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792A -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792A
KR20120050792A KR1020100112221A KR20100112221A KR20120050792A KR 20120050792 A KR20120050792 A KR 20120050792A KR 1020100112221 A KR1020100112221 A KR 1020100112221A KR 20100112221 A KR20100112221 A KR 20100112221A KR 20120050792 A KR20120050792 A KR 20120050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torage tank
hold
container
cargo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5517B1 (ko
Inventor
서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5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4Hatch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홀드와 홀드를 구획하는 격벽과 격벽에 형성되어 컨테이너의 이동을 안내하는 셀가이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선체; 셀가이드가 끼워지는 교합홈을 구비하며, 격벽에 고정되는 교합판; 및 서로 마주보는 교합판 사이에 삽입되며, 액체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CARGO CARR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선박을 이용한 물자의 운송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송하고자 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특수한 구조를 가진 다양한 선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선, 원유를 운송하기 위한 유조선, 액화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이 각각의 화물의 특성에 따른 특수한 구조를 갖도록 건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박들은 조선 산업, 또는 세계 산업 시황에 따라 수요가 가변적이다. 예를 들어, 특정 시기에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에 대한 수요가 많고 유조선이나 컨테이너선에 대한 수요는 적을 수가 있다. 이 경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새로 건조하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문제가 있으며, 유조선이나 컨테이너선은 유휴상태로 두어야 하므로 경제적 손실이 크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박들은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컨테이너선 또는 액화천연가스)의 특성에 맞게 구조적으로 특화되어 있으므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도 어렵다.
도 1은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선(100)의 화물창은 컨테이너(A)가 탑재되는 다수 개의 홀드(110)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홀드(110)는 격벽(1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홀드(110)의 좌측과 우측 하단부에는 계단 형태로 단차진 계단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130)에는 컨테이너(A)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셀 가이드(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셀 가이드(131)는 격벽(130)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셀 가이드(131)는 컨테이너(A)의 규격에 맞게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선(100)의 화물창을 형성하는 선체는 이중 선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선(100)의 화물창은 컨테이너(A)의 탑재를 위한 독특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컨테이너선(100)을 컨테이너(A)의 운송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컨테이너선을 개조하여 건조된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홀드와, 상기 홀드를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이동을 안내하는 셀가이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선체; 상기 셀가이드가 끼워지는 교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에 고정되는 교합판;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교합판 사이에 삽입되며, 적재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홀드와, 상기 홀드를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이동을 안내하는 셀가이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선체의 상기 격벽에 상기 셀가이드가 끼워질 수 있는 교합판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교합판 사이에 적재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선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을 개조하여 적재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건조 과정의 제 1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건조 과정의 제 2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저장탱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건조 과정의 제 1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건조 과정의 제 2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적재화물을 운반하는 화물 운반선을 제공하는 것으로, 컨테이너선을 개조하여 액체화물, 고체화물 등의 적재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탑재함으로써, 액체화물을 운반하는 액체화물 운반선, 고체화물을 운반하는 벌크선 등을 건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체화물을 운반하는 액체화물 운반선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고체화물을 운반하는 벌크선과 같은 고체화물 운반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건조 과정의 제 1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건조 과정의 제 2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20)은, 컨테이너선의 선체(200)를 개조하여 건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물 운반선(20)은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액체화물 운반선을 예로 설명하겠다.
컨테이너선의 선체(200)는 컨테이너를 탑재하기 위한 화물창을 구비하고 있으며, 화물창은 컨테이너가 탑재될 수 있는 다수 개의 홀드(210)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홀드(210)는 격벽(2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홀드(210)의 좌측과 우측 하단부에는 계단 형태로 단차진 계단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홀드(210)의 측벽 상단부에는 해치코밍(211)이 형성될 수 있다. 해치코밍(211)은 해치커버(미도시)와 결합되어 홀드(210)에 탑재되는 컨테이너를 보호하고, 구조적으로 선체의 롤링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격벽(230)에는 컨테이너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셀 가이드(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셀 가이드(231)는 격벽(230)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셀 가이드(231)는 컨테이너의 규격에 맞게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선의 선체(200)는 이중 선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화물 운반선(20)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선의 선체(200)에 교합판(240) 및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50)를 설치함으로써 건조될 수 있다.
상세히, 교합판(240)은 격벽(230)에 대응되는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230) 또는 셀가이드(231)에 형합, 접착 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교합판(240)은 격벽(230) 또는 셀가이드(231)의 형태에 따라 별도의 지지 부재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컨테이너선의 선체(200)에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교합판(240)에는 셀가이드(231)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셀가이드(231)가 끼워질 수 있는 교합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셀가이드(231)가 교합홈(242)에 끼워짐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되며, 셀가이드(231)가 저장탱크(250)와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교합홈(242)은 셀가이드(231)의 설치 간격(a)에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교합판(240)의 양측 하단부에는 계단부(220)의 너비(b)와 높이(c)에 대응되는 단차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교합판(240)의 교합홈(242)이 형성된 반대측에는 저장탱크(250)가 고정될 수 있는 체결부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교합판(240)은 셀가이드(231)가 교합홈(2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홀드(2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선체의 측벽이나 격벽(230)에 체결 부재를 사용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홀드의 전면과 후면에 교합판(240)이 설치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이때, 교합판(240)은 체결 부재를 해체함으로써 격벽(230) 및 셀가이드(231)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교합판(240)의 조립이 완료되면, 각 홀드(210)마다 액체화물인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250)를 설치한다. 즉, 저장탱크(250)는 서로 마주보는 교합판(240)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선체(200)에 탑재될 수 있다. 물론, 저장탱크(250)는 컨테이너선의 선체(200)의 측면 형태 및 하부면 형태에 따라 별도의 지지 부재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컨테이너선의 선체(200)에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저장탱크(250)는 홀드(21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수 및 선미 부분의 홀드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데, 이 부분에 탑재될 저장탱크는 그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250)의 양측 하단부에는 계단부(22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부(2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탱크(250)의 바닥면과 안착부(251)가 각각 홀드(210)의 바닥면과 계단부(210)에 안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250)의 전후 방향 길이(d)는 저장탱크(250)의 전면 및 후면이 교합판(240)에 지지되어 요동되지 않도록 서로 마주보는 교합판(240)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250)는 홀드(210)에 요동되지 않도록 각 측면이 홀드(210)의 좌측벽, 우측벽 및 교합판(240)에 형합되거나 소정의 체결 부재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250)는 형합 해제 또는 체결 부재의 해체로 홀드(210)로부터 탈거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250)와 홀드(210)의 측벽 및/또는 교합판(240) 사이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댐퍼(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액화천연가스가 접촉되는 저장탱크(250)의 내부도 안착부(251)와 같이 단차진 구조로 형성되면, 슬로싱(sloshing)에 의해 파손된 위험이 크다. 따라서, 저장탱크(250)의 내측면의 하단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부(252)로 제작되어 슬로싱으로 인한 탱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저장탱크(250)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장탱크(250)의 외판도 경사부(252)와 마찬가지로 빗면 형태로 형성되고, 계단부(220)에는 저장탱크(250)의 외판을 지지할 수 있는 삼각기둥 형태의 지지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화물 운반선(20)을 건조할 경우, 종래의 컨테이너선의 선체(20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컨테이너선의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 운반선(20)의 건조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선의 선체(200)는 이중 선체 구조로 제작되므로, 화물 운반선(20)에 요구되는 안정성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선의 종래 구조인 격벽(230), 셀가이드(231), 계단부(220), 해치 코밍(211)을 그대로 유지하는 바, 화물 운반선(20)으로 개조 후 필요에 따라 저장탱크(250) 및 교합판(240)을 제거하여 다시 컨테이너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250)가 홀드(21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운항 중에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선체의 롤링을 줄여주는 해치 코밍(211)의 효과에 의해 슬로싱 저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액체화물 운반선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원유 등 액체를 화물로 하는 액체화물 운반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건조 과정의 제 1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건조 과정의 제 2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은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50')가 하부 양끝단에서 경사진 단차부(251')를 가질 경우에는 교합판(240)을 결합한 후, 지지 부재(260)를 컨테이너선(200)의 계단부(220)와 저장탱크(250')의 단차부(25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설치하여 저장탱크(250')를 홀드(21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260)는 컨테이너선(200)의 계단부(220)의 형태에 따라 상부 지지대(261)와 하부 지지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대(261)는 하부면의 폭이 계단부(220)의 가로 길이(b)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 지지대(262)는 측면의 높이가 계단부(220)의 세로 길이(c)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지지대(261)와 하부 지지대(262)는 저장탱크(250')와 계단부(220)의 형태에 따라 단면이 삼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홀드(210)의 측면에 위치하는 계단부(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 수단(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 방식, 용접 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지지 부재(260)는 적재화물 저장탱크의 하부 측면부와 계단부(2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단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액체화물 운반선으로 개조하는 경우, 액체화물의 이송 및 처리에 관련된 각종 배관은 해치 코밍과 결합되어 홀드를 덮도록 형성된 해치 커버 상부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액체화물 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배관 설치가 적거나 불필요한 고체화물 운반선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배관은 종래 컨테이너선의 해치 커버 상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셀가이드를 구비한 라싱 브리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적재함으로써, 컨테이너 화물과 저장탱크 내의 고체 화물을 함께 운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선 및 그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200 : 컨테이너선의 선체 210 : 홀드
220 : 계단부 230 : 격벽
240 : 교합판 250 : 저장탱크
260 : 지지 부재

Claims (13)

  1.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홀드와, 상기 홀드를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이동을 안내하는 셀가이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선체;
    상기 셀가이드가 끼워지는 교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에 고정되는 교합판;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교합판 사이에 삽입되며, 적재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
    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화물은, 액체화물 또는 고체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선 선체는 상기 홀드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계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에는 상기 계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부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선 선체는 상기 홀드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계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는 하부 측면에 경사진 단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계단부 및 단차부의 사이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를 상기 계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판은, 상기 셀가이드와 접촉되는 반대측면에 상기 저장탱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선체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고,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교합판 및 상기 홀드의 좌측벽 및 우측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상기 홀드의 측벽 상단부에 형성된 해치 코밍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상기 해치 코밍과 결합되어 상기 홀드를 덮도록 형성된 해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해치 커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상기 해치 코밍과 결합되어 상기 홀드를 덮도록 형성된 해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해치 커버 상부에 상기 셀가이드를 구비한 라싱 브리지가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판 및 저장탱크는 상기 선체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
  11.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홀드와, 상기 홀드를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이동을 안내하는 셀가이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선체의 상기 격벽에 상기 셀가이드가 끼워질 수 있는 교합판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교합판 사이에 적재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선의 건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선체의 하부 측면에 위치하는 계단부와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 측면 형태에 대응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물 운반선의 건조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를 상기 교합판 및 상기 홀드의 측벽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물 운반선의 건조 방법.
KR1020100112221A 2010-11-11 2010-11-11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KR101185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21A KR101185517B1 (ko) 2010-11-11 2010-11-11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21A KR101185517B1 (ko) 2010-11-11 2010-11-11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792A true KR20120050792A (ko) 2012-05-21
KR101185517B1 KR101185517B1 (ko) 2012-09-24

Family

ID=4626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221A KR101185517B1 (ko) 2010-11-11 2010-11-11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5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0B1 (ko) * 2012-08-10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박용 지지장치 및 화물 고박방법
KR20160028113A (ko) *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N107985507A (zh) * 2017-12-28 2018-05-04 广东新船重工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液货船槽型舱壁快速施工装置
CN108502106A (zh) * 2017-02-23 2018-09-07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运输船及其集装箱船货舱
CN110562385A (zh) * 2019-08-15 2019-12-13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罐体的定位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544B1 (ko) 2019-08-27 2020-08-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의 연료 저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63651C (da) 1989-06-08 1997-07-07 Jens Julius Kappel Containerskib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0B1 (ko) * 2012-08-10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박용 지지장치 및 화물 고박방법
KR20160028113A (ko) *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N108502106A (zh) * 2017-02-23 2018-09-07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运输船及其集装箱船货舱
CN107985507A (zh) * 2017-12-28 2018-05-04 广东新船重工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液货船槽型舱壁快速施工装置
CN110562385A (zh) * 2019-08-15 2019-12-13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罐体的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5517B1 (ko) 201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517B1 (ko)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JP5646853B2 (ja) 船舶
KR101836903B1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20130033003A (ko) 펌프 타워
KR20130018333A (ko) 선박
KR101215599B1 (ko) 독립형 액화천연가스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선박
CN105564588A (zh) Lng燃料运输船
US4046092A (en) Ship's hull
JP5688343B2 (ja) 燃料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KR20130003145U (ko)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
KR20190060224A (ko) 독립형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KR102150304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30053721A (ko)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
KR101686907B1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JP2018134923A (ja) 車両運搬船
KR20170049156A (ko)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
KR101986846B1 (ko) 컨테이너선의 구조를 고려한 독립형 액화천연가스 연료 탱크
KR20120002213A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WO2014013584A1 (ja) 船舶
KR20150011511A (ko) 컨테이너 선박
JP2019142355A (ja) 液体貨物バラ積船
KR101069644B1 (ko) 액상 화물의 슬로싱이 억제되는 운반선
KR20130000742A (ko) 박막형 액화천연가스선의 너클형 강력갑판
JP2012153334A (ja) 船舶
KR20170097916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