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312A -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312A
KR20220038312A KR1020220030890A KR20220030890A KR20220038312A KR 20220038312 A KR20220038312 A KR 20220038312A KR 1020220030890 A KR1020220030890 A KR 1020220030890A KR 20220030890 A KR20220030890 A KR 20220030890A KR 20220038312 A KR20220038312 A KR 20220038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osed
barrie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137B1 (ko
Inventor
최영진
이미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1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01L27/322
    • H01L27/3246
    • H01L27/3262
    • H01L27/3276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4Transistor
    • H01L2924/1306Field-effect transistor [FET]
    • H01L2924/13069Thin film transistor [T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및 기판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연결 패드를 포함하고, 또한, 기판에 대향하며 제1 연결 패드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2 연결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제1 연결 패드 사이 또는 복수의 제2 연결 패드 사이에 배치된 격벽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격벽에 의해 도전성 볼이 제1 연결 패드들 사이 또는 제2 연결 패드들 사이에 위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연결 패드들 사이 또는 제2 연결 패드들 사이의 단락이 최소화되어,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불량률이 저감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연결 패드들의 단락이 최소화되어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상부 기판 상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현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은 별도로 제작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고, 증가된 두께로 인해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일체화된 인-셀(In-Cell) 방식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하부 기판의 하부 연결 패드 또는 상부 기판의 상부 연결 패드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와 같은 도전성 볼을 포함하는 연결 전도막이 부착된다. 또한, 하부 기판에 페이스 시일과 같은 접착 재료이 도포되거나 또는 접착필름이 부착된다. 다음으로, 연결 전도막이 상부 연결 패드 또는 하부 연결 패드에 부착된 후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이 합착된다.
그러나, ACF에 포함된 도전성 볼은 일정한 배열 또는 간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성 볼의 밀도는 제어할 수 있으나, 도전성 볼들 사이의 간격은 제어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합착 과정에서 인가되는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해 도전성 볼이 깨질 때, 도전성 볼들이 뭉쳐져 상부 연결 패드와 하부 연결 패드 사이뿐만 아니라 상부 연결 패드들 또는 하부 연결 패드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는 연결 패드 주변의 배선들이 연결되는 단락 불량도 발생할 수 있다.
도전성 볼의 크기가 상부 연결 패드와 하부 연결 패드를 연결시킬 수 있을 정도로 큰 것이 상부 연결 패드와 하부 연결 패드를 도통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한편, 사용되는 도전성 볼의 크기는 하부 연결 패드 및 상부 연결 패드의 크기 및 연결 패드들 사이의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하부 연결 패드 및 상부 연결 패드 사이의 간격이 작으면 복수의 도전성 볼들이 연속적으로 깨졌을 때, 도전성 볼에 의해 하부 연결 패드들 및 상부 연결 패드들 사이가 단락될 수 있으므로, 하부 연결 패드들 및 상부 연결 패드들 사이의 간격이 작게 유지되는 한 도전성 볼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이방성 도전필름,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모듈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11-0044813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 연결 패드들 사이 및 하부 연결 패드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도 용이한 도통을 위해 큰 사이즈의 도전성 볼이 사용되어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큰 사이즈의 도전성 볼을 사용하면서도 하부 연결 패드들 또는 상부 연결 패드들 사이의 단락이 최소화되어, 불량률이 저감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배치된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를 포함하고, 또한, 하부 기판에 대향하는 상부 기판 및 하부 연결 패드에 대응하도록 상부 기판에 배치된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 사이 또는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사이에 배치된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따르면, 격벽에 의해 도전성 볼이 상부 패드들 사이 또는 하부 패드들 사이에 위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부 패드들 사이 또는 하부 패드들 사이의 단락이 최소화되어,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불량률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부 연결 패드와 상부 연결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도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연결 전도막은 격벽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격벽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층 중 연결 전도막과 접하는 층이 나머지 층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연결 전도막은 도전성 볼을 포함하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연결 도전막은 도전성 볼을 포함하고, 접착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격벽의 높이는 적어도 도전성 볼의 직경의 1/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격벽의 폭은 도전성 볼의 직경의 1/4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격벽의 길이는 하부 연결 패드 또는 상부 연결 패드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부를 평탄화하는 하부 평탄화층, 하부 평탄화층 상에 배치된 뱅크층 및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격벽은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 사이에 배치된 격벽이고, 격벽은 하부 평탄화층, 뱅크층 및 스페이서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부 기판에 배치된 컬러필터, 컬러필터 상에 배치된 블랙 매트릭스 및 블랙 매트릭스와 컬러필터 상에 배치된 상부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고, 격벽은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사이에 배치된 격벽이고, 격벽은 컬러필터, 블랙 매트릭스 및 상부 평탄화층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격벽은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 각각 또는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부 기판에 배치된 터치 감지 전극을 더 포함하고, 터치 감지 전극은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격벽은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 사이 및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사이 모두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 사이 또는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사이의 간격은 격벽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하부 기판에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가 형성되고, 상부 기판에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또는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 사이에 격벽이 형성된다.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또는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 상에 도전성 볼들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도포하거나 도전성 볼들을 포함하는 ACF를 배치함으로써, 도전성 볼들이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와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이 합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격벽에 의해 도전성 볼들이 하부 연결 패드들 사이 또는 상부 연결 패드들 사이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합착시 상부 도전성 볼들의 연속적인 깨짐에 의해 단락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또는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 각각을 둘러싸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층을 적층함으로써 수행되고, 도전성 볼들을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와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는 ACF를 배치함으로써 수행되고,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는 복수의 층 중 ACF와 접하는 층이 나머지 층을 둘러싸도록 상부 기판 또는 하부 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전에 유기물을 하부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도전성 볼들을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와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는 도전성 볼들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도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격벽에 의해 도전성 볼들이 하부 연결 패드들 사이 또는 상부 연결 패드들 사이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하부 연결 패드들 사이 또는 상부 연결 패드들의 간격을 좁게 유지하면서 더 큰 도전성 볼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큰 도전성 볼은 상부 연결 패드와 하부 연결 패드의 도통을 보다 용이하게 하므로,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상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상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상에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서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 하부 기판(110), 하부 연결 패드(150), 구동 IC(191), FPCB 연결 패드(192)만을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 기판(110)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하부 기판(110)은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기판(110)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물질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 기판(110)을 지지하기 위한 백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부 기판(110)은 표시 영역(DA), 비표시 영역(NA) 및 노출 영역(EA)을 갖는다. 표시 영역(DA)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 발광 소자 등이 배치된 영역을 의미한다. 비표시 영역(NA)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선 또는 회로부가 배치되는 영역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싼다. 노출 영역(EA)은 비표시 영역(NA)의 일 측에서 연장되는 영역으로서, 상부 기판(115)과 하부 기판(110)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부 기판에 의해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노출 영역(EA)에는 FPCB와의 연결을 위한 FPCB 연결 패드(192) 및 구동 IC(191)가 배치되고,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NA)에 하부 연결 패드(150)가 배치된다. 하부 연결 패드(150)는 상부 기판(115)에 배치된 터치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FPCB로 전달하기 위한 패드로서, 비표시 영역(NA)에서 노출 영역(EA)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하부 연결 패드(150)는 비표시 영역(NA) 중 표시 영역(DA)과 노출 영역(EA)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연결 패드(150)는 FPCB 연결 패드(192)와 별도의 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연결 패드(150)는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다양한 도전성 물질 중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 연결 패드(150)가 하부 기판(11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하부 연결 패드(15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부 연결 패드(150)의 모양, 개수 등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기판(110) 상에 격벽(16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격벽(160)은 하부 연결 패드(150) 사이에 형성된다. 도 1에서 격벽(160)은 하부 연결 패드(150)와 상부 연결 패드(17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도전성 볼에 의해 하부 연결 패드(150)들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격벽(160)은 도전성 볼을 포함하는 연결 전도막이 하부 연결 패드(150)에 부착될 때, 도전성 볼이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하부 연결 패드(150)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도전성 볼을 유도할 수 있다. 도전성 볼이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에 위치되지 않으므로, 하부 연결 패드(150)들 간의 단락 발생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상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 상부 기판(115), 상부 연결 패드(170), 배선(175)만을 도시하였다.
상부 기판(115)은 하부 기판(110)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지지한다. 상부 기판(115)은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 기판(11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부 기판(115)은 하부 기판(110)의 노출 영역(E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부 기판(115)은 하부 기판(11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영역 및 하부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NA)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부 기판(115)의 크기는 하부 기판(110)에서 노출 영역(EA)을 제외한 영역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부 기판(110)의 노출 영역(EA)의 외곽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부 기판(115)의 상측에 점선으로 도시하였고, 하부 기판(110)의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A)의 경계에 대응하는 라인을 상부 기판(115) 내측에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상부 기판(115)의 점선 내부에는 터치 감지부가 형성된다. 터치 감지부는 하부 기판(11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터치 감지부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기판(115)에 상부 연결 패드(170)가 형성된다. 상부 연결 패드(170)는 하부 연결 패드(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부 기판(115)과 하부 기판(110) 합착 시, 상부 연결 패드(170)가 하부 연결 패드(150)와 중첩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연결 패드(170)는 배선(175)을 통해 터치 감지부의 터치 감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기판(110)과 도 2에 도시된 상부 기판(115)이 합착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에서는 상부 기판(115) 아래에 형성된 구성요소들에 대해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기판(110) 상에 멀티 버퍼층(115)이 형성된다. 멀티 버퍼층(115)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3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멀티 버퍼층(115) 상에는 액티브층(131), 게이트 전극(132), 소스 전극(133) 및 드레인 전극(134)을 포함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액티브층(131)과 게이트 전극(132)은 게이트 절연층(123)에 의해 절연되고, 층간 철연층(124)이 게이트 전극(132)과 소스 전극(133) 및 드레인 전극(134)을 절연시킨다. 그러나, 박막 트랜지스터(13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30) 상에는 평탄화층(141)이 형성된다. 평탄화층(141)은 박막 트랜지스터(130) 상부를 평탄화하는 층이다. 평탄화층(141)은 박막 트랜지스터(130)의 드레인 전극(134) 또는 소스 전극(133)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갖는다. 평탄화층(141) 상에는 애노드(136), 유기 발광층(137), 캐소드(138)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135)가 형성된다. 애노드(136)는 평탄화층(141)의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130)의 소스 전극(133) 또는 드레인 전극(134)과 연결된다. 애노드(136)의 측면에는 뱅크층(142)이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137)은 빛을 발광하기 위한 유기 발광 물질로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층(137)은 적색 유기 발광 물질, 녹색 유기 발광 물질 및 청색 유기 발광 물질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색을 발광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층의 유기 발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뱅크층(142) 상에는 유기 발광 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지지하는 스페이서(14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기 발광층(137)은 백색 빛을 발광하기 위한 복수의 층의 유기 발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143)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기 발광층(137) 상에는 캐소드(138)가 형성된다. 캐소드(138)는 매우 얇은 두께의 일함수가 낮은 금속성 물질 또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기판(115)과 하부 기판(110)을 합착하기 위한 접착층이 상부 기판(115)과 하부 기판(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접착층은 상부 기판(115)과 하부 기판(110)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 구성되고, 상부 기판(115)과 하부 기판(110)을 면 접착시킨다. 접착층은 하부 기판(110)에 형성된 표시부의 유기 발광 소자(135)를 밀봉하여,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 외부로부터의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135)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접착층으로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 OCR(Optical Clear Resin),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과 같은 접착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부 기판(115)의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컬러필터(144, 145)가 배치되고, 컬러필터(144, 145) 아래에는 블랙 매트릭스(146)가 배치된다. 블랙 매트릭스(146) 아래에는 터치 감지 전극(148)이 형성되며, 터치 감지 전극(148) 아래에는 상부 평탄화층(147)이 배치된다.
비표시 영역(NA)에서는 상부 기판(115) 아래에 배선(175)이 배치된다. 상부 기판(115) 아래에서 배선(175)의 측면에는 상부 연결 패드(170)가 배치된다. 또한, 상부 연결 패드(170)에 대응하도록 하부 기판(110) 상에는 하부 연결 패드(150)가 배치된다.
연결 전도막(185)이 하부 연결 패드(150)와 상부 연결 패드(170) 사이에 형성된다. 연결 전도막(185)은 도전성 볼(180)을 포함하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일 수 있다. 도전성 볼(180)은 하부 연결 패드(150)와 상부 연결 패드(17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에는 격벽(160)이 배치된다. 격벽(160)은 연결 전도막(185)과 접한다. 격벽(160)은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격벽(160)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 형성된 다양한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160)은 평탄화층(141), 뱅크층(142) 및 스페이서(143)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격벽(160)은 평탄화층(141) 및 뱅크층(142)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층 중에서 뱅크층(142)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최상부의 층은 연결 전도막(185)과 접하며, 연결 전도막(185)에 접하는 층(162)은 아래의 평탄화층(14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나머지 층(16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 3에서 격벽(160)의 길이(L2)는 하부 연결 패드(150) 또는 상부 연결 패드(170)의 길이(L1) 이상이다. 격벽(160)의 길이(L2)가 하부 연결 패드(150) 또는 상부 연결 패드(170)의 길이(L2)보다 작으면, 격벽(160)이 형성되지 않은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에 도전성 볼(180)이 위치되어, 하부 연결 패드(150)들이 단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150) 사이의 간격(W2)은 격벽(160)의 폭(W1)보다 크다. 하부 연결 패드(150) 사이의 간격(W2)이 격벽(160)의 폭(W1)보다 커야 절연성의 격벽(160)이 하부 연결 패드(150)를 덮지 않는다. 격벽(160)이 하부 연결 패드(150)를 덮게 되면, 도전성 볼(180)에 의한 하부 연결 패드(150)와 상부 연결 패드(170) 사이의 도통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에 격벽(160)이 형성되므로, 하부 연결 패드(150)와 상부 연결 패드(170)가 도전성 볼(180)로 연결될 때 격벽(160)에 의해 도전성 볼(180)이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에 위치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 연결 패드(150)들을 단락시키지 않으면서, 상부 연결 패드(170)와 하부 연결 패드(150)를 연결하는데 용이할 정도로 충분한 크기의 도전성 볼(18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크기의 도전성 볼(180)이 사용되면서도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의 간격을 좁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도전성 볼(180)을 포함하는 ACF와 같은 연결 도전막(185)을 채용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도전성 볼(180)을 통해 하부 연결 패드(150)와 상부 연결 패드(17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상부 기판(115)과 하부 기판(110)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과 동일한 물질로 연결 도전막(185)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접착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연결 도전막(185)은 도전성 볼(180)이 분산된 유기물을 하부 연결 패드(150)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유기물의 도포는 디스펜싱하는 방법, 메쉬 마스크(mesh mask)를 통한 스크린 프린팅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접착층과 동일한 물질로 연결 도전막(185)이 형성되면,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벤딩되는 경우, 표시 영역(DA)에 전달되는 힘과 비표시 영역(NDA)의 상부 연결 패드(170) 및 하부 연결 패드(150)에 전달되는 힘이 동일해진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벤딩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막들의 박리 현상 및 크랙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격벽(160)이 하부 기판(110) 상이 아닌 상부 기판(115) 아래에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격벽(160)은 상부 기판(115) 아래에 배치된다. 격벽(160)은 상부 기판(115)에 배치된 복수의 컬러필터(144, 145), 컬러필터(144, 145) 상에 배치된 블랙 매트릭스(146) 및 블랙 매트릭스(146)와 컬러필터(144, 145) 상에 배치된 상부 평탄화층(147)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서 격벽(160)은 컬러필터(144, 145), 블랙 매트릭스(146) 및 상부 평탄화층(147)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층 중에서 상부 평탄화층(147)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층은 연결 전도막(185)과 접하며, 연결 전도막(185)과 접하는 층(267)은 복수의 층 중 나머지 층(264, 265, 266)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격벽(160)이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 또는 상부 연결 패드(170)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격벽(160)은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 및 상부 연결 패드(170)들 사이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160)이 하부 연결 패드(150)들 그리고 상부 연결 패드(170)들 사이 모두에 배치되면, 도전성 볼(180)이 패드들 사이를 단락시키는 빈도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상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상부 기판(115)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상부 기판(115)과 비교하여 격벽(160)이 상부 연결 패드(170)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격벽(160)은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170)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격벽(160)이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170) 각각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경우, 도전성 볼(180)이 상부 연결 패드(170)에 접할 때, 도전성 볼(180)이 상부 연결 패드(170) 형성 부분을 이탈할 가능성이 감소된다. 또한, 상부 원장 기판의 스크라이빙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물들이 상부 연결 패드(170)를 단락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4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하부 기판(110)에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150)가 형성된다(S710).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150)는 하부 기판(110)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30)의 게이트 전극(132), 소스 전극(133) 또는 드레인 전극(134)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소스 전극(133) 또는 드레인 전극(134)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150)들이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부 기판(115)에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170)가 형성된다(S720).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170)는 상부 기판(115)에 형성되는 배선(175)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배선(175)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상부 연결 패드(170)들이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이어서, 복수의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150) 사이에 격벽(160)이 형성된다(S730). 격벽(160)의 형성은 복수의 층을 적층함으로써 수행되며, 격벽(1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탄화층(141), 뱅크층(142) 및 스페이서(143)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격벽(160)은 평탄화층(141)과 뱅크층(142)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층으로 이루어진다. 도 8c에서는 격벽(160)의 두께는 평탄화층(141) 및 뱅크층(142)의 두께 합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150) 상에 도전성 볼(180)들을 포함하는 연결 도전막(185)을 배치함으로써, 도전성 볼(180)들이 복수의 하부 연결 패드(150) 위에 배치된다(S740). 도 8d를 참조하면, 하부 패드 위에 도전성 볼(180)들을 포함하는 연결 도전막(185)이 배치된다. 연결 도전막(185) 상에는 보호막(192)이 부착된다. 도전성 볼(180)들은 연결 도전막(185) 내에서 불규칙한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격벽(160)의 높이(h1)는 적어도 도전성 볼(180)의 직경(h2)의 1/3이상이다. 격벽(160)의 높이(h1)가 적어도 도전성 볼(180)의 직경(h2)의 1/3이상인 경우, 도전성 볼(180)이 격벽(160)의 측면으로 이동되어 하부 연결 패드(150) 상에 배치되도록 유도된다. 격벽(160)의 높이(h1)가 도전성 볼(180)의 직경(h2)의 1/3미만인 경우, 도전성 볼(180)이 연속으로 이어져 하부 연결 패드(150)를 단락시키는 현상을 막기 어렵다.
격벽(160)의 폭은 도전성 볼(180)의 직경(h2)의 1/4이하이다. 격벽(160)의 폭이 도전성 볼(180)의 직경(h2)의 1/4이하이면, 도전성 볼(180)이 격벽(160)의 상부에 위치되지 않고, 격벽(160)의 측면을 따라 하부 연결 패드(150) 상에 배치되도록 유도된다. 격벽(160)의 폭이 도전성 볼(180)의 직경(h2)의 1/4를 초과하면, 도전성 볼(180)이 격벽(160)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도전성 볼(180)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부 연결 패드(150)들을 단락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전성 볼(180)들이 하부 연결 패드(150)에 접해지도록 연결 도전막(185)이 하부 기판(110)에 부착된다. 하부 기판(110)에 부착된 연결 도전막(185)에서 보호막(192)은 제거된다. 연결 도전막(185) 내에서 불규칙한 위치에 배치된 도전성 볼(180)들 중 일부는 격벽(160)의 측면을 따라 하부 연결 전극 상에 배치되도록 이동된다. 또한, 연결 도전막(185)이 하부 기판(110)에 부착되면서, 연결 도전막(185)이 격벽(160)을 가압하게 된다. 이 때,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격벽(160)의 연결 도전막(185)과 접하는 층(162)은 도 8e에서와 같이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복수의 층 중 나머지 층(16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부 기판(115)과 하부 기판(110)이 합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격벽(160)에 의해 도전성 볼(180)들이 하부 연결 패드(150)들 사이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상부 기판(115)과 하부 기판(110) 합착시 상부 도전성 볼(180)들의 연속적인 깨짐에 의해 단락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저감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 하부 기판
115 : 상부 기판
122 : 멀티 버퍼층
123 : 게이트 절연층
124 : 층간 절연층
130 : 박막 트랜지스터
131 : 액티브층
132 : 게이트 전극
133 : 소스 전극
134 : 드레인 전극
135 : 유기 발광 소자
136 : 애노드
137 : 유기 발광층
138 : 캐소드
141 : 평탄화층
142 : 뱅크층
143 : 스페이서
144, 145 : 컬러 필터
146 : 블랙 매트릭스
147 : 상부 평탄화층
148 : 터치 감지 전극
150 : 하부 연결 패드
160, 260, 360 : 격벽
161, 264, 265, 266 : 나머지 층
162, 267 : 연결 전도층에 접하는 층
170 : 상부 연결 패드
175 : 배선
180 : 도전성 볼
185, 190 : 연결 전도막
192 : 보호막
191 : 구동 IC
192 : FPCB 연결 패드

Claims (22)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제1 평탄화층 및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접착층;
    상기 기판에 대향하여 상기 표시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 상부에 있는 터치 감지부, 블랙 매트릭스 및 컬러 필터;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연결 패드;
    상기 기판에 대향하여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 패드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연결 패드;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평탄화층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애노드의 양 측면에 뱅크층이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상기 터치 감지부 사이에 형성된 제2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격벽은 상기 뱅크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2 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과 상기 격벽의 제1 층은 서로 이격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드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도전성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액티브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패드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와 상기 제2 연결 패드는 상기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연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 패드는 상기 터치 감지부 및 상기 배선과 상이한 층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도전성 볼을 포함하는 연결 전도막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배선을 통해 상기 제2 연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터치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격벽은 상기 제1 연결 패드보다 더 돌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격벽은 상기 제2 연결 패드보다 더 돌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연결 패드, 상기 제2 연결 패드,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터치 감지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폭은 상기 도전성 볼의 직경의 1/4 이하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드들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 연결 패드들 사이의 간격은 각각 상기 격벽의 폭보다 큰 것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높이는 상기 도전성 볼의 직경의 1/3 이상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도막은 상기 격벽과 접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의 복수의 층 중 상기 연결 전도막과 접하는 층이 나머지 층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도막은 도전성 볼을 포함하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로 이루어진 것인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도막은 상기 접착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층 상에 배치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상기 제1 평탄화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평탄화층 상에 상기 뱅크층 및 상기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격벽은 상기 제1 평탄화층, 상기 뱅크층 및 상기 스페이서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격벽은 상기 컬러 필터, 상기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제2 평탄화층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패드 각각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패드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20030890A 2014-09-04 2022-03-11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656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90A KR102656137B1 (ko) 2014-09-04 2022-03-11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50A KR102375250B1 (ko) 2014-09-04 2014-09-04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20030890A KR102656137B1 (ko) 2014-09-04 2022-03-11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50A Division KR102375250B1 (ko) 2014-09-04 2014-09-04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312A true KR20220038312A (ko) 2022-03-28
KR102656137B1 KR102656137B1 (ko) 2024-04-08

Family

ID=555415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50A KR102375250B1 (ko) 2014-09-04 2014-09-04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20030890A KR102656137B1 (ko) 2014-09-04 2022-03-11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50A KR102375250B1 (ko) 2014-09-04 2014-09-04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5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934B1 (ko) 2016-07-29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92890A (ko) 2019-01-24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872637B (zh) * 2019-04-02 2020-09-0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406621B1 (ko) * 2019-12-20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2179B1 (ko) * 2019-12-20 2021-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0492B1 (ko) * 2021-01-07 2023-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0475A (ja) * 2004-09-29 2012-08-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US20130009894A1 (en) * 2011-07-07 2013-01-10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display panel
KR20140005770A (ko) * 2012-07-05 2014-01-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KR20140030551A (ko) * 2012-08-31 2014-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96B1 (ko) * 2010-10-25 2017-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2040242B1 (ko) * 2011-05-12 2019-11-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
US9087972B2 (en) * 2012-04-17 2015-07-21 L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0475A (ja) * 2004-09-29 2012-08-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US20130009894A1 (en) * 2011-07-07 2013-01-10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display panel
KR20140005770A (ko) * 2012-07-05 2014-01-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KR20140030551A (ko) * 2012-08-31 2014-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250B1 (ko) 2022-03-15
KR102656137B1 (ko) 2024-04-08
KR20160028817A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137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0529746B2 (en) Display panel including external conductive pa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878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046952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JP5670994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525589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54738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WI644425B (zh) 有機發光顯示裝置
KR101908501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570288B2 (en) Touch panel having light-shielding layer
CN108133950B (zh) 触摸屏集成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8000532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8571A (ko) 터치 내장형 표시장치
KR10178328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46788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322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667055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5218A (ko) 표시 장치
JP2015219654A (ja) 表示装置
KR102569924B1 (ko)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0793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37223A (ko) 표시 장치
KR20240065547A (ko) 표시 장치
KR20240050989A (ko) 표시 장치
KR2023001889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