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98Y1 - 대걸레 세척기 - Google Patents

대걸레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98Y1
KR200484598Y1 KR2020170002489U KR20170002489U KR200484598Y1 KR 200484598 Y1 KR200484598 Y1 KR 200484598Y1 KR 2020170002489 U KR2020170002489 U KR 2020170002489U KR 20170002489 U KR20170002489 U KR 20170002489U KR 200484598 Y1 KR200484598 Y1 KR 200484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op
cleaning
pair
apparatu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철
Original Assignee
홍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철 filed Critical 홍기철
Priority to KR2020170002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걸레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대걸레의 걸레부가 세척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세척실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의 양측으로 한 쌍의 기계실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기계실의 이루는 상부가 각각 서로 대칭되게 아크(arc) 형상의 아크형 곡면부를 이루는 장치 하우징; 상기 장치 하우징의 아크형 곡면부에 형성되되 상기 장치 하우징에 연결되는 급수관에 연통되며, 상기 급수관으로부터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실의 걸레부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바닥에 마련되며, 상기 세척실 내에서 세척에 사용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부; 상기 장치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대걸레의 자루에 미리 끼워진 자루 끼움용 보스가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걸레를 거치시키는 대걸레 거치부; 상기 세척실 내에서 상기 걸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레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걸레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걸레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용 요철패턴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 및 상기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과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기계실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용 세척판이 상기 걸레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용 세척판을 구동시키는 세척판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걸레 세척기{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본 고안은, 대걸레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치 손으로 짜듯이 걸레부를 양측에서 가압하면서 세척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대걸레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대걸레(mop)는 긴 막대 자루가 달린 걸레를 가리킨다. 즉 대걸레는 긴 막대 자루의 끝에 천이나 헝겊으로 된 걸레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대걸레는 주로 바닥을 닦는 데 사용한다. 특히, 닦아야 할 공간이 많은 빌딩의 플로어나 로비 등의 바닥을 닦을 때, 대걸레가 많이 사용된다.
한편, 대걸레는 막대 자루를 잡고 천이나 헝겊으로 된 걸레를 바닥에 대고 밀면서 청소하기 때문에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일반 걸레보다 청소효율이 높다.
하지만, 대걸레는 막대 자루가 달려 있기 때문에 걸레부를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막대 자루로부터 걸레부를 분리시키더라도 걸레부에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 된 지지대가 있기 때문에 손쉽게 세척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대걸레를 세척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6652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9019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4233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3982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술들을 비롯한 종래기술의 경우, 구조 대비 세척효율이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지난번 특허출원을 통해 새로운 타입의 대걸레 세척기에 대한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지난번 등록 고안은 종전의 구조들에 비해 대걸레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실질적인 효과가 클 것이라 예상된다.
다만, 이번에는 지난번 등록 고안의 구조를 좀 더 개선하여 마치 손으로 짜듯이 걸레부를 양측에서 가압하면서 세척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대걸레 세척기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6652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9019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4233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3982호
본 고안의 목적은, 마치 손으로 짜듯이 걸레부를 양측에서 가압하면서 세척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대걸레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대걸레의 걸레부가 세척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세척실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의 양측으로 한 쌍의 기계실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기계실의 이루는 상부가 각각 서로 대칭되게 아크(arc) 형상의 아크형 곡면부를 이루는 장치 하우징; 상기 장치 하우징의 아크형 곡면부에 형성되되 상기 장치 하우징에 연결되는 급수관에 연통되며, 상기 급수관으로부터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실의 걸레부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바닥에 마련되며, 상기 세척실 내에서 세척에 사용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부; 상기 장치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대걸레의 자루에 미리 끼워진 자루 끼움용 보스가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걸레를 거치시키는 대걸레 거치부; 상기 세척실 내에서 상기 걸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레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걸레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걸레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용 요철패턴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 및 상기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과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기계실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용 세척판이 상기 걸레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용 세척판을 구동시키는 세척판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세척판 구동유닛은, 상기 가압용 세척판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힌지모듈; 및 상기 세척실 내의 설치 브래킷에 탑재되되 로드의 단부가 상기 힌지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가압용 세척판을 전후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실의 벽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가 출입되는 로드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걸레의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루 끼움용 보스는, 상기 자루가 끼워지는 끼움 바디; 및 상기 끼움 바디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 바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걸림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대걸레 거치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아크형 곡면부에 결합되는 세로 바아; 상기 세로 바아의 단부에서 상기 세로 바아에 교차되게 연결되는 가로 바아; 상기 가로 바아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 끼움용 보스의 걸림 플랜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 후크; 및 상기 걸림 후크의 개구부에 형성되는 입구 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하우징에서 상기 세척실을 형성하는 세척실 벽체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의 바닥은 상기 배수부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마치 손으로 짜듯이 걸레부를 양측에서 가압하면서 세척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대걸레 세척기에 대걸레를 거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세척기에 대걸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대걸레 세척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전동 급수기의 동작도들이다.
도 12는 도 6의 대걸레 세척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대걸레 세척기에 대걸레를 거치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세척기에 대걸레에 대한 사용상태도, 그리고 도 6은 도 1의 대걸레 세척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100)는 마치 손으로 짜듯이 걸레부(2)를 양측에서 가압하면서 세척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장치 하우징(110), 대걸레 거치부(140), 가압용 세척판(160), 그리고 세척판 구동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100)의 외관을 이룬다. 도면에 도시된 장치 하우징(110)의 구조가 최적화된 구조일 수 있으나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면과 상이하더라도 기능이 동일한 경우,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장치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이동용 휠(118a)과 스토퍼(118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용 휠(118a)은 장치 하우징(11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스토퍼(118b)는 상하로 동작되면서 장치 하우징(110)의 위치 이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처럼 다수의 이동용 휠(118a)과 스토퍼(118b)가 마련되면 비교적 무거운 대걸레 세척기(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대걸레 세척기(100)에 이동용 휠(118a)과 스토퍼(118b)가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장치 하우징(110)에는 대걸레(1)의 걸레부(2)가 세척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세척실(111)이 중앙에 형성되고 세척실(111)의 양측으로 한 쌍의 기계실(11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실(111)은 장치 하우징(110)의 중앙에 1개 마련되고, 기계실(113)은 장치 하우징(110)의 양측에 한 쌍으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 하우징(110)에서 세척실(111)을 형성하는 세척실 벽체(112)는 장치 하우징(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장치 하우징(110)의 바닥은 배수부(115)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130)을 형성한다. 따라서 세척실(111)에서 걸레부(2)의 세척에 사용이 완료된 폐수가 배수부(115)로 배수되기에 유리하다.
세척실(111)과 달리, 한 쌍의 기계실(113)은 그 상부가 상부로 솟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기계실(113)의 이루는 상부는 각각 서로 대칭되게 아크(arc) 형상의 아크형 곡면부(114)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급수의 효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걸레부(2)가 제위치를 찾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장치 하우징(110)에는 세척수 공급부(120)와 배수부(115)가 마련된다. 세척수 공급부(120)는 장치 하우징(110)의 아크형 곡면부(114)에 형성되되 장치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급수관(121)에 연통되며, 급수관(121)으로부터의 세척수를 세척실(111)의 걸레부(2)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세척수 공급부(120)가 편의상 홀(hole)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세척수 공급부(120)는 이러한 홀(hole) 외에도 실질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기술하도록 한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노즐은 통한 세척수의 공급도 가능하지만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처럼 대걸레(1)를 거치시키면 홀(hole)로 된 세척수 공급부(120)를 통해서 양측에서 물이 폭포수처럼 흘러 대걸레(1)의 걸레부(2)로 향할 수 있다.
이때, 가압용 세척판(160)의 동작에 의해 압축될 때는 물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걸레부(2)에 대한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이 완료되어 걸레부(2)를 짤 때는 물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가압용 세척판(160)이 걸레부(2)를 반복적으로 압축하여 짤 수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배수부(115)는 장치 하우징(110)의 바닥에 마련되며, 세척실(111) 내에서 세척에 사용된 물, 즉 폐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배수부(115)가 단지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나 배수부(115)에는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대걸레 거치부(140)는 도 1 및 도 2처럼 장치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되며, 대걸레(1)의 자루(4)에 미리 끼워진 자루 끼움용 보스(150)가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대걸레(1)를 도 2 및 도 4처럼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걸레 거치부(140)가 사용되기 위해 자루 끼움용 보스(150)가 마련된다.
자루 끼움용 보스(150)는 대걸레 거치부(140)와 달리 별개로 구비되는 부품으로서 대걸레(1)에 미리 끼워진다.
이러한 자루 끼움용 보스(150)는 자루(4)가 끼워지는 끼움 바디(151)와, 끼움 바디(151)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끼움 바디(15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걸림 플랜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루 끼움용 보스(150)와 상호작용하는 대걸레 거치부(140)는 자루 끼움용 보스(150)와 달리 장치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된다.
대걸레 거치부(140)는 장치 하우징(110)의 아크형 곡면부(114)에 결합되는 세로 바아(141)와, 세로 바아(141)의 단부에서 세로 바아(141)에 교차되게 연결되는 가로 바아(142)와, 가로 바아(142)의 단부에 결합되며, 자루 끼움용 보스(150)의 걸림 플랜지(152)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 후크(143)와, 걸림 후크(143)의 개구부에 형성되는 입구 벌림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자루 끼움용 보스(150)를 대걸레(1)에 미리 끼운 상태에서 자루 끼움용 보스(150)가 대걸레 거치부(140)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걸레부(2)의 세척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가압용 세척판(160)은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160)은 세척실(111) 내에서 걸레부(2)를 사이에 두고 걸레부(2)의 양측에 배치되며, 걸레부(2)를 가압하면서 걸레부(2)를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세척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끔 즉 걸레부(2)를 가압하면서 걸레부(2)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용 요철패턴(161)이 가압용 세척판(160)의 일측에 마련된다.
이때, 세척용 요철패턴(161)은 고무와 같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세척효율과 안전성을 기할 수 있다.
세척판 구동유닛(170)은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160)과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한 쌍의 기계실(113)에 마련되며, 가압용 세척판(160)이 걸레부(2)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용 세척판(160)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세척판 구동유닛(170)은 한 쌍의 기계실(113)에 각각 동일한 구조로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판 구동유닛(170)은 가압용 세척판(160)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힌지모듈(171)과, 세척실(111) 내의 설치 브래킷(172)에 탑재되되 로드(174)의 단부가 힌지모듈(171)과 연결되며, 가압용 세척판(160)을 전후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17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실(111)의 벽면에는 액추에이터(173)의 로드(174)가 출입되는 로드 출입구(116)가 형성된다.
이때, 로드 출입구(116)는 액추에이터(173)의 로드(174)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장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며, 그래야만 세척수 등의 물이 로드 출입구(116)를 통해 기계실(113)로 유입되어 기계실(113) 내의 부품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73)는 실린더와 모터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가압용 세척판(160)의 요동운동을 제공하려면 모터에 캠 구조가 적용되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100)에는 대걸레(1) 세척에 따른 전자동 진행을 위해 입력부(180)와 컨트롤러(190)가 더 갖춰진다.
입력부(180)는 대걸레(1)의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부(1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 하우징(110)의 외면에 버튼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리모콘 타입으로 마련도리 수도 있다.
컨트롤러(190)는 입력부(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173)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173)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입력부(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173)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대걸레 세척기(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에서 도 4처럼 대걸레(1)를 거치한 후, 입력부(180)를 터치하여 대걸레(1) 세척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컨트롤러(190)가 액추에이터(173)의 동작을 컨트롤하게 되고, 액추에이터(173)의 전후진 동작의 반복에 의해 걸레부(2)가 도 4 및 도 5처럼 가압용 세척판(160)에 의해 가압 세척된다. 따라서 단순히 흔드는 것에 비해 걸레부(2)에 대한 세척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한다. 즉 도 4처럼 대걸레(1)를 거치시키면 홀(hole)로 된 세척수 공급부(120)를 통해서 양측에서 물이 폭포수처럼 흘러 대걸레(1)의 걸레부(2)로 향할 수 있다.
이때, 가압용 세척판(160)의 동작에 의해 압축될 때는 물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걸레부(2)에 대한 세척 작용을 진행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어 걸레부(2)를 짤 때는 물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가압용 세척판(160)이 걸레부(2)를 반복적으로 압축하여 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치 손으로 짜듯이 걸레부(2)를 양측에서 가압하면서 세척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단면 구조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전동 급수기의 동작도들, 그리고 도 12는 도 6의 대걸레 세척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200) 역시, 장치 하우징(110), 대걸레 거치부(140), 가압용 세척판(160), 그리고 세척판 구동유닛(170)을 포함하며, 이들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200)에는 전술한 구성들 외에도 전동 급수기(250), 벨로우즈(260), 세제 공급부(270) 및 진동 모듈(275)이 더 갖춰진다.
새롭게 추가되는 구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우선 전동 급수기(25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전동으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특히, 걸레부(2)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어서 세척수의 공급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전동 급수기(250)는 도 9 내지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급수관(1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홀(hole)의 형태를 갖는 세척수 공급부(120)에 이웃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동 급수기(250)는 급수관(121)에 연결되는 급수용 펌프(251)와, 급수용 펌프(251)에 결합되는 전후진 구동부(252)와, 전후진 구동부(252)에 연결되고 전후진 구동부(252)의 동작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노즐 바아(253)와, 노즐 바아(253)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 구동부(254)와, 회전 구동부(254)에 결합되는 세척수 분사 노즐(255)을 포함한다. 급수용 펌프(251), 전후진 구동부(252) 및 회전 구동부(254)는 모두 컨트롤러(29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다.
이에, 도 9의 기본 상태에서 도 10처럼 전후진 구동부(252)에 의해 노즐 바아(253)가 전진되면 세척수 분사 노즐(255)이 세척수 공급부(120)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 수 있으며, 이후, 회전 구동부(254)에 의해 세척수 분사 노즐(255)이 도 11처럼 회전됨으로써 걸레부(2) 쪽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급수용 펌프(251)가 가동됨으로서 세척수 분사 노즐(255)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어 걸레부(2)로 향하게 됨으로써 세척수의 분사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벨로우즈(260)는 가압용 세척판(160)과 세척실 벽체(1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벨로우즈(260)는 액추에이터(173)의 로드(174)가 출입되는 로드 출입구(116)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가압용 세척판(160)은 전후진 또는 진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가압용 세척판(160)의 동작은 허용하면서도 로드 출입구(116)를 외부와 차폐시키기 위해 벨로우즈(260)가 가압용 세척판(160)과 세척실 벽체(112) 사이에 마련된다. 따라서 세척수 등의 물이 로드 출입구(116)를 통해 기계실(113)로 유입되어 기계실(113) 내의 부품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제 공급부(270)는 세척실(111) 내의 걸레부(2)를 향해 세제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세제 공급부(270)의 동작 역시, 컨트롤러(29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다.
세제 공급부(270)는 걸레부(2)를 향해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 분사노즐(271)과, 세제 분사노즐(271)을 지지하는 노즐 지지대(272)와, 노즐 지지대(272)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지지대 구동부(273)와, 세제통(274)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통(274)은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장치 하우징(110)의 외측에 연결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개략적으로 도시했다.
본 실시예처럼 세제 공급부(270)를 통해 걸레부(2)로 세제를 공급한 후, 가압용 세척판(160)이 걸레부(2)에 가압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훨씬 더 깨끗하게 걸레부(2)를 세척할 수 있다.
진동 모듈(275)은 가압용 세척판(160)을 진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가압용 세척판(160)이 걸레부(2)에 가압 작용될 때, 진동 모듈(275)에 의해 가압용 세척판(160)이 진동되게 함으로써 걸레부(2)를 비틀어 빠는 효과가 더욱 우수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세척효율을 훨씬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진동 모듈(275)의 동작 역시, 컨트롤러(29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가 더 부가되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마치 손으로 짜듯이 걸레부(2)를 양측에서 가압하면서 세척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대걸레 2 : 걸레부
4 : 자루 100 : 대걸레 세척기
110 : 장치 하우징 111 : 세척실
112 : 세척실 벽체 113 : 기계실
114 : 아크형 곡면부 115 : 배수부
120 : 세척수 공급부 121 : 급수관
130 : 경사면 140 : 대걸레 거치부
141 : 세로 바아 142 : 가로 바아
143 : 걸림 후크 144 : 입구 벌림부
150 : 자루 끼움용 보스 151 : 끼움 바디
152 : 걸림 플랜지 160 : 가압용 세척판
161 : 세척용 요철패턴 170 : 세척판 구동유닛
171 : 힌지모듈 172 : 설치 브래킷
173 : 액추에이터 174 : 로드
180 : 입력부 190 : 컨트롤러

Claims (5)

  1. 대걸레의 걸레부가 세척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세척실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의 양측으로 한 쌍의 기계실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기계실을 이루는 상부가 각각 서로 대칭되게 아크(arc) 형상의 아크형 곡면부를 이루는 장치 하우징;
    상기 장치 하우징의 아크형 곡면부에 형성되되, 상기 장치 하우징에 연결되는 급수관에 연통되고, 상기 급수관으로부터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실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바닥에 마련되고, 상기 세척실 내에서 세척에 사용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부;
    상기 장치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대걸레의 자루에 미리 끼워진 자루 끼움용 보스가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대걸레를 수직으로 거치시키는 대걸레 거치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벽체와 나란하도록 상기 세척실 내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세척실의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걸레부와 나란하도록 상하로 신장되며, 상기 걸레부의 양측부로 이동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걸레부를 세척하되, 상기 걸레부의 방향으로 세척용 요철패턴이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
    상기 한 쌍의 기계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압용 세척판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을 상기 걸레부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세척판 구동유닛;
    상기 대걸레의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을 반복적으로 전후진시켜 상기 걸레부의 양측부를 가압 세척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이 상기 걸레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가압용 세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 끼움용 보스는,
    상기 자루가 끼워지는 끼움 바디; 및
    상기 끼움 바디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끼움 바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걸림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대걸레 거치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아크형 곡면부에 결합되는 세로 바아;
    상기 세로 바아의 단부에서 상기 세로 바아에 교차되게 연결되는 가로 바아;
    상기 가로 바아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자루 끼움용 보스의 걸림 플랜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 후크; 및
    상기 걸림 후크의 개구부에 형성되는 입구 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에서 상기 세척실을 형성하는 세척실 벽체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의 바닥은 상기 배수부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
KR2020170002489U 2017-05-22 2017-05-22 대걸레 세척기 KR200484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89U KR200484598Y1 (ko) 2017-05-22 2017-05-22 대걸레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89U KR200484598Y1 (ko) 2017-05-22 2017-05-22 대걸레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98Y1 true KR200484598Y1 (ko) 2017-09-27

Family

ID=6057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489U KR200484598Y1 (ko) 2017-05-22 2017-05-22 대걸레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9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2323A (zh) * 2018-07-09 2018-09-18 王素京 平板拖把的清洗装置
CN108652542A (zh) * 2018-07-09 2018-10-16 河北洁仕宝日用塑料制品有限公司 平板拖把的立式清洗脱水装置及具有该装置的拖把桶
CN109730602A (zh) * 2019-03-15 2019-05-10 张宁 拖把自动清洗机及其专用拖把
CN110123223A (zh) * 2018-02-02 2019-08-16 江苏宙际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洗水净污分离的拖把清洗装置
CN113180561A (zh) * 2021-02-05 2021-07-30 江涛 一种洗拖把机及配套使用的t形拖把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204Y1 (ko) * 2002-06-19 2002-10-11 송석순 마포걸레 탈수장치
KR200373209Y1 (ko) * 2004-10-26 2005-01-15 송화수 자루걸레용 세척 및 탈수 장치
KR200431454Y1 (ko) 2006-09-06 2006-11-23 이창국 걸레 세척장치
KR20100066529A (ko) 2007-09-11 2010-06-17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금속 실린더 헤드 개스킷
KR20100090191A (ko) 2009-02-05 2010-08-1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어셈블리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42333A (ko) 2010-10-25 2012-05-03 박용한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KR101569994B1 (ko) * 2014-05-08 2015-11-18 한만택 밀걸레 전용 세탁기 및 이를 이용한 밀걸레 세탁 장치
CN206007186U (zh) * 2016-07-09 2017-03-15 胡良田 一种拖把专用支撑座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204Y1 (ko) * 2002-06-19 2002-10-11 송석순 마포걸레 탈수장치
KR200373209Y1 (ko) * 2004-10-26 2005-01-15 송화수 자루걸레용 세척 및 탈수 장치
KR200431454Y1 (ko) 2006-09-06 2006-11-23 이창국 걸레 세척장치
KR20100066529A (ko) 2007-09-11 2010-06-17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금속 실린더 헤드 개스킷
KR20100090191A (ko) 2009-02-05 2010-08-1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어셈블리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42333A (ko) 2010-10-25 2012-05-03 박용한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KR101569994B1 (ko) * 2014-05-08 2015-11-18 한만택 밀걸레 전용 세탁기 및 이를 이용한 밀걸레 세탁 장치
CN206007186U (zh) * 2016-07-09 2017-03-15 胡良田 一种拖把专用支撑座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3223A (zh) * 2018-02-02 2019-08-16 江苏宙际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洗水净污分离的拖把清洗装置
CN108542323A (zh) * 2018-07-09 2018-09-18 王素京 平板拖把的清洗装置
CN108652542A (zh) * 2018-07-09 2018-10-16 河北洁仕宝日用塑料制品有限公司 平板拖把的立式清洗脱水装置及具有该装置的拖把桶
CN108652542B (zh) * 2018-07-09 2023-10-31 河北洁仕宝日用塑料制品有限公司 平板拖把的立式清洗脱水装置及具有该装置的拖把桶
CN108542323B (zh) * 2018-07-09 2023-10-31 河北洁仕宝日用塑料制品有限公司 平板拖把的清洗装置
CN109730602A (zh) * 2019-03-15 2019-05-10 张宁 拖把自动清洗机及其专用拖把
CN109730602B (zh) * 2019-03-15 2024-01-26 日照未来模塑科技有限公司 拖把自动清洗机及其专用拖把
CN113180561A (zh) * 2021-02-05 2021-07-30 江涛 一种洗拖把机及配套使用的t形拖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598Y1 (ko) 대걸레 세척기
KR10130671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54117B1 (ko)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101180364B1 (ko) 세족기
US10149594B2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40224286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02062B1 (ko)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및 제어 방법
US7426931B2 (en) Dishwasher
KR100795261B1 (ko) 식기세척기
KR100390806B1 (ko) 자동 식기 세척기
KR100710944B1 (ko) 식기 세척기
KR200481146Y1 (ko) 대걸레 세척기
KR101240787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4326284B2 (ja) 食器洗浄機
KR200494450Y1 (ko) 대걸레 세척기
CN210995498U (zh) 一种喷水清洗的装置
CN212733176U (zh) 一种板材清洗装置
KR200338654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온수 재활용장치
KR101054102B1 (ko) 식기 세척기의 탑랙 고정구조
KR100866883B1 (ko) 식기세척기
KR102632696B1 (ko) 나노버블장치
JPH0249625A (ja) 食器類の洗浄装置
CN209847122U (zh) 清洗装置
KR101069999B1 (ko) 식기 세척기의 탑랙 구조
JP2573648Y2 (ja) 食器洗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