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996B1 -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996B1
KR100595996B1 KR1020030073738A KR20030073738A KR100595996B1 KR 100595996 B1 KR100595996 B1 KR 100595996B1 KR 1020030073738 A KR1020030073738 A KR 1020030073738A KR 20030073738 A KR20030073738 A KR 20030073738A KR 100595996 B1 KR100595996 B1 KR 10059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oreflective
resin
tube
coat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402A (ko
Inventor
이순희
Original Assignee
이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희 filed Critical 이순희
Priority to KR102003007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9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재귀반사성 원사의 표면에 투명 수지의 튜브가 형성된 피복체와 상기 재귀반사성 원사의 최외곽에 형성된 굴절체와 투명 수지의 튜브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재귀반사가 가능하게 피복체를 형성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귀반사성 원사의 최외곽을 구성하는 연접된 다수개의 굴절체 사이의 공극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층의 외곽에 투명피복튜브가 형성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이송되는 재귀반사성 원사의 외부를 감싸도록 튜브 형상으로 수지를 연속 압출시키는 단계와, 압출된 수지의 내면을 공냉시켜 수지가 재귀반사성 원사의 최외곽층을 형성하는 굴절체에 접착되지 않는 점도 및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단계와, 재귀반사성 원사와 이를 감싼 수지를 사이징 금형을 통과시켜 수지를 일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투명피복튜브로 성형시키는 단계와, 재귀반사성 원사에 피복된 투명피복튜브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방법과; 재귀반사성 원사가 이송되는 중심통로와 상기 중심통로의 단면 외곽에 고리 형상으로 뚫린 토출공이 형성된 압출기와, 상기 토출공에서 토출되어 이송되는 수지가 굴절체에 접착되지 않는 점도 및 강성을 가지는 정도로 공냉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설치된 성형공이 형성된 사이징 금형과, 상기 사이징 금형에 인접하게 설치된 냉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장치가 제 공된다.
재귀반사, 재귀반사성 원사, 투명피복튜브, 굴절체, 압출기, 사이징 금형

Description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A covered reflection thread with transparent tube, its covering process and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의 종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의 다양한 실시예 및 사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피복방법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귀반사성 원사 2 : 굴절체
3 : 공기층 4 : 투명피복튜브
5 : 코어 6 : 재귀반사시트
7 : 열용융접착층 8 : 베이스층
9 : 반사막 11 : 플랜지
12 : 접착층 13 : 수지
14 : 중심통로 15 : 토출공
16 : 압출기 17 : 성형공
18 : 사이징 금형 19 : 냉각장치
100 : 피복체
본 발명은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재귀반사성 원사의 표면에 투명 수지의 튜브가 형성된 피복체와 상기 재귀반사성 원사의 최외곽에 형성된 굴절체와 투명 수지의 튜브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재귀반사가 가능하게 피복체를 형성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귀반사성 원사는 재귀반사시트가 실이나 가느다란 수지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의 재귀반사시트는 열용융접착층과 베이스층과 반사막이 차례로 층착되고, 상기 반사막의 상부에 투명 유리구슬이나 마이크로 프리즘으로 된 다수개의 굴절체가 조밀하게 부착되며, 상기 굴절체의 상부에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재귀반사시트의 열용융접착층이 코어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최외곽층의 보호필름이 탈거되어 굴절체가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재귀반사성 원사는 본 출원인이 2003.10.22에 출원번호 제10-2003-0073726호로 출원된 명세서에 그 구조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옷감을 짜는 원사로 사용되거나, 각종 제품에 문양이나 문자 등을 수 놓을 때 사용되는 등 그 활용도가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재귀반사성 원사는 그 굵기를 다양하게 하는 경우에는 각종 구조물의 외곽을 표시하는 안내선이나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각종 장식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그 활용도가 다양한 재귀반사성 원사의 외부에 피복체를 형성시켜 재귀반사를 이용한 각종 장식물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100)는 재귀반사성 원사(1)의 최외곽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굴절체(2) 사이의 공극에 공기가 충진되어 공기층(3)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층(3)의 외곽 및 굴절체(2)의 외측 둘레에 투명피복튜브(4)가 피복되어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2003.10.22에 출원번호 제10-2003-0073726호로 출원된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재귀반사성 원사(1)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재귀반사성 원사(1)는 코어(5)에 재귀반사시트(6)가 부착된 것이다. 즉, 코어(5)는 연사 또는 수지로 된 가느다란 실이고, 재귀반사시트(6)는 열용융접착층(7)과 베이스층(8)과 반사막(9)이 차례로 층착되고, 상기 반사막(9)의 상부에 투명 유리구슬이나 마이크로 프리즘으로 된 다수개의 굴절체(2)가 조밀하게 부착되며, 상기 굴절체(2)의 상부에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재귀반사시트(6)의 열용융접착층(7)이 코어(5)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최외곽층의 보호필름이 탈거되어 굴절체(2)가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된 것이 재귀반사성 원사(1)이다.
상기와 같은 재귀반사성 원사(1)를 제조하는 방법은 가느다란 실을 코어(5)로 사용하거나, 수지를 압출하여 코어(5)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본 출원인이 2003.10.22에 출원번호 제10-2003-0073726호로 출원된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재귀반사시트(6)는 폭이 1~1.8m의 넓은 원단과 같은 것으로, 그 두께는 20㎛, 30㎛, 70㎛, 100㎛등 다양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재귀반사시트(6)를 적당한 폭을 가진 긴 띠 형상으로 절단하여 보빈에 감아서 준비한다.
우선, 코어(5)가 실인 경우의 제조방법은 코어(5)의 표면에 재귀반사시트(6)를 둥글게 또는 나선형으로 감아 사이징 금형에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성형공을 통과시키면서 성형하는 제1단계와; 사이징 금형에 열을 가하여 재귀반사시트(6)의 열용융접착층(7)과 코어(5)를 융착시키는 제2단계와; 코어(5)에 융착된 재귀반사시트(6)를 냉각시켜 코어(5)와 재귀반사시트(6)를 견고히 일체화시키는 제3단계와; 재귀반사시트(6)의 최외곽층인 보호필름을 탈거하여 굴절체(2)를 드러나게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제1단계는 사이징 금형의 중앙에 실을 통과시키고, 실의 외경과 같은 폭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재귀반사시트(6)를 사이징 금형에 통과시킨다. 따라서 제1단계에서는 재귀반사시트(6)의 폭이 사이징 금형의 내부형상에 따라 말리면서 중앙의 실을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코어(5)의 외면에 재귀반사시트(6)를 감아서 사이징 금형의 성형공을 통과시켜 성형시키게 된다. 물론 코어(5)에 재귀반사시트(6)를 나선형으로 감는 경우는 기계적인 장치로 수행되고 사이징 금형의 성형공에서 감기면서 진행된다. 뿐만 아니라 코어(5)에 재귀반사시트(6)가 접착되는 것은 성형공에 의하게 되는데, 성형공의 크기는 코어(5)에 재귀반사시트(6)가 부착된 정도의 크기이기 때문에 성형공을 통과할 때 재귀반사시트(6)가 코어(5)에 압착되면서 접착된다.
상기의 제2단계는 사이징 금형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재귀반사시트(6)의 열용융접착층(7)이 활성화 되어, 즉 녹아서 가는 실의 코어(5)에 접착하게 된다. 코어(5)에 재귀반사시트(6)를 접착시키기 위한 방법은 열융착의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 때 필요한 열은 사이징 금형에 설치된 히터에서 제공된다. 이 때 가열온도는 열용융접착층(7)이 융해되는 온도 범위이면 되는 것으로, 이는 열용융접착층(7)의 재질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온도의 범위는 통상의 기술수준에서 일반적인 것이다.
상기의 제3단계는 냉각시켜 견고히 일체화시키는 단계이다. 열에 의해 재귀반사시트(6)가 코어에 융착되면, 냉각장치에서 냉각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재귀반사시트(6)와 코어(5)가 완전히 일체화된다. 여기서의 냉각온도 또한 열용융접착층(7)의 경화수준에 이르는 정도이면 되는 것으로, 그 온도의 범위 또한 통상의 기술수준에 있어서 일반적인 것이다.
상기의 제4단계는 재귀반사성 원사(1)가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단계이다. 냉각단계까지 거친 후에는 제조과정에서 유리구슬이나 마이크로 프리즘의 굴절체(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층착된 보호필름을 벗겨내는 단계를 거치게 되어 완전한 재귀반사성 원사(1)가 제조된다.
다음의 방법으로, 코어(5)가 수지인 경우의 제조방법은 아래과 같다.
우선 수지를 코어(5)로 형성시키기 위한 단계가 필요한데, 이 단계가 수지를 압출하여 코어(5)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액상의 수지를 고온으로 압출하게 되면 긴 실 모양의 코어(5)가 형성된다. 이 때의 압출온도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150~200℃의 범위를 가지며, 이의 범위는 통상의 기술 수준에서 일반적인 것이다.
상기의 단계에서 수지로 된 코어(5)의 표면에 재귀반사시트(6)를 감아 사이징 금형에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성형공을 통과시키면서 성형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의 단계를 상술하면, 사이징 금형에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성형공에 재귀반사시트(6)를 먼저 둥글게 감아서 넣고, 이의 중앙에 코어(5)를 삽입하면서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세분하면, 사이징 금형 속에 재귀반사시트(6)를 먼저 통과시켜 원통형과 같은 사이징 금형의 형상으로 말아 넣는 과정과, 그 성형된 중앙에 수지를 압출하여 코어(5)를 성형한 것을 밀어 넣는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사이징 금형에 재귀반사시트(6)을 말아서 넣고 이의 중앙에 압출되는 고온의 코어(5)를 밀어 넣어 융착성형하는 방법이다. 물론 코어(5)의 고온을 그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코어(5)로 성형한 직후 바로 사이징 금형으로 밀어 넣게 된다.
이 때의 성형 단계에서는 고온의 수지를 이용한 코어(5)이므로 열융착을 위한 가열의 단계는 불필요하게 된다. 즉, 코어(5)를 형성한 수지는 고온이므로 이의 표면에 재귀반사시트(6)가 둘러싸이면 열용융접착층(7)이 바로 코어 표면에 융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단계에서 코어(5)와 이에 융착된 재귀반사시트(6)를 견고히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거치고, 재귀반사시트(6)의 최외곽층인 보호필름을 탈거하여 굴절체(2)를 드러나게 하는 단계를 거쳐 수지의 코어(5)가 사용된 재귀반사성 원사(1)가 제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명피복튜브(4)의 형상은 이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데, 그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이고, 본 발명의 투명피복튜브(4)의 원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플랜지(11)를 형성시켜 실시할 수도 있으며, 특히 플랜지(11)는 투명피복튜브(4)의 단면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되게 두개를 형성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피복튜브(4)의 일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접착층(12)을 형성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피복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체(2)와 투명피복튜브(4)의 사이에 공기층(3)이 형성됨에 큰 특징이 있다. 즉, 다수개의 굴절체(2)가 인접되게 배치되어 형성된 공극에 공기가 잔존하고, 그 위에 투명피복튜브(4)가 존재하기 때문에 재귀반사의 효과가 유지되게 된다.
즉, 만약 투명피복튜브(4)가 굴절체(2)의 사이의 공극을 채우게 되면 투명피복튜브(4)의 수지(13)와 굴절체(2)의 밀도가 유사하기 때문에 굴절체(2)가 완전한 유리 구슬이나 마이크로 프리즘의 형태를 가질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완전한 유리구슬이나 프리즘 형상일 때만 재귀반사가 가능한데 상기와 같이 공극에 수지(13)가 채워지면 재귀반사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굴절체(2)의 공극에는 수지(13)가 채워지지 않고 공극에 공기층(3)을 형성시킴으로써 굴절체(2)가 완전한 유리 구슬이나 프리즘의 형상 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피복체(100)는 그 자체로써 각종 장식이나 시설 안전물에 사용할 수 있는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투명피복튜브(4)와 공기층(3)을 지나 굴절체(2)에서 굴절되고 반사막(9)에 의해 반사된 후 다시 굴절체(2)를 지나면서 굴절되어 공기층(3)과 투명피복튜브(4)를 지나 광원을 향해 다시 반사되는 재귀반사의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피복체(100)를 각종 장소에 용이하게 부착시키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플랜지(11)의 형성과 접착층(12)의 형성이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2)이 형성된 경우는, 접착층(12)이 투명피복튜브(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이의 접착층(12)을 이용하는 경우는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이 부착하고자 하는 곳에 본 발명의 피복체(100)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1)가 형성된 피복체(100)는 플랜지(11)를 이용하여 실 등으로 박음질을 행하여 부착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플랜지(11)의 일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부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물론 플랜지(11)의 갯수는 하나 또는 대칭되게 두개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플랜지(1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체(100)의 종단면 중심선에 위치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피복체(100)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부착시킬 곳에 따라서 굵기를 다양하게 실시하게 된다. 즉, 운동화 또는 의복의 장식물이나 안전문양을 표시하고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직경 2mm정도의 굵기로써 플랜지(11)를 이용하여 박음질로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건축물이나 도로의 안전 표시를 위한 가이드 라인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굵기를 5~10mm 정도로 하고 플랜지(11)의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필요한 곳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플랜지(11)에 못이나 리벳 등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과 기능을 가지는 피복체는 다음의 장치와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재귀반사성 원사(1)에 투명피복튜브(4)를 피복시키는 장치는
재귀반사성 원사(1)가 이송되고 재귀반사성 원사(1)보다 직경이 큰 중심통로(14)와, 상기 중심통로(14)의 출구측 외곽 둘레에 고리 형상으로 뚫린 토출공(15)이 형성되어, 수납된 수지(13)를 상기 토출공(15)으로 토출하여 재귀반사성 원사(1)의 직경보다 큰 투명피복튜브(4)를 형성시키는 압출기(16)와; 상기 토출공(15)에서 토출되어 이송되는 수지(13)가 굴절체(2)에 접착되지 않는 점도 및 강성을 가지는 정도로 공냉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투명피복튜브(4)를 재귀반사성 원사(1)에 밀착시키는 성형공(17)이 형성된 사이징 금형(18)과; 상기 사이징 금형(18)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재귀반사성 원사(1)를 피복한 투명피복튜브(4)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장치에 압출기(16)에 형성된 중심통로(14)로 공기를 주입하는 송풍기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압출기(16)의 중심통로(14)는 송풍기와 연결되어 송풍기에서 송출된 공기에 의해 투명피복튜브(4)의 내부가 보다 용이하게 공냉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피복체(100)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송되는 재귀반사성 원사(1)의 외부를 감싸도록 튜브 형상으로 수지(13)를 연속 압출시키는 단계와; 압출된 수지(13)의 내면을 공냉시켜 수지(13)가 재귀반사성 원사(1)의 최외곽층을 형성하는 굴절체(2)에 접착되지 않는 점도 및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단계와; 재귀반사성 원사(1)와 이를 감싼 수지(13)를 사이징 금형(18)을 통과시켜 수지(13)를 일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투명피복튜브(4)로 성형시키는 단계와; 재귀반사성 원사(1)에 피복된 투명피복튜브(4)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수지(13)가 튜브로 압출되는 시점에는 그 직경이 재귀반사성 원사(1)의 직경보다 크고, 사이징 금형(18)을 통과하면서 튜브형의 수지(13)가 재귀반사성 원사(1)의 최외곽층의 굴절체(2)에 접착된다. 그러나 이 때에 굴절체(2)의 사이 공극에는 수지(13)가 침투하지 않고 공기가 그대로 있는 공기층(3)이 형성되는데, 이는 압출된 튜브의 수지(13)의 내측면을 일정 수준으로 공냉시켜서 가능하다.
이를 상술하면, 재귀반사성 원사(1)를 압출기(16)의 중심통로(14)를 관통시켜 이송시키고, 상기 중심통로(14)의 출구측 외곽에 고리 형상으로 된 토출공(15)으로 고온의 액상 수지(13)를 토출시켜, 재귀반사성 원사(1)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 때 재귀반사성 원사(1)는 중심통로(14)의 중심을 지나도록 하고, 중심통로(14)의 직경은 재귀반사성 원사(1)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재귀반사성 원사(1)와 중심통로(14)의 내벽면과는 일정 간격이 형성되어 공기가 출입하기에 충분한 간격을 가지게 된다. 물론 상기에서 수지(13)의 토출 온도는 수지(13)가 적정한 연성을 가지면서 튜브를 형성시키는 범위이고, 이는 당업자라면 일반적인 기술적 수준에 불과하다.
다음 단계는 압출된 수지(13)의 내면을 공냉시키는 단계로서, 수지(13)의 내면을 냉각시키는 이유는 고온의 액상 수지(13)가 굴절체(2)의 공극을 채워 굴절체(2)의 유리 구슬 형상이나 프리즘 형상을 상실하게 함으로써 재귀반사의 기능을 상실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지(13)의 내면을 공냉시켜 재귀반사성 원사(1)의 최외곽층을 형성하는 굴절체(2)에 접착되지 않는 점도 및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의 공냉온도는 수지(13)가 일정한 경도를 가지도록 하여 굴절체(2)의 사이 공극으로 침투하지 않을 정도로 냉각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 또한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경험이나 수지(13)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지(13)를 공냉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압출기(16)의 토출공(15)과 사이징 금형(18)의 사이 공간을 이격시켜 그 공간을 지나는 동안 수지(13)가 공냉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냉각의 정도를 높이게 하기 위해서는 토출공(15)과 사이징 금형(18)의 사이 공간을 크게 하여 공냉시간을 길게 하면 되 는 것으로, 공냉의 정도를 상기의 간격으로 조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냉을 위한 방법으로 송풍기를 이용할 수가 있는데, 이 경우는 압출기(16)의 중심통로(14)의 전방부 입구에 송풍기를 연결하여 송풍기에서 송출되는 공기가 수지(13)와 재귀반사성 원사(1)의 사이에서 부착되지 않게 하면서 수지(13)의 내면을 냉각시킨다.
다음 단계는 투명피복튜브(4)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재귀반사성 원사(1)와 이를 감싼 수지(13)를 사이징 금형(18)을 통과시켜 수지(13)를 일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투명피복튜브(4)로 성형시키게 된다. 따라서, 성형공(17)의 단면 형상이 투명피복튜브(4)의 단면 형상이 된다.
이 단계에서는 수지(13)와 굴절체(2)가 매우 근접하게 되는데, 전 단계에서 수지(13)가 냉각되어 경화됨으로써 수지(13)가 굴절체(2)의 공극을 메울 수는 없게 됨은 물론이고, 수지(13)와 굴절체(2)의 사이에 공기층(3)을 형성시킬 수가 있게 된다.
다음의 단계는 투명피복튜브(4)를 냉각시키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최종을 이루는 단계이다. 이 때의 냉각은 투명피복튜브(4)가 완전한 형상으로 경화될 수 있을 정도이면 되고, 이는 당업자라면 경험이나 수지(13)의 특성을 통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의 과정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귀반사성 원사(1)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재귀반사의 기능을 가지면서 그 외부에 투명한 피복을 입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재귀반사성 원사(1)의 외부에 투명의 피복을 입히는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제조된 피복체(100)를 제공함으로써, 재귀반사성 원사(1)를 다양한 분야와 장소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재귀반사성 원사(1)의 최외곽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굴절체(2) 사이의 공극에 공기가 충진되어 공기층(3)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층(3)의 외곽 및 굴절체(2)의 외측 둘레에 투명피복튜브(4)가 피복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
  2. 제 1항에 있어서, 투명피복튜브(4)의 종단면의 외곽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투명피복튜브(4)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플랜지(11)가 형성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
  4. 제 3항에 있어서, 플랜지(11)는 투명피복튜브(4)의 단면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되게 두개가 형성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
  5. 제 1항에 있어서, 투명피복튜브(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의 접착층(12)이 형성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
  6. 재귀반사성 원사(1)의 외주면에 투명피복튜브(4)를 피복시키는 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송되는 재귀반사성 원사(1)의 외부를 감싸도록 튜브 형상으로 수지(13)를 연속 압출시키는 단계와; 압출된 수지(13)의 튜브 내면을 공냉시켜 수지(13)가 재귀반사성 원사(1)의 최외곽층을 형성하는 굴절체(2)에 접착되지 않는 점도 및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단계와; 재귀반사성 원사(1)와 이를 감싼 튜브형의 수지(13)를 사이징 금형(18)을 통과시켜 수지(13)를 일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투명피복튜브(4)로 성형시키는 단계와; 재귀반사성 원사(1)에 피복된 투명피복튜브(4)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방법.
  7. 재귀반사성 원사(1)가 이송되고 재귀반사성 원사(1)보다 직경이 큰 중심통로(14)와, 상기 중심통로(14)의 출구측 외곽 둘레에 고리 형상으로 뚫린 토출공(15)이 형성되어, 수납된 수지(13)를 상기 토출공(15)으로 토출하여 재귀반사성 원사(1)의 직경보다 큰 투명피복튜브(4)를 형성시키는 압출기(16)와; 상기 토출공(15)에서 토출되어 이송되는 수지(13)가 굴절체(2)에 접착되지 않는 점도 및 강성을 가지는 정도로 공냉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투명피복튜브(4)를 재귀반사성 원사(1)에 밀착시키는 성형공(17)이 형성된 사이징 금형(18)과; 상기 사이징 금형(18)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재귀반사성 원사(1)를 피복한 투명피복튜브(4)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19);를 포함하여 구성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압출기(16)의 중심통로(14)는 송풍기와 연결되어 송풍기에서 송출된 공기에 의해 투명피복튜브(4)의 내부가 보다 용이하게 공냉되도록 구성된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장치.
KR1020030073738A 2003-10-22 2003-10-22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 KR10059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738A KR100595996B1 (ko) 2003-10-22 2003-10-22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738A KR100595996B1 (ko) 2003-10-22 2003-10-22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02A KR20050038402A (ko) 2005-04-27
KR100595996B1 true KR100595996B1 (ko) 2006-07-07

Family

ID=3724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738A KR100595996B1 (ko) 2003-10-22 2003-10-22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07B1 (ko) 2011-04-12 2013-01-21 디에스알 주식회사 수중 식별수단이 부가된 로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386B1 (ko) * 2010-11-26 2013-03-14 김진수 유색 반사 실
KR102175350B1 (ko) * 2019-03-15 2020-11-06 이사라 로프용 반사와이어 및 로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707B1 (ko) 2011-04-12 2013-01-21 디에스알 주식회사 수중 식별수단이 부가된 로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02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04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reinforced plastic tubing
US5360497A (en) Method of forming an optical waveguide with a reinforced protective covering
US7364314B2 (en) Optical structures
EP3090295B1 (en) Fiber optic cable with sleeve
KR20010031183A (ko)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품 및 이러한 제품의 제조 방법
US20180252883A1 (en) Optical fiber cable with bonded core elements
US20120048455A1 (en) Thermoplastic pipe made with commingled glass fibers
US8157391B1 (en) Methods of forming retroflective structures having a helical geometry
KR100595996B1 (ko) 재귀반사성 원사의 피복체와 피복방법 및 그 장치
WO2016014459A1 (en) Optical cable
KR880010271A (ko) 복합 파이프의 제조방법
JPH11271581A (ja) 光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123946A (e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making same
AU645651B2 (en) Heat shrinkable plastic ho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0595994B1 (ko) 재귀반사성 원사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EP16977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optical structure
JP2628364B2 (ja) シャワーホースとその製造方法
JP2017226144A (ja) 複合管の製造方法
BR9905767B1 (pt) Processo para fabricar um cabo de fibra óptica, e, cabo de fibra óptica
US5661836A (en) Optical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50095A (ko) 원통의 스트랜드형 부품의 제조 방법
JP2021140091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および、ガイドローラ
JPH02165930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管の製造方法
WO2023091311A1 (en) Reconfigurable optical fiber lumen having optical fibers attached to lumen membrane
KR101437677B1 (ko)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