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550A -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550A
KR20120056550A KR1020100118142A KR20100118142A KR20120056550A KR 20120056550 A KR20120056550 A KR 20120056550A KR 1020100118142 A KR1020100118142 A KR 1020100118142A KR 20100118142 A KR20100118142 A KR 20100118142A KR 20120056550 A KR20120056550 A KR 20120056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unit
terminal device
forming apparatus
wirel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322B1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322B1/ko
Priority to US13/162,880 priority patent/US9405252B2/en
Publication of KR20120056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87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receiving image dat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7Wireless connection means, e.g. RF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2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 G06F3/1213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at an intermediate node or at the final n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91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user-identification or authori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09Remote control of apparatus, e.g. by a ho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73Print job history, e.g. logging, accounting,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6Detecting or check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기 설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부에 연결되면,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화상형성부를 워밍업시키는 제어부 및 단말 장치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Image forming device for forming wireless networ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함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접속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화상형성장치가 있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란 용지나 각종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복합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사무 환경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장비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무 환경에 놓인 각각의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도 상당수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고사양 단말 장치의 보급도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단말 장치들 간에 또는 타 기기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데이터 교환이나 이용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각종 통신 규격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의 하나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규격이 있을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무선(Wi-Fi) 단말들이 인터넷 연결 또는 무선 AP (Access Point) 없이도 직접 기기 간 통신으로 Peer-to-Peer 전송을 구현하는 기술로, 무선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통신 방법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 새로이 정의되고 있는 통신 표준 방식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일명 와이파이 P2P 라 부르기도 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애드혹(adhoc)이 아닌 인프라스트럭처의 형태를 가지면서, 단말장치들 간의 직접 통신을 지원하여 애드혹에 비해 세큐리티가 강화되고, 인터넷 서비스 지원이 더 용이해진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이용에 있어서도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될 여지가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한 후, 그 단말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인 경우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대기 상태란 화상형성잡을 바로 실행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대기 상태에서 화상형성잡을 바로 수행할 수는 없으며, 화상형성잡을 수행하고자 하면 워밍업을 수행하거나,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변경하는 등의 준비 상태 변경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준비 상태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화상 형성 잡 수행이 지연되므로, 사용자가 막연히 기다려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좀 더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에 접속되었을 때, 그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의 준비 상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기 설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접속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으면 상기 화상형성부를 워밍업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신규 생성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재생성된 경우, 최초 접속인 경우 및 사용 이력이 있는 단말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측으로 접근하고 있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신규 생성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재생성된 경우, 최초 접속인 경우 또는 사용 이력이 있는 단말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측으로 접근하고 있는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경우 중 하나라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화상형성부를 워밍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부가 형성하고 있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접속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접속 상태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경우로 파악되면,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워밍업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신규 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기 마련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부에 최초 접속한 상태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상태이면,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워밍업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했던 이용 빈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점점 증가하는 상태라면,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워밍업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가 저전력 절전 모드일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접속 상태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경우로 파악되면,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상기 저전력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신규 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기 마련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부에 최초 접속한 상태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상태이면,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상기 저전력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했던 이용 빈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점점 증가하는 상태라면,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상기 저전력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접속 상태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표준에 따라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그룹 오너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 규약에 따른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모듈부, 상기 와이파이 모듈부와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부,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부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모듈부를 제어하는 WLAN 드라이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에 따라 패킷을 생성 또는 분석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 WPS 패킷 생성 및 WPS 패킷 처리를 수행하는 WPS 매니저부,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요청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 AP부,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 상기 WPS 매니저부, 상기 소프트 AP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연결 매니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신규 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기 마련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최초 접속한 상태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상태이면,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했던 이용 빈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점점 증가하는 상태라면,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부를 워밍업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절전 모드로부터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부의 준비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현재 동작 모드가 복수 개의 저전력 절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현재 설정된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바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표준에 따라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그룹 오너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단말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면,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준비 상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 및 도 6은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변경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는 다양한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타 단말 장치 또는 타 노드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 중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은 와이파이 P2P 규격이라고도 명명하며, 그 규격에 따라 형성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그룹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그룹 오너(1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클라이언트(20-1, 20-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그룹 오너(10)는 기존 인프라스트럭쳐 환경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의 생성 및 관리를 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오너(10)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은 주기적으로 비컨(beacon) 메세지를 전송하고, 그룹 내의 다른 단말들, 즉, 클라이언트들에게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오너(10)는 각 클라이언트들의 주소가 기록된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 및 관리한다. 오너(10)는,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클라이언트들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반면, 클라이언트(20-1, 20-2)는 오너(10)가 생성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클라이언트(20-1, 20-2)들은 오너(10)를 이용하여 타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거나, 오너(10)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오너(10)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 클라이언트(20-1, 20-2)로 동작할 수도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 대하여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가 오너(10)로 동작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클라이언트 장치는 오너(10)로 동작하는 장치를 탐색한다. 그리고 나서 탐색된 오너 중에서 접속을 원하는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장치에 접속을 요청한다. 접속하는 과정에서 WPS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오너(10)로 동작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오너(10)가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 즉, 오너(10)는 단말 장치의 접속을 승인한 후, 단말 장치로부터 별도로 인쇄 코맨드 등이 전송되지 않더라도 화상형성장치의 준비 상태를 변경하여 둘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구비된 각종 엔진부들이 아직 워밍업 되지 않은 상태라면, 각 엔진부들에 대한 워밍업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라면, 바로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는 단말장치(20-1, 20-2) 들이 접속된 상태에서, 그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술한 바와 같이 준비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통상적으로 단말장치, 즉, 클라이언트가 무선 네트워크를 최초 형성하였다면, 그 경우에는 사용 의사가 있다고 볼 여지가 있다. 또는, 예전에 형성했었던 이력이 있던 무선 네트워크인 경우, 그 네트워크 형성에 사용되었던 프로파일을 다시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재생성하였을 경우에도, 사용 의사가 있다고 볼 여지가 있다. 또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 최초로 접속한 단말 장치의 경우에 대해서도 사용 의사가 있다고 볼 여지가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의 단말 장치가 아니더라도 일정 횟수 이상 사용한 이력이 있는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도 사용 의사가 있다고 볼 여지가 있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수 있는 다양한 케이스에 해당되는 경우에, 워밍업 또는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작은 화상형성장치가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인쇄 코맨드가 입력되기 전이라도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오너(10)로 동작하는 타 단말장치와 함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경우 등이라면, 바로 화상형성장치의 준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10)는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기 위한 엔진 요소들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경우에 따라서, 화상형성부(110)는 엔진부라 명명할 수도 있으며, 화상형성부(110)의 세부 구성은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식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레이저 타입인 경우에는, 화상형성부(110)는 감광체, 대전유닛, 노광 유닛, 현상 유닛, 전사 유닛, 정착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잉크젯 타입인 경우에는 잉크 카트리지, 프린터 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부(110)의 구성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가령, 단순 스캐너인 경우에는 스캐너 모듈 만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순 프린터인 경우에는 프린터 모듈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사기나, 복합기, 팩시밀리 등의 경우에는 스캐너 모듈 및 프린터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모듈이란, 문서를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스캔 모터 등이 주요 구성부품으로 사용된다. 프린터 모듈이란, 스캐너 모듈과 반대로 이미지 데이터를 용지상에 인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 LSU(Laser beam Scaning Unit), 현상기, 대전유닛, 전사유닛 및 정착 유닛 등이 주요 구성부품으로 사용된다.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무선 통신 규격은 공지된 다양한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IEEE 802.11a/b/g/n을 지원하는 각종 기기에서 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30)는 IEEE 802.11a/b/g/n 과 같은 무선 통신 규약을 처리하여, 무선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30)가 형성한 무선 네트워크에 외부 단말 장치가 접속한 경우, 그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화상형성부(110)의 준비 상태를 변경한다.
여기서, 접속 상태란, 그 단말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한 접속 정보, 단말 장치 자체의 고유 정보, 이전까지의 접속 이력 정보, 사용 이력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 정보 등에 의해 파악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제어부(120)는 화상형성부(110)의 준비 상태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접속 상태인 경우, 즉,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준비 상태를 변경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화상형성부(110)를 워밍업시켜서 화상형성잡이 바로 실행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통신부(130)는 WLAN 드라이버부(131),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2), 와이파이 모듈부(133)를 포함하고, 제어부(120)는 유저 인터페이스(121), 상태변경 매니저부(122), 탐색부(123), 프린팅 프로토콜 부(124a), 프린팅 잡 매니저부(124b), 엔진 매니저부(124c), 연결 매니저부(125), 소프트 AP부(126),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127),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128), WPS 매니저부(129)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 내에 구비된 와이파이 모듈부(133)는 IEEE 802.11 a/b/g/n과 같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규약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와이파이 모듈부(133)는 무선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고, 이를 통해 무선 연결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2)는 와이파이 모듈부(13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2)는 와이파이 모듈부(133)와 USB(Universal Serial Bus) 나 SDIO(Secure Digital Input/Output)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상위 레이어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와이파이 모듈부(133)로 전달한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부(133)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WLAN 드라이버부(131)로 전달한다.
WLAN 드라이버부(131)는 상위 레이어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와이파이 모듈부(133)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2)를 통해 와이파이 모듈부(133)로 전달하여 와이파이 모듈부(133)를 제어한다. 즉, WLAN 드라이버부(131)는 제어부(120) 측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와이파이 규격에 맞게 변환한 후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제어부(120)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20)측으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120)에 구비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128)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규약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128)는 연결 매니저부(125)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 부합되는 패킷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WLAN 드라이버부(131)로 전달하여, 외부 단말로 전송되도록 한다. 반면, WLAN 드라이버부(131)로부터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128)는 전송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 패킷을 분석(parsing)하여 연결 매니저부(125)로 전달한다.
WPS(Wi-Fi Protected Setup) 매니저부(129)는 WPS 엔롤리(enrollee) 및 WPS 레지스트라(Registrar)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연결 매니저부(125)로부터 WPS 연결 요청이나 연결 대기 요청 등이 접수되면, WPS 매니저부(129)는 WPS 프로토콜에 맞게 WPS 패킷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WLAN 드라이버부(131)를 통해 WPS 패킷을 전달하여, 외부 노드로 전송되도록 한다. 반면, WLAN 드라이버부(131)를 통해 WPS 패킷이 전달되면 WPS 매니저부(129)가 그 WPS 패킷을 처리한다. 이에 따라, 해당 기기와의 사이에서 WPS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 AP(Access Point)부(126)는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이다. 소프트 AP부(126)는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청 등을 처리한다. 또한, 비컨과 같은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발송하여, 무선 통신 그룹을 관리한다. 만약 클라이언트로부터 WPS 접속이 이루어져, 접속 요청이 접수되면, 소프트 AP부(126)는 이를 승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오너로 동작하면서, 클라이언트, 즉, 단말 장치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TCP/I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부(125)는 유저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설정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즉, WLAN 컨피규레이션 등)에 따라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128), WPS 매니저부(129), 소프트 AP부(126) 등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무선 장치의 상태 확인, 와이파이 다이렉트 접속 요청 지시, WPS 접속 지시, WPS 접속 대기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 AP부(126)를 구동시켜 AP로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127)는 TCP/IP 패킷을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에 전달하거나, 상위레이어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TCP/IP 프로토콜에 맞게 작성하여 WLAN 드라이버부(13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 매니저부(125)는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127)를 이용하여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유저 인터페이스(121)는 사용자에 대하여 연결 상태를 통지하거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설정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서 유저 인터페이스(121)는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120)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유저 인터페이스(121)는 출력 수단 및 입력 수단을 포함하며, 제어부(120)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121)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탐색부(123)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 장치를 알려주거나 기 접속되어 있는 타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구성이다.
프린팅 프로토콜 부(124a)는 네트워크를 통해 입수되는 인쇄 데이터를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팅 프로토콜 부(124a)는 스탠다드 TCP/IP 프린팅 프로토콜(default 9100 port), IPP(Internet printing Protocol : 631 port), LPR(Lineprinter : 515 por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린팅 잡 매니저부(124b)는 프린팅 프로토콜부(124a)를 통해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상형성부(11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엔진 매니저부(124c)는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엔진 매니저부(124c)는 프린팅 잡 매니저부(124b)에서 변환된 포맷의 데이터를 화상으로 형성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엔진 매니저부(124c)는 화상 형성을 위해 워밍업, 즉, 예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한다.
상태 변경 매니저부(122)는 소프트 AP부(126)의 동작에 의해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연결 매니저부(125)를 통해 입수한다. 상태 변경 매니저부(122)는 입수된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가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인지, 즉, 화상형성장치(100)가 잡 수행을 위한 준비를 개시하여야 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한다.
상태 변경 매니저부(122)가 상태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일 예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128)에 의해 새로이 네트워크가 생성되고, 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 장치가 접속하였을 때를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라고 설정해 둘 수 있다.
다른 예로, 소프트 AP부(126)가 구동되어 단말 장치로부터 재접속 요청을 받은 경우나, 연결 매니저부(125)로부터 입수된 단말 고유 정보와 기 저장된 고유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새로운 단말 장치가 최초 접속한 경우에도,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설정해 둘 수 있다.
그 밖에, 고유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단말 장치, 즉, 이미 접속된 이력이 있는 단말 장치에 대해서는 그 사용 빈도 및 신호 수신 세기 등을 이용하여 일정 값 이상일 때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설정해 둘 수도 있다. 즉, 상태 변경 매니저부(122)는 화상형성잡 수행 횟수를 접속 횟수로 제분한 값을 사용 빈도로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사용 빈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거나 점차 커지고 있는 경우라면, 단말 장치가 화상형성장치(100)로 접근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 변경 매니저부(122)는 기 설정된 여러 조건들 중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화상형성부(110)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태 변경 조건들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으로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조건들 모두가 함께 이용될 수도 있고, 이 중 일부만 이용될 수도 있다.
상태 변경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태 변경 매니저부(122)는 화상형성부(110) 및 기타 구성 요소들을 워밍업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전 구성을 모두 워밍업 시킬 수도 있고, 화상형성작업의 종류에 따라서 일부 구성들만을 워밍업 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캐너 모듈의 경우라면, 스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CCD의 형광 램프를 ON시키고, 스캔 모터를 구동하는 등의 사전 준비상태가 갖추어져야 한다. 프린터모듈의 경우,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착유닛의 정착램프를 적정온도까지 가열하거나, 모터를 구동하는 등의 사전 준비 상태가 갖추어져야 한다. 이러한 사전 준비 상태를 수행하는 동작이 워밍업이 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캐너 모듈이나 프린터 모듈 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구성요소들이 바로 화상형성잡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워밍업 시키기 위하여,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력 유닛을 제어하여 워밍업 전력을 각 모듈 또는 유닛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워밍업이 진행 중이거나 워밍업이 완료되면, 이러한 상태를 알리기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로는 LCD 화면 또는 간단한 LED (Light Emitted Diode)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는, 상태 변경 매니저부(122)는 상술한 워밍업이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화상형성부(110) 자체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최근의 저전력 이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수 단계의 절전 모드로 단계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절전 모드는 무 입력 상태로 대기하는 시간의 경과 정도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휘발성 메모리 및 CPU 각각의 동작 주파수를 낮추는 제1 절전 모드, 휘발성 메모리를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모드로 변경하는 제2 절전 모드, CPU의 동작 주파수를 최소 CPU 동작 주파수로 낮추고,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기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3 절전 모드, 휘발성 메모리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4 절전 모드로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 예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저장부(140)는 다양한 정보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40)는 클라이언트들의 접속 정보나, 고유 정보, 신호 세기 정보 등이나, 사용 빈도, 사용 횟수, 접속 횟수, 접속 시간 등과 같은 이력 정보, 임계값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클라이언트, 즉, 단말 장치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접속 상태에 따라 저장부(14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횟수를 증대시키고, 사용 빈도나, 접속 시간 등을 새로이 기록할 수도 있으며, 새로운 단말 장치의 접속인 경우에는, 고유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 변경 조건을 변경하여, 새로이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또 다른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버스(200)를 통해 연결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PLL부(150), 기능부(160), 내부 메모리(170), CPU(180)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CPU(180), 내부 메모리(170) 등과 같은 타 구성 요소들과 함께 하나의 SoC(System on Chip)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4에서,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141), 비휘발성 메모리(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141) 및 비휘발성 메모리(142)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141)는 별도로 마련된 내부 메모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대용량이며, D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141)는 제어부(120) 또는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SoC 외부에 배치된다. 휘발성 메모리(141)는 커패시턴스 성분을 가지므로, 시간 경과에 따라 자체적으로 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휘발성 메모리(141)는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하여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42) 역시 제어부(120) 또는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SoC 외부에 배치된다. 비휘발성 메모리(142)에는 부팅 정보가 저장된다. 비휘발성 메모리(142)는 RO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142)는 정상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휘발성 메모리(141)로 제공할 수 있다.
기능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부(160)는 화상의 이미지 처리, 및 화상에 대한 압축 또는 압축 해제 등과 같이, 인쇄, 복사, 스캔 등과 같은 화상형성 잡을 수행하기 위하여 처리되어야 할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 PLL부(150)는 다양한 동작 주파수를 생성하여, 그 동작 주파수를 사용하는 각 구성요소들로 제공한다. 일 예로서, PLL부(150)는 CPU의 정상 동작 주파수인 600 MHz, 제1 동작 주파수인 133 MHz, 및 최소 동작 주파수인 33 MHz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PLL부(150)는 휘발성 메모리(141)의 정상 동작 주파수인 300 MHz 및 최소 동작 주파수인 133 MHz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동작 주파수인, 166 MHz 및 41.5 MHz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주파수는 일 예일 뿐이며, 주파수의 값은 CPU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내부 메모리(170)는 휘발성 메모리(141)를 셀프 리프레쉬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프로그램, 주파수 변경을 위하여 PLL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를 해석(또는, 판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복귀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상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기정의된 시간에 대한 정보, 절전 모드의 다양한 절전 모드들 사이에서의 전환을 위한 조건에 대한 정보, 및 변경될 주파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란,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 등 그 용어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내부 메모리(170)는 소용량의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S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CPU(18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요소가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부(120)에 명령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CPU(180)는 정상 모드 및 일부 절전 모드에서는 휘발성 메모리(141)에 액세스하고, 다른 절전 모드에서는 내부 메모리(170)에 액세스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절전 모드에서는 저장부(140)에 전원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 메모리 제어부(미도시), 전원 제어부(미도시), 및 메인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 각각은 단일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휘발성 메모리(141), 비휘발성 메모리(142) 등과 같은 다양한 메모리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태 변경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을 충족하면, 즉, 단말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였을 때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라고 판단되면, 상태 변경을 수행한다. 도 4에서는 상태 변경 작업 중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저전력 구현을 위하여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입력이 없거나, 사용되지 않으면 절전 모드로 자동 진입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절전 모드로 전환할 것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직접 또는 호스트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에도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절전 모드는 단순히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지만, 기기에 따라서는 복수의 절전 모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입력이 길어지면 질수록 더 강력한 절전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로 대기 중이다가 사용자로부터 직접 또는 호스트를 통해 정상 모드 복귀 명령이 입력되거나, 임의의 키가 터치되거나, 상술한 상태 변경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등에, 자동으로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상 모드로의 전환은 각 절전 모드에서 바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최고 절전 모드에서는 차순위 절전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한 후 최종적으로 정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된 정보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복사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후에, 정상 모드로 복귀하면 휘발성 메모리(141)를 재활성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소비 레벨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되는 4개의 절전 모드가 마련될 수 있다.
먼저,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 모드인 경우, CPU(180)가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즉, 프로그램을 액세스)하기 때문에, 내부 메모리(170)에는 기능부(160)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시간 동안 아무런 입력이 없으면, 제1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 제1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정상 모드에서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되어 있던 다양한 정보가 내부 메모리(170)로 복사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휘발성 메모리(141)의 동작 주파수를 최소 동작 주파수로 낮추고, CPU(180)의 동작 주파수를 제1 동작 주파수로 낮춘다. 일 예로서, 휘발성 메모리(141)의 동작 주파수가 300 MHz인 경우, 휘발성 메모리(141)의 최소 동작 주파수는 133 MHz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CPU(180)의 동작 주파수가 600 MHz인 경우, 제1 동작 주파수는 133 MHz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절전 모드에서 SoC가 소비하는 전력은 대략 1.3 W ~ 1.4 W 일 수 있다.
제1 절전 모드에서, 기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정상 모드로 전환을 지시하는 외부 신호, 즉 정상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CPU(140)에서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절전 모드에서 제2 절전 모드로 전환된다(S220).
절전 모드의 제2 절전 모드에서는, CPU(140)의 명령에 따라 제어부(130)는 CPU(140)가 내부 메모리(160)에 복사된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프로그램 점프를 수행하고, 휘발성 메모리(180)를 정상 동작 모드에서 셀프 리프레쉬 모드로 전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정상 모드 전환 신호가 아닌 다른 외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셀프 리프레쉬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PU(140)가 소용량의 내부 메모리(170)를 액세스하여 동작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보다 줄일 수 있다. 결국, 제2 절전 모드에서 SoC가 소비하는 전력은 대략 0.9 W ~ 1 W 일 수 있다.
제2 절전 모드에서, 기설정된 제3 시간 동안 정상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3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3 절전 모드에서는, CPU(180)의 명령에 따라 제어부(120)는 CPU(180)의 동작 주파수를 최소 동작 주파수로 낮추며, 기능부(16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CPU(180)의 제1 동작 주파수가 133 MHz인 경우, CPU(180)의 최소 동작 주파수는 33 MHz일 수 있다. 기능부(160) 이외에 동작 모듈(미도시)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동작 모듈도 함께 턴 오프 시킬 수 있다. 기능부(160)가 턴 오프(turn-off)되고, CPU(180)의 동작 주파수가 최소 동작 주파수로 낮아지기 때문에, 제2 절전 모드보다 소비 전력을 더 줄일 수 있다. 즉, 제3 절전 모드에서 SoC가 소비하는 전력은 대략 0.6 W ~ 0.7 W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절전 모드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소비하는 전체 전력을 대략 1 W 이내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능부(160)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은 제2 절전 모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절전 모드에서는,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133 MHz에서 33 MHz로 변경할 수도 있다.
제3 절전 모드에서, 기 설정된 제4 시간 동안 정상 모드로 전환을 지시하는 외부 신호, 즉 정상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3 절전 모드에서 제4 절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절전 모드의 제4 절전 모드에서는, CPU(180)의 명령에 따라 제어부(120)는 휘발성 메모리(14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휘발성 메모리(141)가 턴 오프되기 때문에, 제3 절전 모드 보다 소비 전력을 더 줄 일 수 있다. 즉, 제4 절전 모드에서 SoC가 소비하는 전력은 대략 0.4 W ~ 0.5 W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절전 모드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소비하는 전체 전력을 대략 1 W 보다 훨씬 적게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휘발성 메모리(141)와 같은 메모리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는 메모리 동작 주파수라 명명하고, CPU(180)에서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는 CPU 동작 주파수라 명명한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동작 주파수 및 전력 예시 값들은 단순한 예에 불과하며, 각 구성요소의 특성이나 개수, 화상형성장치(100)의 자체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4가지 절전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과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다양한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다가 외부의 단말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부(130)에 연결된 경우, 그 연결 상태 등에 따라 사용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바로 또는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모드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정상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절전 모드로의 순차적인 전환 과정(S510, S520, 530, S540) 및 각 절전 모드에서 바로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복귀 과정(S515, S525, S535, S545)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각 복귀 과정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00)가 제1 절전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부(130)에 접속되고, 그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되면(S600), 제어부(120)는 CPU(180)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동작 주파수를 600 MHz 및 300 MHz로 각각 변경하여(S610), 화상형성장치(100)를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제2 절전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부(130)에 접속되고, 그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되면(S600), 제어부(120)는 CPU(180)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동작 주파수를 600 MHz 및 300 MHz로 각각 변경하고(S620), 또한, 휘발성 메모리(141)의 셀프 리프레쉬 모드를 해제한다(S630). 그리고, CPU(180)가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액세스하여 이용하도록 프로그램 점프를 수행할 수 있다(S640).
화상형성장치(100)가 제3 절전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부(130)에 접속되고, 그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되면(S600), 제어부(120)는 CPU(180)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동작 주파수를 600 MHz 및 300 MHz로 각각 변경한다(S650). 또한, 제어부(120)는 기능부(160) 및 동작 모듈(미도시)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휘발성 메모리(141)의 셀프 리프레쉬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S660). 또한, 제3 절전 모드에서 내부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던 CPU(180)가 휘발성 메모리(14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프로그램 점프를 수행할 수 있다(S640).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를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제4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부(130)에 접속되고, 그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되면(S600), 제어부(120)는 CPU(180) 및 휘발성 메모리(141)의 동작 주파수를 600 MHz 및 300 MHz로 각각 변경한다(S670). 그리고, 제어부(130)는 기능부(160) 및 동작 모듈 등으로 전원을 각각 공급한다(S680). 아울러, 휘발성 메모리(141)를 초기화하며, 정상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 즉, 부팅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142)에서 휘발성 메모리(141)로 복사한다. 이에 따라, 제4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휘발성 메모리(141)에서는 복사된 부팅 정보를 이용한 부팅이 이루어진다(S690). 휘발성 메모리(141)가 턴-오프된 후 턴-온 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부팅 작업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부팅에 대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4 절전 모드로 갈수록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상 모드 복귀 신호 등을 별도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 의도가 예측되는 상황에서는 자동적으로 모드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함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S710). 무선 네트워크 형성에는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 따라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 따라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즉, 무선 통신 그룹 내에서 오너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접속된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 등을 고려하여 사용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20). 일 예로는 네트워크의 형성 또는 접속 정보나, 고유 정보, 신호 수신 세기 등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가 자주 사용되는 시간대,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 등에 대해서는 실험적으로 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그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사용 가능성을 검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그에 따라 준비 상태를 변경한다(S730). 즉, 일 예로는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모듈 등을 미리 워밍업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 바로 화상형성작업 수행이 어려우므로, 사용 가능성이 있는 단말 장치가 접속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 바로 정상 모드로 변경하여 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절전 모드가 마련되어 그 중 최하위의 절전 모드가 설정된 상태라도 바로 정상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단말장치의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그 연결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승인한다(S810). 단말 장치와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WPS 버튼 푸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정한 시간 단위 내(예를 들어, 10초)에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WPS 버튼과 단말 장치의 WPS 버튼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게 되면, 두 단말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와의 연결이 승인되면, 단말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S820). 여기서의 정보란 단말 장치의 접속 정보,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정보란 단말 장치의 접속 이력 정보, 라우팅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유 정보란 이전까지 단말 장치의 고유 ID나 IP, 장치 명, 제조회사, 제품번호 등과 같이 단말 장치 자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이러한 고유 정보 및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 생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지 여부, 기존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지 여부, 재 생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지 여부, 최초 접속한 단말 장치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에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장치가 화상형성장치로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판단은 순차적으로 모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일부에 대해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에 따르면, 먼저, 신규로 생성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30). 판단 결과, 신규로 생성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라면 그 준비 상태를 변경한다(S880).
반대로 신규로 생성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가 아니라면, 연결 해제 후 재연결 요청되어 이루어진 접속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40). 이에 따라, 재접속된 경우라면, 화상형성장치는 그 준비 상태를 변경한다(S880).
한편, 재연결 요청에 의한 접속도 아니라면, 해당 단말 장치가 최초로 접속한 단말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50). 판단 결과, 최초로 접속한 단말 장치라면, 화상형성장치는 그 준비 상태를 변경한다(S880).
반면, 최초 접속한 단말 장치가 아니라면, 해당 단말 장치의 접속에 의해 인쇄된 빈도, 즉, 인쇄 빈도가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860). 이 경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많이 인쇄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인쇄 빈도가 높다면, 다시 신호 세기가 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70). 여기서도 신호 세기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더 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신호 세기를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이전 신호 세기보다 현재 신호 세기가 더 커진 경우인지, 즉, 수신 신호 세기가 점점 더 증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세기가 더 강해지는 경우라고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의 준비 상태를 변경한다(S880). 반면, 인쇄 빈도가 낮거나, 신호 세기가 더 강해지는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클라이언트에 대한 접속 정보나 고유 정보, 접속 회수 등에 대한 정보를 갱신한다(S890).
한편, 준비 상태 변경이란,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밍업이 될 수도 있으며,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작업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준비 상태를 변경해 둠으로써, 인쇄 데이터가 화상형성장치로 전달되기 이전이라도 화상형성작업 수행을 미리 준비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것만으로 워밍업이나 정상모드 복귀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른 첫 장 출력 시간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 속도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특히, 절전 모드가 다단계로 마련된 경우, 최대한의 전력 절약 효과를 얻기 위하여 일부 구성 요소에 대한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정상 모드 복귀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사용자는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여 준비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블루투스 연결이나 애드혹 연결 등의 기타 무선 통신 규격에 의한 접속 시에도 사용 가능성을 예측하여 미리 준비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가능성이 예측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설정해 둘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가 통로 측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가 그 주위를 지나다니는 경우에도 기 저장된 프로파일에 의해 자동 접속될 여지가 있다. 이와 같이, 접속 횟수에 비해 사용 횟수가 작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대해서는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 가능성이 낮은 단말 장치에 대한 리스트가 등록되어 있으면, 이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커맨드가 입력되지 않는 이상 자동으로 상태 변경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둘 수 있다.
또한, 최초 접속의 경우 이외에도 2, 3회 정도까지의 접속의 경우에도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로 설정하여 둘 수도 있다.
그 밖에,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화상형성장치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 그룹의 그룹 오너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클라이언트로 동작하여 오너인 타 단말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성이 있으면 자동으로 워밍업 또는 동작 모드 변경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C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동작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화상형성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저장부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기 설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화상형성부를 워밍업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신규 생성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재생성된 경우, 최초 접속한 단말 장치인 경우 및 사용 이력이 있는 단말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측으로 접근하고 있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워밍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화상 형성부를 워밍업시키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연결 상태에 따라 워밍업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워밍업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화상형성부를 워밍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워밍업이 필요한 경우는, 무선 네트워크가 신규 생성된 경우, 무선 네트워크가 재생성된 경우, 최초 접속한 단말 장치인 경우 또는 사용 이력이 있는 단말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측으로 접근하고 있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3.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부가 형성하고 있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연결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가,
    상기 단말 장치가 신규 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연결한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기 마련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 연결한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부에 최초 연결한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했던 이용 빈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점점 증가하는 상태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상태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라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부를 대기 상태에서 워밍업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부가 절전 모드일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부를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는 무 입력 상태로 대기하는 시간의 경과 정도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휘발성 메모리 및 CPU 각각의 동작 주파수를 낮추는 제1 절전 모드, 상기 휘발성 메모리를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모드로 변경하는 제2 절전 모드, 상기 CPU의 동작 주파수를 최소 CPU 동작 주파수로 낮추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기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3 절전 모드, 상기 휘발성 메모리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4 절전 모드로 단계적으로 전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절전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중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바로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연결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표준에 따라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그룹 오너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 규약에 따른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모듈부;
    상기 와이파이 모듈부와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부;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부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모듈부를 제어하는 WLAN 드라이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에 따라 패킷을 생성 또는 분석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
    WPS 패킷 생성 및 WPS 패킷 처리를 수행하는 WPS 매니저부;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요청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 AP부;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매니저부, 상기 WPS 매니저부, 상기 소프트 AP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연결 매니저부; 및,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변경을 수행하는 상태 변경 매니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화상형성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신규 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기 마련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최초 접속한 상태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상태이면,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했던 이용 빈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점점 증가하는 상태라면,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부를 워밍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절전 모드로부터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현재 동작 모드가 복수 개의 저전력 절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현재 설정된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표준에 따라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그룹 오너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20.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연결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KR1020100118142A 2010-11-25 2010-11-25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8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42A KR101784322B1 (ko) 2010-11-25 2010-11-25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3/162,880 US9405252B2 (en) 2010-11-25 2011-06-17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hanges to an image-formation ready mode from a power-save mode based on a frequency of us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y an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42A KR101784322B1 (ko) 2010-11-25 2010-11-25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550A true KR20120056550A (ko) 2012-06-04
KR101784322B1 KR101784322B1 (ko) 2017-10-12

Family

ID=4612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142A KR101784322B1 (ko) 2010-11-25 2010-11-25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5252B2 (ko)
KR (1) KR1017843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1326A1 (en) * 2012-09-26 201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et access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50038802A (ko) * 2013-09-30 2015-04-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랜 트래픽 분산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8477A (ko) * 2014-12-05 201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314B1 (ko) 2011-10-25 2018-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US9418372B2 (en) * 2012-05-25 2016-08-16 Apple Inc. Advertising, discovering, and using services through virtual access point interfaces
JP6057565B2 (ja) * 2012-07-04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81052B1 (ko) 2012-12-04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유기를 이용한 Wi-Fi 다이렉트 연결 방법 및 Wi-Fi 다이렉트 연결 기능을 가진 기기
KR101859022B1 (ko) * 2013-01-17 2018-06-2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344893B2 (ja) * 2013-07-19 2018-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19906A (ko) * 2013-08-16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
JP5891214B2 (ja) * 2013-10-28 2016-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80258B2 (ja) * 2014-03-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63163B2 (ja) * 2015-02-16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774753B2 (en) * 2015-05-28 2017-09-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6456247B2 (ja) * 2015-05-29 2019-01-23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装置設定方法及び装置設定プログラム
JP6365493B2 (ja) * 2015-10-05 2018-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6827773B2 (ja) * 2016-01-18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72196B2 (en) * 2016-08-01 2020-0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connection printing
JP7001378B2 (ja) * 2017-07-12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79244A (ja) * 2019-05-20 2019-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処理装置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JP7381265B2 (ja) * 2019-09-13 2023-11-1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647A (ja) 2001-05-28 2002-12-06 Kyocera Corp 画像形成装置
US7170625B2 (en) * 2001-07-31 2007-01-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inter system and printing data notification method
KR100540654B1 (ko) * 2003-01-22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프린팅 클라이언트 관리 방법 및무선 랜프린터
JP2005161655A (ja) 2003-12-02 2005-06-23 Canon Inc 印刷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0821758B1 (ko) * 2006-04-11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JP2007286337A (ja) * 2006-04-17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刷装置
JP2008296391A (ja) 2007-05-29 2008-12-1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システム
US8199699B2 (en) * 2007-10-26 2012-06-12 Ricoh Company, Ltd. Legacy support for Wi-Fi protected setup
US8346234B2 (en) * 2008-11-08 2013-01-01 Absolute Software Corporation Secure platform management with power savings capacity
US8456669B2 (en) * 2008-11-25 2013-06-04 Xerox Corporation Printing system
JP2010135993A (ja) 2008-12-03 2010-06-17 Ricoh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8625552B2 (en) 2008-12-31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provisioning a device for a network using a soft access point
DE102009009445A1 (de) * 2009-02-13 2010-10-07 Thinprint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mittlung von Druckern, sowie ein entsprechendes Computerprogramm und ein entsprechendes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JP5524551B2 (ja) * 2009-09-16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モリ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10225329A1 (en) * 2010-03-12 2011-09-15 At Box Technology Inc. Method for simultaneously switching energy-saving modes of plural computer devices via KVM switc
JP2012015655A (ja) * 2010-06-29 2012-01-19 Sharp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管理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電力制御方法、電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20158839A1 (en) * 2010-12-16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network interface with infrastructure and direct mod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1326A1 (en) * 2012-09-26 201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et access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9117164B2 (en) 2012-09-26 2015-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et access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50038802A (ko) * 2013-09-30 2015-04-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랜 트래픽 분산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8477A (ko) * 2014-12-05 201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05252B2 (en) 2016-08-02
KR101784322B1 (ko) 2017-10-12
US20120133971A1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322B1 (ko)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65912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755071B2 (en) Printing devices and terminal devices that switch communication modes
US102445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
US922613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communication method
EP255782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wi-fi p2p group using Wi-Fi Direct
JP6745628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6666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732497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90002322A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7007391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US108486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xecuting search processing
JP2016187086A (ja) 通信機器
US20180329660A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2302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mmunication module
JP5343724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の省電力制御方法、及び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
EP2924955B1 (e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05136591A (ja) 通信環境設定方法および通信環境設定プログラム
JP201714462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23038911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38808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7212502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75858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055426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29820A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