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268B1 - 소포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소포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268B1
KR102574268B1 KR1020210066475A KR20210066475A KR102574268B1 KR 102574268 B1 KR102574268 B1 KR 102574268B1 KR 1020210066475 A KR1020210066475 A KR 1020210066475A KR 20210066475 A KR20210066475 A KR 20210066475A KR 102574268 B1 KR102574268 B1 KR 102574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cel
scanner
frame
senso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531A (ko
Inventor
정만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Priority to KR102021006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2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 B07C3/1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6Linear sorting machines in which articles are removed from a stream at select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포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모듈와,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포가 진입하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따라 이동하는 소포의 진입을 감지하는 부피 트리거 센서와, 상기 프레임의 입구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부피 트리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소포의 높이를 측정하는 부피 측정 센서와, 상기 부피 측정 센서의 후방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부피 측정 센서의 신호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 바와, 상기 승강 바에 설치되어 상기 소포에 부착된 라벨을 인식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와 부피 측정 센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 바에 설치된 스캐너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캐너 이동 센서와, 상기 스캐너 이동 센서와 스캐너 사이에 설치되어 스캐너를 작동시키는 스캐너 트리거 센서 및 상기 프레임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스캐너를 통해 인식된 소포를 정해진 방향으로 밀어내는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분류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소포 분류 장치{Package sorting device }
본 발명은 소포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포를 선별하는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켜 협소한 장소에서도 소포를 선별할 수 있는 소포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택배산업의 성장으로 인해서 소포 물량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우편집중국이나 물류센터에서는 우편물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소포 분류 시스템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물품 처리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Wheel 타입, 크로스 벨트 타입, Tilt 타입, E-Tray 타입 등 새로운 구분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 되고 소형에서부터 대형 소포까지 구분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소포 분류 장치는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기계 장치 구조물과, 기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구분을 위한 정보처리 및 구분기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데, 세부적으로 기계 장치는 물품을 투입하는 공급컨베이어벨트, 컨베이어벨트에서 전달되는 물품을 소터(Sorter)에 고속으로 투입 공급하는 인덕션(Induction), 소터에 공급된 물품을 구분구 슈트(Chute)까지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Carrier 또는 Tray), 캐리어가 장착되어 구동되기 위한 트랙(Track), 물품이 목적지별로 분류되어 방출되는 슈트 등으로 구성된다.
즉, 대량 소포 분류 장치는 개방 또는 폐쇄형의 고리 형태로 구성되며, 고리부분에는 트랙 또는 루프(Loop)를 구성하고, 고리의 가장자리에는 슈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소포 분류 장치의 트랙에 소포를 인덕션을 통해 대량으로 계속 투입하고 자동 분류되는 소포를 슈트를 통하여 행선지별로 구분하고, 이 구분된 소포를 운반구로 운반하여 대기하고 있는 지정된 화물차에 적재한 후에 목적지로 출발시키도록 한다.
종래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2992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된 소포(10)를 크로스밸트(20)의 설정 영역에 배치하여 목적지 방출지점에서 소포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컨베이어밸트(30, 32, 34)에 인입된 소포의 길이에 대한 검출신호(sg)를 출력하는 검출부(40), 상기 컨베이어밸트(30)로부터 상기 소포가 이동 배치되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을 포함하는 크로스밸트(20)와 연동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크로스밸트 구동부(22) 및 상기 검출신호를 기초로 중앙 영역 및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소포가 배치되도록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신호(sc)를 크로스밸트 구동부로 전송하는 제어부(44)를 포함하는 소포 분류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소포 분류 장치는 설치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요구되며, 단층으로 구성되어 필요한 개수만큼의 구분구 슈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충분한 길이의 트랙을 구성해야 하는 등 공간 활용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최근 들어 기존의 물류센터가 차지하는 면적에는 제한이 있기에 신규 소포 선별기의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
KR 10-2014-0042992 A (2014.04.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포를 선별하는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켜 협소한 장소에서도 소포를 선별할 수 있는 소포 분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소포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소포 분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포에 부착된 라벨을 정확히 인식하여 소포의 분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소포 분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소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모듈와,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포가 진입하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따라 이동하는 소포의 진입을 감지하는 부피 트리거 센서와, 상기 프레임의 입구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부피 트리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소포의 높이를 측정하는 부피 측정 센서와, 상기 부피 측정 센서의 후방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부피 측정 센서의 신호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 바와, 상기 승강 바에 설치되어 상기 소포에 부착된 라벨을 인식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와 부피 측정 센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 바에 설치된 스캐너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캐너 이동 센서와, 상기 스캐너 이동 센서와 스캐너 사이에 설치되어 스캐너를 작동시키는 스캐너 트리거 센서 및 상기 프레임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스캐너를 통해 인식된 소포를 정해진 방향으로 밀어내는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분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바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신축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승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캐너는 상기 승강 바를 따라 활주하는 이동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너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출구에 설치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에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에 관통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소포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측방으로 밀어내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출구에 설치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양측단에 설치되며 로드가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측방으로 신축하는 신축 실린더와, 상기 신축 실린더의 로드에 제각기 설치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소포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측방으로 밀어내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는 그 하단에 소포와 접촉하는 푸시 블록이 마련되고, 상기 푸시 블록과 푸시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그 하단에 회전하여 상기 소포와 접촉하는 푸시 날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그 하단에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향해 이동하는 가변 블록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이동 블록에 피벗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에 의하면, 컨베이어 모듈의 상부에 갠트리 타입의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에 소포의 높이 및 컨베이어 모듈 상의 소포 위치를 인식하는 부피 측정 센서, 스캐너 이동 센서, 소포를 정해진 방향으로 밀어내는 브러쉬 모듈이 마련됨으로써 소포를 분류하기 위한 설비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기존의 컨베이어 모듈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모듈에 진입한 소포의 높이 및 소포의 위치에 따라 스캐너가 소포에 부착된 라벨을 추적하여 스캐너가 라벨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됨으로써 소포의 라벨을 인식하지 못하는 오류를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소포 분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 중 스캐너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 중 브러쉬 모듈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 중 브러쉬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는 소포(10)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모듈(100), 상기 컨베이어 모듈(100)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200),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소포(10)의 높이를 측정하는 부피 측정 센서(400),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소포(10)의 라벨을 인식하는 스캐너(600), 컨베이어 모듈 상의 소포 위치를 감지하여 스캐너를 이동시키는 스캐너 이동 센서(700), 스캐너(600)를 통해 인식된 소포(10)를 정해진 방향으로 밀어내는 브러쉬 모듈(9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컨베이어 모듈(100)은 소포(10)를 일정 구간 이동시키는 것으로 한 쌍의 구동 롤러를 컨베이어 벨트로 감싸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소포(10)를 안치시켜 소포(10)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포 분류 장치는 컨베이어 모듈(100)의 상부를 따라 프레임(200)이 설치되는데, 프레임(200)은 다수의 각관이 갠트리 타입으로 형성되며 프레임(200)의 전방에는 소포(10)가 진입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프레임(200)의 후방에는 소포(10)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프레임(200)의 출구에는 브러쉬 모듈(900)에 의해 이동 경로가 변경된 소포(10)를 컨베이어 모듈(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슈트(미도시)가 마련된다.
이렇게 컨베이어 모듈(100)에 갠트리 타입으로 설치되는 프레임(200)에는 컨베이어 모듈(100)에 안치된 상태로 이동하는 소포(10)의 높이 및 위치를 감지하여 스캐너(600)의 위치를 조절하는 부피 측정 센서(400)와 스캐너 이동 센서(700)가 마련된다.
또한, 프레임(200)에는 부피 측정 센서(400)와 스캐너 이동 센서(700)에 앞서 제각기 부피 트리거 센서(300)와 스캐너 트리거 센서(800)가 마련되는데, 부피 트리거 센서(300)는 프레임(200)의 입구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모듈(100)을 따라 이동하는 소포(10)의 진입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부피 트리거 센서(300)는 프레임(200)의 입구 측면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소포의 측방으로 조사하는 광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의 입구 상단에는 부피 측정 센서(400)가 설치되어 컨베이어 모듈(100)에 의해 이송되는 소포(10)의 높이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부피 측정 센서(400)는 레이저를 소포(10)의 상방에서 조사하는 광센서 또는 소포(10)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영상처리하여 소포(10)의 높이를 측정하는 비전센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부피 측정 센서(400)의 후방에는 소포(10)에 부착된 라벨을 인식하여 브러쉬 모듈(900)을 작동시키는 스캐너(600)가 마련된 승강 바(500)가 설치되는데, 승강 바(500)는 부피 측정 센서(400)의 후방에 위치한 프레임(2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 바(500)는 앞서 설명한 부피 측정 센서(400)에서 측정된 소포(10)의 높이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스캐너(600)를 소포(10)의 라벨에 근접하게 위치시켜 스캐너(600)가 라벨을 정확하게 인식시키도록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 바(5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과 승강 바(500)가 신축 실린더(510)에 의해 연결되어 부피 측정 센서(400)의 신호에 따라 신축 실린더(510)가 작동하여 승강 바(5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스캐너(600)를 소포(10)의 라벨에 근접시키게 된다.
또한, 프레임(200)에는 컨베이어 모듈(100)에서의 소포(10) 위치를 감지하여 승강 바(500)에 설치된 스캐너(6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캐너 이동 센서(700)가 설치되는데, 스캐너 이동 센서(700)는 스캐너(600)와 부피 측정 센서(400) 사이의 프레임(200) 측면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소포의 측방으로 조사하는 광센서 또는 소포(10)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영상처리하여 컨베이어 모듈(100) 상의 소포(10) 위치를 측정하는 비전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이동 센서(700)와 스캐너(600) 사이의 프레임(200) 측면에는 스캐너(600)를 작동시키는 스캐너 트리거 센서(8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스캐너 트리거 센서(800)는 프레임(200)의 측면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소포(10)의 측방으로 조사하는 광센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캐너 이동 센서(700)에 의해 승강 바(500)에서 이동하게 되는 스캐너(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바(500)를 따라 활주하는 이동유닛(61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모듈(100)의 너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유닛(610)은 리니어 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동유닛(610)은 스캐너 이동 센서(700)의 신호에 따라 승강 바(500)를 활주하여 스캐너(600)를 소포(10)에 부착된 라벨에 근접시키게 된다.
한편, 프레임(200)의 출구에는 스캐너(600)를 통해 인식된 소포(10)를 정해진 방향으로 밀어내는 브러쉬 모듈(900)이 마련된다.
이러한 브러쉬 모듈(9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출구에 설치되는 가이드 바(910)와, 상기 가이드 바(910)에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920)와, 상기 이송 스크류(920)에 관통되고 이송 스크류(92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바(910)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930) 및 상기 이동 블록(930)에 마련되어 소포(10)를 컨베이어 모듈(100)의 측방으로 밀어내는 푸시부(940)로 구성된다.
가이드 바(910)는 그 내부가 중공된 각관이 형태를 갖고 컨베이어 모듈(100)의 상부를 가로질러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가이드 바(910)의 내부에 구동모터(921)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 스크류(920)가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바(910)의 내부에는 이송 스크류(920)에 관통되는 이동 블록(930)이 설치되는데, 이동 블록(930)은 이송 스크류(920)와 나사산 체결되어 이송 스크류(920)의 회전에 따라 이동 블록(930)이 가이드 바(910)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 블록(930)과 일체로 푸시부(940)가 형성되는데, 푸시부(940)는 이동 블록(930)에서 컨베이어 모듈(100)을 향해 연장되어 이동 블록(930)과 일체로 이동하면서 소포를 컨베이어 모듈(100)의 측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렇게 소포(10)를 컨베이어 모듈(100)의 측방으로 밀어내게 되는 푸시부(94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도 7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푸시부(940)는 그 하단에 소포(10)와 접촉하는 푸시 블록(941)이 마련되고, 푸시 블록(941)과 푸시부(940)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942)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푸시부(940)와 푸시 블록(941)이 탄성부재(942)에 의해 연결되면 이동 블록(930)에 의해 푸시부(940)가 소포(10)와 접촉하게 될 때 탄성부재(942)로부터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면서 소포(10)와 푸시 블록(941)의 충돌을 완충시켜 소포(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푸시부(940)는 그 하단에 회전하여 소포(10)와 접촉하는 푸시 날개(943)가 마련되는데, 푸시 날개(94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푸시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푸시 날개(943)와 푸시부(940)는 스테핑 모터(950)에 의해 연결된다.
이처럼 푸시부(940)의 하단에 회전하는 푸시 날개(943)가 마련되면 푸시 날개(943)가 스캐너(600)를 통해 인식된 소포(10)를 정해진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때, 푸시 날개(943)는 고무와 같은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푸시 날개(943)가 소포(10)를 밀어낼 때 부드럽게 밀어내어 소포(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푸시부(940)는 그 하단에 컨베이어 모듈(100)을 향해 이동하는 가변 블록(945)이 마련되는데, 푸시부(940)와 가변 블록(945)은 신축 실린더(960)에 의해 연결되어 신축 실린더(960)의 작동에 의해 가변 블록(945)이 컨베이어 모듈(100)을 향해 이동하여 가변 블록(945)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부터 소포(10)와 가변 블록(945)의 접촉 면적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소포(10)를 적정한 힘으로 밀어내어 소포(1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푸시부(940)는 이동 블록(930)에 피벗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푸시부(940)와 이동 블록(930)은 스테핑 모터(970)에 의해 연결되어 스테핑 모터(970)의 작동에 따라 푸시부(940)가 일정 각도로 피벗 회전하여 소포(10)를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피벗 회전하는 푸시부(940)는 하단에 골무와 같은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완충재질의 부재가 구비되어 피벗 회전하는 푸시부(940)가 소포(10)에 접촉하게 될 때 그 충돌을 완충시켜 소포(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분류 장치는 컨베이어 모듈(100)에 진입한 소포(10)의 높이 및 소포(10)의 위치에 따라 스캐너(600)가 소포(10)에 부착된 라벨을 추적하여 스캐너(600)가 라벨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됨으로써 소포(10)의 라벨을 인식하지 못하는 오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모듈(100)의 상부에 갠트리 타입의 프레임(200)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200)에 소포(10)의 높이 및 컨베이어 모듈(100) 상의 소포(10) 위치를 인식하는 부피 측정 센서(400), 스캐너 이동 센서(700), 소포(10)를 정해진 방향으로 밀어내는 브러쉬 모듈(900)이 마련됨으로써 소포(10)를 분류하기 위한 설비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기존의 컨베이어 모듈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부(940)는 이동 블록(930)에 피벗 회전되게 설치되고, 푸시부(940)의 하단에 컨베이어 모듈(100)을 향해 이동하는 가변 블록(945)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부(940)가 소품(10)을 컨베이어 모듈(100)의 측방으로 밀어내기 위해 피벗 회전할 때 푸시부(940)의 하단에 마련된 가변 블록(945)이 푸시부(940)의 하단으로부터 신축되어 소품을 원활하게 컨베이어 모듈(100)의 측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바에 한 쌍의 브러쉬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쉬 모듈(900)은 가이드 바(910)의 양측단에 설치되며 로드(912)가 컨베이어 모듈(100)의 측방으로 신축하는 신축 실린더(911)와 상기 신축 실린더(911)의 로드(912)에 제각기 설치되는 이동 블록(930) 및 상기 이동 블록(930)에 마련되어 소포(10)를 컨베이어 모듈(100)의 측방으로 밀어내는 푸시부(9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 12의 브러쉬 모듈(900)은 다수의 소품이 컨베이어 모듈(100)에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이동하게 될 때 또는 소포들이 동일 선상에 근접하여 이동하게 될 때 각각의 푸시부(940)가 소품을 컨베이어 모듈(100)의 측방으로 밀어내어 소품의 처리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10 : 소포 100 : 컨베이어 모듈
200 : 프레임 300 : 부피 트리거 센서
400 : 부피 측정 센서 500 : 승강 바
510 : 신축 실린더 600 : 스캐너
610 : 이동유닛 700 : 스캐너 이동 센서
800 : 스캐너 트리거 센서 900 : 브러쉬 모듈
910 : 가이드 바 920 : 이송 스크류
930 : 이동 블록 940 : 푸시부
941 : 푸시 블록 942 : 탄성부재
943 : 푸시 날개 945 : 가변 블록

Claims (5)

  1. 소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모듈;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소포가 진입하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따라 이동하는 소포의 진입을 감지하는 부피 트리거 센서;
    상기 프레임의 입구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부피 트리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소포의 높이를 측정하는 부피 측정 센서;
    상기 부피 측정 센서의 후방에 위치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부피 측정 센서의 신호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 바;
    상기 승강 바에 설치되어 상기 소포에 부착된 라벨을 인식하는 스캐너;
    상기 스캐너와 부피 측정 센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 바에 설치된 스캐너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캐너 이동 센서;
    상기 스캐너 이동 센서와 스캐너 사이에 설치되어 스캐너를 작동시키는 스캐너 트리거 센서; 및
    상기 프레임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스캐너를 통해 인식된 소포를 정해진 방향으로 밀어내는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출구에 설치되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에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에 관통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소포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측방으로 밀어내는 푸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는 그 하단에 소포와 접촉하는 푸시 블록이 마련되고, 상기 푸시 블록과 푸시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푸시부는 그 하단에 회전하여 상기 소포와 접촉하는 푸시 날개가 마련되며,
    상기 푸시부는 그 하단에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향해 이동하는 가변 블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분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바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신축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분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상기 승강 바를 따라 활주하는 이동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너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분류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10066475A 2021-05-24 2021-05-24 소포 분류 장치 KR102574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475A KR102574268B1 (ko) 2021-05-24 2021-05-24 소포 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475A KR102574268B1 (ko) 2021-05-24 2021-05-24 소포 분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531A KR20220158531A (ko) 2022-12-01
KR102574268B1 true KR102574268B1 (ko) 2023-09-06

Family

ID=8444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475A KR102574268B1 (ko) 2021-05-24 2021-05-24 소포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2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312B1 (ko) * 2004-08-31 2006-06-08 주식회사 퓨트로 우편물 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101207255B1 (ko) 2010-11-04 2012-12-13 대한민국 피 대상물 분류장치
US20160228920A1 (en) * 2015-02-10 2016-08-11 Veolia Environnement - VE Selective Sor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071B1 (ko) * 2008-12-18 2010-11-29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물품 분류 시스템
KR101984769B1 (ko) 2012-09-28 2019-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물 구분 시스템
KR20140081177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맥스로텍 갠트리 이송장치용 고효율 그립퍼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312B1 (ko) * 2004-08-31 2006-06-08 주식회사 퓨트로 우편물 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101207255B1 (ko) 2010-11-04 2012-12-13 대한민국 피 대상물 분류장치
US20160228920A1 (en) * 2015-02-10 2016-08-11 Veolia Environnement - VE Selective Sor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531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7210B2 (ja) 運搬車両を有する材料取り扱い装置
JP7018071B2 (ja) 物品の分類及び仕分けシステム
EP0918715B1 (en) High speed, compound, belted di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3575006B1 (en) Apparatus for sorting items
JP2019501021A5 (ko)
KR102277623B1 (ko) 물품 분류 시스템 및 물품 분류 방법
KR102574268B1 (ko) 소포 분류 장치
KR102171867B1 (ko)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US20230303338A1 (en) Buffering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processing of objects
KR20230123032A (ko) 물품 자동 분류 컨베이어 시스템
NZ769138B2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ith delivery vehicles
NZ744108B2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ith delivery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