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856A -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5856A KR20120055856A KR20100117285A KR20100117285A KR20120055856A KR 20120055856 A KR20120055856 A KR 20120055856A KR 20100117285 A KR20100117285 A KR 20100117285A KR 20100117285 A KR20100117285 A KR 20100117285A KR 20120055856 A KR20120055856 A KR 201200558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concave groove
- plate member
- vertical
- formwork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 E04G15/068—Re-usable forms for channels open towards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성능 콘크리트 바닥판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연속화 등을 위하여 콘크리트 내에 표면에서부터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커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테이퍼진 오목홈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신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반복 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로 구분되며; 상기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는 각각 경사면부재와, 수직면부재와, 신축봉의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제1측면부의 바닥판부재 제2측면부의 제2바닥판부재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져 위치하고, 제1측면부의 수직면부재와 제2측면부의 수직면부재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서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신축봉 회전부재(30)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3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신축봉이 서로 당겨져서, 포개져 있던 바닥판부재들이 더욱 겹치게 됨과 동시에 수직면부재들도 더욱 겹치게 되어,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가 좁아져서, 거푸집 장치(1)를 오목홈(11)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축소되는 거푸집 장치(1)가 제공되며, 이를 이용하여 오목홈(11)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로 구분되며; 상기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는 각각 경사면부재와, 수직면부재와, 신축봉의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제1측면부의 바닥판부재 제2측면부의 제2바닥판부재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져 위치하고, 제1측면부의 수직면부재와 제2측면부의 수직면부재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서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신축봉 회전부재(30)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3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신축봉이 서로 당겨져서, 포개져 있던 바닥판부재들이 더욱 겹치게 됨과 동시에 수직면부재들도 더욱 겹치게 되어,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가 좁아져서, 거푸집 장치(1)를 오목홈(11)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축소되는 거푸집 장치(1)가 제공되며, 이를 이용하여 오목홈(11)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바닥판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연속화 등을 위하여 콘크리트 내에 표면에서부터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커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테이퍼진 오목홈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신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반복 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부재간의 연결 등을 위하여 그 표면에서부터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커지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경우가 생긴다. 특히, 초고성능 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UHPC")로 제작되는 바닥판("UHPC 바닥판")의 경우, 거더 위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여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기 위하여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UHPC 바닥판의 상면에 형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도 10에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11)이 형성되는 일예로서,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11)이 형성된 UHPC 바닥판(1a, 1b)을 거더(2) 위에 각각 거치하고, 상기 오목홈(11)에 연결철근(3)을 배치한 후 오목홈(11)에 UHPC(4)를 타설하여 연결철근(3)을 고정시킴으로써, 거더(2) 위에서 UHPC 바닥판(1a, 1b)을 연결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도 9의 선 E-E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부재번호 22는 거더(2)의 상부 플랜지(22)이고, 부재번호 21은 전단연결재(21)이며, 부재번호 5는 UHPC 바닥판(1a, 1b) 사이에 채워지는 현장타설 콘크리트(5)이다.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사각형의 홈을 형성하되, 사각형의 단면 폭이 상면에서 두께 방향으로 가면서 점점 커지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11)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11)을 형성하는데는, 긁어내거나 변형시켜 제거할 수 있는 연성의 재질(예를 들면, 스티로폼 등의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진 1회용 몰드를 배치한 후 UHPC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 등의 경화 후에 1회용 몰드를 긁어내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법의 경우, 몰드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몰드는 결국 1회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몰드 재료의 소모가 많아, 공장에서 다량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비용이 크게 발생하게 되고, 폐기물도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도 야기된다. 그 뿐만 아니라, 몰드를 제거 가능한 연성 재질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UHPC나 콘크리트의 타설시, 타설 압력으로 인하여 몰드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고,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이 설계된 것과 다르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UHPC나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일반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제작시부터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된 형상을 유지하는 강도가 커서,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콘크리트 경화 후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테이퍼 형상 오목홈 형성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부재에서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육면체의 형상은 콘크리트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깊어지면서 단변방향의 폭이 증가하게 되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로서, 상기 거푸집 장치는 단변방향으로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측면부는, 오목홈의 일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경사면부재와, 오목홈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바닥판부재와, 오목홈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면부재와, 제2측면부 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면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신축봉의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측면부는, 오목홈의 타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2경사면부재와, 오목홈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바닥판부재와, 오목홈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와, 상기 제1측면부 방향으로 상기 제2경사면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신축봉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닥판부재와 제2바닥판부재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져 위치하고, 제1수직면부재와 제2수직면부재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서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신축봉과 상기 제2신축봉은 회전부재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신축봉과 제2신축봉이 서로 당겨져서, 포개져 있던 제2바닥판부재와 제1바닥판부재가 더욱 겹치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와 제1수직면부재도 더욱 겹치게 되어,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 사이가 좁아져서, 거푸집 장치를 오목홈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거푸집 장치가 축소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신축봉과 제2신축봉이 서로 멀어지게 되어, 제2바닥판부재와 제1바닥판부재가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와 제1수직면부재도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되어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 사이가 벌어져서 거푸집 장치가 오목홈에 대응되는 크기로 확장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을 위한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판부재와 상기 제2바닥판부재 중 어느 일측의 바닥판 부재에는, 타측의 바닥판부재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의 바닥판부재의 두께 내부가 단변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서 바닥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바닥판부재와 제2바닥판부재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져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수직면부재와 제2수직면부재 중 어느 일측의 수직면부재에도, 타측의 수직면부재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수직면부재의 두께 내부가 단변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서 면부재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수직면부재와 제2수직면부재와 서로 포개어져서 신축이 가능하게 위치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육면체의 형상은 콘크리트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깊어지면서 단변방향의 폭이 증가하게 되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오목홈을 콘크리트 부재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단변방향으로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로 구분되어 있는 거푸집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거푸집 장치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경화 후 거푸집 장치를 제거하여 오목홈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측면부는, 오목홈의 일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경사면부재와, 오목홈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바닥판부재와, 오목홈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면부재와, 제2측면부 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면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신축봉의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측면부는, 오목홈의 타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2경사면부재와, 오목홈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바닥판부재와, 오목홈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와, 상기 제1측면부 방향으로 상기 제2경사면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신축봉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닥판부재와 제2바닥판부재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져 위치하고, 제1수직면부재와 제2수직면부재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서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신축봉과 상기 제2신축봉은 회전부재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거푸집 장치의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된 후, 상기 회전부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신축봉과 제2신축봉이 서로 당겨져서, 포개져 있던 제2바닥판부재와 제1바닥판부재가 더욱 겹치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와 제1수직면부재도 더욱 겹치게 되어,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 사이가 좁아져서 거푸집 장치를 축소시켜 오목홈으로부터 거푸집 장치를 빼내게 되고; 거푸집 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신축봉과 제2신축봉이 서로 멀어지도록 하여 제2바닥판부재와 제1바닥판부재가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와 제1수직면부재도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되어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 사이가 벌어져서 거푸집 장치를 오목홈에 대응되는 크기로 확장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는,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된 형상을 유지하는 강도가 커서, UHPC나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일반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제작시부터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콘크리트 경화 후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면서도, 회전부재의 회전이라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서 단변 방향으로 그 크기가 확장 축소될 수 있으므로, 오목홈 형성 후 용이하게 콘크리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 후에는 다시 확장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 즉, 몰드의 연성 재료를 파내서 제거하는 번거로운 작업도 전혀 필요 없으며,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는 강재판이나, 섬유보강 합성수지 등과 같이 강성이 큰 강체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그 형상의 유지 성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설계하였던 오목홈의 형상을 제대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로서,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확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측면부가 잘 보이도록 도 2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라 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거푸집 장치의 주변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조립 사시도로서, 거푸집 장치가 탈형될 수 있도록 축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도 5에서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6은 오목홈 형성을 위해 거푸집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거푸집 장치가 축소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은 거푸집 장치를 오목홈에서 빼내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대응되는 분해 사시도로서, 바닥판 삽입홈과 면부재 삽입홈이 ㄷ자 삽입 레일 형태로 형성된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측면부가 잘 보이도록 도 2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라 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거푸집 장치의 주변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조립 사시도로서, 거푸집 장치가 탈형될 수 있도록 축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도 5에서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6은 오목홈 형성을 위해 거푸집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거푸집 장치가 축소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은 거푸집 장치를 오목홈에서 빼내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대응되는 분해 사시도로서, 바닥판 삽입홈과 면부재 삽입홈이 ㄷ자 삽입 레일 형태로 형성된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로서,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확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를 도 2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보아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1)는, 콘크리트 부재에서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육면체의 형상은 콘크리트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깊어지면서 단변방향의 폭이 증가하게 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이다.
상기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11)은 상면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편의상 "장변방향"(도 1에서 화살표 X-X 방향)과 "단변방향"(도 1에서 화살표 Y-Y 방향)으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1)는 단변방향으로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로 구분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제1측면부(1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측면부(10)는, 오목홈(11)의 일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경사면부재(101)와, 오목홈(11)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바닥판부재(102)와, 오목홈(11)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면부재(103)와, 후술하는 제2측면부(20) 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면부재(10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신축봉(104)의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경사면부재(101)와 제1바닥판부재(102)는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부(105)에 의하여 양 부재사이의 연결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오목홈(11)의 장변방향 경사면의 기울어지는 정도가 오목홈(11) 마다 달라지더라도 상기 힌지부(105)를 중심으로 제1경사면부재(101)와 제1바닥판부재(102) 사이의 연결각도를 변화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1수직면부재(103)를 제1경사면부재(101) 또는 제1바닥판부재(102)에 부착 결합시키면, 달라진 형상의 오목홈(11)에 맞추어서 용이하게 거푸집 장치(1)를 조정하여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제1측면부(10)의 제1바닥판부재(102)와 제2측면부(20)의 제2바닥판부재(202)는 서로 포개어져서 신축이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바닥판부재(102)에 그 두께 내부가 단변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서 바닥판 삽입홈(10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 삽입홈(1021)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가 결합될 때, 제2측면부(20)의 제2바닥판부재(202)가 삽입된다.
상기 제1수직면부재(103)는 오목홈(11)의 단변방향 수직면 일부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상기 제1경사면부재(101) 또는 제1바닥판부재(102)의 장변방향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결합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제1측면부(10)의 제1수직면부재(103)는 제2측면부(20)의 제2수직면부재(203)와 서로 포개어져서 신축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수직면부재(103)에도 그 두께 내부가 단변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서 면부재 삽입홈(10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면부재 삽입홈(1031)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제2측면부(20)의 제2수직면부재(203)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경사면부재(101), 제1바닥판부재(102) 및 제1수직면부재(103)는 강재판이나, 이에 대응되는 합성수지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신축봉(104)은 봉부재로 구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경사면부재(101)에 부착되고 제2측면부(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신축봉(104)에는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턴버클과 같은 회전부재(30)가 제1신축봉(104)의 돌출 단부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제2측면부(2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2측면부(20)는, 오목홈(11)의 타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2경사면부재(201)와, 오목홈(11)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바닥판부재(202)와, 오목홈(11)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203)와, 상기 제1측면부(10) 방향으로 상기 제2경사면부재(20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신축봉(204)의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제2경사면부재(201)와 제2바닥판부재(202)는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부(205)에 의하여 양 부재사이의 연결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제2측면부(20)에서의 힌지부(205) 구성의 효과는 앞서 제1측면부(1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바닥판부재(202)는 오목홈(11)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인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제1바닥판부재(102)의 바닥판 삽입홈(1021)에 단부가 삽입되고,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의 간격이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제2바닥판부재(202)의 단부가 바닥판 삽입홈(1021)에 삽입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상기 제2수직면부재(203)는 오목홈(11)의 단변방향 수직면 일부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상기 제2경사면부재(201)의 장변방향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수직면부재(203)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것처럼, 제1수직면부재(103)에 형성된 면부재 삽입홈(1031)에 단부가 삽입되고,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의 간격이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제2수직면부재(203)의 단부가 면부재 삽입홈(1031)에 삽입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상기 제2경사면부재(201), 제2바닥판부재(202) 및 제1수직면부재(203) 역시 강재판이나, 이에 대응되는 합성수지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2신축봉(204)은 봉부재로 구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경사면부재(201)에 부착되고 제1측면부(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신축봉(204)에도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신축봉(104)에 형성된 나사부와 그 나사 형성방향이 반대가 된다. 제2신축봉(204)의 돌출 단부 역시 회전부재(30)에 결합된다. 즉, 회전부재(30)의 양측에는 각각 제1신축봉(104)의 돌출 단부와 제2신축봉(204)의 돌출단부가 결합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은 나사 형성 방향이 반대이므로, 회전부재(30)를 일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이 서로 당겨지게 되고, 반대측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이 서로 멀어지게 된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가 조립되어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1)를 이루는 것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거푸집 장치(1)를 설치하여 오목홈(11)을 형성한 후 거푸집 장치(1)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는 단변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경사면부재(101)와 제2경사면부재(201)가 마주하게 되고, 제1바닥판부재(102)와 제2바닥판부재(202)는 서로 포개지게 되는데, 상기 제1바닥판부재(102)와 제2바닥판부재(202)가 서로 포개지는 정도는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바닥판부재(202)의 단부가 제1바닥판부재(102)의 바닥판 삽입홈(1021)에 삽입되는 것이다.
제2수직면부재(203)와 제1수직면부재(103) 역시 서로 포개지는 정도가 변화될 수 있는 구조로 서로 포개지게 되는데,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수직면부재(203)의 단부가 제1수직면부재(103)의 면부재 삽입홈(1031)에 삽입된다.
아울러, 마주하는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은 회전부재(30)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1경사면부재(101)와 제2경사면부재(201)에 의해 오목홈(11)의 장변방향 경사진 면이 형성되고, 제1바닥판부재(102)와 제2바닥판부재(202)에 의해 오목홈(11)의 바닥면이 형성되며, 제1수직면부재(103)와 제2수직면부재(203)에 의해 오목홈(11)의 단변방향 양면이 형성되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에 대응되는 상면이 개방된 테이퍼 형태의 상자형상으로 거푸집 장치(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일단 원하는 크기의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위와 같이 상자형 거푸집 장치(1)를 조립하여 배치한 후, 거푸집 장치(1)의 외면이 콘크리트와 접하도록 거푸집 장치(1)의 주변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게 된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거푸집 장치(1)의 주변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되면, 거푸집 장치(1)를 탈형하여 제거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여 거푸집 장치(1)를 제거한다.
도 5는 도 1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1)의 조립 사시도로서, 거푸집 장치(1)가 탈형될 수 있도록 축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도 5에서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6은 오목홈(11)의 형성을 위해 거푸집 장치(1)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거푸집 장치(1)가 축소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거푸집 장치(1)를 오목홈(11)에서 빼내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양측에 각각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회전부재(3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이 서로 당겨지게 된다. 제2바닥판부재(202)의 단부는 제1바닥판부재(102)의 바닥판 삽입홈(1021)에 삽입되어 있고 제2수직면부재(203)의 단부는 제1수직면부재(103)의 면부재 삽입홈(103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이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 사이가 좁아지게 되면, 제1경사면부재(101)와 제2경사면부재(201)도 서로를 향해 당겨지게 되고, 제2바닥판부재(202)의 단부는 바닥판 삽입홈(1021)으로 더 깊게 삽입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203)의 단부도 면부재 삽입홈(1031)으로 더 깊게 삽입된다. 즉, 서로 포개져 있던 제2바닥판부재(202)와 제1바닥판부재(102)가 더욱 겹치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203)와 제1수직면부재(103)도 더욱 겹치게 되 는 것이며, 그에 따라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가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1)는 단변 방향으로의 전체 폭이 축소되는 것이다. 이렇게 축소된 거푸집 장치(1)의 단변 방향 폭이, 오목홈(11)의 상면 개방구의 단변 방향 폭 미만이 되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거푸집 장치(1)를 들어 올려 오목홈(11)로부터 빼내게 된다.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1)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확장시켜야 하는데, 회전부재(30)를 상기한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이 서로 멀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제2바닥판부재(202)의 단부가 제1바닥판부재(102)의 바닥판 삽입홈(10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판 삽입홈(102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수직면부재(203)의 단부 역시 제1수직면부재(103)의 면부재 삽입홈(1031)에 삽입된 상태에서 면부재 삽입홈(103)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경사면부재(101)와 제2경사면부재(201)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즉, 제2바닥판부재(202)와 제1바닥판부재(102)가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203)와 제1수직면부재(103)도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가 멀어짐으로써 거푸집 장치(1)가 단변 방향으로의 전체 폭이 늘어나서, 거푸집 장치(1)가 오목홈(11)에 대응되는 크기로 확장되는 것이다. 청소 등을 위하여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를 완전히 분리할 때를 제외하고는, 이와 같이 확장이 일어날 때, 제2바닥판부재(202)의 단부가 바닥판 삽입홈(1021)으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으며, 제2수직면부재(203)의 단부 역시 면부재 삽입홈(1031)으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1)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11)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면서도, 회전부재(3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서 단변 방향으로 그 크기가 확장 축소될 수 있으므로, 오목홈(11) 형성 후 용이하게 콘크리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 후에는 다시 확장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었던 몰드의 연성 재료를 파내서 제거하는 번거로운 작업도 전혀 필요 없으며,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1)는 강재판이나, 섬유보강 합성수지 등과 같이 강성이 큰 강체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그 형상의 유지 성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설계하였던 오목홈의 형상을 제대로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바닥판 삽입홈(1021)과 면부재 삽입홈(1031)이, 판 부재의 두께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변형하여 삽입 레일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도 9는 삽입 레일 형태의 바닥판 삽입홈(1021)과 면부재 삽입홈(1031)이 형성된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바닥판 삽입홈(1021)"과 "면부재 삽입홈(1031)"이라는 용어는 이렇게 ㄷ자 단면을 가지는 채널 형상의 삽입 레일 형태로 제작된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바닥판 삽입홈(1021)과 면부재 삽입홈(1031)이 모두 제1측면부(10)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바닥판 삽입홈(1021)은 제1측면부(10)의 제1바닥판부재(102)에 형성되고, 면부재 삽입홈(1031)은 제2측면부(20)의 제2수직면부재(203)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반대로 바닥판 삽입홈(1021)은 제2측면부(20)의 제2바닥판부재(202)에 형성되고, 면부재 삽입홈(1031)은 제1측면부(10)의 제1수직면부재(10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면부재 삽입홈(1031)은 제1측면부(10)에 구비되는 2개의 제1수직면부재(103)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1수직면부재(103) 중 하나에만 형성되고, 제2측면부(20)에 구비되는 2개의 제2수직면부재(203) 중의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측면부(10)의 제1바닥판부재(102)와 제2측면부(20)의 제2바닥판부재(202)는 서로 포개어져서 신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제1측면부(10)의 제1수직면부재(103)와 제2측면부(20)의 제2수직면부재(203) 역시 서로 포개어져서 신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1: 거푸집 장치
10: 제1측면부
20: 제2측면부
10: 제1측면부
20: 제2측면부
Claims (3)
- 콘크리트 부재에서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육면체의 형상은 콘크리트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깊어지면서 단변방향의 폭이 증가하게 되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오목홈(11)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1)로서,
상기 거푸집 장치(1)는 오목홈(11)의 단변방향으로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로 구분되며;
상기 제1측면부(10)는, 오목홈(11)의 일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경사면부재(101)와, 오목홈(11)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바닥판부재(102)와, 오목홈(11)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면부재(103)와, 제2측면부(20) 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면부재(10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신축봉(104)의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측면부(20)는, 오목홈(11)의 타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2경사면부재(201)와, 오목홈(11)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바닥판부재(202)와, 오목홈(11)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203)와, 상기 제1측면부(10) 방향으로 상기 제2경사면부재(20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신축봉(204)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닥판부재(102)와 제2바닥판부재(202)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 위치하고, 제1수직면부재(103)와 제2수직면부재(203)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서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신축봉(104)과 상기 제2신축봉(204)은 회전부재(30)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3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이 서로 당겨져서, 포개져 있던 제2바닥판부재(202)와 제1바닥판부재(102)가 더욱 겹치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203)와 제1수직면부재(103)도 더욱 겹치게 되어,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가 좁아져서, 거푸집 장치(1)를 오목홈(11)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거푸집 장치(1)가 축소되며;
상기 회전부재(30)를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이 서로 멀어지게 되어, 제2바닥판부재(202)와 제1바닥판부재(102)가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203)와 제1수직면부재(103)도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되어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가 벌어져서 거푸집 장치(1)가 오목홈(11)에 대응되는 크기로 확장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11) 형성을 위한 거푸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판부재(102)와 상기 제2바닥판부재(202) 중 어느 일측의 바닥판 부재에는, 타측의 바닥판부재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의 바닥판부재의 두께 내부가 단변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서 바닥판 삽입홈(10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바닥판부재(102)와 제2바닥판부재(202)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져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수직면부재(103)와 제2수직면부재(203) 중 어느 일측의 수직면부재에도, 타측의 수직면부재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수직면부재의 두께 내부가 단변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서 면부재 삽입홈(10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수직면부재(103)와 제2수직면부재(203)와 서로 포개어져서 신축이 가능하게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11) 형성을 위한 거푸집 장치.
-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육면체의 형상은 콘크리트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깊어지면서 단변방향의 폭이 증가하게 되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오목홈(11)을 콘크리트 부재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단변방향으로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로 구분되어 있는 거푸집 장치(1)를 배치하고;
상기 거푸집 장치(1)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경화 후 거푸집 장치(1)를 제거하여 오목홈(11)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측면부(10)는, 오목홈(11)의 일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경사면부재(101)와, 오목홈(11)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바닥판부재(102)와, 오목홈(11)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면부재(103)와, 제2측면부(20) 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면부재(10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신축봉(104)의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측면부(20)는, 오목홈(11)의 타측 장변방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2경사면부재(201)와, 오목홈(11)의 바닥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바닥판부재(202)와, 오목홈(11)의 단변방향 수직면을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203)와, 상기 제1측면부(10) 방향으로 상기 제2경사면부재(20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신축봉(204)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닥판부재(102)와 제2바닥판부재(202)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져 위치하고, 제1수직면부재(103)와 제2수직면부재(203)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서로 포개어져서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신축봉(104)과 상기 제2신축봉(204)은 회전부재(30)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거푸집 장치(1)의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된 후, 상기 회전부재(3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이 서로 당겨져서, 포개져 있던 제2바닥판부재(202)와 제1바닥판부재(102)가 더욱 겹치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203)와 제1수직면부재(103)도 더욱 겹치게 되어,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가 좁아져서 거푸집 장치(1)를 축소시켜 오목홈(11)으로부터 거푸집 장치(1)를 빼내게 되고;
거푸집 장치(1)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회전부재(30)를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신축봉(104)과 제2신축봉(204)이 서로 멀어지도록 하여 제2바닥판부재(202)와 제1바닥판부재(102)가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됨과 동시에 제2수직면부재(203)와 제1수직면부재(103)도 포개진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되어 제1측면부(10)와 제2측면부(20) 사이가 벌어져서 거푸집 장치(1)를 오목홈(11)에 대응되는 크기로 확장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11)을 형성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17285A KR101151635B1 (ko) | 2010-11-24 | 2010-11-24 |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17285A KR101151635B1 (ko) | 2010-11-24 | 2010-11-24 |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5856A true KR20120055856A (ko) | 2012-06-01 |
KR101151635B1 KR101151635B1 (ko) | 2012-06-08 |
Family
ID=4660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117285A KR101151635B1 (ko) | 2010-11-24 | 2010-11-24 |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163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01206A (zh) * | 2014-09-29 | 2015-12-30 | 中建四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调整铝合金模板标高的方法及梯形模具 |
EP3347548A4 (en) * | 2015-09-09 | 2019-05-22 | Walk Safe Innovations, LLC | RECESSED CONTAINER FOR PRODUCING PERFORATIONS IN A CASTED CONCRETE AND METHOD FOR USE |
CN110821169A (zh) * | 2019-11-06 | 2020-02-21 | 中冶天工集团天津有限公司 | 一种用于混凝土墙体水暖点位预埋定型的快拆装置 |
KR102675424B1 (ko) * | 2023-08-24 | 2024-06-14 | 트리폴건설(주) | 레일부상방지용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8530B1 (ko) | 2013-05-02 | 2014-05-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신축기구를 구비한 거푸집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6668Y1 (ko) | 2001-01-05 | 2001-06-15 | 류호원 | 배수로 설치용 형틀 |
KR200366076Y1 (ko) | 2004-08-11 | 2004-10-28 | 주식회사 신기술건설 |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
-
2010
- 2010-11-24 KR KR20100117285A patent/KR10115163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01206A (zh) * | 2014-09-29 | 2015-12-30 | 中建四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调整铝合金模板标高的方法及梯形模具 |
CN105201206B (zh) * | 2014-09-29 | 2017-05-17 | 中建四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调整铝合金模板标高的方法及梯形模具 |
EP3347548A4 (en) * | 2015-09-09 | 2019-05-22 | Walk Safe Innovations, LLC | RECESSED CONTAINER FOR PRODUCING PERFORATIONS IN A CASTED CONCRETE AND METHOD FOR USE |
US10837183B2 (en) | 2015-09-09 | 2020-11-17 | Walk Safe Innovations, Llc | Rough-in box for creating penetrations in poured concrete flooring and method of use |
CN110821169A (zh) * | 2019-11-06 | 2020-02-21 | 中冶天工集团天津有限公司 | 一种用于混凝土墙体水暖点位预埋定型的快拆装置 |
KR102675424B1 (ko) * | 2023-08-24 | 2024-06-14 | 트리폴건설(주) | 레일부상방지용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1635B1 (ko) | 2012-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90001B2 (en) |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 |
KR101151635B1 (ko) |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 | |
KR101645538B1 (ko) | 더블 벽체 및 더블 벽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더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765107B1 (ko) |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KR101859398B1 (ko) |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854653B1 (ko) | 노출콘크리트 공법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588115B1 (ko) | 트러스 데크를 활용한 프리패브 중공벽 및 그 제작방법 | |
KR20110000140U (ko) |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의 이음부재 구조 | |
CN211395413U (zh) | 预制过水箱涵连接结构 | |
KR101552343B1 (ko) | 기둥 폼 지지 장치 | |
RU2330148C2 (ru)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модул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CN210712849U (zh) | 一种可移动沟道壁混凝土浇筑装置 | |
JP2012172476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構造および再生方法 | |
KR101899860B1 (ko) |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 |
KR101859406B1 (ko) |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915184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줄눈 형성부재 | |
KR101203190B1 (ko) | 콘크리트용 거푸집 | |
JP6151740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構造 | |
KR101859408B1 (ko) |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 |
KR101915181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
CN110524686A (zh) | 一种用于成型变截面桩的模具 | |
CN204899214U (zh) | 现浇混凝土加筋模盒 | |
KR101490522B1 (ko) | 슬래브와 벽체(기둥) 사이의 시공 접합 공법 | |
CN215471904U (zh) | 混凝土桩墙成型模 | |
CN209178852U (zh) | 一种公路混凝土盖板涵、箱涵移动模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