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75Y1 -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 - Google Patents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675Y1
KR200486675Y1 KR2020170005693U KR20170005693U KR200486675Y1 KR 200486675 Y1 KR200486675 Y1 KR 200486675Y1 KR 2020170005693 U KR2020170005693 U KR 2020170005693U KR 20170005693 U KR20170005693 U KR 20170005693U KR 200486675 Y1 KR200486675 Y1 KR 200486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ultivation
fastening
cultivating
composit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김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윤 filed Critical 김태윤
Priority to KR2020170005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부의 일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패널부의 타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홈이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패널부의 하단에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홈이 형성됨으로써 바닥 이외의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CULTIVATION COMPLEX BOARD AND MODULE CONTAINING SAME}
본 고안은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부의 일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패널부의 타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홈이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패널부의 하단에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홈이 형성됨으로써 바닥 이외의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다양한 식재료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식재료로 이용되는 농산물의 경우, 신선도가 식재료의 가격을 좌우하고 있으며, 특히 소비자들은 건강하고 안전하게 재배되는 친환경 농산물을 더욱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관심에 따라 신선하고 친환경 농산물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재배가 늘어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시설재배는 온실형태의 수경재배법이다.
수경재배법은 수면에 부유되는 수경식물의 뿌리가 침수된 상태로 배양되도록 하는 재배법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농산물을 소비하는 경향에 따라 사계절 내내 신선하고 친환경의 농산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건강한 농산물을 소비하고자 하는 많은 소비자들을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종래의 재배용 보드의 경우, 바닥에 설치되어 발판 기능을 함으로써 작업자가 농산물 재배를 위해 이동할 경우 재배 시설물들의 사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재배용 보드의 경우, 용이하게 조립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사용자가 재배용 보드의 면적을 직접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재배용 보드를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바닥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재배용 보드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아 사용자가 재배용 보드를 이동할 때 안전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종래의 재배용 보드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패널부의 일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패널부의 타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홈이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또한, 패널부의 하단에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홈이 형성됨으로써 바닥 이외의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54609호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한 쌍의 체결돌기 및 체결홈이 형성되고,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결합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부의 하단에 두 개 이상의 파이프홈이 형성됨으로써 바닥 이외에 다른 곳에 설치될 수 있고, 원하는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부의 표면의 양측에 평행하게 착탈이 가능한 레일부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대차나 수레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부의 표면이 평평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재배 시설물들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부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지면 고정부 및 볼트 고정부가 형성됨으로써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재배용 복합 보드는,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패널부 및 상기 표면의 양측에 평행하게 제공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돌기와 동일한 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부는, 상기 표면에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부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레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표면에는, 상기 레일돌기가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에는, 상기 표면의 중심선 상에 형성된 개구와 인접하도록 지면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의 귀퉁이에는, 한 쌍의 볼트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볼트고정부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부의 하단에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재배용 모듈은, 재배용 복합 보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재배용 복합 보드가 상기 체결돌기 및 상기 체결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용 모듈은, 상기 재배용 복합 보드가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복수 개로 결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패널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한 쌍의 체결돌기 및 체결홈이 형성되고,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결합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널부의 하단에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홈이 형성됨으로써 바닥 이외에 다른 곳에 설치될 수 있고, 원하는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패널부의 표면의 양측에 평행하게 착탈이 가능한 레일부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대차나 수레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패널부의 표면은 평평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재배 시설물들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널부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지면 고정부 및 볼트 고정부가 형성됨으로써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부(20)가 착탈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체결홈(13)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 모듈(1000)의 다양한 결합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 모듈(1000)의 체결돌기(12) 및 체결홈(13)의 결합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재배용 모듈(1000)을 선반으로 제작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제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배용 복합 보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부(20)가 착탈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체결홈(13)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표면(11)에 하나 이상의 개구(1)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12)가 형성되며, 체결돌기(12)의 타측면에 한 쌍의 체결홈(13)이 형성되는 패널부(10) 및 표면(11)의 양측에 평행하게 제공되는 레일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10)의 표면(11)은 평평한 형태로써 개구(1), 볼트 고정부(2), 관통홀(3), 지면고정부(4) 및 레일홈(5)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부(10)의 표면(11)은 평평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바닥에서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재배 시설물들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재배 공간의 바닥에 표면(11)이 평평한 재배용 복합 보드(100)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재배 공간에서 대차나 수레를 이용할 수 있고, 대차나 수레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먼저, 패널부(10)의 표면(11)에 형성된 개구(1)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어 복수개의 행과 열을 가질 수 있고, 이때 개구(1)는 표면(11)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1)는 패널부(10)의 표면(11)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재배 공간의 바닥에 설치된 상태에서 빗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표면(11)의 귀퉁이에는 한 쌍의 볼트고정부(2)가 한 쌍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볼트고정부(2)의 형태는 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고정부(2)는 표면(11)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볼트가 볼트고정부(2)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복수개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를 적층시킬 때 각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각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부(10)의 표면(11)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볼트고정부(2)는 육각형으로써 표면(11)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표면(11) 에서 네 개의 각을 이루는 귀퉁이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고정부(2)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복수개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를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고,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직사각형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표면(11)에 형성된 한 쌍의 볼트고정부(2)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관통홀(3)의 형태는 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볼트고정부(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관통홀(3)과 후술되는 파이프홈(14)을 통해 선반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때, 관통홀(3)에 파이프가 삽입되어 복수개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를 위아래로 연결시킬 수 있다.
표면(11)에는 표면(11)의 중심선 상에 형성된 개구(1)와 인접하도록 지면고정부(4)가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지면고정부(4)의 형태는 반원형, 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면고정부(4)는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중심선 상에 위치되어 하나 이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면고정부(4)는 표면(11)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고정핀(도시되지 않음)이 지면고정부(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핀은 지면고정부(4)를 관통해 패널부(10)의 하단에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고정핀이 지면에 고정됨으로써, 재배용 복합 보드(10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재배용 복합 보드(100)가 지면에 고정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표면(11)에는 후술되는 레일돌기(21)가 삽입되는 레일홈(5)이 형성될 수 있고, 레일홈(5)은 표면(11)의 양측에 평행하게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레일홈(5)의 형태는 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레일홈(5)의 개수와 레일돌기(21)의 개수는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11)은 직사각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레일홈(5)은 원형의 형태로써 표면(11)의 양측에 3 개씩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레일돌기(21)는 레일홈(5)과 동일하게 3개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홈(5) 내부에 레일돌기(21)가 삽입되어 레일부(20)는 표면(11)에서 착탈될 수 있고, 이때 레일홈(5)과 레일돌기(21)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돌기(12)는 패널부(10)의 일측면에 한 쌍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체결돌기(12)의 크기와 형태는 패널부(10)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체결홈(13)은 체결돌기(12)와 동일한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체결홈(13)은 패널부(10)의 표면(11) 및 측면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홈(13)은 체결돌기(12)와 동일한 선상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패널부(10)의 하단에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홈(14)이 형성될 수 있고,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파이프홈(14)을 통해 파이프 위에 걸쳐짐으로써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바닥 이외에 다른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부(10)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파이프홈(14)은 패널부(10)의 하단에 총 8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파이프홈(10)은 패널부(10) 측면에 각각 두 개씩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파이프홈(14)을 통해 파이프 위에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놓여질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20)는 패널부(10)의 표면(11)에서 착탈될 수 있고, 레일부(20)의 밑면의 형태는 반원,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20)에서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가로방향의 길이는, 패널부(10)의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가로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레일부(2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레일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레일돌기(20)의 길이는 패널부(10)에 형성된 레일홈(5)의 깊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부(20)의 밑면은 반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레일홈(5) 깊이의 길이는 1㎝, 레일돌기(21)의 길이는 1㎝로 형성됨으로써 레일돌기(21)는 레일홈(5)의 내부로 삽입되어 레일부(20)는 패널부(10)에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부(20)는 패널부(10)의 표면의 양측에 평행하게 제공됨으로써 재배용 복합 보드(100) 위에서 대차나 수레가 탈선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재배용 복합 보드(100) 위에서 대차나 수레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20)는 패널부(10)의 표면(11)에서 착탈됨으로써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는 재배용 복합 보드(10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재배용 모듈>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 모듈(1000)의 다양한 결합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 모듈(1000)의 체결돌기(12) 및 체결홈(13)의 결합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재배용 모듈(1000)을 선반으로 제작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 모듈(1000)은 재배용 복합 보드(100)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가 체결돌기(12) 및 체결홈(13)에 의해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재배용 모듈(1000)은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가 레일부(20')에 의해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재배용 모듈(1000)은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가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복수 개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a)의 재배용 모듈(1000)은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가 세로 방향으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때 한 쌍의 체결돌기(12)는 각각의 체결돌기(12)와 대응되는 한 쌍의 체결홈(13)에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체결돌기(12)가 다른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체결홈(13)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때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서 다른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90°이내의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서 체결돌기(12)를 다른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체결홈(13)에 삽입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체결돌기(12)는 다른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체결홈(13)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고, 이때 체결돌기(12)의 아랫면과 표면(11)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가 결합된 재배용 모듈(1000)을 분리시킬 때는,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를 90°이내의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서 다른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체결돌기(12)는 다른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체결홈(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b)의 재배용 모듈(1000)은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가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때 레일부(20')가 각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레일홈(5)과 결합되어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가로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레일부(20')의 레일돌기(21)가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레일홈(5)과 다른 하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레일홈(5)에 삽입되면서 복수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c)의 재배용 모듈(1000)은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체결돌기(12)는 체결돌기(12)와 대응되는 각각의 체결홈(13)에 삽입되어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세로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재배용 모듈(1000)은 레일부(20')가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레일홈(5)과 결합되어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가로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한 쌍의 체결돌기(12) 및 체결홈(13)이 형성되고, 체결돌기(12)와 체결홈(13)이 결합됨으로써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세로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재배용 모듈(1000)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20')가 하나 이상의 재배용 복합 보드(100)에 결합됨으로써 재배용 복합 보드(100)는 가로방향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재배용 모듈(1000)은 선반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도 6을 통해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재배용 모듈(10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3)에는 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고, 재배용 모듈(1000)의 파이프홈(14)에는 관통홀(3)에 삽입된 파이프와 90°의 각도를 가지는 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3)에 삽입된 파이프는 지면과 90°의 각도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고, 파이프홈(14)에 결합된 파이프는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재배용 모듈(1000)의 관통홀(3)에 파이프가 삽입되고, 파이프홈(14)에 파이프가 결합됨으로써 재배용 모듈(1000)은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상의 높이를 가지면서 선반으로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재배용 모듈(1000)을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재배용 모듈(1000)은 파이프와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 용이하게 선반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재배용 복합 보드
10: 패널부
1: 개구
2: 볼트고정부
3: 관통홀
4: 지면고정부
5: 레일홈
11: 표면
12: 체결돌기
13: 체결홈
14: 파이프홈
20, 20': 레일부
21: 레일돌기
1000: 재배용 모듈

Claims (10)

  1.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와 동일한 선상에 타측면 및 상기 표면의 내측 방향으로 한 쌍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패널부; 및
    상기 표면에서 착탈되며, 상기 표면의 양측에 평행하게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 위에서 대차나 수레가 탈선되지 않도록 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평평하게 제공되어 바닥에서 발판으로 사용되며,
    중심선 상에 형성된 상기 개구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지면 고정부;
    상기 표면에서 각을 이루는 귀퉁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볼트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볼트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의 하단에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복합 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레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표면에는, 상기 레일돌기가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복합 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돌기는, 상기 레일홈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복합 보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의 재배용 복합 보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재배용 복합 보드가 상기 체결돌기 및 상기 체결홈에 의해 결합되고,
    하나의 상기 재배용 복합 보드의 체결돌기를 90° 이내의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서 다른 하나의 상기 재배용 복합 보드의 체결홈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 모듈은,
    상기 재배용 복합 보드가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복수 개로 결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모듈.
KR2020170005693U 2017-11-06 2017-11-06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 KR200486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93U KR200486675Y1 (ko) 2017-11-06 2017-11-06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93U KR200486675Y1 (ko) 2017-11-06 2017-11-06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675Y1 true KR200486675Y1 (ko) 2018-06-20

Family

ID=6274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93U KR200486675Y1 (ko) 2017-11-06 2017-11-06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394A (ko) * 2021-03-30 2022-10-07 김영수 수경재배용 베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714U (ko) * 1991-12-26 1993-07-26 이경군 버섯 재배용 상자
US20030150157A1 (en) * 2002-02-08 2003-08-14 Steve Carkner Growth barrier
KR200398830Y1 (ko) * 2005-07-20 2005-10-17 최영순 "은나노 코팅된 연계조립자바라식 이동형 카페트잔디재배용기"
KR20120052106A (ko) * 2010-11-15 2012-05-23 이길세 수경재배용 지지대
KR20140054609A (ko) 2012-10-29 2014-05-09 (주)양협 수경재배용 트레이의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714U (ko) * 1991-12-26 1993-07-26 이경군 버섯 재배용 상자
US20030150157A1 (en) * 2002-02-08 2003-08-14 Steve Carkner Growth barrier
KR200398830Y1 (ko) * 2005-07-20 2005-10-17 최영순 "은나노 코팅된 연계조립자바라식 이동형 카페트잔디재배용기"
KR20120052106A (ko) * 2010-11-15 2012-05-23 이길세 수경재배용 지지대
KR20140054609A (ko) 2012-10-29 2014-05-09 (주)양협 수경재배용 트레이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394A (ko) * 2021-03-30 2022-10-07 김영수 수경재배용 베드
KR102600285B1 (ko) * 2021-03-30 2023-11-08 김영수 수경재배용 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297B2 (en) Modular pallet and multilayer support structure
US9192107B2 (en) Stackable elevated planter
US7731131B2 (en) Roof block
US20050155287A1 (en) Container system for growing plants
US20080120905A1 (en) Sectional-type raised gardening bed structure
US20100186295A1 (en) Modular container system
US9993074B1 (en) Modular home and garden kit
KR20160022968A (ko) 가변형 모듈러 텃밭
KR200486675Y1 (ko) 재배용 복합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배용 모듈
KR20120124515A (ko) 조립식 상자
US9578818B2 (en) Modular reservoir wick
US20120204486A1 (en) Prefabricated gardening apparatus
US20110108788A1 (en) Corner Brace for an Enclosure
US20150089864A1 (en) Raised bed garden wall system
US20150208593A1 (en) Raised bed garden wall system
UA104432C2 (uk) Рама для монтажу обладнання
KR200477825Y1 (ko) 육묘상자 운반함
US20180077876A1 (en) Vertically oriented portable planter system
JP2007189910A (ja) 緑化ユニット及び該緑化ユニットを備える緑化システム
JP5779274B1 (ja) 緑化壁ユニット、及びその設置方法
JP5557551B2 (ja) 緑化用パネル
KR102431099B1 (ko) 수목용 단열 플랜터
JP3233230U (ja) 育苗棚
JP3491020B2 (ja) 植栽用容器
US20140165465A1 (en) Utility box with interlocking legs and associate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