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098B1 -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098B1
KR101733098B1 KR1020150107105A KR20150107105A KR101733098B1 KR 101733098 B1 KR101733098 B1 KR 101733098B1 KR 1020150107105 A KR1020150107105 A KR 1020150107105A KR 20150107105 A KR20150107105 A KR 20150107105A KR 101733098 B1 KR101733098 B1 KR 101733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ser terminal
ptt service
ptt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177A (ko
Inventor
이길수
최도연
강태구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6001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망을 통해 결합하여 PT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PTT 서비스 서버; 사용자 단말과 전화 통신망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간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통화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간의 통화 중의 음성 신호를 믹싱하는 믹싱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TT SERVICES USING TELECOMMUNICATION CALL}
본 발명은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 통신망을 통해 종래에 비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PTT(Push-To-Talk) 서비스는 무선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을 이용하여 일대다의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PTT 서비스는 종래 TRS를 이용하여 제공되는데, 이는 별도의 전용 중계기, 교환기, 단말기 등의 장비가 필요하며, 설치 및 유지에 과도한 비용이 소모되고 통화 품질이나 동시 양방향 음성 송신이 어렵다는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신 가능 거리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패킷 통신을 전제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전화 통화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구현하는 기술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또한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PTT 서비스를 구현하는 경우에도 음성 신호의 처리를 위한 전용 서버에 대한 구축이 필수적이며, 음성 통신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 수행을 위해 부가적인 서비스 서버가 구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화 통신망을 통해 PTT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망을 통해 결합하여 PT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PTT 서비스 서버; 사용자 단말과 전화 통신망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간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통화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간의 통화 중의 음성 신호를 믹싱하는 믹싱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PTT 서비스를 위한 화면을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 PTT 서비스 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 PTT 서비스를 위한 전화 통화 발신 및 자동 응답 기능을 처리하는 통화 제어부; 통화 상태를 감시하는 통화 감시부; 송화음에 대한 개방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송화음 제어부; 및 데이터망을 통해 PTT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동부는,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PTT 서비스 요청 신호를 데이터망을 통해 PTT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PTT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PTT 서비스를 위한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관리부는,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PTT 서비스 상태를 변경하고, 화면 제어부는 해당 서비스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서비스 서버는,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이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통화 서비스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간에 전화 통신망을 통한 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는, 전화 통신망을 통해 음성 송신이 이루어질 것을 알리는 음성 송신 알림 신호를 데이터망을 통해 PTT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PTT 서비스 서버는 이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관리부는, 전화 통신망을 통해 음성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PTT 서비스 상태를 변경하고, 알림을을 재생하고, 화면 제어부는 해당 서비스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화 제어부는, 음성 신호를 전화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통화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믹싱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믹싱 처리 장치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믹싱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싱 처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음성 신호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호를 종료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통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통화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간에 형성된 호를 종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전화 통화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PTT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PTT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해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1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 서버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통화 서비스 서버가 다른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해 다른 사용자 단말이 응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간에 호가 형성되는 제3 단계; 및 통화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화 통신망을 통해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믹싱 처리 장치를 통해 음성 신호를 믹싱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통신망을 통해 PTT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통신망을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구현하기 때문에 음성 전달이 필요한 경우 기존 통신 사업자에 의해 이미 구축되어 있는 기존 통신망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고가의 추가적인 장비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 통화를 통해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 TRS 방식과는 달리 실시간으로 동시에 복수의 사용자가 양방향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TT 서비스 수행 중에 데이터망을 통해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통화망을 이용하지만 음성 신호가 일정 시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통신망상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PTT 서비스 및 통화 상태의 천이에 따른 시각적 및 청각적 표시 기능을 제공하므로 종래의 PTT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를 사용한다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 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TRS 서비스에서 존재하는 사용 가능 거리에 대한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40,5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 단말(40,50)간에 호(call)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 단말(40,50)간에 호(call)가 형성된 상태에서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도중 일정 시간 이상 음성 신호가 없는 경우 호를 종료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 단말(40,5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PTT 서비스 서버(10), 통화 서비스 서버(20) 및 믹싱 처리 장치(30)를 포함한다.
PTT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40,50)과 데이터 망을 통해 결합하여 PT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40,50)이라 함은, 전화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종래 알려져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40,50)은 본 발명에 의한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데이터망이라 함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 통신망과 구별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패킷망을 의미한다.
통화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40,50)과 전화 통신망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40,50)간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call)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전화 통신망은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로서 종래 알려져 있는 공중 전화망(PSTN), 이동 통신망, 인터넷 등의 결합을 의미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화 통신망은 종래 알려져 있는 기지국, 교환기, HLR 등의 자원을 포함한다.
통화 서비스 서버(20)는 이러한 전화 통신망의 교환기와 결합하여 본 발명에 의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전화 통신망의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 위치한다.
믹싱 처리 장치(30)는 상기 통화 서비스 서버(20)와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40,50)간의 통화 중의 음성 신호를 믹싱(mix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의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함으로써 전화 통화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사용자 단말(40)에서 PTT 서비스 서버(10)로 PTT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응답하여 전화 통화를 통한 PTT 서비스를 위한 특번인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 즉, 전화 번호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40)은 수신한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호 접속 요청 신호를 IMS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 서버(20)로 발신하고, 통화 서비스 서버(20)는 이에 응답한 후, 다른 사용자 단말(50)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50)이 이에 응답하면 사용자 단말(40,50) 간에 통화 서비스 서버(20)를 통해 전화 통화 호(call)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40)이 음성을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음성 송신을 알리는 송신 알림 신호가 PTT 서비스 서버(10)를 통해 사용자 단말(50)로 전송되고, 이후 사용자 단말(40)은 상기 형성된 전화 통화 호를 통해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 통화 서비스 서버(20) 및 믹싱 처리 장치(3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50)로 전송됨으로써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예에서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에서 다른 하나의 사용자 단말(50)로 음성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사용자 단말은 2이상의 복수개일 수 있으며 이들은 믹싱 처리 장치(30)를 통해 음성 신호를 믹싱함으로써 동시에 2 이상의 음성 신호가 연결된 모든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 단말(40,5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50)은 화면 제어부(41), 상태 관리부(42), 통화 제어부(43), 통화 감시부(44), 송화음 제어부(45) 및 연동부(46)를 포함한다.
화면 제어부(41)는 본 발명에 의한 PTT 서비스를 수행할 때 사용자 단말(40,5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PTT 서비스를 위한 상태 변경시 해당 상태를 화면에 반영하고 화면상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태 관리부(42)는 본 발명에 의한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40,50)의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에서, 상태는 통화 상태와 PTT 상태의 2가지를 가질 수 있다.
우선, 통화 상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상태를 갖는다.
a) CALL IDLE : 통화 비가능 상태
b) CALL READY : 통화 가능 상태
또한, PTT 상태는 다음의 3가지 상태를 갖는다.
a) PTT IDLE : PTT 비활성 상태
b) PTT PRESS : PTT 활성 시도 상태
c) PTT ACTIVE : PTT 활성 상태
상기와 같은 통화/PTT 상태를 조합할 경우, 다음의 5가지 상태에 대한 도출이 가능하다.
IDLE/IDLE, IDLE/PRESS, READY/IDLE, READY/PRESS, READY/ACTIVE
상태 관리부(42)는 이와 같이 통화 상태와 PTT 상태를 확인하고 각 상태에 따른 송화음 개방 및 음성 신호 수신시의 가청 제어를 수행한다.
통화 제어부(43)는 PTT 서비스를 위해 전화 통화 발신 및 전화 자동 응답 기능을 처리한다. 즉, 통화 제어부(43)는 전화 발신이 필요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PTT 서비스를 위해 PTT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한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로 전화 발신을 요청하고, 해당 식별 번호를 통해 전화 수신시에 자동 응답을 요청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통화 감시부(44)는 통화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통화 상태는 다음과 같다.
a. Outgoing 전화 발신 상태
b. Ringing 상태
c. Offhook 상태
d. Idle (통화 종료) 상태
송화음 제어부(45)는 송화음에 대한 개방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즉, 송화음 제어부(45)는 전화가 연결된 이후 송화음 차단 상태를 유지하다가, 음성 신호의 전달이 필요한 경우 송화음을 개방시킨다.
연동부(46)는 PTT 서비스 서버(10)와 데이터망을 통해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PTT 서비스 서버(10)와 연동하여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40,50)에서 PTT 서비스를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 PTT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로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전송하고, 전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40,50)간에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는 동안 참여자에 대한 입장/퇴장, 화자에 대한 정보 수신, 음성 신호 송신 알림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40,50)의 구성 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만을 설명하였으며 사용자 단말(40,50)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였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40,5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 단말(40,50)간에 호(call)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가 화면 제어부(4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PTT 버튼을 누른다(S100).
그러면, 사용자 단말(40)의 상태 관리부(42)는 PTT 상태를 IDLE에서 PRESS로 변경하고 화면 제어부(41)는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에 가시적으로 표시한다(S11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40)의 연동부(46)는 데이터망을 통해 PTT 서비스 서버(10)로 PTT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20).
PTT 서비스 서버(10)는 PTT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통화 서비스 서버(20)에 해당하는 특번인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한다(S130).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40)의 통화 제어부(43)는 해당 번호를 이용하여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화 통화망을 통해 전송하고,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전화 통화망의 교환기 및 IMS망를 거쳐 통화 서비스 서버(20)로 전송된다(S140).
통화 서비스 서버(20)는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자동 응답하고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한다(S150). 그리고, 통화 서비스 서버(20)는 전화 통화망의 교환기 및 IMS 망을 거쳐 다른 사용자 단말(50)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화를 발신한다(S160).
사용자 단말(50)의 통화 감시부(44)는 전화 수신 즉 ringing 상태를 확인하고 통화 제어부(43)로 자동 응답할 것을 요청한다(S170).
사용자 단말(50)의 통화 제어부(43)는 유입된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자동으로 응답하고 호 접속 응답 신호가 통화 서비스 서버(20)로 전송되고(S180), 통화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40)과 사용자 단말(50)간에 호(call)를 형성(setup)한다(S190).
그리고 통화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50)이 호에 응답하였음 즉, 참여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PTT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고(S200), PTT 서비스 서버(20)는 이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한다(S210).
사용자 단말(40)의 상태 관리부(42)는 알림음과 함께 PTT 상태를 PRESS에서 ACTIVE로 변경하고 이를 화면 제어부(4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가시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S220).
이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40,50) 간에 전화 통화를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 단말(40,50)간에 호(call)가 형성된 상태에서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가 화면 제어부(4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PTT 버튼을 누른다(S300).
그러면, 사용자 단말(40)의 상태 관리부(42)는 PTT 상태를 IDLE에서 PRESS로 변경하고 화면 제어부(41)는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에 가시적으로 표시한다(S310).
PRESS 상태가 일정 시간 예컨대 0,2초 이상 지속되면, 상태 관리부(42)는 가청 알림음을 재생하고(S320), 알림음 재생이 종료되면 상태 관리부(42)는 PTT 상태를 PRESS에서 ACTIVE로 변경하고 화면 제어부(41)는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에 가시적으로 표시한다(S330).
다음으로, 송화음 제어부(45)는 송화음을 개방하고(S340), 연동부(46)는 송화음이 개방되었음을 알리는(즉, 음성 송신이 잠시 후에 이루어질 것임을 알리는) 음성 송신 알림 신호를 데이터망을 통해 PTT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S350).
PTT 서비스 서버(10)는 데이터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50)로 음성 송신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S360), 사용자 단말(50)의 연동부(46)는 음성 송신 알림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태 관리부(42)로 알리고 상태 관리부(42)는 가청 알림을을 재생한다(S370).
그리고,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호를 통해 음성 신호가 전화 통신망을 통해 IMS 망에 위치한 통화 서비스 서버(20)로 전송되고(S380), 통화 서비스 서버(20)는 이를 믹싱 처리 장치(30)로 전송하여 음성 신호를 믹싱한 후(S390,S400), 다른 사용자 단말(50)로 전송한다(S410).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가 PTT 버튼에서 손을 떼면(release)(S430), 상태 관리부(42)는 PTT 상태를 ACTIVE에서 IDLE로 변경하고, 화면 제어부(41)는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에 가시적으로 표시한다(S440).
그리소 사용자 단말(40)의 송화음 제어부(45)는 송화음을 차단한다(S450).
상기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40)이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50)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40,50)은 2 이상의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단말에서 음성 신호가 송출되더라도 믹싱 처리 장치(30)에서 수신되는 음성 신호들을 믹싱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동시에 양방향으로 다수의 단말들이 PTT 서비스를 전화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도중 일정 시간 이상 음성 신호가 없는 경우 호를 종료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믹싱 처리 장치(30)는 일정 시간 이상 음성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통화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한다(S500).
통화 서비스 서버(20)는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40,50)과의 통화를 종료시키고(S520,S540), 사용자 단말(40,50)의 통화 감시부(44)는 통화가 종료되었음을 검출하고 통화 상태를 IDLE로 변경하고 필요한 경우 화면 제어부(41)는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에 가시적으로 표시한다(S530,S550).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 단말(40,5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좌측의 화면은 PTT 상태가 IDLE인 경우로서, 중앙의 마이크 모양의 버튼이 푸른색으로 활성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이크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PTT 상태가 PRESS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 화면 제어부(41)가 해당 상태를 반영하여 가운데 표시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일정 시간 예컨대 0.2초 이상 마이크 모양의 버튼이 눌려져 있으면 알림음을 재생하고 알림음 재생이 종료되면 상태 관리부(42)는 PTT 상태를 PRESS에서 ACTIVE로 변경하고 화면 제어부(41)는 해당 상태를 반영하여 우측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PTT 서비스 서버
20...통화 서비스 서버
30...믹싱 처리 장치
40,50...사용자 단말

Claims (12)

  1.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 통신망과는 별도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결합하여 PT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PTT 서비스 서버;
    사용자 단말과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 통신망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간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통화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간의 통화 중의 음성 신호를 믹싱하는 믹싱 처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PTT 서비스를 위한 화면을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
    PTT 서비스 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
    PTT 서비스를 위한 전화 통화 발신 및 자동 응답 기능을 처리하는 통화 제어부;
    통화 상태를 감시하는 통화 감시부;
    송화음에 대한 개방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송화음 제어부; 및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PTT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동부는,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PTT 서비스 요청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PTT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PTT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PTT 서비스를 위한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 제어부는, 상기 PTT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통화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 제어부로부터의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이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통화 서비스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간에 전화 통신망을 통한 호가 형성되고,
    상기 통화 제어부는 음성 신호를 전화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통화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믹싱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믹싱 처리 장치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믹싱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관리부는,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PTT 서비스 상태를 변경하고, 화면 제어부는 해당 서비스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전화 통신망을 통해 음성 송신이 이루어질 것을 알리는 음성 송신 알림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PTT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PTT 서비스 서버는 이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 관리부는, 전화 통신망을 통해 음성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PTT 서비스 상태를 변경하고, 알림음을 재생하고, 화면 제어부는 해당 서비스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 처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음성 신호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호를 종료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통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통화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간에 형성된 호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항, 제4항, 제8항,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전화 통신망을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PTT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PTT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해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1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그룹 대화방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통신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 서버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통화 서비스 서버가 다른 사용자 단말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해 다른 사용자 단말이 응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간에 호가 형성되는 제3 단계; 및
    통화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화 통신망을 통해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믹싱 처리 장치를 통해 음성 신호를 믹싱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107105A 2014-07-30 2015-07-29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33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003 2014-07-30
KR20140097003 2014-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177A KR20160015177A (ko) 2016-02-12
KR101733098B1 true KR101733098B1 (ko) 2017-05-08

Family

ID=5535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105A KR101733098B1 (ko) 2014-07-30 2015-07-29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0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177A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0982B2 (en) Setting up a full-duplex communication session and transitioning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1906684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group information by the invited user during the session
KR20060016373A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JP2007110631A (ja) グループ通話サーバ、グループ通話システム、端末及びグループ通話制御方法
KR20080073889A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262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피티티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6001689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KR1006404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KR20070010948A (ko) 푸시투토크 단말기의 그룹 일원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95973A (ko) 반이중 음성 통신 시스템을 위한 송신 채널 요청 메시징
KR101733098B1 (ko) 전화 통화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50631B1 (ko) 삼자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삼자통화 방법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JP4413201B2 (ja) サーバー及び無線通信端末
KR100688228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324엠 화상통화에서의 어얼리 미디어 제공 방법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KR102642214B1 (ko) 푸시 투 토크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207035B1 (ko) 다자간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KR1006403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KR100605832B1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KR1004931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101646748B1 (ko) 단말장치 및 그룹통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통화서비스장치
JP2007324772A (ja) サーバ
KR10066421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응답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