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441A - 유색 반사 실 - Google Patents

유색 반사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441A
KR20120057441A KR1020100119175A KR20100119175A KR20120057441A KR 20120057441 A KR20120057441 A KR 20120057441A KR 1020100119175 A KR1020100119175 A KR 1020100119175A KR 20100119175 A KR20100119175 A KR 20100119175A KR 20120057441 A KR20120057441 A KR 20120057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lored
light
col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386B1 (ko
Inventor
정신식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정신식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신식, 김진수 filed Critical 정신식
Priority to KR2010011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3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8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marks or luminous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색 반사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코어심과, 상기 코어심을 감싸며, 빛을 통과시키는 공기로 이루어진 공기층과, 상기 공기층을 감싸며, 색이 포함된 유색을 가지는 유색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재귀 반사를 시키는 성질로 인하여 멀리서도 인식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색깔을 연출할 수 있어 신발이나 의류, 가방, 안전복, 안전 용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등산로나 도로, 지하갱로, 터널 등에서 안전을 위한 로프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색 반사 실{Color reflection thread}
본 발명은 유색 반사 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귀 반사를 시키는 성질로 인하여 멀리서도 인식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색깔을 연출할 수 있어 신발이나 의류, 가방, 안전복, 안전 용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등산로나 도로, 지하갱로, 터널 등에서 안전을 위한 로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색 반사 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귀반사는 광원으로부터 온 빛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광원으로 돌아가는 반사를 말하는 것으로, 어떠한 각도에서라도 재귀 반사성 소재에 빛을 비추면 안그 광원의 방향으로 다시 빛을 반사시킨다.
이러한 재귀 반사성 소재는 도로표지나 안전조끼 등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즉, 전복이나 작업복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재귀 반사성 소재를 특정의 형상으로 재단하여 부착하고 있고, 상기 재귀 반사성 소재에 빛이 조사되면 야간에 약 300 m 의 거리에서도 쉽게 식별이 가능하다. 따라서 재귀 반사성 소재는 옷, 모자, 신발, 가방 등의 각종 생활용품에 부착되어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재귀반사 성질을 띤 실, 즉 반사 실도 개발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사 실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버(SILVER) 한 가지 색상으로 밖에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품의 다양화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재귀 반사를 시키는 성질로 인하여 멀리서도 인식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색깔을 연출할 수 있어 신발이나 의류, 가방, 안전복, 안전 용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등산로나 도로, 지하갱로, 터널 등에서 안전을 위한 로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색 반사 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색 반사 실은,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코어심과, 상기 코어심을 감싸며, 빛을 통과시키는 공기로 이루어진 공기층과, 상기 공기층을 감싸며, 색이 포함된 유색을 가지는 유색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유색 반사 실의 상기 유색수지층의 유색의 진하기는, 빛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엷은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색 반사 실은,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코어심과, 상기 코어심을 감싸며, 빛을 통과시키는 공기로 이루어진 공기층과, 상기 공기층을 감싸며, 수지로 이루어진 투명수지층과, 상기 투명수지층을 감싸며, 색이 포함된 유색을 가지는 염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색 반사 실의 상기 염료층의 진하기는, 빛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엷은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색 반사 실에 의하면, 재귀 반사를 시키는 성질로 인하여 멀리서도 인식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색깔을 연출할 수 있어 신발이나 의류, 가방, 안전복, 안전 용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등산로나 도로, 지하갱로, 터널 등에서 안전을 위한 로프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 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 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색 반사 실의 코어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실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 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 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색 반사 실의 코어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 실(100)은 코어심(10)과, 공기층(20)과, 유색수지층(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코어심(10)은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것으로서, 표면이 굉장히 매끄러운 금속 재질의 막대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재귀 반사 필름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의 참조부호 10은 상기 코어심이 금속 재질의 막대 형태를 가질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어심이 재귀 반사 필름의 형태를 가질 경우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이 때 상기 코어심의 참조부호를 50으로 표기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귀 반사 필름의 형태를 가지는 상기 코어심(50)은 베이스(52)와, 환부(54)와, 반사부(56)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52)는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환부(54)는 구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52)의 양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복 수개의 나란히 배열된 형상이다.
상기 반사부(56)는 상기 환부(54)에서 상기 베이스(52)가 위치된 방향의 저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빛을 반사시키는 것이다. 상기 반사부(56)는 상기 환부(54)의 전체 원호 길이 중에서 삼분의 일(1/3) 정도를 차지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빛이 조사되면 상기 환부(54)의 표면과 속을 통과하여 상기 반사부(56)에서 반사되며, 이 때 원호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반사부(56)의 반대면으로 반사되고 이는 다시 처음에 빛이 조사된 방향으로 재귀 반사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층(20)은 상기 코어심(10)을 감싸며, 빛을 통과시키는 공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유색수지층(30)은 상기 공기층(20)을 감싸며, 색이 포함된 유색을 가지도록 착색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색수지층(30)의 유색의 진하기는, 빛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엷은 색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 실(100)은, 빛이 조사되면 그 빛은 상기 유색수지층(30)과 공기층(20)을 차례로 통과한다.
이어서, 상기 빛은 상기 코어심(10)에서 다시 재귀 반사된다.
상기 재귀 반사된 빛은 다시 상기 공기층(20)과 유색수지층(30)을 다시 차례로 통과하여 처음에 빛이 조사된 방향으로 빠져나가므로 멀리서도 식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색 반사 실(100)은 다양한 색을 포함할 수 있어서, 패션이나 유행을 창조하거나 따라갈 수 있으며, 신발이나 의류, 가방, 안전복, 안전 용품 등에도 사용될 수 있고, 등산로나 도로, 지하갱로, 터널 등에서 로프로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보행자나 운전자 등의 안전에 절대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색수지층(30)이 전체적으로 착색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2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 실(200)의 단면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 실(200)은 코어심(110)과, 공기층(120)과, 투명수지층(130)과, 염료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심(110)과 공기층(12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코어심(10)과 공기층(20)과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색 반사 실(200)의 상기 투명수지층(130)은 투명한 것이며, 상기 염료층(140)은 상기 투명수지층(130)을 감싸는 것이다.
상기 투명수지층(130)과 염료층(140)은 투명 수지에 염료(안료)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이 때 상기 염료층(140)은 어느 일정한 두께까지의 상기 투명수지층(130)에 스며들며, 그 경계가 명확해 지는 것은 아닐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염료층(140)의 진하기는, 빛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엷은 색을 띄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투명수지층(130)과 염료층(140)을 결합시켜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10, 110. 코어심 20, 120. 공기층
30, 유색수지층 130. 투명수지층
140. 염료층
52. 베이스 54. 환부
56. 반사부

Claims (6)

  1.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코어심(10);
    상기 코어심(10)을 감싸며, 빛을 통과시키는 공기로 이루어진 공기층(20);
    상기 공기층(20)을 감싸며, 색이 포함된 유색을 가지는 유색수지층(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반사 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수지층(30)의 유색의 진하기는, 빛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엷은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반사 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심은,
    베이스(52)와,
    구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52)의 양면에 접착되며, 복 수개가 나란히 배열되는 형상을 가지는 환부(54)와,
    상기 환부(54)에서 상기 베이스(52)가 위치된 방향의 저면에 위치되며,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반사 실.
  4.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코어심(110);
    상기 코어심(110)을 감싸며, 빛을 통과시키는 공기로 이루어진 공기층(120);
    상기 공기층(120)을 감싸며, 수지로 이루어진 투명수지층(130);
    상기 투명수지층(130)을 감싸며, 색이 포함된 유색을 가지는 염료층(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반사 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층(140)의 진하기는, 빛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엷은 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반사 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심은,
    베이스(52)와,
    구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52)의 양면에 접착되며, 복 수개가 나란히 배열되는 형상을 가지는 환부(54)와,
    상기 환부(54)에서 상기 베이스(52)가 위치된 방향의 저면에 위치되며,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반사 실.

KR20100119175A 2010-11-26 2010-11-26 유색 반사 실 KR10124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9175A KR101242386B1 (ko) 2010-11-26 2010-11-26 유색 반사 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9175A KR101242386B1 (ko) 2010-11-26 2010-11-26 유색 반사 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441A true KR20120057441A (ko) 2012-06-05
KR101242386B1 KR101242386B1 (ko) 2013-03-14

Family

ID=4660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9175A KR101242386B1 (ko) 2010-11-26 2010-11-26 유색 반사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3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996B1 (ko) * 2003-10-22 2006-07-07 이순희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386B1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1800B2 (ja) 光学的構造体
RU2700372C1 (ru) Отражающая светящаяся пленка,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ES2041800T3 (es) Recubrimiento retro-reflector y composicion para formarlo.
US20210245473A1 (en) Fiber with light-reflective and luminescent functions and textile with such fiber
JP2009151210A (ja) 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および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作成キット
JP2014164082A (ja) 再帰性反射型蓄光シート
KR20180014369A (ko) 고강도 다용도 실
KR101414742B1 (ko) 채널간판조립체
KR101313039B1 (ko) 광변환시트를 이용한 조명식 표지판
CN103358626A (zh) 反光面料
KR20120057441A (ko) 유색 반사 실
CN100447588C (zh) 光学结构
KR101927074B1 (ko) 각종 섬유용 재귀반사 가공의 기술 및 공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원단
CN209825332U (zh) 具有主动照明功能的头盔
KR101303077B1 (ko) 반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208607376U (zh) 一种反光材料结构
CN111820520A (zh) 具有主动照明功能的头盔
JPH06184967A (ja) 反射ロープ
CN208607377U (zh) 一种五彩反光材料的结构
JPH102464A (ja) 消防ホース
CN104678471A (zh) 一种荧光色/银灰色相间条纹阻燃反光布及制作方法
JPH09292845A (ja) 再帰性反射材の製造法とその利用法
JP2019158985A (ja) 光再帰性反射シートおよび光再帰性反射シートを備える物品
KR20120014377A (ko) 반사실 및 그의 강도 보강 방법
CN209825395U (zh) 反光纽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