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744A - 피 대상물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피 대상물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744A
KR20120048744A KR1020100109339A KR20100109339A KR20120048744A KR 20120048744 A KR20120048744 A KR 20120048744A KR 1020100109339 A KR1020100109339 A KR 1020100109339A KR 20100109339 A KR20100109339 A KR 20100109339A KR 20120048744 A KR20120048744 A KR 2012004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pparatus main
classification
sorting
m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255B1 (ko
Inventor
고성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filed Critical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Priority to KR102010010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2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6Linear sorting machines in which articles are removed from a stream at select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피 대상물 분류장치 특히, 우편물이나 택배물 등을 자동으로 원하는 조건으로 분류 가능하게 한 피 대상물 분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피 대상물 분류장치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피 대상물을 이송토록 제공된 피 대상물 이송유닛; 및,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이송 중인 피 대상물을 설정된 분류 위치에서 낙하시키어 분류토록 제공된 피 대상물 분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설비에 비하여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구현하여 콤팩트 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피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분류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면서 실용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피 대상물 분류장치{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 대상물 분류장치 특히, 우편물이나 택배물 등을 자동으로 원하는 조건으로 분류 가능하게 한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설비에 비하여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구현하여 콤팩트 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피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분류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면서 실용적인 피 대상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체국, 택배 회사 또는 기타 유통 업체에서, 수집(수령)된 택배물이나 우편물 등을 택배 또는 송달 지역이나 국가별 송달 조건에 맞추어 분류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한편, 이와 같은 피 대상물의 분류작업은 기존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여러 개의 지역별, 국가별로 바구니 등을 배치하고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작업을 통한 피 대상물의 분류작업은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작업 효율도 낮기 때문에, 소량의 우편물이나 택배물을 처리하는 소규모 우체국이나 택배 회사에서만 가능한 것이었다.
즉, 국제 우편물을 집중 처리하는 대규모 국제 우체국이나 국내의 우편물, 택배물 등이 집중되는 우편 집중국 등에서는, 수작업으로 피 대상물을 지역별, 국가별로 분류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고, 많은 인원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우편물이나 택배물 등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분류설비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특히, 국제 우체국이나 우편 집중국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분류설비들은 그 규모가 상당하여, 설비 구축시 비용이 상당히 발생되는 것은 물론, 설비 자체의 규모에 맞는 대규모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소수의 특정 규모가 큰 우체국(집중국)에서만 분류 설비를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분류 설비의 구조 간소화를 구현하면서도 작업 효율은 적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설비의 구축이나 운영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콤팩트 분류설비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기존 설비에 비하여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구현하여 콤팩트 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피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분류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면서 실용적인 피 대상물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피 대상물을 이송토록 제공된 피 대상물 이송유닛; 및,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이송 중인 피 대상물을 설정된 분류 위치에서 낙하시키어 분류토록 제공된 피 대상물 분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피 대상물 분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으로 제공된 피 대상물 투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 대상물 투입부에는 피 대상물의 분류조건을 인식토록 제공되는 피 대상물 인식수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 대상물 인식수단은, 피 대상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감지하는 바코드 감지기 또는 타건기로 제공되고, 상기 피 대상물 인식수단은, 상기 이송유닛에 연계된 엔코더와 장치 본체와 투입부사이에 배치된 센서수단 및 상기 분류수단과 연계되는 제어밸브와 장치 제어부를 매개로 연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으로 피 대상물 투입부의 제2 장치 본체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장치 본체에는 피 대상물의 장치 본체측 투입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2 이송유닛이 더 배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본체와 제2 장치 본체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상에 조립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본체와 제2 장치 본체의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계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에 설치된 상,하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 측벽 상에는 피대상물 이송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제공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본체와 제2 장치 본체의 본체부와 지지부사이에 연계되는 경사각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각 조정수단은, 본체부에 장착된 수직아암이 체결되는 호형홈부를 갖고 지지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조정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유닛과 제2 이송유닛은, 장치 본체와 제2 장치 본체에 구비된 지지부의 상,하 측벽 사이에 설치된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 사이에 무한궤도로 체결되어 피 대상물이 안착 이송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 대상물 분류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된 지지부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 구동실린더; 및, 상기 수직 구동실린더에 연결되고 지지부에서 수직 운동토록 지지되어 하강시 피 대상물 낙하공간을 형성토록 제공된 분류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류판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하부 측벽에 소정 간격으로 피 대상물 낙하공간을 형성토록 제공된 게이트 플레이트사이에 가이드판을 매개로 수직 이동토록 제공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유닛에서 분류되는 피 대상물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토록 제공된 에어 분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수단은,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분류수단의 수직 구동실린더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에어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피 대상물 분류장치에 의하면, 기존 설비에 비하여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구현하여 콤팩트 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피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분류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면서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피 대상물은 다량의 우편물이나 택배물 등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원하는 조건(지역 또는 국가별 분류)으로 분류 가능하게 하면서도, 장치가 콤팩트하기 때문에, 우체국이나 택배 회사에서의 적용이 용이한 등의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중량이 있는 피 대상물을 분류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7은 중량이 가벼운 피 대상물의 분류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 대상물 분류장치(1)를 각각 사시도, 배면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 장치로 분류되는 피대상물(2)은 도 1과 같이 우편물(2)로 일괄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우편물(2)은 일정한 규격의 국제 우편물일 수 있거나, 또는 도 1과 같이 부피가 크거나 얇은 우편봉투 크기의 택배물 또는 소형 우편물일 수 있다.
한편,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장치(1)는 우편물이나 택배물의 크기나 중량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효율적으로 분류 가능하다.
물론, 부피나 중량이 과도하게 큰 박스형태의 택배물은 적용이 어려우나, 본 발명 장치를 통하여 이송이 가능한 정도의 크기나 중량이라면 적용에 문제가 없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류장치(1)는, 장치 본체(10)와, 상기 장치 본체(10)에 피 대상물(2)을 이송토록 제공된 피 대상물 이송유닛(30) 및,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되 피 대상물 이송유닛(30)와 연계하여 피 대상물을 분류 처리토록 제공된 피 대상물 분류수단(50)을 포함하여 콤팩트하게 구성된 것에 그 실시예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치 본체(10)에 제공된 피 대상물 이송유닛(30) 상에 안착된 피 대상물(2)이 이송되는 도중에, 상기 피 대상물 분류수단(50)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낙하되면서 분류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 장치는 기존 설비에 비하여 전체적인 장치 구성이 간소화되면서 콤팩트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면서, 우편물(2)의 분류가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은 우편물(2)의 분류는 우편물(2)이 각 지역의 우체국에서 접수할 때 또는, 택배회사에서 접수하는 경우 부착하는 바코드(2a)를 이용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우편물 인식수단(110)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인식되면서 신속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장치 본체(10)의 일측으로 우편물(2)의 장치 투입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우편물 투입부(1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우편물 투입부(100)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편물(2) 즉, 피 대상물을 자동적으로 인식토록 제공되는 우편물 인식수단(110)을 구비하는데, 예를 들어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2a)를 인식하는 알려진 바코드 인식기일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우편물의 바코드(2a)를 타건방식으로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편물 바코드가 손상되거나 다른 외부적인 요인으로 바코드 인식기인 인식수단(110)이 우편물 바코드(2a)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않는 경우, 작업자는 타건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우편물을 인식토록 할 수 있다.
한편, 바코드 인식기이든 타건기이든 본 발명에서 우편물 인식수단(110)은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2a)를 인식하여 분류위치를 장치 제어부(C)에서 설정하도록 하는데, 이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우편물 분류수단(50)의 작동을 장치제어부(C)에서 제어하여 장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우편물 분류수단들의 작동에 따라 우편물은 원하는 조건(지역이나 국가 등)에 맞추어 분류 처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장치(1)에서 상기 우편물 인식수단(110)은, 우편물 이송유닛(30)와 우편물 분류수단(50)과 장치 제어부(C)를 매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장치(1)는 기본적으로 우편물의 분류가 수행되는 장치 본체(10)와,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으로 상기 우편물 투입부(110)에 제공되는 제2 장치 본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장치 본체(10)와 제2 장치 본체(130)는 그 기본 구조는 동일하게 할 수 있고, 다만 본 발명의 경우 도 4 및 도 5에서는 장치 본체와 제2 장치 본체의 도면부호를 병기하여 구조가 이해되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제2 장치 본체(130)에는 우편물을 장치 본체 (10)측으로 투입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2 우편물 이송유닛(150)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제2 우편물 이송유닛(150)의 구조도 본 발명 장치의 우편물 이송유닛(30)와 같은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도 4 및 도 5에서는 우편물 이송유닛(30)와 제2 우편물 이송유닛(150)의 관련 도면부호를 병기한다.
즉, 도 1,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장치(1)에서, 상기 장치 본체(10)와 상기 장치 본체의 상류측(입측)에 제공되는 우편물 투입부(100)측의 제2 장치 본체(130)는, 본체부(12)(132) 및, 상기 본체부(12) (132)상에 조립되는 지지부(14)(134)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2)(132)들은 중량이 가볍고 강도는 유지되는 소재의 로드들이 가로 및 세로로 연결 조립된 박스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도면에서 별도의 부호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부 들의 하부에는 본체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판들이 연결될 수 있다.
다음, 도 1,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와 제2 장치 본체(130)의 지지부(14)(134)는, 상기 본체부와 연계되는 가로대(16)(136)와, 상기 가로대(16)(136)에 설치된 상,하 측벽(18)(13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 측벽 상에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우편물 이송유닛(30)와 우편물 투입부측의 제2 우편물 이송유닛(150)를 지지하는 지지판(20)(140)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도 1,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장치(1)에서 장치 본체(10)와 제2 장치 본체(130)의 본체부(12) (132)와 지지부(14)(134)사이에 연계되어 지지부 상에 제공되는 우편물 이송유닛(30)와 제2 우편물 이송유닛(150)의 경사각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조정수단(22)(142)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우편물 이송유닛(30)와 제2 우편물 이송유닛(150)는 경사지게 제공되어 이를 따라 이송되는 우편물(2)이 우편물 분류수단 (50)의 작동에 따라 지지부의 게이트 플레이트(56)사이의 공간 즉, 낙하공간(T)에서 신속하게 낙하되면서 분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경사각 조정수단(22)(142)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장치 본체(10)측과 제2 장치 본체(130)측에 같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정수단(22)(142)은, 장치 본체와 제2 장치 본체측의 본체부(12)(132)에 장착된 수직아암(24)(144)이 체결되는 호형홈부(26a)(146a)를 갖고, 상기 지지부(14)(134)의 가로대(16)136) 하부에 장착되는 조정판(26)(14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아암(24)(144)의 상단부가 조정판의 호형홈부(26a)(146a)를 따라 별도의 부호로 도시하지 않은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그 체결위치를 조정하면 조정판 상의 지지부의 경사각도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결국, 이송유닛의 벨트 마모나 투입되는 우편물의 중량이 가벼운 경우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정하면서 간편하게 상기 경사각 조정수단(22)(142)을 통하여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우편물의 분류를 용이하게 할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아암(24)(144)들은, 장치 본체의 본체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가로대(도 1의 13 및 131 참조)상에 수직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장치(1)에서 우편물의 분류를 위한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이송유닛(30)과 우편물 투입부(100)측의 제2 이송유닛(150)은, 도 1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와 제2 장치 본체(130)에 구비된 앞에서 설명한 지지부(14)(134)의 상,하측벽(18)(138) 사이로 전,후방에 설치되고 별도의 도면부호로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서 구동되는 구동롤러(32)(1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32)(152)중 하나에만 모터가 연계 구성되고, 다른 구동롤러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의 상,하측 측벽(18)(138)에 설치된 베어링(32a)(152a)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송유닛(30)(150)들은, 상기 구동롤러 사이에 무한궤도로 체결되어 상부에 우편물(2)이 안착 이송되는 경사진 벨트((34)(15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 중 하나에 연계된 모터의 구동시 상기 벨트는 무한궤도로 구동되면서, 우편물(2)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분류수단(50)의 작동에 따라 낙하 분류되는 위치까지 이송된다.
한편, 이와 같은 이송유닛(30)과 제2 이송유닛(150)은 작동 구성은 동일하고, 다만 투입부측의 제2 이송유닛(150)은 우편물 투입위치에 제공되므로 이송유닛 보다는 짧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서 도시한 이송유닛(30)의 길이는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장치 본체와 이송유닛(30)의 길이를 신장시키고, 대신 구동롤러들을 더 많이 지지부의 상,하 측벽사이에 배치하면, 우편물(2)의 분류 종류를 더 다양하고, 다 많은 규격의 우편물을 분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1,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장치(1)에서, 실질적으로 우편물을 분류하는 상기 분류수단(5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수단(50)은, 상기 장치 본체(10)에 구비된 지지부(14)에 소정 간격으로 우편물 분류위치(낙하공간(T))에 대응하여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 구동실린더(52) 및, 상기 수직 구동실린더(52)에 연결되고 지지부에서 수직 운동토록 지지되어 하강시 우편물 낙하공간(S)을 형성토록 제공된 분류판(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우편물 분류수단(50)의 상기 분류판(54)은, 장치 본체(10)상의 지지부(14)에 구비된 하부 측벽(18)에 소정 간격으로 우편물 낙하공간(T)을 형성토록 제공된 게이트 플레이트(56)사이에 긴밀하게 수직 이동토록 배치되고, 상기 분류판(54)의 외측에는 상기 게이트 플레이트 사이에 조립되는 가이드판(58)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분류판(54)은, 상기 게이트 플레이트와 가이드판 사이에서 수직 구동실린더(52)의 로드의 상승 또는 하강과 일체로 수직 운동된다.
예컨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지역이나 국가로 보내지는 우편물(2)인 경우, 우편물 투입부(100)의 우편물 인식수단(110)인 바코드 인식기가 우편물(2) 상부의 바코드(2a)를 인식하면, 해당 우편물이 이송유닛(30)상에서의 이송거리가 장치제어부(C)에서 설정하고, 우편물 투입부(100)와 장치 본체(10)의 경계에 위치된 센서수단(S) 예를 들어, 근접센서에서 우편물을 감지하는 순간(즉시), 일측 구동롤러(32)의 롤축부(미부호)에 조립된 엔코더(E)는 구동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고, 따라서 장치 제어부(C)에서는 해당 우편물의 이송 거리를 설정하여 구동롤러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면서 우편물(2)은 원하는 국가나 지역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이송중 분류되게 된다.
다음,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장치(1)는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본체(10)에 분류되는 우편물(2)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토록 제공된 에어 분사수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 분사수단(70)은, 도 1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에 구비되고 상기 우편물 분류수단(50)의 수직 구동실린더(52)와 배관(74)으로 연결되는 제어밸브(72) 즉,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노즐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지지부의 상측 측벽(18)을 따라 연결된 에어 공급관(미부호)는 상기 제어밸브(72)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밸브(72)는 배관(74)을 매개로 분류판을 수직 구동시키는 수직 구동실린더(52)의 포트와 연결되면, 상기 제어밸브의 작동에 따라 수직 구동실린더(52)로의 에어 공급과 에어 분사수단(70)에서의 에어(A)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밸브(72)는 도 1과 같이, 장치 제어부(C)에 연계되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분사수단(70)은, 자체적으로 중량이 있는 우편물(2)인 경우에는 그 작동이 정지되고, 반대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편물(2)이 얇은 봉투 정도이면, 우편물 분류시 수직 구동실린더(52)의 하강 작동과 동시에, 상기 에어 분사수단(70)을 통하여 에어(A)를 분사시키면, 도 1과 같이 이송유닛(30)의 벨트(34)에서 부터 쉽게 이탈되면서 낙하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 장치의 상기 에어 분사수단(70)은 분류시 벨트와의 접촉력으로 잘 이탈되지 않은 중량이 가볍고 얇은 우편물(2)도 원활하게 분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편물 분류장치(1)에서는, 구동롤러(32)측에 엔코더(E)가 장착되어 구동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고, 우편물 바코드 인식기의 우편물 인식수단(110)에서 우편물의 바코드(2a)를 인식하면 연계된 장치제어부(C)는 벨트의 이송속도를 계산하여 인식된 우편물이 어느 위치에서 낙하 분류되도록 연계된 제어밸브(72)의 구동을 제어하여 분류판을 수직 운동시키는 수직 구동실린더(52) 즉, 에어 실린더로의 에어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우편물 투입부(100)의 제2 이송유닛(150)과 장치 본체측 이송유닛(30)사이에는 우편물이 장치 본체측 이송유닛(30)으로 진입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센서수단(S) 예컨대, 근접센서가 설치되고, 이와 같은 근접센서는 장치 제어부(C)에 신호를 보내어 우편물의 정확한 이송거리를 설정(계산)토록 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유닛(30)과 제2 이송유닛(150)의 구성요소들의 도면부호를 같이 표기하였는데, 우편물(2)의 낙하 분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이송유닛들의 벨트(34)(154)의 캐리어 부분(우편물을 이송하는 구간)에서는 분류판(54)의 하강 완료시 우편물이 간섭이나 접촉되지 않고 신속하게 낙하 분류되도록 정밀하게 조정하여 조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류판(54) 하강시 형성되는 우편물 낙하공간(T)의 폭은 적정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국제 우체국에서 처리하는 우편물의 길이가 100-500mm 정도이면 이를 감안하여 적어도 500mm 보다는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유닛(30)의 벨트(34)의 속도는 구동롤러의 제어를 통하여 적정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피 대상물(2)로 우편물을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바코드 처리되는 물품의 분류시 본 발명의 장치 사용에는 문제가 없다.
이때,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우편물(2)이 낙하하는 장소에는 박스(B)등을 배치하여 낙하 분류되는 우편물을 지역별 또는 국가별로 분류하면 될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 장치는 장치 제어부(즉, 순환제어기(PLC))와 연계된 근접센서, 릴레이,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접촉식 센서, 실린더 구동 제어를 위한 전기제어밸브 등을 사용하여 정밀한 제어 작동을 구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우편물 즉, 피 대상물 분류장치(1)는 기존에 대형 분류설비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구조가 콤팩트하면서, 우편물의 원활하게 정확한 분류를 가능하게 하는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피 대상물 분류장치 2.... 피 대상물
2a.... 바코드 10,130....장치 본체와 제2 장치 본체
12,132.... 본체부 14,134.... 지지부
16,136.... 가로대 18,138.... 상,하 측벽
20,140.... 지지판 20,142.... 경사각 조정수단
30,150.... 피 대상물 이송유닛과 피 대상물 제2 이송유닛
32,152.... 구동롤러 34,134.... 무한궤도형 벨트
50.... 피 대상물 분류수단 52.... 수직 구동실린더
54.... 분류판 56.... 게이트 플레이트
58.... 가이드판 70.... 에어분사수단
72.... 제어밸브 100.... 피 대상물 투입부
110.... 피대상물 인식수단

Claims (11)

  1. 장치 본체(10);
    상기 장치 본체(10)에 피 대상물을 이송토록 제공된 피 대상물 이송유닛(30); 및,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이송 중인 피 대상물을 설정된 분류 위치에서 낙하시키어 분류토록 제공된 피 대상물 분류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피 대상물 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10)의 일측으로 제공된 피 대상물 투입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피 대상물 투입부(100)에는 피 대상물의 분류조건을 인식토록 제공되는 피 대상물 인식수단(110)이 더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 대상물 분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 대상물 인식수단(110)은, 피 대상물(2)에 부착된 바코드(2a)를 감지하는 바코드 감지기 또는 타건기로 제공되고,
    상기 피 대상물 인식수단(110)은, 상기 이송유닛(30)에 연계된 엔코더(E)와 장치 본체와 투입부(100)사이에 배치된 센서수단(S) 및, 상기 분류수단(50)과 연계되는 제어밸브(72)와 장치 제어부(C)를 매개로 연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 대상물 분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10)의 일측으로 피 대상물 투입부의 제2 장치 본체(130)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장치 본체(130)에는 피 대상물의 장치 본체(10)측 투입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2 이송유닛(150)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 대상물 분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10)와 제2 장치 본체(130)는, 본체부(12)(132); 및,
    상기 본체부(12)(132)상에 조립되는 지지부(14)(13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 대상물 분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10)와 제2 장치 본체(130)의 지지부(14)(134)는, 상기 본체부와 연계되는 가로대(16)(136)와, 상기 가로대(16)(136)에 설치된 상,하 측벽(18) (138)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 측벽 상에는 피 대상물 이송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판(20)(140)이 더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 대상물 분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와 제2 장치 본체의 본체부(12)(132)와 지지부(14)(134)사이에 연계되는 경사각 조정수단(22)(14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각 조정수단(22)(142)은, 본체부(12)(132)에 장착된 수직아암(24) (144)이 체결되는 호형홈부(26a)(146a)를 갖고 지지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조정판(26)(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 대상물 분류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30)과 제2 이송유닛(150)은, 장치 본체와 제2 장치 본체에 구비된 지지부(14)(134)의 상,하 측벽 사이에 설치된 구동롤러(32)(152); 및,
    상기 구동롤러 사이에 무한궤도로 제공되어 피 대상물이 안착 이송되는 벨트(34)(154);
    를 포함하여 구성된 피 대상물 분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 대상물 분류수단(50)은, 상기 장치 본체(10)에 구비된 지지부(14)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구동실린더(52); 및,
    상기 구동실린더(52)에 연결되고 지지부에서 운동토록 지지되어 하강시 피 대상물 낙하공간(S)을 형성토록 제공된 분류판(54);
    을 포함하여 구성된 피 대상물 분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판은 상기 지지부(14)에 구비된 하부 측벽(18)에 소정 간격으로 피 대상물 낙하공간(T)을 형성토록 제공된 게이트 플레이트(56)사이에 가이드판(58)을 매개로 이동토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 대상물 분류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30)에서 분류되는 피 대상물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토록 제공된 에어 분사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수단(70)은,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분류수단의 구동실린더(52)와 배관(74)으로 연결되어 에어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72)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 대상물 분류장치.
KR1020100109339A 2010-11-04 2010-11-04 피 대상물 분류장치 KR10120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339A KR101207255B1 (ko) 2010-11-04 2010-11-04 피 대상물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339A KR101207255B1 (ko) 2010-11-04 2010-11-04 피 대상물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744A true KR20120048744A (ko) 2012-05-16
KR101207255B1 KR101207255B1 (ko) 2012-12-13

Family

ID=4626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339A KR101207255B1 (ko) 2010-11-04 2010-11-04 피 대상물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2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3915A (zh) * 2019-04-30 2019-07-26 杭州迅工科技有限公司 斜落式分拣车及其开门机构
KR20220071708A (ko) * 2020-11-24 2022-05-31 신동원 에어분사장치를 적용한 자동물품분류장치
KR20220091811A (ko) * 2020-12-24 2022-07-01 삼경정기(주) 불량품 선별장치
KR102453849B1 (ko) * 2022-03-03 2022-10-14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인공지능 카메라와 로봇이 포함된 재활용폐기물 수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268B1 (ko) * 2021-05-24 2023-09-06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소포 분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3915A (zh) * 2019-04-30 2019-07-26 杭州迅工科技有限公司 斜落式分拣车及其开门机构
KR20220071708A (ko) * 2020-11-24 2022-05-31 신동원 에어분사장치를 적용한 자동물품분류장치
KR20220091811A (ko) * 2020-12-24 2022-07-01 삼경정기(주) 불량품 선별장치
KR102453849B1 (ko) * 2022-03-03 2022-10-14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인공지능 카메라와 로봇이 포함된 재활용폐기물 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255B1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255B1 (ko) 피 대상물 분류장치
CN107626601A (zh) 一种货物分拣筛选装置
US20060180435A1 (en) Tray positioning device for stacking of product and method of use
US20090272859A1 (en) High Density Mail Sorting Cart
CN111687056B (zh) 一种物流分拣系统
KR101270844B1 (ko)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
JP2000343044A (ja) 物体の供給装置
CN109051484A (zh) 一种物流分拣机
CN111570290A (zh) 一种物流智能包裹间隔翻转式分拣系统
CN112849889A (zh) 一种仓储物流智能分拣系统
WO2015068267A1 (ja) 選別機
CN106586498B (zh) 可移动式快递盒传送机构及其工作方法
CN208261282U (zh) 气缸推杆式皮带分拣装置
CN212821174U (zh) 一种物流智能包裹间隔翻转式分拣系统
CN210022862U (zh) 输送装置、供件装置以及分拣设备
CN211254194U (zh) 一种陪镀板收板装置
CN116729966B (zh) 一种智能云仓物流分拣皮带输送设备
KR102081533B1 (ko) 원핸드식 물품자동 분류장치 및 이를 갖는 물류시스템
US2774458A (en) Segregator conveyor
CN210906966U (zh) 一种计算机控制的物流中转分拣装置
CN111332733A (zh) 一种基于局部转动的直线分拣机及其分拣方法
CN213409463U (zh) 一种多模式分拣设备
CN215390937U (zh) 一种用于物品分拣装置
CN219309401U (zh) 一种成件烟箱通道分拣装置及系统
CN210230670U (zh) 一种拨动式服装分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