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159A -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159A
KR20120057159A KR1020100118780A KR20100118780A KR20120057159A KR 20120057159 A KR20120057159 A KR 20120057159A KR 1020100118780 A KR1020100118780 A KR 1020100118780A KR 20100118780 A KR20100118780 A KR 20100118780A KR 20120057159 A KR20120057159 A KR 20120057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unit
coupler
ro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159A/ko
Priority to US13/302,319 priority patent/US8699915B2/en
Priority to EP11190503.0A priority patent/EP2458446B1/en
Priority to CN201110391168.6A priority patent/CN102478778B/zh
Publication of KR2012005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6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감광체하우징;과,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감광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하우징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체유닛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을 가이드 하는 구조를 가진 감광체유닛과 이러한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광주사유닛 및 현상유닛을 구비한다. 광주사유닛은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현상유닛에 마련되는 현상롤러는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게 되는데, 인쇄불량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현상제의 일정한 공급이 필수적이며, 현상제의 일정한 공급을 위해서는 현상롤러가 감광체와의 관계에서 정확한 위치에서 규제되어야 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 하기 위해서도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큰 공간을 차지하는 감광체와 현상유닛의 배치구조 및 이들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 감광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감광체하우징;과,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감광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하우징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광체하우징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현상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제1종동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안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제1종동롤러가 상기 측면프레임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리세스(Recess)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종동롤러가 상기 측면프레임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리세스(Recess)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진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수용부의 일단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종동롤러는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그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감광체하우징;과,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설치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하우징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현상기의 장착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마련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주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현상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현상기프레임과,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커플러(Coupler)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제1커플러(Coupler)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현상기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그 일면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커플러(Coup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플러(Coupler)는 상기 구동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커플러(Coupler)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는 그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용부는 상기 감광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주면에 소정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커플러(Coupler)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1수용부와 단차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담지체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담지체유닛과, 상기 상담지체유닛에 설치되는 상담지체와, 화상형성을 위해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상담지체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유닛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현상유닛을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측면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현상유닛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안착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현상유닛이 정확한 위치에서 규제되어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게 되므로 인쇄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하우징이 현상유닛을 직접 지지하므로 본체 내부에 현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현상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현상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현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감광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감광체유닛과 현상유닛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도 6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현상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현상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감광체유닛(10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체(10)의 일측에는 본체커버(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커버(11)는 본체(10)의 일부분을 개폐한다. 사용자는 본체커버(1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접근하여 감광체유닛(100), 현상유닛(40)과 같은 부품들을 착탈할 수 있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감광체유닛(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200)에 주사하여 감광체(200)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유닛(100)은 감광체하우징(300)과, 감광체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광체(200)는 광주사유닛(30)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잠상 및 현상유닛(40)에 의해 형성되는 가시화상을 담지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 image carrier)이다.
감광체유닛(100)은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는 감광체유닛(100)이 고장나거나 그 수명이 다한 경우에 본체커버(11)를 통해 감광체유닛(100)을 수리, 교체할 수 있다.
감광체하우징(300)의 내부에는 대전롤러(110)가 설치된다. 대전롤러(110)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감광체(20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감광체하우징(300)의 외측에는 구동부재(400)가 마련된다.
구동부재(400)는 감광체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체(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커플러(미도시)와 현상유닛(40)에 마련되는 현상롤러(43)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커플러(420)를 포함한다.
구동커플러(미도시)는 구동부재(400)의 일측면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부재(40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감광체(200)의 중심축(210)에 결합된 감광체커플러(220, 도 4 참조)와 맞물려 감광체(200)를 회전시킨다.
제2커플러(420)는 구동부재(400)의 일측면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부재(40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현상롤러(43)와 연결되는 제1종동롤러(48, 도 5 참조)와 맞물려 현상롤러(43)를 회전시킨다.
현상유닛(40)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20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는 현상제수용부(41), 공급롤러(42)와 현상롤러(43)를 가진다. 현상제수용부(41)에는 감광체(200)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되고, 공급롤러(42)는 현상제수용부(41)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43)에 공급한다. 현상롤러(43)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200)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전사유닛(50)은 중간전사벨트(51), 제1전사롤러(52) 및 제2전사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전사벨트(51)는 지지롤러들(54)(55)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200)의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주행한다. 제1전사롤러(52)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200)와 마주하여 감광체(200)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2전사롤러(53)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55)와 마주한다. 제2전사롤러(53)는 감광체(200)에서 중간전사벨트(51)로 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중간전사벨트(51)로부터 이격되고, 감광체(200)의 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완전히 전사되면 중간전사벨트(51)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제2전사롤러(53)가 중간전사벨트(51)와 접촉하면 중간전사벨트(51)의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한편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인쇄동작이 시작되면, 감광체(200)의 표면은 대전롤러(110)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200)의 표면에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어느 한 색상, 예를 들어 옐로우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고, 감광체(200)에는 옐로우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점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옐로우 현상기(40Y)의 현상롤러(4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체(200)에는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5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된다.
옐로우 색상에 대한 한 페이지 분량의 전사가 완료되면, 광주사유닛(30)은 다른 한 색상, 예를 들어 마젠타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200)에 주사하여 마젠타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마젠타 현상기(40M)는 정전잠상에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200)에 형성된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5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는데, 이 때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먼저 전사되어 있던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 위에 중첩된다.
시안 및 블랙 색상에 대하여도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중간전사벨트(51)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이 중첩된 칼라화상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칼라화상은 중간전사벨트(51)와 제2전사롤러(53)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고, 인쇄매체는 정착유닛(60)과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거쳐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인쇄과정에서 현상유닛(40)을 구성하는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들은 감광체유닛(100)에 의해 그 장착위치가 규제되어 항상 일정한 양의 현상제를 감광체(200)에 공급한다.
도 4는 현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감광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감광체유닛과 현상유닛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40Y, 40M, 40C, 40K)는 현상기프레임(44)과, 현상기프레임(44)에 설치되는 결합프레임(46)과, 결합프레임(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현상롤러(43) 및 현상제수용부(41)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43)에 공급하는 공급롤러(42)를 포함한다.
현상기프레임(44)은 현상기(40Y, 40M, 40C, 40K)의 외관을 형성하며, 현상기(40Y, 40M, 40C, 40K)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결합시키게 된다.
결합프레임(46)은 현상롤러(43) 및 제2종동롤러(4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현상기프레임(44)에 결합되며, 지지부(47)와 지지축(56)을 포함한다.
지지부(47)는 연결축(45)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 결합프레임(46)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현상롤러(43)와 제1종동롤러(48)를 연결하는 연결축(45)이 결합된다. 연결축(45)은 현상롤러(43)의 일측면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지지부(47)의 내측을 관통하여 제1종동롤러(48)와 연결된다.
제1종동롤러(48)는 구동부재(400)에 마련되는 제2커플러(420)와 결합되어 현상롤러(43)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제2커플러(4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복수의 돌기들(57)을 포함한다. 제1종동롤러(48)는 복수의 돌기들(57)을 통해 제2커플러(420)와 서로 결합되므로 제2커플러(420)에 대응하는 제1커플러(48)로 볼 수 있다.
연결축(45)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부(47)와 연결축(45)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47)는 현상기(40Y, 40M, 40C, 40K)가 본체(10)에 장착될 때 감광체하우징(300)의 측면프레임(320)에 마련되는 제1수용부(330)에 위치하게 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축(56)은 지지부(47) 주위에 형성되어 제2종동롤러(4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종동롤러(49)는 본체(10) 내부에 마련된 기어들(미도시)과 연결되어 공급롤러(42)로 동력을 전달한다.
결합프레임(46)은 상기와 같이 현상기프레임(44)과 별도로 마련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나, 현상기프레임(44)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프레임(46)이 현상기프레임(44)과 일체로 형성될 경우 연결축(45) 및 제2종동롤러(49)는 각각 현상기프레임(44)에 형성된 지지부(47) 및 지지축(56)에 직접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유닛(100)은 감광체 하우징(300)과, 감광체 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광체하우징(300)은 감광체하우징(3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310)과, 메인프레임(3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측면프레임(320)들에는 감광체(200)의 중심축(2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중심축(210)에는 감광체커플러(220)가 결합되며, 이 감광체커플러(220)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설치된 구동부재(400)에 맞물린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400)의 일측면에는 구동커플러(미도시)가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며, 감광체커플러(220)는 구동부재(40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구동커플러(미도시)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또한 측면프레임(320)의 외주면 상에는 현상기(40Y, 40M, 40C, 40K)가 장착되는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부(330)가 마련된다.
가이드부(330)는 결합프레임(46)의 지지부(47)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332)와, 제1수용부(332)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수용부(334)와, 제1수용부(332)들 사이에 형성되는 리세스(Recess)부(340)들을 포함한다.
제1수용부(332)는 측면프레임(320)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감광체(20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지지부(47)가 안착되는 안착부(336)과, 지지부(47)를 안착부(336)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338)와, 가이드돌기(338)들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3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부(336)는 대략 반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현상기(40Y, 40M, 40C, 40K)가 장착되었을 때 결합프레임(46)의 지지부(47)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부(336)의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안착부(336)는 결합프레임(46)의 지지부(47)가 그 내부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부(47)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부(47)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일 경우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게 됨은 자명하다.
가이드돌기(338)는 안착부(336)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현상기(40Y, 40M, 40C, 40K)가 장착될 때 결합프레임(46)의 지지부(47)가 안착부(336)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가이드돌기(338)들 사이에는 개구부(339)가 마련되어 지지부(47)가 가이드돌기(338)에서 안착부(336)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개구부(339)는 제1제1수용부(332)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하나의 제1수용부(332)는 하나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수용하게 되며,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둘 이상의 현상기(40Y, 40M, 40C, 40K)가 장착될 경우, 제1수용부(332) 역시 본체(10)에 장착되는 현상유닛(40)의 수 만큼 마련되어야 한다.
복수의 제1수용부(332)는 감광체(2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측면프레임(320)의 외주면에 소정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기(40Y, 40M, 40C, 40K)는 감광체하우징(300)의 측면프레임(320)에 마련된 제1수용부(332)에 안착됨으로써 그 장착되는 위치를 규제받게 되고, 현상기(40Y, 40M, 40C, 40K)에 마련되는 현상롤러(43)는 항상 감광체(200)에 일정한 양의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하우징(300)이 현상기(40Y, 40M, 40C, 40K)를 직접 지지하므로 본체(10) 내부에 현상기(40Y, 40M, 40C, 40K)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공간이 절약된다.
제2수용부(334)는 제1수용부(332)와 감광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결합프레임(46)의 지지부(47)가 제1수용부(332)에 위치할 때 현상롤러(43)에 연결된 제1종동롤러(48)가 제2수용부(334) 내에서 측면프레임(320)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338)에는 리세스(Recess)부(340)가 형성된다.
리세스(Recess)부(340)는 공급롤러(42)와 연결되어 공급롤러(42)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롤러(49)가 리세스(Recess)부(340) 내에서 측면프레임(320)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편 제2수용부(334)와 리세스(Recess)부(340)는 각각 제1종동롤러(48) 및 제2종동롤러(49)가 측면프레임(320)에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제2수용부(334)를 제1리세스(Recess)부, 리세스(Recess)부(340)를 제2리세스(Recess)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현상기(40Y, 40M, 40C, 40K)를 본체(10)에 장착하여 구동시키는 과정을 도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측면에는 현상기(40Y, 40M, 40C, 40K)가 본체(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5)이 마련된다. 가이드레일(15)은 현상기(40Y, 40M, 40C, 40K)가 감광체하우징(3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1차적으로 현상기(40Y, 40M, 40C, 40K)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현상기(40Y, 40M, 40C, 40K)가 가이드레일(15)을 따라 본체(10)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면 현상기(40Y, 40M, 40C, 40K)의 지지부(47)는 감광체하우징(300)에 마련된 제1수용부(330)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돌기(338)는 지지부(47)가 제1수용부(330)에 위치하는 과정에서 지지부(47)가 안착부(336)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이 현상기(40Y, 40M, 40C, 40K)에 고정되는 지지부(47)가 제1수용부(332)에 배치됨으로써 현상기(40Y, 40M, 40C, 40K)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현상롤러(43)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여 감광체(200)에 일정한 양의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 현상기(40Y, 40M, 40C, 40K)가 완전히 장착되면 구동부재(400)의 일측면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커플러(미도시) 및 제2커플러(420)는 구동부재(40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감광체커플러(220) 및 제1종동롤러(48)와 맞물려 회전한다. 감광체커플러(220) 및 제1종동롤러(48)는 각각 감광체(200) 및 현상롤러(43)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며, 현상롤러(43)는 감광체(200)에 접촉하거나 감광체(200)와 일정한 갭을 유지하면서 현상제를 공급한다.
현상롤러(43)가 감광체(200)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지지부(47)의 위치는 제1수용부(330) 내에서 규제되므로 현상제 공급 불량에 따른 인쇄품질이 저하되지 않는다.
10: 본체, 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0: 광주사유닛, 40: 현상유닛,
42: 공급롤러, 43: 현상롤러,
44: 현상기프레임, 45: 지지축,
46: 결합프레임, 47: 지지부,
48: 제1종동롤러, 49: 제2종동롤러,
50: 전사유닛, 60: 정착유닛,
70: 인쇄매체 배출유닛, 100: 감광체유닛,
200: 감광체, 210: 중심축,
220: 감광체커플러, 300: 감광체하우징,
310: 메인프레임, 320: 측면프레임,
330: 가이드부, 332: 제1수용부,
334: 제2수용부, 336: 안착부,
338: 가이드돌기, 339: 개구부,
340: 리세스(Recess)부, 400: 구동부재,
420: 제2커플러.

Claims (20)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감광체하우징;과,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감광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하우징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하우징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제1종동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제1종동롤러가 상기 측면프레임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리세스(Recess)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현상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종동롤러가 상기 측면프레임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리세스(Recess)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진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수용부의 일단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제1종동롤러는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그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감광체하우징;과,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설치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감광체하우징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현상기의 장착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마련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주면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현상기프레임과,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커플러(Coupler)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제1커플러(Coupler)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현상기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그 일면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커플러(Coup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플러(Coupler)는 상기 구동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커플러(Coupler)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는 그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용부는 상기 감광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주면에 소정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커플러(Coupler)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1수용부와 단차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담지체유닛과, 상기 상담지체유닛에 설치되는 상담지체와, 화상형성을 위해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상담지체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유닛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현상유닛을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측면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지체유닛.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현상유닛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안착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지체유닛.
KR1020100118780A 2010-11-26 2010-11-26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20057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80A KR20120057159A (ko) 2010-11-26 2010-11-26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3/302,319 US8699915B2 (en) 2010-11-26 2011-11-22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1190503.0A EP2458446B1 (en) 2010-11-26 2011-11-24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110391168.6A CN102478778B (zh) 2010-11-26 2011-11-25 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80A KR20120057159A (ko) 2010-11-26 2010-11-26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59A true KR20120057159A (ko) 2012-06-05

Family

ID=4509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780A KR20120057159A (ko) 2010-11-26 2010-11-26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99915B2 (ko)
EP (1) EP2458446B1 (ko)
KR (1) KR20120057159A (ko)
CN (1) CN102478778B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015A (ja) 1991-02-18 1993-0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109953B2 (ja) 1994-03-25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614078B2 (ja) 2000-03-24 2005-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528866B1 (ko) 2003-07-03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템덤형 칼라 화상 형성 장치
KR100547130B1 (ko) 2003-07-04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4344992B2 (ja) * 2003-07-31 2009-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35701B2 (ja) * 2005-04-27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33097B1 (ko) * 2005-07-22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 프로세스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90026916A (ko) * 2007-09-11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력전달유닛과 이를 채용한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8446A1 (en) 2012-05-30
CN102478778B (zh) 2016-08-03
CN102478778A (zh) 2012-05-30
EP2458446B1 (en) 2020-03-18
US8699915B2 (en) 2014-04-15
US20120134712A1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6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having a predetermined gap formed between an image bearing member and a developing member
US746693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plurality of process cartridges are detachably mountable by using a moving guide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JP5045306B2 (ja) 画像形成装置
JP5868079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983597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ripping portions for cartridges
JP4821223B2 (ja) 画像形成装置
EP1777592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252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1635230B1 (en) Process cartridge with means to reduce vibration of a gea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1681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9141020B2 (en) Charger positioning adjust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89896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5040593B2 (ja) 画像形成装置
JP465870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323007B1 (ko)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708175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20057159A (ko) 감광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9139518A (ja) 画像形成装置
US11614708B2 (en) Driving coupler having locking structure and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JP2006038936A (ja) 画像形成装置
US20190354065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618325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200903159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5937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72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929

Effective date: 2019042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