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106A - 수경재배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수경재배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106A
KR20120052106A KR1020100113580A KR20100113580A KR20120052106A KR 20120052106 A KR20120052106 A KR 20120052106A KR 1020100113580 A KR1020100113580 A KR 1020100113580A KR 20100113580 A KR20100113580 A KR 20100113580A KR 20120052106 A KR20120052106 A KR 2012005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pipe
bed
groun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706B1 (ko
Inventor
이길세
Original Assignee
이길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세 filed Critical 이길세
Priority to KR102010011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7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중력방향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측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형태의 조절부와 하측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형태의 조정부가 형성되는 수직파이프와 상기 수직파이프에 결합되며 양측이 엇갈리게 형성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거치홈을 형성한 지지부로 형성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거치홈에 위치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지지봉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지지봉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외부 하측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배수공과 배수구가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베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파이프의 사이로 고정대를 이용하여 거치대를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를 통해 베드를 간편하게 고정하고 지면과 베드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경재배용 지지대{The buttress for water culture}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추나 딸기와 같은 농작물을 재배할 때, 농작물이 경작되는 베드의 고정시키는 거치대를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으며, 베드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경재배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를 시행할 때, 농작물을 경작하는 베드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철근이나 파이프와 철끈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철근과 철근 또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철끈을 이용하여 간격과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베드를 지지하기 위해 일일이 철근을 조립하고 높이 및 간격을 조립하기 위한 작업의 증가로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177795호나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432507호와 같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수직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파이프의 상측으로 다양한 형태의 베드를 거치시켜 농작물을 재배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단순히 수직파이프의 상측으로 베드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베드에 채워지는 흙의 무게에 의해 베드의 처짐현상이 발생하며, 수직파이프가 최초에 설치된 높이보다 지면으로 더 박히게 되어 높이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드를 지지하기 위해 수직파이프를 다수열로 배열할 때, 상기 수직파이프 간의 간격을 일일이 사용자가 조정하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중력방향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측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형태의 조절부와 하측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형태의 조정부가 형성되는 수직파이프와 상기 수직파이프에 결합되며 양측이 엇갈리게 형성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거치홈을 형성한 지지부로 형성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거치홈에 위치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지지봉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지지봉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외부 하측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배수공과 배수구가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베드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파이프의 사이로 고정대를 이용하여 거치대를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를 통해 베드를 간편하게 고정하고 지면과 베드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파이프에 형성된 조절부를 통해 고정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고리가 엇갈리게 형성되어 수직파이프에 고정대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의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게 되어 자중이나 지면방향으로 향하는 베드의 하중에 의해 고정대가 수직파이프에서 하측으로 쉽게 이동되거나 흔들리지 않게 되며, 상기 조절부의 일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위치에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수직파이프에 결합되는 고정대의 높이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파이프의 조정부에 지지판을 더 포함하여 결합함으로써, 고정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베드의 하중 등에 의해 수직파이프가 지면으로 함몰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 고정대에 지지봉을 위치시킴으로써, 베드가 지면으로 처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에 중앙이나 양측 중 어느 한 지점에 배수구를 형성하거나 중앙과 양측 모든 지점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베드로 유입되는 물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경재배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인 수경재배용 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수경재배용 지지대의 정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경재배용 지지대(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와 베드(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거치대(10)는 지면에 중력방향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측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형태의 조절부(11)와 하측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형태의 조정부(12)가 형성되는 수직파이프(13)와 상기 수직파이프(13)에 결합되며 양측이 엇갈리게 형성되는 고리(14)와 상기 고리(14)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거치홈(15)을 형성한 지지부(16)로 형성되는 고정대(17)와, 상기 고정대(17)의 거치홈(15)에 위치되는 지지봉(1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파이프(13)에 형성된 조절부(11)는 단면이 사각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일부가 개방되어 눈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정부(12)에는 지지판(12a)이 결합되도록 하며, 지지부(16)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살빼기홈(16a)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드(20)는 상기 거치대(10)의 지지봉(18)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지지봉(18)이 고정되는 고정홈(21)이 외부 하측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배수공(22)과 배수구(23)가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드(20)의 상측으로 돌출부(24)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돌출부(24)는 단면이 곡선, 원형, 삼각, 사각형, 사다리꼴과 같이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지면의 임의의 위치에 하나의 수직파이프(13)를 위치시키고 다른 위치에 다른 수직파이프(13)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수직파이프(13) 간의 거리는 고정대(17)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고리(14)가 결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수직파이프(13) 간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지면으로 삽입되는 수직파이프(13)의 하측을 원뿔형상으로 제작하여 수직파이프(13)가 지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수직파이프(13)를 지면에 설치할 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수직파이프(13)를 다수열로 설치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고정대(17)를 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나, 판재형태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수직파이프(13)와 고정대(17)의 결합력을 우수하게 하며 베드(20) 등의 지지력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11)에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결합하고, 조정부(12)에는 지지판(12a)을 결합한 후에 수직파이프(13)를 지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수직파이프(13)를 지면에 설치한 후에, 너트나 지지판(12a)을 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2a)에는 조정부(12)와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조정부(12)의 나사형태에 따라 지지판(12a)에 암나사형태나 수나사형태로 나사형태가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와 같이 지면에 수직파이프(13)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파이프(13)의 조절부(11)에 너트를 결합하고 고정대(17)를 수직파이프(13)에 결합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수직파이프(13)의 조절부(11)에 너트를 결합하여 조절부(11)에서 너트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고정대(17)의 고리(14)를 수직파이프(13)에 결합시키면서 너트의 상측으로 고정대(17)를 위치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부(11)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위치에 눈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수직파이프(13)에 너트를 결합하고 고정시킬 때, 너트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17)에 형성된 고리(14)는 각각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대(17)가 수직파이프(13)에 결합될 때, 고정대(17)가 수직파이프(13)에서 쉽게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파이프(13)의 하측에 형성된 조정부(12)에 지지판(12a)을 결합하도록 하여, 수직파이프(13)가 고정되는 지반이 약하더라도 지지판(12a)이 지면의 상측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수직파이프(13)가 지면 속으로 함몰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덧붙여, 수직파이프(13)에 고정대(17)를 위치시킬 때, 상기 고정대(17)에 형성된 거치홈(15)이 지면방향이 아닌 지면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고정대(17)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17)의 지지부(16)에는 살빼기홈(16a)을 형성하여 고정대(17)의 무게를 줄이면서 고정대(17)를 간편하게 이동 및 설치, 제작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상기 지지부(16)를 삼각형 형상으로 제작하여 베드(20)에서 가중되는 하중을 상기 지지부(16)가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지지부(16)가 삼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역삼각 형태로 설치되게 되면, 넓은 면적의 지지부(16)가 베드(20)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베드(20)의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베드(20)의 중앙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수직파이프(13)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런 후, 상기 고정대(17)에 형성된 지지부(16)에 지지봉(18)을 위치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지지부(16)에 형성된 거치홈(15)에 지지봉(18)이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18)의 상측으로 베드(20)를 위치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베드(20)의 외부 하측에 형성된 고정홈(21)이 지지봉(28)과 대응되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거치대(10)에 베드(20)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그런 후, 사용자가 베드(20)에 사용자가 재배하고자 하는 경작물을 재배하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수직파이프(13)를 지면에 설치하고 조절부(11)를 이용하여 베드(20)가 위치되는 고정대(17)를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으며, 베드(20)의 높이 및 간격을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수직파이프(13)의 조절부(11)에 결합되는 너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대(17)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조절부(11)의 단면을 일반적으로 너트 등에서 사용되는 원형이나 삼각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조절부(11)의 단면이 삼각이나 원형일 경우 자중이나 중력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너트 및 고정대가 자중이나 중력에 의해 쉽게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조절부(11)의 단면을 사각형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파이프(13)의 하측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조정부(12)에 지지판(12a)이 결합되도록 하여 수직파이프(13)가 설치되는 지반이 약하더라도 지지판(12a)이 지면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수직파이프(13)가 지면속으로 빨려들어가 고정대(17) 및 베드(20)가 틀어지거나 수직파이프(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지지판(12a)은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20)의 내부 하측으로 배수공(22) 및 배수구(23)를 형성하여 베드(20)로 유입되는 물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며, 상기 배수구(23)를 중앙에만 형성하거나 또는 양측으로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중앙과 양측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베드(20)의 하측으로 지지봉(18)이 결합되는 고정홈(21)을 형성하여 베드(20)가 거치대(10)에서 쉽게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20)의 상측으로 돌출부(24)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돌출부(24)는 베드(20)에 딸기와 같이 줄기식물을 경작할 경우, 줄기가 원활하게 자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줄기가 돌출부(24)에 거치되어 베드(20)의 외측으로 편리하게 자라나도록 하는데, 상기 돌출부(24)의 단면을 삼각, 사각, 사다리꼴, 원형 중 어느 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이처럼, 상기 수직파이프(13)의 조절부(11)를 통해 베드(20)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거치대(10)를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조정부(12)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는 수직파이프(13)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11 : 조절부 12 : 조정부
13 : 수직파이프 14 : 고리
15 : 거치홈 16 : 지지부
17 : 고정대 18 : 지지봉
20 : 베드 21 : 고정홈
22 : 배수공 23 : 배수구
50 : 수경재배용 지지대.

Claims (5)

  1. 지면에 중력방향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측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형태의 조절부(11)와 하측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형태의 조정부(12)가 형성되는 수직파이프(13)와 상기 수직파이프(13)에 결합되며 양측이 엇갈리게 형성되는 고리(14)와 상기 고리(14)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거치홈(15)을 형성한 지지부(16)로 형성되는 고정대(17)와 상기 고정대(17)의 거치홈(15)에 위치되는 지지봉(18)으로 구성된 거치대(10);
    상기 거치대(10)의 지지봉(18)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지지봉(18)이 고정되는 고정홈(21)이 외부 하측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배수공(22)과 배수구(23)가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베드(2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수경재배용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의 수직파이프(13)에 형성된 조절부(11)는 단면이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일부가 개방되어 눈금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경재배용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의 조정부(12)에는 지지판(12a)이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경재배용 지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의 지지부(16)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살빼기홈(16a)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경재배용 지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20)의 상측으로 돌출부(24)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돌출부(24)는 단면이 곡선, 원형, 삼각, 사각형, 사다리꼴과 같이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경재배용 지지대.
KR1020100113580A 2010-11-15 2010-11-15 수경재배용 지지대 KR10133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580A KR101334706B1 (ko) 2010-11-15 2010-11-15 수경재배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580A KR101334706B1 (ko) 2010-11-15 2010-11-15 수경재배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106A true KR20120052106A (ko) 2012-05-23
KR101334706B1 KR101334706B1 (ko) 2013-11-29

Family

ID=4626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580A KR101334706B1 (ko) 2010-11-15 2010-11-15 수경재배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7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75Y1 (ko) * 2017-11-06 2018-06-20 김태윤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
CN111727861A (zh) * 2020-06-17 2020-10-02 李效东 一种市政园林环保育苗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795Y1 (ko) * 1998-03-18 2000-04-15 김범식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JP3266579B2 (ja) * 1999-06-01 2002-03-18 山口県 イチゴ栽培装置
JP2002153134A (ja) * 2000-11-22 2002-05-28 Imai Kagaku Kogyo Kk 高設栽培容器
KR20080000620U (ko) * 2006-10-19 2008-04-23 이화성 공중재배용 포트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75Y1 (ko) * 2017-11-06 2018-06-20 김태윤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
CN111727861A (zh) * 2020-06-17 2020-10-02 李效东 一种市政园林环保育苗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706B1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5198B1 (ja) 筒状緑化ユニット
US6964126B1 (en) Tree stabilizing assembly
KR102117368B1 (ko) 이동식 화분 진열대
KR20110018637A (ko)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US7143543B1 (en) Self-supporting plant holder
KR20130028211A (ko) 다단조립식 화분
KR101334706B1 (ko) 수경재배용 지지대
KR200386097Y1 (ko) 급수장치가 설치된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101313057B1 (ko) 농작물 지지장치
KR102223944B1 (ko) 다단형 화분
KR20170054008A (ko)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KR20010069510A (ko) 가정용 수경재배기
KR102025352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JP3144114U (ja) 鉢掛部材及び植木鉢スタンド
KR101749452B1 (ko) 3점식 지지바를 이용한 자동관수용 꽃기둥
KR200382117Y1 (ko) 현가식 실내 수경재배기
KR200480429Y1 (ko) 수경재배시설용 베드 지주구조물
CN207803076U (zh) 玉米幼苗水培箱
KR200369913Y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화분용 식물지지대
KR20160002289A (ko) 고설 재배상의 지주 받침대
KR100905800B1 (ko) 연결프레임을 이용한 관상용 유실수 재배방법
KR101501511B1 (ko) 공중재배포트용 받침지지수단
CN213662980U (zh) 园林用育苗装置
JP3806375B2 (ja) 鉢植え植物の育成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