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609A -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609A
KR20120057609A KR1020127002411A KR20127002411A KR20120057609A KR 20120057609 A KR20120057609 A KR 20120057609A KR 1020127002411 A KR1020127002411 A KR 1020127002411A KR 20127002411 A KR20127002411 A KR 20127002411A KR 20120057609 A KR20120057609 A KR 20120057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program
dispenser
cleaning
conta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른트 캐슬러
토어슈텐 바스티그카이트
크리슈티안 니치
볼프강 빅
칼-하인츠 호헤나델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2005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6Rins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8Wash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55Metering or indication of used products, e.g. type or quantity of detergent, rinse aid or salt; for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oduct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0Water cloudiness or dirtiness, e.g. turbidity, foaming or level of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7Consumable products, e.g. detergent, rinse aids or sal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0Regulation of machine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 e.g. performing an additional rinsing phase, shortening or stopping of the drying phase, washing at decreased noise operation conditions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에 영구적으로 끼움 장착되거나 식기 세척기 내부로 위치될 수 있는 계량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인데, 식기 세척기는 액체 최종 헹굼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가지는 카트리지와,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세정 프로그램 (RG) 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세척 프로그램을 가지고, 세척수 및/또는 식기 세척기 내부에 위치한 세척될 품목의 오염도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가지며, 오염도 (VG) 는 세척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시점 (t1) 에서 적어도 한 번 결정되고, 측정된 오염도 (VG) 는 세척수 및/또는 식기 세척기 내부에 세척될 품목의 경미한 오염을 나타내는 기준값 (Rw1) 과 비교된다. VG ≤ Rw1 조건을 만족하는 오염도 (VG) 가 존재한다면, 적어도 세정 프로그램 (RG) 에서 세척수의 온도는 대체로 65°C 이하, 바람직하게는 50°C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C 이하로 유지되고, 세정 프로그램 (RG) 및/또는 중간 세척 프로세스 (ZG) 의 말에, 적어도 최종 헹굼제가 계량 기구에서 식기 세척기 내부로 디스펜싱되고, 최종 헹굼 프로그램 (KS) 을 수행하지 않고 건조 프로그램이 세정 프로그램 (RG) 및/또는 중간 세척 프로세스 (ZG) 를 바로 뒤따른다.

Description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METHOD FOR OPERATION OF AN AUTOMATIC DISHWASHER}
본 발명은 자동 식기 세척기, 특히 식기 세척기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가지고,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고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린스에이드 조합물 (rinse aid preparation) 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가지는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물 및 원료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 결과로서,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 등의 송수 가전제품을 가능한 한 에너지 및/또는 물을 절약하도록 구현하려는 노력이 한동안 진행되어 왔다.
식기 세척기는, 예를 들어 예비 세척 프로그램 (VS), 세정 (cleaning) 프로그램 (RG), 중간 헹굼 프로그램 (ZG), 린스에이드 프로그램 (KS) 및 건조 프로그램 (TR) 과 같은 특정 세척 세그먼트들의 시퀀스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내는 세척 (washing) 프로그램에 의해 보통 제어된다.
오염도에 따라, 식기 세척기의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에 저장된 다수의 세척 프로그램으로부터 세척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거나, 식기 세척기가 오염도 및/또는 식기 세척기의 부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탁도 센서와 부하 센서가 보통 식기 세척기에서 이 목적으로 이용된다.
세척 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프로그램 단계 중 하나는 린스에이드 프로그램 (KS) 또는 건조 프로그램 (TR) 이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 단계 (들) 을 가능한 한 에너지를 절약하고 에너지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는 세척될 품목이 단지 비교적 낮은 오염도를 종종 나타내는 경향이 관찰될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요인들 중에서, 소비자들이 반조리 식사가 포장 제품으로 준비되는 소위 "간편식" 으로 바꾸어서, 예를 들어, 냄비 또는 팬의 심한 오염이 덜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 세척기를 위해, 특히 약간 오염된 세척될 품목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최적화 세척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을 가지는 식기 세척기를 작동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세척될 약간 오염된 품목을 위한 세척 프로그램의 세정 및/또는 중간 헹굼 프로그램에서 린스에이드가 이미 계량된 사실은, 린스에이드 프로그램이 생략될지라도, 그리고 건조 프로그램에서 더 낮은 온도로 우수한 건조 성능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여기에서 발생하는 것은, 세척될 품목의 열 함유량이 이용되는 것이고, 보통 세척될 품목은 대략 세척수의 온도를 가진다. 따라서, 세척될 품목의 열 함유량은 린스에이드 프로그램에 의해 도입된 새로운 (그리고 보통 차가운) 세척수에 의해 뺏기지 않고, 그 대신에 식기 세척기에서 유지된다.
세척될 품목의 표면이 세정 프로그램의 말기에 린스에이드 조합물로 젖어있다는 사실과 함께, 세정 프로그램의 말기에 세척될 품목의 상승된 온도는, 건조 프로그램에서 세척수의 온도보다 높게 식기 세척기의 온도를 과도하게 증가시킬 필요없이, 세척될 품목을 충분히 양호하게 건조시킨다. 게다가 이것은 건조 프로그램의 지속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특히 짧은 세척 프로그램에 유리하다.
또한, 세정 프로그램에서 65℃ 이하의 세척수 온도에서 린스에이드 조합물을 디스펜싱 하는 것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이 온도에서 린스에이드 조합물의 거품 발생이 매우 많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가지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챔버는 서로 상이한 조합물을 구비하고,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액체 린스에이드 조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데, 이 시스템에 세정 프로그램 (RG)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예비 세척 프로그램 (VS) 및/또는 중간 헹굼 프로그램 (ZG) 및/또는 린스에이드 프로그램 (KS) 및/또는 건조 프로그램 (TR) 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프로그램이 구비된다.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은 디스펜서 및/또는 식기 세척기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세척될 품목의 오염도 및/또는 식기 세척기 내부에 존재하는 세척수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염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는 탁도 센서이다. 오염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는 디스펜서 및/또는 식기 세척기에 배치될 수 있다.
오염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에 의하여, 오염도 (VG) 는 한 시점 (t1) 에서 세척 프로그램의 초기에 적어도 한번 결정되고, t1 은 세정 프로그램 (RG) 전 또는 그 초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 프로그램의 초기에서" 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시퀀스에 대해 세정 프로그램의 처음 1/3 에서 측정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오염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 (VG) 는 세척될 품목 및/또는 식기 세척기에 존재하는 세척수의 경미한 오염을 나타내는 기준값 (Rw1) 과 비교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에서 또는 이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발생한다. 그러나, 센서 자체에서 또는 식기 세척기나 디스펜서의 다른 기능성 그룹에서 비교가 수행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VG ≤ Rw1 의 조건을 만족하는 오염도 (VG) 가 존재한다면, 세척수의 온도는, 적어도 세정 프로그램 (RG) 에서, 대체로 65℃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하로 유지되고, 세정 프로그램 (RG) 및/또는 마지막 중간 헹굼 사이클 (ZG) 의 말기에, 적어도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디스펜서 밖으로 나와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이동되고, 린스에이드 프로그램 (KS) 의 실행 없이 건조 프로그램이 즉시 세정 프로그램 (RG) 및/또는 중간 헹굼 사이클 (ZG) 이후에 수행된다.
세정 프로그램 (RG) 의 마지막 1/3 동안 적어도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디스펜서 밖으로 나와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세척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라, 최종 중간 헹굼 (ZG) 의 마지막 1/3 동안 적어도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디스펜서 밖으로 나와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 실시형태에 따르면, 건조 프로그램에서 식기 세척기 내부 온도는, 대체로 65℃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하로 유지된다.
건조 프로그램에서 식기 세척기 내부 온도는, 세정 프로그램 (RG) 에서 세척수의 온도보다, 대체로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17%,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초과하여 유지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건조 프로그램에서 식기 세척기 내부 온도는, 대체로, 세정 프로그램 (RG) 에서 세척수의 온도와 같거나 적어도 높지 않은 것이 특히 유리하다.
또한, 건조 프로그램은 30 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분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 ~ 50 용적% 의 계면활성제 함유량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1 ~ 10 ㎖ 사이, 바람직하게는 1.5 ~ 5 ㎖,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4 ㎖ 의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디스펜서 밖으로 나와 식기 세척기 내부로 이동한다.
디스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은 조합물로 채워진 카트리지의 기본 구성 요소 및, 카트리지와 결합할 수 있는 디스펜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은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이라는 것은 디스펜싱 시스템이 분리할 수 없게 식기 세척기에 연결된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식기 세척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거나 식기 세척기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즉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대안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분리할 수 없게 식기 세척기에 연결되고 단지 카트리지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가전제품에서 디스펜서로 전기 에너지 및/또는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게, 디스펜서는 가전제품, 특히 송수 가전제품, 바람직하게는 식기 세척기 또는 세탁기 내부 또는 그 위에 구현된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인터페이스는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구현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인터페이스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기 및/또는 광 신호의 무선 전달을 일으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단지 신호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나 전기 에너지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신호 전달을 위한 하나의 인터페이스와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위한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각각 제공하거나, 전기 에너지와 신호 양자의 전달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인터페이스는, 특히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자기 및/또는 광 신호의 무선 전달이 발생되게 구현될 수 있다.
신호의 무선 전달은, 예를 들어, 특히 IR 영역에서, 무선 (radio) 전달 또는 광 신호의 전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유리한 추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제 및/또는 세정제 조합물을 가전제품의 내부로 옮기기 위한 디스펜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데, 광 전송 유닛은 전송 유닛의 신호가 디스펜서에 연결할 수 있는 카트리지로 연결 가능하고 전송 유닛의 신호가 디스펜서의 주위로 발생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하여, 하나의 광 전송 유닛에 의하여, 디스펜서와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 사이의 신호 전달 및 카트리지로 신호 입력 양자를 실현할 수 있다
광 전송 유닛은 특히 LED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서, 디스펜서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디스펜서가 가전제품에 배치된 광 전송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디스펜서에서 수광 유닛은 전송 유닛으로부터, 디스펜서로 연결할 수 있는 카트리지로, 연결 가능한 신호를 카트리지 밖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펜서의 수광 유닛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전송 유닛에 의해 디스펜서 주위로 방출되는 신호는 작동 상태 또는 제어 지시에 대해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카트리지
본 출원에 대해, "카트리지" 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가능하고, 주입 가능하거나 분산 가능한 조합물을 함께 집어넣거나 수용하기에 적합한 패키징 수단으로서 이해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합물을 옮기도록 디스펜서에 결합할 수 있다.
생각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실시형태에서, 카트리지는 조합물을 넣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치수 안정된) 챔버를 포함한다. 특히, 카트리지는 또한 서로 상이한 조성물로 채워질 수 있는 다중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로부터 조합물의 중력 효과로 인한 방출이 디스펜서의 이용 위치에서 발생될 수 있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카트리지가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카트리지로부터 조합물을 방출하기 위해 어떠한 추가 이송 수단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디스펜서의 구조가 단순하게, 제조비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와 같은 이송 수단의 사용이 또한 생략될 수 있고, 그 결과 디스펜서의 전지 또는 충전지의 사용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동 가능한 또는 분산 가능한 조합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제 2 챔버는, 디스펜서가 이용 위치에 있을 때 제 2 챔버로부터 중력 효과에 의해 제품 방출이 발생될 수 있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 배출구를 포함한다. 제 2 챔버의 배치는, 보통 상온 보관이 어려운 조합물, 예를 들어 표백제와 효소가 카트리지의 상호 분리된 챔버에 넣을 때 특히 유리하다.
또한, 2 개보다 많은, 특히 3 ~ 4 개의 챔버가 각각 카트리지에 구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챔버들 중 하나는 휘발성 조합물, 예컨대, 향기를 주위 환경으로 옮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디스펜서와 카트리지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5:5:1 과 50:50:1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10:10:1 의 높이 대 폭 대 깊이의 비율을 가진다. 디스펜서와 카트리지의 "슬렌더 (slender)" 실시형태는 특히 접시를 위해 제공된 용기에서 식기 세척기의 하부 로딩 랙에 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디스펜서로부터 옮겨진 조합물이 세척통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 다른 세척될 품목에 들러붙을 수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시판되는 가정용 식기 세척기는 보다 큰 세척될 품목, 예를 들어 팬 또는 큰 접시를 식기 세척기의 하부 랙에 배치할 수 있도록 보통 설계된다. 사용자가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에 결합된 카트리지로 구성된 디스펜싱 시스템을 최적이 아닌 상부 랙에 위치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디스펜싱 시스템은 하부 랙의 용기에만 디스펜싱 시스템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이를 위해, 디스펜싱 시스템의 폭과 높이는 특히 150mm ~ 30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75mm ~ 250mm 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기본 윤곽을 가지고 컵 또는 통 (tub) 형상으로 디스펜싱 유닛을 구현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특히 유동 가능한 세척제 또는 세정제를 수용하도록 구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이런 종류의 카트리지는 각각 서로 상이한 세척제 또는 세정제 조합물을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챔버를 포함한다. 포괄적이지 않은 예로서, 상이한 조합물로 챔버를 채우기 위한 가능한 일부 조합이 아래 표 1 에 나타나 있다:

챔버 1 챔버 2 챔버 3 챔버 4
A 알칼리 세정 조합물 효소 세정 조합물 - -
B 알칼리 세정 조합물 효소 세정 조합물 린스에이드 -
C 알칼리 세정 조합물 효소 세정 조합물 린스에이드 향기
D 알칼리 세정 조합물 효소 세정 조합물 린스에이드 멸균 조합물
E 알칼리 세정 조합물 효소 세정 조합물 린스에이드 예비처리 조합물
카트리지는 보통 5000㎖ 미만, 특히 1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의 전체 용적을 가진다.
카트리지의 챔버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용적을 가질 수 있다. 2 개의 챔버를 가지는 구성인 경우에, 챔버 용적비는 5:1 인 것이 바람직하고, 3 개의 챔버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 4:1:1 의 용적비가 바람직한데, 이런 구성은 특히 식기 세척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전술한 대로,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 3 개의 챔버를 포함한다. 식기 세척기에서 이런 종류의 카트리지를 사용하기 위해, 하나의 챔버가 알칼리 세정 조합물을 구비하고, 다른 챔버는 효소 조합물을 구비하고, 세 번째 챔버는 린스에이드를 구비하며, 챔버의 용적비는 대략 4:1:1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칼리 세정 조합물을 구비한 챔버는 존재하는 챔버들 중 최대 용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소 조합물 및 린스에이드를 각각 저장하는 챔버는 대략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린스에이드 조합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린스에이드 조합물은 계면활성제 성분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가능한 조합물을 포함한다.
음이온, 비이온, 양이온,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 적합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발포성 때문에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술폰산염과 황산염 타입이 사용된다. 술폰산염 타입의 계면활성제로서 가능한 것은, 바람직하게, C9 -13 알킬벤젠술폰산염, 올레핀술폰산염, 즉 알켄- 및 하이드록시알칸술폰산염의 혼합물, 그리고 가스 삼산화황과 술폰화 반응 및 뒤이은 술폰화 생성물의 알칼리성 또는 산성 가수분해에 의한 말단기 또는 내부 이중 결합을 가지는 C12 -18 모노올레핀으로부터 얻어진 것과 같은 디술폰산염이 있다. 예를 들어 가수분해 및 중화가 뒤따르는 황염소화 또는 술포산화에 의해 C12 -18 알칸으로부터 얻어진 알칸술폰산염도 적합하다. 알파-술포 지방산의 에스테르 (에스테르술폰산염), 예를 들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코코넛, 팜핵 또는 탈로우 지방산의 알파-술폰화 메틸 에스테르가 마찬가지로 적합하다.
또한, 적합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술폰화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이다.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 는,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 및 그 혼합물로서 이해되는데, 이것은 모노글리세롤과 1 ~ 3 몰 지방산의 에스테르화에 의해, 또는 트리글리세리드와 0.3 ~ 2 몰 글리세롤의 에스테르 교환시 제조되어 얻어진다. 바람직한 술폰화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6 ~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 지방산의 술폰화 생성물, 예를 들어 헥사노익산, 옥탄산, 데칸산, 미리스트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이 있다.
바람직한 알킬 (알케닐) 황산염은 알칼리, 특히 예를 들어 코코넛 지방 알코올, 탈로우 지방 알코올, 로릴, 미리스틸, 세틸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로부터 C12 -18 지방 알코올, 또는 C10 ~ C20 옥소 알코올의 황산 세미에스테르 및 그 사슬 (chain) 길이의 2 차 알코올의 세미에스테르의 나트륨, 염이 있다. 또한 석유화학을 기초로 생성되는 합성 직사슬 알킬 잔기를 구비한 전술한 사슬 길이의 알킬 (알케닐) 황산염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지방 화학 원료를 토대로 한 적합한 화합물과 유사한 브레이크다운 (breakdown) 작용을 가진다. 세척 기술을 위해, C12 ~ C16 알킬 황산염과 C12 ~ C15 알킬 황산염 뿐만 아니라 C14 ~ C15 알킬 황산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표명 DAN인 쉘 오일 컴퍼니 (Shell Oil Company) 사제의 상품으로서 구할 수 있는 2,3-알킬 황산염도 적합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다.
평균 3.5 몰 산화에틸렌 (EO) 을 가지는 2-메틸-분지 C9 -11 알코올 또는 1 ~ 4 EO 를 가지는 C12 -18 지방 알코올과 같은, 1 ~ 6 몰 산화에틸렌으로 에톡실화 된 직쇄 또는 분지 C7 -21 알코올의 황산 모노에스테르도 적합하다. 이들의 높은 발포 작용 때문에, 이들은 단지 비교적 소량으로, 예를 들어 1 ~ 5 중량% 의 양으로 세정제에서 사용된다.
다른 적합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술포숙신산의 염이 또한 있는데, 이것은 술포숙신산 또는 술포숙신산 에스테르로도 불리고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지방 알코올, 그리고 특히 에톡실화 지방 알코올을 가지는 술포숙신산의 모노에스테르 및/또는 디에스테르에 해당한다. 바람직한 술포숙신산은 C8 -18 지방 알코올 잔기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술포숙신산은 그 자체가 고려될 때 비이온 계면활성제 (하기 상세한 설명 참고) 에 해당하는 에톡실화 지방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지방 알코올 잔기를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술포숙신산이 특히 바람직한데, 술포숙신산의 지방 알코올 잔기는 제한된 동족체 분포를 가지는 에톡실화 지방 알코올로부터 유도된다. 마찬가지로 알킬 (알케닐) 쇄 또는 그 염에 바람직하게 8 ~ 18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알케닐) 숙신산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비누는 추가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특히 적합하다.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에루크산 및 베헨산의 염과 같은 포화 지방산 비누는, 특히 천연 지방산, 예컨대, 코코넛, 팜핵, 올리브 오일 또는 탈로우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비누 혼합물처럼 적합하다.
비누를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염의 형태로 그리고 모노-, 디-,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의 가용성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또는 칼륨 염, 특히 또는 나트륨 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 8 ~ 18 개의 탄소 원자와 알코올 몰당 평균 1 ~ 12 몰 산화에틸렌 (EO) 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알콕실화, 유리하게 에톡실화된, 특히 일차 알코올인데, 여기에서 알코올 잔기는 선형이거나 바람직하게는 2 위치에서 메틸-분지를 가질 수 있고, 옥소 알코올 잔기에 보통 존재하는 것과 같은 혼합된 선형 및 메틸-분지 잔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코코넛, 팜, 탈로우 또는 오레일 알코올로부터 12 ~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천연 기원 알코올 및, 알코올 몰 당 평균 2 ~ 8 EO 로 구성된 선형 잔기를 가지는 알코올 에톡실산이다. 바람직한 에톡실화 알코올은, 예를 들어, 3 EO 또는 4 EO 를 가지는 C12 -14 알코올, 7 EO 를 가지는 C9 -11 알코올, 3 EO, 5 EO, 7 EO 또는 8 EO 를 가지는 C13 -15 알코올, 3 EO, 5 EO 또는 7 EO를 가지는 C12 -18 알코올 및 그 혼합물, 예를 들어 3 EO 를 가지는 C12 -14 알코올과 5 EO 를 가지는 C12-18 알코올의 혼합물이다. 표시된 에톡실화 정도는 특정 생성물에 대한 정수 또는 분수에 대응할 수 있는 통계적 평균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알코올 에톡실산은 제한된 동족체 분포 (좁은 범위의 에톡실산, NRE) 를 보인다. 이런 비이온 계면활성제 뿐만 아니라, 12 개를 초과하는 EO 를 가지는 지방 알코올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는 14 EO, 25 EO, 30 EO 또는 40 EO 를 가지는 탈로우 지방 알코올이 있다.
또한 추가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일반식 RO(G)x 의 알킬 글리코사이드가 있는데, 이 식에서 R 은 일차 직사슬 또는 8 ~ 22 개, 바람직하게는 12 ~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특히 2 위치에서 메틸 분지가 있는, 메틸 분지형 지방족 잔기를 나타내고, G 는 5 또는 6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글리코스 유닛,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를 나타내는 부호이다. 모노글리코사이드와 올리고글리코사이드의 분배를 표시하는 올리고머화 정도 (x) 는 1 ~ 10 사이의 임의의 수이다; x 는 1.2 ~ 1.4 가 바람직하다.
단지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또는 다른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되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추가 종류는, 바람직하게 알킬 쇄에 1 ~ 4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실화된, 바람직하게 에톡실화된 또는 에톡실화되고 프로폭실화된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가 있다.
산화아민 타입, 예를 들어, N-코크알킬-N,N-디메틸아민 산화물과 N-탈로우알킬-N,N-디하이드록시에틸아민 산화물 및 지방산 알카놀아미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또한 적합할 수 있다. 이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 에톡실화 지방 알코올의 양 이하이고, 특히 그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다.
또한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II) 의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이다.
R1
|
R-CO-N-[Z] (II)
여기서, RCO 는 6 ~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아크릴 잔기를 나타낸다; R1 은 수소, 알킬 또는 1 ~ 4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하이드록시알킬 잔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Z] 는 3 ~ 10 개의 탄소 원자와 3 ~ 10 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폴리하이드록시알킬 잔기를 나타낸다.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는, 암모니아, 알킬아민 또는 알카놀아민과 환원 당의 환원 아민화와 그 후 지방산,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염화물과 아실화에 의해 보통 얻을 수 있는 알려진 물질이다.
또한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그룹에 속하는 것은 화학식 (III) 의 화합물이다.
R1-O-R2
|
R-CO-N-[Z] (III),
여기서, R 은 7 ~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잔기를 나타낸다; R1 은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잔기 또는 2 ~ 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릴 잔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R2 는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잔기 또는 아릴 잔기 또는 1 ~ 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옥시알킬 잔기를 나타내고, C1 -4 알킬 또는 페닐 잔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Z] 는 알킬 사슬이 적어도 2 개의 하이드록실기 또는 알콕실화된,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된 또는 프로폭실화된 잔기의 유도체로 치환된 선형 폴리하이드록시알킬 잔기를 나타낸다.
[Z] 는 환원된 당, 예를 들어, 글루코스, 프룩토오스, 말토스, 락토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또는 크실로오스의 환원 아민화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N-알콕시- 또는 N-아릴옥시-치환 화합물은, 촉매로서 알콕시드의 존재하에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와 반응에 의해 원하는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로 변화될 수 있다.
저발포성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방법의 b) 단계에서 사용되는 통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특히 알콕실화 알코올 그룹으로부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8 ~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대체로 알코올의 몰 당 1 ~ 12 몰의 산화에틸렌 (EO) 을 가지며, 알코올 잔기가 선형이거나 바람직하게는 2-위치에서 메틸 분지가 있을 수 있는 알콕실화된, 유리하게 에톡실화된, 특히 일차 알코올은, 보통 옥소 알코올 잔기에 존재하는 것처럼 혼합물에 선형 및 메틸 분지 잔기를 구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된다. 특히, 그러나, 예를 들어, 코코넛, 팜, 탈로우 지방 또는 오레일 알코올로부터 12 ~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천연 기원의 알코올로부터 조제된 선형 잔기 및, 대체로 알코올의 몰당 2 ~ 8 몰의 EO 를 가지는 알코올 에톡실산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에톡실화 알코올은, 예를 들어, 3 EO 또는 4 EO 를 가지는 C12 -14 알코올, 7 EO 를 가지는 C9 -11 알코올, 3 EO, 5 EO, 7 EO 또는 8 EO 를 가지는 C13 -15 알코올, 3 EO, 5 EO 또는 7 EO 를 가지는 C12 -18 알코올 및 3 EO 를 가지는 C12 -14 알코올과 5 EO 를 가지는 C12 -18 알코올 혼합물과 같은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술한 에톡실화 정도는 통계적 평균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특정 생성물에 대해 정수 또는 분수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알코올 에톡실산은 좁은 동족체 분포 (좁은 범위의 에톡실산, NRE) 를 가진다. 이런 비이온 계면활성제 뿐만 아니라, 12 개를 초과하는 EO 를 가지는 지방 알코올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는 14 EO, 25 EO, 30 EO 또는 40 EO 를 가지는 탈로우 지방 알코올이 있다.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실온을 초과하는 용융점을 가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세정 방법은,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20℃ 초과하는, 바람직하게는 25℃ 초과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60℃, 특히 26.6 ~ 43.3℃ 의 용융점을 가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들)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온도 범위에서 용융점과 연화점을 가지는 적합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실온에서 고형이거나 높은 점성을 가질 수 있는 저발포 비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실온에서 높은 점성을 가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면,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20 Pa?s 초과하고, 바람직하게 35 Pa?s 를 초과하고, 특히 40 Pa?s 를 초과하는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왁시 컨시스턴시 (waxy consistency) 를 가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도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고형이고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알콕실화 비이온 계면활성제 그룹, 특히 에톡실화 일차 알코올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에틸렌 / 폴리옥시프로필렌 (PO/EO/PO) 계면활성제와 같은, 보다 큰 구조적 복잡성을 가지는 계면활성제와 상기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에서 유도한다. 이런 종류의 (PO/EO/PO)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발포 제어 때문에 더욱 주목할 만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실온을 초과하는 용융점을 가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에톡실화 비이온 계면활성제인데 이것은 알코올 또는 알킬페놀의 몰 당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몰, 특히 20 몰 산화에틸렌과 6 ~ 2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모노하이드록시알카놀 또는 알킬페놀의 반응으로부터 생긴다.
실온에서 고형이고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16 ~ 20 개의 탄소 원자 (C16 -20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8 알코올 및 적어도 12 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몰, 그리고 특히 적어도 20 몰 산화에틸렌을 가지는 직사슬 지방산 알코올로부터 얻어진다. 이 중에서, 소위 "좁은 범위 에톡실산" (위 참고) 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고형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 부가적으로 분자에 산화프로필렌 유닛을 가진다. 이러한 PO 유닛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전체 몰중량의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까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까지, 그리고 특히 15 중량% 까지 구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유닛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에톡실화 모노하이드록시알카놀 또는 알킬페놀이다.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분자의 알코올 또는 알킬페놀 부분은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전체 몰중량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를 초과하여,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를 초과하여, 그리고 특히 70 중량% 를 초과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한 세정 방법은, b) 단계에서 사용되는 통은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구비하는데, 여기에서 분자 내 산화프로필렌 유닛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전체 몰중량의 25 중량% 까지,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까지, 그리고 특히 15 중량% 까지 차지한다.
또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실온을 초과하는 용융점을 가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40 ~ 70% 의 폴리옥시프로필렌 / 폴리옥시에틸렌 /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블렌드 (blend) 를 구비하는데 이 블렌드는 17 몰의 산화에틸렌과 44 몰의 산화프로필렌을 가지는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75 중량% 의 역 블록 공중합체와,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 개시되고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몰 당 24 몰의 산화에틸렌과 99 몰의 산화프로필렌을 구비하는 25 중량% 의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블록 공중합체를 구비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올린 케미컬즈 (Olin Chemicals) 사의 상표명 Poly Tergent SLF-18 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바람직한 세정 방법은,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화학식
R1O[CH2CH(CH3)O]x[CH2CH2O]y[CH2CH(OH)R2]
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R1 은 4 ~ 18 탄소 원자 또는 그 혼합물을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R2 는 2 ~ 26 개의 탄소 원자 또는 그 혼합물을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며, x 는 0.5 와 15 사이의 값을 나타내고 y 는 적어도 15 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R1O[CH2CH(R3)O]x[CH2]kCH(OH)[CH2]jOR2
의 엔드-캡드 (end-capped) 폴리 (옥시알킬화) 비이온 계면활성제인데, 여기에서 R1 과 R2 는 1 ~ 3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낸다; R3 은 H 나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또는 2-메틸-2-부틸 잔기를 나타낸다; x 는 1 과 30 사이의 값이다; 그리고, k 와 j 는 1 과 12 사이, 바람직하게는 1 과 5 사이의 값을 나타낸다. x 값이 2 이상이라면, 위의 화학식에서 각 R3 은 상이할 수 있다. R1 과 R2 는 바람직하게 6 ~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이고, 8 ~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잔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3 잔기에 대해, H, -CH3, 또는 -CH2CH3 이 특히 바람직하다. x 에 대해 특히 바람직한 값은 1 내지 20 사이의 범위, 특히 6 내지 15 사이의 범위에 있다.
전술한 대로, x ≥ 2 라면 위의 화학식에서 각 R3 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각 브라켓 내의 산화알킬렌 유닛은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x 가 3 을 나타낸다면, R3 잔기는, 임의의 시퀀스로, 예를 들어 (EO)(PO)(EO), (EO)(EO)(PO), (EO)(EO)(EO), (PO)(EO)(PO), (PO)(PO)(EO), 및 (PO)(PO)(PO) 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산화에틸렌 유닛 (R3 = H) 또는 산화프로필렌 (R3 = CH3) 유닛을 형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로서 x 에 대해 3 의 값이 선택되었고 분명히 더 클 수 있다; 변동 범위는 x 값의 상승으로 증가하고, 예를 들어, 소수 (PO) 그룹과 결합된 다수의 (EO) 그룹 또는 그 반대를 포함한다.
위의 화학식의 특히 바람직한 엔드-캡드 폴리 (옥시알킬화) 알코올은 k = 1 및 j = 1 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위의 화학식은
R1O[CH2CH(R3)O]xCH2CH(OH)CH2OR2
로 단순화된다.
후자의 화학식에서, R1, R2 와 R3 은 위에서 정의된 대로이고, x 는 1 ~ 30, 바람직하게는 1 ~ 20, 그리고 특히 6 ~ 18 의 수를 나타낸다. R1 과 R2 는 잔기가 9 ~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R3 은 H 를 나타내고, x 는 6 ~ 15 의 값을 취하는 계면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를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방법에서 린스에이드 조합물은 화학식
R1O[CH2CH(R3)O]x[CH2]kCH(OH)[CH2]jOR2
의 엔드-캡드 폴리 (옥시알킬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R1 과 R2 는 1 ~ 3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R3 은 H 또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또는 2-메틸-2-부틸 잔기를 나타내며; x 는 1 과 30 사이의 값, k 와 j 는 1 과 12 사이, 바람직하게는 1 과 5 사이의 값을 나타내고, R1O[CH2CH(R3)O]xCH2CH(OH)CH2OR2 타입의 계면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한데, 여기에서 x 는 1 ~ 30, 바람직하게는 1 ~ 20, 그리고 특히 6 ~ 18 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예를 든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세척 프로그램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2 는 세정 프로그램에서 린스에이드가 방출되는 개략적인 세척 프로그램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3 은 최종 중간 헹굼 단계에서 린스에이드가 방출되는 개략적인 세척 프로그램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4 는 식기 세척기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세정 프로그램 시퀀스를 도시한다. 세척 프로그램은 보통 예비 세척 프로그램 (VS) 으로 시작되고, 그 프로그램 다음에 세정 사이클 (RG) 이 뒤따른다. 선택된 세척 프로그램 또는 오염도에 따라, 세정 사이클 (RG) 다음에 중간 헹굼 사이클 (ZG) 이 뒤따를 수 있다. 세척 프로그램은 린스에이드 프로그램 (KS) 및 건조 프로그램 (TR) 으로 종료되는데, 린스에이드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또는 특정 온도 레벨을 초과한 후에,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방출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프로그램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방법과 달리, 린스에이드 조합물의 방출이 세정 프로그램 (RG) 에서 이미 발생하였음은 분명하다. 이 방출은 세정 프로그램 (RG) 의 마지막 1/3에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 프로그램 (RG) 다음에, 헹굼 프로그램 (KS) 의 개입 없이, 건조 프로그램 (TR) 이 즉시 뒤따른다.
도 3 에서 분명하듯이, 중간 헹굼 프로그램 (ZG) 이 세척 프로그램에 제공된다면, 린스에이드 조합물의 방출이 또한 최종 중간 헹굼 프로그램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시퀀스는 도 4 를 참고로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세척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 (t1) 에서 탁도 센서에 의한 오염도 (VG) 의 결정을 인가한다. 시점 (t1) 은 세정 프로그램 (RG) 의 처음 1/3 에서 또는 그 전으로 설정된다. 시점 (t1) 은 바람직하게는 예비 세척 프로그램 (VS) 내에서,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예비 세척 프로그램 (VS) 의 처음 1/3 에 설정된다. 이것은 또한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시간 간격 (t1) 으로 표시된다.
시점 (t1) 에서 오염도 (VS) 를 결정한 후에, 측정된 오염도 (VS) 는 식기 세척기에 존재하는 세척수 및/또는 세척될 품목의 약한 오염을 나타내는 기준값 (Rw1) 과 비교된다. 오염도 (VG) 가 기준값 (Rw1) 이하라면,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세척 프로그램에서 린스에이드 프로그램의 추후 실행이 생략되고, 그러면 린스에이드 조합물은 세정 프로그램 (RG) 및/또는 중간 헹굼 프로그램 (ZG) 에서 방출된다.
예비 세척 프로그램에서 오염도 (VS) 의 측정 및 기준값 (Rw1) 과 비교하는 경우에 경미한 오염이 존재할 때, 물을 바꾸지 않으면서 세정 사이클 (RG) 로 즉시 전환하도록 또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예로 든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에 정의된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Claims (12)

  1.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식기 세척기에 영구적으로 통합되거나 식기 세척기 내부로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가지는 디스펜서로서, 상기 챔버 각각은 서로 다른 조합물을 구비하고,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액체 린스에이드 조합물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 세정 프로그램 (RG)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예비 세척 프로그램 (VS) 및/또는 중간 헹굼 프로그램 (ZG) 및/또는 린스에이드 프로그램 (KS) 및/또는 건조 프로그램 (TR) 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
    - 식기 세척기에 존재하는 세척수 및/또는 세척될 품목의 오염도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센서,
    - 세척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시점 (t1) 에서 적어도 한 번 결정되는 오염도 (VG) 로서, t1 은 세정 프로그램 (RG)을 시작할 때 또는 그 전인 것이 바람직한 오염도, 및
    - 식기 세척기에 존재하는 세척수 및/또는 세척될 품목의 경미한 오염도를 나타내는 기준값 (Rw1) 과 비교되는 측정된 오염도 (VG) 를 포함하고,
    - VG ≤ Rw1 의 조건을 만족하는 오염도 (VG) 가 존재한다면,
    - 세척수의 온도는, 적어도 세정 프로그램 (RG) 에서, 대체로 65℃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하로 유지되고,
    - 세정 프로그램 (RG) 및/또는 중간 헹굼 사이클 (ZG) 의 말에, 적어도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디스펜서 밖으로 나와 식기 세척기 내부로 이동되고,
    - 린스에이드 프로그램 (KS) 의 실행 없이, 세정 프로그램 (RG) 및/또는 중간 헹굼 사이클 (ZG) 의 다음에 즉시 건조 프로그램이 뒤따르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린스에이드 조합물은 세정 프로그램 (RG) 의 마지막 1/3 에서 디스펜서 밖으로 나와 식기 세척기 내부로 이동되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린스에이드 조합물은 최종 중간 헹굼 사이클 (ZG) 의 마지막 1/3 에서 디스펜서 밖으로 식기 세척기 내부로 이동되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프로그램에서 식기 세척기 내부의 온도는 대체로 65℃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하로 유지되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프로그램에서 식기 세척기 내부의 온도는 세정 프로그램 (RG) 에서 세척수의 온도보다 대체로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17%,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초과인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프로그램에서 식기 세척기 내부의 온도는 세정 프로그램 (RG) 에서 세척수의 온도와 대체로 같거나 적어도 높지 않은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프로그램은 30 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분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분 미만 지속되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 50 용적% 의 계면활성제 함유량을 가지는, 1 ~ 10 ㎖, 바람직하게는 1.5 ~ 5 ㎖,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4 ㎖ 의 린스에이드 조합물이 디스펜서 밖으로 나와 식기 세척기 내부로 이동되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음이온, 비이온, 양이온,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은 디스펜서 및/또는 식기 세척기 내부에 제공되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염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는 디스펜서 또는 식기 세척기에 제공되는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오염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는 탁도 센서인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KR1020127002411A 2009-07-01 2010-06-24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KR201200576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31433.4 2009-07-01
DE102009031433A DE102009031433A1 (de) 2009-07-01 2009-07-01 Verfahren zum Betrieb einer automatischen Geschirrspülmaschine
PCT/EP2010/059002 WO2011000775A1 (de) 2009-07-01 2010-06-24 Verfahren zum betrieb einer automatischen geschirrspül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609A true KR20120057609A (ko) 2012-06-05

Family

ID=4271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411A KR20120057609A (ko) 2009-07-01 2010-06-24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90638A1 (ko)
EP (1) EP2391258A1 (ko)
KR (1) KR20120057609A (ko)
CN (1) CN102469908A (ko)
DE (1) DE102009031433A1 (ko)
WO (1) WO2011000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4949B4 (de) 2011-03-02 2024-06-06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DE102011084179B4 (de) * 2011-10-07 2015-02-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in einem Haushaltsgerät
KR20130070276A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US10028635B2 (en) 2013-04-24 2018-07-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for dispensing a treating chemistry in a dishwasher
CN106539545A (zh) * 2016-10-24 2017-03-29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及其控制方法
US11540694B2 (en) * 2018-03-09 2023-01-03 Henkel Ag & Co. Kgaa Method for setting a time of a release of a cleaning agent during a cleaning cycle in a household appliance
CN110353593B (zh) * 2019-07-25 2021-06-0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自动清洗餐具的控制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12826383B (zh) * 2021-02-25 2022-05-03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清洁控制方法、装置、基站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3868C2 (de) * 1992-12-23 1996-01-25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GB9423952D0 (en) * 1994-11-24 1995-01-11 Unilever Plc Cleaning compositions and their use
US5560060A (en) * 1995-01-10 1996-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operating cycle of a cleaning appliance
US6622754B1 (en) * 2001-12-19 2003-09-23 Whirlpool Corporation Load-based dishwashing cycle
DE10253017B4 (de) * 2002-11-14 2004-09-09 Whirlpool Corp., Benton Harbo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zentralen Steuereinheit
US8506725B2 (en) * 2008-02-15 2013-08-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KR101460713B1 (ko) * 2008-11-10 2014-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0775A1 (de) 2011-01-06
EP2391258A1 (de) 2011-12-07
CN102469908A (zh) 2012-05-23
DE102009031433A1 (de) 2011-01-05
US20120090638A1 (en)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7609A (ko) 자동 식기 세척기 작동 방법
US10488332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rt load in a rinsing or detergent solution
EP0781322B1 (en) Rinse aid for plasticware
RU2673082C1 (ru) Мо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JPH0233760B2 (ko)
KR101828087B1 (ko) 세정제
JP2016198765A (ja) 食器の洗浄方法
US20120088709A1 (en) Detergent for use in appliances
CN109070150B (zh) 硬质表面的清洗方法
CA2825621A1 (en) Container for use in a washing process
EP0875556A2 (en) Rinse aid for plasticware
US20120090645A1 (en) Machine cleaning agent
JP6707294B2 (ja) 硬質表面の洗浄方法
JP2016145307A (ja) 液体自動食器洗浄機用洗浄剤組成物
US202302655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auto-dosing fluctuation of an automatic cleaning machine
CN108026478B (zh) 水性硬表面清洁组合物
DE102010002749A1 (de) Verfahren zur Freisetzung von Zubereitungen i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und Dosiersyste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3541909B1 (en) Aqueous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JP2012092194A (ja) 自動洗浄機用粉末洗浄剤組成物
EP3350298B1 (en) Aqueous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JPS62297399A (ja) 自動食器洗い機用洗浄剤組成物
JP2021080377A (ja) デンプン汚れの除去方法
US20190185787A1 (en) Composition For Use In A Machine Dishwasher
GB2428245A (en) Reduced mass detergent tab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