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058A -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058A
KR20120049058A KR1020100110627A KR20100110627A KR20120049058A KR 20120049058 A KR20120049058 A KR 20120049058A KR 1020100110627 A KR1020100110627 A KR 1020100110627A KR 20100110627 A KR20100110627 A KR 20100110627A KR 20120049058 A KR20120049058 A KR 20120049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mod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6227B1 (ko
Inventor
조태훈
정재우
채재영
김기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2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이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아이콘(또는 위젯)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2)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대방(또는 callee)에게 전달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읽어와 그 상대방의 목적지까지 증강현실 기술과 접목하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3) 사용자가 특정위치에 이르렀을 때, 특정 메시지 또는 알람 등이 표시 내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이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단말기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적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부가정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현실 세계에 불가능한 영상 표현이나 정보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 3차원 가상영상을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겹쳐표시하므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이동통신망이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말한다. 위치기반서비스는 휴대폰 속에 기지국이나 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정보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컷는다. 즉 유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위치기반 서비스이다.
한편, 최근 증강현실 관련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의 요구(needs)에 의해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 제공할 기술적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필요성에 따라,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 사용자에게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방법은,
먼저, 다수의 상대방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각 위치정보들을 위치등록 리스트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모드들 중에 특정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선택한 특정모드가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모드인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저장된 위치등록 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위치등록 리스트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가고자 하는 장소(목적지), 즉 특정 위치정보를 선택하면; 단말기는 상기 선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증강현실의 실제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길 안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모드들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로 길 안내를 제공하는 'Active Way' 모드와; 특정 장소에 진입 또는 벗어날 때 경보 또는 알림을 제공하는 'Passive Way'모드와; 맵 또는 음성으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Easy Way'모드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선택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Send my Location' 모드가 있다.
한편, 단말기가 특정 장소에 진입 또는 벗어날 때 경보 또는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장소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특정 장소에 경보 또는 알림에 관한 옵션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다; 그 설정 후에, 단말기가 상기 선택한 특정 장소에 진입하거나 또는 벗어날 때, 상기 설정한 옵션의 해당 경보 또는 알림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증강현실의 실제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획득한 실제영상을 표시하고,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다수의 상대방들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위치등록 리스트에 저장하는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모드들 중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한 특정모드가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모드인 경우,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위치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증강현실의 실제화면을 이용하여 길 안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려는 목적지를 선택하고 또한 그 선택한 목적지까지 안내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Active Way'모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Passive Way'모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Easy Way'모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Send my Location'모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들이다.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술과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통신 시스템 및 타 기술분야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1)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아이콘(또는 위젯)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2)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대방(또는 callee)에게 전달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읽어와 그 상대방의 목적지까지 증강현실 기술과 접목하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3) 사용자가 특정위치에 이르렀을 때, 특정 메시지 또는 알람 등이 표시 내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동 단말기의 전체 구성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및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센터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단말기의 방향을 측정하는 전자 나침반(142)과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나침반(142)과 가속도 센서(143)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는 단말기의 자세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전자 나침반(142)과 가속도 센서(143) 대신 자이로 센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카메라(121)를 동작시키고,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사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를 동작시킬 때 증강현실의 사용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증강현실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위치 정보 모듈(115)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고도, 위도, 경도 등)를 측위하고, 전자 나침반(142)과 가속도 센서(143)를 통해 단말기의 방향 및 기울기를 측정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 및 전자 나침반(142), 가속도 센서(143)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하는 실사 영상의 촬영 위치 및 자세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실사(현실세계) 영상에 포함된 대상물들(예: 건물, 시설물, 역, 공항, 터미널, 호텔 등)에 대한 관심 지점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한 관심 지점 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실사 영상에 중첩시켜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실사 영상에 포함된 대상물 각각에 대응되는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관심 지점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관심 지점 정보와 일치하거나 또는 관련있는 데이터를 단말기의 메모리(160)에서 검색한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전화번호부, 스케줄러(일정), 메모, 메시지, 전자메일(e-mail)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검색범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검색범위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그 설정된 검색범위 내에서 상기 관심 지점 정보와 일치하는(관련있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137)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137)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제3 조작 유닛(137)은 도 2b에서 설명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3 조작 유닛(137)은, 특정 기능을 할당한 기능키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된 실사화면에 관심 지점 정보(즉, AR 정보)가 아이콘으로 중첩되어 표시될 때 원거리의 AR 정보 아이콘을 화면(즉, 디스플레이) 앞부분에 표시하는 기능키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제3 조작 유닛(137)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명, 상기 제3 조작 유닛(137)은 AR 정보 아이콘 위치 전환 키(편의상, 'AR 아이콘 전환키'라 한다)라 할 수 있다. 이때, 'AR 아이콘 전환키(137)'는 단말기 후면의 일부에 독립적인 구성으로 하여 상기 소프트 키로 구현할 수도 있고, 터치 패드(135)에 특정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상, 'AR 아이콘 전환키(137)'는 단말기 후면에 소프트 키(도 5 및 도 6의 137)로 구성된 것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단말기(10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200), 증강현실 서비스 서버(300)(이하, 서버)를 포함한다.
서버(300)는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 POI)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통신망(미도시)를 통해 이동단말기(1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관심 지점 정보는 시설물, 건물, 역, 공항, 터미널, 호텔 등에 대한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관심 지점 정보는 위치(좌표), 지명, 건물명, 주소, 전화번호, 쇼핑, 관광, 광고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보관)된다.
상기 서버(300)는 이동단말기(100)가 통신망을 통해 현재 위치한 지역에 있는 지형지물에 대한 관심 지점 정보를 요청하면 그 요청에 따른 관심 지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단말기(100)는 카메라(121)를 구동하여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하는 실사 영상에 포함된 대상물들에 대한 관심 지점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GPS 위성(200)을 통해 획득한 위치 정보와 상기 전자 나침반(142) 및 가속도 센서(143)를 통해 측정한 자세 정보를 포함한 관심 지점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생성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및 자세 정보에 근거하여 카메라(121)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는 실사 영상에 포함된 대상물들에 대한 관심 지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300)는 상기 추출한 관심 지점 정보를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300)는 실사 영상에 포함된 각각의 대상물(시설물, 건물 등)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이동단말기(100)에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카메라의 미리보기 화면에서 증강현실을 서비스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구동시킨다(S101). 상기 카메라(121)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실사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뉴 조작을 통해 메뉴들 중 '카메라'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카메라(121)를 동작시키고, 상기 카메라(121)로부터 출력되는 실사 영상을 미리보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카메라(121)를 구동시킬 때, 제어부(180)는 증강현실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02). 다시 말해서, 제어부(180)는 증강현실의 사용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메뉴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의 사용여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증강현실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촬영 위치 및 자세)를 측정한다(S103). 상기 제어부(180)는 위치정보모듈(115)을 통해 GPS 위성(20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전자 나침반(142) 및 가속도 센서(143)를 제어하여 단말기의 방향 및 기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는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측정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하는 실사 영상에 포함된 대상물에 대한 관심 지점 정보(즉, AR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300)로 전송한다(S104).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정보와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한 실사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정보만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요청한 관심 지점 정보를 수신한다(S105). 상기 서버(300)는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정보(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분석하여 단말기의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대상물)가 무엇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한 관심 지점 정보를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실사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한다(S106). 이때, 제어부(180)는 실사 영상에 포함된 대상물 각각에 대응되는 관심 지점 정보(즉, AR 정보)를 그 대상물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모드(또는 기능), 일명 'Active Way'와, 'Passive Way'와, 'Easy Way'와, 'Send my Location'모드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위젯(아이콘)의 형태로 제공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4개의 모드를 간략히 설명한다:
1) 'Active Way'는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까지 증강현실 모드로 안내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위젯(또는 아이콘)이다;
2) 'Passive Way'는 사용자가 집, 학교, 회사 등 자주 가는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거나, 특정 장소에 특정 시간에 특정 장소에 위치한 경우 등에 알람이나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 밖을 나설 때, 현재의 일기예보를 참조하여 우천 시 우산을 챙기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3) 'Easy Way' 는 보행자에게 맵을 통해 길을 안내하는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Easy Way' 모드는, 맵 모드 및 음성 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곳의 주변 신호등 및 교통 상황 대기 시간의 정보를 받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목적지까지 안내하고 및 주변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4) 'Send my Location'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지인들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위젯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대방들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여 두고, 'Active Way' 모드에서 사용자가 찾아가려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Send my Location'모드에서 폰북에 등록된 사람을 선택하여 자신의 위치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자신의 위치는 좌표정보일 수 있고, 또는 맵에서 현재 위치를 캡쳐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상대방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엔 좌표정보를 전송하고, 반면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모두가 본 발명에 다른 위치기반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맵모드로 전환되어 스크린 캡쳐를 한 후, 그 캡쳐한 이미지를 전송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제공하는 각 모드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양을 구비한 단말기의 이용자인 것을 전제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위젯의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거나 국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각 모드들은 필요에 위해 선별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그 표시되는 위젯(또는 아이콘)의 모양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서비스를 선택하여 관련 유저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것을 전제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Active Way'모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 장소(예를 들어, 종합병원, 유원지, 쇼핑몰, 공항 등)를 찾아가려는 경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위젯 항목 중 'Active Way' 모드를 터치(또는 스타일리스트 펜으로 클릭 등)하여 선택한다(도 5 (a)). 사용자는 단말기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위치등록 리스트에서 자신이 가려는 장소를 선택한다(예를 들어, 도 5의 (b)에서 '천호상님이 보낸 위치 정보'를 선택). 이때, 도 5 (b)의 위치등록 리스트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Send my Loction' 모드에서 원하는 상대방에게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가 선택한 위치정보를 메모리(160)에서 읽어오고, 증강현실의 실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한 위치정보(즉, '천호상님이 보낸 위치정보'로서, 예를 들어 "강남 병원 211호")에 기초하여, 그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예를 들어, 강남 병원 211호)를 초기화 단계를 거쳐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즉, 강남 병원 211호)까지 가장 빠른 길을 계산한다. 이때,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5 (c)와 같은 "initializing Location"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증강현실(AR) 모드를 수행하여, 'Active Way' 위젯(또는 모드)에서 선택한 목적지(즉, '천호상님이 보낸 위치정보'로서, "강남 병원 211호")를 안내하여 준다. 이때, AR 모드 화면에는 여러 정보들, 예를 들어 "현재 위치(current location)", "소형 지도(mini map)", "길잡이 화살표(direction arrow)", 목적지 명 및/또는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 등을 알려주는 "데이터 정보(data information)"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5 (e) 와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3차원의 길잡이 화살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GPS 수신기 등을 통하여 상기 선택한 위치정보(즉, '천호상님이 보낸 위치정보')에서 현재 위치의 X, Y, Z의 좌표값을 받아와, 3차원 화살표로 표현하며, 목적지의 높이 및 방향을 알려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Passive Way'모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6를 참조하면, 'Passive Way'는 사용자가 자주 가는 장소에 특정 기능들을 설정한 후, 단말기에 해당 장소에 들어설 때, 설정해둔 기능(예를 들어, 알람, 또는 경보 메시지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도 6 (a)와 같이, 단말기(100)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자주 가는 장소에 경보 또는 알림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Passive Way' 위젯을 선택한다. 도 6 (b) 와 같이, 사용자는 자주 가는 장송의 리스트(예를 들어, 집(Home), 직장(Work), 학교(School), 체육관(GYM), 등등)에서 경보 또는 알림을 설정하고 싶은 장소를 선택한다(예를 들어, 집(Home)을 선택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6 (c)와 같이, 에디트 모드(edit mode)에서 사용자는 설정하고 싶은 경보 또는 알림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6 (c)의 에디트 모드(edit mode)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경보 또는 알림의 해당 옵션(또는 위젯)은, "날씨(weather)" 옵션, "소등 알림(light)" 옵션, "가스밸브 확인 알림(GAS)" 옵션, "빨래를 걷을 것인지 확인 알림(launary)" 옵션 등이 있다. 이러한 'Passive Way'의 경보 또는 알림의 설정은, 사용자의 취향 및 용도에 따라 요일, 시간 등을 고려하고, 각 조건들을 AND 또는 OR 조건식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Passive Way' 의 경보 또는 알림의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Passive Way'에 설정된 알림 또는 경보 기능이 있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집(home)의 현관 앞을 나서게 되면, 제어부(180)는 현재 위치정보(즉, 집)를 확인하여(이때, 현재 위치정보는 기지국 또는 GPS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현재 위치정보에 설정된 'Passive Way'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6 (d)와 같이, 제어부(180)가 날씨 정보를 획득(날씨 정보는 제어부가 날씨 정보를 타 시스템 등으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전제한다)하여 비가 오는 것으로 판단하면, 이미 설정된 알림(예를 들어, "비가 옵니다 우산을 챙기세요")을 휴지(idle)모드 중인 단말기의 화면에 팝업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Light" 설정되어 있다면, 현관문을 나설 때 해당 알림(예를 들어, "전기가 켜 있습니다. 전원을 끄세요")을 휴지(idle)모드 중인 단말기의 화면에 팝업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Laundry" 설정되어 있다면, 현관문을 나설 때 해당 알림(예를 들어, "빨래를 걷고 나가세요")을 휴지(idle)모드 중인 단말기의 화면에 팝업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Laundry" 설정은, 날씨가 비 올 경우에 유용하므로, "weather"가 설정되어, 비가 올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의 실시 예와 같은 경보 또는 알림 기능은, 단말기의 출력부(예를 들어, 스피커)를 이용하여 소리(예를 들어, 경고음, 또는 음악 등)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Easy Way'모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7를 참조하면, 'Easy Way'는 단말기가 현재위치 정보 및 교통정보를 받아(예를 들어, 타 시스템으로부터, 또는 교통정보 제공 사업자의 망으로부터 수신), 사용자에게 맵 또는 음성으로 목적지 까지 길 안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길 안내를 제공받고 싶은 경우, 도 7 (a)의 화면에서 'Easy Way' 위젯을 선택한다. 그 선택에 의해 제어부(180)는 "맵모드(map mode)"와 "음성모드(voice mode)"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도 7 (b)와 같이 표시한다. 사용자가 "맵모드"를 선택하였다면, 제어부(180)는 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를 교통정보 등과 함께 도 7 (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목적지를 맵 상에서 길게 입력(long press)하면, 제어부(180)는 이를 인식하고 랠리 포인트(rally point)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현재위치를 맵 상에 표시하고, 목적지까지의 최단 거리 및 소요시간을 계산한 후, 그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있는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등의 데이터(예를 들어, 교통신호등의 보행가능시간)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숫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Send my Location'모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8를 참조하면, 'Send my Location'는 단말기 사용자가 지인들 또는 특정 상대방에게 자신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GPS 좌표 정보, 맵의 이미지 정보 등)를 전송하는 기능이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정보리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정보(또는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싶은 경우, 도 8 (a)의 화면에서 'Send my Location' 위젯을 선택한다.
제어부(180)는 'Send my Location' 위젯이 선택을 인식하고, 도 8 (b)와 같이 폰 북(phone book)(또는 연락처)에 등록된 사람들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만일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달하고 싶은 상대방으로 'Anthony'를 선택하였다면, 제어부(180)는 도 8 (c)와 같이, 두 가지 전송 방식(즉, '좌표 전송' 및 '이미지 전송')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좌표값(예를 들어, GPS 좌표값)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맵 화면에서 캡쳐하여, 그 캡쳐한 이미지를 상기 선택한 상대방(즉, 'Anthony')에게 전송한다.
한편, 상기 두 가지 전송방식 중, '좌표 전송' 은 사용자와 상대방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만일, 상대방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미지 전송' 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맵 모드로 전환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맵 상의 이미지를 캡쳐한 후, 그 캡쳐한 이미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한편, 상기 선택한 상대방(즉, 'Anthony')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좌표값이 경우)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Active Way' 모드에서 읽어와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의 실시 예를, 도 9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특히, 도 9는 'Active Way' 및 'Send my Location'을 선택한 경우에 해당하는 실시 예이다.
상대방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S910). 상대방이 'Send my Location' 모드를 선택하여 위치값(예를 들어, GPS 좌표값)을 사용자(또는 단말기)에게 전송한 경우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 해당 위치기반 서비스를 메뉴(예를 들어, 도 5 (a))로 진입하고, 이용하려는 위젯을 선택한다(S920). 사용자가 'Active Way'를 선택하였다면(S930),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Active Way'의 서브 메뉴 화면(예를 들어, 도 5 (b)), 즉 위치등록 리스트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위치등록리스트에서 자신이 가고자하는 목적지(또는 장소)를 선택한다(S940).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한 목적지의 위치정보를 읽어와, 증강현실의 실제화면을 제공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S950).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 'Send my Location' 위젯을 선택하였다면(S960),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상대방을 선택한 후,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970).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들이다.
도 10 (a)는 'Active Way'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목적지의 방향 및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표시한 화면의 예이다. 도 10 (b)는 'Active Way'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단말기의 위젯 화면 상에서 목적지의 방향 및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표시한 화면의 예이다. 또한, 도 10 (c)는 'Active Way'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화면의 좌측 상단에 목적지의 방향만을 표시한 화면의 예이다. 도 10의 유저 인터페이스 이외에도, 'Active W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21: 카메라
130: 사용자 입력부 137 : AR 아이콘 전환키
140: 센싱부 142: 전자 나침반
143: 가속도 센서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9)

  1. (A) 다수의 상대방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각 위치정보들을 위치등록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모드들 중에 특정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C) 상기 선택한 특정모드가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된 위치등록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표시된 위치등록 리스트에서 특정 위치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E) 상기 선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증강현실의 실제화면을 이용하여 길 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모드들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로 길 안내를 제공하는 'Active Way' 모드와;
    특정 장소에 진입 또는 벗어날 때 경보 또는 알림을 제공하는 'Passive Way'모드와;
    맵 또는 음성으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Easy Way'모드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선택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Send my Location'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장소에 진입 또는 벗어날 때 경보 또는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특정 장소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한 특정 장소에 경보 또는 알림에 관한 옵션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특정 장소에 진입하거나 또는 벗어날 때, 상기 설정한 옵션의 해당 경보 또는 알림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 정보의 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또는 알림에 관한 옵션은
    우천시 등을 알리는 옵션과;
    소등을 확인할 것을 알리는 옵션과;
    가스 밸브를 잠금을 확인할 것을 알리는 옵션과;
    우천시 빨래를 걷을 것을 알리는 옵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또는 알림에 관한 옵션은
    단말기 사용자의 취향 및 용도에 따라 요일, 시간 등을 고려하고, AND 및 OR 조건식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상대방들 각각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보내는 'Send my Location'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Send my Location' 모드를 선택 시, 상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보낼 연락처 목록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연락처 목록에서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받을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한 수신받을 대상에게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상대방들 각각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값이거나, 또는
    맵 모드에서 캡쳐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8. 증강현실의 실제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획득한 실제영상을 표시하고,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다수의 상대방들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위치등록 리스트에 저장하는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모드들 중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한 특정모드가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모드인 경우,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위치등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위치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를 증강현실의 실제화면을 이용하여 길 안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모드들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로 길 안내를 제공하는 'Active Way' 모드와;
    특정 장소에 진입 또는 벗어날 때 경보 또는 알림을 제공하는 'Passive Way'모드와;
    맵 또는 음성으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Easy Way'모드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선택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Send my Location'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KR1020100110627A 2010-11-08 2010-11-08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72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627A KR101726227B1 (ko) 2010-11-08 2010-11-08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627A KR101726227B1 (ko) 2010-11-08 2010-11-08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058A true KR20120049058A (ko) 2012-05-16
KR101726227B1 KR101726227B1 (ko) 2017-04-13

Family

ID=4626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627A KR101726227B1 (ko) 2010-11-08 2010-11-08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2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396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업데이트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180058391A (ko) *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이콘비즈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0006769B2 (en) 2012-06-11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up destin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US10499207B2 (en) 2012-06-11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KR20200127107A (ko) 2019-04-30 2020-11-10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 상권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KR20210024204A (ko) * 2014-01-24 2021-03-04 피씨엠에스 홀딩스, 인크. 현실 세계 장소와 관련된 현실감을 증강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495B1 (ko) * 2017-06-28 2017-09-26 김명철 맞춤형 문진표를 이용한 건강검진 서비스 시스템
KR102442239B1 (ko) 2020-03-03 2022-09-14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136A (ko) * 2004-01-30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지역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100114819A (ko) * 2009-04-16 2010-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환경에서의 증강 현실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136A (ko) * 2004-01-30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지역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100114819A (ko) * 2009-04-16 2010-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환경에서의 증강 현실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769B2 (en) 2012-06-11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up destin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US10499207B2 (en) 2012-06-11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KR20140113396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업데이트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동작 방법
WO2014142502A3 (en) * 2013-03-14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vigation system with dynamic updat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5229417A (zh) * 2013-03-14 2016-01-06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动态更新机制的导航系统及其操作的方法
KR20210024204A (ko) * 2014-01-24 2021-03-04 피씨엠에스 홀딩스, 인크. 현실 세계 장소와 관련된 현실감을 증강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11854130B2 (en) 2014-01-24 2023-12-26 Interdigital Vc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system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gmenting reality in connection with real world places
KR20180058391A (ko) *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이콘비즈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7107A (ko) 2019-04-30 2020-11-10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 상권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227B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08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10166771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531193B1 (ko) 맵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57289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945485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method of changing into augmented reality service screen
KR101726227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00124591A (ko)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53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방법
KR20100050595A (ko) 인스턴트 메시지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698096B1 (ko) 단말기의 드로잉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200323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KR20130085653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1013371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7637B1 (ko) 영상 투사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400446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23365B1 (ko) 잠금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621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88866B1 (ko) 이동 단말기
KR1017795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101319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1929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00110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093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지도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3048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방법
US2011031411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