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333A -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333A
KR20120042333A KR1020100103989A KR20100103989A KR20120042333A KR 20120042333 A KR20120042333 A KR 20120042333A KR 1020100103989 A KR1020100103989 A KR 1020100103989A KR 20100103989 A KR20100103989 A KR 20100103989A KR 20120042333 A KR20120042333 A KR 20120042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rame
chair frame
wheelch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362B1 (ko
Inventor
박용한
박용재
Original Assignee
박용한
박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한, 박용재 filed Critical 박용한
Priority to KR102010010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3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positioning the whole seat forward or rea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수동식 또는 전동식 휠체어에 구비되는 의자를 선택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변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치변동시 의자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휠체어에 타거나 오르내리는 것이 용이하며, 의자에 용변을 볼 수 있는 홀을 형성하되 평상시에는 홀이 막혀있지만 의자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변동하면 홀이 자연스럽게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화장실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고품질 고품격의 휠체어를 제공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는 기본적으로 전동식 또는 수동식 휠체어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 좌,우 양측에 복수개의 지지대(20) 하단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축(21)(22)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대(20) 상단은 의자(30)와 등받이(40)가 고정설치된 의자프레임(5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23)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20) 하단의 축(21)(22)중 어느 하나를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된 기어드모터(60)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한 회전동력발생장치(61)와 연계설치하여서,
이 회전동력발생장치(61)의 구동으로 지지대(20)의 상단이 하측 축(21)(22)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의자프레임(5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이동시켜 주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The wheel chair where the use is convenien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타거나 오르내리는 것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휠체어에 구비된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화장실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용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장소를 이동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것으로, 의자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휠(후륜)에 구비되어 있는 핸드림을 수동을 회전시켜 이동하는 수동식 휠체어와,
전동식 회전동력발생장치를 구비하여 고정휠(후륜)을 전동으로 회전시켜 이동하는 전동식 휠체어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휠체어들은 모두 장애인의 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은 만족스럽지만 휠체어에 타거나 오르내리는 행위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용변을 보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휠체어들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동식 또는 전동식 휠체어에 구비되는 의자를 선택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변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치변동시 의자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휠체어에 타거나 오르내리는 것이 용이하며, 의자에 용변을 볼 수 있는 홀을 형성하되 평상시에는 홀이 막혀있지만 의자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변동하면 홀이 자연스럽게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화장실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고품질 고품격의 휠체어를 제공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는 전동식 또는 수동식 휠체어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좌,우 양측에 복수개의 지지대 하단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축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대 상단은 의자와 등받이가 고정설치된 의자프레임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 하단의 축 중 어느 하나를 메인프레임에 장착된 기어드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한 회전동력발생장치와 연계설치하여서,
이 회전동력발생장치의 구동으로 지지대의 상단이 하측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의자프레임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이동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의자프레임을 중앙에 홀이 형성된 이동의자가 장착되는 제1의자프레임과,
상기 제1의자프레임에 장착된 이동의자의 홀에 삽입설치되는 고정의자가 장착되는 제2의자프레임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기 제1의자프레임은 지지대 상단에 힌지 결합하고 제2의자프레임은 메인프레임에 고정설치하여 상기 회전동력발생장치의 구동시 제1의자프레임은 지지대와 함께 동시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의자프레임은 원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는 수동식 또는 전동식 휠체어에 구비되는 의자를 기어드모터를 이용한 회전동력발생장치로 선택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변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치변동시 의자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의자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면 휠체어에 타거나 오르내리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평상시에는 의자에 형성된 홀이 막혀있지만 의자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변동하면 홀이 자연스럽게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휠체어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화장실 변기에 용변을 볼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가지 잇점이 동시에 발휘되는 것이어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1,도2는 본 발명이 구현된 의자 전진형 전동식 휠체어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1은 의자위치 변동 전의 초기 상태도.
도2는 의자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3,도4는 본 발명이 구현된 의자 전진형 수동식 휠체어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3은 의자위치 변동 전의 초기 상태도.
도4는 의자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5는 의자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데 필요한 회전동력발생장치의 일 구성상태도.
이하, 본 발명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의 일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는 크게 의자가 후방에 있다가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된 의자 전진형 전동식 휠체어와,
의자가 전방에 있다가 후방으로 후진하도록 구성된 의자 후진형 전동식 휠체어 및,
의자가 후방 있다가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된 의자 전진형 수동식 휠체어와,
의자가 전방에 있다가 후방으로 후진하도록 구성된 의자 후진형 수동식 휠체어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이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기본구성 및 작동원리는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의자가 후방에 있다가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된 의자 전진형 전동식 휠체어 및 의자전진형 수동식 휠체어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첨부도면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은 의자(30)가 후방에 있다가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된 의자(30) 전진형 전동식 휠체어의 일 구성예이며,
첨부도면 도3 내지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은 의자(30)가 후방 있다가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된 의자 전진형 수동식 휠체어의 일 구성예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5는 의자(3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데 필요한 회전동력발생장치(61)의 일 구성예이다.
상기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의자 전진형 전동식휠체어 및 수동식휠체어는 모두 휠체어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 좌,우 양측에 복수개의 지지대(20) 하단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축(21)(22)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하단이 축(21)(22) 결합된 각각의 지지대(20) 상단은 의자(30)와 등받이(40)가 고정설치된 의자프레임(50)에 전,후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23)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0) 하단의 축(21)(22)중 어느 하나가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된 기어드모터(6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한 회전동력발생장치(61)와 연계설치되어 이 회전동력발생장치(61)의 구동으로 지지대(20)의 상단이 하측 축(21)(22)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후로 이동되면서 의자프레임(50)을 전,후 위치이동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는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는 상기 의자프레임(50)이 중앙에 홀(31a)이 형성된 이동의자(31)가 장착되는 제1의자프레임(51)과, 상기 제1의자프레임(51)에 장착된 이동의자(31)의 홀(31a)에 삽입설치되는 고정의자(32)가 장착되는 제2의자프레임(52)으로 분리 형성되어 지되,
상기 제1의자프레임(51)은 지지대(20) 상단에 힌지(23) 결합하고 제2의자프레임(52)은 메인프레임(10)에 고정설치하여서 상기 회전동력발생장치(61)의 구동시 제1의자프레임(51)은 지지대(20)와 함께 동시에 전,후로 이동되고, 상기 제2의자프레임(52)은 원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 제1의자프레임(51)에 장착된 이동의자(31)의 홀(31a)이 자연스럽게 개방되어 지므로 화장실의 용변을 보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미설명 부호 (1a)(1b)는 리미트 스위치로서 의자(30)의 전진 또는 후진시 각각 후방 지지대(20)에 의해 텃치되어 의자(30)의 전진 또는 후진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의 역활을 담당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2)는 회전동력발생장치 구동용 리모콘이며, (3)은 발판이며, (4)는 변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휠체어가 도1 내지 도2와 같이 의자 전진형 전동식 휠체어 또는 도3 내지 도4와 같이 의자 전진형 수동식 휠체어의 경우 도1 및 도3과 같이 의자(30) 위치 변동전 초기 상태에서 리모콘(2)의 의자전진버튼을 누르게 되면 기어드모터를 이용한 회전동력발생장치(61)가 작동하여 의자(30)가 전방으로 승강하다가 하강하면서 위치변동된다.
즉, 상기 회전동력발생장치(61)를 구성하는 기어드모터(60)의 구동으로 지지대(20) 하단의 축(21)이 강제로 회전하므로 결과적으로 각각의 지지대(20)의 상단이 하측 축(21)(2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승강하다가 하강하면서 위치변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목적 즉, 침대에 오르고자 할 경우에는 제1의자프레임(51)을 침대높이까지만 승강시킨 후 정지시키면 휠체어에서 침대로 손쉽게 옮길 수 있으며,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2 및 도4와 같이 제1의자프레임(51)을 전방으로 완전히 위치변동시킨 후 화장실 변기(4) 상면에 제1의자프레임(51)이 위치되도록 한 후 용변을 보면 된다.
이때, 상기 고정의자(32)가 장착되는 제2의자프레임(52)은 그대로 있고 상기 이동의자(31)가 장착되는 제1의자프레임(51)만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자연스럽게 이동의자(31)에 형성된 홀(31a)이 개방된다.
따라서, 용변을 보기가 매우 편리하다.
10:메인프레임 20:지지대
21,22:축 23:힌지
30:의자 31:이동의자
31a:홀 32:고정의자
40:등받이 50:의자프레임
51:제1의자프레임 52:제2의자프레임
60:기어드모터 61:회전동력발생장치

Claims (2)

  1. 전동식 또는 수동식 휠체어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 좌,우 양측에 복수개의 지지대(20) 하단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축(21)(22)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대(20) 상단은 의자(30)와 등받이(40)가 고정설치된 의자프레임(5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23)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20) 하단의 축(21)(22)중 어느 하나를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된 기어드모터(60)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한 회전동력발생장치(61)와 연계설치하여서,
    이 회전동력발생장치(61)의 구동으로 지지대(20)의 상단이 하측 축(21)(22)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의자프레임(5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이동시켜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프레임(50)은,
    중앙에 홀(31a)이 형성된 이동의자(31)가 장착되는 제1의자프레임(51)과,
    상기 제1의자프레임(51)에 장착된 이동의자(31)의 홀(31a)에 삽입설치되는 고정의자(32)가 장착되는 제2의자프레임(52)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기 제1의자프레임(51)은 지지대(20) 상단에 힌지(23) 결합하고 제2의자프레임(52)은 메인프레임(10)에 고정설치하여,
    상기 회전동력발생장치(61)의 구동시 제1의자프레임(51)은 지지대(20)와 함께 동시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의자프레임(52)은 원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상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 제1의자프레임(51)에 장착된 이동의자(31)의 홀(31a)이 자연스럽게 개방되어 화장실의 용변을 보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KR1020100103989A 2010-10-25 2010-10-25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KR10123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89A KR101237362B1 (ko) 2010-10-25 2010-10-25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89A KR101237362B1 (ko) 2010-10-25 2010-10-25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333A true KR20120042333A (ko) 2012-05-03
KR101237362B1 KR101237362B1 (ko) 2013-02-28

Family

ID=4626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989A KR101237362B1 (ko) 2010-10-25 2010-10-25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3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50B1 (ko) * 2013-06-17 2014-10-08 주식회사 이씨엠 접철식 전동 휠체어
KR200481146Y1 (ko) 2016-02-01 2016-08-19 홍기철 대걸레 세척기
KR200484598Y1 (ko) 2017-05-22 2017-09-27 홍기철 대걸레 세척기
KR200494450Y1 (ko) 2021-04-23 2021-10-15 홍기철 대걸레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378A (ko) * 2014-06-10 2015-12-18 김은주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화장실용 리프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4003A (ja) * 1992-10-29 1994-05-17 Tadashi Iura 障害者用車椅子
JP2819110B2 (ja) * 1996-03-06 1998-10-30 株式会社日宏 座椅子用昇降台及び昇降式座椅子
JP2002209948A (ja) * 2001-01-17 2002-07-30 Takeo Oda 着座着脱回転移行股間状昇降パンタ車椅子と入浴装置
JP2003325262A (ja) 2002-05-14 2003-11-18 Koyo Giken Kk 昇降式座椅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50B1 (ko) * 2013-06-17 2014-10-08 주식회사 이씨엠 접철식 전동 휠체어
KR200481146Y1 (ko) 2016-02-01 2016-08-19 홍기철 대걸레 세척기
KR200484598Y1 (ko) 2017-05-22 2017-09-27 홍기철 대걸레 세척기
KR200494450Y1 (ko) 2021-04-23 2021-10-15 홍기철 대걸레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362B1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6361U (ja) 着席・起立補助装置
JP3216660U (ja) 座った姿勢で排泄可能な介護ベッド
KR101237362B1 (ko)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KR101013566B1 (ko) 착석 및 기립 보조기구
KR20090090703A (ko) 다기능 전동휠체어
KR102128494B1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ITPD20060208A1 (it) Carrozzina per la riabilitazione che si verticalizza di tipo perfezionato
JP2000175974A (ja) 多機能ベッド
US8272081B2 (en) Toilet seat lift device
KR101545158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US20100207353A1 (en) Wheelchair Apparatus with Assistant Function
KR102107236B1 (ko)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KR102150594B1 (ko) 휠체어
KR101597961B1 (ko) 접이식 가림막을 갖는 휠체어
KR101462378B1 (ko)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KR101333318B1 (ko) 전동식 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보조의자
KR102058890B1 (ko)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KR101254789B1 (ko)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KR20110006520A (ko)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화장실 보조기구
CN112603670B (zh) 一种可调角度、高度的椅面结构及其多功能轮椅
JP3123479U (ja) 便器装置
CN113197737A (zh) 一种多功能轮椅
CN112263408A (zh) 轮椅如厕机构
CN201920630U (zh) 一种自助座便椅
KR20110029699A (ko) 기립보조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