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391A -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391A
KR20180058391A KR1020160157294A KR20160157294A KR20180058391A KR 20180058391 A KR20180058391 A KR 20180058391A KR 1020160157294 A KR1020160157294 A KR 1020160157294A KR 20160157294 A KR20160157294 A KR 20160157294A KR 20180058391 A KR20180058391 A KR 20180058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on
facility
user device
predetermine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797B1 (ko
Inventor
박용찬
박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콘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콘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콘비즈
Priority to KR102016015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7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숙박 시설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숙박 시설 리스트를 기초로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NMANNED RESPONSE SERVICE OF ACCOMMODATIONS}
본 발명은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펜션, 민박 등과 같은 숙박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숙박 시설의 공식 홈페이지, 예약 대행사 또는 여행사 등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숙박 시설 관련 정보의 획득과 예약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농어촌에 위치하는 숙박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숙박 시설의 공식 홈페이지가 존재하지 않거나, 예약 대행사 또는 여행사 등의 홈페이지에서도 관련 정보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숙박 시설의 입지나 주변 도로 시설 등의 사정에 따라 숙박 시설의 위치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민박과 같은 숙박 시설로서, 숙박업자가 자신이 사용하던 시설을 비워줌으로써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숙박 이용자가 숙박 시설의 각종 시설물의 이용 방법을 상세하게 전달받지 못한 채 숙박 시설을 이용해야 한다. 또한, 숙박업자도 자신이 사용하던 시설을 비워줘야 하기 때문에, 숙박 시설에 대한 실시간 출입 통제나 시설물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1926호, 2005.01.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숙박 시설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숙박 시설 리스트를 기초로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 안내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서 획득된 현실 이미지와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을 위한 출입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에 상기 출입키를 송신하여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의 이용과 제어를 위한 제어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의 제어 모듈에 제어키 또는 상기 제어키와 함께 소정의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숙박 시설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숙박 시설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숙박 시설 리스트를 기초로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숙박 시설 중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숙박 시설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가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숙박 시설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숙박 시설의 출입구를 자동 개방하거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숙박 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숙박업자는 숙박 시설에 대한 출입 통제와 시설물 관리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비콘을 이용한 숙박 시설 정보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 안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비콘을 이용한 숙박 시설의 출입구 개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은 시설물 정보 제공/시설물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시설물 사용 제한/출입 제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숙박 시설”은 여관, 여인숙, 게스트하우스, 모텔, 펜션, 민박, 호스텔, 콘도, 호텔 등의 임의의 유형의 숙박이 제공되는 시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숙박 시설”은 숙박 시설 자체 또는 숙박 시설의 개별 객실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1)은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서버(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서버(100)와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통신한다. 네트워크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제공된다. 네트워크는 임의의 프로토콜, 규모, 토폴로지를 가질 수 있다.
서버(100)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숙박 시설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숙박 시설 정보는 숙박 시설의 명칭, 위치, 가격, 숙박 가능 일시, 룸컨디션, 시설물, 주변 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에 저장된 숙박 시설 정보는 숙박업자에 의해서 수정될 수 있다. 서버(100)는 숙박 시설의 정보 검색, 열람, 숙박 예약, 결제 처리 등을 제공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숙박 시설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서버(100)는 숙박 시설의 출입 권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출입 권한 정보는 출입구 식별 정보, 예약자 명칭, 출입 가능 시간, 출입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입구 식별 정보는 숙박 시설별로 또는 숙박 시설의 개별 객식별로 고유하게 제공될 수 있다. 출입 권한 정보는 예약자가 숙박 시설을 출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서버(100)는 숙박 시설의 시설물 식별 정보와 시설물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시설물 정보는 시설물 명칭, 시설물의 위치, 시설물의 이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에 저장된 시설물 식별 정보와 시설물 정보는 숙박업자에 의해서 수정될 수 있다. 서버(100)는 숙박 시설의 서비스 정보도 저장한다. 서비스 정보는 숙박 시설에서 제공되는 부가적인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서버(100)는 숙박 시설의 시설물에 대한 제어 권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 권한 정보는 시설물 식별 정보, 제어 가능 시간,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권한 정보는 예약자가 숙박 시설의 시설물 이용과 제어를 위하여 사용된다. 서버(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요청에 따라 출입 권한 정보, 시설물 정보, 서비스 정보, 제어 권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장치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조작하여 서버(100)에 접속하고, 서버(100)에 의해서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패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랩톱,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의 통신이 가능한 예시되지 않은 임의의 컴퓨터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저,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무선 통신부(210), A/V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저장부(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서버(10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와이브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초음파, 적외선, RF(Radio Frequency)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한다. 그러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무선 통신 방식이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부(21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제어부(280)에 전달하고, 제어부(28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 모듈(211)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10)는 위치 정보 모듈(213)을 포함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GPS 측위 시스템, WiFi 측위 시스템, 셀룰러(Cellular) 측위 시스템 또는 비콘(beacon) 측위 시스템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측위 시스템들로부터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측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280)에 전달한다.
A/V 입력부(220)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221)과 마이크 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센싱부(24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한다. 센싱부(240)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압력 센서, 진동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의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싱부(24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하여 이용된다.
출력부(2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통보한다. 출력부(250)는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의 형태로 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 모듈(251) 및 스피커 모듈(25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51)은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60)는 각종 데이터 및 명령을 저장한다. 저장부(26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저장부(26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접속되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디바이스(200) 내부의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외부 디바이스에 사용자 디바이스(200) 내부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내부의 전원을 공급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충전용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290)는 무선 통신부(210), A/V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저장부(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90)는 내장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하나의 서버(10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제공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유형의 비콘 디바이스는 각각의 기능을 위하여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유형의 비콘 디바이스마다 서로 다른 비콘 신호를 송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어떤 유형의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단계 S320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 주변의 제1 비콘 디바이스(1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에게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제공한다. 이어서, 단계 S330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에 의해서 숙박 시설의 예약/결제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40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 안내 요청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이용하여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50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숙박 시설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는 제2 비콘 디바이스(3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에 출입키를 송신하여 숙박 시설의 출입구를 개방한다.
다음으로, 단계 S360에서, 숙박 시설의 소정의 시설물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3 비콘 디바이스(4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에게 시설물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숙박 시설의 시설물의 제어 모듈에 제어키 또는 상기 제어키와 함께 소정의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숙박 시설의 시설물을 제어한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룸 서비스와 같은 배달 주문을 서버(100)에게 또는 서버(100)와 연결된 업체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도 4는 비콘을 이용한 숙박 시설 정보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콘 디바이스(1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인식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제1 비콘 디바이스(1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판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숙박 시설 리스트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숙박 시설 리스트는 숙박 시설의 명칭, 위치, 가격, 숙박 가능 일시, 룸컨디션, 시설물, 주변 시설 등과 같은 숙박 시설 정보,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위치로부터의 숙박 시설의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숙박 시설 리스트를 기초로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을 판단하고,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며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리스트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예시적으로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기초로 소정 거리 내에 숙박 시설 A, 숙박 시설 B, 숙박 시설 C, 숙박 시설 D가 위치하며, 이들 중 숙박 시설 B만이 숙박 가능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 안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조작하여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경로 안내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 모듈(221)을 구동하고, 증강현실 화면(20)을 표시한다. 증강현실 화면(20)은 카메라 모듈(221)에 의해서 획득된 현실 이미지와 가상 이미지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상 이미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숙박 시설(사용자가 예약한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상의 제1 객체(21)와 당해 숙박 시설까지의 남은 거리, 도착 시간 등의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가상의 제2 객체(2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증강현실 화면(20) 상의 경로 안내를 참조하여 자신이 예약한 숙박 시설에 빠르고 편리하게 도착할 수 있다.
도 6은 비콘을 이용한 숙박 시설의 출입구 개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60)에 출입키를 송신하여 숙박 시설의 출입구를 개방한다. 출입 관리 모듈(60)은 출입구의 도어락 내에 제공되거나, 도어락과 연결되어 도어락을 제어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숙박 시설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는 제2 비콘 디바이스(3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인식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제2 비콘 디바이스(30)로부터의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출입 권한을 판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당해 숙박 시설의 예약시에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당해 숙박 시설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출입 권한 정보는 출입구 식별 정보, 출입 가능 시간, 출입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출입 권한 정보를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제2 비콘 디바이스(3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는 출입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비콘 신호의 출입구 식별 정보와 저장부(260)에 저장된 출입 권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출입 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출입 권한이 유효한 경우에 한해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60)에 출입키를 송신한다. 출입키는 소정 기간동안만 유효하도록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당해 숙박 시설의 예약시에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60)은 예약자 명칭, 출입 가능 시간, 출입키 등을 포함하는 예약자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60)은 출입키를 비교하여 출입구를 개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제2 비콘 디바이스(30)로부터의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60)에 출입키를 송신한다.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출입 권한의 판단은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60)에 의해서 수행된다. 사용자의 당해 숙박 시설의 예약시에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당해 숙박 시설에 관한 출입키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6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출입키를 기초로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출입 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60)은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출입 권한이 유효한 경우에 한해 출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숙박 시설의 출입구 주변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숙박 시설의 출입구가 자동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숙박 시설의 출입구의 자동 개방 기능에 의해서, 숙박시설 이용자는 편리하게 출입할 수 있으며, 숙박 시설의 출입 통제는 보다 철저하게 관리될 수 있다. 숙박 시설의 출입구의 자동 개방 기능은 숙박업자 또는 예약자에 의해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숙박 시설의 출입구의 도어락에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하여 숙박 시설의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의 당해 숙박 시설의 예약시에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당해 숙박 시설의 출입을 위한 패스워드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는 마찬가지로 소정 기간동안만 유효하도록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시설물 정보 제공/시설물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에게 시설물 정보를 제공한다. 숙박 시설 내에는 복수의 시설물(50)과 복수의 제3 비콘 디바이스(40)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숙박 시설의 시설물(50)은 수도, 조명, 환풍, 냉난방, 냉장, 가스, 전기, 전자 설비 등의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숙박 시설의 소정의 시설물(50)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3 비콘 디바이스(4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인식한다. 제3 비콘 디바이스(4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는 시설물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시설물 식별 정보를 서버(100)로 송신하고, 서버(100)로부터 시설물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시설물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시설물 정보는 시설물 명칭, 시설물의 위치, 시설물의 이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시설물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숙박 시설의 각각의 시설물(50)에 대하여 그 주변에 제3 비콘 디바이스(40)가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숙박 시설의 복수의 시설물(50)에 대하여 그 주변에 제3 비콘 디바이스(4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서버(100)로부터 복수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숙박 시설의 소정의 시설물(50)과 상기 시설물(50)에 상응하는 제3 비콘 디바이스(40)가 서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서버(100)로부터 제3 비콘 디바이스(40)의 위치와 관련된 소정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현재 시간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게 서로 다른 시설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시설물 식별 정보 송신 히스토리,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송신한 시설물 식별 정보의 선후 관계 등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게 서로 다른 시설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시설물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시설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고려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시설물 정보가 아닌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서비스 정보는 숙박 시설에서 제공되는 부가적인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설물(50)을 제어한다. 시설물(50)의 제어를 위해서는 제어키가 필요하며, 사용자의 당해 숙박 시설의 예약시에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시설물 이용과 제어를 위한 제어키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숙박 시설의 출입구 개방시에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제어키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키는 소정 기간동안만 유효하도록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키는 상술한 출입키와 동일하게끔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제어키 또는 제어키와 함께 소정의 제어 명령을 시설물(50)에 송신하여 시설물(5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제어 명령은 근거리 통신에 의해서 송신될 수 있다. 시설물(50)의 제어 모듈(미도시)은 제어키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숙박 시설의 시설물에 대한 제어 권한 정보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 권한 정보는 시설물 식별 정보, 제어 가능 시간,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권한 정보를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제어 권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제어 권한을 판단하고, 현재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제어 권한이 유효한 경우에 한해 숙박 시설의 시설물(50)에 제어키 또는 제어키와 함께 소정의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제어키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숙박 시설의 시설물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수신 및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숙박 시설의 시설물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1)과의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2)은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서버(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2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버(100)는 숙박 시설의 시설 관리 모듈(70)과 연결된다. 서버(100)는 관리자 디바이스(300)의 요청에 따라 시설 관리 모듈(70)에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시설 관리 모듈(70)로부터 숙박 시설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숙박 시설 상태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300)에게 전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숙박 시설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관리자 디바이스(300)에게 소정의 알람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숙박 시설 상태 정보는 출입구의 개폐 상태, 수도, 조명, 환풍, 냉난방, 냉장, 가스, 전기, 전자 설비 등의 시설물의 동작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자 디바이스(300)는 관리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장치를 나타낸다. 관리자는 숙박업자 또는 숙박업자에 의해 고용되어 숙박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를 나타낸다. 관리자는 관리자 디바이스(300)를 조작하여 서버(100)에 접속하고, 서버(100)에 의해서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리자 디바이스(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패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관리자 디바이스(300)는 랩톱,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의 통신이 가능한 예시되지 않은 임의의 컴퓨터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300)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저,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자 디바이스(3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리자 디바이스(300)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9는 시설물 사용 제한/출입 제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관리자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의 시설물 사용을 제한하거나,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한다. 시설 관리 모듈(70)은 숙박 시설 내의 복수의 시설물(50)과 연결된다. 시설 관리 모듈(70)은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60)과도 연결된다. 시설 관리 모듈(70)은 서버(100)를 통해서 관리자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요청 또는 명령을 수신한다. 시설 관리 모듈(70)은 관리자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요청 또는 명령에 따라, 시설물(50)과 출입 관리 모듈(60)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직접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사용하거나 숙박시설에 출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시설 관리 모듈(70)은 서버(100)로부터 예약자 명칭, 예약 일시 등의 예약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예약 일시가 경과한 경우 자동으로 시설물의 사용 및/또는 숙박시설에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숙박 시설 중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숙박 시설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가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숙박 시설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숙박 시설의 출입구를 자동 개방하거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숙박 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숙박업자는 숙박 시설에 대한 출입 통제와 시설물 관리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제1 비콘 디바이스
20 : 증강현실 화면
30 : 제2 비콘 디바이스
40 : 제3 비콘 디바이스
50 : 숙박 시설 시설물
60 : 출입 관리 모듈
70: 시설 관리 모듈
100 :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서버
200 : 사용자 디바이스
300 : 관리자 디바이스

Claims (10)

  1.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숙박 시설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숙박 시설 리스트를 기초로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 안내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서 획득된 현실 이미지와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을 위한 출입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에 상기 출입키를 송신하여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의 이용과 제어를 위한 제어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의 제어 모듈에 제어키 또는 상기 제어키와 함께 소정의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5. 적어도 하나의 숙박 시설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숙박 시설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숙박 시설 리스트를 기초로 숙박 가능한 숙박 시설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 안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경로 안내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서 획득된 현실 이미지와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화면을 표시하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을 위한 출입키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구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콘 디바이스로부터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비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 관리 모듈에 상기 출입키를 송신하여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하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의 이용과 제어를 위한 제어키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의 제어 모듈에 제어키 또는 상기 제어키와 함께 소정의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소정의 숙박 시설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0.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57294A 2016-11-24 2016-11-24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88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294A KR101886797B1 (ko) 2016-11-24 2016-11-24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294A KR101886797B1 (ko) 2016-11-24 2016-11-24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391A true KR20180058391A (ko) 2018-06-01
KR101886797B1 KR101886797B1 (ko) 2018-08-08

Family

ID=6263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294A KR101886797B1 (ko) 2016-11-24 2016-11-24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474A (ko) *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스테이폴리오 IoT 기반 숙박시설 객실 관리 및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097A (ja) * 2003-05-27 2004-12-16 Nec Corp 宿泊施設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宿泊施設サービス方法
KR20050011926A (ko) 2003-07-24 2005-01-31 (주) 한국정보시스템 객실 관리 시스템
KR20120049058A (ko) * 2010-11-08 2012-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651377B1 (ko) * 2015-11-20 2016-08-25 김동수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52505B1 (ko) * 2016-04-12 2016-08-30 주식회사 차후 숙박업소의 객실 관리 시스템
KR20160121038A (ko) * 2015-04-09 2016-10-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내 위치 및 경로 안내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가 적용되는 선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097A (ja) * 2003-05-27 2004-12-16 Nec Corp 宿泊施設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宿泊施設サービス方法
KR20050011926A (ko) 2003-07-24 2005-01-31 (주) 한국정보시스템 객실 관리 시스템
KR20120049058A (ko) * 2010-11-08 2012-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60121038A (ko) * 2015-04-09 2016-10-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내 위치 및 경로 안내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가 적용되는 선박
KR101651377B1 (ko) * 2015-11-20 2016-08-25 김동수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숙박업소 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52505B1 (ko) * 2016-04-12 2016-08-30 주식회사 차후 숙박업소의 객실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474A (ko) *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스테이폴리오 IoT 기반 숙박시설 객실 관리 및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797B1 (ko)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5807B1 (en) Undesired NFC pairing
US9589401B2 (en) Method for securely delivering indoor positioning data and applications
CN102467574B (zh) 移动终端及其元数据设置方法
US9189938B2 (en) Automatically locating fire alarms
KR102178109B1 (ko) 재실자에게 피난경로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재실자에게 피난경로 안내정보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51913A1 (en) Unlock method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erminal for performing same
KR102161100B1 (ko) 위치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30103309A1 (en) Emergency guiding system and server
KR20110087637A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45342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05324A (ko) 이동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728258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access device for a personal data source
KR101886797B1 (ko) 숙박 시설 무인 응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64137B1 (ko)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KR101680746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
US108629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202790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automatic response method
CN106210186A (zh) 多屏幕智能手机及其操作方法
KR101523485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관리 방법
KR102042603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사물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7010415A (ja) 入室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19877A (ko) 전파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40031448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제시스템
KR20110089689A (ko) 컨텐츠 이용 방법,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US20210191779A1 (en) Operating system level distributed ambient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