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169A - 소재이동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소재이동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169A
KR20120056169A KR1020100117756A KR20100117756A KR20120056169A KR 20120056169 A KR20120056169 A KR 20120056169A KR 1020100117756 A KR1020100117756 A KR 1020100117756A KR 20100117756 A KR20100117756 A KR 20100117756A KR 20120056169 A KR20120056169 A KR 20120056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ensor
movement
connec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292B1 (ko
Inventor
최원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1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2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18Presence of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감지부재의 탈착이 용이한 소재이동감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이동감지장치는 소재(M)의 이송경로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서 센서(S)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센서작동부(300); 및 상기 센서작동부(300)가 연결되며, 소재(M)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고 이동되는 소재(M)에 접촉되어 상기 센서작동부(300)가 회전되도록 하는 감지부재(410)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감지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감지부재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으며, 감지부재의 변형이나 파손시에 감지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소재의 이동을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재이동감지장치{APPARATUS FOR SENSING THE TRANSFER OF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이동경로에 위치되어 소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소재이동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감지부재의 탈착이 용이한 소재이동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재이동감지장치는 소재이동경로에 위치되어 소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도5는 종래의 소재이동감지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의 (a)는 압연공정에서 압연된 선재 등의 소재(M)를 권취 및 집적하는 선재권취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소재(M)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R)의 상부에 소재이동감지장치(1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도5의 (b)는 이송롤러(R)의 하부에 소재이동감지장치(1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재이동감지장치(10)는 도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는 소재(M)가 접촉되는 감지부재(41)가 포함될 수 있다. 이동되는 소재(M)가 이러한 감지부재(41)에 접촉되고 도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재(41)가 회전됨에 따라 센서(S)를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센서(S)가 작동되면, 센서(S)는 소재(M)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신호, 예컨대 전기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제어부에 소재(M)가 이동됨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소재(M)와 접촉되는 감지부재(41)는 소재(M)와의 접촉으로 인해서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재(41)에 의한 소재(M) 이동의 감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소재(M)가 이동되고 있어도 소재(M)가 이동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수도 있고, 소재(M)가 이동되지 않고 있어도 소재(M)가 이동되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감지부재(41)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 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소재이동감지장치(10)에서는 이러한 감지부재(41)가 볼트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서 소재이동감지장치(10)의 다른 부재에 연결되기 때문에, 감지부재(41)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모두 해체한 후 다시 체결해야 한다. 따라서, 감지부재(41)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감지부재(41)의 교체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재이동감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감지부재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감지부재의 변형이나 파손시에 감지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소재의 이동을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소재이동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감지부재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소재이동감지장치는 소재의 이송경로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서 센서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센서작동부; 및 센서작동부가 연결되며, 소재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고 이동되는 소재에 접촉되어 센서작동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감지부재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재는 소재가 이송되는 이송롤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센서작동부와 감지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감지부재가 연결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탈착수단;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착수단은 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부재; 및 레버부재와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레버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레버부재의 일측 단부는 연결부재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감지부재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재는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소재접촉부와, 소재접촉부에 연결되고 걸림홈이 형성되는 연결바아를 포함하고, 연결부재는 삽입구멍과 연결바아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연결바연결부와, 센서작동부에 포함되는 회전부재가 연결되는 회전부재연결부를 포함하며, 연결바아와 연결구멍은 다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중량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작동부는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감지부에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에 연결되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센서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감지부재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재의 변형이나 파손시에 감지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의 이동을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이동감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이동감지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이동감지장치의 일실시예의 감지부재를 탈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이동감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종래의 소재이동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의 (a)는 소재이동감지장치가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의 (b)는 소재이동감지장치가 이송롤러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소재이동감지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감지부재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이동감지장치(1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200)와, 센서작동부(300) 및, 감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소재(M)의 이송경로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210)와, 지지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210)는 지면에 고정되거나, 지면에 고정된 다른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관(220)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관(220)에는 센서작동부(300),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센서작동부(300)에 포함되는 회전부재(31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지지관(220)에는 회전부재(310)의 회전을 위한 베어링(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센서작동부(300)는 지지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작동부(300)의 회전에 의해서 센서(S)가 작동될 수 있다. 센서작동부(300)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되는 센서(S)는 센서작동부(300), 후술할 바와 같이 센서작동부(300)에 포함되는 작동부재(3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S)는 소재(M)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작동부(300), 즉 센서작동부(300)의 회전부재(310)의 회전과 이에 따른 센서작동부(300)의 작동부재(320)의 회전에 의해서 센서(S)가 작동되면, 센서(S)는 소재(M)가 이동하고 있다는 신호, 예컨대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재(M)가 이동되고 있음을 제어부에서 알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센서작동부(300)는 회전부재(310)와, 작동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31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200), 즉 지지부(200)의 지지관(2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310)는 감지부(400), 즉 후술할 바와 같이 감지부(400)에 포함되는 연결부재(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400)에 포함되며 연결부재(420)에 연결되는 후술할 감지부재(410)에 이동되는 소재(M)가 접촉되면, 회전부재(310)가 지지관(220)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작동부재(320)는 회전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부재(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되는 소재(M)가 감지부재(410)에 접촉되어 회전부재(310)가 회전되면 회전부재(3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재(320)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부재(320)가 센서(S)를 작동시킬 수 있다.
감지부(40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센서작동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4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감지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재(410)는 소재(M)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M)는 복수개의 이송롤러(R)에 의해서 이송될 수 있고, 감지부재(410)는 이송롤러(R)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재(410)는 이동되는 소재(M)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작동부(300), 즉 센서작동부(300)의 회전부재(31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감지부재(410)는 소재접촉부(411)와, 연결바아(41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재접촉부(411)는 이동되는 소재(M)와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소재접촉부(411)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사각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소재접촉부(411)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사각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되는 소재(M)와 접촉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바아(412)는 소재접촉부(4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바아(412)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걸림홈(4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410a)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감지부(400)에 포함되는 탈착수단(430)에 포함되는 레버부재(431)의 일측 단부가 걸릴 수 있다.
한편, 감지부(4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420)와, 탈착수단(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20)에는 센서작동부(300), 즉 센서작동부(300)의 회전부재(31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20)에는 감지부재(410), 즉 감지부재(410)의 연결바아(4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420)는 연결바연결부(421)와, 회전부재연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바연결부(421)에는 삽입구멍(4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구멍(420a)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감지부(400)의 탈착수단(430)에 포함되는 레버부재(431)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감지부재(410)의 걸림홈(410a)에 걸릴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바연결부(421)에는 연결구멍(42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멍(420b)에는 감지부재(410)의 연결바아(412)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연결바아(412)와 연결구멍(420b)은 다각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바아(412)와 연결구멍(420b)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면, 다른 교정작업 없이 연결바아(412)가 연결구멍(420b)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바아(412)가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바아(412)와 연결구멍(420b)은 사각형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바아(412)와 연결구멍(420b)의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이라면 삼각형이나 오각형 등 어떠한 다각형이라도 가능하다.
회전부재연결부(422)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부재(3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회전부재연결부(422)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부재연결구멍(422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연결구멍(422a)에 삽입되는 회전부재(31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평면부(31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연결부(422)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부재삽입구멍(4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회전부재(310)의 평면부(310a)가 회전부재연결부(422)의 회전부재연결구멍(42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고정부재삽입구멍(422b)에 삽입하여 회전부재(31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310)가 연결부재(420)의 회전부재연결부(422)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탈착수단(430)은 감지부재(410)가 연결부재(420), 즉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탈착수단(430)은 레버부재(431)와, 탄성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부재(431)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420), 즉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버부재(43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421a)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3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버부재(431)와 연결부재(420), 즉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32)에 의해서 레버부재(431)에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432)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432)는 코일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부재(431)와 연결부재(420), 즉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에 연결되며 레버부재(431)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재(410), 즉 감지부재(410)의 연결바아(412)가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바아(412)를 연결바연결부(421)의 연결구멍(420b)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즉, 연결바아(412)가 연결바연결부(421)의 연결구멍(420b)에 삽입되면, 연결바연결부(412)의 연결바삽입구멍(420a)을 통해서 삽입된 레버부재(431)의 일측 단부를 누르면서 삽입된다. 그리고, 연결바아(412)가 연결바연결부(421)의 연결구멍(420b)에 더 삽입되면, 레버부재(431)의 일측 단부가 연결바아(412)의 걸림홈(410a)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레버부재(431)는 탄성부재(432)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감지부재(410)의 연결바아(412)가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감지부재(410)의 연결바아(412)를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의 연결구멍(420b)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레버부재(431)를 눌러주기만 하면 된다. 이에 따라, 감지부재(410)의 연결바아(412)를 연결바연결부(421)의 연결구멍(420b)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되는 소재(M)와 접촉되는 소재접촉부(411)를 포함하는 감지부재(41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재(M)와 접촉되어 변형이나 파손된 감지부재(41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재(410)의 변형이나 파손에 의한 소재(M) 이동감지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어서, 소재(M)의 이동을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420)에는 중량부재(4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420)에 중량부재(440)가 연결되면, 이동되는 소재(M)가 감지부재(410)에 접촉되어서 감지부재(410), 연결부재(420) 및 회전부재(310)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부재(320)가 회전되는 동안, 즉 작동부재(320)에 의해서 센서(S)가 작동되도록 하는 동안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재(440)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소재(M)가 이동되지 않으면, 중량부재(440)의 무게에 의해서 작동부재(320), 회전부재(310), 연결부재(420) 및 감지부재(410)가 원래의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도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이동감지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재(M), 예컨대 압연공정에서 압연된 선재 등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R)에 의해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롤러(R)에 의해서 소재(M)가 이동되면, 소재(M)의 이송경로 상, 도시된 예에서는 이송롤러(R) 사이에 위치된 감지부재(410), 즉 감지부재(410)의 소재접촉부(411)에 이동되는 소재(M)가 접촉된다.
이에 따라, 감지부재(4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고, 감지부재(410)가 연결되는 연결부재(420) 또한 회전된다. 그리고, 연결부재(420)의 회전에 의해서 연결부재(420)에 연결된 센서작동부(300)의 회전부재(310) 또한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부재(310)에 연결된 작동부재(3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센서(S)가 작동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센서(S)가 작동되면, 센서(S)에서는 소재(M)의 이동을 제어하는, 예컨대 이송롤러(R)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신호, 예컨대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다. 이에 따라, 제어부에 현재 소재(M)가 이동됨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소재(M)가 모두 이동되면, 중량부재(440)의 무게에 의해서 작동부재(320), 회전부재(310), 연결부재(420) 및 감지부재(410)가 원래의 위치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작동부재(320)에 의해서 센서(S)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에는 아무런 신호도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재(M)가 이동되고 있지 않음을 제어부에서 알 수 있다.
한편, 소재(M)와의 접촉에 의해서 감지부재(41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수단(430)의 레버부재(431)를 눌러준다. 이에 따라, 감지부재(410)의 연결바아(412)를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감지부재(410)의 연결바아(412)를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에 형성된 연결구멍(420b)에 삽입시키면, 레버부재(431)의 일측 단부가 연결바연결부(421)에 형성된 삽입구멍(420a)을 통해 삽입되면서 연결바아(412)의 걸림홈(410a)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부재(410)의 연결바아(412)를 연결부재(420)의 연결바연결부(421)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재감지장치(100)를 사용하면,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감지부재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으며, 감지부재의 변형이나 파손시에 감지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소재의 이동을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소재이동감지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100 : 소재이동감지장치 200 : 지지부
210 : 베이스 220 : 지지관
300 : 센서작동부 310 : 회전부재
310a : 평면부 320 : 작동부재
400 : 감지부 41, 410 : 감지부재
410a : 걸림홈 411 : 소재접촉부
412 : 연결바아 420 : 연결부재
420a : 삽입구멍 420b : 연결구멍
421 : 연결바연결부 421a : 힌지
422 : 회전부재연결부 422a : 회전부재연결구멍
422b : 고정부재삽입구멍 430 : 탈착수단
431 : 레버부재 432 : 탄성부재
440 : 중량부재 S : 센서
M : 소재 R : 이송롤러

Claims (7)

  1. 소재의 이송경로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서 센서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센서작동부; 및
    상기 센서작동부가 연결되며, 소재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고 이동되는 소재에 접촉되어 상기 센서작동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감지부재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소재이동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소재가 이송되는 이송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이동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센서작동부와 상기 감지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감지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탈착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이동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감지부재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이동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이동되는 소재와 접촉되는 소재접촉부와, 상기 소재접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는 연결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삽입구멍과 상기 연결바아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연결바연결부와, 상기 센서작동부에 포함되는 회전부재가 연결되는 회전부재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아와 상기 연결구멍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이동감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중량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이동감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작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센서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이동감지장치.
KR1020100117756A 2010-11-24 2010-11-24 소재이동감지장치 KR101259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56A KR101259292B1 (ko) 2010-11-24 2010-11-24 소재이동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56A KR101259292B1 (ko) 2010-11-24 2010-11-24 소재이동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169A true KR20120056169A (ko) 2012-06-01
KR101259292B1 KR101259292B1 (ko) 2013-05-06

Family

ID=4660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756A KR101259292B1 (ko) 2010-11-24 2010-11-24 소재이동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56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위치 교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56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위치 교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292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9555B2 (en) Conveyor module docking system for a reverse vending machine
EP2366646A3 (en) Separating device, fixing device, medium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293151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arts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CN202339196U (zh) 一种平整度自动检测仪
KR101259292B1 (ko) 소재이동감지장치
KR101820011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장치
KR101336009B1 (ko) 텐션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공급장치
CN218108512U (zh) 清洁组件和外观检测设备
KR101689281B1 (ko) 정제 공급 장치
JP2013229604A (ja) 部品供給装置
KR101222939B1 (ko) 자동 라벨 분리 장치
KR100875735B1 (ko) 자동타발기의 급지감지장치
KR200454147Y1 (ko) 계란판 공급장치
KR101553813B1 (ko) 빔의 크랙 검출장치
CN205471867U (zh) 自动纠偏装置
CN104535028A (zh) 分度检测装置
JP2005244055A (ja) テープフィーダ
CN215114426U (zh) 一种电路板翘曲缺陷的检测装置
CN215709720U (zh) 一种校正装置
CN210836240U (zh) 一种标签生产检测装置
US20230144848A1 (en) Power device for continuously detecting entry and exit positions
TWI700049B (zh) 鈕扣安裝構件搬運裝置
KR101451722B1 (ko) 스크랩 코일 인출 처리가 가능한 코일카, 이를 포함하는 스크랩 코일 인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랩 코일 인출 방법
CN210029030U (zh) 物料输送系统
JP3050083U (ja) 接触式払い出しセ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