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808A -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 Google Patents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808A
KR20120047808A KR1020110110887A KR20110110887A KR20120047808A KR 20120047808 A KR20120047808 A KR 20120047808A KR 1020110110887 A KR1020110110887 A KR 1020110110887A KR 20110110887 A KR20110110887 A KR 20110110887A KR 20120047808 A KR20120047808 A KR 20120047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crystal oscillator
film forming
de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203B1 (ko
Inventor
요시유키 나카가와
신고 나카노
나오토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23C14/542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 C23C14/545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using measurement on deposited material
    • C23C14/546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using measurement on deposited material using crystal oscill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Characterised By Use Of Acoustic Mean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정밀하게 성막 대상물 위에 균일한 막을 형성할 수가 있는 성막 장치를 제공한다. 성막 장치(1)는 성막원(21)과,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와,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를 포함한다.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의 박막을 형성할 때에, 성막원(21)에서 상기 성막 재료를 가열해, 상기 성막 재료의 증기를 방출시킨다.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는, 성막 대상물(30) 위에 형성되는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측정하고,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를 교정한다. 성막 장치(1)에 있어서, 성막원(21)을, 소정의 성막 대기 위치와 성막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성막 대상물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성막원 유닛(20))가 한층 더 설치되어 있고, 이 이동부는, 성막원(21)에 대한 상대 위치를 유지하도록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를 보유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성막 대기 위치에 있을 때, 교정용 수정 진동자(23)가 상기 이동부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FILM FORMATION APPARATUS AND FILM FORMATION METHOD}
본 발명은, 성막 장치 및 이 성막 장치를 이용하는 성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증착이나 스패터링 등으로 기판 등의 성막 대상물 위에 박막을 형성할 때,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서, 성막실 내에 수정 진동자를 배치하고 있다. 성막실 내에 수정 진동자를 배치하면, 박막을 형성할 때에, 수정 진동자와 성막 대상물 위에 박막을 구성하는 성막 재료가 퇴적된다. 여기서, 수정 진동자 위에 성막 재료가 퇴적됨에 따라, 수정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가 퇴적되는 성막 재료의 양에 따라 변화한다. 이 현상을 이용해, 성막 대상물 위에 퇴적하는 성막 재료의 막의 두께를 알 수 있다. 특히,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으로부터 수정 진동자 위에 퇴적된 막의 두께를 산출한다. 미리 결정한 성막 대상물 위에 퇴적된 막과 수정 진동자 위에 퇴적된 막과의 막 두께비로, 성막 대상물 위에 퇴적된 성막 재료의 막의 두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수정 진동자 위에 성막 재료가 퇴적됨에 따라,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과 성막 대상물 위에 퇴적하는 두께값과의 관계가 산출된 값으로부터 벗어난다. 이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성막 대상물 위의 막 두께를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곤란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122200호에는, 성막 대상물 위의 막 두께 관리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막 두께값의 오차를 작게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122200호에서는, 종래의 측정용의 수정 진동자와는 별도로, 성막실 내에 교정용의 수정 진동자를 설치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통상의 성막 공정에서는, 먼저 성막 대상물을 성막실에 반입해, 성막 대상물 위에 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성막 대상물 위에 막을 형성할 때는, 측정용의 수정 진동자 위에 성막 재료를 퇴적시켜, 성막 대상물 위의 막 두께를 관리하고 있다. 성막이 종료하면, 성막 대상물을 성막실로부터 반출해, 성막 공정을 완료한다. 그러나, 성막 공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성막 공정을 행할 때마다 측정용의 수정 진동자 위에 성막 재료가 퇴적되어서, 성막 공정을 반복함에 따라, 막 두께 관리의 정밀도가 저하해 버린다. 따라서, 교정용의 수정 진동자를 이용해 교정 공정을 행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122200호에 개시되는 성막 방법에 있어서는, 교정 공정은 성막 공정 사이, 즉, 성막 공정이 완료하고 나서 다음의 성막 공정이 개시하기 전까지 행한다. 이 교정 공정에서는, 우선, 교정용의 수정 진동자 및 측정용의 수정 진동자 위에 각각 성막 재료를 퇴적시킨다. 그리고 나서, 교정용의 수정 진동자를 이용해서 결정되는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 P0)와 측정용의 수정 진동자를 이용해서 결정되는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 M0)를 각각 측정하고 나서, 교정 계수 P0/M0를 결정한다. 그러면, 교정 공정 후에 행해지는 성막 공정에서는, 측정용의 수정 진동자를 이용해서 산출되는 성막 대상물의 막 두께값 M1에, 먼저 결정된 교정 계수 P0/M0를 곱하는 것으로, 성막 대상물 위의 막 두께를 정확하게 관리한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091919호에는, 성막 대상물의 면 위에 균일한 두께로 성막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09191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박막 형성 장치에서는, 이동 가능한 성막원이, 고정된 성막 대상물의 하부를 등속으로 운동하고 있다. 이 박막 형성 장치를 이용해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면적이 넓은 성막 대상물에 있어서도, 이 성막 대상물 위에 균일한 두께로 성막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091919호에 개시된 박막 형성장치에서는, 성막원으로부터 방출된 성막 재료의 양을 모니터하기 위해서, 성막원의 대기 위치의 위쪽에 고정된 막 두께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이 막 두께 센서에 의해 성막 재료의 성막 속도를 검출할 수가 있으므로, 소망한 레벨에 성막 속도가 도달되는 시점에서, 성막원이 성막 위치로 이동해, 성막 대상물 위에 막을 형성한다.
그런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091919호에 개시된 성막 장치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성막원이 이동하는 것에 대해, 막 두께 센서는 성막원의 대기 위치의 위쪽에 고정되어 있다. 그렇다면, 성막원이 이동할 때에는, 성막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양을 모니터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성막원이 이동할 때에 성막 재료의 방출량이 변동해도, 이 변동을 모니터할 수가 없기 때문에, 성막 재료의 방출량을 소망한 방출량으로 수정할 수가 없다. 또, 성막 재료의 방출량을 곧바로 수정할 수 없으면, 실제의 성막 재료의 방출량이 소망한 방출량으로부터 점점 더 벗어나 버린다. 그 결과, 성막 대상물 위에 성막 재료의 막을 형성하는 공정(성막 공정)을 반복했을 때에, 각 공정에 있어서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091919호에 개시된 성막 장치에서는, 성막원이 대기 위치로 돌아왔을 때에 막 두께 센서가 성막 재료의 방출량의 이상을 검출해도, 방출량을 소망한 방출량으로 수정하는데 시간이 걸려, 이 수정을 행하고 있는 동안은, 성막 대상물을 성막실 내에 체류시키게 된다. 그 결과, 생산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122200호에 개시된 성막 장치에서는, 측정용의 수정 진동자와는 별도로, 교정용의 수정 진동자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122200호에 개시된 성막 장치에서는, 성막 공정과 성막 공정과의 사이에 교정 공정을 행하고 있다. 즉, 교정용의 수정 진동자를 이용해 측정용의 수정 진동자에 있어서의 오차(측정용의 수정 진동자를 이용해서 모니터되는 성막 재료의 박막의 막 두께와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성막 재료의 박막의 두께와의 오차)를 교정하는 공정을 행하고 있다. 이 교정 공정을 행하는 것으로,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를 관리하는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성막원이 이동 가능하고, 각 수정 진동자(측정용의 수정 진동자와 교정용의 수정 진동자)가 모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091919호에 개시된 성막 장치의 경우와 같이, 성막원이 이동할 때에, 성막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방출량을 모니터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091919호에 개시된 성막 장치의 경우와 같이, 성막 대상물 위에 성막 재료를 성막하는 공정(성막 공정)을 반복했을 때에, 각 공정에 있어서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성막 대상물 위에 균일한 막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성막 장치는, 성막 재료를 가열해 상기 성막 재료의 증기를 방출시키기 위한 증착원과, 상기 증착원을, 미리 정한 성막 대기 위치와 미리 정한 성막 위치와의 사이에서 성막 대상물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수정 진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는,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교정용 수정 진동자는, 상기 이동부의 상기 미리 정한 성막 대기 위치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따르면, 성막 재료의 증기를 방출시키기 위한 증착원과, 상기 증착원을, 미리 정한 성막 대기 위치와 미리 정한 성막 위치와의 사이에서 성막 대상물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수정 진동자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한 성막 방법은, 상기 성막 위치에서 상기 증착원의 이동 중에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성막 대상물 위에 상기 성막 재료를 퇴적하는 성막 단계와,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로 상기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성막 재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증착원이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교정용 수정 진동자 위에 상기 성막 재료를 퇴적하는 단계와, 각 수정 진동자로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교정용 수정 진동자의 각각의 위에 퇴적된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수정 진동자로 측정된 성막량의 비에 의거해서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성막 재료의 성막량을 교정하는 교정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막 대상물 위에 균일한 막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가 있는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성막원이 성막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취득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c 및 1d는, 성막원이 성막 위치에 있을 때 취득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은 성막 대상물 위에 성막되는 성막 재료의 막의 두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교정 공정을 행했을 때와 행하지 않았을 때에 있어서의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된 박막의 두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막 장치는, 성막원과,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교정용 수정 진동자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막 장치에 있어서, 성막 대상물 위에 성막 재료의 박막을 형성할 때, 성막원에서 성막 재료를 가열해, 성막 재료의 증기를 방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성막 장치에 있어서, 측정용 수정 진동자는,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성막 재료의 막의 양(형성된 박막의 두께)을 측정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막 장치에 있어서, 교정용 수정 진동자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를 교정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단, 교정용 수정 진동자가 측정용 수정 진동자를 교정하는 타이밍은 임의적이라는 점에 유념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막 장치에 있어서는, 성막원을 소정의 성막 대기 위치와 소정의 성막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는 이동부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동부는, 성막원에 대한 상대 위치를 유지하도록 측정용 수정 진동자를 보유하고 있다.
한편, 이 이동부가 성막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이 이동부의 위쪽에 교정용 수정 진동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성막 장치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발명의 주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 및 1b는, 성막원이 성막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취득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c 및 1d는, 성막원이 성막 위치에 있을 때 취득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 도 1a, 1c 및 1d는 성막 장치를 정면측(폭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 개략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1B-1B 단면을 좌측면측(깊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1)에 있어서는, 성막실(10) 내에, 성막원(21)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인 성막원 유닛(20) 및 2종류의 수정 진동자(측정용 수정 진동자(22) 및 교정용 수정 진동자(23))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단, 2종류의 수정 진동자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1)의 구성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단,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1)는, 예를 들면, 유기 EL(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에 이용된다.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1)에 있어서, 성막실(10)은, 진공 배기계(미도시)와 접속되어 있다. 이 진공 배기계에 의해, 성막실(10) 내의 압력이 1.0×10-4Pa 내지 1.0×10-6Pa의 범위가 되도록 진공 배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1)에 있어서, 성막원 유닛(20)은, 성막실(10) 내에 설치되는 레일(24)을 따라, 도 1a의 화살표의 방향, 좀더 구체적으로는, 성막 대기 위치와 성막 위치와의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가 있다. 여기서, 성막 대기 위치란,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의 막을 형성하지 않을 때의 성막원 유닛(20)의 위치를 말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막 대기 위치란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가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성막 대상물(30)이 없을 때의 성막원 유닛(20)의 위치를 말한다. 한편, 성막 위치란,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의 막을 형성할 때의 성막원 유닛(20)의 위치를 말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 1c 및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막 위치란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가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성막 대상물(30)이 있을 때의 성막원 유닛(20)의 위치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막원 유닛(20)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성막 재료의 증기를 소정의 위치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성막원 유닛(20)을, 그것의 상부에 성막 재료의 증기를 방출하기 위한 개구부(25)를 설치한 박스(box)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막원 유닛(20)을 박스로 하는 것으로, 성막원 유닛(20)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의 진행 방향과 그 분포를 개구부(25)의 형상에 의해 제어할 수가 있다. 특히, 개구부(25)의 폭을 제어함으로써, 성막 재료의 증기의 분포와 성막의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개구부(25)의 폭의 바람직한 범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성막원 유닛(20)의 크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성막원 유닛(20)의 크기는, 성막실(10) 등의 다른 부재와의 밸런스를 고려해 적절히 설정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막원 유닛(20)을, 레일(24)을 따라 성막 대기 위치와 성막 위치와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면, 성막원 유닛(20)에 이동 제어부(미도시)를 설치해도 된다. 특히, 이 이동 제어부에 의해 성막원 유닛(20)을 등속도로 이동시킬 수가 있으면,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가 균일하게 성막되므로, 바람직하다.
성막원 유닛(20) 내에 설치되는 성막원(21)의 형상은, 성막 대상물(30)의 크기와 성막 재료의 증기의 분포를 고려해 적당히 설정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막원(21)을, 성막실(1)의 깊이 방향(성막원 유닛의 이동 방향과 수평면 내에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작은, 성막실(10)의 폭방향(성막원 유닛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갖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할 수가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성막원(21)을 성막원 유닛(20) 내에 복수 설치해도 된다. 한편, 성막원 유닛(20) 내에 설치되는 성막원(21) 내에는, 성막 재료(미도시)가 수용되어 있다. 성막원(21)에 설치되는 가열부(미도시)로 성막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 성막원(21)으로부터 성막 재료의 증기를 방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막원 유닛(20) 내에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2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는, 성막원 유닛(20) 내의 소정의 위치, 좀더 구체적으로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22)가 성막 대상물(30)로 향하여 이동하는 성막 재료의 증기를 차단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성막원(21)에 대한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의 상대적 위치는 항상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성막원(21)과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와의 상대 위치는, 항상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성막원(21)과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와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의 양을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를 이용해서 모니터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또, 성막원 유닛(20) 내에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를 설치하는 것으로, 항상,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의 양을 모니터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성막원 유닛(20)이 이동하고 있을 때에도,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를 이용한 모니터값에 따라 성막 재료의 증기의 양을 조정하고,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방출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성막 재료가 퇴적함으로써,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도 2는,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은, 막 두께 측정기(41)에 의해 감지된다. 그리고, 막 두께 측정기(4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측정용 수정 진동자(22)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의 정보에 관한 전기신호)를 제어계(40) 내에 설치된 온도 조절기(미도시)에 송신해 성막원(21)의 가열부의 제어, 예를 들면, 성막 재료의 가열 온도의 조정을 행한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방출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는, 성막원 유닛(20)이 성막 대기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을 때, 성막원 유닛(2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성막원 유닛(20)이 성막 대기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을 때,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가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교정용 수정 진동자(2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를 설치하면,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와 성막원(21)과의 거리(수직 방향의 거리)가, 성막 대상물(30)과 성막원(21)과의 거리(수직 방향의 거리)와 동일해지는 위치에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교정 공정 중의 성막원(21)과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와의 위치 관계와 성막 공정 중의 성막원(21)과 성막 대상물(30)과의 위치 관계를 동일하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단위 면적당의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에 있어서의 성막 재료의 입사량을 단위 면적당의 성막 대상물(30)에 있어서의 성막 재료의 입사량과 동일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교정의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성막 재료가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퇴적함으로써,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막 재료의 퇴적에 의한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은, 막 두께 측정기(42)에 의해 감지된다. 그리고, 막 두께 측정기(4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교정용 수정 진동자(23)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의 정보에 관한 전기신호)는, 제어계(40)에 송신된 후,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에 송신되어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를 교정한다.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1)에 있어서,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의 근방에는, 센서 셔터(26)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셔터(26)를 설치하는 것으로, 소정의 타이밍에서 각 수정 진동자에 성막 재료를 부착시키고 성막 재료의 증기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차단할 수가 있다.
그런데, 성막원 유닛(20)의 개구부(25)의 크기와 폭을 제어함으로써,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의 도달 범위를 제어할 수가 있다. 여기서, 성막원 유닛(20)을 성막 대기 위치에 정지시키고 있을 때,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의 도달 범위 내에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를 설치한다. 이 증기의 도달 범위 내에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를 설치함으로써, 성막 재료의 증기의 방출량이 변화해 방출 분포가 변화해도, 단위 면적당의 성막 대상물(30)에 입사하는 성막 재료와 단위 면적당의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에 입사하는 성막 재료의 비는 변함없다. 이 때문에, 성막 대상물(30)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 변화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교정 정밀도가 향상한다.
여기서,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1)에서의 성막원 유닛(20)과 같이, 개구부(25)가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형상인 경우,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의 도달범위는, 이하와 같이 정해진다.
즉, 개구부(25)의 짧은 측(도 1a)에 있어서, 상술한 범위는 성막원(21)의 중심 및 개구부(25)의 좌단부를 지나는 직선과 성막원(21)의 중심 및 개구부(25)의 우단부를 지나는 직선과의 사이의 범위이며, 이들 2개의 직선 사이에 형성된 각 27a로 정의된다. 여기서, 각 27a는, 바람직하게는, 5°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내지 30°의 범위 내에 있다. 여기서, 각 27a가 5°보다 작으면, 개구부(25), 특히, 개구부(25)의 단부에 성막 재료가 부착하기 쉬워지므로, 성막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각 27a가 60°보다 크면,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의 분포가 과도하게 넓어져, 성막원 유닛(20)이 성막 대기 위치에 정지했을 때에도, 성막 재료의 증기의 일부가 성막 대상물(30)에 부착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개구부(25)의 긴 쪽의 방향에 있어서는, 상술한 범위는 도 1b의 각 27b로 정해진 범위이다.
또,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1)에 있어서, 센서 셔터(26)는,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또 다른 센서 셔터(26)를,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의 근방에 추가로 설치해도 된다.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1)에 있어서, 기판 등의 성막 대상물(30)은, 반송 기구(미도시)에 의해 성막실(10)에 반입하거나 성막실(10)로부터 반출되거나 하고 있다. 또, 성막 대상물(30)을 성막실(10)에 반입하면, 지지 부재(미도시)를 이용해 성막 대상물(30)을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성막 장치를 이용한 성막 방법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성막의 준비 단계로서,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단위 시간당 퇴적하는 막의 두께와,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단위 시간당 퇴적하는 막의 두께와, 성막 대상물(30) 위에 퇴적하는 막의 두께를 각각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근거해서 막 두께비를 결정하는 준비 공정을 행한다.
이 준비 공정에서는, 우선, 성막 대상물(30)을, 반송 기구(미도시)로 성막실(10) 내에 반입한다. 다음에, 성막 대기 위치에서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에 의해 계측되는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양이 소망한 레벨에 도달한 시점에서, 성막원 유닛(20)의 이동을 개시해,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의 박막을 형성한다. 소정의 이동 조건 하에서 소정 회수 성막원 유닛(20)을 왕복 이동시킨 후, 반송 기구(미도시)를 사용해 성막 대상물(30)을 성막실(10)로부터 반출한다.
여기서 반출한 성막 대상물(30) 위에 형성된 박막에 대해, 광학식의 막 두께 측정기나 접촉식의 막 두께 측정기를 이용해서 박막의 두께를 측정한다. 그 측정값(막 두께값)를 t로 한다. 한편,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의 막을 형성할 때에,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단위 시간당 퇴적하는 박막의 두께를,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의 공진 진동수의 변화량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단위 시간당 퇴적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를 M으로 한다. 그러면, t와 M와의 비(막 두께비)α가,α=t/M으로서 표현된다.
또,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도 단위 시간당 퇴적되는 증기의 양을 계측하고,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의 공진 진동수의 변화량으로부터,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단위 시간당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 P를 산출한다. 그러면, t와 P와의 비(막 두께비) β가, β=t/P에 의해 결정된다. 단,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박막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도 성막 재료의 박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때의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를 M'으로 한다. 그러면, β는, β=α×M'/P로 나타낼 수가 있다.
여기서,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를 이용해 증기의 양을 계측하면, 센서 셔터(26)를 이용함으로써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성막 재료가 필요 이상으로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에 의해 제공된 막 두께 측정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막 두께비 α 및 β을 결정한 후,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의 막을 형성하는 성막 공정을 실시한다.
성막 공정에서는, 우선, 성막 대상물(30)이 되는 기판(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TFT를 포함하는 기판)을 성막실(10) 내에 반입한다. 다음에, 성막원 유닛(20)을, 소정의 조건 하에서 성막 대기 위치와 성막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켜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의 막을 형성한다. 성막이 종료하면, 성막실(10) 내로부터 성막 대상물(30)을 반출한다. 이 성막 공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복수의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의 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도 3은, 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되는 성막 재료의 막의 두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에 나타낸 플로차트에서는, 교정 공정의 플로챠트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하, 도 2의 회로 블럭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교정 공정을 행하지 않을 때는,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의 근방에 있는 센서 셔터(26)가 닫히고,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성막 재료가 퇴적된다. 여기서,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막 두께 측정기(41)가 측정용 수정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막 두께 측정기(41)로 측정된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으로부터, 막 두께 측정기(41) 내에서,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단위 시간당 퇴적하는 막의 막 두께값 M0'를 산출한다. 그리고, 막 두께 측정기(41)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계(40) 내에 설치된 온도 조절기(미도시)에 막 두께값 M0'를 송신함과 동시에, 성막 대상물(30) 위에 퇴적하는 박막의 두께, 즉, 막 두께값 t0(=α×M0')를 결정한다. 여기서, t0가 소망한 막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제어계(40) 내에 설치된 온도 조절기(미도시)에 의해 성막원(21)의 온도를 내리도록, 막 두께 측정기(41)로부터 온도 조절기에 전기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t0가 소망한 막 두께보다 얇은 경우에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성막원(21)의 온도를 올리도록, 막 두께 측정기(41)로부터 온도 조절기로 전기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t0가 소망한 막 두께와 동일한 경우에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성막원(21)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막 두께 측정기(41)로부터 온도 조절기로 전기신호가 송신된다. 상술한 것처럼,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와 성막원(21)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항상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성막원 유닛(20)이 이동하고 있을 때에도, 막 두께값 M0'의 모니터와 성막원(21)의 온도 제어를 항상 행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방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성막원(21)이 가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항상,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성막 재료가 퇴적되므로, 서서히 막 두께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교정 공정을 실시한다.
교정 공정에서는,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의 근방에 있는 센서 셔터(26)를, 성막 대기 공정 중, 즉 성막 공정과 다음의 성막 공정의 사이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개방 상태로 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센서 셔터(26)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으로,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일정량의 성막 재료가 퇴적하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 P1)를 결정할 수가 있다. 동시에, 단위 시간당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 M1)를 결정할 수가 있다. 막 두께값 P1 및 M1를 각각 결정한 후에, 센서 셔터(26)를 닫는다. 여기서, 성막 대상물(30)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는, 막 두께값 P1를 이용해 βP1으로서 결정되고, 또 막 두께값 M1를 이용해 αM1으로서도 결정된다.
그런데,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의 측정 오차가 커졌을 때에 임의의 타이밍에서 행해지는 교정 공정에서만 이용되기 때문에, 수정 진동자(23) 위에 퇴적되는 성막 재료의 막의 양은 극단적으로 적고 두께 측정 오차가 작다. 한편,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는 성막원(21)으로부터 증기가 방출되고 있는 동안은 항상 증기량의 모니터에 이용되기 때문에,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는 많은 양의 성막 재료가 퇴적되어 있어 두께 측정 오차가 크다. 이 때문에, 반드시 βP1=αM1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막 두께값 M1에 보정 계수(βP1/αM1)를 곱한다. 그러면,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를 이용해서 결정되는 막 두께값을, 오차가 작은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를 이용해서 결정한 막 두께값(βP1)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오차가 적은 막 두께값을 결정할 수가 있다.
교정 공정 후에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퇴적된 성막 재료의 막 두께값 M1'를 결정한다. 그리고, M1'에 교정 계수γ1(=(βP1)/(αM1))와 α를 곱한 값 αγ1M1'가, 성막 대상물(30) 위에 퇴적되는 소망한 막 두께값이 되도록, 성막원(21)의 온도를 제어계(40) 내에 설치된 온도 조절기(미도시)로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적당히 교정 공정을 실시한다. n번째의 교정 공정 후에 실시하는 성막 공정에서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성막 재료를 퇴적시켜, 막 두께 측정기(41)에서 단위 시간당 퇴적되는 성막 재료의 막 두께값 Mn'를 결정한다. 다음에, Mn'에 교정 계수(γ1×γ2×…×γn)와 α를 곱한 값 α×(γ1×γ2×…×γn)×Mn'가, 성막 대상물(30) 위에 퇴적되는 소망한 막 두께값이 되도록, 성막원(21)의 온도를, 제어계(40) 내에 설치된 온도 조절기(미도시)로 제어한다.
교정 공정을 성막 대기 공정의 중간에 실시하는 것을 전제로 해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교정 공정을 실시할 수가 있지만, 일정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행해도 되고, 또는 성막되는 성막 대상물의 수가 1개 이상의 소정의 개수에 도달할 때마다 행해도 된다. 또,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의 공진 주파수의 감쇠량이 일정 레벨에 도달한 시점에서 교정 공정을 실시해도 되고, 측정용 수정 진동자(22)의 공진 주파수가 일정 값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교정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도 4는, 교정 공정을 실시했을 때와 실시하지 않았을 때에 있어서의 성막 대상물(30) 위에 형성된 박막의 두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정 공정을 적당히 실시하는 것으로, 성막 대상물(30) 위에 형성된 막의 두께의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막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도 1a 내지 1d의 성막 장치(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막원(21)과 측정용 수정 진동자(22)가 성막원 유닛(20)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방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이것에 의해 성막 대상물(30) 위에 균일한 박막을 성막할 수가 있다. 또,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해 측정용 수정 진동자(22)를 이용해서 모니터되는 성막 재료의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를 교정하는 것에 의해, 높은 막 두께 정밀도로 성막을 행할 수가 있다.
(예)
(예 1)
도 1a 내지 1d에 나타낸 성막 장치를 이용해 기판 위에 성막 재료를 성막했다.
본 예에서는, 성막원 유닛(20)을, 반송 거리 1,000mm, 반송 속도 5mm/s로 1회 왕복시키는 것으로 막을 형성했다. 또, 기판(성막 대상물(30))의 치수는 500mm(긴 방향)×400mm이며, 기판의 두께는 0.5mm이다.
또, 본 예에 있어서는, 기판(성막 대상물(30)) 위에 형성되는 성막 재료의 박막의 두께가 100nm가 되도록 성막원(21)의 가열 온도를 조정했다.
또, 본 예에 있어서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및 교정용 수정 진동자(23)로서는, INFICON사제 금 전극의 6MHz 수정 진동자를 이용했다.
본 예에 있어서는, 성막원(21)과 기판(성막 대상물(30))과의 거리를 300mm로 했고, 성막원(21)이 성막 대기 위치에 있을 때의 성막원(21)과 교정용 수정 진동자(23)와의 거리를 300mm로 했다.
먼저, 성막의 준비 공정을 실시했다.
이 준비 공정에서는, 먼저, 막 두께 측정용의 기판(성막 대상물(30))을 성막실(10) 내에 반입했다. 성막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성막 재료의 증기량이 소망한 값으로 안정된 것을 확인한 후에, 성막원 유닛(20)의 이동을 반송 속도 5mm/s로 개시했다.
여기서, 성막원 유닛(20)이 성막 영역을 이동할 때에, 1분 동안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M(nm))를 결정했다. 다음에, 소정의 성막 조건 하에서 성막을 행한 후, 기판 반송 기구(미도시)를 이용해, 기판(성막 대상물(30))을 성막실(10)로부터 반출했다. 다음에, 반출한 기판(성막 대상물 (30))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t(nm))를, 광학식의 막 두께 측정기나 접촉식의 막 두께 측정기를 이용해서 측정했다. 그러면, 기판 위에 1분 동안 퇴적되는 막의 두께값과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1분 동안 퇴적되는 막의 두께값의 비α는,α=t/M가 된다.
다음에, 1분 동안에 기판(성막 대상물(30))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와 1분 동안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와의 비를 결정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기판(성막 대상물(30)) 위에 성막 재료의 막을 형성한 후, 성막원 유닛(20)이 성막 대기 위치에서 정지했다. 정지 후 10초 경과한 시점에서, 센서 셔터(26)를 개방 상태로 해서,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성막 재료의 박막을 형성시켰다. 다음에, 센서 셔터(26)를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30초 경과한 시점부터 90초 경과한 시점까지 1분 동안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P(nm))를 결정했다. 또, 이 시간대(센서 셔터(26)를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30초 경과한 시점부터 90초 경과한 시점까지의 1분 동안)에서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도 성막 재료의 박막이 형성되었다. 이 때문에, 이 시간대에 있어서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M'(nm))가 결정되었다. 여기서, 기판(성막 대상물(30)) 위에 1분 동안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와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1분 동안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의 비를 β로 한다. 그러면, β는 β=α×M'/P로서 표현된다. 센서 셔터(26)를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91초 경과했을 때에, 센서 셔터(26)를 폐쇄 상태로 해서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의 성막을 방지했다. 단, 준비 공정에서는, M=M'이며, 막 두께값 t(nm)는, t=αM=βP라고 하는 관계식을 충족시켰다.
그리고나서, 성막 공정으로 이행했다. 성막 공정에서는, 먼저, 성막 대상물(30)이 되는 기판을 성막실(10) 내에 반입했다. 기판의 반입이 완료한 후, 성막원 유닛(20)의 이동을 개시했다. 성막원 유닛(20)의 이동을 완료한 후, 기판을 성막실(10)로부터 반출해 성막 공정을 완료했다.
성막 공정을 여러 번 행함에 따라,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막이 퇴적되므로, 막 두께의 측정 오차가 서서히 커진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교정 공정을 실시했다.
1번째의 교정 공정은, 10번째의 성막 공정 후에 행해졌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성막원 유닛(20)이 성막 위치로부터 성막 대기 위치에 도달하고, 이 성막원 유닛(20)이 성막 대기 위치에서 정지하고 나서 10초 경과한 시점에서 센서 셔터(26)를 개방 상태로 했다. 그리고, 센서 셔터(26)를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30초 경과한 시점부터 90초 경과한 시점까지의 사이에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형성된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M1(nm)), 및 교정용의 수정 진동자(23) 위에 형성된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P1(nm))를 측정했다. 그리고나서, 기판(성막 대상물(30))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막 두께값)는, αM1(nm) 또는 βP1(nm)이었다. 그러나,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형성된 박막의 두께로부터 결정된 막 두께값 αM1(nm)는 오차가 크고,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형성된 박막의 두께로부터 결정된 막 두께값 βP1(nm)는 오차가 작다. 그 때문에, 반드시 αM1=βP1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정 계수 γ1=(βP1)/(αM1)가 결정되었다. 교정 계수γ1을 결정한 후의 성막 공정에서는,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1분 동안 퇴적되는 막의 두께의 막 두께값 M1'에 교정 계수 γ1와 막 두께비 α를 곱한 값(α×γ1×M1')이 기판 위에 퇴적되는 소망한 막 두께 100nm가 되도록 성막원(21)의 가열 온도를 조정했다.
다만, 상술한 1번째의 교정 공정의 중간에, 10번째의 기판을 반출하고 11번째의 기판을 반입했다. 교정 공정 종료 직후, 11번째의 기판 위에의 성막을 개시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성막 공정과 교정 공정을 실시했다. 10n번째의 성막 공정 후에 실시했던 n번째의 교정 공정에 있어서, 각 수정 진동자 위에 형성되는 박막의 두께를 결정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1분 동안 교정용 수정 진동자(23) 위에 형성되는 성막 재료의 막의 두께(막 두께값:Pn(nm)), 및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형성되는 성막 재료의 막의 두께(막 두께값:Mn(nm))를 결정했다. 그러면, 교정 계수 γn는, γn=(βPn)/(αMn)로서 결정되었다. 교정 계수 γn를 결정한 후의 성막 공정에서는, 1분 동안 측정용 수정 진동자(22) 위에 형성되는 성막 재료의 막의 막 두께(막 두께값 Mn')에 1번째 내지 n번째의 교정 공정에서 결정된 교정 계수와 막 두께비α를 곱셈한 값, 즉, α×(γ1×γ2×…×γn)×Mn'가 100(nm)이 되도록 성막원(21)의 가열 온도를 조정했다. 단, 상술한 것처럼, 성막원(21)의 가열 온도는 성막원 유닛(20)의 이동이 종료한 후에 변경되었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와 같이 해서 성막을 행한 결과, 정확한 막 두께 정밀도로 성막을 행할 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성막 재료를 가열해 상기 성막 재료의 증기를 방출시키기 위한 증착원과,
    상기 증착원을, 미리 정한 성막 대기 위치와 미리 정한 성막 위치와의 사이에서 성막 대상물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수정 진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는,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교정용 수정 진동자는, 상기 이동부의 상기 미리 정한 성막 대기 위치의 위쪽에 설치되는, 성막 장치.
  2. 성막 재료의 증기를 방출시키기 위한 증착원과,
    상기 증착원을, 미리 정한 성막 대기 위치와 미리 정한 성막 위치와의 사이에서 성막 대상물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수정 진동자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한 성막 방법으로서,
    상기 성막 위치에서 상기 증착원의 이동 중에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성막 대상물 위에 상기 성막 재료를 퇴적하는 성막 단계와,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로 상기 성막 대상물 위에 형성되는 성막 재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증착원이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교정용 수정 진동자 위에 상기 성막 재료를 퇴적하는 단계와,
    각 수정 진동자로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와 상기 교정용 수정 진동자의 각각의 위에 퇴적된 상기 성막 재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수정 진동자로 측정된 성막량의 비에 의거해서 상기 측정용 수정 진동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성막 재료의 성막량을 교정하는 교정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막 방법.
KR20110110887A 2010-11-04 2011-10-28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KR101488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7818 2010-11-04
JP2010247818 2010-11-04
JPJP-P-2011-211800 2011-09-28
JP2011211800A JP2012112037A (ja) 2010-11-04 2011-09-28 成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成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808A true KR20120047808A (ko) 2012-05-14
KR101488203B1 KR101488203B1 (ko) 2015-01-30

Family

ID=4601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0887A KR101488203B1 (ko) 2010-11-04 2011-10-28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14833A1 (ko)
JP (1) JP2012112037A (ko)
KR (1) KR101488203B1 (ko)
CN (1) CN102465263A (ko)
TW (1) TWI4339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769B1 (ko) * 2012-07-09 2014-03-06 성문전자주식회사 필름 커패시터용 진공 증착기의 증발기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8919B2 (ja) 2010-11-04 2016-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成膜装置及び成膜方法
KR101959975B1 (ko) * 2012-07-10 2019-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9360B1 (ko) * 2012-11-06 2019-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량 측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 및 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CN105980597A (zh) * 2014-02-04 2016-09-28 株式会社爱发科 薄膜制造装置、掩模组、薄膜制造方法
JP6263441B2 (ja) * 2014-05-23 2018-01-17 キヤノントッキ株式会社 水晶発振式膜厚モニタによる膜厚制御方法
US10100410B2 (en) * 2016-08-05 2018-10-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ilm thicknes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7565062B (zh) * 2017-07-20 2019-10-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膜厚监控仪与蒸镀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3451B2 (en) * 2001-04-20 2003-02-04 Eastman Kodak Compan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an organic layer in an organic light-emiting device
US20040007183A1 (en) * 2002-07-11 2004-01-15 Ulva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of thin films
JP4368633B2 (ja) * 2002-08-01 2009-11-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製造装置
US20040040504A1 (en) * 2002-08-01 2004-03-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apparatus
KR100611883B1 (ko) * 2005-01-05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증착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증착두께 측정방법
JP4665160B2 (ja) * 2005-01-28 2011-04-06 株式会社昭和真空 成膜装置に於ける成膜速度測定装置および方法
KR100729097B1 (ko) * 2005-12-28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방법
JP4818073B2 (ja) * 2006-11-10 2011-11-16 株式会社アルバック 膜厚測定方法
US20080241367A1 (en) * 2007-03-29 2008-10-02 Intevac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pplying lubricant coatings to magnetic disks via a vapor flow path including a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shutter
JP2010196082A (ja) * 2009-02-23 2010-09-09 Canon Inc 真空蒸着装置
JP5567905B2 (ja) * 2009-07-24 2014-08-0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真空蒸着方法及びその装置
JP5854731B2 (ja) * 2010-11-04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成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成膜方法
JP5888919B2 (ja) * 2010-11-04 2016-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成膜装置及び成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769B1 (ko) * 2012-07-09 2014-03-06 성문전자주식회사 필름 커패시터용 진공 증착기의 증발기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4833A1 (en) 2012-05-10
TW201219586A (en) 2012-05-16
KR101488203B1 (ko) 2015-01-30
CN102465263A (zh) 2012-05-23
TWI433946B (zh) 2014-04-11
JP2012112037A (ja)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073B1 (ko)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KR20120047808A (ko)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KR101487954B1 (ko)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KR101018644B1 (ko) 증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방법
TWI539637B (zh) 真空氣相沉積系統
TWI433947B (zh) 真空氣相沉積系統
KR102008046B1 (ko) 수정 발진식 막두께 모니터에 의한 막두께 제어 방법
CN107686981B (zh) 膜厚度监测系统、其腔室及用于监测膜厚度沉积工艺的方法
JP2019099870A (ja) 蒸着装置及び蒸着方法
JP6091590B2 (ja) 成膜装置
JP2014065942A (ja) 真空蒸着装置
KR20180027140A (ko) 인라인 타입 박막 증착 공정 시 박막 두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17755B1 (ko) 박막 증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