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475A -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 Google Patents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475A
KR20120049475A KR1020100110736A KR20100110736A KR20120049475A KR 20120049475 A KR20120049475 A KR 20120049475A KR 1020100110736 A KR1020100110736 A KR 1020100110736A KR 20100110736 A KR20100110736 A KR 20100110736A KR 20120049475 A KR20120049475 A KR 20120049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in
panel
connector
reinforcemen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0544B1 (ko
Inventor
김시영
Original Assignee
김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영 filed Critical 김시영
Priority to KR102010011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5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시공용 판넬들을 상호 결합하는데 쓰이는 체결핀에 관한 것으로서, 체결핀(10)이 판넬의 보강대(4)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핀(10)은, 판넬의 보강대(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구(4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데, 보강대(4)에 장공(4a)를 형성하여 이 속에서 연결구(40)가 빠지지 않으면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제1 실시예와, 연결구(40)의 하부가 보강대의 플랜지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연결구(40)가 플랜지에서 빠지지 않게 하면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제2 실시예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체결핀과 판넬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체결핀과 쐐기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바닥에 떨어진 체결핀 또는 쐐기의 수거작업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판넬이 해체된 상태에서도 삼각 쐐기를 상기 체결핀의 슬롯에 꽂아 둘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체결핀 및 쐐기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A JOINTING PIN ENGAGED TO THE PANNEL}
본 발명은 건축시공용 판넬들을 상호 결합하는데 쓰이는 체결핀에 관한 것으로서, 체결핀이 판넬의 보강대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 현장에서 판넬들을 서로 연결하여 결합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핀(10)(주로 원형의 체결핀이 많이 사용되므로, '원형핀'이라고 한다. 이하 같은 의미임)과 쐐기(2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체결핀(10)은 슬롯(12a)이 형성된 몸체부(12)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11)로 이루어진다. 체결핀과 쐐기의 사용형태를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체결하고자 하는 두 판넬의 프레임(3)(3')에 천공된 관통공(5) 속으로 몸체부(12)를 삽입한 후,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몸체부의 슬롯(12a)에 삼각 쐐기(20)를 끼워 두 판넬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는 판넬의 조립과 해체작업이 계속 반복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판넬들을 결합하는 공정을 위해 작업자들은 체결핀과 쐐기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들은 판넬들을 해체하면서 체결핀과 쐐기를 분리하여 휴대주머니에 주워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상존하고 있다.
더욱이, 판넬의 해체 과정에서, 망치로 쐐기를 때려서 뺄 때 체결핀이나 쐐기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는데, 이로 인한 체결핀 및 쐐기를 분실하게 되어 재구입 비용이 적지 않으며, 바닥에 떨어진 체결핀 또는 쐐기의 수거작업 역시 많은 시간 허비와 노동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KR 20-0397567 Y1 KR 20-0433913 Y1 KR 20-0442169 Y1 KR 10-074990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체결핀이 판넬의 가로 보강대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 가로 보강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넬의 해체 후에도 판넬과 함께 취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후술될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체결핀과 판넬의 보강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상기 체결핀의 머리부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와 판넬 보강대의 결합관계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체결핀이 판넬의 가로 보강대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도 상기 보강대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체결핀과 판넬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체결핀과 쐐기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바닥에 떨어진 체결핀 또는 쐐기의 수거작업을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판넬이 해체된 상태에서도 삼각 쐐기를 상기 체결핀의 슬롯에 꽂아 둘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체결핀 및 쐐기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체결핀과 쐐기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체결핀과 쐐기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판넬에 구비된 체결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넬에 구비된 체결핀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넬에 구비된 체결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체결핀(10)과 판넬의 보강대(4)를 연결하는 연결구(40)는 상기 체결핀(10)의 머리부(11)에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핀이 판넬의 가로 보강대(4)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도 상기 보강대(4)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강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4a)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40)가 이 장공 속에서 보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40)의 상단부는 상기 체결핀의 머리부(11)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장공의 폭보다 큰 걸림턱(41)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40)의 걸림턱(41)은 판넬로부터 연결구(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을 판넬에 조립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연결구(40)를 판넬 보강대의 장공(4a)에 삽입한 후에, 상기 연결구의 상단부를 체결핀(10)의 머리부(11)의 상면(11a)에 일체화시킨다. 일체화 작업은 주로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공지의 나사못 또는 클립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40)의 걸림턱(41)은 체결핀(10)의 머리부 두께(t)를 고려하여, 그 돌출량(f)을 정하는 것이 좋다. 만약, 상기 걸림턱(41)의 돌출량(f)이 체결핀(10)의 머리부 두께(t)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걸림턱(41)이 판넬 프레임 표면에 닿게 되고, 체결핀(10) 머리부(11)의 밀착면(11b)이 판넬 프레임(3) 표면에 밀착되지 못하게 되므로 체결핀이 관통공(5)에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연결구(40)의 걸림턱(41) 돌출량(f)이 체결핀(10)의 머리부 두께(t) 이하가 되도록 구성해야만 체결핀(10)이 정상적으로 체결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의 사용 상태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체결핀과 쐐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이 판넬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판넬과 함께 적재되어 보관되거나 운송된다.
판넬들을 결합하여 거푸집을 설치할 때에는, 판넬들을 서로 맞댄 후에, 체결핀에 끼워져 있는 쐐기(20)를 분리하고 체결핀(10)의 몸체부(12) 끝단(12b)을 관통공(5) 속으로 밀어넣어 관통시킨다. 이 때, 상기 연결구(40)는 보강대(4)의 장공(4a)의 길이방향을 따라 판넬의 프레임(3) 쪽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핀(10)을 관통공(5) 속으로 밀어넣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통공(5)을 통해 반대편으로 돌출된 체결핀(10)의 몸체부 슬롯(12a)에 상기 쐐기(20)를 끼워 넣어 판넬들을 견고하게 체결하게 된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어 판넬을 해체하는 경우에는, 먼저 쐐기(20)를 체결핀의 슬롯(12a)에서 분리하고, 체결핀(10)의 끝단(12b)을 망치로 때려 관통공(5)에서 분리시킨다. 이 때, 상기 연결구(40)는 보강대(4)의 장공(4a)의 길이방향을 따라 판넬의 프레임(3) 쪽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핀(10)이 관통공(5)에서부터 쉽게 빠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공(5)에서 빠져 나온 체결핀(10)은, 상기 연결구(40)가 장공(4a)에서 이탈될 수 없기 때문에, 보강대(4)에 그대로 매달려 있게 된다.
체결핀(10)을 관통공(5)에서 분리한 후, 상기 쐐기(20)를 체결핀(10)의 슬롯(12a)에 다시 꽂아둠으로써 다음에 다시 재조립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체결핀과 쐐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즉 체결핀이 상기 판넬의 보강대에 매달려 취급(적재 또는 운송)될 때,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핀(10)의 슬롯(12a)에는 쐐기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체결핀의 끝단이 판넬 프레임의 관통공(5)으로 들어가 프레임 외부로 돌출되어 튀어나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핀(10)의 슬롯(12a)에 쐐기가 끼워졌을 때 상기 쐐기의 하부 끝단이 장공(4a)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쐐기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형성하면, 체결핀(10)이 연결구(40)를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체결핀의 끝단(12b)이 판넬 후방으로 돌출되지도 않는다. 만약, 체결핀(10)이 연결구(4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체결핀 끝단(12b)이 판넬 후방으로 돌출된다면, 판넬의 적재 및 운송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체결핀을 판넬의 보강대에 연결하는 연결대(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한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넬에 구비된 체결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40)는 판넬 보강대의 외측 플랜지를 감싸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이 수용부(45) 내에 상기 보강대의 외측 플랜지(4b)가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보강대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핀(10)과 판넬의 보강대(4)를 연결하는 연결구(40)의 상단부는 상기 체결핀(10)의 머리부(11)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핀이 판넬의 가로 보강대(4)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도 상기 보강대(4)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강대의 외측에는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플랜지(4b)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40)의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4b)를 수용하는 수용부(45)를 형성하여, 이 수용부(45)가 상기 보강대의 플랜지(4b)를 수용한 상태에서 보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40)는 보강대의 플랜지(4b)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걸림부(46a)(46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46a)(46b)는 상기 수용부(45)의 상하 입구측에 각각 형성되어, 이들 두 걸림부(46a)(46b) 사이의 간격이 상기 보강대의 플랜지(4b) 폭보다 더 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판넬에 구비된 체결핀의 작동관계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작동관계와 다르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넬에 구비된 체결핀의 구성 및 작동관계 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연결구(40), 체결핀(10), 보강대(4)의 형상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과제 및 해결수단으로부터 당업자가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연결구(30)는 예시적으로 원형을 도시한 것일 뿐,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3,3': 판넬 프레임
4: 판넬의 가로 보강대
4a: 장공, 4b: 플랜지
10: 체결핀
11: 머리부, 11a: 상면, 11b: 밀착면
12: 몸체부, 12a: 슬롯, 12b: 끝단
20: 쐐기
40: 연결구
41: 걸림턱, 45: 수용부, 46a,46b: 걸림부

Claims (4)

  1. 두 판넬의 프레임(3)(3')을 맞대어 체결핀을 관통공(5)으로 통과시킨 후 쐐기로 결합하는 체결핀으로서,
    상기 체결핀(10)은 판넬의 보강대(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구(4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4)에는 상기 연결구(40)를 수용하는 장공(4a)이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40)가 상기 장공(4a) 속에서 보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40)의 상단부는 상기 체결핀(10)의 머리부 상면(11a)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40)의 하단부에는 걸림턱(4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41)은 상기 장공(4a)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되,
    상기 걸림턱(41)의 돌출량(f)은 상기 체결핀(10)의 머리부(11) 두께(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4)의 외측으로는 플랜지(4b)가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40)가 상기 플랜지(4b)를 감싸면서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40)의 상단부는 상기 체결핀(10)의 머리부 상면(11a)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40)의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4b)를 수용하는 수용부(45)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45)의 상하 입구측에는 보강대의 플랜지(4b)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걸림부(46a)(46b)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40)의 수용부(45)가 상기 보강대(4)의 플랜지(4b)를 수용한 상태에서 보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KR1020100110736A 2010-11-09 2010-11-09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KR10117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736A KR101170544B1 (ko) 2010-11-09 2010-11-09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736A KR101170544B1 (ko) 2010-11-09 2010-11-09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475A true KR20120049475A (ko) 2012-05-17
KR101170544B1 KR101170544B1 (ko) 2012-08-08

Family

ID=4626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736A KR101170544B1 (ko) 2010-11-09 2010-11-09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996A (ko) *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케이텍글로벌 십자 반턱 맞춤 구조를 갖는 거푸집 프레임
KR20190093992A (ko) *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케이텍글로벌 웨지핀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콘크리트 거푸집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39Y1 (ko) 2006-03-15 2006-06-07 미래테크(주) 거푸집 판넬의 연결조립부재
KR100908816B1 (ko) 2008-12-22 2009-07-21 전미옥 결속핀이 고정된 거푸집
KR100918456B1 (ko) 2009-03-30 2009-09-24 주식회사 삼인공영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996A (ko) *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케이텍글로벌 십자 반턱 맞춤 구조를 갖는 거푸집 프레임
KR20190093992A (ko) *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케이텍글로벌 웨지핀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콘크리트 거푸집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544B1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141B1 (ko)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SK8312003A3 (en) Connecting device
KR101170544B1 (ko)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KR101618798B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JP7324053B2 (ja) 接合金具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20140062386A (ko) 시스템비계
KR101696070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US8713867B2 (en) Unit structural member for building and floor structure utilizing the unit structural member
JP2017040115A (ja) 布板連結用補助具および筋違用クランプ、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枠組足場
KR200464558Y1 (ko) 프로파일 모서리 조립 보강재
KR20150039954A (ko) 장선재에 간격 유지부재가 체결되는 거푸집 패널
JP6206836B2 (ja) 仕口部材 及び 梁連結方法
KR100923075B1 (ko) 거푸집 체결용 클램프 어셈블리
JP7174474B2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用継手部材
KR101224542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1719495B1 (ko) 지지골조의 분리결합 가능한 갱폼
KR101967786B1 (ko) 갱폼의 상하 케이지 연결 구조
JP2003213796A (ja) 角形鋼管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6187934B2 (ja) 残存型枠の接続金物
CN214530717U (zh) 一种铁路施工用抗滑桩钢结构
JP3973473B2 (ja) 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の連結構造
KR101976765B1 (ko) 콘크리트 패널 측면 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구조체와 콘크리트 패널 시공방법
KR102291943B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101844318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영구거푸집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