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123A - 침장용 쿠션포 - Google Patents

침장용 쿠션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123A
KR20120048123A KR1020100109583A KR20100109583A KR20120048123A KR 20120048123 A KR20120048123 A KR 20120048123A KR 1020100109583 A KR1020100109583 A KR 1020100109583A KR 20100109583 A KR20100109583 A KR 20100109583A KR 20120048123 A KR20120048123 A KR 2012004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layer
cushioning pad
surface layer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476B1 (ko
Inventor
윤석천
Original Assignee
(주)풍전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전티.티 filed Critical (주)풍전티.티
Priority to KR1020100109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4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10B2503/062Fitted bed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종래의 침장용 채움재를 대체할 수 있는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쿠션포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층과 이면층을 포함하여 직물 또는 편물형태의 층을 2개 이상 가지며, 상기 직물 또는 편물형태의 각 층들 사이는 이들을 가로질러 배열된 연결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입체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사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물리적 수단에 의해 가공하여 외양에 영구적 변형을 부여한 신축성 벌키 가공사 또는 고탄성사로 이루어져 쿠션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장용 쿠션포{Cushion fabric for bedding}
본 발명은 침장용 쿠션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종래의 침장용 채움재를 대체할 수 있는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쿠션포에 관한 것이다.
매트리스나 이불, 요, 베개, 침낭 등의 침구류에 부피감과 완충성, 보온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 라텍스와 같은 채움재를 사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솜이나 스펀지와 같은 채움재는 세탁 및 건조가 어려워 장기간 사용시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낮아 땀의 배출이 어렵고, 반복 사용에 의해 뭉쳐져 완충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은 등의 단점이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방석 또는 의자 커버용 포지 또는 매트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경편기를 사용하여 2층의 편성포와 이 2층의 편성포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형태의 쿠션형 다층 포지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들은 수지 가공 처리하거나 모노 데니어가 굵고 강직한 필라멘트사를 연결사로 사용하여 이 굵은 필라멘트사의 굴곡 탄성을 이용하여 쿠션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노 데니어가 굵은 필라멘트사는 성질이 강직하여,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긴 모노 필라멘트사가 구부러지거나 꺽여 형태안정성이 저하하는 결점이 발생하며, 보온성이 낮고, 유연성이 부족하여 세탁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접을 수가 없는 성질 때문에 이불이나 요와 같은 침장용으로의 사용은 불가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침장용 채움재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침장용 채움재로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침장용 쿠션포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제직이나 편성을 통해 직물 또는 편물 형태로 구성되어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세탁과 건조가 용이하고 통기성이 우수하고, 부피감, 완충성, 보온성, 경량성도 겸비한 침장용 쿠션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의 구성은,
표면층과 이면층을 포함하여 직물 또는 편물형태의 층을 2개 이상 가지며, 상기 직물 또는 편물형태의 각 층들 사이는 이들을 가로질러 배열된 연결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입체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사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물리적 수단에 의해 가공하여 외양에 영구적 변형을 부여한 신축성 벌키 가공사 또는 고탄성사로 이루어져 쿠션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는, 종래 가정 또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매트리스 등에 사용되던 짚이나 솜 등의 채움재에 비해 탄성이나 쿠션감이 높고 체중의 균일한 분산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등창이나 결림의 발생이 적을 뿐만 아니라, 이를 대체한 스펀지나 천연 생고무로 제조된 라텍스와 같은 쿠션재에 비해 가격이 싸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직이나 편성을 통해 구성되어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세탁과 건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쿠션층을 구성하는 연결사나 표면층이나 이면층을 구성하는 사의 구성을 용도와 원하는 특성에 맞게 조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기성이 우수하고, 부피감, 완충성, 보온성, 경량성, 제전성, 항균성 등도 겸비한 침장용 쿠션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의 단면구조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의 단면구조도.
본 발명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는, 직물 또는 편물로 이루어진 정형화된 표면층과 이면층의 사이에 이들을 가로질러 배열된 신축성 벌키 가공사 또는 고탄성사 형태의 연결사에 의해 쿠션층을 형성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좀 더 두껍게 제조하거나 형태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등의 목적에 따라, 표면층과 이면층의 사이에 직물 또는 편물형태의 중간층을 1층 이상 더 포함하고, 표면층과 중간층 사이, 중간층과 이면층 사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중간층 사이에 상기 연결사를 이용하여 쿠션층을 형성한 형태의 다중 쿠션층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표면층 또는 이면층을 형성하는 실은 합성섬유사보다는 자연섬유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면사 36수 내지는 60수를 2합하고 꼬임을 가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 연결사는 쿠션층의 부피감, 완충성 등을 충족하기 위해 신축성 벌키 가공사 또는 고탄성사를 사용하는데, 상기 신축성 벌키 가공사는 통상 합성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를 가연하거나, 기타 여러 가지 물리적 수단에 의해 가공하여 루프(loop), 컬(curl), 크림프(crimp), 코일(coil) 등의 실의 외양을 영구적으로 변형시켜 신축성과 벌키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가연-열고정-해연법(twist-set-untwist), 가연법(false twist), 특수연사, 가연개량법(modified false twist), 압인법(stufferbox), 찰과법(edge-crimping), 부형가공법(knit-de-knit)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이들 방법 중에서 신축성과 벌키성이 모두 양호한 가연-열고정-해연법, 가연법이나, 부형가공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부피감, 완충성, 보온성, 경량성을 고르게 부여하기 위해서는 모노 데니어가 10 내지 50 데니어인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축성 벌키 가공사를 연결사로 사용하면 촉감이 부드럽고, 압축 회복과 탄성이 우수한 질감의 포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부드럽고 솜과 같은 감촉의 포를 얻기 위해서는 마이크로 파이버 가연사와 일반 의류용 가연사를 합사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마이크로 파이버 가연사와 가연 모노 필라멘트 20 내지 50 데니어를 합사하여 사용한다. 이들 연결사는 탄성과 내압성, 세탁성, 내구성, 보온성 및 건조성 등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300de/24f 내지는 500de/40f의 가연사를 사용하며, 쿠션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300de/10f의 폴리프로필렌 가연사를 분사하거나, 분사를 가연하고, 모노데니어 30de의 사 1가닥 내지 5가닥과 300de/24f 내지는 500de/40f의 사와 합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탄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연결사로서 탄성사인 폴리우레탄 모노필라멘트사,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데니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고, 층들 사이의 간격을 3 내지 7㎝로 하여 제포하면, 스펀지나 천연 생고무로 제조된 라텍스와 유사한 쿠션감과 탄성이 매우 우수한 노약자 매트리스용 침장용 쿠션포를 얻을 수 있는데, 천연 라텍스와 달리 세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중량을 늘리고 부피감을 증대하기 위하여는 경과 위방향으로 별도의 연결사를 배치하여 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기 전도성 사를 일정 간격으로 부분적으로 배열하거나 합사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항균사와 같은 다른 기능성 사를 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직물 또는 편물형태의 표면층에 요철(凹凸)을 부여하여 피부에 닿는 촉감을 좋게 하고, 통기성을 향상시켜 노인이나 장기 요양 환자 등의 침구로 사용시에 욕창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요철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먼저 상기 구성들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사의 일부로서 다른 연결사들보다는 열수축율이 더 큰 실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이들 수축률이 서로 다른 실을 연결사로 함께 배열하여, 가공시에 연결사들간의 열수축율 차이를 이용하여 길이차를 발생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표면층에 요철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상술한 침장용 쿠션포를 제포한 후에, 가공시에 포지의 표면에 요철 엠보싱 가공처리를 하여 요철을 부여할 수도 있으며, 포지의 표면에 요철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돌기형 물체를 부착하여 이들 돌기형 물체들에 의해 요철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돌기형 물체들은 별다른 기능없이 단순히 요철을 부여하도록 하는 물체일 수도 있지만, 자성체나 원적외선 등을 방출하는 옥 등의 기능성 광물류에서 선택되는 종류의 것을 사용하여 각종 기능성을 부가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의 단면구조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의 단면구조도이다.
이들 실시예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1, 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직물 또는 편물형태로 짜여진 표면층(10, 10')과 이면층(20, 20')의 사이에 이들 표면층(10, 10') 및 이면층(20, 20')을 가로질러 이들 층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열된 연결사(31)들에 의해 이루어진 쿠션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요나 이불, 매트리스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표면층(10, 10')과 이면층(20, 20')을 형성할 때에, 단사 번수 40수의 면 코머사를 2합하고 S방향으로 350T/M한 면사를 사용하여 제직 또는 제편하였다.
상기 쿠션층(30)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사(31)는 용도에 따라 실의 굵기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데, 도 1에 나타낸 직물형태의 침장용 쿠션포(1)의 경우, 아기용 이불용 채움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300de/150f의 가연 필라멘트사를 단사 또는 2합하여 사용하며, 어른용 이불용 채움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200de/96f를 4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기용 요솜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 300de/60f 가연사를 단사 또는 2합하고, 모노필라멘트 분섬사 30de/1f를 2합한 것과 합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어른용 요솜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NP 마이크로 파이버 가연 필라멘트사와 모노 필라멘트 20 내지 40de 분섬사를 합연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약하게 연사하여 사용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제편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면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프렌치기를 사용하여야 제편하는 것이 쉽다.
한편, 쿠션형 매트리스용으로 제편할 경우에는, 연결사(31)로서 폴리우레탄 모노 필라멘트사 300de를 3합하여 쿠션감과 반발력을 증진시킨다. 제편중에는 편직기의 니들에서 폴리우레탄사가 부드럽게 미끄러지도록 실리콘계 윤활제를 처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침장용 쿠션포는 정련과 수세, 탈수, 건조 및 히트세트와 같은 통상적인 가공공정을 거치게 된다. 히트세트는 가연 폴리프로필렌사를 연결사로 사용할 경우에는 90 내지 110℃에서 5분 내지 7분간 실시하고, 가연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160 내지 180℃에서 실시하게 된다.
1, 1': 침장용 쿠션포
10, 10': 표면층
20, 20': 이면층
30: 쿠션층
31: 연결사

Claims (6)

  1. 표면층과 이면층을 포함하여 직물 또는 편물형태의 층을 2개 이상 가지며, 상기 직물 또는 편물형태의 각 층들 사이는 이들을 가로질러 배열된 연결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입체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사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물리적 수단에 의해 가공하여 외양에 영구적 변형을 부여한 신축성 벌키 가공사 또는 고탄성사로 이루어져 쿠션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장용 쿠션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의 사이에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1개 이상의 중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장용 쿠션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벌키 가공사는 신축성과 벌키성이 모두 양호한 가연-열고정-해연법, 가연법이나, 부형가공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장용 쿠션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사로 폴리우레탄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고, 층들 사이의 간격을 3 내지 7㎝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장용 쿠션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의 일부로서 다른 연결사들보다는 열수축율이 큰 실을 사용하여, 수축률이 서로 다른 실을 연결사로 함께 배열하여, 가공시에 연결사들간의 열수축율 차이를 이용하여 길이차를 발생시킴으로써, 표면층에 요철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장용 쿠션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에 돌기형 물체를 부착하여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요철에 의한 지압효과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장용 쿠션포.
KR1020100109583A 2010-11-05 2010-11-05 침장용 쿠션포 KR10126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583A KR101261476B1 (ko) 2010-11-05 2010-11-05 침장용 쿠션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583A KR101261476B1 (ko) 2010-11-05 2010-11-05 침장용 쿠션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23A true KR20120048123A (ko) 2012-05-15
KR101261476B1 KR101261476B1 (ko) 2013-05-10

Family

ID=4626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583A KR101261476B1 (ko) 2010-11-05 2010-11-05 침장용 쿠션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93B1 (ko) * 2012-12-14 2014-07-18 (주)풍전티.티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KR101939917B1 (ko) * 2017-09-01 2019-01-17 정재균 도장로봇용 커버
KR20190013978A (ko) * 2016-06-01 2019-02-11 프로 에이트 에스.알.엘. 엔지니어링된 패브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0320B2 (ja) 2001-02-08 2007-02-14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軽量保温編地を用いてなる肌着衣料
KR101102529B1 (ko) 2007-10-04 2012-01-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93B1 (ko) * 2012-12-14 2014-07-18 (주)풍전티.티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KR20190013978A (ko) * 2016-06-01 2019-02-11 프로 에이트 에스.알.엘. 엔지니어링된 패브릭
KR101939917B1 (ko) * 2017-09-01 2019-01-17 정재균 도장로봇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476B1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8178B2 (ja) 弾性布帛と弾性面材
TW200938675A (en) Three-dimensional warp-knitted fabric and fiber product composed of the same
US20190282005A1 (en) Powerband with sheen
JP5498544B2 (ja) 水洗い可能な長繊維布団
KR101073119B1 (ko)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KR20070008972A (ko) 두 층의 포 사이에 가교를 형성하여 체적을 증가시킨기능성 직물
KR101261476B1 (ko) 침장용 쿠션포
KR101478176B1 (ko)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침장용 포의 제조방법 및 침장용 포
CN102268762B (zh) 羽毛的钻出防止结构
CN203749061U (zh) 一种立体按摩凉席
JPH04222260A (ja) 三次元構造布帛
JP4785459B2 (ja) クッション材
KR20190043418A (ko) 보온성과 촉감이 우수한 3d 스페이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04190191A (ja) 放熱性立体編物
US20190014930A1 (en) Hybrid sheet set
JP3152904U (ja) 寝装用軽量積層品
JP6338917B2 (ja) 寝具
JP2004339652A (ja) 立体編物積層体
Shirazi et al. Improvement of the properties of multi-layered fabrics used in the production of mattresses to achieve the best functional performance
JP2007230086A (ja) 積層体およびクッション材
JP3191886U (ja) 寝具
JP3647232B2 (ja) 体圧分散効果を有する積層された立体編地及び褥瘡防止用クッション
CN220224511U (zh) 一种冷感毛绒面料及家居用品
CN203749071U (zh) 一种立体按摩枕套
CN213488153U (zh) 一种朵花绒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