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확인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21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206)는 대응하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응답하기 위해 라인-온-홀드 확인응답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각 이용자 디바이스(212)로 송신할 수 있다. 라인-온-홀드 확인응답은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214)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유선 통신 네트워크, VoIP 네트워크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212)에 할당된 포트 번호에 관련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각 대역내 신호는 펄스 톤, 주파수 톤, 다중 주파수 톤, 또는 이러한 톤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214)의 외부에 도시하였지만, 브리지 제어기(200)는 통신 네트워크(214)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상술한 브리지 제어기(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통신 네트워크(214)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에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프로세스(30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고유 식별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브리지 제어기로부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다른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관하여 컨퍼런스 콜의 참여자로서 이용자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304에서,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에 관한 홀드 기능을 막 활성화하려 한다는 것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라인-온-홀드 신호 및 고유 식별자가 304에서의 결정에 응답하여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브리지 제어기로 송신될 수 있다(306). 라인-온-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308에서, 컨퍼런스 콜은 라인-온-홀드 신호가 송신된 이후에 이용자 디바이스에서 홀드로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300)는 또한, 이용자 디바이스가 홀드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로 복귀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브리지 제어기로 라인-오프-홀드 신호 및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300)는 브리지 제어기로부터 라인-오프-홀드 확인응답 및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300)는 또한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로부터 브리지 제어기로 로그인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3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이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브리지 제어기로부터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를 계속 수신한다. 상태 정보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자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컴퓨터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거나 로그인 요청이 브리지 제어기에 의해 프로세싱된 이후에 컴퓨터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초기 상태 정보는 수동으로(예를 들면, 활성화된 이용자 리프레시) 또는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리프레시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상태 정보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들은 리프레시 레이트(예를 들면, 시간) 또는 상태 정보에 대한 변화(예를 들면, 홀드 상태 변화)에 기초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용자는 이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할 수 있다. 이용자 디바이스 및 컴퓨터 디바이스는 이용자가 이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면서 컴퓨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참여자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의 개시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의 임의의 참여자일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웹페이지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에서 수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태 정보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에서 수신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또한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브리지 제어기로부터 로그인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 확인응답은 로그인 요청이 브리지 제어기에 의해 인증되었고,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태 정보에 대해 액세스하는 것이 인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인증은 패스워드 체크, 가입자 권한 체크, 및 다른 보안 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네트워크는 인터넷과 같은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 및 이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또는 IP 폰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결합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는 브리지 제어기에 대해 원격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300)는 또한 고유 식별자의 수신에 응답하여 확인응답 신호 및 고유 식별자를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브리지 제어기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유선 통신 네트워크, VoIP 네트워크,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한 이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된 포트 번호와 관련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스(300)는 또한 홀드 상태 특징과 관련된 다양한 대역내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과 함께 컨퍼런스 콜 동안 이용자 디바이스에 의한 참조를 위해 고유 식별자를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304에서의 결정은 홀드 제어의 이용자 활성이 발생하였다는 결정, 컨퍼런스 콜이 연결되는 제 1 라인으로부터 다른 라인으로의 활성화 라인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의 이용자 활성화, 또는 컨퍼런스 콜로 하여금 홀드가 되게 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의 다른 기능의 이용자 활성화가 발생하였다는 결정에 기초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각 대역내 신호는 펄스 톤, 주파수 톤, 멀티 주파수 톤, 또는 이러한 톤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스(3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지국, 유선 전화, VoIP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이용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상술한 브리지 제어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퍼런스 브리지(401)를 제어하는 시스템(400)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이용자 디바이스(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디바이스(402)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수신 디바이스(404), 콜 프로세서(406), 및 송신 디바이스(408)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404)는 통신 네트워크(412)를 통해 브리지 제어기(410)로부터 고유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다른 이용자 디바이스들(414)에 관하여 컨퍼런스 콜의 참여자로서 이용자 디바이스(402)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와 동작적으로 통신하는 콜 프로세서(406)는 이용자 디바이스(402)가 컨퍼런스 콜과 관련하여 홀드 기능을 막 활성화하려 한다는 결정을 포함하여, 이용자 디바이스(402)를 제어할 수 있다. 콜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 통신하는 송신 디바이스(408)는 이용자 디바이스(402)가 홀드 기능을 막 활성화하려 한다는 콜 프로세서(406)의 결정에 응답하여 라인-온-홀드 신호 및 고유 식별자를 브리지 제어기(410)로 송신할 수 있다. 라인-온-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콜 프로세서(406)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송신된 이후에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둘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408)는 콜 프로세서(406)가 홀드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이용자 디바이스(402)를 컨퍼런스 콜로 복귀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라인-오프-홀드 신호 및 고유 식별자를 브리지 제어기(410)로 송신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404)는 브리지 제어기(410)로부터 라인-오프-홀드 확인응답 및 고유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확인응답은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400)은 컴퓨터 디바이스(41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416)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18), 컴퓨터 프로세서(420), 송신 로직 회로(422), 및 수신 로직 회로(42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18), 송신 로직 회로(422), 및 수신 로직 회로(424)와 동작적으로 통신하는 컴퓨터 프로세서(420)는 컴퓨터 디바이스(416)를 제어할 수 있다. 송신 로직 회로(422)는 데이터 네트워크(426)를 통해 로그인 요청을 브리지 제어기(410)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 로직 회로(42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18)상에 이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426)를 통해 브리지 제어기(410)로부터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428)를 수신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디바이스들(402, 414)에 대한 참여자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컴퓨터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거나 로그인 요청이 브리지 제어기에 의해 프로세싱된 이후에 컴퓨터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초기 상태 정보는 수동으로(예를 들면, 활성화된 이용자 리프레시) 또는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리프레시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상태 정보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들은 리프레시 레이트(예를 들면, 시간) 또는 상태 정보에 대한 변화(예를 들면, 홀드 상태 변화)에 기초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용자는 이용자 디바이스(402)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할 수 있다. 이용자 디바이스(402) 및 컴퓨터 디바이스(416)는 이용자가 이용자 디바이스(402)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18)상의 참여자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의 개시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용자는 컨퍼런스 콜의 임의의 참여자일 수 있다. 상태 정보(428)는 웹페이지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416)에서 수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태 정보(428)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416)에서 수신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수신 로직 회로(424)는 데이터 네트워크(426)를 통해 브리지 제어기(410)로부터 로그인 확인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로그인 확인응답은 로그인 요청이 브리지 제어기(410)에 의해 인증되었고 컴퓨터 디바이스(416)가 상태 정보(428)에 대해 액세스하는 것이 인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인증은 패스워드 체크, 가입자 권한 체크, 및 다른 보안 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네트워크(426)는 인터넷과 같은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416) 및 이용자 디바이스(402)는 스마트 폰 또는 IP 폰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430)에서 결합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416)는 브리지 제어기(410)에 대해 원격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408)는 고유 식별자의 수신에 응답하여 확인응답 신호 및 고유 식별자를 브리지 제어기(410)로 송신할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이용자 디바이스(402)가 컨퍼런스 콜에 대한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41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유선 통신 네트워크, VoIP 네트워크,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한 이용자 디바이스(402)에 할당된 포트 번호와 관련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용자 디바이스(402)는 또한 홀드 상태 특징과 관련된 다양한 대역내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과 함께 컨퍼런스 콜 동안 콜 프로세서(406)에 의한 참조를 위해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는 콜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저장 디바이스(4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콜 프로세서(406)는 홀드 제어의 이용자 활성이 발생하였다는 결정, 컨퍼런스 콜이 연결된 제 1 라인으로부터 다른 라인으로 활성화 라인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의 이용자 활성화 또는 컨퍼런스 콜로 하여금 홀드가 되게 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의 다른 기능의 이용자 활성화가 발생하였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이용자 디바이스(402)가 홀드 기능을 막 활성화하려 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각 대역내 신호는 펄스 톤, 주파수 톤, 멀티 주파수 톤, 또는 이러한 톤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이용자 디바이스(402)의 다양할 실시예들은 이동국, 유선 전화, VoIP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이용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412) 외부에 도시되어 있지만, 브리지 제어기(410)는 통신 네트워크(412)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상술한 브리지 제어기(41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412)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퍼런스 브리지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브리지 제어기(BC), 제1 이용자 디바이스(UD1), 제 2 이용자 디바이스(UD2), 제 3 이용자 디바이스 (UD3), 및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는 이용자가 이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면서 컴퓨터 디바이스 상의 참여자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이용자 디바이스(UD1)와 연관될 수 있다. 이 도면은 브리지 제어기(BC) 가 통신 네트워크의 컨퍼런스 브리지를 통해 제 1, 제 2, 및 제 3 이용자 디바이스들(UD1-3) 사이에서 컨퍼런스 콜에 연결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컨퍼런스 콜에 연결된 브리지 제어기(BC)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콜 흐름도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는 시그널링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점선은 옵션인 시그널링을 반영한다.
컨퍼런스 콜이 연결된 이후에, 브리지 제어기(BC)는 고유 식별자(UNIQUE ID)를 제 1, 제 2, 및 제 3 이용자 디바이스들(UD1-3)로 송신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브리지 제어기(BC)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응답 신호(ACK SIG)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UNIQUE ID)를 수신할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확인응답 신호는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제 1, 제 2, 및 제 3 이용자 디바이스들(UD1-3) 모두는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고 모든 3개의 이용자 디바이스들로부터의 ACK SIG들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브리지 제어기(BC)는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STATUS INFO)를 요청하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로부터 로그인 요청(LOGIN RQST)을 수신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자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제 1, 제 2, 및 제 3 이용자 디바이스들(UD1-3) 모두는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고, 상태 정보는 모든 3개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자 상태를 포함할 것이다. 브리지 제어기(BC)는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가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은 패스워드 체크, 가입자 권한 체크, 및 다른 보안 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 제어기(BC)는 인증 이후에 로그인 확인응답(LOGIN ACK)을 컴퓨터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로그인 확인응답은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었고,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가 상태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이 인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상태 정보 (STATUS INFO)는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이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브리지 제어기(BC)로부터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로 제공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브리지 제어기(BC)로부터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로의 송신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거나 브리지 제어기(BC)로부터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초기 상태 정보는 수동으로(예를 들면, 활성화된 이용자 리프레시) 또는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리프레시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상태 정보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들은 리프레시 레이트(예를 들면, 시간) 또는 상태 정보에 대한 변화(예를 들면, 홀드 상태 변화)에 기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브리지 제어기(BC)는 제 3 이용자 디바이스(UD3)로부터 라인-온-홀드 신호(LINE-ON-HOLD)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UNIQUE ID)를 수신할 수 있다. 라인-온-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브리지 제어기(BC)는 제 3 이용자 디바이스(UD3)가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라인-온-홀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브리지 제어기(BC)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응답하기 위해 라인-온-홀드 확인응답(L-ON-H ACK)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UNIQUE ID)를 제 3 이용자 디바이스(UD3)로 송신할 수 있다. 라인-온-홀드 확인응답은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브리지 제어기(BC)는 제 3 이용자 디바이스(UD3)로부터 라인-오프-홀드 신호(LINE-OFF-HOLD)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UNIQUE ID)를 수신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신호는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일 수 있다. 브리지 제어기(BC)는 제 3 이용자 디바이스(UD3)가 컨퍼런스 콜로 복귀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라인-오프-홀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브리지 제어기(BC)는 라인-오프-홀드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응답하기 위해 라인-오프-홀드 확인응답(L-OFF-H ACK)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UNIQUE ID)를 제 3 이용자 디바이스(UD3)로 송신할 수 있다. 라인-오프-홀드 확인응답은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제 2 및 제 3 이용자 디바이스들(UD2, UD3)이 제 1 이용자 디바이스(UD1)의 이용자에 의해 제 1 컴퓨터 디바이스(CD1)상에서 모니터링될 수도 있는 참여자 상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참여자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컴퓨터 디바이스들을 더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로그인 요청(LOGIN RQST)이 컨퍼런스 콜 동안 임의의 시간에서 임의의 컴퓨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유사하게는, 라인-온-홀드 신호(LINE-ON-HOLD)가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을 이미 홀드로 두었을 때를 제외하고 컨퍼런스 콜 동안 임의의 시간에 홀드 상태 특징이 활성화되는 임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라인-오프-홀드 신호(LINE-OFF-HOLD)가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둔 이후에 컨퍼런스 콜 동안 임의의 시간에서 홀드 상태 특징이 활성화되는 임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더욱이, 브리지 제어기가 온-홀드와 오프-홀드 사이에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홀드 상태를 토글링할 수 있기 때문에, 라인-온-홀드 신호(LINE-ON-HOLD) 및 라인-오프-홀드(LINE-OFF-HOLD)가 실제로는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퍼런스 브리지를 갖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브리지 제어기 및 5개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 제어기는 통신 네트워크의 컨퍼런스 브리지를 통해 5개의 이용자 단말들 사이에 컨퍼런스 콜을 연결할 수 있다. 브리지 제어기는 또한 컨퍼런스 콜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리지 제어기는 고유 식별자들을 5개의 이용자 단말들에 할당할 수도 있고,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립할 수도 있고, 상태 정보를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컨퍼런스 콜 동안 5개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자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이 도면은 상태 정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콘텐트 및 예시적인 배열은 각 이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이용자 디바이스 식별자 컬럼(ID), 콜 상태 컬럼(CALL STAT), 특징 상태 컬럼(FEATURE), 및 홀드 상태 컬럼(HOLD STATUS)을 포함한다. 교호의 콘텐트 및 콘텐트의 배열들이 예상된다. 5개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들은 ID 컬럼에 나타난다(즉, 각각 P01, P02, P03, P04, 및 P05).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 식별자들은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된 포트 번호들과 관련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고유 식별자들은 포트 번호, 콜러 ID 번호들, 콜러 ID 명칭, 및 임의의 적합한 조합의 다른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고유 식별자 컬럼에서의 정보 엔트리들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로우들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ALL STAT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수용되고 컨퍼런스 콜에 연결된 이후에 CONNECTED 또는 다른 적합한 용어로 설정될 수 있다.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 연결을 종료한 이후에, CALL STA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로 남겨질 수도 있고, CONNECTED는 그레이 아웃(gray out)될 수도 있고, DISCONNECTED로 설정될 수도 있거나, 다른 적합한 용어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퍼런스 콜 연결을 종료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로우는 상태 정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이용자 디바이스들(P01-P04)은 컨퍼런스 콜에 연결되고, 제 5 이용자 디바이스(P05)는 컨퍼런스 콜 연결을 종료하였다.
예를 들면, FEATURE는 브리지 제어기가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ACTIVE 또는 다른 적합한 용어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라인-온-홀드 및 확인응답 신호의 수신은 ACTIVE 상태를 브리지 제어기에게 통지한다. 그렇지 않으면, FEATURE는 (도시된 바와 같이) UNKNOWN 또는 다른 적합한 용어로 설정될 수 있다. FEATURE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 연결을 종료한 이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로 남겨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이용자 디바이스들(P01-P03)은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고, 브리지 제어기는 제 4 이용자 디바이스(P04)가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지를 알지 못하며, 제 1 이용자 디바이스(P05)는 컨퍼런스 콜 연결을 종료한다.
예를 들면, HOLD STATUS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었을 때 ON-HOLD 또는 다른 적합한 용어로 설정될 수 있다. 컨퍼런스 콜을 이전에 홀드로 둔 이용자 디바이스가 복귀하였을 때, HOLD STATUS는 OFF-HOLD 또는 다른 적합한 용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HOLD STATUS는 블랭크로 남겨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용자 디바이스는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고, 제 3 이용자 디바이스는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둔 이후에 컨퍼런스 콜로 복귀하며, 다른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HOLD STATUS는 블랭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태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의 브리지 제어기 또는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내에 저장되고, 이용자가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면서 참여자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이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컴퓨터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 정보는 저장 디바이스(202)(도 2) 및 브리지 제어기(200, 410)(도 2, 도 4)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216, 416)(도 2, 도 4)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0, 418)(도 2, 도 4)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 정보(210, 218)(도 2,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상기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의 개시를 제공하고,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려는 목적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대안의 실시예들을 생각할 수 있다.
200, 410: 브리지 제어기
201, 401: 컨퍼런스 브리지 202: 저장 디바이스
204: 프로세서 206, 408: 송신 디바이스
208, 404: 수신 디바이스 212, 402: 이용자 디바이스
216, 416: 컴퓨터 디바이스 218: 데이터 네트워크
2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06: 콜 프로세서
412: 통신 네트워크 422: 송신 로직 회로
424: 수신 로직 회로

Claims (10)

  1. 컨퍼런스 브리지(conference bridge)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립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컨퍼런스 콜에 연결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자 정보를 보유하는, 상기 상태 정보를 확립하고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초기에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각 이용자 디바이스에게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유 식별자는 상기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라인-온-홀드(line-on-hold)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라인-온-홀드 신호는 상기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인, 상기 라인-온-홀드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대응하는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라인-온-홀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f) 상기 라인-온-홀드 신호가 수신된 상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라인-오프-홀드 신호 및 상기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라인-오프-신호는 상기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인, 상기 라인-오프-홀드 신호 및 상기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대응하는 라인-오프-홀드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컨퍼런스 콜로 복귀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라인-오프-홀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f)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g)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이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에 상기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f) 상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응답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확인응답 신호는 상기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이고,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확인응답 신호 및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대응하는 확인응답 신호가 수신된 대응하는 이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컨퍼런스 콜에 대해 활성화된 홀드 상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확인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대역내 신호는 펄스 톤, 주파수 톤, 및 멀티 주파수 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브리지 제어기로부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이용자 디바이스에서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유 식별자는 컨퍼런스 콜에 대한 대역내 신호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고유 식별자는 상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다른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관하여 상기 컨퍼런스 콜의 참여자로서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상기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컨퍼런스 콜에 관하여 홀드 기능을 막 활성화하려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c) b)에서의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브리지 제어기로 라인-온-홀드 신호 및 상기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라인-온-홀드 신호는 상기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인, 상기 라인-온-홀드 신호 및 상기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라인-온-홀드 신호가 송신된 이후에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컨퍼런스 콜을 홀드로 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e)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홀드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컨퍼런스 콜로 복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브리지 제어기로 라인-오프-홀드 신호 및 상기 고유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라인-오프-홀드 신호는 상기 컨퍼런스 콜에 대하여 대역내 신호인,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e)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브리지 제어기로 로그인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f)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이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브리지 제어기로부터 상기 컨퍼런스 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참여자 상태를 보유하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e) 홀드 상태 특징과 연관된 다양한 대역내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과 함께 상기 컨퍼런스 콜 동안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에 의한 참조를 위해 상기 고유 식별자를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b)에서의 결정하는 단계는, 홀드 제어의 제 1 이용자 활성화가 발생하였다는 결정 및 상기 컨퍼런스 콜이 연결되는 제 1 라인으로부터 다른 라인으로 활성화 라인을 스위칭하기 위해 스위칭 제어의 제 2 이용자 활성화가 발생하였다는 결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컨퍼런스 브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127010722A 2009-09-30 2010-09-22 전화 컨퍼런스에 있을 때 이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596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70,491 2009-09-30
US12/570,491 US20110075829A1 (en) 2009-09-30 2009-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ference bridge
PCT/US2010/049731 WO2011041177A1 (en) 2009-09-30 2010-09-2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when in a telephone confer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635A true KR20120059635A (ko) 2012-06-08

Family

ID=4330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722A KR20120059635A (ko) 2009-09-30 2010-09-22 전화 컨퍼런스에 있을 때 이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75829A1 (ko)
EP (1) EP2484103A1 (ko)
JP (1) JP2013507050A (ko)
KR (1) KR20120059635A (ko)
CN (1) CN102577340A (ko)
WO (1) WO2011041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65322T3 (es) * 2012-08-15 2018-04-25 Ikanos Communications, Inc. Procedimiento robusto de establecimiento de la comunicación en entornos de diafonía
WO2015105921A1 (en) * 2014-01-07 2015-07-16 Tropo Inc. Temporary user associations based on call state
US10984391B2 (en) 2016-11-17 2021-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meeting manager
CN108419215B (zh) * 2017-02-10 2021-05-2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多方通话的控制方法、装置及多通终端
US11144886B2 (en) 2017-12-21 2021-10-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meeting time of arrival estimation
US10142485B1 (en) * 2018-07-19 2018-11-27 Capital One Services, Llc Conference call mute management
US11102350B2 (en) 2019-09-26 2021-08-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itiating a subsequent hol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3A (en) * 1845-04-26 Machine fqe making match-splihts and arranging them in dipping
DE10104253A1 (de) * 2001-01-31 2002-12-05 Gloocorp Ag Kommunikationssystem mit Statusinformationsaustausch und audieller sowie visueller Aktivitätendarstellung
FI112016B (fi) * 2001-12-20 2003-10-15 Nokia Corp Konferenssipuhelujärjestely
US6978001B1 (en) * 2001-12-31 2005-12-20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dio content dur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ssions
US20040136515A1 (en) * 2003-01-15 2004-07-15 Litwin Louis Robert Off-hold alert for telecommunications devices
US7689232B1 (en) * 2004-09-21 2010-03-30 Beyer Jr Malcolm K Method of providing call forward of voice and messages and remote phone activation
US7477281B2 (en) * 2004-11-09 2009-01-13 Nokia Corporation Transmission control in multiparty conference
JP2007110431A (ja) * 2005-10-13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グループ通信システム
US8027251B2 (en) * 2005-11-08 2011-09-27 Verizon Servic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protocol-aware network firewall
JP4965166B2 (ja) * 2006-05-31 2012-07-0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電話システム
JP4810325B2 (ja) * 2006-06-22 2011-11-0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ボタン電話機を用いた電話会議開催方法
JP2008017071A (ja) * 2006-07-05 2008-01-24 Nec Corp PoC通信システム、PoC端末、PoCサーバ及びそれらに用いる付加サービス利用方法
JP2008252830A (ja) * 2007-03-30 2008-10-16 Saxa Inc 会議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1177A1 (en) 2011-04-07
EP2484103A1 (en) 2012-08-08
CN102577340A (zh) 2012-07-11
US20110075829A1 (en) 2011-03-31
JP2013507050A (ja)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6033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conference call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ubscriber participation classes
CA2513498C (en) Call transfer system, method and network devices
KR20120059635A (ko) 전화 컨퍼런스에 있을 때 이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664518B2 (en) Group call server, group call system, terminal, and group call control method
ES2396737T3 (es) Método y sistema para acceso a conferencias multimedia en red
KR20160014112A (ko)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JP2008516519A (ja) Ptシステムのサービス予約方法
CN105075229A (zh) 用于建立回叫远程通信连接的方法
CN101326802B (zh) 用于在第二网络中建立连接的方法和网络单元
JP4663413B2 (ja) 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US8938057B1 (en) Dynamic registration for call-pickup group membership, and selective rerouting of calls
EP1737205B1 (en) Centralised conference initiation
US8130927B2 (en) Enhanced directory for communications devices
AU20032008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lsively receiving multi-calls over internet protocol phones i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system
CN104469719B (zh) 通信连接方法和通信终端
KR100587945B1 (ko) 호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7150841A (ja) 電話交換システム及び電話交換方法及び電話交換プログラム
KR101207035B1 (ko) 다자간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KR101733098B1 (ko)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6180372A (ja) 常時ip網に接続していない通信端末へのip電話発信システム及び呼制御サーバ
KR100860576B1 (ko) 화상 통화연결중 영상 메시지 저장 시스템 및 방법
JP2007324772A (ja) サーバ
KR20170047992A (ko) 통화 중 호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
KR20170035655A (ko) 역발신을 이용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765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