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074B1 - 각종 섬유용 재귀반사 가공의 기술 및 공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원단 - Google Patents

각종 섬유용 재귀반사 가공의 기술 및 공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074B1
KR101927074B1 KR1020160099631A KR20160099631A KR101927074B1 KR 101927074 B1 KR101927074 B1 KR 101927074B1 KR 1020160099631 A KR1020160099631 A KR 1020160099631A KR 20160099631 A KR20160099631 A KR 20160099631A KR 101927074 B1 KR101927074 B1 KR 101927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troreflective
parts
layer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960A (ko
Inventor
오정열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오정열
김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열, 김재환 filed Critical 오정열
Priority to KR102016009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0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optical functions other than colour, e.g. comprising light-emitting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반사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광원으로 반사하는 재귀반사기능을 갖는 재귀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위에 형성되며, 패턴 또는 색상을 나타내는 염료와 안료를 포함하는 프린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재귀반사층은 글래스비드 및 마이크로프리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사체 및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층은 날염용 잉크에 감온염료, 감광염료, 축광염료, 자외선 차단제, 발수발유방수제, 광택제, 수성난연 페인트, 글래스비드, 광택제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재귀반사층과 상기 프린트층은 견뢰도 향상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우레탄과 아크릴, 라바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반사체가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프리즘 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가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1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상기 날염용 잉크는, 폴리프로필렌 25~30%중량%, 착색안료 5~10중량%, 폴리우레탄계접착제 2~5중량%, 폴리실록산 소포제 0.6~1중량%, 분산제 0.1~1중량 %, 용제 25~28중량%, 나머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종 섬유용 재귀반사 가공의 기술 및 공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원단{REFLECTIVE FABRIC PRODUCTED BY ALL FABRICS FINISHING TECHNICAL METHOD}
본 발명은 재귀반사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견뢰도가 높아 다양한 분야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귀반사원단에 관한 것이다.
안전복이나 소방복, 안전물품, 스포츠 의류, 기타 의류, 침장류, 신발 또는 기타 장식용품 등에서는 특정 정보의 표식이나 디자인의 부각 등과 같이 시인성이 요구되는 부분에 대해 광반사 기능을 갖는 다양한 반사체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옷의 일부에 직접 부착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광반사체는 그 자체가 고가이고, 부분적으로 부착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인식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옷 자체가 너무 무거워져서 작업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도료를 도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발광도료가 부분적으로 도포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사각지역이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충분한 시인성을 나타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사용되는 발광도료가 인형광 물질이거나 또는 축광물질 등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광원과 가까운 거리에서는 높은 발광효과를 낼 수 있으나, 일정 거리 이상, 구체적으로는 약 50m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는 시인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글래스비드(glass bead) 또는 마이크로 프리즘(microprism)의 재귀반사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재귀반사는 빛이 어느 방향에서 어느 각도로 들어오더라도 광원의 방향으로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우수한 시인성을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방법은 주로 굴곡이 심한 도로의 표지판이나 야간도로 작업표시판, 야간용 작업복, 안전복이나 소방복 등에 주로 이용되었다. 이중에서도 글래스비드는 재귀반사특성과 함께 작업수월성이 우수하여 보다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글래스비드 또는 마이크로프리즘을 이용한 방법은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의 표면이 외부로 직접 표출되기 때문에 물리적인 내구성이 결여되어 마찰이나 충격 발생시 손상 및 탈락되기 쉽고,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의 우려가 높으며, 그 결과로 재귀반사기능 및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글래스 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을 이용한 반사부 또는 반사층은,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반사시트를 이용하여 반사부 또는 반사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기재에 열전사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의 경우 접착제 사용에 따른 유해물질 발생의 우려가 있고, 접착제 자체의 변색으로 인해 광반사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열전사 방법의 경우 100℃ 이상의 고온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실시되는데, 반사부 또는 반사층이 형성되는 기재가 면, 나일론, 실크 또는 마일 경우 원단이 타거나 변색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을 이용하여 반사부 또는 반사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경우, 글래스비드나 마이크로프리즘의 낮은 가공성으로 인해 후속의 염색, 날염 공정이나 패턴 형성 공정의 실시가 어렵고, 견뢰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965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수한 광반사효과와 함께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낼 수 있는 재귀반사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빛, 태양광, 자외선, 각종 인조광, 물, 고열 등의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재귀반사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귀반사원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귀반사원단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광원으로 반사하는 재귀반사기능을 갖는 재귀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위에 형성되며, 패턴 또는 색상을 나타내는 염료와 안료등을 포함하는 프린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재귀반사층은 글래스비드 및 마이크로프리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사체 및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층은 날염용 잉크에 감온염료, 감광염료, 축광염료, 자외선 차단제, 발수발유방수제, 광택제, 수성난연 페인트, 글래스비드, 폴리프로필렌 수지, 광택제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재귀반사층과 상기 프린트층은 견뢰도 향상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우레탄과 아크릴, 라바 수지, 씨크너를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반사체가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프리즘 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가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1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상기 날염용 잉크는, 폴리프로필렌 25~30%중량%, 착색안료 5~10중량%, 폴리우레탄계접착제 2~5중량%, 폴리실록산 소포제 0.6~1중량%, 분산제 0.1~1중량 %, 용제 25~28중량%, 나머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원단은 글래스비드 및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사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광반사효과와 함께 별도의 접착층 없이도 기재에 대한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프린트층은 색상과 디자인을 나타내는 염료 외에 빛, 온도, 열, 물 등에 반응하는 다양한 염료들이 혼합되어 다양한 디자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층의 광반사 효과에 의한 시인성 또는 디자인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물품들, 구체적으로 표시판, 안전복, 야간 작업복용 원단, 기타의류, 침장류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원단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원단의 프린트층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원단(100)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귀반사원단(100)은 기재(110)와, 기재(110)의 일면에 형성된 재귀반사층(120)과, 재귀반사층(120)의 상부에 형성되며 패턴 또는 색상을 나타내는 프린트층(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원단(100)은 불빛, 태양광, 자외선차단(UV), 각종 인조광, 물, 1200℃ 이상의 고열의 화재 등에서도 기능성이 보장되는 각종 섬유용, 목재용 등에 사용하는 각종 원단에 기능성 가공제를 이용한 날염, 코팅, 염색 등의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재귀반사원단(100)은 다양한 조건에서 견뢰도가 유지되어 재귀반사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종 섬유용, 목재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재(110)는 편직물로서, 면, 마, 견, 모 등 천연 직물 또는 편물일 수도 있고,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레이온, 폴리프로필렌, 아라미드 등과의 합성 직물 또는 편물일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기재(110)는 섬유 원단 뿐만 아니라 직물, 시트, 필름, 종이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기재(1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원단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재귀반사층(120)은 기재(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다. 재귀반사층(120)은 반사체 및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 때, 재귀반사층(120)은 반사체의 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아크릴, 라바수지, 씨크너 등을 혼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재귀반사층(120)은 카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재귀반사층(120)은 반사체 및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재귀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110)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된다.
재귀반사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막에 대해 고온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통상의 재귀반사층 형성 방법의 경우, 최종 제조된 재귀반사층(120)에서 수지 성분이 제거되지만, 본 발명의 재귀반사원단(100)은 최종 제조되는 재귀반사층(120)에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가 잔류하게 된다.
또한, 용매 제거와 함께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간 가교결합이 형성되면서, 망상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 결과 글래스비드는 망상구조체 내에 분산되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용성 음이온성 고분자의 망상구조체는 음이온성 작용기와 기재(110) 및 글래스비드의 상호작용으로 기재(110) 및 글래스비드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망상 구조체 내에 글래스비드를 안정적으로 고착화시킬 수 있어 재귀반사원단의 제조시 글래스비드의 탈락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재귀반사층(120)에 있어서 글래스비드와 같은 반사체는 재귀반사층(120)내에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재귀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반사체로는 우수한 재귀 반사 효율을 나타낼 수 있도록 높은 굴절율(refractive index)과 함께 높은 투명도(transparency)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사체는 1.9 이상의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1.9 내지 2.2의 굴절율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반사체의 굴절율이 범위내일 때는 반사체 내벽에서 초점이 형성되어 높은 초점반사율을 나타내고, 그 결과로 재귀반사도가 크다. 그러나 굴절율이 범위를 벗어나 1.9 미만일 경우에는 초점반사율이 저하되고, 그 결과로 재귀반사도가 낮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반사체는 98% 이상의 광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광투과율이 98% 미만일 경우 빛의 흡수량이 증가하게 되어 재귀반사도가 낮아지게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반사체의 굴절율과 광투과율은 글래스비드의 조성, 모양 또는 입경에 따라 결정되게 되며, 반사체의 특성들은 반사체의 기재(110)에 대한 접착력 및 반사체 자체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글래스비드는 상술한 굴절율 및 광투과율을 충족하고, 기재(110)에 대한 접착력 및 글래스비드 자체의 내구성을 고려할 때, 글래스비드는 구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구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비드는 30 내지 70㎛의 평균입자 직경을 갖는 것이 우수한 굴절율을 나타내는 동시에 기재(110)에 대한 탈리도가 낮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글래스비드의 평균입자 직경이 30㎛ 미만이면 굴절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글래스비드의 평균입자 직경이 70㎛를 초과하면 코팅 작업성 및 기재(110)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글래스비드로는 한 평균입자 직경 범위내에서 서로 다른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2종 이상의 글래스비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리즘은 글래스비드에 비해 광반사 효율은 보다 우수하나, 그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기재(110)에 대한 접착력이 낮다. 한편 글래스비드는 마이크로프리즘에 비해 광반사 효율은 낮으나, 구형의 형상을 가질 경우 글래스비드에 비해 기재(110)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체로서 글래스비드 또는 마이크로프리즘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글래스비드와 마이크로프리즘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광반사효율과 함께 접착력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프리즘은 글래스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글래스비드에 대한 마이크로프리즘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즉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재귀반사층(120)으로부터 탈리되는 마이크로프리즘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오히려 마이크로프리즘 사용량 대비 광반사 효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또 반사물품의 외관 심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면 글래스비드에 대한 마이크로프리즘의 사용량이 지나지게 작을 경우, 구체적으로는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마이크로프리즘 사용에 따른 광반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반사체는 굴절률 증가, 내구성 강화, 및 기재(110)에 대한 접착력 증진 등을 목적으로 실란기 또는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부탄올-프리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과 같은 실란계 화합물 또는 아민계 화합물 등에 의해 표면처리될 경우 기재(110)에 대한 접착력이 증가되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글래스비드에 대한 표면처리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재귀반사층(120)은 반사체를 임의의 형태로 패턴화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패턴화된 반사체를 포함할 경우, 플래시 조사시 상면에 위치하는 프린트층(130)에서의 패턴 또는 색상에 무관하게 글래스비드 자체의 패턴이 투영되어 보임으로써 이중의 시인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재귀반사층(120)에 있어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기재(110)에 대한 반사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재귀반사층(120)의 내열성을 증가시켜 프린트층(130) 형성을 위한 고온에서의 전사 공정시 기재(110)의 손상없이 우수한 전사 효율로 염색과 날염 및 패턴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로는 투명성과 함께 반사체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물리적 화학적 내구성이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구체적으로 분자 내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용성의 폴리아크릴(Polyacryl)계 수지(폴리아크릴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산 등),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계 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oxide)계 수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olypropyleneoxide)계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계 수지,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계 수지, 키토산(Chitosan), 키틴(Chitin), 폴리아마이드(Polyamid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포함하는 실리콘 함유 고분자,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한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 중에서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음이온성 작용기는 구체적으로 히드록시기,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설폰산 또는 그의 염 등일 수 있다.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는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100중량부로 재귀반사층(120)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사체에 대한 중합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구체적으로 30중량부 미만일 경우 기재(110)에 대한 글래스비드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재귀반사층(120)의 내열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후속의 고온 열전사 공정시 기재(110)의 황변 또는 연소 등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반사체에 대한 중합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구체적으로 10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낮아진 반사체 함량으로 인해 굴절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재귀반사층(120)은 재귀반사층(120) 형성시 사용되어 잔류하는 카본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재귀반사층(120) 형성시 카본 성분은 용매에 용해시킨 후 재귀반사층(120) 형성용 조성물과 선택적으로 혼합 사용될 수 있으며, 재귀반사층(120) 내 미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잔류하는 카본 성분은 재귀반사층(120) 내에서 난반사되는 빛은 차단하고 특정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광 흡수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카본 성분은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정전기나 마찰로 인해 반사체가 손상되거나 탈락되는 것을 막아 견뢰도를 향상할 수 있다. 다만, 과량으로 잔류시에는 반사체의 광반사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반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이하로 존재할 수 있다.
카본 성분은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덴카 블랙, 수퍼-P 및 케첸 블랙 등일 수 있다.
카본 성분의 크기 및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기재(110)에 대한 접착력 등을 고려하여 구형의 입자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70㎛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구형의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재귀반사층(120)의 두께는 기재(110)의 종류 및 원단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반사체의 최대 입자 직경 이상이며, 반사체 평균 입자 직경의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 범위를 벗어나 재귀반사층(120)의 두께가 반사체의 최대 입자 직경보다 작을 경우 도포 공정이 어렵고, 한편 반사체 평균입자 직경의 3배를 초과할 경우, 굴절율 저하의 우려가 있다.
또한, 재귀반사층(120)내 포함되는 반사체의 함량은 반사 원단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반사체의 물성적 특성들 및 기재(110)에 대한 접착력 등을 고려할 때 재귀반사층(120) 형성용 조성물은 최종 제조 후 기재(110)에 대해 반사체가 30 내지 85g/m2의 양으로 포함되도록 하는 양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체의 함량이 30g/m2 미만일 경우 반사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 충분한 반사효과를 얻기 어렵고, 반면 반사체의 함량이 85g/m2 를 초과할 경우 반사체의 탈락율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재귀반사층(120)의 견뢰도 증진을 위해서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아크릴, 라바수지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아크릴, 라바수지의 혼합량은 전체 반사체와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의 혼합량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나, 전체 중량비에 대해 1중량%~3중량% 범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혼합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견뢰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미비하며, 혼합량이 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음이온성 중합체의 기능을 오히려 저하시킬 수 있다.
프린트층(130)은 재귀반사층(120)의 위에 형성된다. 프린트층(130)은 패턴 또는 색상을 나타내는 승화성 염료의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쇄 시트(도 2의 140)로부터 통상의 프린팅 공정, 구체적으로는 전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층(130)은 다양한 원단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재귀반사성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프린트층(130)은 날염용 잉크에 감온염료, 감광염료, 축광파우더, 자외선 차단제, 발수발유방수제, 광택제, 수성난연 페인트, 글래스비드, 광택제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날염용잉크는 폴리프로필렌 25~30중량%, 착색안료 5~10중량%, 폴리우레탄계접착제 2~5중량%, 폴리실록산 소포제 0.5~1중량%, 분산제 0.1~1중량%, 용제 25~28중량%, 나머지 첨가제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소포제, 개시제, 표백제, 산도조절제, 금속 산화 촉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감온염료는 온도변화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나타나며 가역적으로 색상이 변하여 특정온도에 도달했을 때 기본색상이 나타나고, 온도가 내려갈 때 원래의 색상으로 돌아오는 안료이다.
감온염료는 특정 패턴 형태로 도포되어 재귀반사원단이 사용된 제품에 온도변화에 따라 해당 패턴이 나타나거나 사라지게 하는 디자인적 요소를 부가할 수 있다. 감온염료로는 시온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감광염료는 빛의 조사에 따른 온도변화에 반응하여 색상의 변화가 나타나며, 가역적으로 색상이 변한다. 감광염료는 특정온도에 도달했을 때 기본색상이 나타나고, 온도가 내려갈 때 원래의 색으로 돌아오는 안료이다.
축광파우더는 태양광을 비롯해 수온등, 형광등, 백열등 같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자연광 및 인조광의 에너지원을 흡수 축적하여 어두운 곳에서 형광 빛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진 원료이다. 축광파우더의 도포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재귀반사원단(100)이 빛을 방출하게 되므로 주변에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어 안전복 등에 재귀반사원단(100)이 사용되었을 때, 안전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자외선차단제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섬유소재에 대하여 염색, 패딩 등의 가공법으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수분산형 자외선 흡수제이다. 자외선차단제는 자동차용 내장재, 커튼, 각종 섬유 등에 일광견뢰도를 향상 시켜주며, 저 기포성이기 때문에 기포없이 깔끔하게 도포가 가능하다.
자외선차단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모노머 50~1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0~60 중량부 및 광 개시제 0.5~10.0 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될 수 있다.
발수발유방수제는 발수제, 발유제, 방수제, 우레탄, 아크릴, 라바수지 등을 혼합해서 형성된다. 발수발유방수제는 물에 젖으면 디자인이 보이고 마르면 디자인이 숨는 기능성 가공제이다. 이에 의해 비가 오면 숨겨 있던 디자인이 보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프린트층(130)을 위한 염료에는 광택제가 추가될 수 있다. 광택제는 진주 조개 가루 등에서 축출한 펄, 금분, 은분, 글래스비드 등일 수 있다. 광택제는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아크릴, 라바 수지, 씨크너 등에 혼합해서 사용한다.
상술한 감온 안료, 감광안료, 축광안료, 자외선 차단제, 발수발유방수제, 광택제 등은 재귀반사원단(100)의 사용목적에 따라 한개 또는 복수개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사용에 의해 빛, 열, 자외선, 물 등의 외부 조건에 대해 특정 디자인 패턴이 보이거나 숨겨지게 되므로 디자인적인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프린트층(130)을 위한 염료와 안료등은 서로 혼합된 후, 인쇄시트(140)에 도포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20)에 접면시키고, 열전사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인쇄시트(140)를 떼어내어 프린트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원단은 글래스비드 및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사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광반사효과와 함께 별도의 접착층 없이도 기재에 대한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프린트층은 색상과 디자인을 나타내는 염료와 안료등 외에 빛, 온도, 열, 물 등에 반응하는 다양한 원료들이 혼합되어 다양한 디자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층의 광반사 효과에 의한 시인성 또는 디자인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물품들, 구체적으로 표시판, 안전복, 야간 작업복용, 각종 소재의 원단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재귀반사원단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재귀반사원단 110 : 기재
120 : 반사층 130 : 프린트층
140 : 인쇄시트

Claims (1)

  1.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광원으로 반사하는 재귀반사기능을 갖는 재귀반사층과;
    상기 재귀반사층 위에 형성되며, 패턴 또는 색상을 나타내는 염료와 안료를 포함하는 프린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재귀반사층은 글래스비드 및 마이크로프리즘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프리즘 0.01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진 반사체 및 글래스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1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수용성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층은 폴리프로필렌 25~30%중량%, 착색안료 5~10중량%, 폴리우레탄계접착제 2~5중량%, 폴리실록산 소포제 0.6~1중량%, 분산제 0.1~1중량 %, 용제 25~28중량%, 나머지의 계면활성제, 소포제, 개시제, 표백제, 산도조절제, 금속 산화 촉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첨가제가 혼합 형성되는 날염용 잉크에 감온염료, 감광염료, 축광염료, 자외선 차단제, 발수발유방수제, 광택제, 수성난연 페인트, 글래스비드, 폴리프로필렌 수지, 광택제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재귀반사층과 상기 프린트층은 견뢰도 향상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우레탄과 아크릴, 라바 수지, 씨크너의 혼합물이 상기 재귀반사층과 상기 프린트층 각각의 전체 중량비에 대해 1중량%~3중량%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프린트층은 상기 자외선차단제가 상기 날염용 잉크에 혼합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차단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모노머 50~1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0~60 중량부 및 광 개시제 0.5~10.0 중량부가 혼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원단.
KR1020160099631A 2016-08-04 2016-08-04 각종 섬유용 재귀반사 가공의 기술 및 공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원단 KR101927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31A KR101927074B1 (ko) 2016-08-04 2016-08-04 각종 섬유용 재귀반사 가공의 기술 및 공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31A KR101927074B1 (ko) 2016-08-04 2016-08-04 각종 섬유용 재귀반사 가공의 기술 및 공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960A KR20180015960A (ko) 2018-02-14
KR101927074B1 true KR101927074B1 (ko) 2018-12-10

Family

ID=6122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631A KR101927074B1 (ko) 2016-08-04 2016-08-04 각종 섬유용 재귀반사 가공의 기술 및 공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46A (ko) 2019-01-30 2020-08-07 변은정 자외선 안정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및 고분자 제품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8931A (zh) * 2022-09-27 2022-12-23 青岛理工大学 一种热致变色回归反射复合材料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476A (ja) 2010-06-08 2011-12-22 Teijin Ltd ポリ乳酸繊維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KR101322371B1 (ko) * 2013-08-09 2013-10-28 서정환 반사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515322B1 (ko) * 2014-01-27 2015-04-24 정호연 기능성 원단 날염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476A (ja) 2010-06-08 2011-12-22 Teijin Ltd ポリ乳酸繊維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KR101322371B1 (ko) * 2013-08-09 2013-10-28 서정환 반사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515322B1 (ko) * 2014-01-27 2015-04-24 정호연 기능성 원단 날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46A (ko) 2019-01-30 2020-08-07 변은정 자외선 안정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및 고분자 제품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960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5514B2 (en) Retroreflective colored articles
CN1179219C (zh) 带有含逆向反射薄片和与聚合物共价键合的染料的着色层的逆向反射制品
CN1126962C (zh) 逆向反射制品及其制备方法和包含该逆向反射制品的衣服制品
CN1105520C (zh) 带有反光饰物的衣服
US4103060A (en) Area-retroreflectorization of fabrics
US10197714B2 (en) Colored retroreflective articles
CN1350649A (zh) 带有含与聚合物共价键合的染料的着色层的逆向反射制品
CN1168724A (zh) 逆反射组合物
EP2176692A1 (en) Prismatic retroreflective article with cross-linked image la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1946191A (zh) 衣服、纤维和细丝形式的回射制品
CN105940325A (zh) 彩色回射制品
ES2560505T3 (es) Conjunto de juguete de dibujo por decoloración con agua
KR101927074B1 (ko) 각종 섬유용 재귀반사 가공의 기술 및 공법을 이용한 재귀반사원단
KR101406876B1 (ko) 반사층 형성용 조성물 및 반사 물품의 제조방법
KR101322371B1 (ko) 반사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6003961A (zh) 一种反光面料
JPH10180921A (ja) 蓄光性再帰性反射プリント布の製造方法
JP4906063B2 (ja) 再帰反射シート
KR101644160B1 (ko) 발광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원단 제조방법
CN113291028B (zh) 一种耐久性反光面料及其制作方法
JP4817989B2 (ja) 再帰反射シート
JP5766343B1 (ja) 再帰性反射性材料
KR20170040736A (ko) 발광원단 제조장치
US20040191481A1 (en) Reflective sheet treated with fluorosilane
JP4813994B2 (ja) 再帰反射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