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405A - 팝업형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팝업형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405A
KR20120047405A KR1020100108945A KR20100108945A KR20120047405A KR 20120047405 A KR20120047405 A KR 20120047405A KR 1020100108945 A KR1020100108945 A KR 1020100108945A KR 20100108945 A KR20100108945 A KR 20100108945A KR 20120047405 A KR20120047405 A KR 2012004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duct
air vent
opening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111B1 (ko
Inventor
권두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1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팝업형 에어벤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팝업형 에어벤트는: 대시보드 내측에 윈드쉴드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통합덕트와, 통합덕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냉온풍을 가이드하고, 윈드쉴드 토출구와 실내 토출구를 형성하며, 대시보드에 형성된 이동구멍으로 이동하는 송풍부재와, 상기 통합덕트에 대하여 상기 송풍부재를 승강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팝업형 에어벤트{POP-UP TYPE AIRVENT}
본 발명은 팝업형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프로스트 덕트와 커넥션 덕트를 결합한 통합덕트 상에 공조 작동시에만 상승하는 팝업덕트를 구비하여 디프로스트 기능도 겸비하는 팝업형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대시보드에 4개 정도의 에어벤트가 설치되며, 에어벤트는 실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의 에어 토출수단으로써 전면에 장착된 윙을 조절하여 에어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기존의 에어덕트는 냉난방 공조기(HVAC)에서 연결 덕트를 거쳐 나온 냉온풍을 토출구를 통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송풍하는 구성이다.
냉난방 공조기에서 나온 일부의 공기는 전면유리(윈드쉴드)에 서리가 끼는 경우 디프로스트 덕트를 거쳐 송풍하여 전면유리에 서리를 제거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는,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에어벤트(2)와, 상기 에어벤트의 후측으로 연결되고, 냉난방 공조기에서 발생된 냉온풍을 에어벤트(2)로 안내하는 연결덕트(4)와, 상기 연결덕트(4)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송풍구를 통하여 전면유리에 냉온풍을 공급하여 서리 또는 김을 제거하는 디프로스트덕트(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기존의 에어벤트는 승객이 잘 볼 수 있도록 대시보드의 전면에 4개소가 구비되므로 형상이 미려해야 하고, 갭단차를 맞추는 등의 외관품질을 맞추기가 어려우며, 풍량조절을 위한 복잡한 링크구조를 구비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디프로스트 덕트와 커넥터 덕트를 결합한 통합덕트 상에 공조 작동시에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승하는 송풍부재를 구비하여 디프로스트 기능도 겸비하므로 디자인 및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하고, 부품수를 줄여주는 팝업형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는, 대시보드 내측에 윈드쉴드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통합덕트; 상기 통합덕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냉온풍을 가이드하고, 윈드쉴드 토출구와 실내 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대시보드에 형성된 이동구멍으로 이동하는 송풍부재; 및 상기 통합덕트에 대하여 상기 송풍부재를 승강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덕트는 커넥션 덕트와 디프로스트 덕트를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덕트는 상기 냉온풍을 가이드 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상측으로 협소하게 돌출형성되어 냉온풍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상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재는 상기 통합덕트의 가이드부 외측에 기밀 상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재는 상기 통합덕트에 삽입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로 유입된 냉온풍을 양측으로 분기하여 분기부의 윈드쉴드 토출구와 실내토출구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송풍부재의 일측에 축 결합되고, 상기 대시보드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액츄에이터; 및 상기 상하 액츄에이터의 축을 안내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재에는 상기 윈드쉴드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윈드쉴드 토출구에 일치하는 다수의 개방공과, 상기 개방공 사이에 차단부를 형성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송풍부재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하는 개폐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는 디프로스트 덕트와 커넥터 덕트를 결합한 통합덕트 상에 공조 작동시에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승하는 송풍부재를 구비하여 디프로스트 기능도 겸비하므로 디자인 및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하고, 부품수를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송풍부재에 개폐구동부를 구비하여 윈드쉴드 토출구를 개폐하므로 윈드 실드 방향의 공기 토출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승강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개폐전환부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승강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정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개폐전환부 작동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는, 통합덕트(20), 송풍부재(30) 및 승강구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통합덕트(20)는 대시보드(10) 내측에 윈드쉴드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통합덕트(20)는 기존의 커넥션 덕트와 디프로스트 덕트를 통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4개 정도의 에어벤트, 커넥션 덕트 및 디프로스트 덕트가 삭제되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디자인과 레이아웃(lay-out) 자유도가 증대되고,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합덕트(20)는 냉온풍을 가이드 하는 몸체(22) 및 몸체(22)에서 상측으로 협소하게 돌출형성되어 냉온풍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상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24)를 포함한다.
몸체(22)의 내부 단면은 가이드부(24)의 내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몸체(22)와 가이드부(24)의 단면은 좌우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몸체(22)와 가이드부(24)의 단면은 필요에 따라 원형, 사각을 제외한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송풍에 적당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부재(30)는 통합덕트(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냉온풍을 가이드하고, 윈드쉴드 토출구(32)와 실내 토출구(34)를 형성하며, 대시보드(10)에 형성된 이동구멍(12)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윈드쉴드 토출구(32)는 상측으로 개방되어 이동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윈드쉴드 토출구(32)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 개가 형성된다.
실내토출구(34)는 윈드쉴드 토출구(3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실내토출구(34)는 2개의 분기부(38)의 실내방향 측면에 각각 1개씩 모두 2개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구멍(12)는 기존의 디프로스트용 토출구에 해당하는 위치에 2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부재(30)는 통합덕트(20)의 가이드부(24) 외측에 기밀 상태로 삽입되어 송풍되는 냉온풍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부재(30)는 통합덕트(20)에 삽입되는 안내부(36)가 형성되고, 안내부(36)로 유입된 냉온풍을 양측으로 분기하여 분기부(38)의 윈드쉴드 토출구(32)와 실내토출구(34)를 통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승강구동부(40)는 송풍부재(30)의 일측에 축 결합되고, 대시보드(10)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액츄에이터(50) 및 상하 액츄에이터(50)의 축을 안내하는 장공(54)이 형성되고, 대시보드(10)에 설치되는 설치부재(52)를 포함한다.
상하 액츄에이터(50)는 랙기어 또는 기계요소를 이용하여 축이 승강하도록 구성된 통상의 액츄에이터를 적용한다.
설치부재(52)의 장공(54)는 사각형상의 판체 중심부에 상하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장공(54)의 상하단부는 상하 액츄에이터(50) 축의 반경과 일치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설치부재(52)의 장공(54)은 상하 액츄에이터(50) 축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고 이동을 지지하며 이동을 제한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통합덕트(20)에는 윈드쉴드 토출구(32)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60)를 구비한다.
개폐구동부(60)는 윈드쉴드 토출구(32)에 일치하는 개방공(64)과, 개방공(64) 사이에 차단부(66)를 형성하는 개폐부재(62) 및 개폐부재(30)의 저면에 결합되어 개폐부재(62)를 슬라이딩 구동하는 개폐 액츄에이터(68)를 포함한다.
개폐부재(62)의 개방공(64)는 윈드쉴드 토출구(32)의 개수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액츄에이터(68)는 송풍부재(30)의 분기부(24) 저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액츄에이터(68)는 랙기어 또는 기계요소를 이용하여 축이 승강하도록 구성된 통상의 액츄에이터를 적용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윈드쉴드 방향으로 냉온풍을 토출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미 도시된 냉난방 공조기에서 냉온풍을 선택한 후 통합덕트(20)의 몸체(22)와 가이드부(24)를 거쳐 송풍부재(30)의 안내부(36)를 거쳐 양측으로 가이드하여 분기부(38)로 이송한다.
이때, 개폐구동부(60)는 도 6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액츄에이터(68)를 구동하여 슬라이드이동시켜 개폐부재(62)의 개방공(64)을 송풍부재(30)의 윈드쉴드 토출구(32)와 일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은 개폐부재(62)의 개방공(64)과 송풍부재(30)의 윈드쉴드 토출구(32)를 거쳐 대시보드(10)의 이동공(12)를 거쳐 윈드쉴드에 서리 혹은 김을 제거해주므로 기존의 디프로스트 덕트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실내 방향으로 냉온풍을 토출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6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액츄에이터(68)를 구동하여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시켜 개폐부재(62)의 개방공(64)이 송풍부재(30)의 윈드쉴드 토출구(32)사이에 위치한 차단부(66)와 일치시켜 냉온풍의 윈드쉴드 방향 이동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40)의 상하 액츄에이터(50)를 구동하여 송풍부재(30)를 통합덕트(20)에 대하여 상측으로 팝업시킨다.
즉, 송풍부재(30)의 안내부(36)는 통합덕트(20)의 가이드부(24)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상승이동하고, 상하 액츄에이터(50)의 축은 설치부재(52)의 장공(54)를 따라 상승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난방 공조기에서 배출된 냉온풍은 통합덕트(20)의 몸체(22)와 가이드부(24)를 거쳐 송풍부재(30)의 안내부(36)를 거쳐 양측으로 가이드하여 분기부(38)로 이송한다.
이때, 분기부(36)의 상측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대시보드(10)에서 차단되어 있던, 실내토출구(34)가 개방되고, 윈드쉴드 토출구(32)는 차단되므로 냉온풍은 실내토출구(34)를 통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들에게 공급되어 공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에어벤트는 디프로스트 덕트와 커넥터 덕트를 결합한 통합덕트 상에 공조 작동시에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승하는 송풍부재를 구비하여 디프로스트 기능도 겸비하므로 디자인 및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하고, 부품수를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송풍부재에 개폐구동부를 구비하여 윈드쉴드 토출구를 개폐하므로 윈드 실드 방향의 공기 토출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대시보드 12 : 이동구멍
20 : 통합덕트 22 : 몸체
24 : 가이드부 30 : 송풍부재
32 : 윈드쉴드 토출구 34 : 실내토출구
36 : 안내부 38 : 분기부
40 : 승강구동부 50 : 상하 액츄에이터
52 : 설치부재 60 : 개폐구동부
62 : 개폐부재 64 : 개폐 액츄에이터

Claims (8)

  1. 대시보드 내측에 윈드쉴드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통합덕트;
    상기 통합덕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냉온풍을 가이드하고, 윈드쉴드 토출구와 실내 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대시보드에 형성된 이동구멍으로 이동하는 송풍부재; 및
    상기 통합덕트에 대하여 상기 송풍부재를 승강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에어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덕트는 커넥션 덕트와 디프로스트 덕트를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에어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덕트는
    상기 냉온풍을 가이드 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상측으로 협소하게 돌출형성되어 냉온풍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상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에어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재는 상기 통합덕트의 가이드부 외측에 기밀 상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에어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재는 상기 통합덕트에 삽입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로 유입된 냉온풍을 양측으로 분기하여 분기부의 윈드쉴드 토출구와 실내토출구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에어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송풍부재의 일측에 축 결합되고, 상기 대시보드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액츄에이터; 및
    상기 상하 액츄에이터의 축을 안내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에어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재에는 상기 윈드쉴드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에어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윈드쉴드 토출구에 일치하는 다수의 개방공과, 상기 개방공 사이에 차단부를 형성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송풍부재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하는 개폐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에어벤트.
KR1020100108945A 2010-11-04 2010-11-04 팝업형 에어벤트 KR10170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945A KR101702111B1 (ko) 2010-11-04 2010-11-04 팝업형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945A KR101702111B1 (ko) 2010-11-04 2010-11-04 팝업형 에어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405A true KR20120047405A (ko) 2012-05-14
KR101702111B1 KR101702111B1 (ko) 2017-02-13

Family

ID=4626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945A KR101702111B1 (ko) 2010-11-04 2010-11-04 팝업형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1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440A (ja) * 2003-03-28 2004-10-2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178516A (ja) * 2003-12-18 2005-07-07 Howa Kasei Kk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JP2005306327A (ja) * 2004-04-26 2005-11-04 Howa Kasei Kk ホップアップレジスタ
JP2007216894A (ja) * 2006-02-17 2007-08-30 Inoac Corp エアアウトレ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440A (ja) * 2003-03-28 2004-10-2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178516A (ja) * 2003-12-18 2005-07-07 Howa Kasei Kk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JP2005306327A (ja) * 2004-04-26 2005-11-04 Howa Kasei Kk ホップアップレジスタ
JP2007216894A (ja) * 2006-02-17 2007-08-30 Inoac Corp エアアウト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111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13674A (zh) 用于分离控制内部/外部空气的流动的车辆空调系统
CN103707737B (zh) 车辆hvac系统
US8544533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KR201300643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기토출 시스템
KR20120136968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KR101461988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25924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65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4076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47405A (ko) 팝업형 에어벤트
KR20030019702A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7099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7006856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덕트 분지 구조
JP4364581B2 (ja) 乗用車の空気案内構造
KR1014634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1362425A (zh) 车辆驾驶舱内的空调通风装置
KR20100065599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KR1025365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49082A (ko)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CN104080632B (zh) 供暖、通风和/或空气调节单元的壳体和用于车舱的气门
KR1025797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16742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90065961A (ko) 가변형 공기덕트
CN216580043U (zh) 车载空气调节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