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906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906A
KR20150019906A KR20130097347A KR20130097347A KR20150019906A KR 20150019906 A KR20150019906 A KR 20150019906A KR 20130097347 A KR20130097347 A KR 20130097347A KR 20130097347 A KR20130097347 A KR 20130097347A KR 20150019906 A KR20150019906 A KR 20150019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nterfacing device
interface unit
oper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906A/ko
Priority to US14/242,222 priority patent/US9423744B2/en
Priority to EP14175010.9A priority patent/EP2837972B1/en
Priority to CN201410397233.XA priority patent/CN104378526B/zh
Publication of KR2015001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Abstract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착탈 가능한(removable)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y to power save mode thereof}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다.
최근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전자 제품들의 대기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프린터, 스캐너,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도, 인쇄, 복사, 스캔 등의 화상작업이 수행되지 않을 때에는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일부 하드웨어들을 오프시킴으로써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착탈 가능한(removable)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은, 착탈 가능한(removable)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화상작업이 수행되고 있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에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는바, 의도치 않게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유저 디바이스(110) 및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120)와 통신하여 화상형성장치(10)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entry)이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유저 디바이스(110) 및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120)와 통신하여 화상형성장치(10)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이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실행 중인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background)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큐(application queue)(80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푸시된 팝업 창(901)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및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와의 통신을 통해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 시스템 상에는, 화상형성장치(10) 및 화상형성장치(10)에 연결된 다양한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들(21, 23)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는 태블릿(tablet) 디바이스에 해당될 수 있고,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는 스마트폰에 해당될 수 있다. 하지만, 태블릿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폰은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가정한 것일 뿐,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또는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는, 노트북,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화상형성장치(10)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화상형성 시스템 상에는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및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들의 디바이스들이 추가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AP(access point), 네트워크 허브(network hub) 등도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 등과 같은 개별 디바이스들에 해당되거나, 또는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통합된 복합기(MFP, Multi-function printer)에 해당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는 사용자에게 화상형성장치(10)에서 처리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착탈 가능할 수 있다(removable).
우선,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 상의 결합 수단(112)에 장착된 경우, 화상형성장치(10) 내의 메인 보드와 PCI 버스(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 상의 결합 수단(112)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 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즉,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분리된 경우라 할지라도,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에 장착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분리된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들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와 통신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에 장착되거나 또는 분리된 경우라 할지라도, 동일하게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또는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가 모바일 디바이스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는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또는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와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들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또는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가 PC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는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또는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는 복사 작업 또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인쇄 수단, 스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닝 수단 등의 하드웨어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착탈 가능한(removable) 하드웨어에 해당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에서 제어부(120)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프로세서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다양한 형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가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로서, 유선 통신 모듈(이더넷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 통신 모듈(Wi-Fi 또는 Wi-Fi Direct를 지원하는 무선 LAN, NFC 모듈, Bluetooth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프린터, 스캐너,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화상작업을 수행한 후, 일정 시간 동안 화상형성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사용자의 입력이 더 이상 없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는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로 진입(enter)하였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바로 절전 모드로 진입될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등의 다른 외부의 디바이스들을 통해 별개의 화상작업을 수행하는 중이거나 수행할 예정인 다른 사용자는 절전 모드를 다시 정상 모드로 전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거나, 또는 그 동안에 수행되었던 화상작업이 손실될 우려가 있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전에, 연결된 다른 외부의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또는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에서 화상형성장치(10)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여 절전 모드를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는 연결된 다른 외부의 디바이스들의 다른 사용자들이 번거롭게 절전 모드를 깨우거나, 또는 불가피하게 다른 사용자들의 화상작업 데이터가 손실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의 결합 수단(112)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는 먼저, 분리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의 제 1 동작 상태를 기준으로 절전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에 대응된다면, 그 다음으로 화상형성장치(10)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제 2 동작 상태를 기준으로 절전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즉, 화상형성장치(10)는 분리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의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에 대응된다 할지라도,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제 2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절전 모드로 진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10)는 분리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및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제 1 및 2 동작 상태들이 모두 절전 모드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비로서 절전 모드로 진입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화상형성장치(1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에 장착된 상태라 할지라도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와 통신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먼저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의 제 1 동작 상태가 판단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즉, 화상형성장치(10)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제 2 동작 상태를 먼저 판단한 후에 제 1 동작 상태를 뒤이어 판단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와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우선 순위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 설명되었던 화상형성장치(10)의 동작에 대해 도 4 내지 9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유저 디바이스(110) 및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120)와 통신하여 화상형성장치(10)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entry)이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과정들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에서는 도 2와 연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분리되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과정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에 장착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401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 유저 인터페이스의 현재 사용자 입력 상태에 관한 제 1 동작 상태의 정보를 요청한다.
402 단계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제 1 동작 상태의 정보를 수신한다.
403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401 단계 내지 403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전송된 제 1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 대해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소정 시간 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 제 1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타임아웃(timeout)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는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으로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임의의 임계 시간 동안 없을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는 소정 시간의 타임아웃이 만료된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 제 1 동작 상태의 정보를 요청한다.
제어부(120)는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인 임계 시간과, 제 1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의 부재에 관한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임계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 제어부(120)는 정상 모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는 다시 소정 시간의 타임아웃을 리셋(reset)한다.
한편, 타임아웃에 해당되는 소정 시간 및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인 임계 시간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는 시간에 해당된다.
이하의 단계들은,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의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에 대응되는 경우에 진행된다.
404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
405 단계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로부터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화상작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이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상에서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될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화상작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이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에서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큐(queu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될 도 7 및 8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푸시된 팝업 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푸시된 팝업 창은, 사용자에게 화상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될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406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가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407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가 정상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유저 디바이스(110) 및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120)와 통신하여 화상형성장치(10)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이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과정들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에서는 도 2와 연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분리되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과정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에 장착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501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 유저 인터페이스의 현재 사용자 입력 상태에 관한 제 1 동작 상태의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화상형성장치(10)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소정 시간 (타임아웃)이 만료될 때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에 제 1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502 단계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소정 시간 (타임아웃) 동안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제 1 동작 상태의 정보가 수신되기를 대기한다.
만약, 제 1 동작 상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응답이 없는(no response)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다는 정보를 제어부(120)에 통지한다.
그러나, 소정 시간 내에 (타임아웃이 만료되기 전에)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사용자가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응답이 수신된 경우, 화상형성장치(10)는 타임아웃을 리셋한다.
한편, 타임아웃에 해당되는 소정 시간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는 시간에 해당된다.
503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가 제 1 동작 상태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응답이 없는(no response) 경우), 제어부(120)는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의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소정 시간 내에 (타임아웃이 만료되기 전에)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사용자가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응답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20)는 정상 모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의 단계들은,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의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에 대응되는 경우에 진행된다.
504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
505 단계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로부터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506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가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507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가 정상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가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실행 중인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601 단계 내지 604 단계는, 도 4의 404 단계 내지 407 단계, 또는 도 5의 504 단계 및 507 단계에 포함될 수 있다.
601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실행 중인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앞서 설명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예를 들어, http://192.168.0.xxx/request/foreground/whatIsForeground와 같은 메시지를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 전송함으로써,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예를 들어, http://192.168.0.xxx/request/foreground/oobIsForeground와 같은 메시지를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 전송함으로써,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에 OOB(Out of Box)가 실행되고 있는지를 질의함으로써,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602 단계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로부터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는 예를 들어, http://192.168.0.xxx/response/foreground/copy와 같은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함으로써,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는 예를 들어, http://192.168.0.xxx/response/foreground/yes와 같은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함으로써,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603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이 화상작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실행 중인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이 복사 애플리케이션(copy application), 인쇄 애플리케이션(printing application), 스캔 애플리케이션(scan application) 등과 같은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될 수 있다.
만약,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이와 같은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604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비록,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의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에 대응된다 할지라도,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이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제어부(120)는 정상 모드가 유지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를 제어한다.
그러나,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이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 제어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background)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701 단계 내지 704 단계는, 도 4의 404 단계 내지 407 단계, 또는 도 5의 504 단계 및 507 단계에 포함될 수 있다.
앞서 도 6에서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이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 화상형성장치(10)는 절전 모드로 진입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이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라 할지라도,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에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일 경우, 제어부(120)는 정상 모드가 유지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701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요청한다.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큐(queu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앞서 설명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702 단계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로부터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한다.
703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큐에 화상작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큐(application queue)(80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큐 (801)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목록 및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현재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전화(phone) 애플리케이션(802)이 실행 중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는 첫 번째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복사 애플리케이션(copy application)(803)이 실행 중일 수 있다. 또한, B 애플리케이션(copy application)이 두 번째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 중일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서 복사 애플리케이션(803)을 이용하여 화상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는 누군가로부터 전화가 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전화를 받는다면, 전화 애플리케이션(802)은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되고, 복사 애플리케이션(803)은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마친다면, 전화 애플리케이션(802)는 종료되고 사용자는 복사 애플리케이션(803)을 이용하여 화상작업을 다시 수행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복사 애플리케이션(803)이 애플리케이션 큐(801)의 소정 순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곧 화상형성장치(10)를 사용할 예정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순위의 범위는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고하면, 703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큐에 화상작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소정 순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704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즉,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의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에 대응되고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이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 할지라도,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큐의 소정 순위 내에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제어부(120)는 정상 모드가 유지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를 제어한다.
그러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이 소정 순위 내의 큐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를 제어한다.
한편, 도 8의 애플리케이션 큐(801)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로 든 것일 뿐,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상에서 푸시된 팝업 창(901)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는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 사용자가 화상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창(901)을 푸시하도록 명령(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명령(요청)은, 도 4의 404 단계 또는 도 5의 5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에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팝업 창(901)에서 YES 또는 NO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정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정보는, 도 4의 405 단계 또는 도 5의 505 단계에서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에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가 팝업 창(901)을 통해 YES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를 사용할 예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정상 모드가 유지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를 제어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팝업 창(901)을 통해 NO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를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및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와의 통신을 통해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는, 앞서 설명된 분리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및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도 2의 20)가 아닌,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및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와의 통신을 통해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한다.
즉, 도 2 및 10을 비교하면, 도 2의 분리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의 역할은 도 10의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에 대응될 수 있고, 도 2의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의 역할은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화상형성장치(10)는, 도 2의 분리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및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 대신에,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 및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된 동작들을 적용하여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는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의 제 1 동작 상태를 기준으로 먼저 절전 모드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의 제 2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절절 모드의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및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0)를 이용하여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거나, 또는 다양한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들(21, 23)만을 이용하여서도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경우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0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가 화상형성장치(10)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분리된 상태로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들(10)과 함께 화상형성장치(10)의 절전 모드의 진입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절전 모드의 진입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9에서 설명된 화상형성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9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11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11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착탈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10)의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120 단계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제 1 동작 상태가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2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113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절전 모드의 진입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10에서 설명된 화상형성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10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12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21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1)의 제 1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220 단계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제 1 동작 상태가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에 연결된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로부터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23)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123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화상형성장치 20: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
110: 유저 인터페이스부 120: 제어부
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Claims (20)

  1.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착탈 가능한(removable)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동작 상태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동작 상태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화상작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상에서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화상작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에서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큐(queu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 상에서 푸시된 팝업 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창은
    사용자에게 화상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제 1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제 2 시간 동안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상기 정보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무선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
  10.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착탈 가능한(removable) 유저 인터페이스부인, 화상형성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무선 연결되어 화상작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외부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인, 화상형성장치.
  13.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탈 가능한(removable)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동작 상태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동작 상태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화상작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상에서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화상작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에서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 상에서 푸시된 팝업 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창은
    사용자에게 화상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제 1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제 2 시간 동안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상기 외부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상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20.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동작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인터페이싱 디바이스의 제 2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20130097347A 2013-08-16 2013-08-1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 KR20150019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347A KR20150019906A (ko) 2013-08-16 2013-08-1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
US14/242,222 US9423744B2 (en) 2013-08-16 2014-04-0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ntry to power save mode thereof
EP14175010.9A EP2837972B1 (en) 2013-08-16 2014-06-30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ntry to power save mode thereof
CN201410397233.XA CN104378526B (zh) 2013-08-16 2014-08-13 图像形成装置和控制进入其节电模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347A KR20150019906A (ko) 2013-08-16 2013-08-1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906A true KR20150019906A (ko) 2015-02-25

Family

ID=5113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7347A KR20150019906A (ko) 2013-08-16 2013-08-1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3744B2 (ko)
EP (1) EP2837972B1 (ko)
KR (1) KR20150019906A (ko)
CN (1) CN1043785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0073B2 (en) * 2014-05-21 2017-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adjustment of content composition rules based on evaluation of user feedback obtained through haptic interface
JP6604056B2 (ja) * 2015-07-02 2019-11-13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ネットワークストレージ装置、ネットワークストレージ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70851B2 (en) 2017-02-13 2019-04-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vating a peer-to-peer communication channel
WO2018185512A1 (en) * 2017-04-07 2018-10-11 Dover Europe Sarl Method and device to manage different screens on a production line
JP7155838B2 (ja) * 2018-10-03 2022-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6898B2 (en) 2002-09-13 2007-02-13 Xerox Corporation Removable control panel for multi-function equipment
JP5037376B2 (ja) * 2008-02-06 2012-09-2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電力モード制御方法、電力モード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488500B2 (en) * 2008-05-02 2013-07-16 Dhaani Systems Power management of networked devices
KR102008302B1 (ko) 2010-09-30 2019-08-07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접속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JP5737906B2 (ja) * 2010-11-01 2015-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と記憶媒体
KR101784322B1 (ko) 2010-11-25 2017-10-1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896769B2 (ja) * 2012-02-08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0039A1 (en) 2015-02-19
CN104378526B (zh) 2018-04-17
EP2837972A1 (en) 2015-02-18
US9423744B2 (en) 2016-08-23
EP2837972B1 (en) 2018-04-18
CN104378526A (zh)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90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5031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nabling communication settings to be made with ease,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62919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EP300004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pop-up windows on connected devices
US9794426B2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communicating with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5757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Wi-Fi handover techniqu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97878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option for disabling near-field communication and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EP284652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94849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50019906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절전 모드의 진입을 제어하는 방법
US20150293735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0397439B2 (en) Server system transmitting job to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erver system
KR20150015775A (ko) 화상형성 시스템 상에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화상형성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 화상형성 시스템 상의 화상형성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US11977800B2 (en) Server apparatus that controls print job and provides status information on the print job,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US116529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a screen that corresponds to a scree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917958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requesting print job from server system based on detected event
US1160973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2015161992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334598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64028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509499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09208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