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678A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678A
KR20120053678A KR1020100114921A KR20100114921A KR20120053678A KR 20120053678 A KR20120053678 A KR 20120053678A KR 1020100114921 A KR1020100114921 A KR 1020100114921A KR 20100114921 A KR20100114921 A KR 20100114921A KR 20120053678 A KR20120053678 A KR 20120053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nductive
display area
upper substrate
sealing material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4784B1 (ko
Inventor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784B1/ko
Priority to US13/087,260 priority patent/US8648824B2/en
Priority to TW100119802A priority patent/TWI529466B/zh
Publication of KR2012005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곽에 형성된 제 1, 2비표시영역으로 각각 구획되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의 표시영역 상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패턴들과; 상기 상부기판의 제 1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라인들과;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감지라인들과연결된 다수의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는 FPC 본딩 패드부와;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재와; 상기 실링재와 중첩되는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투명 도전 패턴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외면에 부착되어 구성되는데, 별도로 제작된 터치 스크린 패널과 평판표시장치를 서로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제품의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고, 제조 원가를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평판표시장치의 상부기판 상에 직접 형성하며,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 봉지하는 실링재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FPC 본딩 패드들을 투명 도전성 물질(투명 도전 패턴)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영역에서 발생되는 실링재 박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FPC 본딩 패드부에 형성된 투명 도전 패턴들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실링재와 중첩되는 상부 기판 상에 영역에 투명 도전 패턴들을 형성함으로써, 실링재 경화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세기(Power)를 전 영역에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곽에 형성된 제 1, 2비표시영역으로 각각 구획되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의 표시영역 상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패턴들과; 상기 상부기판의 제 1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라인들과;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감지라인들과연결된 다수의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는 FPC 본딩 패드부와;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재와; 상기 실링재와 중첩되는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투명 도전 패턴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 도전 패턴들은 상기 감지패턴들과 동일한 물질로 구현되고, 상기 FPC 본딩 패드부에 형성되는 제 1투명 도전 패턴들과, 상기 FPC 본딩 패드부 이외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되는 제 2투명 도전 패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도전 패턴들 간의 간격은 약 300um이다.
또한, 상기 FPC 본딩 패드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본딩 패드들은, 상기 실링재와 중첩되는 제 1영역과 상기 실링재와 중첩되지 않는 제 2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영역 별로 구성이 상이하다.
이 때, 상기 본딩 패드의 제 1영역은,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소정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 1절연막과; 상기 개구된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 1투명 도전 패턴과; 상기 제 1투명 도전 패턴이 노출되도록 이와 중첩되는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 2절연막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딩 패드의 제 2영역은,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된 불투명 금속 패턴과; 상기 불투명 금속 패턴이 노출되도록 이와 중첩되는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 1절연막과; 상기 노출된 불투명 금속 패턴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된 제 1투명 도전 패턴과; 상기 제 1투명 도전 패턴이 노출되도록 이와 중첩되는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 2절연막이 포함되며, 상기 불투명 금속 패턴은 상기 감지라인들과 동일한 물질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불투명 금속 패턴은 상기 실링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소정 간격은 약 100um 이다.
또한, 상기 감지패턴들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된 X 감지패턴들 및 Y 감지패턴들을 포함하거나, 상기 X 감지패턴들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패터닝되고, 상기 Y 감지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재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용융되고, 용융된 실링재가 경화됨을 통해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이 합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이 평판표시장치의 상부기판 상에 직접 형성됨에 있어, 실링재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FPC 본딩 패드들이 레이저가 투과되는 투명 도전성 물질(투명 도전 패턴)로 형성되어, 이에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실링재가 상기 레이저 조사에 의해 충분히 경화됨으로써, 상기 영역에서 발생되는 실링재 박리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FPC 본딩 패드부에 형성된 투명 도전 패턴들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실링재(sealant)와 중첩되는 상부 기판 상에 영역에 투명 도전 패턴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FPC 본딩 패드부 영역에만 투명 도전 패턴이 형성될 경우 발생되는 문제 즉, 레이저 빔의 강도가 타 영역에 비해 낮아져 유효 실(seal) 폭이 변경됨을 극복할 수 있으며, 레이저 조사 시 레이저 파워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평판표시장치의 상부기판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대응되는 평판표시장치의 하부기판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표시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FPC 본딩 패드부의 확대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특정 부분(I-I', II-II')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평판표시장치의 상부기판에 대한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제 2실시예의 FPC 본딩 패드부 일측 끝단 영역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평판표시장치의 상부기판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응되는 평판표시장치의 하부기판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평판표시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평판표시장치의 상부 기판(10) 상에 직접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장치는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또는 액정표시장치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그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기판(10)은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봉지 기판이며, 이는 투명 재질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상부기판 즉, 봉지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패턴들(12, 14)과, 상기 감지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패드들(15) 및 감지라인들(16)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감지패턴들(12, 14)이 형성된 영역은 화상이 표시되어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표시 영역(20)이며, 상기 감지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패드들(15) 및 감지라인(16)들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표시영역(20)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 영역(3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비표시 영역(30)은 상기 금속 패드들(15) 및 감지라인들(16)이 형성된 제 1비표시영역(30')과, 상기 제 1비표시영역(30') 외곽부에 위치하여, 상기 각각의 감지라인들(16)과 연결되는 복수의 본딩 패드들(42)로 구성되는 FPC 본딩 패드부(40)가 형성된 제 2비표시영역(30")으로 나뉜다.
여기서, 상기 제 2비표시영역(30")의 하면에는 상기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미도시)을 합착하기 위한 실링재(140)가 형성되며, 상기 제 2비표시영역(30")의 상면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상기 실링재(140)가 경화됨을 통해 상기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미도시)이 합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영역(20) 내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패턴들(12, 14)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며, X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열 또는 Y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행 단위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X 감지패턴들(12) 및 Y 감지패턴들(1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X 감지패턴들(12)은 제1 방향(열 방향)을 따라 X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열에 배치된 감지패턴들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X 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Y 감지패턴들(14)은 제2 방향(행 방향)을 따라 Y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행에 배치된 감지패턴들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Y 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X 및 Y 감지패턴들(12, 14)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절연층을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터닝 단계에서부터 X 감지패턴들(12)을 제1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패터닝하고, Y 감지패턴들(14)을 제2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패터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컨택홀 및 연결패턴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마스크 수가 저감되고 공정이 단순화된다.
단, 이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하나의 실시예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X 및 Y 감지패턴들(12, 14)은 동일 레이어 즉, 상기 유리 기판(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X 및 Y 감지패턴들(12, 14) 중 어느 한 종류의 감지패턴들은 패터닝 단계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감지패턴들은 컨택홀 및 연결패턴 형성단계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패드들(15)은 상기 X 및 Y 감지패턴들(12, 14)이 형성된 표시영역의 가장자리 영역 즉, 제 1비표시영역(30')의 끝단에 배치되어 X 및 Y 감지패턴들(12, 14)을 제 1비표시영역(30') 상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라인들(16)과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패드들(15)은 하나의 열 또는 행 단위의 X 및 Y 감지패턴들(12, 14)을 각각의 감지라인(16)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미도시)로 접촉감지신호가 공급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금속패드들(15)은, 하나의 열 단위의 제1 감지패턴들(12)을 각각의 감지라인(16)과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하나의 행 단위의 제2 감지패턴들(14)을 각각의 감지라인(16)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라인(16)은 금속패드들(15)을 통해 제 X, Y 감지패턴들(12, 14)과 연결되어 이들을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한다.
또한, 상기 금속패드들(15) 및 감지라인(16)들은 저저항의 불투명 금속 물질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즉, 터치 스크린 패널(10)이 FPC 본딩 패드부(40)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가 실장된 FPC(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라인(16)은 FPC 본딩 패드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본딩 패드들(42)과 감지패턴들(12, 14)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성 터치 스크린 패널로, 사람의 손 또는 터치스틱 등과 같은 접촉물체가 접촉되면, 감지패턴들(12, 14)로부터 금속패드들(15) 및 감지라인(16)을 경유하여 구동회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리고,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기판에 대응한 하부기판(100)은 제 1 전극, 유기층 및 제 2 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한 각각의 화소(112)가 형성된 표시영역(110)과 표시영역(110)의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영역(120)을 포함한다.
이 때, 표시영역(110)은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으로 인해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영역(120)은 상기 표시영역(110) 상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112)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 회로 즉, 데이터 구동회로(132), 주사 구동회로(130) 등이 형성된 제 1비표시영역(120')과, 상기 제 1비표시영역(120') 외곽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10)을 합착하는 실링재(140)가 형성된 제 2비표시영역(120")으로 구분된다.
즉, 상기 하부기판(100)의 표시영역(110), 제 1, 2비표시영역(120', 120")은 앞서 도 1에 도시된 상부기판(10)의 표시영역(20), 제 1, 2비표시영역(30', 30")과 각각 중첩되도록 대응되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표시영역(110)은 행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주사선(S1 내지 Sn)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선(D1 내지 Dm)을 포함하며, 주사선(S1 내지 Sm)과 데이터선(D1 내지 Dm)에 유기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130, 132)부터 신호를 인가받는 복수의 화소(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비표시영역(120')에는 유기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들(130, 132)과, 상기 표시영역의 주사선(S1 내지 Sm) 및 데이터선(D1 내지 Dm)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금속배선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회로는 데이터 구동회로(132)와 주사 구동회로(130)를 포함하며, 하나의 IC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비표시영역(120")에는 실링재(140)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재(140)는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00) 사이에 형성되어 외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표시영역(110)을 밀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 도 2의 경우 상기 구동회로(130, 132)가 실링재(140)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구동회로는 실링재(140)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실링재(140)로는 고체 상태의 프릿(frit)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프릿을 제조하기 위해 유리 재료에 가해지는 열을 급격하게 떨어뜨리면 유리 분말 형태의 프릿이 생성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릿은 유리 분말에 산화물 분말을 포함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산화물 분말이 포함된 프릿에 유기물을 첨가하여 젤 상태의 페이스트로 만들고, 그것을 300℃ 내지 500℃의 범위로 소성한다. 상기 프릿을 소성하면 유기물은 공기 중으로 소멸되고, 젤 상태의 페이스트는 경화되어 고체 상태의 프릿으로 존재한다.
상기 실링재(140)로서의 프릿이 상기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00)의 제 2비표시영역(30", 120")에 도포된 뒤, 상기 실링재(140)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상기 실링재(140)은 용융되고, 상기 용융 상태의 실링재(140)가 경화됨으로써, 상기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00)이 합착된다.
이 때, 상기 실링재(140)를 용융 및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레이저 조사가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상기 실링재(140)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부기판(10)의 제 2비표시영역(30") 상의 FPC 본딩 패드부(40)가 상기 감지라인들(16)과 같은 불투명 금속으로 구현되면, 레이저가 투과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중첩된 영역에 위치한 실링재(140)의 용융 및 경화가 수행되지 못한다.
즉, 상기 영역에 대해서는 실링재가 완전히 경화되지 못해 이후 상기 영역에서 실링재 박리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FPC 본딩 패드부(40)가 구비된 제 2비표시영역(30")에 대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FPC 본딩 패드부(40)에 대하여, 상기 실링재(140)와 중첩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각각의 본딩 패드들(42)을 투명 도전성 물질(410)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영역에서 발생되는 실링재 박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FPC 본딩 패드부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FPC 본딩 패드부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특정 부분(I-I', II-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FPC 본딩 패드부(40)는 다수의 본딩 패드들(42)로 구성되며, 상기 본딩 패드들(42)은 하부에 실링재(140)와 중첩되는 제 1영역(300)과 실링재(140)와 중첩되지 않는 제 2영역(310)으로 나뉘며, 상기 영역 별로 구성이 상이하다.
상기 다수의 본딩 패드들(42)은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기판(10)의 제 2비표시영역(3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비표시영역(30") 하부의 일 영역에 실링재(1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딩 패드들(42)은 상기 실링재(140)와 중첩되는 제 1영역(300)과, 실링재(140)와 중첩되지 않는 제 2영역(310)으로 나뉘며,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링재(140)과 중첩되는 제 1영역(300)에는 도 1에 도시된 감지라인들(16)과 같은 불투명 금속 패턴(420)이 형성되지 않고, X, Y 감지패턴들(12, 14)와 같은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으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실링재(140)를 용융 및 경화시키기 위한 레이저를 투과시켜 상기 영역에서 발생되는 실링재 박리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단, 상기 제 2영역(310)에는 상기 제 1투명 도전 패턴(410) 하부에 저저항의 불투명 금속 패턴(4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저항의 투명 도전성 물질로 구현되는 본딩 패드들(42)의 저항값을 낮추게 한다.
이 때, 상기 불투명 금속 패턴들(420)은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감지 라인들(16)과 연결되며, 이를 통해 감지패턴들(12, 14)로부터 감지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FPC(미도시)에 실장된 구동회로(미도시) 측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 2영역(310)에 위치하는 불투명 금속 패턴(420)은 상기 실링재(140)와 중첩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d1) 이격 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간격은 100u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는 제조 공정 시의 얼라인 마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의 특정 부분 즉, 상기 제 1영역(I-I')에 대한 본딩 패드의 단면도 및 상기 제 2영역(II-II')에 대한 본딩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링재(140)과 중첩되는 제 1영역(300)에는 불투명 금속 패턴(420)을 제외한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으로 본딩 패드를 구현하고, 상기 제 2영역(310)에는 상기 제 1투명 도전 패턴(410) 하부에 저저항의 불투명 금속 패턴(420)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 2영역(II-II')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부기판(10) 상에 불투명 금속 패턴(420)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제 1절연막(40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불투명 금속 패턴(420)은 앞서 도 1에 설명된 감지라인들(16)과 동일한 재질로서 이와 동일한 레이어 상에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단, 상기 제 1절연막(402)은 상기 불투명 금속 패턴(420)이 노출되도록 이와 중첩되는 영역은 개구된다.
또한, 상기 노출된 불투명 금속 패턴(420)과 중첩되는 영역에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제 2절연막(404)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은 앞서 도 1에 설명된 X, Y감지패턴들(12, 14)과 동일한 재질로서 이와 동일한 레이어 상에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절연막(404)는 상기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이 노출되도록 이와 중첩되는 영역은 개구되며, 상기 개구된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은 이후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가 실장된 FPC(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반면에 제 1영역(I-I')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 2영역(II-II')의 단면도와 비교할 때, 상부기판(10) 상에 형성된 불투명 금속 패턴(420)이 제거된 상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부기판(10) 상에 소정 영역이 개구된 제 1절연막(4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영역을 포함하도록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제 2절연막(404)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투명 도전 패턴(410)은 앞서 도 1에 설명된 X, Y감지패턴들(12, 14)과 동일한 재질로서 이와 동일한 레이어 상에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단, 상기 제 2절연막(404)는 상기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이 노출되도록 이와 중첩되는 영역은 개구되며, 상기 개구된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은 이후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가 실장된 FPC(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FPC 본딩 패드부(40)에 의하면, 평판표시장치의 상부기판(10) 상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경우, 실링재(140)와 FPC 본딩 패드부(40)를 구성하는 본딩 패드들(42)과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될 수 밖에 없는데, 이 때 상기 중첩되는 본딩 패드(42) 부분을 투명 도전성 물질(410)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실링재(140)를 용융 및 경화시키는 레이저가 투과되어 상기 영역에서의 실링재 박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경우 FPC 본딩 패드부(40)에서의 실링재 박리 문제는 극복할 수 있으나, 상기 영역에 형성된 제 1투명 도전 패턴들(410)로 인해 실링재(140)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강도(intensity)가 상기 FPC 본딩 패드부(40) 이외 영역에 비해 저하되어 실제 경화되는 유효 실(seal) 폭이 변경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실링재(140)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파워를 상기 FPC 본딩 패드부(40)에 대해 타 영역보다 높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유효 실 폭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레이저의 파워를 2가지 이상으로 관리해야 하는 공정 상의 단점과, FPC 본딩 패드부(40)의 좌, 우측 끝단부에서 상기 레이저 파워가 급격히 변화됨에 의해 상기 영역에서의 기구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상기 FPC 본딩 패드부(40)에 형성된 제 1투명 도전 패턴들(410)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실링재(140)와 중첩되는 상부 기판(10) 상에 영역에 제 2투명 도전 패턴들을 형성함으로써, 실링재 경화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세기(Power)를 전 영역에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상기 FPC 본딩 패드부(40) 영역에만 제 1투명 도전 패턴(410)이 형성된 경우 발생되는 문제 즉, 레이저 빔의 강도가 타 영역에 비해 낮아져 유효 실(seal) 폭이 변경됨을 극복할 수 있으며, 레이저 조사 시 레이저 파워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평판표시장치의 상부기판에 대한 평면도이다.
단,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평판표시장치는 상부기판(10)의 제 2비표시영역(30") 중 실링재(140)와 중첩되는 영역에 대해 제 2투명 도전 패턴들(412)이 추가로 더 형성되는 점 이외에는 앞서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FPC 본딩 패드부(40)에 형성된 제 1투명 도전 패턴들(410)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실링재(140)와 중첩되는 상부 기판(10)의 제 2비표시영역(30")에 제 2투명 도전 패턴들(41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2투명 도전 패턴들(412) 간의 간격(d2)는 약 300um 이하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 1투명 도전 패턴들(410) 간의 간격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2투명 도전 패턴(412)은 앞서 도 1에 설명된 X, Y감지패턴들(12, 14)과 동일한 재질로서 이와 동일한 레이어 상에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투명 도전 패턴들(410, 412)이 형성된 상부 기판(10) 상에 레이저가 조사될 경우 상기 간격(d2)는 슬릿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상기 실링재(140)로 인가되는 레이저 빔의 세기(Power)를 전 영역에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실시예 구조의 단점 즉, 실링재(140)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강도(intensity)가 FPC 본딩 패드부(40) 이외 영역에 비해 저하되어 실제 경화되는 유효 실(seal) 폭이 변경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제 2실시예의 FPC 본딩 패드부 일측 끝단 영역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 본딩 패드부(40)를 구성하는 본딩 패드의 제 1투명 도전 패턴들 410) 중 최외곽에 위치한 제 1투명 도전 패턴들(410')는 FPC(미도시)와의 본딩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얼라인 키(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얼라인 키(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재(14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6a의 실시예는 상기 얼라인 키(44)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상기 얼라인 키(44)과 접촉되지 않도록 분리된 형상의 제 2투명 도전 패턴들(412')를 형성함으로써, 레이저 조사 시 상기 실링재(140)에 최대한 동일한 세기의 빔에 노출되도록 한다.
도 6b의 실시예는 상기 얼라인 키(44')를 제 1, 2투명 도전 패턴들(410, 412) 사이에 섬(island) 형태로 형성하여 FPC(미도시)와의 얼라인을 구현함과 동시에 상기 실링재(140)로 인가되는 레이저 빔의 세기(Power)를 전 영역에 동일하게 구현하도록 한다.
10: 상부기판 30, 120: 비표시영역
30', 120': 제 1비표시영역 30", 120": 제 2비표시영역
40: FPC 본딩 패드부 42: 본딩 패드
100: 하부기판 140: 실링재
410: 제 1투명 도전성 패턴 412: 제 2투명 도전성 패턴
422: 불투명 금속 패턴

Claims (13)

  1.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곽에 형성된 제 1, 2비표시영역으로 각각 구획되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의 표시영역 상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패턴들과;
    상기 상부기판의 제 1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라인들과;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감지라인들과연결된 다수의 본딩 패드들을 포함하는 FPC 본딩 패드부와;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재와;
    상기 실링재와 중첩되는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투명 도전 패턴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 패턴들은 상기 FPC 본딩 패드부에 형성되는 제 1투명 도전 패턴들과, 상기 FPC 본딩 패드부 이외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되는 제 2투명 도전 패턴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 패턴들 간의 간격은 300um 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PC 본딩 패드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본딩 패드들은, 상기 실링재와 중첩되는 제 1영역과 상기 실링재와 중첩되지 않는 제 2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영역 별로 구성이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패드의 제 1영역은,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소정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 1절연막과;
    상기 개구된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 1투명 도전 패턴과;
    상기 제 1투명 도전 패턴이 노출되도록 이와 중첩되는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 2절연막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 패턴들은 상기 감지패턴들과 동일한 물질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패드의 제 2영역은,
    상기 상부기판의 제 2비표시영역 상에 형성된 불투명 금속 패턴과;
    상기 불투명 금속 패턴이 노출되도록 이와 중첩되는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 1절연막과;
    상기 노출된 불투명 금속 패턴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된 제 1투명 도전 패턴과;
    상기 제 1투명 도전 패턴이 노출되도록 이와 중첩되는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 2절연막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금속 패턴은 상기 감지라인들과 동일한 물질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금속 패턴은 상기 실링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은 100um 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턴들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된 X 감지패턴들 및 Y 감지패턴들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X 감지패턴들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패터닝되고, 상기 Y 감지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패터닝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용융되고, 용융된 실링재가 경화됨을 통해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이 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20100114921A 2010-11-18 2010-11-1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174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921A KR101744784B1 (ko) 2010-11-18 2010-11-1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US13/087,260 US8648824B2 (en) 2010-11-18 2011-04-14 Flat panel display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TW100119802A TWI529466B (zh) 2010-11-18 2011-06-07 整合觸控螢幕面板的平面顯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921A KR101744784B1 (ko) 2010-11-18 2010-11-1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678A true KR20120053678A (ko) 2012-05-29
KR101744784B1 KR101744784B1 (ko) 2017-06-09

Family

ID=4606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921A KR101744784B1 (ko) 2010-11-18 2010-11-1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48824B2 (ko)
KR (1) KR101744784B1 (ko)
TW (1) TWI529466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454B1 (ko) * 2013-08-21 2014-09-03 전자부품연구원 네추럴 햅틱 피드백을 위한 터치스크린 레이어 및 그 제조방법
US8827536B2 (en) 2012-07-31 2014-09-09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Display device
KR20150057441A (ko) * 2013-11-19 2015-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90474A (ko) * 2014-01-29 2015-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08480A (ko) * 2014-03-17 2015-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40458A (ko) * 2016-06-10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7851B (zh) * 2012-05-22 2015-03-2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與觸控液晶顯示面板
KR20140013482A (ko) * 2012-07-24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56110B1 (ko) * 2012-10-04 2019-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4238784B (zh) * 2013-06-08 2018-03-0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
CN107918235A (zh) * 2013-12-31 2018-04-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KR102260263B1 (ko) * 2014-10-14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7250965A (zh) * 2015-02-12 2017-10-13 应用材料公司 适于用于光电装置中的层堆叠、光电装置、以及适于用于光电装置中的层堆叠的制造方法
CN106299148B (zh) * 2015-06-10 2018-04-0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的封装结构及封装方法
KR102556829B1 (ko) * 2016-06-29 2023-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기능을 갖는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6569650B (zh) * 2016-11-02 2020-03-1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摸面板及显示装置
CN106775065A (zh) * 2016-11-28 2017-05-3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
KR20180070774A (ko) * 2016-12-16 2018-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전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467874B1 (ko) 2017-10-16 202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562301B (zh) * 2017-10-30 2024-01-30 深圳市盛迪瑞科技有限公司 大尺寸电容式触摸屏及其内外屏之间的固定连接方法及连接件
KR102469090B1 (ko) * 2018-04-26 2022-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3660B1 (ko) 2018-07-04 2023-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87905A (ko) 2019-01-11 2020-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993676B (zh) * 2019-12-20 2022-06-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器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6851B2 (ja) * 1999-07-21 2008-07-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媒体、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8022939B2 (en) * 2007-10-12 2011-09-20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Touch panel, electro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I380071B (en) * 2008-02-04 2012-12-21 Au Optronics Corp Sensing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TWI377659B (en) * 2008-03-07 2012-11-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Active device array mother substrate
KR101073333B1 (ko) 2009-08-27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82294B1 (ko) 2009-09-04 2011-11-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1082162B1 (ko) 2009-12-03 2011-11-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7536B2 (en) 2012-07-31 2014-09-09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Display device
KR101437454B1 (ko) * 2013-08-21 2014-09-03 전자부품연구원 네추럴 햅틱 피드백을 위한 터치스크린 레이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7441A (ko) * 2013-11-19 2015-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90474A (ko) * 2014-01-29 2015-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08480A (ko) * 2014-03-17 2015-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40458A (ko) * 2016-06-10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48824B2 (en) 2014-02-11
KR101744784B1 (ko) 2017-06-09
US20120127092A1 (en) 2012-05-24
TW201222105A (en) 2012-06-01
TWI529466B (zh)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162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2012005367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108229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168933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JP5525589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401478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一体型平板表示装置
KR10214408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1908501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76656B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KR20130072635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108221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TW201731090A (zh) 有機發光顯示裝置
KR102297122B1 (ko) 압력센서
TWI566153B (zh)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與觸控顯示面板
TWI675318B (zh) 顯示面板及應用該顯示面板的電子裝置
KR20140131130A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JP2008216835A (ja) 薄型基板の製造方法
KR20220038312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50116985A (ko) 평판표시장치
US20190204959A1 (en) Touch input device
US9077344B2 (en) Substrate for electrical component and method
CN110471555A (zh) 配线基板、显示装置以及配线基板的制造方法
KR102558339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75649B1 (ko) 터치윈도우
TWI530743B (z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