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728A -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728A
KR20120048728A KR1020100108957A KR20100108957A KR20120048728A KR 20120048728 A KR20120048728 A KR 20120048728A KR 1020100108957 A KR1020100108957 A KR 1020100108957A KR 20100108957 A KR20100108957 A KR 20100108957A KR 20120048728 A KR20120048728 A KR 20120048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control unit
valve control
cargo
tan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현
강동구
이재환
권오균
김형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728A/ko
Publication of KR2012004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02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26Valves electr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커선의 중압 갑판에 설치되어 있는 카고 기어 락커(cargo gear locker)에 별도의 함체를 신설하고, 통상적으로 보선 스토아(bosun stoer) 내에 설치되고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을 함체 내로 옮겨 이설함으로써, 의장품에 대한 설치 물량 및 설치비 절감과 함께 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Optimum Arrangement Structure of Solenoid Valve Control Unit for Tanker Ship}
본 발명은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탱커선의 중앙 갑판에 설치되어 있는 카고 기어 락커(cargo gear locker)에 별도의 함체를 신설하고, 보선 스토아(bosun stoer) 내에 설치되고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을 상기 함체 내로 이설함으로써, 의장품에 대한 설치 물량 및 설치비 절감과 함께 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탱커선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일반적인 탱커선(10)에는 오일이나 석유, 가스 등을 운송할 수 있도록 카고 탱크(12)가 선수와 선미 사이에 나열되는 구조로 여러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카고 탱크(12) 내에는 탱커선(10)이 갖추어 있어야할 통상적인 배수장치, 환기장치, 송급장치(이하, 장치(14)로 약칭함) 등이 각각 설치되며, 이러한 장치(14)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6)와 각각 제어 케이블(18, 20)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 24)도 함께 구비되어 원격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카고 탱크(12)의 개수를 반으로 나누어 선수(S2) 측에 배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6)와 연결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은 탱커선(10)의 선수(S2) 측에 일반적으로 마련하고 있는 보선 스토아(26) 내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선미(S1) 측 솔레노이드 밸브(16)와 연결된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4)은 통상 선미(S2) 측에 배치되는 엔진 룸(30)의 상부 갑판(H)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와 더불어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 2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파워 유닛(32)은 카고 탱크(12)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작업자가 신속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력 사고 발생 시 운송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사고를 방지하고자 카고 탱크(12)로부터 벗어나면서 선실부(34)와 가까운 갑판(H)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로, 일반적인 탱커선(10)에서는 선미(S1) 측 카고 탱크(12)와 선수(S2) 측 카고 탱크(12)를 구획 경계하는 갑판(H)에 하역을 위한 장비가 보관될 수 있도록 일종의 창고 기능을 발휘하는 카고 기어 락커(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카고 기어 락커(36)는 대부분의 탱커선(1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과 선미(S1)에 배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파워 유닛(32)은 의장품(38)(예를 들면 멀티 코어(Multi-Core) 및 하이드로닉 파이프(Hydraulic Pipe) 전력 케이블(Electric Cable))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의장품(38)이 연결되는 설치길이(d)가 길어 설치 물량과 함께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작업량도 증대되어 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없는 어려움도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통상 선미 측에 배치되는 선실부(Deck House)(34)에서 보선 스토아(26)까지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함으로써, 이동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제어 조작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한편,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은 보선 스토아(26)의 벽면에 고정되며,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과 연결된 의장품(38)은 보선 스토아(26)의 벽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배선정리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보선 스토아(26)의 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H)으로부터 바닥까지의 깊이가 수 미터를 이루고 있어 보선 스토아(26)의 벽면을 따라 갑판(H)까지 배선정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족장 설치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자칫 작업자가 의장품의 배선 정리 작업 도중 족장으로부터 벗어날 경우 보선 스토아(26)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추락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의장품에 대한 설치 물량 및 설치비를 절감하고, 작업자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탱커선의 카고 기어 락커의 상면에 함체가 설치되고, 그 함체의 내부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이 수용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 파워 유닛과 연결되는 의장품의 설치 길이를 줄이도록 한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탱커선의 중앙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카고 기어 락커의 상면에 별도의 함체를 신설하고, 일반적으로 보선 스토아 내에 설치되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을 함체 내로 옮겨 설치함으로써, 의장품에 대한 설치 물량 및 설치비를 절감하고, 아울러 설치 물량의 감소에 따른 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탱커선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이 배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선 스토아 내에 의장품과 연결과는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탱커선에 설치되어 있는 카고 기어 락커와, 이 카고 기어 락커에 함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서는 도 3의 탱커선에 설치되어 있는 카고 기어 락커와, 이 카고 기어 락커에 함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것이므로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에서는, 먼저 종래와 동일한 구조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파워 유닛(32)에서 선수(S2) 측 솔레노이드 밸브(16)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까지 연결되는 의장품(50)(예를 들면 멀티 코어, 하이드로닉 파이프, 전력 케이블)의 설치 물량을 최소화하고자 탱커선(10)의 중앙에 배치되는 카고 기어 락커(36)의 상면에 함체(52)가 신설된다.
그리고 상기 보선 스토아(26) 내에 설치되어 있었던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을 함체(52) 내에 이설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선미(S1)에 설치되는 엔진 룸(30)과, 이 엔진 룸(30)의 상부 갑판(H)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파워 유닛(32)과, 상기 엔진 룸(30)으로부터 선수(S2) 방향으로 나열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카고 탱크(12)와, 선미(S1) 측 카고 탱크(12)와 선수(S2) 측 카고 탱크(12)의 경계되는 갑판(H)에 카고 기어 락커(36)가 설치되어 있는 탱커선(10)에 있어, 상기 카고 기어 락커(36)의 상면에 함체(52)를 설치하고, 그 함체(52)의 내부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을 수용하는 상태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이 탱커선(10)의 중앙으로 위치가 옮겨지게 되면, 종래와 같이 카고 기어 락커(36)로부터 보선 스토아(26)까지 설치되던 의장품의 설치 물량이 삭제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선실부(34)로부터 이동거리도 줄어들게 된다.
결론적으로, 의장품(50)에 대한 설치길이(D)가 종래의 설치길이(d)보다 줄어들게 되어 설치 물량 절감과 함께 선실부(34)에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32)까지의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함체(52) 내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이 설치되게 되면, 함체(52)의 높이와 솔레노이드 밸브 파워 유닛(32)의 연결 높이가 비슷하여 동일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배선 정리 작업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별도의 족장 설치도 필요 없게 됨으로써 고소작업으로 인한 추락사고 및 배선작업의 어려움도 해소할 수 있다.
10 : 탱커선 12 : 카고 탱크
14 : 장치 16 : 솔레노이드 밸브
18, 20 : 제어 케이블 22 :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
24 : 제2 솔레노이드 제어 유닛 26 : 보선 스토아
30 : 엔진 룸 32 : 솔레노이드 파워 유닛
34 : 선실부 36 : 카고 기어 락커
38, 50 : 의장품 52 : 함체

Claims (1)

  1. 선미(S1)에 설치되는 엔진 룸(30)과, 이 엔진 룸(30)의 상부 갑판(H)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파워 유닛(32)과, 상기 엔진 룸(30)으로부터 선수(S2) 방향으로 나열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카고 탱크(12)와, 선미(S1) 측 카고 탱크(12)와 선수(S2) 측 카고 탱크(12)의 경계되는 갑판(H)에 카고 기어 락커(36)가 설치되어 있는 탱커선(10)에서 선수(S1) 측 카고 탱크(12) 내에 설치되는 장치(14)의 솔레노이드 밸브(16)와 제어 케이블(18)로 연결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의 배치구조로서,
    상기 카고 기어 락커(36)의 상면에 함체(52)가 설치되고, 그 함체(52)의 내부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22)이 수용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파워 유닛(32)과 연결되는 의장품(50)의 설치 길이를 줄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
KR1020100108957A 2010-11-04 2010-11-04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 KR20120048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957A KR20120048728A (ko) 2010-11-04 2010-11-04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957A KR20120048728A (ko) 2010-11-04 2010-11-04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728A true KR20120048728A (ko) 2012-05-16

Family

ID=4626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957A KR20120048728A (ko) 2010-11-04 2010-11-04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87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875B1 (ko) 선박 상부구조물 및 그 배열 방법
KR20170100472A (ko)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구비한 부체 구조물
KR102327407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20002216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전기 설비 배치구조
KR20100084435A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CN111114690A (zh) 一种用于双燃料超大型集装箱船加气站的多功能外翻舷门
KR20120048728A (ko) 최적 배치를 위한 탱커선용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닛의 배치 구조
CN211816153U (zh) 集装箱式模块化海上升压站
WO2017090357A1 (ja) 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海洋構造物、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設計方法、及び、海洋構造物の設計方法
DE202010017559U1 (de) Schiff mit Dual-Fuel-Maschinen
KR20210128528A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595978B1 (ko) 벙커링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KR100802584B1 (ko)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KR20170010539A (ko) 드릴쉽의 가스 배출 시스템 및 가스 배출 시스템이 마련된 드릴쉽
CN110662694A (zh) 海上浮体结构物
CN114379707A (zh) 一种低闪点燃料船舶
KR101411496B1 (ko) 선박
KR20180032863A (ko) 파이프 랙의 통합 배치를 위한 해양 구조물의 탑 사이드 모듈용 데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과 탑 사이드 모듈 배치 구조
CN111236196A (zh) 集装箱式模块化海上升压站
KR20140144345A (ko) 해상 변전소 구조물
KR20130027200A (ko) 엔진룸의 보이드 스페이스 단일화 구조
KR102312884B1 (ko) 연료가스 파이프의 노출형 배관 설비를 갖춘 선박
KR102327406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80063653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WO2018131431A1 (ja) 船形浮体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