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864A -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864A
KR20120053864A KR1020100115198A KR20100115198A KR20120053864A KR 20120053864 A KR20120053864 A KR 20120053864A KR 1020100115198 A KR1020100115198 A KR 1020100115198A KR 20100115198 A KR20100115198 A KR 20100115198A KR 20120053864 A KR20120053864 A KR 20120053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ate
cutting
injection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171B1 (ko
Inventor
정종호
Original Assignee
창성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성정밀(주) filed Critical 창성정밀(주)
Priority to KR102010011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1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의 완료 후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기 전에 게이트를 자동으로 절단하여 제거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는 상호 형합되어 사출제품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제2 금형과, 제1, 제2 금형의 일측에 마련되며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스프루부시와, 상기 스프루부시로부터 용융수지가 캐비티를 향해 이동하도록 형성된 런너와, 상기 런너와 캐비티를 연결하며 용융수지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게이트가 마련된 사출금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비티에 용융수지가 충진되고 경화된 후, 사출제품에 부착된 게이트과 사출제품의 경계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향해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팅유닛과, 상기 커팅유닛을 하강 구동시키기 위한 하강구동수단과, 상기 제2 금형에 설치되며, 상기 커팅유닛에 의해 상기 게이트의 절단이 이루어질 때, 절단되는 게이트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금형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는 사출제품의 취출 후 게이트를 절단하기 위한 후가공 공정이 생략되므로 제품의 생샨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금형의 구조가 단순하여 금형의 제작비용이 크게 상승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GATE CUTT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의 완료 후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기 전에 게이트를 자동으로 절단하여 제거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데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 중 하나로써, 가열 실린더에서 용융시킨 수지를 고압으로 닫혀진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사출하여 고화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캐비티 형상에 상응하는 성형품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금형은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제조될 사출제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캐비티와,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와, 스프루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를 복수의 캐비티로 분산하여 공급하는 런너와, 런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게이트 등의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출성형기의 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용융 수지는 금형의 스프루와 런너 및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로 충진된 후 고화되며, 이렇게 고화된 성형품이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불필요한 부분인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도 캐비티와 함께 일체로 취출되므로 성형품으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후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근래에는 이러한 별도의 후공정에 따른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형 내에서 별도의 구동수단(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스프링 탄성기구등)에 의하여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8-0021974호 에는 스프루부쉬가 마련되는 고정측 부착판과 고정측 부착판의 하측에 상호 결합되어 소정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하 형판과 상,하 형판에 의해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성형품의 중앙 하측에 설치되어 게이트를 타발하는 제1이젝터핀과, 제1이젝터핀과 연설되고 상,하로 승강하는 상,하 이젝터 플레이터와, 상,하 이젝터 플레이터의 내부에 축설되어 성형품을 이탈시키는 제2 이젝터핀과, 상,하 형판을 형개하는 가동측 부착판을 포함한 금형을 통하여 상,하 형판을 형개시킨 후 상,하 이젝터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게이트를 타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스프링 탄성기구 등에 의해 구동하는 종래의 게이트 절단장치들의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출물의 성형 후 게이트가 자동으로 절단 된 상태로 제품의 취출이 이루어짐으로써 제품 취출 후 게이트를 절단하기 위한 별도의 후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는 상호 형합되어 사출제품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제2 금형과, 제1, 제2 금형의 일측에 마련되며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스프루부시와, 상기 스프루부시로부터 용융수지가 캐비티를 향해 이동하도록 형성된 런너와, 상기 런너와 캐비티를 연결하며 용융수지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게이트가 마련된 사출금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비티에 용융수지가 충진되고 경화된 후, 사출제품에 부착된 게이트과 사출제품의 경계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향해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팅유닛과, 상기 커팅유닛을 하강 구동시키기 위한 하강구동수단과, 상기 제2 금형에 설치되며, 상기 커팅유닛에 의해 상기 게이트의 절단이 이루어질 때, 절단되는 게이트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금형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제1 금형에 상기 성형 완료된 사출제품과 부착된 게이트를 향해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터부재와, 상기 커터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축을 구비하고, 상기 하강구동수단은 상기 제1 금형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 또는 상기 연결축이 지지되는 승강판을 상기 제2 금형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액튜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2 금형에 상기 커터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를 절단하는 커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커터부재에 의한 외력이 사라진 후 상기 지지부재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제1 금형으로부터 상기 하강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향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커터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금형에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융된 수지가 캐비티로 이동할 수 있게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삽입홈이 마련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제2 금형이 형합될 때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이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상승시키는 상승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승수단은 상기 제2 금형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를 상방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제2 금형의 상면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금형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강구동수단은 상기 제1 금형에 상단이 지지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커터부재 또는 상기 커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에 지지되어 상기 커터부재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는 사출제품의 취출 후 게이트를 절단하기 위한 후가공 공정이 생략되므로 제품의 생샨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금형의 구조가 단순하여 금형의 제작비용이 크게 상승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의 부분잘췌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의 커터유닛과 완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커터유닛과 완충부에 의한 절단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가 구비된 사출금형의 형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사출금형의 형개시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에 의한 절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이하 '절단장치'라 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절단장치(100)는 사출금형(10)에 설치되어 사출 성형되는 제품에 부착된 게이트(15)를 절단하는 것이다.
사출금형(10)은 상호 형합되어 사출제품(16)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공간 즉,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제2 금형(11,12)을 구비한다.
제1, 제2 금형(11,12)에는 각각 상기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인입 또는 돌출된 제1, 제2 성형코어(13,1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금형(1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용융된 수지를 상기 캐비티로 주입하기 위해 스프루부시와 런너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제2 금형(11,12)이 형합된 후 형성된 캐비티에 용융수지를 주입한 다음 냉각시키면 캐비티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출제품(16)이 성형되는데, 이 사출제품(16)에는 게이트(15)에 잔류하는 냉각된 수지도 함께 부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절단장치(100)를 통해 상기 사출제품(16)에 부착된 게이트(15)를 절단한 후 제품을 취출한다.
절단장치(100)는 커팅유닛(110)과, 연결축(120), 액튜에이터(140) 및 지지유닛(150)을 구비한다.
상기 커팅유닛(110)은 성형된 사출제품(16)과 게이트(15)의 경계부를 절단하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사출제품(16)과 게이트(15)의 경계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커터부재(111)를 포함한다.
커터부재(111)는 하단의 가장자리가 게이트(15)와 사출제품(16)의 경계부에 위치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지며 본 실시예와 같이 두 개의 사출제품(16)을 동시에 성형하는 금형에 설치되는 경우 각 사출제품(16)들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한번의 하강으로 양 측 사출제품(16)에 부착된 게이트(15)를 동시에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팅유닛(110)은 후술하는 액튜에이터(140)에 의해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축(120)은 제1 금형(11)을 따라 커터부재(1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액튜에이터(14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액튜에이터(140)는 연결축(120) 및 커팅유닛(110)을 절단작업을 위해 승강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액튜에이터(140)는 공압실린더가 적용되었으며, 실린더 본체는 제1 금형(11)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 로드가 승강판(141)과 연결되어 승강판(141)을 승강시킴으로써 커팅유닛(110)을 승강 구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튜에이터(140)가 공압을 이용하는 공압실린더가 적용되었으나 이 외에도 유압실린더나 스크류 타입의 액튜에이터(140)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유닛(150)은 제2 금형(12)에 설치되어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커팅유닛(1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유닛(150)은 제2 금형(12)의 상면에 마련되는데, 게이트(15)를 절단하기 위해 하강하는 커팅유닛(11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제2 금형(1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151)와, 이 지지부재(151)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5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51)의 상면에는 용융수지가 주입되도록 이동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삽입홈(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팅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제2 삽입홈(112)과 함께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15)를 형성하게 된다.
지지부재(151)는 커터부재(111)가 하강하면 커터부재(111)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는데, 게이트(15)의 하단까지 말끔하게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커터부재(111)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 하방으로 소정깊이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53)는 지지부재(151)의 하단을 지지하며 지지부재(151)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금형(12)에는 지지부재(151)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승강홈이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153)가 하단과 상단이 각각 이 승강홈의 바닥면과 지지부재(151)의 하단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지부재(151)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탄성부재(153)에 의해 지지부재(151)가 상사점에 이를때, 지지부재(151)의 상면이 제2 성형코어(14)의 상면과 나란하게 되어 제2 성형코어(14)와 함께 용융수지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인 게이트(15)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부재(151)가 하방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커터부재(111)가 게이트(15)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더 이동하여 절단면이 매끄럽게 잘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실시예의 절단장치(100)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 제2 금형(11,12)이 형합되어 캐비티가 형성되면 스프루부시를 통해 용융수지를 주입하고, 용융수지는 런너와 게이트(15)를 통과해 캐비티에 충진된다. 용융수지의 충진이 완료되면 수지의 충진을 중단하고 금형을 냉각시켜 제품을 성형한다.
용융수지가 경화되고 나면 제품의 취출을 준비하는데, 제1, 제2 금형(11,12)을 분리하기 전에 액튜에이터(140)가 승강판(141)을 소정거리 하강시키면서 커팅유닛(11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커팅유닛(110)의 하강에 의해 커터부재(111)는 사출제품(16)과 게이트(15)의 경계부분을 절단하면서 하방으로 하강하게 되고, 지지부재(151)가 커터부재(111)의 가압으로 인해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면서 사출제품(16)과 게이트(15)가 완전히 절단되어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게이트(15)가 절단 된 후 제1, 제2 금형(11,12)이 분리되고, 취출핀이 상승하면서 제품을 제2 금형(12)으로부터 분리하여 취출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단장치(200)는 제1 금형(201)에 설치되는 커팅유닛(210)과, 커팅유닛(210)을 하강시키는 하강구동수단(220)과, 제2 금형(202)에 설치되어 커팅유닛(21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30)을 구비한다.
상기 커팅유닛(210)은 제1 금형(201)에 하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커터부재(211)와, 커터부재(2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결축(212)을 구비한다.
커터부재(211)는 단부가 게이트(205)와 사출제품의 경계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205)가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게이트(205)와 사출제품의 경계부를 모두 절단할 수 있도록 각각의 게이트(205)를 절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커터부재(2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하나의 커터부재(211)가 복수개의 게이트(205)를 모두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영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212)은 상기 커터부재(2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축(212)의 상단은 후술하는 하강구동수단(220)에 의해 구동하는 하강판(22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강구동수단(220)은 커터부재(211)를 하방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금형(201)에 설치되는데, 상단이 제1 금형(201)의 내부에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하강판(221)에 지지되어 하강판(221)을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가 적용되었다.
따라서 제1, 제2 금형(201,202)이 분리되어 커터부재(211)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하강구동수단(220)에 의해 하강판(221), 연결축(212) 및 커터부재(211)가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동한다.
상기 하강판(221)은 연결축(212)이 통과하는 축공에 비해 직경이 크기 때문에 하강판(221)에 의해 커터부재(211)와 연결축(212)이 제1 금형(201)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하강판(221)에는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로드(22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연장로드(222)는 하단이 커터부재(211)의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조금 더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금형(201,202)이 형합될 때에는 상기 연장로드(222)가 제2 금형(202)에 접촉 및 가압되며, 연장로드(222)가 가압되면서 하강판(221)이 상승하면 커터부재(211)의 하단은 게이트(205)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230)은 제1, 제2 금형(201,202)의 형합시 용융수지가 이동할 수 있게 게이트(205)를 형성하고, 제1, 제2 금형(201,202)의 분리시에 하방으로 하강하면서 게이트(205)를 절단하기 위해 하강하는 커터부재(211)가 하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재(231)와, 지지부재(231)를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상승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231)는 상면에 용융수지가 이동하는 게이트(205)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삽입홈(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방으로 소정깊이 하강할 수 있도록 제2 금형(20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231)는 제2 금형(202)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홀(241)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금형(202)의 상면을 통해 제1 금형(201)측으로 노출되는 상단부(233)와, 상단부(233)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홀(24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지지부재(231)의 승강높이를 제한하는 중간부(234)와, 중간부(234)의 하단에 형성되며, 중간부(234)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게 형성된 하단부(235)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부(234)가 상단부(233)나 하단부(235)보다 크기가 크기 때문에 중간부(234)의 가장자리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걸림턱(236)과 받침턱(237)이 형성되며, 걸림턱(236)이 승강홀(241)의 하단에 걸려 지지부재(231)가 승강하는 높이를 제한하고, 받침턱(237)은 후술하는 상승수단의 레버부재(238)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상승수단은 상술한 것처럼 지지부재(231)를 승,하강시켜 게이트(205)를 형성하거나 게이트(205)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상승수단은 제2 금형(202)에 설치된 레버부재(238)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부재(238)는 제2 금형(202)의 내부에 브라켓에 회전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레버부재(238)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231)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금형(202)에는 상기 레버부재(238)의 타단 즉, 상기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일단부와 대향되는 타단부가 제2 금형(20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노출홀(2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부재(238)의 타단부는 노출홀(242)을 통해 제1 금형(201)을 향해 노출된다.
제1, 제2 금형(201,202)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금형(202)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지지부재(231)의 하중에 의해 지지부재(231)가 하강한 상태가 되고, 지지부재(231)를 받치는 레버부재(238)의 일단부가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타단은 제2 금형(202)의 상부로 돌출되게 레버부재(238)가 회전한다.
반대로 제1, 제2 금형(201,202)이 형합되면 제1 금형(201)에 의해 레버부재(238)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레버부재(238)의 일단이 상방으로 승강하도록 레버부재(238)가 회전하게 되며, 레버부재(238)에 의해 지지부재(231) 역시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지지부재(231)의 상면이 제1 금형(201)의 하단부(235)와 접촉하고, 용융수지가 이동할 수 있는 게이트(205)를 형성하게 된다.
아래에서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절단장치(200)에 의한 사출성형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제2 금형(201,202)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커터부재(211)가 하방으로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제2 금형(202)에 형성된 지지부재(231)도 하방으로 하강되어 있는 상태이고, 지지부재(231)를 지지하고 있는 레버부재(238)는 타단부가 노출홀(242)을 통해 제2 금형(202)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사출성형을 위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제2 금형(201,202)이 형합되어 캐비티를 형성하게 되면 연장로드(222)가 제2 금형(202)에 의해 가압되면서 하강판(221)과 커터부재(211)는 제1 금형(201)에 대하여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제1 금형(201)이 레버부재(238)의 타단을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레버부재(238)는 회전하게 되며, 지지부재(231)를 지지하는 레버부재(238)의 일단이 상승하면서 지지부재(231)를 함께 승강시켜 지지부재(231)의 상면이 제2 금형(202)의 상면과 나란한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 지지부재(231)의 삽입홈(232)은 제1 금형(201)에 형성되어 있는 홈과 함께 용융수지가 이동할 수 있는 게이트(205)를 형성하게 된다.
제1, 제2 금형(201,202)이 형합된 후에는 스프루부시(203)를 통해 용융수지를 주입하며, 용융수지는 런너(204)와 게이트(205)를 통과해 캐비티에 충진된다. 용융수지의 충진이 완료되면 소정의 냉각시간을 거쳐 용융수지를 경화시킨다.
수지의 경화가 완료된 후에는 제품의 취출을 위해 제1, 제2 금형(201,202)이 분리되는데, 제1 금형(201)이 제2 금형(202)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하강구동수단(220)의 탄성력에 의해 커터부재(211)가 제1 금형(201)의 하면으로부터 인출되면서 게이트(205)와 사출제품의 경계부를 절단하게 되며, 이 때, 제1,제2 금형(202)의 분리에 의해 레버부재(238)의 타단이 제2 금형(202)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지지부재(231)도 제1 금형(2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한다.
지지부재(231)가 하강하게 되므로 커터부재(211)가 게이트(205)의 하단까지 완벽하게 절단하도록 하강할 수 있으며, 제1, 제2 금형(201,202)이 완전히 분리된 후 사출제품이 취출될 때, 게이트(205)는 사출제품으로부터 절단되어 있으며 게이트(205)를 절단하기 위한 별도의 후공정이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출금형
11, 12; 제1, 제2 금형 13, 14; 제1, 제2 성형코어
15; 게이트 16; 사출제품
100;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110; 커팅유닛
111; 커터부재 113; 연마패드
120; 연결축
140; 액튜에이터
150; 지지유닛
151; 지지부재 153; 탄성부재
200;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210; 커팅유닛
211; 커터부재 212; 연결축
220; 하강구동수단
221; 하강판 222; 연장로드
230; 지지유닛
231; 지지부재 238; 레버부재

Claims (5)

  1. 상호 형합되어 사출제품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제2 금형과, 제1, 제2 금형의 일측에 마련되며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스프루부시와, 상기 스프루부시로부터 용융수지가 캐비티를 향해 이동하도록 형성된 런너와, 상기 런너와 캐비티를 연결하며 용융수지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게이트가 마련된 사출금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비티에 용융수지가 충진되고 경화된 후, 사출제품에 부착된 게이트과 사출제품의 경계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금형에 제2 금형을 향해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팅유닛과;
    상기 커팅유닛을 하강 구동시키기 위한 하강구동수단과;
    상기 제2 금형에 설치되며, 상기 커팅유닛에 의해 상기 게이트의 절단이 이루어질 때, 절단되는 게이트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금형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제1 금형에 상기 성형 완료된 사출제품과 부착된 게이트를 향해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터부재와, 상기 커터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축을 구비하고,
    상기 하강구동수단은 상기 제1 금형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 또는 상기 연결축이 지지되는 승강판을 상기 제2 금형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액튜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2 금형에 상기 커터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를 절단하는 커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커터부재에 의한 외력이 사라진 후 상기 지지부재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제1 금형으로부터 상기 하강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향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커터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금형에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융된 수지가 캐비티로 이동할 수 있게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삽입홈이 마련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제2 금형이 형합될 때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이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상승시키는 상승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수단은 상기 제2 금형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를 상방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제2 금형의 상면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금형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구동수단은 상기 제1 금형에 상단이 지지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커터부재 또는 상기 커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에 지지되어 상기 커터부재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KR1020100115198A 2010-11-18 2010-11-18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KR10118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198A KR101183171B1 (ko) 2010-11-18 2010-11-18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198A KR101183171B1 (ko) 2010-11-18 2010-11-18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864A true KR20120053864A (ko) 2012-05-29
KR101183171B1 KR101183171B1 (ko) 2012-09-21

Family

ID=4626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198A KR101183171B1 (ko) 2010-11-18 2010-11-18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1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834B1 (ko) * 2013-05-07 2013-11-05 윤남운 투명부를 갖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11583B1 (ko) * 2014-01-09 2014-06-24 윤헌플러스(주) 광학부품의 게이트 절단 장치
KR20200058226A (ko) * 2018-11-19 2020-05-27 나라엠텍(주) 사이드 게이트 자동절단장치를 구비한 사출금형
CN114131839A (zh) * 2021-10-25 2022-03-04 宁波力松注塑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机塑料注塑模具
CN114474613A (zh) * 2022-02-14 2022-05-13 浙江颢屹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二次注塑模具及其加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81B1 (ko) 2019-06-21 2020-12-31 주식회사 명성 런너 자동 분리형 용기입구측 사출금형
KR102050758B1 (ko) 2019-07-29 2019-12-02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금형 성형제품의 게이트 자동커팅장치
KR102380445B1 (ko) 2020-09-29 2022-03-31 (주)엔케이 자동차 내장재용 사출성형품 게이트 절단장치
KR20230136294A (ko) 2022-03-18 2023-09-26 정진곤 사이드 게이트물의 자동 절단 및 성형품의 취출을 위한 사출 금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90B1 (ko) 2006-02-13 2007-06-21 유수창 사출금형의 터널 게이트 절단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834B1 (ko) * 2013-05-07 2013-11-05 윤남운 투명부를 갖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14181939A1 (ko) * 2013-05-07 2014-11-13 Yun Nam Woon 투명부를 갖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9381684B2 (en) 2013-05-07 2016-07-05 Nam Woon YUN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film with transparent pa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11583B1 (ko) * 2014-01-09 2014-06-24 윤헌플러스(주) 광학부품의 게이트 절단 장치
KR20200058226A (ko) * 2018-11-19 2020-05-27 나라엠텍(주) 사이드 게이트 자동절단장치를 구비한 사출금형
CN114131839A (zh) * 2021-10-25 2022-03-04 宁波力松注塑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机塑料注塑模具
CN114131839B (zh) * 2021-10-25 2023-08-01 宁波力松注塑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机塑料注塑模具
CN114474613A (zh) * 2022-02-14 2022-05-13 浙江颢屹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二次注塑模具及其加工工艺
CN114474613B (zh) * 2022-02-14 2024-02-20 浙江颢屹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二次注塑模具及其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171B1 (ko) 201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171B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KR101178943B1 (ko) 사출물의 게이트 절단 및 연마장치
KR101138092B1 (ko) 금형주조장치
KR102281139B1 (ko) 사이드 게이트 자동절단장치를 구비한 사출금형
CN215969849U (zh) 一种侧抽芯顶出脱模模具
CN205969752U (zh) 一种过胶机的壳体注塑模具
KR101683032B1 (ko) 사출 금형장치의 사이드 게이트의 자동절단 및 성형물의 취출 방법
KR20140020793A (ko) 수직형 사출성형기
CN201346824Y (zh) 一种注塑模具
KR200421065Y1 (ko) 슬라이드 코어 작동방향 보스 언더컷 처리 구조
KR20150002220U (ko) 언더컷 회전 금형 취출장치
CN107696408A (zh) 高效生产带金属镶嵌件塑件的注射模具
KR20090004630U (ko) 수직 수평 언더컷 취출을 위한 슬라이드 코어
KR200413709Y1 (ko)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CN207432688U (zh) 一种断路器底座注塑模具
CN208305589U (zh) 一种镶拼式结构的航空航天用塑料电池排列线束板模具
KR101128121B1 (ko) 사출금형용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KR100964896B1 (ko) 디스크 게이트 컷팅이 가능한 사출 성형기
CN205969788U (zh) 塑料椅模具椅脚翘杆式抽芯锁模机构
CN216068467U (zh) 一种模具
JPS6037776B2 (ja) 射出成形装置
CN219256377U (zh) 模具的开合结构
KR20140082309A (ko) 사출 금형
CN211662562U (zh) 一种侧向抽芯模具
CN209320224U (zh) 具有强制带动顶针后退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